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스트라는 고대 로마 군대의 야영지 또는 요새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로, 어원은 이탈리아어파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자르다'라는 의미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카스트라는 군사적 보호 구역이자 병사들의 숙영지, 장비 보관소 역할을 했으며, 사각형 형태의 방어 시설과 내부 시설을 갖추었다. 카스트라의 종류로는 영구 야영지인 카스트라 스타티바, 하계 야영지인 카스트라 에스티바, 겨울 야영지인 카스트라 히베르나가 있었으며, 로마 군대의 이상적인 패턴에 따라 건설되었다. 로마의 카스트라는 군사적 기능 외에도 경제 활동과 도시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의 많은 도시가 카스트라의 설계를 기반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방어시설 - 말라티아
말라티아는 터키 동부의 광역시이자 말라티아 주의 주도로, 기원전 6000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세계 최대 살구 생산지이자 이스메트 이뇌뉘와 튀르귈트 외잘 두 명의 터키 대통령을 배출한 무역, 산업, 문화 중심지이다. - 로마의 방어시설 - 바빌론 요새
바빌론 요새는 이집트 카이로 인근 나일 강 동쪽에 위치한 고대 요새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명명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 군단의 주둔지이자 기독교 주교구의 중심지였고, 640년 아랍의 침공으로 함락되었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카스트라 | |
---|---|
일반 정보 | |
![]() | |
어원 | 라틴어: Castrum (요새) 복수형: Castra (군대 막사) |
용례 | 로마 군대의 요새화된 군사 기지 로마 제국 전역에 걸쳐 건설된 영구 요새 및 임시 진영 |
구조 및 기능 | |
주요 특징 | 방어용 성벽 및 도랑 규칙적인 격자형 레이아웃 주요 도로 (cardo 및 decumanus) 본부 건물 (praetorium) 병영 (barracks) 창고 (horrea) |
종류 | |
Castra stativa | 영구 요새 |
Castra aestiva | 여름 야영지 |
Castra hiberna | 겨울 야영지 |
Castellum | 작은 요새, 보조 요새 |
중요성 | |
군사적 중요성 | 로마 군대의 효율적인 주둔 및 방어 제국 영토의 통제 및 확장 |
도시 발전 | 많은 유럽 도시의 기원 (예: 체스터, 쾰른, 빈) 로마 문화 및 기술의 확산 |
현대적 영향 | |
고고학 | 로마 군사 기지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고대 로마 군대 및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임 |
지명 | "cester", "chester", "caster" 등의 접미사가 붙은 지명은 로마 시대의 요새 기원일 가능성이 높음 |
참고 문헌 | |
주요 참고 문헌 | Allen and Greenough's new Latin Grammar for Schools and Colleges A Latin Dictionary The Military Institutions of the Romans (De Re Militari) |
2. 어원
''카스트룸''(Castrum)은 오스크어와 움브리아어에서 나타나는데, 이 두 언어는 다른 이탈리아어파 언어로서, 적어도 원시 이탈리아어 시대만큼 오래된 기원을 시사한다. 율리우스 포코르니[5]는 *k̂es- (schneidende, "자르다")에서 유래한 *k̂es-tro-m (Schneidewerkzeugde, "절삭 도구")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kastrom을 기반으로 한 이러한 이탈리아어 반영에는 오스크어 castrousosc (속격)와 움브리아어 castruoxum, kastruvufxum (대격)가 있다. 포코르니는 이들이 라틴어 fundusla (토지, 땅)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말한다. 이는 어떤 땅이 아니라 울타리나 나무 또는 돌담으로 둘러싸인 농장과 같이 준비되거나 경작된 땅을 의미한다.[6]
이것이 민간적 해석이라면, 군사적 의미는 "군사 보호 구역", 즉 주변의 일반 토지에서 잘라내 군사적 목적으로 개조된 토지일 것이다.
castrala라는 용어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라틴어 구문은 다음과 같다.
- castra stativala: 영구 야영지/요새
- castra aestivala: 여름 야영지/요새
- castra hibernala: 겨울 야영지/요새
- castra navaliala / castra nauticala: 해군 야영지/요새
라틴어에서 castrumla이라는 용어는 지리적 위치의 고유 명사로 훨씬 더 자주 사용되었다. 예: Castrum Albumla, Castrum Inuila, Castrum Novumla, Castrum Truentinumla, Castrum Vergiumla. 복수형도 지명으로 사용되었으며, Castra Corneliala가 그 예이며, 여기에서 웨일스 지명 접두사 caer-cy (예: Caerleon과 Caerwent)와 영어 접미사 ''-caster''와 ''-chester'' (예: Winchester와 Lancaster)가 파생되었다.
Castroes는 Castrumla에서 파생되었으며, 일반적인 스페인 성씨이자 지명으로, 스페인 및 기타 히스패닉 국가, 이탈리아, 발칸 반도에서 단독으로 또는 세계 문화 유산인 Gjirokastërsq (이전 Argurokastrosq)와 같은 다양한 복합어 형태로 사용된다.
3. 종류
''카스트룸''은 전투나 행군 중이 아닐 때 병사, 장비, 물자를 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로마군 캠프에 대한 가장 상세한 설명은 1세기 말에서 2세기 초로 추정되는 ''데 무니티오니부스 카스트로룸''이다.[8]
규정에 따르면 야전에 투입된 부대는 매일 적절하게 건설된 캠프로 철수해야 했다.[9] 이를 위해 행군 대열은 캠프 건설 및 비축에 필요한 장비를 마차와 병사들의 등에 싣고 다녔다. 이 캠프를 통해 로마군은 야전에서 휴식을 취하고 보급을 받은 군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 켈트족이나 게르만족 군대는 이러한 능력이 없어 며칠 만에 흩어져야 했다.
