맨위로가기

조선총독부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총독부 철도는 1899년 경인선 개통을 시작으로,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의 철도국으로 발족하여 1945년까지 운영된 철도 시스템이다. 초기에는 군용철도 및 철도관리국을 거쳐 철도청으로 운영되다, 1910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으로 통합되었다. 1917년부터 1925년까지 남만주철도에 위탁 운영되기도 했다. 주요 노선으로는 경부선, 경의선 등이 있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증기 기관차, 전기 기관차, 동차 등을 운용했다. 1940년 기준 조선총독부 철도는 1,000량 이상의 기관차를 보유했고, 1945년 종전과 함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철도 - 한국의 철도 전철화
    한국의 철도 전철화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어 1973년 중앙선 구간 개통을 기점으로 본격화되었으며, 2022년 기준 78.53%의 전철화율을 보이고 한국철도공사 외 도시철도 노선에서도 운영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교통 - 조선철도
    조선철도는 1923년 여러 회사의 합병으로 설립된 일제강점기 최대 규모의 사기업으로, 철도망 확장, 버스 사업, 황해도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다 해방 후 남북한 철도청 및 철도성으로 편입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교통 - 황해선
    황해선은 1919년 산업 철도로 개통된 협궤 노선에서 시작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 확장되었으나, 해방 후 분할되어 현재는 대부분 북한 지역에 속하게 되었다.
조선총독부 철도
철도 정보
조선총독부 철도 로고
조선총독부 철도 로고
철도 이름조선총독부 철도
다른 이름선철 (鮮鐵, Seoncheol)
철도국 이름조선총독부 철도국 (철도국, Cheoldoguk)
위치일제강점기 조선반도
시작 연도1910년
종료 연도1945년
전신통감부 철도
후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한국철도
궤간표준궤
762 mm
전철화3000 V DC (1,435 mm)
본사 위치경성부
1930년대 중반의 노선도
1930년대 중반의 노선도
파시코형 증기 기관차
파시코형 (퍼시픽) 증기 기관차

2. 역사

한반도 철도 역사는 1894년 8월 20일 조일잠정합동조관[9][10]에 따라 철도 부설권을 얻은 일본에 의해 시작되었다. 1899년 노량진~제물포 간 철도(경인선) 개통을 시작으로, 1905년에는 경부선이, 1906년에는 경의선이 개통되었다. 경부선경의선은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획득한 남만주 철도(만철)와 연결되어 일본의 대륙 진출 발판 역할을 했다.

1910년 한일 합방 이후, 일본은 경원선, 중앙선, 호남선 등을 부설하였다. 초기에는 노선 수가 많지 않아 남만주 철도에 위탁 운영되었으나, 1925년부터 조선총독부가 직접 관할하게 되었다. 북부 일부 노선은 1945년 일본 패전까지 남만주 철도가 계속 운영했다.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성립되면서 일본, 조선, 만주 간 이동이 활발해졌다. 경부선경의선에는 '아카쓰키(あかつき, 새벽)', '히카리(ひかり, 빛)', '노조미(のぞみ, 희망)', '대륙(大陸)', '흥아(興亞)' 등의 우등 열차가 운행되었다.

1943년에는 철도국이 폐지되고 교통국으로 이관되었으며, 1945년 해방과 함께 조선총독부 철도는 폐지되었다. 이후 한국의 철도는 국유화되어 대한민국의 노선은 한국철도공사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편입되었다.

조선총독부 철도 3등 객차 Ha9 1026호

2. 1. 초기 (1899년 ~ 1910년)

한반도 철도 역사는 1894년 8월 20일 조일잠정합동조관[9][10]에 따라 철도 부설권을 얻은 일본1899년 노량진~제물포 간 철도를 개통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이후 경인선이 되었다. 1905년에는 경부선이 개통되었고, 1906년에는 러일전쟁의 군사 수송을 목적으로 일진회의 협력을 얻은 일본 육군에 의해 경의선이 전 구간 개통되었다. 경부선경의선은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획득한 남만주 철도(만철)와 연결되어 일본의 대륙 진출 발판 역할을 했다. 1910년 한일 합방으로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얻은 일본은 경원선, 중앙선, 호남선 등을 부설하였다. 1925년까지 조선에서의 철도 운영은 노선 수가 많지 않아 일체화된 수송을 위해 남만주 철도에 위탁되었다.

