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다 스테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다 스테미는 일본 제국의 외교관으로, 1857년 히로사키에서 태어나 드퍼 대학교에서 유학했다. 그는 외무성에서 영국, 조선, 청나라, 네덜란드 등지에서 영사, 총영사 등을 역임했으며, 샌프란시스코 주재 영사로 일본인 이민 문제에 대한 경고를 본국에 전달했다. 1901년 외무총무장관, 1903년 외무차관을 지냈으며, 러일 전쟁 강화 교섭에 참여하여 남작 작위를 받았다. 그는 미일신사협약에 관여하고 캘리포니아주 외국인 토지법 제정에 반대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연합국 참전을 결정하는 데 기여했다. 1920년 파리 강화 회의에 전권대사로 참여하여 백작 작위를 받았으며, 이후 궁내성 관료로 활동하다 1929년 뇌출혈로 사망했다.
히로사키번(지금의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출신 무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도오기주쿠와 혼다 요이쓰에게서 공부했으며, 졸업 후 도오기주쿠에서 일했다. 1877년 미국으로 건너가 드퍼 대학교에서 4년간 공부한 뒤 귀국했다.
도오기주쿠 재학 시절 감리교 목사로 일했다.[46] 1886년에는 감리교 히로사키 교회(현재의 일본 기독교단 히로사키 교회 교회당)의 부목사가 되었다.[12] 도오기주쿠에서 채플린 (목사)을 역임하기도 했다.
2. 생애
1886년 감리교 히로사키 교회 부목사가 되었다.[46] 1882년 히로사키번 가로(家老)의 딸과 결혼, 처형의 도움으로 외무성에 들어갔다. 영국, 조선, 청나라, 네덜란드 영사관의 서기관, 영사, 총영사 등을 지냈다. 1890년 샌프란시스코 주미 일본 제국 영사가 된 진다는 일본인들이 도박장과 유곽에 얽혀 사회 문제를 일으켜 미국인들의 반일 감정을 자극할 위험을 지적, 본국에 "미국으로 일본인들을 이민보내지 말 것"을 청원했다.[47]
1901년 11월 27일 외무총무장관, 1903년 12월 5일부터 1906년 6월 6일까지 외무차관을 지냈다. 러일 전쟁 강화 교섭에서 가쓰라 다로를 따라가 고무라 주타로를 도왔고, 1907년 9월 21일 남작, 이후 자작이 되었다.
1907년 미일신사협약에 관여, 1913년 캘리포니아주 외국인 토지법 제정 논의 때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법안 통과 저지를 부탁했다. 미국 현지에 일인회를 조직해 한목소리를 내도록 연결했다. 브라질, 네덜란드, 러시아 공사, 독일 대사, 1911년부터 주미전권공사를 지냈다. 1912년 3월 도쿄 시에서 벚나무 묘목을 기증받아 부인과 윌리엄 태프트 영부인이 포토맥 강에서 묘목 심는 행사를 열었다.[48]
제1차 세계 대전 때 일본 제국이 연합국으로 참전하는 데 관여, 1920년 파리 강화 회의 전권대사로 참여했다. 9월 7일 백작이 되었고, 10월 22일 외무성에서 물러나 추밀고문관이 되었다. 1921년 황태자 히로히토의 유럽 방문 때 마키노 노부아키 천거로 수행했다.
귀국 후 동궁대부 등을 맡아 히로히토 제왕 수업에 참여했다. 1926년 히로히토 즉위 후 황후궁 대부, 1927년 시종장이 되었다. 1929년 1월 16일 뇌출혈로 73세에 사망했다.
도오기주쿠에서 감리교 목사로 일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57년 1월 19일, 히로사키번(지금의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의 하급 무사 진다 아리토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2] 번교인 게이코칸을 거쳐 도오기주쿠에서 배우고 혼다 요이치의 가르침을 받아 졸업했다. 1874년 도오기주쿠의 직원이 되었다. 1877년 미국으로 건너가 인디애나주의 드퍼 대학교에서 4년간 공부하고, 1881년 문학사 학위를, 1884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 1886년 감리교 히로사키 교회(현재의 일본 기독교단 히로사키 교회 교회당)의 부목사가 되었다.[46] 1882년 히로사키번 가로였던 야마나카 이츠로의 딸 이와와 결혼했다.[13]
2. 2. 외교 경력
1885년 오쿠마 시게노부의 추천으로 외무성에 들어가 영국, 대한제국, 청나라, 네덜란드에서 서기관, 영사, 총영사를 역임했다.[46] 189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재 일본 영사로 부임하여, 일본인 이민 제한을 본국에 건의했다.[47]
1901년 11월 27일 외무총무장관이 되었으며, 1903년 12월 5일부터 1906년 6월 6일까지 초대 외무차관을 역임했다. 러일 전쟁 이후 강화 교섭에서 가쓰라 다로를 따라가 고무라 주타로를 도왔다. 그 공으로 1907년 9월 21일 남작 작위를 받았다.
