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방 조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 조직은 피부 아래, 장기 주변, 골수, 근육, 유방 등 다양한 부위에 존재하며, 에너지 저장, 단열,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지방 조직은 지방 세포와 다양한 세포로 구성되며,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비만은 과도한 지방 조직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며, 내장 지방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 등 다양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다. 갈색 지방 조직(BAT)은 열을 생성하는 특수한 지방 조직으로, 백색 지방 조직(WAT)의 갈색화(베이지화)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지방 조직은 아디포넥틴, 렙틴 등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며, 생물정보학 도구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과거와 현재 문화권에 따라 지방 조직에 대한 미적, 사회적 인식은 다르며, 비만 및 지방종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만 - 체중 감소
    체중 감소는 건강 개선이나 외모 변화를 위해 체중을 줄이는 것으로, 생활 습관 변화, 특히 식단 조절과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과도한 감량은 신진대사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의도치 않은 체중 감소는 의학적 문제를 의심해야 하므로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만 - 그렐린
    그렐린은 1999년에 발견된 호르몬으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자극하며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결합 조직 - 근막
    근막은 근육과 장기를 지지하는 결합 조직으로, 마찰 감소, 장력 분산, 안정성 유지, 탄성 에너지 저장 및 방출 등의 역할을 하며, 근막 구획을 형성하고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결합 조직 -
    뼈는 척추동물의 골격을 이루는 단단한 조직으로, 신체 지지, 장기 보호, 혈액 세포 생성, 무기질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골절, 골다공증 등 관련 질환 예방을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
  • 내분비계 - 부신
    부신은 신장 위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으로, 부신피질과 부신수질로 나뉘어 알도스테론, 코르티솔, 아드레날린 등을 생성하여 혈압, 대사, 스트레스 반응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며, 기능 이상 시 특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내분비계 -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터키안에 위치한 콩알 크기의 기관으로, 전엽, 중엽, 후엽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고 기능 이상 시 질병을 유발하고 외배엽과 신경외배엽에서 발생한다.
지방 조직
개요
돼지 뱃살 (흰색)
돼지 뱃살 (흰색)
지방 조직은 주요 [[결합 조직]] 중 하나이다.
지방 조직은 주요 결합 조직 중 하나이다.
라틴어Adipose tissue
정의
설명주로 지방 세포로 구성된 느슨한 결합 조직이다.
기능
주요 기능에너지를 지방 형태로 저장하고 내분비 기관으로서 기능한다.
추가 기능단열, 보호, 쿠션 제공.
세포 유형
주요 세포지방 세포 (백색, 갈색, 베이지색)
기타 세포혈관내피세포
대식세포
줄기세포
아교질세포
호중구
림프구
유형
백색 지방 조직 (WAT)에너지를 저장하고 호르몬을 분비한다.
갈색 지방 조직 (BAT)열 발생을 통해 에너지를 소모한다.
베이지색 지방 조직WAT와 BAT의 중간 특성을 가지며, 특정 조건 하에서 BAT처럼 기능할 수 있다.
위치
주요 위치피하 지방, 내장 지방, 골수.
기타 위치근육, 심장, 신장 등.
생리학
지방 세포 크기지방 세포 크기는 대사 장애와 관련이 있다.
내분비 기능아디포카인 (예: 렙틴, 아디포넥틴)을 분비하여 대사, 염증, 면역 등에 영향을 미친다.
염증 역할만성 염증에서 아디포카인의 역할이 중요하다.
근육 재생주피세포가 골격근 재생과 지방 축적에 관여한다.

2. 해부학적 특징

지방 조직은 피부 아래(피하 지방), 내부 장기 주변(내장 지방), 골수 내(황색 골수), 근육 사이(근육계), 유방(유방 조직) 등 신체 여러 부위에 분포한다. 이러한 특정 위치를 "지방 저장소"라고 부른다.[6] 지방 조직에는 지방 세포 외에도 전구 지방 세포, 섬유 아세포, 지방 조직 대식 세포, 내피 세포 등 다양한 세포로 구성된 스트로마 혈관 분획(SVF)이 포함되어 있다.

인체 내 백색 지방 분포


지방 조직에는 많은 작은 혈관이 분포한다. 피부계에서 피부를 포함하여 가장 깊은 층인 피하 조직에 축적되어 열과 추위로부터 단열을 제공하며, 장기 주변에서는 보호 패딩 역할을 한다.[6] 지방 조직은 결합 조직이라기보다는 "세포 내 매트릭스"와 같은 형태를 띠며, 지방 세포가 층을 이룬 소엽 구조를 미세 혈관이 감싸는 형태로 조직 구조가 구분된다.