초기 조선총독부 철도는 1905년부터 1910년까지 한국의 급격한 정치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세 차례나 명칭이 변경되었다.

기간명칭(일본어)명칭(한국어)
1906년 ~ 1909년統監府鐵道 (Tōkanfu Tetsudō)통감부 철도 (Tonggambu Cheoldo)
1909년 ~ 1910년韓國鐵道 (Kankoku Tetsudō)한국철도 (Hanguk Cheoldo)
1910년 ~ 1917년朝鮮總督府鐵道 (Chōsen Sōtokufu Tetsudō)조선총독부 철도 (Joseon Chongdokbu Cheoldo)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899년 9월 18일경인철도, 노량진~인천 간 개통.[11]
1902년 10월 1일경부철도, 영등포~명학동 개통.
1903년 11월 1일경부철도가 경인철도를 매수.
1904년 2월 21일일본 육군임시군용철도감부(臨時軍用鐵道監部) 설치.
1905년 4월 28일군용철도, 용산~신의주 간 개통.
1906년 7월 1일한국통감부에 철도관리국(鐵道管理局) 설치. 경부철도 매수.
1906년 9월 1일군용철도를 철도관리국으로 이관.
1909년 6월 18일철도관리국 폐지, 철도청(鐵道廳) 설치.
1909년 12월 16일통감부 관할 철도를 일본 내각철도원 (內閣鐵道院)으로 이관, 한국철도관리국(韓國鐵道管理局) 설치.
1910년 10월 1일한일합방으로 조선총독부 설치, 철도국(鐵道局) 설치. 일본 철도원에서 한국철도관리국 관내 노선 이관.


2. 2. 조선총독부 직영 시기 (1910년 ~ 1917년)

1910년 한일 합방으로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얻은 일본은 조선총독부에 '''철도국'''(鐵道局)을 설치하였다. 일본 철도원에서 한국철도관리국 관내 노선을 이관받았다.[9][10] 1911년 11월 1일에는 압록강 횡단철교가 완성되어 남만주 철도(만철)와 연결되었다.[9][10]

1914년 10월 10일에는 철도국 직영 조선호텔 영업이 개시되었다.[9][10]

연도사건
1910년한일 합방으로 조선총독부 설치. 조선총독부철도국 설치. 일본 철도원에서 한국 철도 관리국 관내 노선을 이관받음.
1911년압록강을 건너는 철교가 완성되어, 남만주철도 (만철)와 연결됨.
1914년철도국 직영의 조선호텔 영업 개시.
1917년만철에 철도 경영을 위탁. 만철에 경성 관리국 설치.


2. 3. 남만주 철도 위탁 시기 (1917년 ~ 1925년)

1910년 한일 병합으로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얻은 일본은 경원선, 중앙선, 호남선 등을 부설하였다. 1917년 7월 31일에는 조선에서의 철도 운영을 남만주 철도(만철)에 위탁하여 일체화된 수송을 꾀했으며, 만철은 '''경성 관리국'''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9][10] 1911년 11월 1일에는 압록강 횡단철교가 완성되어 남만주 철도와 연결되었다.

2. 4. 조선총독부 직영 재개 시기 (1925년 ~ 1945년)

1917년 7월 31일 남만주 철도(만철)에 위탁했던 철도 경영을 1925년 4월 1일에 해제하고, 조선총독부 직영으로 전환하면서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신설되어 운영을 재개하였다.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성립되자, 일본에서 조선만주로 가는 이동이 활발해졌다. 관부연락선을 통해 일본에서 조선, 만주까지 연결되는 경부선경의선에는 '아카쓰키(あかつき, 새벽)', '히카리(ひかり, 빛)', '노조미(のぞみ, 희망)', '대륙(大陸)', '흥아(興亞)' 등의 급행열차가 운행되었다.

