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는 한국의 성씨로, 여러 한자를 사용하며 각기 다른 기원을 갖는다.


  • 지(池)씨: 중국 서하에서 기원했으며, 충주를 본관으로 하는 충주 지씨가 대표적이다. 시조는 고려 광종 때 귀화한 지경이며,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10명, 무과 급제자 86명을 배출했다.
  • 지(智)씨: 봉산을 본관으로 하며, 시조는 고려 현종 때 거란을 격퇴한 지채문이다.
  • 지(遲)씨: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18명으로, 선비족 울지씨에서 유래했다.


또한, "지"는 이름으로도 널리 사용되며,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걸쳐 인기 있는 음절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지 (성씨)
지(池)
로마자 표기Ji
주요 본관충주(忠州)
경주(慶州)
해주(海州)
강릉(江陵)
홍주(洪州)
나주(羅州)
지(智)
로마자 표기Ji
지(遲)
로마자 표기Ji
지(只)
로마자 표기Ji
지(支)
로마자 표기Ji
지(枝)
로마자 표기Ji
지(止)
로마자 표기Ji
지(之)
로마자 표기Ji
지(知)
로마자 표기Ji
지(地)
로마자 표기Ji
지(指)
로마자 표기Ji
지(志)
로마자 표기Ji
지(至)
로마자 표기Ji
지(紙)
로마자 표기Ji
지(持)
로마자 표기Ji
지(誌)
로마자 표기Ji
지(遲)
로마자 표기Ji

2. 지(池)씨

'''지'''(池)씨는 중국 서하에서 나서 거주지의 이름으로 성(姓)을 삼았다. 지자화(池子華)는 진(秦)나라 승상(丞相)이었고, 지몽리(池夢鯉)는 송(宋)나라 함순(咸淳)년간에 과거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였으며, 지원(池瑗)은 한(漢)나라 중모령(中牟令), 지광정(池光庭)은 송(宋)나라 진사(進士)였는데, 모두 장계(長溪) 사람이다.

'''지'''(池)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53,491명으로 조사되어 성씨 인구 49위이다. 본관은 '''충주'''(忠州)가 대종이다.

2. 1. 충주 지씨

'''충주 지씨'''(忠州池氏)는 지(池)씨의 대종을 이루는 본관이다. 시조 '''지경'''(池鏡)은 송나라에서 고려 광종 때 귀화한 인물이다.[10] 지경은 고려 조정에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태보평장사(太保平章事)를 지냈다.

6세 지종해(池宗海)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충원백(忠原伯)에 봉해지면서 충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10세 지자심(池資深)은 고려 신종 때 경상도 안찰사를 지냈다.[9]

15세 지윤(池奫)은 공민왕 때 판숭경부사(判崇敬府事)를 지내고, 우왕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판판도사사(判版圖司事)가 되어 재상에 올랐다.[10] 지윤의 딸은 조선 태조의 장남 진안대군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충주 지씨이고, 성빈 지씨숙의 지씨정종의 후궁으로서 덕천군, 도평군, 의평군, 선성군, 임성군의 어머니다.

16세 지용수(池龍壽)는 1365년(공민왕 14년) 상원수(上元帥)를 거쳐 1366년 첨의평리(僉議評理)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역임하였으며, 서북면상원수 겸 평양윤(平壤尹)이 되었다.[11]

17세 지용기(池湧奇)는 공민왕 때 삼사우윤을 지내고, 우왕 때 예의판서를 거쳐 문하평리(門下評理)로서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1389년(공양왕 1)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올랐다.[12]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지용기(池湧奇)의 아들 지유용(池有容)은 조선 세종 때 판의주목사(判義州牧使)를 역임하였다. 지용기(池湧奇)의 6대손 지달하(池達河)는 성종 때 정3품 판교(判校)에 이르렀다.

지용기(池龍奇)의 현손 지정(池淨)은 단종 때 정분의 생질로서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제수되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 일파에 의해 교살되고,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충주 지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명, 무과 급제자 86명, 생원·진사 36명을 배출하였다. 성종 때 현감(縣監) 지준(池浚)이 영의정 윤필상의 사위가 되었고, 그의 현손인 지여해(池汝海)는 병조참판, 지덕해(池德海)는 도승지로 추증되었다. 지성해(池成海)는 강령현감(康翎縣監)을 역임하였다. 지용기(池湧奇)의 10세손인 지계최(池繼崔)는 인조 때 이괄의 난을 진압하여 진무공신에 책록됐다. 지천석(池天錫)은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고, 31세 지석영(池錫永)은 고종 때 형조참의(刑曹參議)를 지냈다. 지용기(池湧奇)의 15대손 지청천(池靑天)은 한국광복군 총사령관을 역임하였다. 2015년 인구는 148,144명이다.