캠프는 다양한 유형의 전문가들이 소속된 공병 부대의 책임이었으며, 필요에 따라 일반 병사들로부터 노동력을 징발하는 '아르키텍티'(''architecti''), 즉 "수석 엔지니어"가 지휘했다. 한 부대는 적의 공격을 받는 중에도 몇 시간 만에 캠프를 건설할 수 있었다. 군단이 캠프에서 보낼 시간의 길이에 적합한 캠프 계획을 선택하는 레퍼토리를 사용했을 것이며, ''테르티아 카스트라''(3일 캠프), ''콰르타 카스트라''(4일 캠프) 등이 있었다.[10]
더 영구적인 캠프는 ''카스트라 스타티바''(''castra stativa'', 상설 캠프)였다. 이 중 가장 임시적인 것은 ''카스트라 에스티바''(''castra aestiva'', 하계 캠프)로, 병사들은 ''섭 펠리부스'' 또는 ''섭 텐토리이스''(''sub pellibus'' or ''sub tentoriis'', 텐트 아래)에 수용되었다.[11] 여름은 작전 기간이었다. 겨울에는 병사들이 막사와 더 견고한 재료로 지어진 다른 건물들이 있는 ''카스트라 히베르나''(''castra hiberna'', 동계 캠프)로 철수했으며, 목재 구조물은 점차 석조 구조물로 대체되었다.[14] ''카스트라 히베르나''는 한 방에 8명의 병사를 수용했으며, 그들은 이층 침대에서 잠을 잤다. 각 방의 병사들은 또한 직접 식사를 요리하고 "룸메이트"와 함께 식사해야 했다.[15]
아우구스투스 시대부터 확대되는 제국의 멀리 떨어진 획득하기 어려운 경계가 호전적인 부족으로부터의 지역 및 외부 위협을 통제하기 위해 영구적인 주둔지를 필요로 함에 따라 목조 또는 석조 건물과 벽이 있는 더 영구적인 카스트라가 도입되었다. 이전에는 특정 군사 작전을 위해 군단이 소집되었고 이후 해산되었으며, 임시적인 카스트라만 필요했다. 그 이후로 다양한 크기의 많은 카스트라가 설립되었으며, 그 중 다수는 영구적인 정착지가 되었다.
4. 역사적 배경
''카스트룸''은 병사, 장비, 그리고 전투나 행군을 하지 않을 때의 물자를 수용하고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 로마 군사 캠프에 대해 현존하는 가장 상세한 설명은 서기 1세기 말에서 2세기 초로 추정되는 11페이지 분량의 필사본인 ''데 무니티오니부스 카스트로룸''이다.[8]
규정에 따르면 야전에 투입된 주요 부대는 매일 적절하게 건설된 캠프로 철수해야 했다. "… 그들은 적의 땅으로 진군하자마자, 그들의 캠프를 둘러싼 벽을 쌓기 전까지는 전투를 시작하지 않는다. 또한 그들이 세우는 울타리는 경솔하게 만들어지거나 고르지 않으며, 그들 모두가 그 안에 머물지 않으며, 그 안에 있는 사람들도 제멋대로 자리를 잡지 않는다. 그러나 땅이 고르지 않다면, 먼저 평평하게 만든다. 그들의 캠프는 또한 치수에 따라 사각형이며, 목수들은 그들을 위해 건물을 세우기 위해 도구와 함께 대량으로 준비되어 있다."[9] 이를 위해 행군 대열은 캠프를 건설하고 비축하는 데 필요한 장비를 마차와 병사들의 등에 싣고 다녔다. 이 캠프를 통해 로마군은 야전에서 휴식을 취하고 보급을 받은 군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 켈트족이나 게르만족 군대는 이러한 능력이 없었기에 며칠 만에 흩어져야 했다.
캠프는 다양한 유형의 전문가들이 소속된 공병 부대의 책임이었으며, 필요에 따라 일반 병사들로부터 노동력을 징발하는 '아르키텍티'(''architecti''), 즉 "수석 엔지니어"가 지휘했다. 한 부대는 적의 공격을 받는 중에도 몇 시간 만에 캠프를 건설할 수 있었다. 이름으로 판단컨대, 그들은 군단이 캠프에서 보낼 시간의 길이에 적합한 캠프 계획을 선택하는 레퍼토리를 사용했을 것이다. ''테르티아 카스트라'', ''콰르타 카스트라'' 등 ("3일 캠프", "4일 캠프" 등).[10]
더 영구적인 캠프는 ''카스트라 스타티바''(''castra stativa'')("상설 캠프")였다. 이 중 가장 임시적인 것은 ''카스트라 에스티바'' 또는 ''에스티발리아''(''aestivalia'')("하계 캠프")로, 병사들은 ''섭 펠리부스'' 또는 ''섭 텐토리이스''(''sub pellibus'' or ''sub tentoriis'')("텐트 아래")에 수용되었다.[11] 여름은 작전 기간이었다. 겨울에는 병사들이 막사와 더 견고한 재료로 지어진 다른 건물들이 있는 ''카스트라 히베르나''(''castra hiberna'')로 철수했으며, 목재 구조물은 점차 석조 구조물로 대체되었다.[14]
아우구스투스 시대부터 확대되는 제국의 멀리 떨어진 획득하기 어려운 경계가 호전적인 부족으로부터의 지역 및 외부 위협을 통제하기 위해 영구적인 주둔지를 필요로 함에 따라 목조 또는 석조 건물과 벽이 있는 더 영구적인 카스트라가 도입되었다. 이전에는 특정 군사 작전을 위해 군단이 소집되었고 이후 해산되었으며, 임시적인 카스트라만 필요했다. 그 이후로 다양한 크기의 많은 카스트라가 설립되었으며, 그 중 다수는 영구적인 정착지가 되었다.
5. 설계와 구조
카스트룸은 병사, 장비, 전투나 행군을 하지 않을 때의 물자를 수용하고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 로마 군사 캠프에 대해 현존하는 가장 상세한 설명은 서기 1세기 말에서 2세기 초로 추정되는 11페이지 분량의 필사본인 ''데 무니티오니부스 카스트로룸''이다.[8]
규정에 따르면 야전에 투입된 주요 부대는 매일 적절하게 건설된 캠프로 철수해야 했다. 이를 위해 행군 대열은 캠프를 건설하고 비축하는 데 필요한 장비를 마차와 병사들의 등에 싣고 다녔다. 이 캠프를 통해 로마군은 야전에서 휴식을 취하고 보급을 받은 군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
캠프는 다양한 유형의 전문가들이 소속된 공병 부대의 책임이었으며, '아르키텍티'(''architecti''), 즉 "수석 엔지니어"가 지휘했다. 한 부대는 적의 공격을 받는 중에도 몇 시간 만에 캠프를 건설할 수 있었다. 그들은 군단이 캠프에서 보낼 시간의 길이에 적합한 캠프 계획을 선택하는 레퍼토리를 사용했을 것이다.[10]
더 영구적인 캠프는 ''카스트라 스타티바''(''castra stativa'', "상설 캠프")였다. 이 중 가장 임시적인 것은 ''카스트라 에스티바'' 또는 ''에스티발리아''(''aestivalia'', "하계 캠프")로, 병사들은 "텐트 아래"를 뜻하는 ''섭 펠리부스'' 또는 ''섭 텐토리이스''에 수용되었다.[11] 가장 큰 카스트라는 전체 군단 하나 이상을 위한 기지로 건설된 군단 요새였다.[12][13] 겨울에는 병사들이 막사와 더 견고한 재료로 지어진 다른 건물들이 있는 ''카스트라 히베르나''(''castra hiberna'')로 철수했으며, 목재 구조물은 점차 석조 구조물로 대체되었다.[14] ''카스트라 히베르나''는 한 방에 8명의 병사를 수용했으며, 그들은 이층 침대에서 잠을 잤다. 각 방의 병사들은 또한 직접 식사를 요리하고 "룸메이트"와 함께 식사해야 했다.[15]
아우구스투스 시대부터 확대되는 제국의 멀리 떨어진 획득하기 어려운 경계가 호전적인 부족으로부터의 지역 및 외부 위협을 통제하기 위해 영구적인 주둔지를 필요로 함에 따라 목조 또는 석조 건물과 벽이 있는 더 영구적인 카스트라가 도입되었다.