지방 조직의 주요 기능은 신체의 에너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산화될 수 있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저장하고, 간에서 설탕으로 생성된 과도한 포도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일부 증거에 따르면 탄수화물로부터의 대부분의 지질 합성은 지방 조직 자체에서 일어난다.[6]

2. 1. 쥐의 지방 조직

왼쪽의 비만 쥐는 지방 조직을 많이 축적하고 있다. 이 쥐는 렙틴 호르몬을 생성할 수 없어 배고픔을 느껴 더 많이 먹게 되고, 결국 비만이 된다. 비교를 위해 정상적인 양의 지방 조직을 가진 쥐가 오른쪽에 나타나 있다.


생쥐는 8개의 주요 지방 저장소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4개는 복강 내에 있다.[1] 쌍을 이루는 생식선 저장소는 암컷의 자궁난소에, 수컷의 부고환고환에 부착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후복막 저장소는 복부의 등쪽 벽을 따라 신장을 둘러싸고 있으며, 비대해지면 골반까지 확장된다. 장간막 저장소는 창자를 지지하는 접착제와 같은 그물을 형성하며, 위와 비장 근처에서 시작되는 망상 저장소는 비대해지면 복부 앞쪽으로 확장된다. 장간막 저장소와 망상 저장소는 각각 림프절과 유백반으로서 많은 림프 조직을 통합한다.

두 개의 표면 저장소는 뒷다리 윗부분 앞쪽 (피부 아래)에 있는 쌍을 이루는 서혜부 저장소와, 흰색 지방 조직 부위에 인접한 갈색 지방 조직의 쌍을 이루는 혼합물인 견갑골 아래에 있는 견갑하 저장소이다. 이 저장소의 갈색 지방 조직 층은 종종 흰색 지방 조직의 "프로스팅"으로 덮여 있으며, 때때로 이 두 가지 유형의 지방 (갈색과 흰색)은 구별하기 어렵다. 서혜부 저장소는 서혜부 림프절군을 둘러싸고 있다. 사소한 저장소로는 심장을 둘러싼 심낭, 무릎 뒤 주요 근육 사이에 있는 쌍을 이루는 슬와 저장소 등이 있으며, 각 저장소에는 큰 림프절이 하나씩 포함되어 있다.[7] 생쥐의 모든 저장소 중에서 생식선 저장소가 가장 크고 가장 쉽게 해부할 수 있으며,[8] 해부 가능한 지방의 약 30%를 차지한다.[9]

2. 2. 비만

비만인 사람은 복부에 과도한 지방 조직이 축적될 수 있는데, 특히 복부에서 아래로 늘어진 과도한 지방 조직을 지방층이라고 한다. 지방층은 고도 비만 환자의 수술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 심각한 비만 환자가 많은 양의 지방을 잃으면 "피부 앞치마"처럼 남을 수 있다. 이는 위 우회술의 흔한 결과이다.[10]

남성의 복부 비만 ("맥주 뱃살")


내장 지방(장기 지방 또는 복강 내 지방)은 복강 내부, 장기(위, 간, 내장, 신장 등) 사이에 위치한다.[11] 내장 지방은 피부 아래의 피하 지방 및 골격근에 산재된 근내 지방과는 다르다. 허벅지와 엉덩이와 같이 신체 하부에 있는 지방은 피하 지방이며, 복부의 지방은 대부분 내장 지방이며 반유동적이다.[12] 내장 지방은 장간막, 부고환 백색 지방 조직(EWAT), 신장 주위 지방 축적 부위로 구성된다.[13]

과도한 내장 지방은 중심성 비만 또는 "뱃살"이라고 불리며, 복부가 과도하게 튀어나온다. 과도한 내장 지방은 제2형 당뇨병,[14] 인슐린 저항성,[15] 염증성 질환[16] 및 기타 비만 관련 질병과 관련이 있다.[17] 여러 연구에 따르면 내장 지방은 간단한 인체 측정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19] 체질량 지수 또는 허리 둘레보다 사망률을 더 정확하게 예측한다.[20]

남성은 인간의 성별 차이로 인해 복부에 지방이 축적될 가능성이 더 높다.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은 여성의 엉덩이, 허벅지 및 둔부에 지방이 축적되도록 한다.[21][22] 여성이 폐경에 도달하고 난소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 지방이 엉덩이, 허벅지에서 허리로 이동하고,[23] 나중에 지방이 복부에 저장된다.[3]

