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립타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립타민은 세로토닌, 멜라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의 일종으로, 세균, 식물, 동물에 존재하는 알칼로이드 화합물이다. 환각 작용을 나타내는 실로시빈, 디메틸트립타민 등이 있으며, 편두통 치료제인 수마트립탄도 트립타민 유도체이다. 트립타민은 뇌, 장내 미생물에서 생합성되며,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 TAAR1 작용제, 모노아민 방출제 등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임상 연구에서는 환각 효과를 보였으며, 동물 실험에서는 행동 변화, 고체온증 등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립타민 - 5-하이드록시트립토판
    5-하이드록시트립토판(5-HTP)은 트립토판에서 생합성되는 아미노산으로, 세로토닌 생성을 증가시켜 항우울제, 식욕억제제, 수면보조제 등으로 사용되며, 주요 우울 장애 치료, MDMA 복용 후 불쾌감 완화, 섬유근육통, 편두통 치료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트립타민 - 아마톡신
    아마톡신은 8개의 아미노산 고리가 2개의 큰 고리에 연결된 구조를 가진 화합물로, RNA 중합효소 II를 억제하여 세포 용해를 일으키며, 광대버섯속 등의 버섯에서 발견되어 섭취 시 간, 신장 등 장기에 손상을 주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 미량 아민 - 티라민
    티라민은 티로신의 탈카복실화로 생성되는 모노아민으로, 발효 및 부패 식품에 많으며, 인체 내에서 MAO에 의해 대사되지만, MAO 억제제 복용 시 고혈압 위기를 유발하고 편두통과 신경조절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 미량 아민 - 펜에틸아민
    페네틸아민은 아미노기가 에틸기를 통해 벤젠 고리에 붙은 1차 아민으로,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합성될 수 있으며,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도파민, 에피네프린, 암페타민 등의 다양한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유도체의 기본 구조를 이룬다.
  •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 - 메스암페타민
    메스암페타민은 강력한 중추신경 자극제로, 필로폰 또는 히로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각성 및 피로 해소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중독성과 심각한 부작용 때문에 엄격히 규제되는 물질이다.
  •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 - 실로시빈
    실로시빈은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화합물로, 뇌의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시각적 환각, 시간 감각 변화 등을 유발하며, 우울증, 불안 등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트립타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개요
트립타민 구조
트립타민 구조
트립타민 3D 모델
트립타민 3D 모델
IUPAC 명칭2-(1H-indol-3-il)etanamine
다른 이름2-(1H-Indol-3-il)etan-1-amine
CAS 등록번호61-54-1
식별자
베일슈타인 등록번호125513
UNII422ZU9N5TV
펍켐 CID1150
ChEBI16765
켐블6640
드럭뱅크DB08653
IUPHAR 리간드125
켐스파이더 ID1118
KEGGC00398
스마일즈 (SMILES)c1ccc2c(c1)c(c[nH]2)CCN
인치 (InChI)1/C10H12N2/c11-6-5-8-7-12-10-4-2-1-3-9(8)10/h1-4,7,12H,5-6,11H2
인치키 (InChIKey)APJYDQYYACXCRM-UHFFFAOYAU
표준 인치 (StdInChI)1S/C10H12N2/c11-6-5-8-7-12-10-4-2-1-3-9(8)10/h1-4,7,12H,5-6,11H2
표준 인치키 (StdInChIKey)APJYDQYYACXCRM-UHFFFAOYSA-N
화학적 성질
분자식C10H12N2
겉모습흰색 내지 주황색의 바늘 모양 결정
녹는점118°C
끓는점137°C (0.15 mmHg)
용해도물에 거의 녹지 않음
위험성
인화점해당 없음
자연 발화점해당 없음
약리학
투여 경로정맥 주사
생체 이용률매우 낮음
배설소변
작용 시간매우 짧음
반감기매우 짧음
대사매우 빠름 (산화적 탈아미노화에 의해; 효소: 모노아민 산화효소)
대사 산물인돌-3-아세트산 (IAA)
작용 시작매우 빠름
단백질 결합해당 없음
법적 지위합법 또는 규제되지 않음

2. 자연 발생

트립타민을 함유한 식물, 균류 및 동물 목록은 향정신성 식물 목록 및 자연 발생 트립타민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 수면을 제어하는 호르몬멜라토닌 등이 트립타민류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세균, 식물, 동물에 분포하는 트립타민 알칼로이드는 정신 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매직 머쉬룸에 포함된 실로시빈이나 다양한 식물에 포함된 디메틸트립타민 등이 그 예이다.

