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슘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슘섬은 이란 남부 페르시아만에 위치한 섬으로, 역사적으로 엘람 시대부터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무역과 해운의 중심지였다. 1988년 이란 항공 655편 격추 사건과 같은 근대 사건이 있었으며, 1991년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었다. 맹그로브 숲과 소금 동굴 등 자연 환경이 뛰어나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어업, 생태 관광, 자유 무역을 통해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섬 - 호르무즈섬
호르무즈섬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이란의 섬으로, 붉은 황토 골락과 특이한 지질 구조, 역사적 유적, 다양한 야생 조류, 붉은 해변, 아흐마드 나달리안 박물관 등으로 유명하며, 과거 호르무즈 왕국의 중심지이자 포르투갈의 점령과 통치를 거친 곳이다. - 이란의 섬 - 키시섬
키시섬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이란의 섬으로, 해운 및 교역 중심지이자 진주 산업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경제 개발이 활발한 키시 자유 지역이다. - 호르모즈간주의 지형 - 호르무즈 해협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잇는 이란과 오만 사이의 전략적 요충지로, 세계 원유 수송의 핵심 통로이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군사적 긴장이 잦고 이란의 해협 봉쇄 위협, 유조선 공격 등의 사건이 발생하여 우회 송유관 건설이 추진되기도 한다. - 호르모즈간주의 지형 - 키시섬
키시섬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이란의 섬으로, 해운 및 교역 중심지이자 진주 산업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경제 개발이 활발한 키시 자유 지역이다. - 페르시아만 - 두바이
두바이는 아랍에미리트의 도시로, 석유 발견 후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세계적인 금융, 무역, 관광 허브이자 다문화 도시로서 랜드마크 건축물과 첨단 인프라를 갖추고 경제 다각화와 스마트 도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페르시아만 - 호르무즈 해협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잇는 이란과 오만 사이의 전략적 요충지로, 세계 원유 수송의 핵심 통로이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군사적 긴장이 잦고 이란의 해협 봉쇄 위협, 유조선 공격 등의 사건이 발생하여 우회 송유관 건설이 추진되기도 한다.
케슘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현지 이름 | قشم |
현지 이름 링크 | 페르시아어 |
역사적 이름 | 아바르 카아완 |
위치 | 호르무즈 해협 |
좌표 | 26°41′43″N 55°37′06″E |
면적 | 1491 km² |
길이 | 135 km |
폭 | 40 km |
인구 | 148,993명 (2016년 기준) |
인구 밀도 | 67.07명/km² |
행정 구역 | |
국가 | 이란 |
주 | 호르모즈간 주 |
군 | 케슘 군 |
벡시 | 중앙구 (케슘 군) |
도시 정보 | |
가장 큰 도시 | 케슘 (호르모즈간 주) |
가장 큰 도시 인구 | 40,678명 |
2. 역사
케슘섬은 이슬람 도래 이전부터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유서 깊은 섬이다. 엘람 시대에는 Qeshm, Keshm 등으로 표기되었으며, 그리스의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렉산드리아 또는 아라시아, 로마 제국의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렉산드리아라고 불렀다.[6] 페르시아만의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엘람,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포르투갈, 영국 등 여러 세력의 침략을 받았다.[7] 사산 제국 시대에는 아바르카완이라고 불렸으며, 무역과 해운의 중심지로 번성했다.[7] 특히 디아라메 시대와 부와이 왕조 시대에는 중국, 인도, 아프리카의 배가 왕래하며 경제가 발전했다.