1933년 10월 1일에는 청진 이북의 노선을 만철에 위탁하면서, 만철에 '''북선 철도 관리국'''이 설치되었다. 1943년 12월 3일 철도국은 폐지되고 '''교통국'''(交通局)으로 이관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조선총독부 철도는 폐지되었다.

3. 조직 (1940년 기준)

1940년 기준 조선총독부 철도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부서
서무과
조사과
감독과
영업과
운전과
건설과
보선과
개량과
공작과
전기과
경리과
철도사무소 (경성, 부산, 대전, 평양, 순천, 원산, 성진(城津), 강계)
개량사무소 (경성, 부산, 평양)
공장 (경성, 부산, 청진)
철도종사원양성소
경성철도병원


4. 노선 (1945년 기준)

1945년 당시 조선총독부 철도의 노선은 다음과 같다.



4. 1. 표준궤


  • 1899년 8월 20일 - 경인선 인천 ~ 노량진(서울) 개통.[1]
  • 1902년 10월 1일 - 경부선 영등포(서울) ~ 명학(안양) 개통.
  • 1903년 11월 1일 - 경부선이 경인선 인수.
  • 1904년 2월 21일 -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임시 군용 철도 설립.
  • 1905년 4월 28일 - 군용 철도의 경의선 용산 ~ 신의주 개통.
  • 1906년 7월 1일 - 통감부 철도 관리국 설립; 경부선 국유화.
  • 1906년 9월 1일 - 임시 군용 철도가 철도 관리국으로 이관되어 경부선과 통합, '''국유 철도 관리국'''(統監府鐵道管理局|통감부 철도관리국일본어)으로 개편.
  • 1909년 12월 16일 - 국유 철도 관리국이 '''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鐵道員韓國鐵道管理局|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일본어)으로 개칭.
  • 1910년 8월 29일 - 한국이 일본에 병합, 조선총독부 설치.
  • 1910년 10월 1일 - 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이 '''조선총독부 철도국'''(朝鮮總督府鐵道局|조선총독부 철도국일본어) (이하 '''선철''')이 되고, 운영 부서는 영어로 "Chosen Government Railway"라고 불림.
  • 1911년 11월 1일 - 압록강 철교 완공, 남만주철도(南満州鉄道|남만주철도일본어)와의 연결 확립.
  • 1917년 7월 31일 - 선철과 한국 내 사철의 관리가 남만주철도로 이관, 철도국은 '''만철 경성 관리국'''(満鐵京城管理局|만철 경성 관리국일본어)이 됨.
  • 1925년 4월 1일 - 한국 내 철도의 관리 및 운영이 철도국으로 반환, 선철 다시 독립.
  • 1934년 10월 1일 - 청진 이북의 선철 노선 관리가 남만주철도로 이관.
  • 1943년 3월 12일 - 철도국 폐지, 조선총독부 철도가 교통부로 이관.
  • 1945년 8월 15일 - 선철 폐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한국의 모든 철도는 국유화되었으며, 대한민국의 노선은 한국철도공사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편입되었다.

4. 2. 협궤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조선총독부 철도의 협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주요 열차

조선총독부 철도에는 여러 우등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대표적인 열차에는 애칭이 부여되었다. 모든 열차는 내지를 발착하는 항로와 연결되어 내지와 조선, 만주, 중국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 아카츠키(あかつき일본어)


부산부두 - 경성 (경부선) 구간을 운행한 조선총독부 철도의 유일한 특별급행열차였다. 1936년 12월에 운행을 시작했으며, 중간 정차역은 대구, 대전 2개 역뿐이었다. 부산부두 - 경성 간을 상·하행 모두 6시간 45분으로 연결했다(1937년 10월 기준).[8] "아카츠키" 전용 경량 객차가 투입되었으며, 밀폐식 전망대를 갖춘 1등전망차, 2등차, 3등차, 냉방이 갖춰진 식당차, 수하물우편차가 연결되었다. 주간 열차였기 때문에 객차는 모두 좌석차였다. 부산부두역에서는 관부연락선의 야간편과 연결되었다. 도쿄 - 시모노세키 간 급행 7열차를 이용하고, 관부연락선의 야간편을 거쳐 "아카츠키"로 갈아타는 경로는 도쿄에서 경성까지의 최속 경로였다. 전황 악화에 따라 "아카츠키"는 1943년 11월에 폐지되었고, "아카츠키" 전용 객차는 부산 - 경성 간에 신설된 급행 열차에 전용되었다.