가장 고대 시대부터 로마 군대는 특정한 이상적인 패턴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이는 ''야전 요새에 관하여(De Munitionibus Castrorum)''와 폴리비오스의 저술에 공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다.[17]
이상적인 계획은 일반적으로 지형과 상황에 맞게 수정되었다. 고고학으로 발견된 각 야영지는 군사적 관점에서 볼 때 타당한 고유한 배치와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야영지가 노두 위에 세워진 경우 노두의 선을 따랐다. 이 계획이 가장 적합하고 아마도 아득한 선사 시대에 설계되었을 지형은 완만한 평원이었다.
야영지는 낮은 언덕의 정상과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샘물이 야영지(''aquatio'')를 통해 시내로 흘러가고, 동물을 위한 목초지(''pabulatio'')가 제공되었다.
거리, 문 및 건물은 야영지의 요구 사항과 자원에 따라 달랐다. 문은 2개에서 6개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측면에 중심이 있지 않을 수도 있었다. 모든 거리와 건물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었다.
5. 1. 배치
이상적인 계획은 야영지 또는 요새에 선형적인 배치를 강요했다. 군단 하나 또는 작은 부대를 수용하기 위한 캠프는 정사각형, 군단 두 개는 직사각형으로 배치했으며, 각 군단은 본부를 서로 옆에 배치하여 등을 맞대도록 했다.[25] 로마인들의 기하학에 대한 종교적인 헌신은 그들이 캠프에 정수 직각 삼각형을 건설하게 만들었다.[21] 캠프 배치는 숙련된 장교인 ''metatores''가 수행한 기하학적 훈련으로, 눈금 측정 막대인 ''decempedae'' ("10피트")와 수평 가로대와 수직 추선이 있는 수직 막대로 구성된 시준 장치인 그로마를 사용했다. 이상적으로 이 과정은 계획된 캠프의 중앙, 본부 텐트 또는 건물(''principia'')에서 시작되었다. 거리와 다른 특징은 색깔있는 깃발이나 막대로 표시되었다. 리차드슨은 카스트라의 종횡비를 통해 전투 대형을 결정할 수 있으며,[22] 그 안에 수용된 군단의 크기에 따라 캠프의 면적이 결정된다고 적고 있다.[18]오늘날 여러 도시의 거리 계획은 로마 캠프의 흔적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고대 릴리바에움인 시칠리아의 마르살라는 주요 거리의 이름인 카사로가 "카스트룸"이라는 이름을 보존하고 있다. 이상적인 계획은 일반적으로 지형과 상황에 맞게 수정되었다. 고고학으로 발견된 각 야영지는 군사적 관점에서 볼 때 타당한 고유한 배치와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야영지가 노두 위에 세워진 경우 노두의 선을 따랐다.
야영지는 낮은 언덕의 정상과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샘물이 야영지(''aquatio'')를 통해 시내로 흘러가고, 동물을 위한 목초지(''pabulatio'')가 제공되었다.
거리, 문 및 건물은 야영지의 요구 사항과 자원에 따라 달랐다. 문은 2개에서 6개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측면에 중심이 있지 않을 수도 있었다. 모든 거리와 건물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었다.

(1) 프린키피아
(2) 비아 프라에토리아
(3) 비아 프린키팔리스
(4) 포르타 프린키팔리스 덱스트라
(5) 포르타 프라에토리아(정문)
(6) 포르타 프린키팔리스 시니스트라
(7) 포르타 데쿠마나(후문)
야영지의 이상적인 형태는 직선적인 설계이다. 1개 군단 이하 규모의 군대의 야영지는 정사각형, 2개 군단일 경우에는 직사각형으로, 이 경우 각 군단의 본부가 인접해 있으며 전체를 2개로 나누어 각 군단이 사용하게 되어 있었다. 배치를 결정하는 것은, ''decempedae'' (10피트)라고 불리는 측량용 막대기를 사용하는 기술자들(''metatores'')과, 그로마라고 불리는 조준기(수직 막대기 끝에 십자형 수평 부분이 있고, 그 끝에 추를 단 실을 늘어뜨린 것)를 사용하는 기술자들(''gromatici'')이다. 이상적으로는 배치를 먼저 중앙의 본부 텐트 또는 건물(principia)에서 시작한다. 길이나 다른 부분은 색깔이 있는 페넌트나 막대기로 표시했다.
5. 2. 방어 시설
카스트룸의 특별한 구조는 공격으로부터 방어했다. 기지(''munimentum'', "요새")는 완전히 ''발룸''("벽") 내부에 위치했으며, 필요하다면 전투 대형을 갖춘 군단의 보호 아래 건설될 수 있었다. ''발룸''은 사각형이었으며, 나침반의 사방에 맞춰 정렬되었다.건설 작업반은 참호(''fossa'')를 파고, 파낸 흙을 안쪽으로 던져 둑(''agger'')을 형성했다. 이 위에 말뚝 울타리(''수데스'' 또는 ''발리'')를 세웠다. 병사들은 행군할 때 이 말뚝들을 운반해야 했다.[24]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말뚝 울타리는 벽돌이나 돌담으로 대체될 수 있었고, 참호는 해자 역할도 했다. 군단 규모의 야영지에는 벽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탑이 배치되었고, 그 사이에는 포병 부대가 배치되었다.
