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밀 팔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밀 팔리아는 미국의 저술가이자 학자이며, 페미니즘, 정치,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논쟁적인 견해를 제시해왔다. 이탈리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가톨릭 신자로 성장한 팔리아는 1990년 출간된 저서 《성적 페르소나》를 통해 서구 예술과 문학에 나타난 성적 상징과 이미지를 분석하며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탐구했다. 그녀는 주류 페미니즘을 비판하고, 트랜스젠더 문제, 기후 변화, 정치적 입장에 대해 독자적인 관점을 피력하며, 아동 성 문제에 대한 과거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전환자 대학 교수 - 래윈 코넬
래윈 코넬은 남성성, 젠더 관계, 지식 생산의 불평등한 구조를 연구하며 페미니즘 사회학에 큰 영향을 미친 오스트레일리아의 사회학자이자 젠더 연구 학자이다. - 성전환자 대학 교수 - 알렉산드라 빌링스
알렉산드라 빌링스는 미국의 배우, 가수, 강사, LGBTQ 권익 운동가로서, 《트랜스페어런트》의 다비나 레제네 역과 브로드웨이 뮤지컬 《위키드》 출연, HIV/AIDS 퇴치 및 성소수자 커뮤니티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 무신론적 여성주의자 - 시몬 드 보부아르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 여성주의 운동가인 시몬 드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했으며,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여성 억압의 근원을 분석했다. - 무신론적 여성주의자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시러큐스 (뉴욕주) 출신 - 메긴 켈리
메긴 켈리는 미국의 저널리스트, 변호사, 정치 평론가로서 폭스 뉴스, NBC 뉴스 앵커 및 토크쇼 진행자로 활동했으며 현재 시리우스 XM에서 팟캐스트를 진행하고 있고, 특히 폭스 뉴스 재직 시절 도널드 트럼프와의 설전으로 주목받았으나, NBC 뉴스에서는 블랙페이스 옹호 발언 논란으로 계약이 해지되는 등 논쟁적인 인물이다. - 시러큐스 (뉴욕주) 출신 - 마이클 콜
마이클 콜은 CBS 라디오 언론인 출신으로 1997년 WWE에 입사하여 프로레슬링 해설가로 활동하며, Raw와 스맥다운 해설을 맡는 등 WWE의 주요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커밀 팔리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커밀 팔리아는 10년 넘게 예술가 앨리슨 매덱스와 파트너 관계였다.[15][16] 팔리아는 매덱스의 아들(2002년생)을 법적으로 입양했다.[17] 2007년, 둘은 헤어졌지만,[18] 팔리아는 약 3.22km 떨어진 곳에 살면서 "조화로운 공동 양육자"로 남았다고 말했다.[4]
팔리아는 무신론자이며, "우주에 대한 매우 영적인 신비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19] 그녀는 점성술에 관심을 보였으며, ''Sexual Personae''를 포함한 여러 작품에서 이에 대해 썼다. "저는 점성가입니다. (중략) 제 책에 딱 나와 있습니다. 저는 점성술을 지지합니다. 저는 점성술을 믿습니다."라고 언급했다.[20]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커밀 팔리아는 뉴욕주 엔디컷에서 이탈리아 이민자 가정의 장녀로 태어났다.[4] 그녀의 조부모 네 명은 모두 이탈리아 출신이었다.[3][5] 팔리아는 가톨릭교회 신자로 자랐으며,[6] 뉴욕주 시골 옥스퍼드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다.[7] 그녀의 아버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으며,[8] 프랑스 미술사에 대한 책을 통해 어린 딸에게 예술을 접하게 했다.[9] 1957년, 가족은 뉴욕주 시러큐스로 이사했고, 팔리아는 그곳에서 초, 중, 노팅엄 고등학교를 다녔다.[10]걸 스카우트 USA 여름 캠프에서[12] 옥외 변소가 폭발하는 사건을 겪었는데, 팔리아는 이를 통해 "문화의 변소, 포르노와 범죄, 정신병리학을 들여다보고... 그 안에 폭탄을 떨어뜨리는 사람"이 되고자 했다고 밝혔다.[13][14]