  • 히카리(ひかり일본어)


부산잔교 - 봉천·신징·싼커수 (경부선·경의선·만철안봉선·만철롄징선·만주국철징하선·만주국철 하빈선) 구간을 운행했다. 1911년 11월, 압록강을 건너는 철도교가 완성됨과 동시에 조선과 만주를 직통 운전하는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1933년 4월에는 부산잔교 - 봉천 간을 직통하는 급행 열차가 "히카리"로 명명되었다. 1934년 11월에는 신징역(현·창춘역), 1942년 8월에는 하얼빈의 앞, 싼커수역(현·하얼빈동역)까지 운행 구간이 연장되었다. 객차는 조선총독부 철도 소속의 차량이 사용되었으며, 개방식 전망대를 갖춘 전망1등 침대차가 연결되었다. 부산잔교 - 신징 간을 27시간 20분으로 묶어(부산잔교 발 신징행, 1940년 10월 시점),[8] 부산잔교에서 관부연락선의 주간편에 접속했다. 전황의 악화와 화물 수송량의 증가로 여객 열차가 삭감되어 가는 가운데, "히카리"는 종전 직전까지 운행이 계속되었다.

  • 노조미(のぞみ일본어)


부산잔교 - 봉천·신경(경부선·경의선·만철 안봉선·만철 연경선) 구간을 운행했다. 1934년 11월, 부산 - 봉천 간 운행을 시작했다. 1938년 10월에는 신경까지 연장되었다. 특급 열차인 "히카리"의 자매 열차로, "히카리"와 주야가 반대인 운행 시각으로 운행되었다. 부산잔교에서는 관부연락선의 야간 편에 연결되었다. "히카리"와 마찬가지로 개방형 전망대를 갖춘 전망 1등 침대차가 연결되었다. 전황 악화에 따라 관부 연락선 야간 편 운항이 중단되면서, 1944년 2월에 폐지되었다.

  • 대륙(大陸)


부산잔교 - 베이징(경부선·경의선·만철 안봉선·만주국철 봉산선·화북교통경산선) 구간을 운행했다. 일본(조선)·만주국(만주)·중국의 3개국을 직통으로 운행하는 열차로, 화북교통에 소속된 객차가 사용되었다. 관부연락선에 연결되어 내지와 화북을 잇는 역할을 담당했다.

  • 흥아(興亞)


부산잔교 - 베이징(경부선·경의선·만철 안봉선·만주국철 봉산선·화북교통경산선) 구간을 운행했다. 일본(조선)·만주국(만주)·중국의 3개국을 직통으로 운행하는 열차로, 화북교통에 소속된 객차가 사용되었다. 관부연락선에 연결되어 내지와 화북을 잇는 역할을 담당했다.

주요 열차 시각표 (1940년 10월 10일 개정)[8]
"아카츠키"
경성행
"대륙"
베이징행
"노조미"
신징행
"히카리"
신징행
"흥아"
베이징행
발착역명발착"흥아"
부산부두행
"히카리"
부산부두행
"노조미"
부산부두행
"대륙"
부산부두행
"아카츠키"
부산부두행
06:5007:2008:0018:5019:20부산부두10:3511:2022:1522:3523:05
14:0515:3816:3002:4703:30경성02:3503:2013:4514:2315:50
15:4816:4002:5403:3702:2803:1313:3514:15
20:3021:2807:2708:26평양21:5522:4208:4709:29
20:3521:3307:3208:3421:5022:3708:4209:24
01:1002:0511:4512:45안둥17:3018:2004:2005:09
01:4002:3512:1513:1517:0017:5003:5004:35
07:3709:0817:3719:22펑톈10:5212:1121:4823:11
13:5022:12신징07:4017:10
22:5012:50베이징17:3007:50


6. 민영 철도 (1940년 기준)

1940년 당시 일제강점기 조선에는 다음과 같은 민영 철도 사업자가 존재했다.