1622년 영국의 탐험가 윌리엄 배핀은 이 섬에서 벌어진 포르투갈과의 해전에서 전사했다.[24]
2. 1. 근대
1988년 7월 3일, 이란 항공 에어버스 A300(이란 항공 655편)이 미국 해군 유도 미사일 순양함 USS ''빈센스''에 의해 케슘섬 바로 남쪽에서 격추되어 탑승객 290명 전원이 사망했다.[9] 이 사건으로 이란과 미국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잔해는 케슘섬 남쪽 해안에서 2.5km 떨어진 곳에 추락했다.2012년 1월 20일, 케슘섬에서 이란의 가디르-나항급 잠수함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 군사 시설이 완공된 것이 확인되었다.[11] 이는 이란의 군사력 증강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3. 지리
케슘섬은 이란 남부 해안의 페르시아만에 위치하며, 반다르아바스나 반다르카밀과 같은 본토의 항구 도시와 수 킬로미터 거리에 마주보고 있다. 전체 길이는 135km이며, 300제곱킬로미터가 무관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호르무즈 해협의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60km 남쪽에는 오만의 호삽 항, 180km 남쪽에는 아랍에미리트(UAE)의 라시드 항이 있다. 폭은 가장 넓은 중앙부 부근에서 40km, 가장 좁은 곳에서는 9.4km에 불과하다. 총 면적은 1491km2로, 제주도와 비슷하며 바레인의 2.5배 크기이다. 섬의 동쪽 끝에 건설된 케슘 시와 본토의 반다르아바스는 22km 떨어져 있지만, 섬과 본토는 가장 좁은 곳에서 2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섬에는 59개의 읍, 면, 동이 있으며, 2011년 인구 조사 당시 117,774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섬 주민들은 어업, 다우선 건조, 상업, 서비스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행정, 출가 노동자, 학생 등 3만 명이 유입되고 있다.
이란 본토와 섬을 연결하는 교량 건설 계획이 제기되고 있다.[1][2]
3. 1. 자연 환경
섬 북부는 메흐란강영어 하구에 면해 있어, 맹그로브와 간석지가 발달하여 바다뱀, 매부리거북, 푸른바다거북, 대머리황새, 백로, 알락해오라기 등이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은 1975년에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었고, 1976년에 "할라 생물권 보호구역"으로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4]총 길이 6.58km에 달하는 나막단 소금 동굴은 세계에서 가장 긴 소금 동굴로 알려져 있다. '나막'은 페르시아어로 소금을 의미한다. 현재는 케슘섬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 내 주요 지질 유적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동굴은 후기 원생대부터 이어진 일련의 지층으로 형성된 거대한 소금 관입 내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2022년 10월에 발표된 '최초 100개 IUGS 지질 유산'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이는 구조론과 활발한 지질 과정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5] 섬에는 세계 최장의 암염 동굴 등이 있어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연평균 기온은 27°C이며, 6월부터 8월까지가 가장 덥고 10월부터 1월까지가 가장 춥다. 연평균 강수량은 183.2mm이다.
4. 경제
어업은 섬 주민들의 주요 산업이다. 경작지가 거의 없어 대추야자와 멜론이 소규모로 재배된다. 소금은 남동쪽 해안에서 채취된다. 케슘은 하라 숲과 같은 생태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환경 운동가들에 따르면, 전 세계 조류의 약 1.5%와 이란 고유 조류의 25%가 매년 이 숲으로 이동하며, 이곳은 이란 최초의 국립 지질 공원이다. 근세 시대의 포르투갈 요새, 역사적인 모스크, 세예드 모자파르와 비비 마리암 사원, 다양한 연못과 맹그로브 숲은 페르시아 만의 푸른 바다를 가로지르는 섬의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여러 돔, 염분이 있는 동굴, 십데라즈 마을의 매부리거북 부화 지역, 수많은 부두와 선창도 이 섬의 관광 잠재력 중 하나이다. 나즈 섬은 케슘 섬의 남쪽 날개에 위치해 있다. 이 섬의 굴, 산호, 다채로운 물고기, 바닷새는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썰물 때에는 이 섬과 케슘 사이의 부드럽고 젖은 자갈길을 통해 섬으로 걸어 들어갈 수 있다.