1964년 팔리아는 빙햄턴 대학교 하퍼 칼리지에 입학하여,[21] 1968년에 수석 졸업했다.[9] 대학 재학 중 팔리아는 여러 장난으로 견책을 받기도 했다.[10]
예일 대학교 대학원생 시절(1968-1972), 팔리아는 해럴드 블룸의 지도를 받았다.[21] 그녀의 박사 학위 논문은 훗날 ''성적 페르소나''의 기반이 되었다.[25]
2. 2. 학문적 경력
커밀 팔리아는 빙햄턴 대학교 하퍼 칼리지를 수석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 대학원에서 해럴드 블룸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받았다.[9][21] 1972년 가을 벤닝턴 칼리지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며,[26] 철학자 제임스 페센덴과 친구가 되었다. 고전 문학, 제인 엘렌 해리슨,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에리히 노이만 등의 학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성적 역사 이론에 반대되는 자신만의 이론을 발전시켰다.1974년 12월, 예일대 박사 학위 논문 ''Sexual Personae: The Androgyne in Literature and Art''에서 모계 사회, 양성성, 동성애, 가학피학증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1976년 9월에는 이 논문을 바탕으로 공개 강연을 했다.[27]
팔리아는 1980년대 초 ''Sexual Personae''를 완성했지만 출판하지 못하고 예일, 웨슬리언 등에서 시간제 교사로 생계를 유지했다. 1984년 필라델피아 공연 예술 칼리지의 교수가 되었고, 이 칼리지는 1987년 필라델피아 예술 칼리지와 합병하여 예술 대학교가 되었다.
팔리아는 고전 및 인문학 저널 ''아리온''의 편집 위원이다.[31] 1995년부터 2001년까지, 그리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2016년부터 Salon.com에 정기적인 칼럼을 썼다.[32] 2005년, ''Foreign Policy''와 ''Prospect''에 의해 100대 공인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3. 주요 저서
- 《성적 페르소나(Sexual Personae, 1990)》: 서구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인간 본성의 디오니소스적 측면과 가학-피학적 욕망을 탐구한다. 이 책은 출판되기 전 최소 7곳의 출판사로부터 거절당했지만, 출판 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9]
- 《섹스, 예술, 그리고 미국 문화》(Sex, Art, and American Culture, 1992)》: 마돈나, 엘리자베스 테일러 등 대중문화 아이콘과 록 음악, 포르노그래피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를 모았다. 이 책은 페이퍼백 부문에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다.[88]
- 《뱀프스와 트램프스》(Vamps and Tramps, 1994)》: 페미니즘, 정치, 예술 등에 대한 팔리아의 논쟁적인 견해를 담은 에세이 모음집이다.
- 《새》(The Birds, 1998)》: 앨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화 《새》에 대한 분석을 담은 책이다. 팔리아는 이 영화를 정신분석학적 틀을 사용하여 "억제되었지만 완전히 길들여지지 않은, 성과 식욕의 원초적 힘의 해방"을 묘사하는 것으로 해석한다.[92]
- 《Break, Blow, Burn》(2005)》: 팔리아가 선정한 43편의 시에 대한 해설과 에세이를 담았다.
- 《Glittering Images》(2012)》: 고대 이집트부터 현대의 스타워즈까지, 다양한 예술 작품에 대한 팔리아의 견해를 담았다.
- 《자유로운 여성, 자유로운 남성(Free Women, Free Men, 2017)》: 페미니즘, 젠더, 성 등에 대한 팔리아의 에세이 모음집이다.
- 《Provocations》(2018)》: 예술, 페미니즘, 정치, 성, 교육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팔리아의 에세이 모음집이다.
다음은 일본어로 번역 출간된 팔리아의 저서 목록이다.