방어벽인 ''발룸''의 내부 주변에는 빈 공간인 ''인테르발룸''이 있었는데, 이는 적의 투사체를 막고, ''발룸''으로 접근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가축(''카피타'')과 노획물(''프라에다'')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로마인들은 기하학의 대가였으며 그들의 야영지에서 이를 보여주었다. 현대 연구에 따르면 인테르발룸은 "요새가 둘러싼 면적의 제곱근의 1/16"이었다.[25]
군단병들은 ''인테르발룸'' 안쪽의 주변 구역에 주둔했는데, 그들은 이 구역을 빠르게 지나 ''발룸''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군단병 숙소 안에는 주변 도로인 ''비아 사굴라리스''가 있었는데, 아마도 일종의 "군사용 도로"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병사들의 의복이었던 ''사굼''(일종의 망토)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5. 3. 내부 시설
방벽(''vallum'') 안쪽에는 ''인테르발룸''이라는 빈 공간이 있었는데, 적의 투사 무기(화살이나 돌)를 막고, 소(''capita'')나 전리품(''praeda'')을 보관하는 역할을 했다.[25] 일반 병사는 적의 습격이 있을 때 즉시 방벽의 정해진 위치에 있어야 했기 때문에, ''인테르발룸''에 면한 변두리 지역에 숙소(막사)를 정했다. 일반 병사의 숙소 안쪽에는 ''Via Sagularis'' (''sagum''은 노예가 입는 외투를 의미하므로 "측면 길"이라는 뜻으로 여겨진다)라는 길이 있었다.모든 야영지에는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넓은 길이 있었는데, 고대 로마에서는 이 길을 ''cardo'' 또는 ''Cardus Maximus''라고 불렀다. 이 명칭은 고대 야영지보다는 도시 쪽에 더 잘 어울린다.[54] 이 주요 거리는 일반적으로 ''Via Principalis''라고 불리며, 중앙에는 열병식용 운동장과 본부 구역이 있었다. 본부 건물(''praetorium'')에는 프라에토르 또는 기지 사령관과 그의 스태프가 기거했다. 군단 규모의 야영지인 경우, 사령관은 집정관 또는 프로콘술 계급이 일반적이었지만, 더 하급의 군인이 사령관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praetorium''의 한쪽에는 퀘스토르(재무관) 또는 병참 담당 장교가 사용했던 ''quaestorium''이라는 건물이 있었고, 다른 한쪽에는 도시의 것보다 약간 작은 포룸이 있어 상업이 이루어졌다. ''Via Principalis''에 면한 곳에는 트리부누스 밀리툼의 주거 또는 텐트가 몇 채 늘어서 있었고, 그 뒤에는 그들이 담당하는 부대의 병영이 있었다.
''Via Principalis''가 방벽과 만나는 위치에는 ''Porta Principalis Dextra''(오른쪽 주문)와 ''Porta Principalis Sinistra''(왼쪽 주문)가 있었으며, 이 문에는 ''turres''라고 불리는 탑이 있었다. 남북 어느 쪽에 해당하는지는 ''Praetorium''의 정면이 동서 중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졌으며, 그 점은 불분명하다.
''Via Principalis'' 중앙에 위치하며 사령관 등이 사용하는 건물군을 ''Principia''(''principium''의 복수형)라고 불렀다. 거기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거리가 ''Via Praetoria''인데, ''praetorium''이 그것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Via Principalis''와 ''Via Praetoria''에 의해 야영지 전체가 4개의 구획으로 크게 분할되었다.
''Principia'' 정면에 마주하고 있는 것이 정문인 ''Porta Praetoria''였다. 군대는 여기에서 야영지 안으로 들어가 ''Via Praetoria''를 따라 진행하여 본부 앞에서 대열을 풀었다. 군단기는 그 장소에 게양되었다.
''Via Praetoria''는 ''praetorium'' 뒤편에도 이어져 방벽과 만나는 위치에 ''Porta Decumana''라는 문이 있었다. 이것은 뒷문으로 여겨지며, 보급 물자는 이 문에서 반입된 것으로 보인다. ''Porta Quaestoria''라고도 불리는데, Decumena는 "10번째의"라는 의미로, 마니풀루스를 제1부터 제10까지 순서대로 배치했을 때 이 문 근처에 제10 부대가 위치하는 데서 유래한다. 이쪽의 ''Via Praetoria''는 ''Via Decumena''라고 부르기도 하며, ''Via Praetoria'' 전체를 ''Decumanus Maximus''라고 부르기도 한다.[55]
평상시에는 야영지에 원주민과의 교역소를 설치했는데, 원주민은 문에서 5구획 떨어진 위치(프라이토리움까지 절반)까지 들어가는 것을 허용했다. 그곳에는 ''Via Praetoria''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Via Quintana''(5번가)라는 거리가 있었다. 야영지에 추가로 문이 필요한 경우, ''Via Quintana''가 방벽과 교차하는 장소에 ''Porta Quintana''가 건설되었다. 양쪽에 만드는 경우에는 ''dextra''와 ''sinistra''를 붙여 불렀을 것으로 생각된다. 문을 만들지 않는 경우에는 ''Porta Decumana''가 ''Porta Quintana''의 역할을 했고, 그곳에 시장이 형성되었다.
''Via Quintana''와 ''Via Principalis''에 의해 카스트라는 ''Latera Praetorii'', ''Praetentura'', ''Retentura''라는 3부분으로 나뉜다. ''latera''(「옆」의 의미)에는 제단, 점술가의 관(Auguratorium), 재판이나 분쟁 조정을 하는 ''Tribunal'', 위병소, 각종 스태프 구획, 곡물 창고(''horreae''), 고기 창고(''carnarea'') 등이 있었다. 유적 내 변소 하수구를 조사한 결과, 카스트라 내 주식은 곡물이었던 것으로 판명되었다. ''Latera''에는 ''Armamentarium''이라는 무기고도 있었고, 방벽에 설치된 것이 아닌 투석기 등이 놓여 있었다.
''Praetentura''(「정면으로의 펼침」의 의미)에는 레가투스 이상의 고급 장교 구획인 ''Scamnum Legatorum''이 있었다. ''Principia'' 부근에는 병원(''Valetudinarium''), 주거(''Veterinarium''), 목공이나 금속 세공 공방(''Fabrica'')이 있었고, 로마 해군(''Classici''), 기병대(Equites), 정찰대(Exploratores), 전장에서 군단기를 가진 부대(''Vexillarii'') 등 특수 부대 구획도 있었다.
''Retentura''(「후방으로의 펼침」의 의미) 중 ''Principia''에 가까운 곳에 ''Quaestorium''이 있었다. 제정 후기에는 전리품 보관고나 지위가 높은 적 인질의 감옥이 놓였다. ''Quaestorium'' 근처에는 켄투리아 2개 부대 분의 인원을 거느리는 사령부 근위대(''Statores'') 구획이 있었다. 임페라토르가 카스트라에 있는 경우에는 그들이 보디가드를 맡았다.
''퀘스토리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는 외국 부대인 ''나티오네스''의 텐트가 있었고, 그 너머에는 일반 군단병의 텐트와 병영(''스트리게'')이 두 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하나의 ''스트리가''는 최소 약 18.29m 너비였고, 반 너비인 약 9.14m 텐트는 ''헤미스트리게''라고 불렸다. 텐트 앞에는 수레와 무기가 보관되었다.
