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4선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워싱턴 대학교에서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법조인으로 활동하다 정계에 입문, 한나라당과 새누리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지냈다. 박근혜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기초연금 문제로 사퇴 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여 제2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1대 총선을 앞두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 이상민 (법조인)
이상민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탄핵 소추 및 계엄령 선포 후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행정안전부 장관 - 원세훈 (1951년)
원세훈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특별시청에서 공직을 시작해 강남구청장,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을 지냈으나,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건설업자 금품 수수, 국정원 예산 횡령 혐의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022년 특별감형되었다. - 서울광희초등학교 동문 - 이명재 (축구 선수)
이명재는 대한민국의 레프트백 축구 선수로, 울산 현대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알비렉스 니가타 임대와 김천 상무 군 복무 후 복귀, K리그1 우승 2회 및 FA컵 우승 1회를 기록했으며 202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2023년 인종차별 논란으로 징계를 받았다. - 서울광희초등학교 동문 - 김동연
김동연은 1957년 충청북도 음성군 출생으로, 행정고시와 입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고 경기도지사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부 장관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부 장관 - 이태복
이태복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언론인, 정치인, 사회운동가로서, 민주화 이후 국민의 정부에서 청와대 복지노동수석비서관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주5일제 도입과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에 기여했고, 퇴임 후에는 사회운동과 독립운동가 및 민주화 운동가를 기리는 활동을 펼쳤다.
진영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이름 | 진영 |
출생일 | 1950년 10월 23일 |
출생지 | 담양군, 전라남도,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워싱턴 대학교 법과대학원 |
종교 | 개신교 (예장통합) |
직업 | 변호사 |
본관 | 여양 |
웹사이트 | www.chinyoung.kr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새누리당 (2016년까지) 더불어민주당 (2016년~현재) |
지역구 | 용산구 (서울특별시) |
임기 시작 | 2004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 2020년 5월 29일 |
선수 | 4선 |
전임 | 설송웅 |
후임 | 권영세 |
주요 직책 | |
임기 시작 | 2019년 4월 6일 |
임기 종료 | 2020년 12월 24일 |
대통령 | 문재인 |
국무총리 | 이낙연 정세균 |
전임 | 김부겸 |
후임 | 전해철 |
주요 직책 | |
임기 시작 | 2013년 3월 11일 |
임기 종료 | 2013년 9월 30일 |
대통령 | 박근혜 |
전임 | 임채민 |
후임 | 문형표 |
기타 경력 | |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 판사 |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 겸임교수 |
한나라당 | 기획위원장 |
한나라당 | 대표 비서실장 |
한나라당 | 전국위원회 수석부의장 |
한나라당 | 홍보기획본부장 |
미래사회연구포럼 | 공동대표 |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 간사 |
국회 남북평화통일특별위원회 | 간사 |
한나라당 새만금특별위원회 | 위원장 |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 위원장 |
한나라당 직능특별위원회 | 상임부위원장 |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 의장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 부위원장 |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 위원장 |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 |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
더불어민주당 |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 공동인재영입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 사회적경제위원장 |
2. 생애
진영은 여양 진씨 고창 교흥 문중으로,[17] 한국전쟁 중에 전라남도 담양군 외가에서 태어났다.[12]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 기자회견에서 출신지를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요청했다.[18] 초등학교 5학년 때 서울로 이주했다.[1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워싱턴대학교(워싱턴주) 법과대학원을 졸업했다.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 7기를 수료한 후, 대한민국 육군 법무관, 울산지방법원 남부지원 판사, 한미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 LG그룹 상임 법률고문, 페명합동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대한태권도협회 이사를 역임했다.[11] 1975년 서울대학교에서 법학 학사 학위를, 1984년 워싱턴대학교 로스쿨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1][2]