트립타민류의 구조에 따른 분류
약칭RαR4R5RN1RN2정식 명칭
AETHHHHα-에틸트립타민
AMTHHHHα-메틸트립타민
세로토닌HHOHHH5-히드록시트립타민
DETHHHN,N-디에틸트립타민
DiPTHHH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DMTHHHN,N-디메틸트립타민
DPTHHHN,N-디프로필트립타민
멜라토닌HHH5-메톡시-N-아세틸트립타민
5-MeO-AMTHHH5-메톡시-α-메틸트립타민
부포테닌HHOH5-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에토신 (ethocin)HOHH4-히드록시-N,N-디에틸트립타민
이프로신 (iprocin)HOHH4-히드록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IPTHH5-메톡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MTHH5-메톡시-N,N-디메틸트립타민
미프로신 (Miprocin)HOHH4-히드록시-N-이소프로필-N-메틸트립타민
사이로신HOHH4-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실로시빈HH4-포스포릴옥시-N,N-디메틸트립타민
수마트립탄HH5-메틸아미노설포닐-N,N-디메틸트립타민


2. 1. 포유류 뇌

포유류의 뇌에서 트립타민의 농도는 조직 1그램당 100ng 미만으로 매우 낮다.[5][8] 그러나 양극성 우울증이나 조현병과 같이 특정 신경정신과 질환을 앓고 있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미량 아민의 농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한다.[14]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과 수면 조절 호르몬멜라토닌 등이 대표적인 트립타민류 물질이다.

2. 2. 포유류 장내 미생물

트립타민은 사람과 설치류의 장과 대변에서 비교적 풍부하게 발견된다.[3][9] 위장관 내 ''Ruminococcus gnavus'' 및 Clostridium sporogenes를 포함한 공생 세균은 효소 트립토판 탈카복실화 효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식이성 트립토판을 트립타민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준다.[3] 트립타민은 장 상피 세로토닌 4형(5-HT4) 수용체의 리간드이며 결장 분비를 통해 위장관 전해질 균형을 조절한다.[9]

3. 대사

트립토판에서 트립타민으로 전환된 후, 인도-3-아세트산으로 분해되는 과정


트립타민은 모노아민 산화 효소 A와 B에 의해 대사되어 인돌-3-아세트알데히드를 생성한다.[16] 어떤 이소형이 트립타민 분해에 특이적인지는 불분명하다.[16]

3. 1. 생합성

트립타민은 생체 내에서 트립토판의 α-탄소에 있는 카르복실산을 트립토판 디카르복실라아제가 제거하여 생성된다.[5] 트립타민의 합성 변형은 세로토닌멜라토닌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로는 내인성 신경 전달 물질 합성을 위한 주요 경로는 아니다.[15]

3. 2. 분해

모노아민 산화 효소 A와 B는 트립타민의 대사에 관여하여 인돌-3-아세트알데히드를 생성하는 주요 효소이지만, 어떤 이소형이 트립타민 분해에 특이적인지는 불분명하다.[16]

4. 생물학적 활성

트립타민은 세로토닌 수용체의 작동제로 작용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모노아민 산화 효소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어 그 효능이 제한된다.[38][49][20][21][22]

트립타민은 세로토닌, 멜라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호르몬에서 발견되며, 실로시빈, DMT과 같은 정신 작용을 일으키는 알칼로이드에도 존재한다. 수마트립탄과 같은 편두통 치료제도 트립타민 유도체이다. 트립타민 골격은 LSD, 이보가인 등 다양한 에르고린 알칼로이드에서도 발견된다.