1907년 미일신사협약 체결에 관여했으며, 1913년 캘리포니아주 외국인 토지법 제정 논의 당시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법안 통과 저지를 요청했다.[48] 브라질 공사, 네덜란드, 러시아 공사, 독일 대사 등을 역임했다.
1911년부터 주미 특명 전권 대사로 임명되었으며, 1912년 자작으로 승작했다. 1912년 3월 도쿄시로부터 벚나무 묘목을 기증받아 부인과 함께 포토맥 강변에 심는 행사를 열었다.[48]
1916년부터 1920년까지 영국 주재 일본 대사로 재직했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일본 대표단의 전권 대사로 참여했다.[4]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파리 강화 회의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이 연합국으로 참전하는 데 깊이 관여했다.[4]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는 일본 측 전권대사 중 한 명으로 참석하여 베르사유 조약에 서명하고 인종 평등을 옹호했다.[11] 그 공으로 1919년 9월 7일 백작 작위를 받았다.[4] 같은 해 1월, 하임 와이츠만에게 일본 정부가 시온주의 열망을 지지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10]
2. 4. 궁내성 관료 및 사망
1920년 10월 22일 외무성에서 물러나 추밀고문관이 되었다.[46] 1921년 황태자 히로히토가 유럽을 방문할 때 궁내대신 마키노 노부아키의 천거로 수행했다.[46]
귀국 후 동궁대부 등을 맡아 히로히토의 제왕 수업에 참여했다. 1926년 히로히토가 천황으로 즉위하자, 황후궁 대부로서 고준 황후를 모셨으며, 1927년 시종장이 되었다. 1929년 1월 16일 뇌출혈로 73세로 사망했다.[46]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에 있다.
3. 종교 활동
4. 가족 관계
5. 영전
진다 스테미는 일본과 외국으로부터 받은 다양한 훈장, 상, 기념장이 있다.
수여 날짜 | 내용 |
---|---|
1895년 10월 31일 | 훈5등 서보장[15][19] |
1898년 6월 28일 | 훈4등 서보장[15][21] |
1902년 3월 5일 | 훈3등 욱일중수장[15][23] |
1904년 11월 23일 | 대한제국: 훈1등 태극대수장[15] |
1906년 4월 1일 |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26] |
1912년 8월 1일 | 한국 병합 기념장[15] |
1915년 11월 10일 | 대례 기념장(다이쇼)[15] |
1920년 9월 7일 | 다이쇼 3년 내지 9년 전역 종군기장[15] |
1921년 10월 5일 | 금배 1조[15] |
1922년 9월 25일 | 금배 1조[15] |
1925년 1월 14일 | 어문 부착 은배[15][34] |
1928년 12월 29일 | 금배 1조[15] |
1929년 1월 16일 | 제도 부흥 기념장[15] |
1904년 12월 27일 | 대청 제국: 두등 제3쌍룡보성[15] |
1910년 1월 14일 | 러시아 제국: 적십자 유공장[15][42] |
5. 1. 작위
진다는 1907년 9월 21일에 남작, 1911년 8월 24일에 자작,[15][30] 1920년 9월 7일에 백작 작위를 받았다.[32]5. 2. 일본 훈장
- 보관훈장 대수장 (1906년 4월 1일)[25]
- 욱일장 대수장 (1907년 9월 14일)[27]
- 욱일동화대수장 (1920년 9월 7일)[32]
5. 3. 외국 훈장
수여 국가 | 훈장 |
---|---|
하와이 왕국 | 크라운 오브 하와이 훈장 나이트 커맨더[15][37] |
네덜란드 | Order of Orange-Nassau|오라녜나사우 훈장영어 리프데르글로이트 크로이스[38] |
스웨덴 | Order of the Polar Star|북극성 훈장영어 1등 훈장[15] |
러시아 제국 | Order of Saint Stanislaus (House of Romanov)|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영어 1등 훈장[15][39] |
대한제국 | 훈1등 태극대수장[15] |
청나라 | 두등 제3쌍룡보성[15] |
교황청 | 피누스 2등 훈장[40] |
태국 | 왕관 1등 훈장[15][41]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토피시에[15] |
러시아 제국 | Order of the White Eagle (Russian Empire)|백수 훈장영어[15] |
프로이센 왕국 | Order of the Red Eagle|적수 대수장영어[15] |
영국 | 빅토리아 1등 훈장[15][43] |
영국 | 대영 제국 훈장 그랜드 크로스[15]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 크로와[15] |
벨기에 | 레오폴드 2세 훈장 그랑 크로와[15] |
네덜란드 | Order of the Netherlands Lion|레온 네란디 훈장영어 그랑 크로와[15] |
이탈리아 왕국 | 상모리스에라자르 훈장 그랑 크로와[15] |
교황청 | 피누스 훈장 그랑 크로와[15][44] |
5. 4. 관위
수여 날짜 | 관위 |
---|---|
1886년 11월 27일 | 종칠위[15][16] |
1891년 12월 21일 | 종육위[15][17] |
1895년 9월 20일 | 정육위[15][18] |
1897년 8월 20일 | 정5위[15][20] |
1901년 1월 31일 | 종4위[15][22] |
1906년 3월 20일 | 정4위[15][24] |
1909년 4월 30일 | 종3위[15][29] |
1914년 5월 11일 | 정3위[15][31] |
1921년 5월 30일 | 종2위[15][33] |
1928년 6월 1일 | 정2위[15][35] |
1929년 1월 16일 | 종1위[15][36] |
참조
[1]
웹사이트
"DePauw University: A Pictorial History"
https://web.archive.[...]