출판 연도 | 일본어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비고 |
---|---|---|---|---|
1998년 | 『성의 페르소나 고대 이집트부터 19세기 말까지의 예술과 데카당스』(상, 하) | 스즈키 아키라 외 | 카와이데 쇼보 신샤 | |
1995년 | 『섹스, 아트, 아메리칸 컬쳐』 | 노나카 쿠니코 | 카와이데 쇼보 신샤 | |
1995년 | 『마돈나/메가스타 Photographs 1988-1993』 | 오치이시 야요이 외 | PARCO 출판 | 번역자 표기: 카미유 팔리아 |
4. 사상과 관점
커밀 팔리아는 무신론자이지만, "우주에 대한 매우 영적인 신비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19] 점성술에 관심을 보였으며, ''Sexual Personae''를 포함한 여러 작품에서 이에 대해 썼다.[20]
팔리아는 많은 전후 프랑스 작가들이 인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비판적이며, 대학들이 프랑스 포스트구조주의에 "사로잡혀 있다"고 주장한다.[62] 장 보드리야르, 자크 데리다, 자크 라캉, 미셸 푸코의 저서에서 흥미로운 문장을 찾지 못했다고 한다.[63]
그러나 프랑스 작가들에 대한 팔리아의 평가가 모두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1949)을 "훌륭하고 위압적"이라고 칭했으며, 자신의 "반체제 페미니즘"의 계보를 베티 프리단이 아닌 보부아르에서 찾는다. 장 폴 사르트르의 작품을 문학의 황금기로 간주했으며, 롤랑 바르트의 ''신화''(1957)와 질 들뢰즈의 ''매저키즘: 냉혹함과 잔혹함''(1967)을 칭찬했지만, 후기 작품은 결함이 있다고 보았다. 가스통 바슐라르에 대해서는 "[그의] 위엄 있으면서도 유동적인 현상학적 기술 방법은 내게 예술에 이상적인 것으로 보였다"고 썼으며, "내가 진지하게 받아들인 마지막 현대 프랑스 작가"라고 덧붙였다.[64]
4. 1.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
커밀 팔리아는 시몬 드 보부아르와 제르맹 그리어를 존경하지만, 여러 페미니스트들에게 "뻔뻔한 모욕을 서슴지 않는다"고 평가받는다.[1][38] 그녀는 비판이 구체적이어야 하며, 많은 비평가들이 "추상적인 것으로 도피"하여 비판을 "지적이고 온순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38] 팔리아는 마돈나를 페미니즘 내에서 이론화한 학자이자 페미니스트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그''는 그녀를 "포스트 페미니즘의 대사제"라고 칭했다.[39]팔리아는 그리어가 초기 성공 이후 "3년 만에 드론이 되었다"고 비난하고, 페미니스트 활동가 다이애나 퍼스의 작품을 비판했다.[3] 엘레인 쇼월터는 팔리아가 여러 저명한 페미니스트 활동가, 작가, 학자들에게 "과장된 적대감과 독설"을 퍼붓는다고 지적하며, 캐롤린 하일브룬, 주디스 버틀러, 캐롤 길리건, 메릴린 프렌치, 조이 베어드, 킴바 우드, 수잔 토마스, 힐러리 클린턴 등을 그 대상으로 언급했다.[3] 케이트 밀렛에 대해서는 "페미니스트 비판에서 억압적이고 스탈린주의적인 스타일"을 시작했다고 비난했다.[40] 전미여성기구(NOW)의 전 회장인 패트리샤 아일랜드를 "독선적"이고 매력 없는 여성의 롤 모델이라고 비판하며, 그녀의 리더십 하에서 NOW가 "여성 운동을 손상시키고 소외시켰다"고 주장한다.[41][42][43]
마사 너스바움은 주디스 버틀러가 현실 세계의 문제와 단절된 추상적인 이론으로 후퇴했다고 비판했는데, 팔리아는 이 비판이 "오래 전에 나왔어야 했다"고 옹호하며 너스바움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차용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너스바움이 버틀러보다 "훨씬 더 높은 지적 수준에서 활동하는 진정한 학자"라고 평가했다.[44][45]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팔리아를 비판해 왔으며, 크리스티나 호프 소머스는 그녀를 "아마도 페미니스트들의 가장 눈에 띄는 비난 대상"이라고 불렀다. 일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팔리아를 "반 페미니즘" 페미니스트로 묘사하기도 한다.[46][47]
나오미 울프는 팔리아와 1990년대 초에 일련의 개인적인 공격을 주고받았다. 울프는 팔리아를 "성적 반역자를 자처하지만 사실 가장 충실한 가부장적 딸"이라고 비판했고, 팔리아는 울프를 "멍청이"라고 불렀다.[48][49][50][51][52]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팔리아를 "페미니즘의 스탈린"이라고 불렀고, 팔리아는 스타이넘에 대해 "그녀가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고 부르는 것은 마치 나치가 자신들이 반유대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53][54] 카타 폴릿은 팔리아를 "성차별이 아니라 페미니즘을 문제로 묘사함으로써 유명세를 얻은 사회 비평가" 중 하나라고 비판한다.[55]