트립타민은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TAAR1)를 활성화시켜 신경 세포 반응을 조절하며,[24][7][25] 모노아민 방출제로 작용하여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방출을 촉진한다.[38][49][39]

트립타민 표적 활성[17][18][28][49][39][19]
표적친화도 (Ki, nM)
5-HT1A105 (Ki)인간
5-HT1B36–525인간
5-HT1D23–521인간
5-HT1E2,559인간
5-HT1F2,409인간
5-HT2A89–3,162 (Ki)인간
5-HT2B25–102 (Ki)인간
5-HT2C46–3,000 (Ki)인간
5-HT3
5-HT4>10,000
5-HT5A
5-HT670–438인간
5-HT7148–158인간
α2A19,000
TAAR11,084 (Ki)인간
SERT32.6 () a
NET716 () a
DAT164 () a
참고: 값이 작을수록 화합물이 해당 부위에 더 강력하게 결합하거나 활성화합니다. 각주: a = 신경 전달 물질 방출.


4. 1.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

트립타민은 세로토닌 수용체의 작동제로 알려져 있지만, 모노아민 산화 효소에 의해 빠르게 비활성화되어 그 효능이 제한된다.[38][49][20][21][22] 특히 세로토닌 5-HT2A 수용체 ( = 7.36 ± 0.56nM; Emax = 104 ± 4%)의 완전 작용제로 작용한다.[49] 트립타민은 5-HT2A 수용체 β-arrestin 경로를 자극하는 데는 훨씬 낮은 효능을 보였다( = 3,485 ± 234nM; Emax = 108 ± 16%).[49] 이와 대조적으로, 트립타민은 세로토닌 5-HT1A 수용체에서는 비활성인 것으로 밝혀졌다.[49]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 수면을 조절하는 호르몬멜라토닌 등이 트립타민류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세균, 식물, 동물에 분포하는 트립타민 알칼로이드는 정신 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매직 머쉬룸에 포함된 실로시빈이나 다양한 식물에 포함된 DMT 등이 그 예이다. 화학 합성법도 다수 알려져 있으며, 편두통 약인 수마트립탄 및 그 유도체 등이 합성되고 있다. 트립타민 골격은 LSD, 이보가인, 요힘빈과 같은 에르고린알칼로이드의 일부에서도 발견된다.

'''트립타민류''',구조에 따른 분류
약칭RαR4R5RN1RN2정식 명칭
AETHHHHα-에틸트립타민
AMTHHHHα-메틸트립타민
세로토닌HHOHHH5-히드록시트립타민
DETHHHN,N-디에틸트립타민
DiPTHHH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DMTHHHN,N-디메틸트립타민
DPTHHHN,N-디프로필트립타민
멜라토닌HHH5-메톡시-N-아세틸트립타민
5-MeO-AMTHHH5-메톡시-α-메틸트립타민
부포테닌HHOH5-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에토신 (ethocin)HOHH4-히드록시-N,N-디에틸트립타민
이프로신 (iprocin)HOHH4-히드록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IPTHHOCH35-메톡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MTHH5-메톡시-N,N-디메틸트립타민
미프로신 (Miprocin)HOHH4-히드록시-N-이소프로필-N-메틸트립타민
사이로신HOHH4-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실로시빈HH4-포스포릴옥시-N,N-디메틸트립타민
수마트립탄HH5-메틸아미노설포닐-N,N-디메틸트립타민


4. 1. 1. 장 운동성

트립타민은 사람과 설치류의 장과 대변에서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3][9] 위장관 내의 ''Ruminococcus gnavus'' 및 ''Clostridium sporogenes''를 포함한 공생 박테리아는 효소 트립토판 탈카복실화 효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식이성 트립토판을 트립타민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준다.[3] 트립타민은 장 상피 세로토닌 4형(5-HT4) 수용체의 리간드이며 결장 분비를 통해 위장관 전해질 균형을 조절한다.[9]

트립타민은 인체 장내 상호 공생 세균에 의해 생성되며, 결장 상피를 따라 널리 발현되는 세로토닌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를 활성화한다.[9] 트립타민이 결합하면 활성화된 5-HT4 수용체는 Gs 알파 소단위체가 GDPGTP로 교환하고, 5-HT4 수용체와 βγ 소단위체로부터 분리되는 입체 구조 변화를 겪는다.[9] GTP가 결합된 Gs는 아데닐 시클라제를 활성화하고, 이는 ATP고리형 AMP(cAMP)로 전환하는 것을 촉매한다.[9] cAMP는 염화물 및 칼륨 이온 채널을 열어 결장의 전해질 분비를 촉진하고 장 운동성을 증진시킨다.[10][23]

트립타민은 장내 세로토닌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결장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장 운동성을 촉진한다.