내장 지방은 과도한 코르티솔 수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24] 최소 1주당 10 대사 당량 시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은 대사 관련 질환이 없는 사람들의 내장 지방 감소로 이어진다.[25] 저항 훈련과 칼로리 제한 또한 내장 지방을 줄이지만, 그 효과가 누적되지는 않을 수 있다.[26] 운동과 저칼로리 식단 모두 내장 지방 감소를 유발하지만, 운동은 총 지방에 비해 내장 지방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27] 고강도 운동은 총 복부 지방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이다.[28][29]

2. 3. 내장 지방 (복부 지방)

내장 지방(장기 지방 또는 복강 내 지방이라고도 함)은 복강 내부, 장기(위, , 내장, 신장 등) 사이에 위치한다.[11] 피부 아래의 피하 지방 및 골격근에 산재된 근내 지방과는 다르다. 허벅지와 엉덩이와 같이 신체 하부에 있는 지방은 피하 지방이며 일관되게 공간이 배치된 조직이 아니지만, 복부의 지방은 대부분 내장 지방이며 반유동적이다.[12] 내장 지방은 장간막, 부고환 백색 지방 조직(EWAT) 및 신장 주위 지방 축적 부위로 구성된다.[13]

과도한 내장 지방은 중심성 비만 또는 "뱃살"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복부가 과도하게 튀어나온다. 과도한 내장 지방은 제2형 당뇨병,[14] 인슐린 저항성,[15] 염증성 질환[16] 등과 관련이 있다.[17] 여러 연구에 따르면 내장 지방은 간단한 인체 측정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19] 체질량 지수 또는 허리 둘레보다 사망률을 더 정확하게 예측한다.[20]

남성은 인간의 성별 차이로 인해 복부에 지방이 축적될 가능성이 더 높다. 에스트로겐 (여성 호르몬)은 여성의 엉덩이, 허벅지 및 둔부에 지방이 축적되도록 한다.[21][22] 여성이 폐경에 도달하고 난소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 지방이 엉덩이, 허벅지에서 허리로 이동하며,[23] 나중에 지방이 복부에 저장된다.[3]

주당 10 대사 당량 시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은 대사 관련 질환이 없는 사람들의 내장 지방 감소로 이어진다.[25] 저항 훈련과 칼로리 제한 또한 내장 지방을 줄이지만, 그 효과가 누적되지는 않을 수 있다.[26] 운동과 저칼로리 식단 모두 내장 지방 감소를 유발하지만, 운동은 총 지방에 비해 내장 지방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27]

2. 3. 1. 심외막 지방

심외막 지방 조직(EAT)은 심장 주변에 축적되는 내장 지방의 일종으로, 여러 생체 활성 분자를 생성하는 대사적으로 활발한 기관이며, 심장 기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31][32][33] EAT와 피하 지방을 비교하면 구성 요소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이는 저장된 지방산이 지방 세포 기능 및 대사에 위치 특이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34]

2. 4. 피하 지방

피하 지방의 미세 해부학


피하 지방은 피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지방층을 말한다.[35] 내장 지방과 달리 피하 지방은 심장병, , 뇌졸중과 같은 비만 관련 질병의 위험을 높이지 않으며, 오히려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6] 여성의 경우 엉덩이, 허벅지, 둔부에 주로 분포하는 지방이 피하 지방이며, 내장 지방보다 건강 위험이 적다.[37][38]

피하 지방은 렙틴, 레스틴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계의 일부이기도 하다.[35]

피하 지방층의 두께와 체지방량 사이의 관계는 회귀 방정식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더닌(Durnin)과 웜슬리(Womersley)는 피부 주름 두께와 신체 밀도 사이의 역상관 관계를 이용한 공식을 개발했는데, 피부 주름이 두꺼울수록 신체 밀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39]

2. 5. 골수 지방

골수 지방 조직(MAT)이라고도 하는 골수 지방은 뼈 속에 존재하며 조혈 세포 및 골 성분과 섞여 있는 잘 알려지지 않은 지방 축적 부위이다. 이 부위의 지방 세포는 지방 세포, 뼈 세포 및 기타 세포 유형을 생성할 수 있는 중간엽 줄기 세포(MSC)에서 유래한다. MAT가 칼로리 제한/거식증 환경에서 증가한다는 사실은 이 부위를 다른 지방 축적 부위와 구별하는 특징이다.[40][41][42] 운동은 MAT를 조절하여 MAT의 양을 줄이고 골수 지방 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킨다.[43][44][45] 골수 지방에 대한 운동 조절은 다른 백색 지방 축적 부위와 생리학적 유사성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비만 시 MAT 증가 역시 백색 지방 축적 부위와의 유사성을 시사한다.[43]

2. 6. 이소성 지방

이소성 지방은 지방 조직이 아닌 , 골격근, 심장, 췌장 등 지방이 소량만 있어야 하는 조직에 트리글리세리드가 쌓이는 현상이다.[1] 이는 세포 기능, 나아가 장기 기능을 방해하며, 제2형 당뇨병의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46] 복강 내 장기 주변에 비교적 많은 양이 저장되지만, 내장 지방과는 다르다.