팔리아가 강간이 성적으로 동기 부여된다는 견해는 진화 심리학자 랜디 손힐과 크레이그 T. 팔머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 그들은 팔리아가 여성들에게 페미니스트 '당론'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라고 촉구한다고 말한다.[56]
2015년, 팔리아는 테일러 스위프트와 같은 팝 아이콘에 의해 대중화된 "걸 스쿼드"를 비판하며, 이러한 배타적인 행위가 여성의 자존감을 해치고 여성을 좁은 고정 관념으로 정의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진정으로 권한을 부여하려면, 이러한 그룹이 더 포용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7]
4. 2. 트랜스젠더 문제
커밀 팔리아는 성전환을 하지는 않았지만, 스스로를 트랜스젠더로 여기고 있다.[58] 그녀는 어릴 때부터 성 정체성 장애를 겪었으며, "내 평생 단 한 번도 여성이라고 느껴본 적이 없다"고 말한다.[59] "어릴 적부터 화려한 남성 의상을 입고 다녔다"고도 말한다.[58]팔리아는 "현재의 트랜스젠더 물결에 대해 매우 회의적"인데, 이는 "현재의 젠더 담론이 허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심리적, 사회학적 요인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비순응적이거나 괴짜인 사람을 포함한 모든 사람은 괴롭힘과 학대에서 자유로워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누구도 자신의 기이함에 근거하여 특별한 권리, 보호 또는 특권을 누릴 자격은 없다"고 썼다.[58]
이러한 팔리아의 견해는 예술대학교에서 그녀를 교수직에서 해임하라는 청원으로 이어졌지만, 대학은 이를 거부했다. 팔리아는 이를 "선전술"로 여겼으며, 대학의 "학문의 자유를 옹호하는 웅변적인 성명[이] 현대 교육의 이정표"라고 칭찬했다.[60]
4. 3. 기후 변화
팔리아는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합의를 오랫동안 거부해 왔으며, 이를 "기후 변화 문제와 관련하여 서서히 축적된 정치적 의제"라고 묘사한다.[61] 2017년 ''더 위클리 스탠다드(The Weekly Standard)''와의 인터뷰에서 "지구 온난화에 관해서는 과학의 옹호자를 자처하는 자유주의자들이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감상적인 신화) 젠더에 관해서는 생물학에 대한 모든 언급에서 도망치는 것은 분명 아이러니하다."라고 말했다.[58]4. 4. 정치적 입장
커밀 팔리아는 자신을 자유지상주의자로 규정한다.[62][65] 그녀는 매춘, 포르노, 마약, 그리고 낙태에 반대하는 법률에 반대하며, 소수 집단 우대 정책에도 반대한다.[66][67]팔리아는 모니카 르윈스키 스캔들 이후 빌 클린턴이 사임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며, "2년 동안 정부를 마비시켰고, 이것이 9.11 테러로 우리를 속수무책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녹색당 후보인 랄프 네이더에게 투표했다.[69]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존 케리를,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버락 오바마를 지지했다.[70] 2012년에는 녹색당 후보인 질 스타인을 지지했다.[71]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팔리아는 힐러리 클린턴을 "사기꾼"이자 "거짓말쟁이"라고 비판하며,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 모두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72][73] 그녀는 버니 샌더스에게 기권표를 던지거나 질 스타인에게 투표할 것이라고 밝혔으며,[73] 이후 스타인에게 투표할 것이라고 밝혔다.[74] 2017년, 팔리아는 자신이 등록된 민주당원이며 2016년 민주당 예비 선거에서 버니 샌더스에게, 2016년 본선거에서 질 스타인에게 투표했다고 말했다.[3]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팔리아는 민주당에 일관된 메시지와 강력한 후보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그녀는 샌더스가 "너무 늙고 삐걱거린다"며 지지를 철회했고, 카멀라 해리스에 대한 초기의 지지도 철회했다.[75]
4. 5. 아동 성 문제
커밀 팔리아는 1990년대 초, 아동 성 학대 및 소아성애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1992년 인터뷰에서는 가톨릭교회 관련 아동 성 학대 스캔들에 항의하며 교황 사진을 찢은 시네이드 오코너의 행동에 대해 "아동 학대는 정당화되었다"고 언급했다.[76] 1993년에는 소아성애와 소아 기호증을 옹호하는 단체인 NAMBLA를 지지하는 선언문에 서명하기도 했다.[77][78]1994년, 팔리아는 법적 동의 연령을 14세로 낮추는 것을 지지했으며, 1995년에는 소아성애 옹호 활동가와의 인터뷰에서 "어떤 나이든 간에 관능적인 애무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79] 1997년 ''살롱'' 칼럼에서는 남성 소아성애가 서구 문명의 핵심과 얽혀 있다는 견해를 밝히며, 남성 소년 사랑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항의했다.[3] 또한, 여러 인터뷰와 저서 ''성적 인물''에서 특정 형태의 아동 포르노 합법화를 지지했다.[80][81]