2010-02-18
[2]
뉴스
stated that Chinda had two (not one) sons, one of whom died during the explosion at sea of a Japanese warship during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and the other of whom committed suicide by hanging in the US shortly after completing work for an MA and before Chinda and his wife transferred from Washington to London.
The Washington Post
2010-03-25
[3]
뉴스
Building of first Japan legation to Brazil found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8-04-03
[4]
서적
Japan and the League of Nations
https://www.degruyt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5]
간행물
Woodrow Wilson's Colonial Emissary: Edward M. House and the Origins of the Mandate System, 1917-1919
https://digitalcommo[...]
2013
[6]
웹사이트
A Look At How Cherry Blossom Trees Became A Symbol Of Spring—And Friendship—In The Capital
https://www.forbes.c[...]
2023-04-01
[7]
서적
The Art of Peace
Horizon Productions
[8]
서적
The Art of Peace
Horizon Productions
[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Art of Peace: the illustrated biography of Prince Iyesato Tokugawa
https://theemperoran[...]
"2020"
[10]
문서
World Zionist Organization, Central Zionist Archives, Jerusalem, Copy Z4/2039.
[11]
간행물
Human Rights in History: Diplomacy and Racial Equality at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78-Summer
[12]
문서
中田重治伝
[13]
문서
人事興信録第4版
1915-01
[14]
웹사이트
日米桜寄贈100周年
https://www.mofa.go.[...]
外務省
[15]
문서
珍田捨巳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
간행물
叙任
1886-12-06
[17]
간행물
叙任及辞令
1891-12-22
[18]
간행물
叙任及辞令
1895-09-21
[19]
간행물
叙任及辞令
1895-11-01
[20]
간행물
叙任及辞令
1897-08-21
[21]
간행물
叙任及辞令
1898-06-30
[22]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1-02-01
[23]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2-03-06
[24]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6-03-22
[25]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7-01-28
[26]
간행물
辞令
1908-09-28
[27]
간행물
授爵・叙任及辞令
1907-09-16
[28]
간행물
授爵、敍任及辞令
1907-09-23
[29]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9-05-01
[30]
간행물
叙任及辞令
1911-08-25
[31]
간행물
叙任及辞令
1914-05-12
[32]
간행물
授爵、叙任及辞令
1920-09-08
[33]
간행물
叙任及辞令
1921-05-31
[34]
간행물
宮廷録事 - 恩賜
1925-01-15
[35]
간행물
叙任及辞令
1928-09-24
[36]
간행물
官報 第613号「叙任及辞令」
1929-01-17
[37]
간행물
官報 第2003号「叙任及辞令」
1890-03-07
[38]
간행물
官報 第5531号「叙任及辞令」
1901-12-09
[39]
간행물
官報 第5650号「叙任及辞令」
1902-05-08
[40]
간행물
官報 第6893号「叙任及辞令」
1906-06-22
[41]
간행물
官報 第7200号「叙任及辞令」
1907-07-01
[42]
간행물
官報 第7969号「叙任及辞令」
1910-01-19
[43]
간행물
官報 第1990号「叙任及辞令」
1919-03-25
[44]
간행물
『使徒座公報』: Commentarium Officiale, Annus XIII - Vol. XIII, 1921, pages. 403
http://www.vatican.v[...]
[45]
웹사이트
珍田氏(弘前藩士) - Reichsarchiv ~世界帝王事典~
https://reichsarchiv[...]
2022-12-24
[46]
서적
나카다 시게하루전
[47]
서적
2000
[48]
웹사이트
미일 벚나무 기증 100주년
http://www.mofa.go.j[...]
외무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