이소성 지방 축적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과도한 에너지 섭취 및 신체 활동 감소와 관련된 유전적, 환경적, 행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당한 체중 감량은 모든 장기의 이소성 지방 축적을 줄이고, 이는 장기 기능 개선으로 이어진다.[46]

식이 요법이나 운동 등 비침습적 체중 감량 중재는 과체중 또는 비만인 어린이와 성인의 이소성 지방(특히 심장 및 간)을 줄일 수 있다.[47][48]

3. 생리학

지방 조직은 유리 지방산을 흡수하여 트리글리세리드 형태로 저장하고, 필요시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인체 지방 조직은 61%에서 94%의 지질을 포함하며, 비만과 마른 개인은 각각 이 범위의 높은 값과 낮은 값에 속하는 경향이 있다.[49] 인슐린렙틴은 지방 조직의 지방산 유입 및 유출을 조절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인슐린이 증가하면 유리 지방산의 순 유입이 발생하고, 인슐린이 낮을 때만 유리 지방산이 지방 조직을 떠날 수 있다. 인슐린 분비는 탄수화물 섭취로 인한 고혈당에 의해 자극된다.[50]

지방 세포는 트리글리세리드와 유리 지방산 수치를 유지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생리적 역할을 한다.[2] 복부 지방은 다른 대사 프로필을 가지며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경향이 더 크다.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연구(2009)에 따르면, 스트레스가 높은 개체는 신체 내 내장 지방 수치가 더 높았다. 이는 스트레스가 내장 지방 축적을 촉진하고, 이는 심장 질환 및 기타 건강 문제에 기여하는 호르몬 및 대사 변화를 유발한다는 인과 관계의 가능성을 시사한다.[52]

지방 조직은 아디포넥틴, 레스틴, 렙틴, 에스트라디올 등 다양한 호르몬 (아디포카인)을 분비한다.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은 이를 둘러싸는 혈관의 수축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아디포카인을 방출한다.[1][59]

3. 1. 갈색 지방 조직 (BAT)

갈색 지방 세포


갈색 지방 조직(BAT)은 사람과 다른 포유류에서 적응적 체온 생성에 중요한 특수 형태의 지방 조직이다. BAT는 미토콘드리아산화적 인산화의 호흡 사슬을 탈공역 단백질 1(UCP1)의 조직 특이적 발현을 통해 "탈공역"함으로써 열을 생성할 수 있다.[3] BAT는 주로 목과 흉부의 큰 혈관 주변에 위치하며, 여기서 열 교환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BAT는 추위에 노출되면 교감 신경계에서 카테콜아민이 방출되어 UCP1 활성화를 유발하여 강력하게 활성화된다.

BAT 활성화는 과식에 대한 반응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61] UCP1 활성은 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 이후 생성되는 장쇄 지방산에 의해 자극된다.[62]

이 과정을 약리학적으로 시뮬레이션하려는 시도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갈색 지방"의 분화를 조작하는 기술은 미래에 체중 감량 치료의 메커니즘이 될 수 있으며, 다른 기관에서 유도하지 않고 이 특수 대사를 가진 조직의 성장을 장려할 수 있다.

3. 2. 베이지색 지방 조직과 백색 지방 조직 (WAT)의 갈색화

백색 지방 조직(WAT)의 갈색화(베이지화)는 WAT 지방 세포 내에서 갈색 지방 조직(BAT)의 특징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베이지 지방 세포'''는 여러 개의 지질 방울을 포함하는 다방울 형태를 띠며, 언커플링 단백질 1(UCP1)의 발현을 증가시킨다.[70] 이를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대신 에너지를 방출하는 지방 세포가 된다.

갈색 지방과 베이지 지방의 칼로리 연소 능력은 비만과 당뇨병 치료법 연구의 주요 대상이다. 2,4-디니트로페놀은 UCP1과 유사하게 화학적 언커플러로 작용하는 약물로, 1930년대에 체중 감량에 사용되었으나 과도한 투여 시 고열 및 사망을 포함한 부작용으로 인해 빠르게 중단되었다.[70] β3-아드레날린 효능제인 CL316,243도 인간에게 시험되었지만, 종 특이적인 수용체 특이성 변화 및 낮은 경구 생체 이용률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대부분 성공적이지 못했다.[71]