그러나 이후 팔리아는 아동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입장을 선회했다. 2018년 라디오 뉴질랜드 인터뷰에서는 "현재로서는 [...] 아이들을 보호해야 하며, 나는 그것을 매우 강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과거에는 14세를 적절한 동의 연령으로 생각했으나, 이제는 더 강력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입장을 바꿨다.[82]
5.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이전 출력 결과도 없습니다. 원본 소스 제공 시 내용 작성 및 수정 가능)
6. 출연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Camille Paglia
https://www.uarts.ed[...]
U arts
2019-05-07
[2]
뉴스
Birnbaum v. Camille Paglia
http://www.themornin[...]
2005-08-03
[3]
뉴스
An atheist's defence of religion: The paradox of Camille Paglia, the cultural gunslinger
http://www.cbc.ca/ne[...]
2009-05-23
[4]
뉴스
Camille Paglia – 'I don't get along with lesbians at all. They don't like me, and I don't like them'
https://www.independ[...]
2017-05-30
[5]
Youtube
You tube
https://youtube.com/[...]
Google
[6]
뉴스
A Feminist Capitalist Professor Under Fire
https://www.wsj.com/[...]
2019-08-30
[7]
간행물
Arcadia
1997-03-15
[8]
간행물
Pasquale J. Paglia
1991-01-23
[9]
뉴스
The Bête Noire of Feminism: Camille Paglia
http://www.time.com/[...]
1992-01-13
[10]
논문
My Education
2000-01-26
[11]
뉴스
Hurricane Camille
1992-11-22
[12]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Beaverkill Valley
http://beaverkillfri[...]
2019-03-31
[13]
뉴스
Camille Paglia!
https://www.chicagot[...]
2017-01-18
[14]
뉴스
Advertisements for Themselves
https://www.nytimes.[...]
1994-11-20
[15]
뉴스
In a New Museum, a Blue Period
https://select.nytim[...]
1999-03-11
[16]
뉴스
Camille Paglia: Warrior for the word
http://www.salon.com[...]
2010-10-09
[17]
뉴스
Camille Paglia: Hillary Clinton can't win – and shouldn't
https://beta.theglob[...]
2007-10-18
[18]
웹사이트
Camille Paglia: Gay Activists 'Childish' for Demanding Rights
http://www.towleroad[...]
Towleroad
2012-06-28
[19]
웹사이트
Camille Paglia discusses 'Free Women, Free Men: Sex, Gender, Feminism
https://www.spl.org/[...]
Seattle Public Library
2022-06-12
[20]
웹사이트
Camille Paglia, astrologer
https://www.quut.com[...]
2024-03-07
[21]
서적
Inventing Herself: Claiming a Feminist Intellectual Heritage
Picador
[22]
뉴스
"''Atrophy''"
1964-04-12
[23]
뉴스
Interview
1992-10-04
[24]
문서
Letter to the Editor, Camille Paglia,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1998-06-17
[25]
letter
To Professor Carolyn Heilbrun
Knopf Archive, Humanities Research Center
1972-02-13
[26]
간행물
Interview
2000-09
[27]
간행물
Lecture by Camille Paglia
1976-09-20
[28]
간행물
Interview
2002-11
[29]
간행물
Letter to the Editor
1998-06-17
[30]
간행물
To Boyd Holmes (letter)
1995-02
[31]
웹사이트
About Arion
http://www.bu.edu/ar[...]