2. 1. 1. 주요 인물

지경(池鏡): 충주 지씨 시조. 고려 광종 때 송나라에서 귀화했다.

지종해(池宗海): 고려 문하시랑평장사.

지윤(池奫): 고려 공민왕 때 판숭경부사, 우왕 때 문하찬성사를 지냈다.

지용수(池龍壽): 고려 공민왕 때 첨의평리 지문하성사, 서북면상원수 겸 평양윤을 역임. 고려의 충신이다.

지용기(池湧奇): 고려 공민왕 때 삼사우윤, 우왕 때 예의판서, 문하평리, 문하찬성사를 지냈다.

지유용(池有容): 조선 세종 때 판의주목사를 지냈다.

지달하(池達河): 조선 성종 때 판교.

지정(池淨): 조선 단종 때 충청도병마절도사를 지냈으나, 계유정난 때 희생되었다.

지준(池浚): 조선 성종 때 현감을 지냈으며, 윤필상의 사위이다.

지여해(池汝海): 병조참판 (증직).

지덕해(池德海): 도승지 (증직).

지성해(池成海): 강령현감.

지계최(池繼崔): 인조 때 이괄의 난 진압 공신.

지천석(池天錫): 이조참판 (증직).

지석영(池錫永): 고종 때 형조참의를 지냈으며, 한글 점자를 개발한 선구자이다.

지청천(池靑天): 한국광복군 총사령관으로,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지동원(池東沅):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

지소연(池소연):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

지창욱(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

지은희(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지은성(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지하윤(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지한재(1936년 출생), 대한민국의 합기도 그랜드마스터

지혜원(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지현우(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음악가

지진희(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지경덕(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지상렬(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지성호(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지승현(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지윤호(본명 윤병호,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지영준(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

지인진(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프로 복서

지만원(194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언론인

지석진(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연예인

지용주(1948년–1985년),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복서

지연우(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보디빌더

2. 2. 광주 지씨

'''광주 지씨'''(光州池氏) 시조 '''지훤'''(池萱)은 후백제견훤의 사위로서 무주(武州)의 성주(城主)였다.[13] 중시조 지윤보(池允輔)는 대장군으로서 왕을 호종하여 1282년(충렬왕 8년) 2등공신이 되고,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로 치사하였다.[14] 2015년 인구는 광주 지씨 45명, 광산 지씨 27명이다.

3. 지(智)씨

'슬기 지'(智)자를 쓰는 지(智)씨는 봉산(鳳山) 단본이다. 봉주 지씨(鳳州智氏) 시조 '''지채문'''(智蔡文)은 1010년(고려 현종 1년) 중랑장(中郎將)으로서 거란을 격퇴하고, 1026년(현종 17년) 상장군 우복야(右僕射)에 올랐으며, 1031년(덕종 즉위년) 1등공신으로 추록되었다.[15] 지채문의 증손 지녹연(智祿延)은 고려 인종 때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를 역임하였다. 조선조에서는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지득남(智得男)이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제수되었다. 봉주가 봉산으로 지명이 바뀌어 봉산 지씨(鳳山 智氏)라고도 한다.[15]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6,070명으로 조사되었다.

3. 1. 봉산 지씨

3. 1. 1. 주요 인물


  • 지채문(智蔡文): 봉산 지씨 시조. 고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격퇴한 공신이다.
  • 지맹(智猛): 지채문의 아들. 고려 상서좌복야, 사공을 역임했다.
  • 지녹연(智祿延): 지채문의 증손. 고려 인종 때 동지추밀원사를 역임했다.
  • 지득남(智得男): 조선 정묘호란 때 의병장, 첨절제사를 지냈다.
  • 지청천(1888–1959):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 총사령관을 지냈다.
  • 지만원(194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언론인. 극우 논객으로 알려져 있다.
  • 지석진(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연예인.
  • 지상렬(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진희(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상준(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수영 선수.
  • 지인진(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프로 복서.
  • 지성환(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필드 하키 선수.
  • 지경순(1975년 출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 유도 선수.
  • 지윤남(1976년 출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 프로 축구 선수.
  • 지승현(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 지영준(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
  • 지승현(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성호(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 지현우(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음악가.
  • 지연우(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보디빌더.
  • 지은희(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 지창욱(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
  • 지경덕(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지은성(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동원(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
  • 지소연(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
  • 지윤호(본명 윤병호,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하윤(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 지혜원(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서연(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 지다빈(2006년 출생): 인도네시아의 축구 선수.
  • 지한재(1936년 출생): 대한민국의 합기도 그랜드마스터.