텐트 하나는 10피트×12피트(그 중 2피트는 통로)였으며, 10명이 기거했다. 기본적으로 텐트 10개로 백인대(켄투리아) 하나가 구성되었고, 텐트 10개 대가 한 줄로 정렬되었으며, ''포르타 데쿠마나'' 근처에 제10부대가 위치했다. 1인당 침대 공간은 약 9.29m2로, 대략 2×5피트 정도였으며, 머리가 통로로 튀어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 텐트를 콘투베르니움(contubernium)이라고 불렀다. 콘투베르니움에 8명 미만이 기거했던 시기도 있었다.
백인대장(켄투리오)은 별도 구역에 약 2배 넓이의 텐트를 받았으며, 그곳이 해당 백인대의 공식 구역이기도 했다. 이러한 밀집된 주거 환경 때문에 장교가 일반 병사를 바쁘게 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했다.
지붕이 있는 주랑이 텐트를 따라 뻗은 보도에 덮이기도 했다. 병영을 건설할 경우, 백인대 하나에 병영 하나가 건설되었으며, 한쪽 끝에는 무기고, 다른 쪽 끝에는 공동 구역(부엌, 게임 등 오락실)이 마련되었다. 군은 식량과 외부 오븐에서 구운 빵(''파니스 밀리타리스'')을 제공했지만, 기본적으로 병사들이 직접 요리했다. 식당에서 돈을 내고 식사하거나, 상점에서 보조 식량을 살 수도 있었다. 장교에게는 하인이 주어졌다.
5. 4. 위생 시설
카스트라에는 위생 시설로 공중 변소와 개인용 변소가 있었다. 공중 변소는 물이 흐르는 수로 위에 변좌를 놓은 형태였다. 카스트라 건설 장소를 선정할 때 물의 흐름은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였는데, 기술자들은 이 물을 위생 설비에 사용했다. 음용수는 우물을 파서 얻었지만, 보다 영구적이고 규모가 큰 카스트라의 경우 수도를 수 마일 떨어진 곳에서 건설하기도 했다.[27] 프라에토리움에는 전용 변소가 있었고, 고위 장교들이 거주하는 구역에도 전용 변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 병사들을 위한 변소는 ''intervallum'' 부근에 설치되었다. ''Via Principalis'' 부근에 건설된 공중 목욕탕에도 변소가 있었다.[27]6. 카스트룸의 생활
카스트라에서 수행되는 활동은 크게 일상적인 활동과 군무(軍務) 또는 경계(警戒)로 나눌 수 있다. 일상 활동은 정규 근무 시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군무는 군사 시설 운영을 위해 24시간 내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모든 병사가 항상 성벽을 지킬 필요는 없었지만, 일부 병사는 항상 근무해야 했다.[31]
근무 시간은 하루를 8등분한 ''vigilia''(경계) 단위로 나뉘었으며, 각 경계는 3시간이었다.[31] 시간을 알리기 위해 부키나(buccina|부키나la), 코르누, 튜바 등의 금관 악기가 사용되었다. 이 악기들은 음높이 조절 밸브가 없어 음역대가 제한적이었지만, 악사(''aenatores'')들은 다양한 신호를 만들어 명령을 전달했다. 경과 시간은 트럼펫의 기원인 ''부키나''를 통해 ''부키나토르''(buccinator)가 알렸다.
6. 1. 일상 생활
평화로운 시기에 주둔지(카스트라)는 인근 지역 원주민들과 시장을 열었다. 원주민들은 5구역(프라에토리움의 중간 지점)까지 주둔지에 들어올 수 있었으며, 그곳에서 ''Via Decumana''(데쿠마나 가도)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Via Quintana''(퀸타나 가도, 5번가영어, quintana|다섯 번째la)라는 길이 있었다. 주둔지에 더 많은 문이 필요하면, ''Porta Quintana''(퀸타나 문)이 하나 또는 두 개 건설되었으며, ''dextra''(오른쪽)와 ''sinistra''(왼쪽)로 명명되었을 것이다. 문이 건설되지 않았다면, ''Porta Decumana''가 ''Porta Quintana''가 되었다. 공설 시장은 ''Via Quintana''에서 허용되었다.[28]

''비아 퀸타나''와 ''비아 프린키팔리스''는 캠프를 ''라테라 프라토리이'', ''프레텐투라'', ''레텐투라''의 세 구역으로 나누었다. "측면"에 해당하는 ''라테라''에는 ''아라에''(제물 제단), 점술을 위한 ''아우구르아토리움'', 군사 재판과 중재가 이루어지는 ''트리부날''(높은 단), 초소, 다양한 직원 숙소, 곡물(''호레아'') 또는 고기(''카르나레아'') 창고가 있었다. ''호레아''는 때때로 병영 근처에 있었고, 고기는 산 채로 보관되었다. 변기 하수 분석 결과 군단병 식단은 주로 곡물이었다. ''라테라''에는 성벽에 없는 중무기와 포병을 보관하는 긴 창고인 ''아르멘타리움''도 있었다.

"앞쪽으로 뻗어 있는" ''프레텐투라''에는 장군보다 낮지만 대대장보다 높은 장교들의 숙소인 ''스캄눔 레가토룸''이 있었다.[28] ''프린키피아'' 근처에는 ''발레투디나리움''(병원), ''베테리나리움''(말용), ''파브리카''("작업장", 금속 및 목재)가 있었고, 더 앞쪽에는 ''클라시치''("해병"), ''에퀴테스''("기병"), ''탐정''("정찰병"), ''벡실라''("군단 및 부대의 공식 깃발인 벡실라의 운반자") 등 특수 부대의 숙소가 있었다.
''레텐투라''("뒤쪽으로 뻗어 있는") 중 ''프린키피아''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는 ''퀘스토리움''이 있었다. 제국 말기에는 약탈품 보관소이자 인질과 고위 적 포로의 감옥으로도 발전했다. ''퀘스토리움'' 근처에는 두 개의 백인대(중대)에 달하는 본부 경비병(''스타토레스'')의 숙소가 있었다. 임페라토르가 있다면 그들은 그의 보디가드 역할을 했다.

일반적인 야영 생활은 새벽 ''부치나''(buccina) 소리로 시작되었으며, 하루의 첫 번째 보초였다. 병사들은 일어나서 조식과 집회를 위해 대대 지역에 모였다. 백인대장들은 먼저 일어나 ''기병대(equites)''와 함께 ''프린키피아''(principia)로 향했다. 연대 사령관인 트라이브는 이미 ''프라에토리움''(praetorium)으로 모여들었고, 참모들은 하루를 계획했다. 참모 회의에서 ''트리뷴''은 암호와 당일 명령을 받아 ''백인대장''에게 전달했고, 백인대장은 병사들을 지시했다.