Boston University
2012-06-28
[32]
뉴스
"Sexism has nothing to do with it": Camille Paglia on Hillary Clinton, Gloria Steinem - and why New Hampshire women broke for Bernie Sanders
http://www.salon.com[...]
2016-02-12
[33]
서적
Susan Sontag: The Making of an Icon
WW Norton & Co
[34]
웹사이트
How the directors and critics voted: Camille Paglia
http://old.bfi.org.u[...]
Sight & Sound via BFI
[35]
웹사이트
Camille Paglia
http://explore.bfi.o[...]
Sight & Sound via BFI
[36]
웹사이트
Camille Paglia | BFI
https://www.bfi.org.[...]
[37]
웹사이트
Camille Paglia
http://bigideas.tvo.[...]
TVO
2009-11-07
[38]
서적
Performing the Literary Interview: How Writers Craft Their Public Selv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9]
간행물
Madonna
https://books.google[...]
[40]
뉴스
Kate Millett, the ambivalent feminist
http://www.salon.com[...]
1999-06-05
[41]
웹사이트
Why I Go for Women with Big Beaks
http://www.salon.com[...]
Salon Media Group
1997-04-29
[42]
웹사이트
Men and their Discontents
http://208.17.81.135[...]
Salon Media Group
2009-01-16
[43]
웹사이트
The Peevish Porcupine Beats the Shrill Rooster
http://archive.salon[...]
Salon Media Group
2012-06-28
[44]
뉴스
Who Needs Philosophy?
https://www.nytimes.[...]
2015-12-12
[45]
웹사이트
Butler vs. Nussbaum
http://www.salon.com[...]
Salon Media Group
2009-07-02
[46]
문서
Who Stole Feminism? How Women Have Betrayed Women
Simon & Schuster
[47]
서적
Readings on human nature
https://books.google[...]
Broadview Press
1998
[48]
간행물
Feminist Fatale
1992-03-16
[49]
간행물
Wolf Pack
1992-04-13
[50]
간행물
The Last Words
1992-05-18
[51]
뉴스
Stitched up
https://www.theguard[...]
2001-08-31
[52]
문서
Gifts of Speech
http://gos.sbc.edu/p[...]
MIT
1991-09-19
[53]
뉴스
New enemies list for some of you feminists
https://news.google.[...]
1992-05-14
[54]
뉴스
Ideas flying, a maverick breaks the feminist mold
https://news.google.[...]
1992-12-06
[55]
웹사이트
Feminism's Unfinished Business
https://www.theatlan[...]
2008-05-25
[56]
문서
A Natural History of Rape: Biological Bases of Sexual Coercion
MIT Press
[57]
뉴스
Camille Paglia Takes on Taylor Swift, Hollywood's #GirlSquad Culture
http://www.hollywood[...]
2015-10-12
[58]
뉴스
Camille Paglia: On Trump, Democrats, Transgenderism, and Islamist Terror
http://www.weeklysta[...]
2017-06-15
[59]
뉴스
Opinion {{!}} A Feminist Capitalist Professor Under Fire
https://www.wsj.com/[...]
2021-07-31
[60]
웹사이트
University of the Arts rejects calls to fire Camille Paglia
https://www.insidehi[...]
2019-04-17
[61]
웹사이트
Real inconvenient truths
https://www.salon.co[...]
Salon Media Group
2018-10-04
[62]
뉴스
Hark, a libertarian looks to her right
http://www.smh.com.a[...]
2005-04-08
[63]
뉴스
Real inconvenient truths
https://www.salon.co[...]
2007-04-11
[64]
문서
Of Versace and killer prom queens
http://www.salon.com[...]
1997-07-22
[65]
뉴스
The Drinking Age Is Past Its Prime
https://time.com/725[...]
2014-04-23
[66]
뉴스
Interview with the Vamp
http://reason.com/ar[...]
1995-08
[67]
뉴스
Paglia attacks political correctness
https://news.google.[...]
William S. Flippin
1992-12-20
[68]
웹사이트
Camille Paglia on Her Lifestyle of Observation and Lamb Vindaloo
https://conversation[...]
2016-04-25
[69]
간행물
Who's Getting Your Vote?
http://www.reason.co[...]
Reason Foundation
2008-10-27
[70]
뉴스
Why Women Shouldn't Vote for Hillary Clinton
https://www.telegrap[...]