4. 지(遲)씨

'''지(遲)'''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18명으로 조사되었다.

위서 관씨지』에 따르면 선비족 울지씨(尉遲氏)의 일부가 효문제 때 지(遲)씨로 변성되었다. 당나라의 울지경덕(蔚遲敬德)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삼국사기』에는 백제 부흥운동을 전개한 지수신(遲受信)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가 저술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 따르면 태원 지씨(太原遲氏)의 선계(先系)는 중국 산둥성(山東省) 제남(濟南)에서 동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4. 1. 태원 지씨

4. 1. 1. 주요 인물


  • 지창욱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
  • 지청천 (1888–1959), 한국의 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을 이끈 영웅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다.
  • 지다빈 (2006년 출생), 인도네시아의 축구 선수
  • 지동원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
  • 지은희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 지은성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하윤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 지한재 (1936년 출생), 대한민국의 합기도 그랜드마스터
  • 지혜원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현우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음악가
  • 지진희 (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경덕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지경순 (1975년 출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 유도 선수
  • 지상준 (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수영 선수
  • 지상렬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서연 (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 지성호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탈북자 출신으로, 북한 인권 운동에 헌신하고 있다.
  • 지성환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필드 하키 선수
  • 지승현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 지승현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소연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
  • 지윤호 (본명 윤병호,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지영준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
  • 지윤남 (1976년 출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 프로 축구 선수
  • 알렉산더 치 ( 2000년대), 미국의 작가
  • 이언 치 (1991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영화 제작자
  • 지인진 (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프로 복서
  • 지만원 (194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언론인. 5.18 민주화운동을 북한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며 왜곡하는 대표적인 극우 인사이다.
  • 지석진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연예인
  • 지용주 (1948년–1985년),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복서
  • 지연우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보디빌더

5. 이름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인명 한자 목록에는 "지"로 읽히는 한자가 46개 있으며, 이름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5] "지" 음절을 포함하는 많은 이름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걸쳐 인기가 있었다.[6][7][8]

과거에 인기 있었던 "지" 음절이 포함된 남자 이름으로는 지훈이 있으며, 1970년 4위, 1980년과 1990년에 1위를 차지하였고, 2008년 2위, 2009년 3위, 2011년 8위를 기록하였다. 지후는 2009년 2위, 2011년 7위를 기록하였다. 여자 이름으로는 지은이 1980년 4위, 1990년 2위를 차지했고, 지혜는 1980년과 1990년 1위, 지민은 2008년 3위, 2009년과 2011년 6위를 기록하였다. 그 외에도 은지(1990년 3위), 민지(1990년 4위), 지현(1990년 10위), 지우(2008년 8위, 2009년 4위, 2011년 5위), 지연(1980년 7위), 지윤(2011년 9위), 지영(1970년 1위, 1980년 3위, 1990년 10위) 등이 있었다.

"지" 음절이 포함된 다른 이름으로는 첫 번째 음절에 오는 지애, 지해, 지호, 지환, 지혜, 지나, 지석, 지수, 지태, 지원, 지웅 등이 있고, 두 번째 음절에 오는 수지, 예지 등이 있다.

"지"라는 한 음절 이름의 사람으로는 신지(1981년 출생, 본명: 이지선)가 있으며, 대한민국의 가수 및 작사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성씨일람 http://gojun.knu.a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3-12-11
[2] 웹사이트 성씨인구분포데이터 http://sgis.nso.go.k[...]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3-05-28
[3] 서적 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http://korean.go.kr/[...]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9-06-25
[4] 웹사이트 Таблица корейских поев Ти, Тигай, Тхай, Тхя, Тян, У, Угай, Хан http://koreamuseum.r[...]
[5] 웹사이트 인명용 한자표 http://help.scourt.g[...] Supreme Court 2013-10-17
[6] 웹사이트 한국인이 가장 줗아하는 이름은 무엇일까? http://www.babyname.[...] babyname.co.kr 2012-11-09
[7] 뉴스 너도 민준이니… 어! 또 서연이야 http://news.hankooki[...] 2009-01-28
[8] 뉴스 남자 → '민준' 여자 → '서연' 가장 많아 http://www.lawtimes.[...] 2010-01-20
[9] 문서 고려사 卷一百 列傳 卷第十三 http://db.history.go[...]
[10] 문서 『고려사』 권125, 열전38 https://terms.naver.[...]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지용수
[12] 문서 『고려사』 권114, 열전27 https://terms.naver.[...]
[13] 문서 《고려사》 권57, 지제11, 지리(地理)2 http://db.history.go[...]
[14] 문서 《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4 http://db.history.go[...]
[15] 문서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