1975년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 7기를 수료했다. 1980년부터 1981년까지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판사로 근무했다. 1995년에는 경쟁력강화를 위한 변호사 모임 대표를 맡았다. 2001년에는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정계 입문 후에는 국회의원을 4선 역임했으며,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정책특별보좌역, 한나라당 용산지역 당위원장, 한나라당 총재특별보좌관·기획위원장·대표비서실장, 제17대 국회 전반기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선거대책본부장·전국위원회 부의장, 서울시장직무인수위원회 총무재정산업위원장, 제17대 국회 후반기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제18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행정안전위원회 위원, 제18대 국회 다문화포럼 대표, 국제의원연맹 아시아·태평양 지정학적 그룹 부회장, 한나라당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홍보기획본부 본부장·긴급대책위원회 위원, 박근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다.[11]
박근혜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었을 때부터 국민연금 보험료로 기초연금 재원을 충당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19] 그러나 "소득 하위 70%를 대상으로 매달 10만~20만원을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연계해 차등지급한다"는 정부의 기초연금안이 결정된 후, 개인적 소신과 다르다며 사의를 밝혔다. 진 장관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길수록 기초연금을 깎는 연동 방식에 반대했고, 차등을 하더라도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아닌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20] 이 일로 친박근혜계에서 반박근혜계로 돌아섰다.[13]
2016년 3월 20일, 20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21] 김종인의 권유로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으며,[14] 이에 대해 상대 후보였던 새누리당 황춘자 후보는 진영 후보를 향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탈당해 반대 당으로 간 사람이다. 20여년간 한솥밥을 먹은 당원과 국민은 충격을 받았다. 정치인은 최소한 도덕윤리에 바탕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진영 후보는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장관직을 걸고 대통령께 직언을 했던 소신 행보를 문제삼아 당이 나를 공천 배제했다. 정의롭지 못한 권력의 독선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항거”라고 맞받았다.[22] 선거 결과 진영 후보가 1위를 차지해 4선에 성공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을 1년 8개월간 역임했다.[13] 2019년 3월, 문재인 정부에서 김부겸 장관의 뒤를 잇는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로 내정되었고, 2019년 4월 4일에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었다. 2020년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며 의원직에서 은퇴했다.[13] 다만, 박영선, 김현미, 유은혜와의 총선 불출마 공동기자회견에는 선거관리 책임자였기 때문에 참석하지 못했고,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대신 참석했다.[15]
3. 정치 경력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용산구 당원협의회 위원장을 지냈고, 2003년부터 2004년까지 한나라당 기획위원장을 역임했다.
2004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용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2008년 4월 9일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와 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연이어 당선되며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는 새누리당 서울특별시당 용산구 당원협의회 위원장을 맡았다. 2012년 12월부터 2013년까지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2013년 3월부터 9월까지 제50대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박근혜 정부의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지급 계획에 반발하여 사퇴하고 친박근혜계에서 반박근혜계로 돌아섰다.[13]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서울 용산구에 출마하여 당선, 4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당시 새누리당 공천에서 배제된 후 김종인의 권유로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14]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용산구 지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다.
2019년 4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제2대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다. 동시에 자치분권위원회 부위원장 겸 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당연직위원, 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 자치제도분과위원회 위원,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당연직위원,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당연직위원을 겸임했다.
정계 입문 후에는 국회의원을 4선 역임했으며,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정책특별보좌역, 한나라당 용산지역 당위원장, 한나라당 총재특별보좌관·기획위원장·대표비서실장, 제17대 국회 전반기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선거대책본부장·전국위원회 부의장, 서울시장직무인수위원회 총무재정산업위원장, 제17대 국회 후반기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제18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행정안전위원회 위원, 제18대 국회 다문화포럼 대표, 국제의원연맹 아시아·태평양 지정학적 그룹 부회장, 한나라당 인재영입위원회 부위원장·홍보기획본부 본부장·긴급대책위원회 위원, 박근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다.[11] 2020년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며 의원직에서 은퇴했다.[13]
