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후국은 아미르가 통치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아랍어로는 '이마라트'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과거 일본식 표현인 '토후국'을 사용했으나, 멸시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이유로 '수장국'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토후국은 군주제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으며, 아랍에미리트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토후국이 존재했으며, 현재는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등이 정치적 자치권을 가진 토후국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후국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토후국 - 카타르
카타르는 아라비아 반도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무역과 진주 채취로 번성하다가 1971년 독립하여 풍부한 천연가스를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고, 2022년 FIFA 월드컵을 개최한 국가이다. - 유형별 이슬람 국가 - 칼리파국
칼리파국은 무함마드의 계승자인 칼리파가 다스리는 이슬람 국가 체제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정통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아바스, 파티마 왕조 등이 대표적이지만, 이슬람 제국이 자칭한 명칭은 아니고 현대 역사 서술에서 편의상 사용되는 용어이다. - 유형별 이슬람 국가 - 이슬람 공화국
이슬람 공화국은 국명에 해당 명칭을 포함하는 국가들을 지칭하며, 이란, 모리타니, 파키스탄 등이 이에 해당하고, 국가의 이슬람 공화국 선포는 종교적 신념을 국가 체제에 반영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실제 정치 시스템과 종교적 규범의 적용 정도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 봉건제 - 농노제
농노제는 중세 유럽에서 발전한 사회 경제 제도로, 농민이 토지에 예속되어 영주에게 노동력과 생산물을 제공하고 보호를 받는 체제이며, 거주 이전의 자유가 제한되고 각종 의무를 부담하는 특징을 가진다. - 봉건제 - 칸
칸은 튀르크어로 우두머리를 뜻하는 칭호로, 몽골 제국 시대에는 카간이 칸 중의 칸으로 사용되었으며, 통치자를 지칭하며 칸이 통치하는 국가는 칸국이라고 불린다.
토후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의 | 에미르가 다스리는 영토 |
어원 | 아랍어 이마라 (إمارات, 복수형: 이마라트) |
로마자 표기 | Imārah |
특징 | |
통치자 | 에미르 |
정치 체제 | 군주제 |
관련 용어 | 칼리파국 |
역사 | |
기원 | 이슬람 제국 초기에 발전 |
식민지 시대 | 일부 지역에서 유지되었으나 대부분 서구 열강에 의해 해체됨 |
현대 | 일부 이슬람 국가에서 존재 |
종교 | |
종교 | 이슬람교 |
예시 | |
과거 토후국 | 코르도바 토후국 시칠리아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트란스요르단 토후국 카라만 토후국 |
현대 토후국 | 카타르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
2. 어원
군장에 해당하는 아미르가 통치하는 나라라고 하여 '''아미르국'''이라고도 하며 아랍어로는 '''이마라트'''(إمارة, إمارات|이마라ar)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일본에서 土侯国|도코코쿠일본어라 부르던 것을 그대로 한국어로 훈독하여 '''토후국'''으로 일부 쓰고 있으나 이후 일본에서는 ‘토후’라는 말이 멸시적인 뜻을 담고 있다고 하여 ‘수장국’(首長国|슈초코쿠일본어)으로 바꿔 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과거 중국에서 酋長國|츄장궈중국어라 부르던 것을 그대로 한국어로 훈독하여 '''추장국'''으로 쓰고 있다.[4]
토후국은 일반적으로 에미르(아랍 군주)가 통치하는 정치 체제를 가진 지역을 의미한다.
어원적으로, '''에미리트''' 또는 '''아미리트'''는 어떤 에미르(왕자, 지휘관, 총독 등)의 자질, 위엄, 직책 또는 영토 관할권을 의미한다.[4]
3. 유형
=== 군주제 ===
아랍에미리트는 7개의 토후국으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며, 각 토후국은 세습 토후(emir)가 통치한다. 이 7명의 토후는 연방 대통령과 총리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을 구성한다.[1]
대부분의 토후국은 사라지거나 더 큰 현대 국가에 통합되었거나 통치자의 직함이 변경(예: 아랍어로 "왕"을 의미하는 말릭(malik)이나 술탄(sultan)으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진정한 토후국 국가는 드물어졌다.[1]
=== 지방 행정 구역 ===
아랍어에서 이 용어는 통치 계급의 구성원, 특히 왕족 구성원(일반적으로 에미르로 불림)이 관리하는 국가의 어떤 주(州)라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주(州)에서와 같다.
3. 1. 군주제
아랍에미리트는 7개의 토후국으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며, 각 토후국은 세습 토후(emir)가 통치한다. 이 7명의 토후는 연방 대통령과 총리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을 구성한다.[1]
대부분의 토후국은 사라지거나 더 큰 현대 국가에 통합되었거나 통치자의 직함이 변경(예: 아랍어로 "왕"을 의미하는 말릭(malik)이나 술탄(sultan)으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진정한 토후국 국가는 드물어졌다.[1]
3. 2. 지방 행정 구역
아랍어에서 이 용어는 통치 계급의 구성원, 특히 왕족 구성원(일반적으로 에미르로 불림)이 관리하는 국가의 어떤 주(州)라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주(州)에서와 같다.