2010-04-28
[71]
웹사이트
In "Glittering" return, Paglia lets loose
http://www.salon.com[...]
Salon Media Group
2012-10-10
[72]
간행물
Everything's Awesome and Camille Paglia Is Unhappy!
http://reason.com/ar[...]
Reason Foundation
2015-05-20
[73]
뉴스
Camille Paglia: This is why Trump's winning, and why I won't vote for Hillary
http://www.salon.com[...]
2016-05-15
[74]
뉴스
Which Hollywood Stars are Voting for Third-Party Candidates?
http://www.hollywood[...]
Eldridge Industries
2016-11-11
[75]
뉴스
Camille Paglia: 'Hillary wants Trump to win again'
https://www.spectato[...]
2021-05-05
[76]
웹사이트
Transcript: Interview: Camille Paglia
https://www.tvo.org/[...]
2024-01-20
[77]
뉴스
The Drinking Age Is Past Its Prime
http://blogs.telegra[...]
2014-03-01
[78]
간행물
Camille Paglia's online advice for the culturally disgruntled
http://www.salon.com[...]
Salon Media Group
2019-09-07
[79]
웹사이트
Has the gay movement turned down the wrong path?
http://archive.guide[...]
Bill Andriette
2019-09-07
[80]
간행물
The Bête Noire of Feminism: Camille Paglia
http://content.time.[...]
2019-09-07
[81]
웹사이트
Crisis In The American Universities
http://gos.sbc.edu/p[...]
Sweet Briar College
2019-09-07
[82]
웹사이트
Camille Paglia — Free Women, Free Men
https://www.rnz.co.n[...]
2018-04-22
[83]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Camille Paglia
http://www.bookslut.[...]
Bookslut
2012-06-28
[84]
뉴스
Camille Paglia's 'Sexual Personae' provokes amusement, outrage
https://news.google.[...]
Knight-Ridder
1990-12-09
[85]
뉴스
Siding With the Men
https://www.nytimes.[...]
2018-10-04
[86]
저널
Book Reviews: ''Sexual Personae: Art and Decadence from Nefertiti to Emily Dickinson'' by Camille Paglia
Oxford University Press
1994-08
[87]
뉴스
Creatures of decadent light and violent darkness: Sexual Personae: Art and Decadence from Nefertiti to Emily Dickinson
Independent Print Ltd.
1990-04-27
[88]
뉴스
Paperback Best Sellers
https://www.nytimes.[...]
1993-01-10
[89]
뉴스
Advertisements for Themselves
https://www.nytimes.[...]
2018-10-04
[90]
뉴스
The Rise of a Self-Proclaimed Phenomenon
https://www.nytimes.[...]
2018-10-04
[91]
서적
A Hitchcock Reader
John Wiley & Sons
[92]
문서
McCombe p.267
[93]
뉴스
Well Versed
https://www.nytimes.[...]
2005-03-27
[94]
웹사이트
Book description
http://www.randomhou[...]
[95]
뉴스
Paglia on Art
https://www.nytimes.[...]
2014-07-07
[96]
뉴스
The Pagan Aesthetic
https://www.wsj.com/[...]
2014-02-07
[97]
웹사이트
Free Women, Free Men
http://www.penguinra[...]
2017-03-15
[98]
뉴스
From Camille Paglia, 'Free Women, Free Men' and No Sacred Cows
https://www.nytimes.[...]
2017-05-30
[99]
서적
Provocations: collected essays
Pantheon Books
2018
[100]
문서
"「カミール」を「カミーユ」と表記する人もいるが、これは[[フランス語]]読み。「パーリア」は[[イタリア]]系の名前。「パリア」と表記する例もある。「パギラ」は誤り"
[101]
웹사이트
cpaglia
https://www.uarts.ed[...]
2022-10-24
[10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uarts.edu[...]
2016-05-19
[103]
뉴스
An atheist's defence of religion: The paradox of Camille Paglia, the cultural gunslinger
http://www.cbc.ca/ne[...]
CBC News
2009-05-23
[104]
뉴스
Birnbaum v. Camille Paglia
http://www.themornin[...]
2005-08-03
[105]
웹인용
Prospect/FP Top 100 Public Intellectuals Results
http://foreignpolicy[...]
2016-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