4. 2. TAAR1 작용제

트립타민은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TAAR1(인간의 경우 hTAAR1)을 약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24][7][25] 제한적인 연구에서 트립타민은 관련 시냅스후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고 신경 세포 반응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미량 신경 조절 물질로 간주되었다.[25][14]

hTAAR1은 자극성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GPCR)이며, 시냅스전 및 시냅스후 뉴런의 세포 내 구획에서 약하게 발현된다.[8] 트립타민 및 기타 hTAAR1 작용제는 cAMP 의존적 인산화를 통해 신경 전달 물질 재활용을 억제함으로써 뉴런 발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26][14] 이 메커니즘은 시냅스 틈새의 신경 전달 물질 양을 증가시켜 시냅스후 수용체 결합과 뉴런 활성화를 증가시킨다.[14] 반대로, hTAAR1이 G 단백질 연결 내향성 정류 칼륨 채널 (GIRK)과 공동 국소화될 때, 수용체 활성화는 칼륨 이온 유출을 통해 막 과분극을 촉진하여 뉴런 발화를 감소시킨다.[14] hTAAR1 활성화의 억제 및 흥분 활성의 균형은 신경 활동 조절에서 트립타민의 역할을 강조한다.[27]

트립타민의 TAAR1 친화력 및 활성화 효능[28]
트립타민인간 TAAR1마우스 TAAR1쥐 TAAR1
EC50KiEC50KiEC50Ki
트립타민21N/A2.71.40.410.13
세로토닌>50N/A>50N/A5.2N/A
실로신>30N/A2.7170.921.4
디메틸트립타민>10N/A1.23.31.522
참고: (1) EC50 및 Ki 값은 마이크로몰(μM) 단위입니다. (2) EC50은 최대 TAAR1 반응의 50%를 유발하는 데 필요한 농도를 나타냅니다. (3) Ki 값이 작을수록 화합물이 수용체에 더 강하게 결합합니다.



hTAAR1의 활성화는 우울증, 중독 및 정신 분열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8] hTAAR1은 복측 피개 영역 (VTA) 및 등쪽 솔기 핵 (DRN)의 세로토닌 시스템과 같이 도파민 시스템과 관련된 뇌 구조에서 주로 발현된다.[8] 또한, hTAAR1 유전자는 인간 염색체 6q23.2에 위치하며, 이는 기분 장애 및 정신 분열증에 대한 감수성 유전자 좌위이다.[28] TAAR1의 활성화는 TAAR1 작용제가 항우울 활성, 증가된 인지 능력, 감소된 스트레스 및 항중독 효과를 생성하므로 신경 정신과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새로운 치료법을 시사한다.[27][28]

4. 3. 모노아민 방출제

트립타민은 모노아민 방출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38][49][39] 트립타민은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을 방출하며, 효능 순서는 다음과 같다(반 최대 유효 농도(EC50) = 각각 32.6 ± 2.6nM, 164 ± 16nM, 716 ± 46nM).[38][49][39]

트립타민 및 관련 약물의 모노아민 방출 (nM)
화합물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참고
트립타민32.6716164[49][39]
세로토닌44.4>10,000≥1,960[34][31]
페네틸아민>10,00010.939.5[29][30][31]
티라민2,77540.6119[34][31]
5-메톡시트립타민2,169>10,000>10,000[39]
N-메틸트립타민22.4733321[49]
디메틸트립타민1144,166>10,000[49]
실로신561>10,000>10,000[32][49]
부포테닌30.5>10,000>10,000[49]
5-MeO-DMT>10,000>10,000>10,000[33]
α-메틸트립타민21.7–6879–11278.6–180[33]
α-에틸트립타민23.2640232[39]
D-암페타민698–1,7656.6–7.25.8–24.8[34][35]
참고: 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신경전달물질을 더 강하게 방출합니다. 더 많은 화합물이 포함된 표는 모노아민 방출제 § 활성 프로파일을 참조하십시오. 참고 문헌: [36][37]