3. 1. 한나라당·새누리당 시절 (2004년 ~ 2016년)
진영은 2004년 제17대 대한민국 국회의원에 처음 당선되었다. 그는 한나라당 소속으로, 이후 새누리당으로 당명이 변경된 후에도 2008년과 2012년 두 차례 더 재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3. 2. 보건복지부 장관 시절 (2013년)
진영은 박근혜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다.[3] 이전에 박근혜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그는 당시 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여겨졌으며, 정부 복지 지출 확대를 주장했다.[3] 그는 취임 6개월 만에 정부가 고령 시민에게 추가 월 수당을 지급하겠다는 공약을 이행하지 않자 사퇴했다.[4][5] 이후 2014년 5월, 진영은 "조용히 떠나도록" 허락받지 못한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6]
3. 3. 더불어민주당 시절 (2016년 ~ 2020년)
2012년 5월 30일부터 2016년 5월 29일까지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용산구, 새누리당→무소속→더불어민주당)을 역임했다.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누리당 전국위원회 수석부의장, 제19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 제19대 국회 후반기 안전행정위원회 위원장, 제19대 국회 후반기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16년 3월, 4·13 총선(201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자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7][8] 더불어민주당 입당 기자회견에서 "특정인이 주도하는 당파주의가 아닌 진정한 당정치를 소중히 여겼다"며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권위주의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9] 이는 박근혜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되었다.[9] 이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16년 5월 30일부터 2020년 5월 29일까지 제20대 국회의원(서울 용산구, 더불어민주당)을 역임했다.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 한.슬로베니아 의원친선협회 회장,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공동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 위원장, 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제20대 국회 대법관(김선수·이동원·노정희)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결국 용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 황춘자를 누르고 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4선 고지에 올랐다.[10]
4. 학력
5. 경력
- 1975년: 제17회 사법시험 합격
- 1975년~1977년: 사법연수원 제7기 수료
- 1980년~1981년: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판사
- 1995년: 경쟁력강화를 위한 변호사 모임 대표
- 2000년~2012년: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용산구 당원협의회 위원장
- 2001년: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
- 2003년~2004년: 한나라당 기획위원장
- 2004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용산구, 한나라당, 초선)
- 2008년 4월 9일: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용산구, 한나라당, 재선)
- 2012년~2016년: 새누리당 서울특별시당 용산구 당원협의회 위원장
- 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용산구, 새누리당, 3선)
- 2012년 12월~2013년: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
- 2013년 3월~2013년 9월: 제50대 보건복지부 장관
- 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용산구, 더불어민주당, 4선)
- 2016년~2020년: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용산구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
- 2019년 4월~2020년 12월: 제2대 행정안전부 장관
- 2019년 4월~2020년 12월: 자치분권위원회 부위원장 겸 위원
- 2019년 4월~2020년 12월: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9년 4월~2020년 12월: 대통령직속 자치분권위원회 자치제도분과위원회 위원
- 2019년 4월~2020년 12월: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당연직위원
- 2019년 4월~2020년 12월: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당연직위원
5. 1. 제17대 국회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7대 국회의원(서울 용산구, 한나라당, 초선)
- 제17대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위원
- 한나라당 박근혜 비서실장
- 제17대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제17대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겸 한나라당 간사
- 제17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한나라당 전국위원회 수석부의장
- 제17대 국회 민족화해와 번영을 위한 남북평화통일특별위원회 위원 겸 간사
- 제17대 국회 한미자유무역협정(FTA)체결대책특별위원회 위원
진영 의원은 2004년 제17대 대한민국 국회의원에 처음 당선되었다. 그는 보수정당인 새누리당 소속으로 2008년과 2012년 두 차례 더 재선되었다.
5. 2. 제18대 국회
wikitext2008년 5월 30일부터 2012년 5월 29일까지 제18대 국회의원(서울 용산구)을 역임하였다. 처음에는 한나라당 소속이었으나, 이후 새누리당으로 당적이 변경되었다. 제18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새만금특별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홍보기획 본부장을 맡았다. 제18대 후반기에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한나라당 직능특별위원회 상임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진 의원은 보수정당 소속으로 2008년과 2012년에 재선되었다.