군인들의 주요 안건은 1시간 정도의 격렬한 훈련이었다. 신병은 오전과 오후에 각각 두 번 훈련을 받았다.[32] 훈련 계획 및 감독은 일반 참모 장교가 담당했으며, 여러 캠프에서 훈련을 관리했다. 베게티우스에 따르면, 병사들은 완전 군장을 하고 32km를 행군하거나 68km를 조깅하거나 강을 헤엄쳐 건널 수 있었다. 행군 훈련은 항상 필수였다.
각 병사는 모든 무기 사용법과 말 타는 법을 배웠고, 항해술은 해군 기지에서 가르쳤다. 군인들은 군사 및 건설 기술 전문가였다. 활쏘기, 창 던지기, 땅에 고정된 말뚝(''팔리'')을 상대로 한 검술을 연습했다.[32] 훈련은 매우 진지하고 민주적이었다. 일반 병사들은 ''프라에토르''나 황제를 포함한 모든 장교들이 함께 훈련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검술과 사격 연습은 "야영지"에서 파생된 ''카스트라'' 외부 "들판"인 ''캠퍼스''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다. 표면은 가볍게 포장될 수 있었다. 겨울에는 야외 훈련이 축소되었고, 장군은 훈련용 야전 주택 역할을 하는 창고를 건설했을 것이다. 실내 마술 링이 있다는 고고학적 증거도 있다.
훈련 외에도 각 병사는 서기부터 장인까지 다양한 정규직을 가졌다. 병사들은 자주 직업을 바꾸었다. 사령관은 모든 병사들이 모든 예술과 공예에 능숙하여 상호 대체할 수 있기를 원했지만, 완전히 달성할 수는 없었다. 그 간극은 "선택된 사람들"인 ''옵티오네스''와 같은 전문가가 채웠다. 숙련된 장인이 작업장을 감독하도록 선택되었을 것이다. 병사들은 하루 행군 후 전쟁에 참여하기 전 도착 시 캠프를 건설해야 했다.[33]

보급 관리는 돈을 교환 매개체로 사용한 사업 방식이었다.[34] 아우레우스는 로마 공화국 말기와 초기 제국 시대에 선호되는 동전이었고, 후기 제국 시대에는 솔리두스가 사용되었다. ''모군티아쿰'' 같은 대규모 기지에서는 자체 동전을 주조했다. 기지 퀘스토리아는 주로 옵티오네스가 수행하는 신중한 기록 유지를 필요로 했다. 영국 빈돌란다에서 발견된 정제 조각들은 보급 거래를 보여준다. 소모품 및 원자재 구매, 의류 등 품목 보관 및 수리, 식료품 포함 품목 판매를 통한 수입을 기록한다. 빈돌란다는 주변 원주민들과 활발하게 거래했다.[35]
캠프의 또 다른 특징은 군 병원(''발레투디나리움'', 후에는 ''호스피티움'')이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군에 최초의 영구 의무 부대를 설립했다. ''메디치 오르디나리''(medici ordinarii)[36]는 자격 있는 의사였고, 의대생, 실무자, 조수를 허용했다. 군 병원은 의과대학이자 레지던트 과정 장소였다.[37]
장교는 결혼하여 기지에서 가족과 함께 거주할 수 있었다. 군대는 결혼이 허용되지 않은 병사들에게는 같은 특권을 부여하지 않았다.[38] 그러나 그들은 종종 인근 지역 사회에서 불법적인 가족 관계를 유지했다. 지역 사회는 부족민들이 무역을 위해 영구 기지 주변에 건설하는 경향이 있어 원주민일 수도 있지만, 기지는 의존인과 사업가들의 마을(''비치'')을 후원했다. 의존인은 적대적 영토로 행군하는 군대를 따라갈 수 없었다.
군 복무는 약 25년이었다. 기간이 끝나면 퇴역 군인에게 명예 제대 증명서(''honesta missio'')가 주어졌다. 일부는 돌에 새겨져 생존했다. 일반적으로 퇴역 군인, 아내(퇴역 군인당 한 명), 자녀 또는 연인이 로마 시민임을 증명했는데, 이는 국경 군대가 로마 시민권을 얻고 싶어하는 국경 지역 사람들이었다는 징표이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치하에서는 시민권이 일반 병사 퇴역 군인 자녀에게 부여되지 않았고, 장교에게만 제한되었다.[39] 퇴역 군인들은 기지 근처 지역 사회에서 사업을 시작했다.[40] 그들은 지역 사회의 영구 구성원이 되었고, 성 파트리치오 가족처럼 군대 철수 후에도 머물렀다.
6. 2. 군무
카스트라에서의 평시 활동은 일상생활과 "군무" 또는 "감시"로 분류된다. 일상생활은 정규 근무 시간 사이에 이루어졌다. 군무는 주로 군사 시설로서의 기능 유지를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방벽에서의 감시 임무가 있었다.군무 시간은 24시간을 8분할한 ''vigilia''를 기본 단위로 행해졌다.[57] 그 시간이 되면 나팔(금관악기)을 불어 알렸다. buccina|부키나la(「부」에 악센트) 혹은 bucina|부키나la), 코르누, 튜바와 같은 악기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악기에는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부는 사람(''Aenatores'')은 다양한 지령을 음색으로 구분하여 불었다.
일상생활과 더불어 "군무(軍務)"도 수행되었다. 군무는 군대 조직으로서의 엄격한 규칙에 따라 수행되는 군사 기지의 유지에 필요한 각종 직무를 말한다. 기지 전체를 통괄하는 레가투스가 이러한 군무 할당에 대한 책임이 있지만, 실제로는 당번 트리부누스 밀리툼이 군무 할당을 담당했다. 트리부누스 밀리툼은 코호르스의 사령관이며, 현대 군대로 비유하면 대령에 해당한다. 6명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은 2인 1조로 구성되어 2개월 동안 군무를 담당했다. 이들은 2개월 동안의 군무 감독 분담을 스스로 결정했다. 하루씩 교대하거나, 한 달씩 분담할 수 있었다. 한쪽이 병에 걸리는 등 군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다른 한 명이 대신 맡았다. 당번인 날에는 해당 트리부누스 밀리툼이 카스트라 전체의 실질적인 지휘관으로서 레가투스와 비슷한 권한을 가졌다.
현대 군사 기지에서의 군무와 카스트라에서의 군무는 대략적으로 대응된다. 개별적인 세부 책임 분담 (''curae'')은 제비뽑기, 로테이션, 협상 등 공정하고 민주적이라고 여겨지는 방법으로 할당되었다. 특정 계급이나 부대에만 할당되는 ''cura''도 있었는데, 예를 들어 방벽의 초병은 벨리테스만이 맡았다. 군무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면제될 수 있었으며, 이를 ''immunes''라고 불렀다. 예를 들어, 참전 경험이 많은 트리아리이는 보병에게 할당되는 군무가 면제되었다.