추위는 BAT 과정의 주요 조절 인자이며 WAT 갈색화를 유도한다. 만성적인 추위 노출에 대한 갈색화는 가역적인 과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쥐 대상 연구에서 추위로 유도된 갈색화는 21일 이내에 완전히 되돌릴 수 있으며, 24시간 이내에 UCP1의 측정 가능한 감소가 나타났다.[72] 다시 추운 환경에 노출시키면 동일한 지방 세포가 베이지 표현형을 나타내는데, 이는 베이지 지방 세포가 유지됨을 시사한다.[73]

WAT 갈색화의 핵심 전사 조절 인자에는 (PPARγ), PRDM16,[75] (PGC-1α), Early B-Cell Factor-2 (EBF2)가 포함된다.[76][77][78]

이리신과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21은 갈색화의 중요한 조절 인자이다. 이리신은 운동에 반응하여 근육에서 분비되며 베이지 전구 지방 세포에 작용하여 갈색화를 증가시킨다.[79] FGF21은 주로 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PGC-1α에 영향을 주어 포도당 흡수를 자극하고 갈색화를 조절한다.[70] 추위 노출 시 BAT에서 증가하며 식이 유도 비만에 대한 저항에 도움이 된다.[80] FGF21은 운동 및 저단백질 식단에 반응하여 분비될 수도 있지만, 저단백질 식단에 대한 반응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81][82] 이러한 연구는 식이 요법 및 운동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갈색화의 중요한 매개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쥐에서 메티오닌-엔케팔린 펩타이드는 2형 선천 림프 세포가 인터루킨 33에 반응하여 생성되며 베이지화를 유발할 수 있다.[83]

지방 조직의 복잡한 특성과 갈색 지방 조절 분자의 증가로 인해, 생물정보학 도구를 사용하여 이 분야의 연구를 개선할 수 있다. WAT 갈색 지방화 연구는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베이지 지방은 비만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치료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DNA 마이크로어레이는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동시에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생물 정보학 도구이며, 지방 조직 연구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한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해 쥐가 28°C 및 6°C의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WAT 및 BAT 유전자 발현 변화를 조사했다.[84] 산화적 인산화, 지방산 대사, 피루브산 대사와 같이 BAT에서 높게 발현되는 많은 경로가 추운 환경에 노출된 후 WAT에서 상향 조절됨을 발견했다.[84] 이는 일부 지방세포가 6°C에서 베이지색 표현형으로 전환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해 인슐린 결핍이 베이지색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지만 갈색 지방화 능력은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85]

RNA 시퀀싱(RNA-Seq)은 샘플 내 모든 유전자에 대한 RNA 발현을 정량화할 수 있는 계산 도구이다. RNA-Seq는 베이지색 지방세포를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따라 특성화하고 베이지색 표현형을 유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치료 분자를 식별하기 위해 인간 및 쥐 연구 모두에 사용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RNA-Seq를 사용하여 (WT) 쥐와 Early B-Cell Factor-2 (EBF2)를 과발현하는 쥐의 WAT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비교했다. 형질전환 동물의 WAT는 갈색 지방 유전자 프로그램을 나타냈고, WT 쥐에 비해 WAT 특이적 유전자 발현이 감소했다.[86] 따라서 EBF2는 베이지색 지방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치료 분자로 확인되었다.

시퀀싱을 통한 염색질 면역 침강법((ChIP-seq))은 DNA에서 단백질 결합 부위를 식별하고 히스톤 변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갈색 지방화의 후성 유전 조절을 검사하고 단백질-DNA 상호 작용이 베이지색 지방세포의 분화를 자극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베이지색 지방세포의 염색질 풍경을 관찰하는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포의 지방 생성은 세포 특이적 염색질 풍경의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전사 프로그램을 조절하고 궁극적으로 분화를 제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ChIP-seq를 다른 도구와 함께 사용한 최근 연구에서는 베이지색 지방세포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30개 이상의 전사 및 후성 유전 인자를 확인했다.[86]

3. 3. 유전학 및 생물 정보학 도구

DNA 마이크로어레이, RNA 시퀀싱, ChIP 시퀀싱 등 생물 정보학 도구를 활용하여 WAT 갈색화 및 베이지색 지방 조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마이크로어레이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동시에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며, 지방 조직 연구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RNA-Seq는 샘플 내 모든 유전자에 대한 RNA 발현을 정량화할 수 있는 강력한 계산 도구로, 베이지색 지방세포를 특성화하고 잠재적인 치료 분자를 식별하는 데 활용된다. ChIP-seq는 DNA에서 단백질 결합 부위를 식별하고 히스톤 변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브라운 지방화의 후성 유전 조절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86]

검약 유전자 가설(기아 가설이라고도 함)은 인류가 기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지방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가설이다.[87][88]