1991년, 이란의 태양력 1369년에 이 섬은 유럽과 극동 사이의 가장 큰 자유 지역을 만들려는 목표로 "무역 및 산업 자유 지역"으로 전환되었다.[10] 이를 위해 케슘 섬은 중앙 정부와는 별도로 자체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상당한 여유를 얻었으며, 이는 경제의 많은 부문에서 성장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 섬은 석유 및 가스 개발 기회를 탐사하고 개발할 권리를 포함하여 본토와의 연결과 관련된 이점을 유지한다.
5. 문화 및 교육
케슘섬에는 케슘 고등 교육 연구소와 이슬람 아자드 대학교 케슘 국제 의학 과학 분교가 있다.
5. 1. 교육
- 케슘 고등 교육 연구소
- 이슬람 아자드 대학교 케슘 국제 의학 과학 분교
6. 비자
관광 목적으로 여행하는 일반 여권 소지자는 2017년 12월 기준으로 비자 없이 최대 30일(연장 가능) 동안 케슘섬에 입국할 수 있다.[12][13]
이스라엘 비자 또는 도장이 찍힌 여권이나 여행 서류, 또는 지난 12개월 동안 이스라엘을 방문했거나 이스라엘과 관련된 자료를 소지한 사람은 입국이 거부된다.[14]
참조
[1]
웹사이트
Austrians to Construct Persian Gulf Bridge to Connect Qeshm Island to the Main Island
http://payvand.com/n[...]
2016-10-05
[2]
웹사이트
Qeshm – Dictionary definition of Qeshm {{!}} Encyclopedia.com: FREE online dictionary
http://www.encyclope[...]
2016-10-05
[3]
웹사이트
Qeshm Island and its tourist attractions
http://ifpnews.com/n[...]
2016-10-05
[4]
웹사이트
Namakdan Salt Cave
https://iugs-geoheri[...]
IUGS
2022-11-02
[5]
웹사이트
Namakadan Salt Cave, Iran
https://iugs-geoheri[...]
IUGS
2022-11-02
[6]
뉴스
Iranian Archaeologists Uncover Paleolithic Stone Tools on Qeshm Island – Tasnim News Agency
https://www.tasnimne[...]
2018-07-09
[7]
논문
The First Arab Conquests in Fārs
[8]
웹사이트
Qeshm Island
http://www.arian-tou[...]
2016-08-26
[9]
웹사이트
Iran Air flight 655 | Background, Events, Investigation, & Facts
https://www.britanni[...]
[10]
웹사이트
Qeshm Island
http://www.qeshmener[...]
[11]
블로그
Iran: Underground Naval Base at Qeshm Complete
http://osgeoint.blog[...]
OSGEOINT
[12]
웹사이트
مزایای ثبت شرکت در مناطق آزاد
https://companyregis[...]
[13]
웹사이트
No visa required for Iran
https://www.irantrav[...]
2015-06-30
[14]
웹사이트
Visa information on the site of IRI Embassy in Moscow
http://www.ru.moscow[...]
[15]
서적
Speak the Wind
Mack
2021
[16]
웹사이트
Speak the Wind – Book review
https://www.lenscult[...]
2022-02-14
[17]
웹사이트
Speak The Wind
https://cphmag.com/s[...]
2021-08-16
[18]
웹사이트
Hoda Afshar captures the wind and rituals of the islands in the Strait of Hormuz
https://www.1854.pho[...]
2021-07-19
[19]
웹사이트
Khuran Strait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97-01-01
[20]
웹사이트
Hara Biosphere Reserve,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en.unesco.or[...]
2019-02-25
[21]
웹사이트
QESHM ISLAND UNESCO GLOBAL GEOPARK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en.unesco.or[...]
2021-07-27
[22]
URL
http://payvand.com/n[...]
[23]
URL
http://www.encyclope[...]
[24]
간행물
The First Arab Conquests in Fārs
http://www.jstor.org[...]
British Institute of Persian Studies
[25]
웹사이트
Qeshm Island
http://www.qeshmener[...]
[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payvand.com/n[...]
2019-04-24
[27]
URL
http://www.encyclo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