군무는 1개월 또는 2개월 단위로 마니풀루스 또는 켄투리아마다 할당되었다. 그리고 그 부대 내에서 군무 수행 일정을 조정했다. 전형적인 군무로는 보초가 있었으며, 낮의 보초를 ''excubiae'', 밤의 보초를 ''vigilae''라고 불렀다. 방벽의 초병을 ''praesidia'', 문지기를 ''custodiae'', 특히 문 앞에 나가서 감시하는 자를 ''stationes''라고 불렀다.
6. 3. 경제 활동
평화로운 시기, 주둔지는 인근 원주민들과 시장을 열었다. 원주민들은 프라에토리움(praetorium) 중간 지점인 5구역까지 들어올 수 있었다. 그곳에서 ''Via Decumana'' (데쿠마나 가도)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Via Quintana'' (퀸타나 가도, 영어: 5번가)가 있었다. 더 많은 문이 필요하면 ''Porta Quintana'' (퀸타나 문)을 건설했고, ''dextra'' (오른쪽), ''sinistra'' (왼쪽)로 명명했다. 문이 없으면 ''Porta Decumana''가 ''Porta Quintana''가 되었다. ''Via Quintana''에서 공설 시장이 허용되었다.''비아 퀸타나''와 ''비아 프린키팔리스''는 캠프를 ''라테라 프라토리이'', ''프레텐투라'', ''레텐투라''로 나누었다. ''라테라''에는 제물 제단인 ''아라에'', 점술을 위한 ''아우구르아토리움'', 군사 재판과 중재가 이루어지는 ''트리부날''(높은 단), 초소, 직원 숙소, 곡물(''호레아'') 또는 고기(''카르나레아'') 창고가 있었다. ''호레아''는 병영 근처에 있었고, 고기는 산 채로 보관했다. 하수 분석 결과, 군단병 식단은 주로 곡물이었다. ''라테라''에는 중무기와 포병을 보관하는 ''아르멘타리움''도 있었다.
''프레텐투라''에는 장군보다 낮지만 대대장보다 높은 장교 숙소인 ''스캄눔 레가토룸''이 있었다.[28] ''프린키피아'' 근처에는 ''발레투디나리움''(병원), ''베테리나리움''(말용), ''파브리카''(작업장)가, 더 앞쪽에는 ''클라시치''("해병"), ''에퀴테스''("기병"), ''탐정''("정찰병"), ''벡실라''(벡실라 운반자) 등 특수 부대 숙소가 있었다.
''레텐투라'' 중 ''프린키피아''에 가장 가까운 곳에는 ''퀘스토리움''이 있었다. 제국 말기에는 약탈품 보관소이자 인질, 고위 포로 감옥으로 발전했다. ''퀘스토리움'' 근처에는 백인대(중대) 2개 규모의 본부 경비병(''스타토레스'') 숙소가 있었다. 임페라토르가 있으면, 그의 보디가드 역할을 했다.
일반적인 야영 생활은 새벽 ''부치나''(buccina) 소리로 시작되었다. 병사들은 일어나 조식, 집회를 위해 대대 지역에 모였다. 켄투리오(백인대장)는 먼저 일어나 ''기병대(equites)''와 ''프린키피아''(principia)로 향했다. 연대 사령관 트리부는 ''프라에토리움''(praetorium)에 모였다. 참모들은 하루를 계획하고, 참모 회의에서 ''트리뷴''은 암호와 당일 명령을 받았다. ''백인대장''은 병사 지시를 위해 중대 지역으로 돌아갔다.
주요 안건은 1시간 훈련이었다. 신병은 오전, 오후 두 번 훈련받았다.[32] 훈련 계획 및 감독은 일반 참모 장교가 지휘했고, 여러 캠프 훈련을 관리했다. 베게티우스에 따르면, 완전 군장 행군, 조깅, 수영 훈련을 했다.
각 병사는 모든 무기 사용법, 말 타는 법, 항해술(해군 기지)을 배웠다. 군사 및 건설 기술 전문가였다. 활쏘기, 창 던지기, 검술을 연습했다.[32] 훈련은 진지하고 민주적이어서, 일반 병사는 ''프라에토르'', 황제 등 모든 장교가 함께 훈련하는 것을 보았다.
검술, 사격 연습은 ''카스트라'' 밖 ''캠퍼스''에서 했다. 겨울에는 야외 훈련이 축소되어, 훈련용 야전 주택(창고)을 건설하거나 실내 마술 링을 이용했다.
훈련 외에도 각 병사는 서기, 장인 등 다양한 정규직을 가졌다. 병사들은 자주 직업을 바꾸었다. 사령관은 모든 병사가 모든 기술에 능숙하여 서로 대체할 수 있기를 원했지만, 완전히 달성할 수 없었다. ''옵티오네스''(선택된 사람들) 같은 전문가가 간극을 채웠다. 숙련된 장인이 작업장을 감독했다. 병사들은 행군 후 전쟁 전에 캠프를 건설해야 했다.[33]
보급 관리는 돈을 교환 매개체로 하는 사업 방식이었다.[34] 아우레우스는 로마 공화국 말기, 초기 제국 시대에 선호되었고, 후기에는 솔리두스가 사용되었다. ''모군티아쿰'' 같은 큰 기지는 자체 동전을 주조했다. 기지 퀘스토리아는 주로 옵티오네스가 수행하는 기록 유지를 했다. 영국 빈돌란다에서 발견된 정제 조각은 보급 거래를 보여준다. 소모품, 원자재 구매, 의류 등 품목 보관 및 수리, 식료품 판매를 통한 수입을 기록했고, 빈돌란다는 주변 원주민과 활발히 거래했다.[35]
7. 카스트룸과 도시 발전
카스트룸은 단순한 군사 기지를 넘어 주변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구 기지 유지를 위해 필요한 토지 전체를 ''테리토리움''(territoria)이라 불렀으며, 여기에는 목초지, 숲, 수원, 채석장, 광산, 훈련장, 부속 마을 등 기지에 필요한 자원과 지형이 포함되었다. 중앙 카스트라는 자체적으로 자급자족하기 어려운 ''스페쿨라''(speculae, 망루), ''카스텔라''(castella, 작은 야영지), 해군 기지 등 다양한 요새화된 부속 시설을 지원했다.