4. 목록
토후국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존재해 왔으며, 현재는 일부만이 정치적 자치권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은 과거에 존재했거나 현재는 다른 국가에 통합된 토후국 목록이다.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탈레반 정권) - 2024년 현재 국제적인 승인을 얻지 못하고 있다.
- 쿠웨이트, 카타르 - 영어 표기는 Emirate가 아닌 State이며, 아랍어로는 دولة(다울라)이다.
- 아랍에미리트(UAE) - 아부다비, 두바이, 샤르자, 아즈만, 움 알 카이와인, 푸자이라, 라스 알 카이마로 구성.
- 휴전 오만(토르샬 오만) - 아랍에미리트의 전신.
- 바레인 왕국 - 바레인의 2002년까지의 공식 국호 (영어 표기는 Emirate가 아닌 State이며, 아랍어로는 다우라(دولة)).
- 남아라비아 연방 구성국 - 훗날 구 남예멘, 현 예멘 남부 (군주가 술탄이나 셰이크인 곳도 포함).
- 우유니드 토후국 (1076년–1253년)
- 베이한 토후국 (1680년-1967년)
- 디리야 토후국 (1744년-1818년)
- 네지드 토후국 (1818년-1891년)
- 달라 토후국 (19세기 초-1967년)
- 자발 샴마르 토후국 (1836년-1921년)
- 네지드-하사 토후국 (1902년–1921년)
- 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1906년–1934년)
- 메카 토후국 (1916년–1924년)
- 바레인 토후국 (1971년-2002년)
-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 지부 내 영토 (예멘)
- 사우디아라비아의 토후국 (13개 주)
- 부하라 토후국 (1785년-1920년)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1823년-1929년)
- 코탄 토후국 (1933년, 이후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이 됨)
- 와지리스탄 이슬람 토후국 (2004년-2014년, 해체)
- 네코르 토후국 (710년-1019년)
- 아글라브 토후국 (800년-809년)
- 튀니스 토후국 (1229년-1574년)
- 잡 토후국 (1400년 초)
- 트라르자 토후국 (1640년-1902년)
- 하라르 토후국 (1647년-1887년)
- 키레나이카 토후국 (1949년-1951년, 나중에 리비아 왕국로 흡수)
나이지리아의 토후국은 과거에 많이 존재했었던 역사적인 형태였으며 현재는 거의 대부분 흡수된 상태이다.
- 피카 토후국
- 관두 토후국
- 케비 토후국
- 보르구 토후국
- 구멜 토후국
- 야우리 토후국
- 곰베 토후국
- 카노 토후국
- 바우치 토후국
- 다우라 토후국
- 카타굼 토후국
- 자리아 토후국
- 포티스쿰 토후국
- 아다마와 토후국
- 일로린 토후국
- 무리 토후국
- 카자우레 토후국
- 라파이 토후국
- 술레이아 토후국
- 아가이에 토후국
- 비다 토후국
- 콘타고라 토후국
- 보르노 토후국
- 디쿠와 토후국
- 비우 토후국
4. 1. 현재
현재 정치적 자치권을 가진 토후국은 다음과 같다.
- 쿠웨이트 (1757년-현재)
- 카타르 (1878년-현재)
- 아랍에미리트 (1971년-현재)
- 아부다비
- 아지만
- 두바이
- 푸자이라
- 라스알카이마 (1972년 2월-)
- 샤르자
- 움알쿠와인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2001년, 2021년-현재, 탈레반 치하) - 단, 2024년 현재 국제적인 승인을 얻지 못하고 있다.
쿠웨이트와 카타르는 영어 표기는 Emirate가 아닌 State이며, 아랍어로는 دولة(다울라)로 표기한다.
4. 2. 과거
휴전 오만은 아랍에미리트의 전신이다.[1] 바레인 왕국은 바레인의 2002년까지의 공식 국호였다.[1] 남아라비아 연방 구성국은 훗날 구 남예멘, 현재 예멘 남부에 위치했으며, 구성국에는 군주가 술탄이나 셰이크인 곳도 포함되어 있었다.[1]4. 2. 1. 이베리아 반도
- 코르도바 토후국 (756년-929년, 929년 칼리프화)[1]
- 바다호스 토후국 (1009년-1151년)[1]
- 알메리아 토후국 (1013년-1091년)[1]
- 헤레스 토후국 (1145년-1147년)[1]
- 그라나다 토후국 (1228년-1492년)[1]
4. 2. 2. 지중해
토후국 | 위치 | 존속 기간 |
---|---|---|
크레타 토후국 | 크레타 섬 | 824년-827년; 828년-961년 |
바리 토후국 | 이탈리아 남부 바리 | 847년-871년 |
말타 토후국 | 몰타 | 870년-1091년 |
시칠리아 토후국 | 시칠리아 섬 | 965년-1072년 |
카탄자로 토후국 | 이탈리아 남부 카탄자로 | 903년-1050년 |
4. 2. 3. 캅카스
- 다르반드 토후국 (869년-1075년)
- 아르메니아 토후국 (637년-884년)
- 트빌리시 토후국 (736년-1080년, 명목상으로는 1122년까지)
- 북캅카스 토후국 (1919년-1920년)
- 이마리트 캅카스[5] (2007년-)


4. 2. 4. 근동
1127년-1222년1254년-1383년
1758년-19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