4. 4. 모노아민 활성 증강제

트립타민은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TAAR1(인간의 경우 hTAAR1)을 약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24][7][25] 제한적인 연구에서 트립타민은 관련 시냅스후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고 신경 세포 반응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미량 신경 조절 물질로 간주되었다.[25][14]

hTAAR1은 자극성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이며, 시냅스전 및 시냅스후 뉴런의 세포 내 구획에서 약하게 발현된다.[8] 트립타민 및 기타 hTAAR1 작용제는 cAMP 의존적 인산화를 통해 신경 전달 물질 재활용을 억제함으로써 뉴런 발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26][14] 이 메커니즘은 시냅스 틈새의 신경 전달 물질 양을 증가시켜 시냅스후 수용체 결합과 뉴런 활성화를 증가시킨다.[14] 반대로, hTAAR1이 G 단백질 연결 내향성 정류 칼륨 채널(GIRK)과 공동 국소화될 때, 수용체 활성화는 칼륨 이온 유출을 통해 막 과분극을 촉진하여 뉴런 발화를 감소시킨다.[14] hTAAR1 활성화의 억제 및 흥분 활성의 균형은 신경 활동 조절에서 트립타민의 역할을 강조한다.[27]

hTAAR1의 활성화는 우울증, 중독 및 정신 분열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8] hTAAR1은 복측 피개 영역(VTA) 및 등쪽 솔기 핵(DRN)의 세로토닌 시스템과 같이 도파민 시스템과 관련된 뇌 구조에서 주로 발현된다.[8] 또한, hTAAR1 유전자는 인간 염색체 6q23.2에 위치하며, 이는 기분 장애 및 정신 분열증에 대한 감수성 유전자 좌위이다.[28] TAAR1의 활성화는 TAAR1 작용제가 항우울 활성, 증가된 인지 능력, 감소된 스트레스 및 항중독 효과를 생성하므로 신경 정신과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새로운 치료법을 시사한다.[27][28]

트립타민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의 모노아민 활성 촉진제(MAE)이며,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이기도 하다.[40][41] 즉, 이들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활동 전위 매개 방출을 증가시킨다.[40][41] 트립타민 및 기타 MAE의 MAE 작용은 TAAR1 작용제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42][43] 합성 화합물이며 더 강력한 MAE인 벤조푸라닐프로필아미노펜탄(BPAP) 및 인돌릴프로필아미노펜탄(IPAP)과 같은 물질이 트립타민에서 화학 유도체로 파생되었다.[40][41][44][45][46]

5. 약동학

트립타민은 내인성으로 생성되거나 말초 투여를 통해 투여될 경우, 혈액-뇌 장벽을 쉽게 통과하여 중추 신경계로 들어갈 수 있다.[59][60] 이는 말초 선택적 약물인 세로토닌과는 대조적이다.[59]

트립타민은 약물 대사에 의해 모노아민 산화 효소(MAO)로 대사되어 인돌-3-아세트산(IAA)을 형성한다.[59][38][60] 그 대사는 극도로 빠르며, 제거 반감기와 작용 지속 시간은 매우 짧다.[38][49][48][50] 또한, 작용 지속 시간은 디메틸트립타민(DMT)보다 짧다.[47] 동물의 뇌 트립타민 수치는 MAOI에 의해 최대 300배까지 증가한다.[60] 외인성 트립타민의 효과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에 의해 강력하게 증가된다.[38][60]

트립타민은 배설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며, 소변 배설 속도는 pH에 따라 달라진다.[50][61][62]

6. 화학

트립타민은 아미노산 트립토판과 구조적 유사체인 치환된 트립타민 화학 유도체이자 미량 아민이다. 트립타민의 실험적 분배 계수인 log P는 1.55이다.[63]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 수면을 제어하는 호르몬멜라토닌 등이 트립타민류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세균, 식물, 동물에 분포하는 트립타민 알칼로이드는 정신 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매직 머쉬룸에 포함된 실로시빈이나 다양한 식물에 포함된 디메틸트립타민 등이 그 예시이다.