렙틴 유전자 결함은 드물게 인간 비만을 유발할 수 있지만,[94] 대부분의 비만은 렙틴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92][93] 렙틴 유전자(''ob'')의 유전자 결함은 전 세계적으로 5가족에서 14명의 개인이 확인되었다.[95][96][97][98][99] 멜라노코르틴 관련 유전자 변이는 렙틴 변이보다 더 많은 인구에서 비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3]

4. 물리적 특성

지방 조직의 밀도는 약 0.9 g/ml이다.[104] 따라서 지방 조직이 더 많은 사람은 근육 조직이 더 많은 동일 체중의 사람보다 더 쉽게 뜰 것이다. 근육 조직의 밀도는 1.06 g/ml이기 때문이다.[105]

5.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 측정기'''는 인체 내의 체지방 대 체중 비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다양한 측정기는 이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체지방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DXA 및 수중 체중 측정법과 같은 임상 도구와 달리, 비교적 저렴한 유형의 체지방 측정기는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BIA)의 원리를 사용한다. 이 측정기는 작고 무해한 전류를 신체에 통과시켜 전기 저항을 측정하고, 개인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 정보를 사용하여 체지방률을 추정한다. 이 계산은 신체의 총 수분량(제지방 조직과 근육은 지방보다 더 높은 비율의 수분을 포함)을 측정하고 이 정보를 기반으로 지방 비율을 추정한다. 분석 전 음식 섭취량과 물 섭취량에 따라 결과가 몇 퍼센트 포인트 변동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부정확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피부 두께 측정법(캘리퍼스 사용), 수중 체중 측정법, 전신 공기 변위 체적 측정법(ADP) 및 DXA가 있다.

6. 동물 연구

CCR2 결핍 생쥐호산구 증가, 대식세포 활성 증가, 2형 사이토카인 발현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지방 식이에 의해 악화된다.[106]

7. 문화적, 사회적 역할

과거와 일부 문화권에서는 풍만한 체형이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서구 사회와 동아시아에서는 마른 체형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렘브란트, 페테르 파울 루벤스 등 화가들의 작품에는 풍만한 체형의 여성이 묘사되어 있다. 특히 루벤스는 여성의 체지방을 긍정적으로 묘사하여 '루벤스식(rubenesque)'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아랍, 서아프리카, 북극권 원주민과 많은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에서는 건장하거나 "영양 상태가 좋은" 여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남북조 시대에는 유목 민족이 정권을 잡은 북조에서는 풍만한 여성이, 한족이 정권을 잡은 남조에서는 날씬한 여성이 선호되었다.

8. 문제점

현대 사회에서 과도한 지방 조직은 미용적 문제이자 의학적 문제로 여겨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 성숙한 지방 조직이 종괴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참조