5. 3. 제19대 국회
2012년 5월 30일부터 2016년 5월 29일까지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용산구)을 지냈다. 처음에는 새누리당 소속이었으나, 이후 무소속을 거쳐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3선 국회의원으로서,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 및 전국위원회 수석부의장을 역임했다. 제19대 국회에서는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후반기에는 안전행정위원회 위원장 및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진 의원은 2004년 제17대 대한민국 국회의원에 처음 당선된 후, 보수 정당인 새누리당 소속으로 2008년과 2012년에 걸쳐 재선되었다.5. 4. 제20대 국회
2016년 5월 30일부터 2020년 5월 29일까지 제20대 국회의원(서울 용산구, 더불어민주당, 4선)을 역임하였다. 2016년 3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자 당에 항의하며 탈당하고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김종인 대표와 함께 한 기자회견에서 "특정인이 주도하는 당파주의가 아닌 진정한 당정치를 소중히 여겼다"며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여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권위주의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박근혜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되었다. 결국 용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 황춘자를 누르고 당선되어 4선 국회의원이 되었다.제20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공동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또한,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 한.슬로베니아 의원친선협회 회장, 제20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제20대 국회 대법관(김선수·이동원·노정희)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6대 총선 | 16대 | 국회의원 | 서울 용산구 | 한나라당 | 42,736표 | 44.67% | 2위 | 낙선 | |
17대 총선 | 17대 | 국회의원 | 서울 용산구 | 한나라당 | 51,025표 | 46.04% | 1위 | 당선 | 초선 |
18대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서울 용산구 | 한나라당 | 47,533표 | 58.03% | 1위 | 당선 | 재선 |
19대 총선 | 19대 | 국회의원 | 서울 용산구 | 새누리당 | 56,067표 | 52.44% | 1위 | 당선 | 3선 |
20대 총선 | 20대 | 국회의원 | 서울 용산구 | 더불어민주당 | 48,965표 | 42.78% | 1위 | 당선 | 4선 |
참조
[1]
웹사이트
Members Profile: Chin Young
http://korea.assembl[...]
National Assembly
2016-04-18
[2]
웹사이트
Members Profile <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korea.assembl[...]
2017-05-09
[3]
뉴스
Chin's ups & downs as Park's key ally
http://www.koreahera[...]
2016-04-18
[4]
뉴스
Park turns down health minister's resignation over pension program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6-04-18
[5]
뉴스
Pres. Park accepts resignation of welfare minister
http://www.arirang.c[...]
Arirang
2016-04-18
[6]
뉴스
Former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Chin Young, "They Didn't Allow Me My Plea to Leave Quietly"
http://english.khan.[...]
2016-04-18
[7]
뉴스
Ex-health minister quits ruling party over nomination row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6-03-18
[8]
뉴스
Another Saenuri member joins Minjoo Party
https://www.koreatim[...]
2016-04-18
[9]
뉴스
Chin Young climbs on Minjoo's bandwagon
http://koreajoongang[...]
2016-04-18
[10]
뉴스
Pre-election surveys' credibility questioned
http://www.koreahera[...]
2016-04-18
[1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7-29
[12]
웹사이트
진영, 장관 겸직금지 법안 통과되면 "선택 하겠다"
https://n.news.naver[...]
2013-02-17
[13]
웹사이트
'친박에서 文정부 요직까지'…행안장관 물러나는 진영
https://www.yna.co.k[...]
2022-07-28
[14]
웹사이트
더민주 입당 진영, “새누리당 특정인 지시로 움직여”
https://n.news.naver[...]
2022-07-28
[15]
웹사이트
박영선 진영 김현미 유은혜 불출마 선언…장관으로서의 '책임감' 드러내
https://www.hankyung[...]
2023-10-08
[16]
뉴스
“국회의원 당선자 300명중 78명 크리스천”
http://dailywrn.com/[...]
매일종교신문
2017-07-31
[17]
웹사이트
여양진씨 매호-전서-집의공파
http://yeoyangjin.or[...]
[18]
뉴스
출신지 질문엔 "고창으로 해달라"고 답해
https://news.naver.c[...]
[19]
뉴스
진영 국민연금·기초연금 통합해도 다른 계정 써야
http://news.mk.co.kr[...]
2018-07-05
[20]
웹인용
진영 "기초연금-국민연금 연계 죄송"
http://www.ohmynews.[...]
2018-07-05
[21]
뉴스
더민주 입당 진영, “새누리당 특정인 지시로 움직여”
https://news.naver.c[...]
미디어오늘
2016-03-20
[22]
뉴스
진영 바꾼 진영에 “배신” “소신” 팽팽…그 틈 파고든 황춘자
http://www.hani.co.k[...]
2018-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