트립타민류의 구조에 따른 분류
약칭RαR4R5RN1RN2정식 명칭
AETHHHHα-에틸트립타민
AMTHHHHα-메틸트립타민
세로토닌HHHH5-히드록시트립타민
DETHHHN,N-디에틸트립타민
DiPTHHH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DMTHHHN,N-디메틸트립타민
DPTHHHN,N-디프로필트립타민
멜라토닌HHH5-메톡시-N-아세틸트립타민
5-MeO-AMTHHH5-메톡시-α-메틸트립타민
부포테닌HH5-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에토신 (ethocin)HH4-히드록시-N,N-디에틸트립타민
이프로신 (iprocin)HH4-히드록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IPTHH5-메톡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MTHH5-메톡시-N,N-디메틸트립타민
미프로신 (Miprocin)HH4-히드록시-N-이소프로필-N-메틸트립타민
사이로신HH4-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실로시빈HH4-포스포릴옥시-N,N-디메틸트립타민
수마트립탄HH5-메틸아미노설포닐-N,N-디메틸트립타민


6. 1. 유도체

세로토닌(5-하이드록시트립타민 또는 5-HT), 멜라토닌(5-메톡시-''N''-아세틸트립타민), ''N''-메틸트립타민(NMT), ''N'',''N''-디메틸트립타민(DMT), 부포테닌(''N'',''N''-디메틸세로토닌)과 같은 미량 아민은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이며, 트립타민의 화학 유도체이다.

모든 트립타민 유도체는 변형된 2-아미노에틸기를 가지고 있거나 인돌에 치환기가 추가되어 있다.


다양한 약물은 천연물의약품을 포함하여 트립타민의 유도체이다. 여기에는 수마트립탄과 같은 트립탄 편두통 치료제, 옥시퍼틴과 같은 특정 항정신병제, 수면 보조제인 멜라토닌 등이 포함된다.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 에르고타민,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메티세르지드와 같은 편두통 치료제,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리수리드, 페르고라이드와 같은 파킨슨병 치료제, 하르민과 같은 β-카볼린(일부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임), 이보가인과 같은 환각제(''이보가'' 알칼로이드), 요힘빈과 같은 α2 차단제, 시클린돌과 플루신돌과 같은 항정신병제, MAOI 항우울제인 메트랄린돌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약물은 모두 고리화된 트립타민 유도체라고 할 수 있다.

아비트립탄, 나라트립탄과 같은 특정 트립탄, 세르틴돌, 테피린돌과 같은 항정신병제, MAOI 항우울제 피를린돌, 테트린돌은 트립타민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약물이지만 기술적으로는 트립타민 자체가 아니다.

thumb

트립타민류의 구조에 따른 분류
약칭RαR4R5RN1RN2정식 명칭
AETHHHHα-에틸트립타민
AMTHHHHα-메틸트립타민
세로토닌HHOHHH5-히드록시트립타민
DETHHHN,N-디에틸트립타민
DiPTHHH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DMTHHHN,N-디메틸트립타민
DPTHHHN,N-디프로필트립타민
멜라토닌HHC(=O)-CHH5-메톡시-N-아세틸트립타민
5-MeO-AMTHHH5-메톡시-α-메틸트립타민
부포테닌HHOH5-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에토신 (ethocin)HOHH4-히드록시-N,N-디에틸트립타민
이프로신 (iprocin)HOHH4-히드록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IPTHHOCH5-메톡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MTHH5-메톡시-N,N-디메틸트립타민
미프로신 (Miprocin)HOHH4-히드록시-N-이소프로필-N-메틸트립타민
사이로신HOHH4-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실로시빈HH4-포스포릴옥시-N,N-디메틸트립타민
수마트립탄HH5-메틸아미노설포닐-N,N-디메틸트립타민