조선철도조선경남철도금강산전기철도신흥철도
조선평안철도서선중앙철도경춘철도단풍철도
조선석탄공업철도평북철도다사도철도북선척식철도
삼척철도부산임항철도남만주철도동만주철도


7. 차량

조선총독부 철도의 증기 기관차 파시코 13호 및 파시사 7호


조선총독부 철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증기 기관차와 객차, 화차를 운영했다. 1930년대부터 차량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태평양 전쟁 종전 시점에는 1,302량의 기관차를 보유하고 있었다.[3]

자세한 내용은 ===분류 체계===, ===주요 차량=== 하위 섹션을 참조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 철도에서 운행했던 주요 열차는 다음과 같다.

  • '''아카츠키''' (부산부두 - 경성): 1936년 12월 운행 시작. 대구, 대전 2개 역만 정차, 부산-경성 간 6시간 45분 소요. 1등 전망차, 2등차, 3등차, 식당차, 수하물/우편차로 구성된 전용 경량 객차 투입. 1943년 11월 운행 중단.
  • '''히카리''' (부산잔교 - 봉천, 신징, 싼커수): 1911년 11월 운행 시작. 1933년 4월 부산-봉천 간 급행열차에 '히카리'라는 이름이 붙여짐. 1934년 11월 신징, 1942년 8월 싼커수까지 운행 구간 연장. 개방식 전망 1등 침대차 연결. 부산-신징 간 27시간 20분 소요.
  • '''노조미''' (부산잔교 - 봉천, 신징): 1934년 11월 부산-봉천 간 운행 시작. 1938년 10월 신징까지 운행 구간 연장. '히카리'와 주야 반대 시각으로 운행. 개방형 전망 1등 침대차 연결. 1944년 2월 운행 중단.


현재 의왕 철도박물관에 전시된 밀폐식 전망차가 '아카츠키' 1등 전망차 '라텐이 1'이라는 설이 있으나, 설계도와 치수가 일치하지 않아 확실하지 않다. '히카리'에 연결되었던 전망 1등 침대차 '텐이네3' 중 1량은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 객차가 되어 철도박물관에 보존 및 전시되어 있다.

7. 1. 분류 체계



국유철도는 1906년 9월 1일 임시군용철도와 경부선을 병합하고, 경인철도를 흡수하면서 설립되었다. 병합 당시 한반도 기관차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다.[3]

종류차륜 배열경부선임시군용철도합계
모가2-6-0T4-4
푸러2-6-2T185270
소리2-8-06-6
테호4-6-012-12
4륜0-4-0022
합계405494



1910년 국유철도가 조선총독부 철도(Sentetsu)가 되었을 때 기관차는 21량이 증가했다. 1917년 남만주철도(만철)가 한반도 철도 관리를 인수할 당시, 조선총독부 철도 동력차량은 115량에서 175량으로 증가했다. 만철의 관리는 10년이 채 되지 않았고, 1925년 조선총독부 철도가 다시 독립했을 때 기관차는 247량이었다. 1930년대에 조선총독부 철도 차량의 수는 급증했다. 1930년 302량에서 1940년에는 740량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1944년에는 1,000량에 달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조선총독부 철도가 폐지되었을 때, 보유 기관차는 1,302량이었다.[3]

연도증기
기관차
(표준궤/협궤)
전기
기관차
(표준궤)
객차
(표준궤/협궤)
화차
(표준궤/협궤)
동력
차량
(표준궤/협궤)
비고
190694155593국유철도
19091091591,036한국철도
19101151591,186조선총독부 철도
19141653351,602
19181914202,047남만주철도 경성지부
19232435362,6564
19252475912,7663조선총독부 철도
1930302/31733/753,313/31910/13
1935393*8974,42634/13
1940740*1,53410,06840/13
1941802*1,74611,24440/13
1942840*1,85212,03047?/13
1943970*51,88713,05747?/13
19441,236*91,44715,15647?/13
19451,302*92,02715,35247?/13
* = 이 숫자는 표준궤 및 협궤 기관차, 남만주철도 및 만주국 철도에서 대여한 기관차를 모두 포함한다.