[1] 논문 Role of pericytes in skeletal muscle regeneration and fat accumulation 2013-08-01
[2] 논문 Fat Cell Size: Measurement Methods, Pathophysiological Origins, and Relationships With Metabolic Dysregulations 2022-01-01
[3] 논문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2004-06-01
[4] 논문 The role of adipokines in chronic inflammation 2016-05-01
[5] 논문 Developmental biology: Neither fat nor flesh 2008-08-01
[6] 논문 Hepatic and whole-body fat synthesis in humans during carbohydrate overfeeding 1997-06-01
[7] 서적 The Fats of Lif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논문 The adipose organ 2005-07-01
[9] 논문 Nutrient preference and diet-induced adiposity in C57BL/6ByJ and 129P3/J mice 2001-03-01
[10] 논문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2014-10-01
[11] 웹사이트 Fat on the Inside: Looking Thin is Not Enough http://lowfatcooking[...] 2016-11-17
[12] 웹사이트 Abdominal fat and what to do about it https://www.health.h[...] President & Fellows of Harvard College 2005-09-01
[13] 논문 Estimating visceral fat area by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2010-05-01
[14] 논문 The perils of portliness: causes and consequences of visceral adiposity 2000-06-01
[15] 논문 Adipose tissue tumor necrosis factor and interleukin-6 expression in huma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2001-05-01
[16]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inflammation in obesity-linked insulin resistance 2003-12-01
[17] 논문 Prevalence of obesity, diabetes, and obesity-related health risk factors, 2001 2003-01-01
[18] 논문 Anthropometric Assessment of Neck Adipose Tissue and Airway Volume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 Imaging Approach and Association With Overall Mortality 2015-11-01
[19] 논문 Anthropometrically predicted visceral adipose tissue and blood-based biomarkers: a cross-sectional analysis 2018-02-01
[20] 논문 Anthropometrically-predicted visceral adipose tissue and mortality among men and women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2017-01-01
[21] 웹사이트 Reduce Abdominal Fat http://www.annecolli[...] 2011-09-28
[22] 웹사이트 Waistline Worries: Turning Apples Back Into Pears http://www.healthywo[...] 2009-06-09
[23] 웹사이트 A Matter of Fat http://health.yahoo.[...] Women's Health 2006-12-01
[24] 서적 The Brigham Intensive Review of Internal Medic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8-03
[25] 논문 A dose-response relation between aerobic exercise and visceral fat reduction: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2007-12-01
[26] 논문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with and without caloric restriction on visceral fat: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9-01
[27]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versus hypocaloric diet: distinct effects on body weight and visceral adipose tissue https://researchonli[...] 2016-08-01
[28] 논문 Effect of exercise training intensity on abdominal visceral fat and body composition 2008-11-01
[29] 논문 Influence of exercise intensity on abdominal fat and adiponectin in elderly adults 2009-08-01
[30] 논문 Mobilization of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in response to energy restriction and exercise 1994-11-01
[31] 논문 Human epicardial adipose tissue is a source of inflammatory mediators 2003-11-01
[32] 논문 Myocyte remodeling due to fibro-fatty infiltrations influences arrhythmogenicity. 2018-10-01
[33] 논문 Arrhythmogenicity of fibro-fatty infiltrations 2018-02-01
[34] 논문 Fatty acid composition of epicardial and subcutaneous human adipose tissue 2009-04-01
[35] 서적 Anatomy & Physiology Pearson/Benjamin Cummings 2008-01-01
[36] 논문 Abdominal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 protective fat depot? 2009-06-01
[37] 웹사이트 Belly fat in women: Taking – and keeping – it off http://www.mayoclini[...] MayoClinic.com 2013-06-08
[38] 논문 Gluteofemoral body fat as a determinant of metabolic health 2010-06-01
[39] 논문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a review of hydrodensitometry, anthropometry, and impedance methods 1998-03-01
[40] 논문 Caloric restriction leads to high marrow adiposity and low bone mass in growing mice 2010-09-01
[41] 논문 Expansion of Bone Marrow Adipose Tissue During Caloric Restric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irculating Glucocorticoids and Not With Hypoleptinemia 2016-02-01
[42] 논문 Increased bone marrow fat in anorexia nervosa 2009-06-01
[43] 논문 Exercise Decreases Marrow Adipose Tissue Through ß-Oxidation in Obese Running Mice 2017-08-01
[44] 논문 Exercise Regulation of Marrow Fat in the Setting of PPARγ Agonist Treatment in Female C57BL/6 Mice 2015-08-01
[45] 논문 Bone marrow fat accumulation accelerated by high fat diet is suppressed by exercise 2014-07-01
[46] 논문 Ectopic fat and insulin resistance: pathophysiology and effect of diet and lifestyle interventions
[47] 논문 The effect of diet or exercise on ectopic adipo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11-01
[48] 논문 The Effect of Lifestyle Interventions on Excess Ectopic Fat Deposition Measured by Noninvasive Technique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6-01
[49] 논문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dipose tissue of man and mice 1962-04-01
[50] 논문 The role of leptin in the control of insulin-glucose axis 2013-01-01
[51] 논문 Central obesity and multivariable cardiovascular risk as assessed by the Framingham prediction scores 2009-05-01
[52] 뉴스 Fat-Bellied Monkeys Suggest Why Stress Sucks http://content.time.[...] Time 2009-08-08
[53] 논문 Human and mouse adipose-derived cells support feeder-independent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2010-02-01
[54] 논문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between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depots 2002-11-01