강 근처의 모든 주요 기지에는 강이나 호수를 한쪽 면으로 하는 요새화된 해군 시설이 있었다. 다른 면은 다각형 벽, 해자, 문, 망루로 방어했다. 주요 시설로는 보트 창고와 부두가 있었고, 사용하지 않는 보트는 창고로 옮겨 유지 보수 및 보호를 받았다. 해군 기지는 보통 성벽 밖에 위치했는데, 이는 야영지가 강 근처 언덕이나 경사면에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해군 시설의 ''클라시치''(classici)와 ''옵티오네스''(optiones)는 방어를 위해 야영지에 의존했으며, 해군 인력은 더 나은 숙소와 시설을 이용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군대를 위해 일하는 민간인이었다.
로마 군사 캠프에서 시작된 유럽의 많은 정착지는 여전히 그 흔적을 보여준다(예: 프랑스 카스트르, 스페인 바르셀로나).[30] 이 패턴은 아메리카의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이 신세계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할 때도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의 많은 마을 이름에는 '카스트라'의 흔적이 남아있는데, 주로 "-caster", "-cester", "-chester" 접미사 형태로 나타난다(예: 랭커스터, 태드캐스터, 우스터, 글로스터, 맨체스터, 유톡세터, 콜체스터, 체스터, 맨체스터, 리브체스터). 성을 뜻하는 'castle'은 '카스텔룸'(castellum, 작은 요새)에서 유래했지만, 보통 이전 로마 캠프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예외적으로 휘틀리 성은 노섬벌랜드의 에피아쿰 로마 요새를 가리킨다.
유럽의 많은 도시들은 고대 로마의 카스트라에서 기원했으며, 당시의 가로 구획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예: 프랑스 카스트르, 스페인 바르셀로나).[56] 스페인의 아메리카 대륙 식민지화 당시에도 이 패턴은 신대륙의 신도시 건설에 활용되었다.
다음은 로마 시대 카스트룸에서 기원한 도시들의 예시이다.
속주 | 도시 |
---|---|
이집트 속주 | 알렉산드리아 |
아프리카 속주 | 탐가스 |
다키아 속주 | 아프룸, 카스트라 노바, 노바에, 플로이에슈티, 시기에쇼아라, 투르나베니 |
달마티아 속주 | 라구시움 |
게르마니아 속주 | 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 바타비스, 본나, 카스트라 레기나, 모곤티아쿰, 노바에슘, 노비오마구스, 베테라 |
히스파니아 속주 | 아스투리카 아우구스타, 카스트라 세르빌리아, 레기오, 룩스 아우구스티, 타라코 |
이탈리아 반도 | 카스트라 알바나, 카스트라 타우리노룸, 크레모나, 플라켄티아 |
모에시아 속주 | 스쿠피 |
노리쿰 속주 | 에모나, 브리간티움, 카르눈툼, 카스트라 마이엔세, 빈도보나 |
판노니아 속주 | 무르사, 포에토비오, 실미움 |
시리아 속주 | 아파메아, 보스트라, 두라, 에메사 |
현대 도시에서도 고대 로마 야영지의 흔적이 거리 배치와 이름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시칠리아의 마르살라는 고대 릴바이움이지만, 중심 거리 이름은 카스트룸에서 유래한 Cassaro이다.
참조
[1]
문서
[2]
서적
Allen and Greenough's new Latin Grammar for Schools and Colleges
Ginn & Company
2021-10-14
[3]
문서
[4]
문서
[5]
서적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https://archive.org/[...]
Francke
[6]
웹사이트
Alcibiades 9.3
http://www.thelatinl[...]
Latin Library
[7]
문서
[8]
간행물
A Camp in search of a Campaign: The reality of Hyginus' Roman army
https://www.academia[...]
2019-04-18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웹사이트
The Life of a Roman Soldier
https://www.timetrip[...]
2021-10-03
[16]
문서
[17]
문서
[18]
간행물
Space and Manpower in Roman Camps
2003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서적
THEORETICAL APPROACHES TO ROMAN CAMP AND FORT DESIGN: AN EXAMINATION OF THE FRONTIERS IN BRITAIN AND NORTH AFRICA UNDER HADRIAN
https://open.library[...]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9
[24]
문서
[25]
간행물
Camps and forts of units and formations of the Roman army
2002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웹사이트
Life in the Roman Army
https://www.timetrip[...]
2021-11-08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The Tombstone of Anicius Ingenuus
[37]
문서
Scheidel page 14
[38]
문서
Scheidel pages 2-8
[39]
간행물
Women in Roman forts: Residents, visitors or barred from entry?
2010
[40]
문서
[41]
서적
The Romans
Macdonald educational
1975
[42]
웹사이트
Castrum/Castra
http://www.perseus.t[...]
The Perseus Digital Library
2010-06-05
[43]
문서
印欧語源辞典
[44]
웹사이트
The Military Institutions of the Romans (De Re Militari)
http://www.pvv.ntnu.[...]
Brevik, Mads
2010-06-05
[45]
서적
Roman Auxiliary Forts 27 BC-AD 378
Oxford
2009
[46]
서적
ユダヤ戦記
[47]
웹사이트
Castra
https://penelope.uch[...]
John Murray, republished on Bill Thayer's LacusCurtius site
2010-06-05
[48]
간행물
Westerton: A Roman Watchtower on the Gask Frontier
http://ads.ahds.ac.u[...]
2010-06-05
[49]
서적
英雄伝
[50]
웹사이트
De Munitionibus Castrorum
http://www.thelatinl[...]
Ad fontes Academy
2010-06-05
[51]
웹사이트
The Histories (English translation) Book VI
https://penelope.uch[...]
2010-06-05
[52]
웹사이트
Castra et urbs romana: An Examination of the Common Features of Roman Settlements in Italy and the Empire and a System to aid in the Discovery of their Origins.
http://cac-scec.ca/c[...]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2010-06-05
[53]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John Murray
2010-06-05
[54]
문서
[55]
문서
[56]
웹사이트
Castra et Coloniae: The Role of the Roman Army in the Romanization and Urbanization of Spain
http://www.history.u[...]
Phi Alpha Theta: History Honors Society, UCLA Theta Upsilon Chapter, UCLA Department of History
2010-06-05
[57]
서적
A Grammar of the Latin Language from Plautus to Suetoniu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0-06-05
[58]
서적
The Impact of the Roman Army (200 BC - AD 476). Economic, Social, Political, Religious and Cultural Aspects
Brill
2010-06-05
[59]
웹사이트
(the Tablets)
http://vindolanda.cs[...]
Centre for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Academic Computing Development Team at Oxford University
2010-06-05
[60]
웹사이트
Marriage, Families and Survival in the Roman Imperial Army: Demographic Aspects
http://www.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2010-06-05
[61]
웹사이트
(Military Diploma)
http://www.legionxxi[...]
Metz, George W
2010-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