7. 2. 주요 차량

모가, 푸러, 소리, 테호, 4륜 등 다양한 종류의 증기 기관차가 사용되었다.[3] 1906년 국유철도 설립 당시에는 94량의 기관차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1910년 조선총독부 철도가 되었을 때는 115량으로 증가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조선총독부 철도가 폐지되었을 때는 1,302량의 기관차를 보유하게 되었다.[3]

1906년 당시 한반도 기관차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다.[3]

종류차륜 배열경부선임시군용철도합계
모가2-6-0T4-4
푸러2-6-2T185270
소리2-8-06-6
테호4-6-012-12
4륜0-4-0022
합계405494



조선총독부 철도 시대별 차량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도증기 기관차
(표준궤/협궤)
전기 기관차
(표준궤)
객차
(표준궤/협궤)
화차
(표준궤/협궤)
동력 차량
(표준궤/협궤)
비고
190694155593국유철도
19091091591,036한국철도
19101151591,186조선총독부 철도
19141653351,602
19181914202,047남만주철도 경성지부
19232435362,6564
19252475912,7663조선총독부 철도
1930302/31733/753,313/31910/13
1935393*8974,42634/13
1940740*1,53410,06840/13
1941802*1,74611,24440/13
1942840*1,85212,03047?/13
1943970*51,88713,05747?/13
19441,236*91,44715,15647?/13
19451,302*92,02715,35247?/13
* = 이 숫자는 표준궤 및 협궤 기관차, 남만주철도 및 만주국 철도에서 대여한 기관차를 모두 포함한다.



8. 공적 정체성

조선총독부 철도는 39년의 존속 기간 동안 여러 차례 공적 정체성이 변경되었다. 설립 초기 4년 동안인 1905년부터 1910년까지 한국의 급격한 정치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세 차례나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8년 동안 한국 철도는 남만주철도에 의해 관리되었는데, 남만주철도는 그 자체로 이 지역에서 거의 국가 수준의 행위자였다. 마침내 마지막 20년 동안 독립을 되찾았다.

기간일본어한국어
1906–1909통감부철도 (Tōkanfu Tetsudō)국철 (통감부 철도, Tonggambu Cheoldo)
1909–1910한국철도 (Kankoku Tetsudō)한국철도 (Hanguk Cheoldo)
1910–1917조선총독부 철도 (Chōsen Sōtokufu Tetsudō)조선총독부 철도 (Joseon Chongdokbu Cheoldo)
1917–1925남만주철도 (Minami-Manshū Tetsudō)남만주철도 (Nammanju Cheoldo)
1925–1945조선총독부 철도 (Chōsen Sōtokufu Tetsudō)조선총독부 철도 (Joseon Chongdokbu Cheoldo)


참조

[1] 웹사이트 철도주요연표 - 한국철도협회 Chronology of Major Railways - Korean Railway Association http://www.korass.or[...]
[2] 웹사이트 Korea - List of Joseon Tournament Winners https://www.rsssf.or[...]
[3]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Korea Rolling Stock Technical Corp. 1999
[4] 서적 将軍様の鉄道 Shinchosha, Tokyo 2007
[5] 웹사이트 『デロイを探せ!(その19) デロイ戦後の遍歴4(戦後の形式名考察)』 http://ameblo.jp/gon[...]
[6] 문서 日清戦史 第1巻 https://dl.ndl.go.jp[...] 1895
[7] 서적 韓国経営 https://books.google[...] 1905
[8] 간행물 시간표 昭和15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 (公益財団法人)|ジャパン・ツーリスト・ビューロー
[9] 문서 〈조일잠정합동조관(朝日暫定合同條款)〉 http://kyujanggak.sn[...]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조선)
[10] 문서 〈잠정합동조관(暫定合同條欵)〉 http://kindai.ndl.go[...] 외무성 조약국(일본) 1936
[11] 웹사이트 철도주요연표 - 한국철도협회 http://www.koras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