[55] 논문 Functional differences in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pads originate from differences in the adipose stem cell 2012-05-04
[56] 논문 Comparis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isolated from subcutaneous, omental, and intrathoracic adipose tissue depots for regenerative applications 2014-02-01
[57] 논문 Oxygenation of adipose tissue: A human perspective 2020-01-01
[58] 논문 Tissue physiology and pathology of aromatase 2012-01-01
[59] 논문 Periadventitial fat releases a vascular relaxing factor 2002-07-01
[60] 웹사이트 Eavesdropping on Communication Between Fat and Brain https://neuroscience[...] 2022-08-31
[61] 논문 Mitochondrial uncoupling proteins and energy metabolism
[62] 논문 Brown adipose tissue: function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 2004-01-01
[63] 논문 Mechanism of fatty-acid-dependent UCP1 uncoupling in brown fat mitochondria 2012-10-01
[64] 논문 The on-off switches of the mitochondrial uncoupling proteins 2010-05-01
[65] 논문 Studying Brown Adipose Tissue in a Human ''in vitro'' Context 2020-01-01
[66] 논문 Unexpected evidence for active brown adipose tissue in adult humans 2007-08-01
[67] 논문 Functional brown adipose tissue in healthy adults 2009-04-01
[68] 논문 Cold-activated brown adipose tissue in healthy men https://cris.maastri[...] 2009-04-01
[69] 논문 Identification and importance of brown adipose tissue in adult humans 2009-04-01
[70] 논문 Brown and beige fat: development, function and therapeutic potential 2013-10-01
[71] 논문 Brown fat as a therapy for obesity and diabetes 2010-04-01
[72] 논문 Mitochondrial turnover: a phenotype distinguishing brown adipocytes from interscapular brown adipose tissue and white adipose tissue 2015-03-01
[73] 논문 Bi-directional interconversion of brite and white adipocytes 2013-06-01
[74] 논문 Turning WAT into BAT: a review on regulators controlling the browning of white adipocytes 2013-09-01
[75] 논문 Prdm16 is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brown adipocyte identity and function in adult mice 2014-04-01
[76] 논문 Ebf2 is a selective marker of brown and beige adipogenic precursor cells 2014-10-01
[77] 논문 SnapShot: Brown and Beige Adipose Thermogenesis 2016-06-01
[78] 논문 EBF2 transcriptionally regulates brown adipogenesis via the histone reader DPF3 and the BAF chromatin remodeling complex 2017-04-01
[79] 논문 A PGC1-α-dependent myokine that drives brown-fat-like development of white fat and thermogenesis 2012-01-01
[80] 논문 Roles of FGFs as Adipokines in Adipose Tissue Development, Remodeling, and Metabolism
[81] 논문 Brown adipose tissue and thermogenesis 2014-07-01
[82] 논문 FGF21 is an endocrine signal of protein restriction 2014-09-01
[83] 논문 Group 2 innate lymphoid cells promote beiging of white adipose tissue and limit obesity 2015-03-01
[84] 논문 Brown and white adipose tissues: intrinsic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 and response to cold exposure in mice 2014-04-01
[85] 논문 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control of brown and beige adipose cell fate and function 2016-08-01
[86] 논문 EBF2 promotes the recruitment of beige adipocytes in white adipose tissue 2016-01-01
[87] 서적 Adipose Tissue and Adipokines in Health and Disease Humana Press
[88] 논문 The study of natural selection in primitive and civilized human populations. 1958
[89] 서적 The Hungry Gene: The Inside Story of the Obesity Industry Atlantic Monthly Press 2002-01-01
[90] 서적 The Hungry Gene: The Inside Story of the Obesity Industry Atlantic Monthly Press 2002-01-01
[91] 논문 Effects of the obese gene product on body weight regulation in ob/ob mice 1995-07-01
[92] 서적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Elsevier Health Sciences
[93] 논문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leptin signaling and leptin resistance 2009-12-01
[94] 논문 Obese (ob) gene defects are rare in human obesity 1997-01-01
[95] 논문 Congenital leptin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severe early-onset obesity in humans 1997-06-01
[96] 논문 A leptin missense mutation associated with hypogonadism and morbid obesity 1998-03-01
[97] 논문 Congenital leptin deficiency due to homozygosity for the Delta133G mutation: report of another case and evaluation of response to four years of leptin therapy 2004-10-01
[98] 논문 A novel homozygous missense mutation of the leptin gene (N103K) in an obese Egyptian patient 2009-08-01
[99] 논문 A new missense mutation in the leptin gene causes mild obesity and hypogonadism without affecting T cell responsiveness 2010-06-01
[100] 논문 A mutation in the human leptin receptor gene causes obesity and pituitary dysfunction 1998-03-01
[101] 논문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regulating growth, puberty, and other physiological functions 1999-06-01
[102] 논문 Partial leptin deficiency and human adiposity 2001-11-01
[103] 논문 Mutations in ligands and receptors of the leptin-melanocortin pathway that lead to obesity 2008-10-01
[104] 논문 Association of adiponectin and resistin with adipose tissue compartments,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aemia 2005-07-01
[105] 논문 Specific force deficit in skeletal muscles of old rats is partially explained by the existence of denervated muscle fibers 2001-05-01
[106] 저널 CCR2 deficiency leads to increased eosinophils, alternative macrophage activation, and type 2 cytokine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http://www.jleukbio.[...] 2015-10-00
[107] 저널 Fatty acid composition of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nd diet in postmenopausal US women. http://www.ncbi.nlm.[...] 1991-08-00
[108] 저널인용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109] 저널인용 Developmental biology: Neither fat nor fles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