6. 1. 1. 환각제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 수면을 제어하는 호르몬멜라토닌 등이 트립타민류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세균, 식물, 동물에 분포하는 트립타민 알칼로이드는 정신 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예로 매직 머쉬룸에 포함된 실로시빈이나 다양한 식물에 포함된 디메틸트립타민 등이 있다. 화학 합성법도 다수 알려져 있으며, 편두통 약인 수마트립탄 및 그 유도체 등이 합성되고 있다. 트립타민 골격은 LSD, 이보가인, 요힘빈과 같은 에르고린알칼로이드의 일부에서도 발견된다.[64]

트립타민류의 구조에 따른 분류
약칭RαR4R5RN1RN2정식 명칭
AETC2H5HHHHα-에틸트립타민
AMTCH3HHHHα-메틸트립타민
세로토닌HHOHHH5-히드록시트립타민
DETHHHC2H5C2H5N,N-디에틸트립타민
DiPTHHHCH(CH3)2CH(CH3)2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DMTHHHCH3CH3N,N-디메틸트립타민
DPTHHHC3H7C3H7N,N-디프로필트립타민
멜라토닌HHOCH3COCH3H5-메톡시-N-아세틸트립타민
5-MeO-AMTCH3HOCH3HH5-메톡시-α-메틸트립타민
부포테닌HHOHCH3CH35-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에토신 (ethocin)HOHHC2H5C2H54-히드록시-N,N-디에틸트립타민
이프로신 (iprocin)HOHHCH(CH3)2CH(CH3)24-히드록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IPTHHOCH3CH(CH3)2CH(CH3)25-메톡시-N,N-디이소프로필트립타민
5-MeO-DMTHHOCH3CH3CH35-메톡시-N,N-디메틸트립타민
미프로신 (Miprocin)HOHHCH(CH3)2CH34-히드록시-N-이소프로필-N-메틸트립타민
사이로신HOHHCH3CH34-히드록시-N,N-디메틸트립타민
실로시빈HOPO3H2HCH3CH34-포스포릴옥시-N,N-디메틸트립타민
수마트립탄HHSO2NHCH3CH3CH35-메틸아미노설포닐-N,N-디메틸트립타민


6. 1. 2. 각성제

α-메틸트립타민 (αMT) 및 α-에틸트립타민 (αET)과 같은 트립타민 각성제가 있다.[1]

6. 1. 3. 편두통 치료제

수마트립탄과 같은 트립탄 계열 편두통 치료제는 트립타민의 유도체이다.[64] 화학 합성법도 다수 알려져 있으며, 편두통 약인 수마트립탄 및 그 유도체 등이 합성되고 있다.

6. 1. 4. 기타

세로토닌, 멜라토닌, N-메틸트립타민(NMT), 디메틸트립타민(DMT), 부포테닌과 같은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과 미량 아민은 트립타민의 화학 유도체이다.

다양한 약물은 천연물의약품을 포함하여 트립타민의 유도체이다. 여기에는 실로시빈, 실로신, DMT 및 5-MeO-DMT와 같은 트립타민 환각제, α-메틸트립타민(αMT) 및 α-에틸트립타민(αET)과 같은 트립타민 각성제, 엔타코겐, 환각제 및/또는 항우울제, 수마트립탄과 같은 트립탄 편두통 치료제, 옥시퍼틴과 같은 특정 항정신병제, 수면 보조제인 멜라토닌이 포함된다.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 에르고타민,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및 메티세르지드와 같은 편두통 치료제,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리수리드, 페르고라이드와 같은 파킨슨병 치료제, 하르민과 같은 β-카볼린(일부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임), 이보가인과 같은 환각제(''이보가'' 알칼로이드), 요힘빈과 같은 α2 차단제, 시클린돌과 플루신돌과 같은 항정신병제, MAOI 항우울제인 메트랄린돌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약물은 모두 고리화된 트립타민 유도체라고 할 수 있다.

아비트립탄 및 나라트립탄과 같은 특정 트립탄, 세르틴돌 및 테피린돌과 같은 항정신병제, MAOI 항우울제 피를린돌 및 테트린돌은 트립타민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약물이지만 기술적으로는 트립타민 자체가 아니다.

7. 임상 연구 및 효과

출판된 임상 연구에서 트립타민은 정맥 주사를 통해 총 23~277mg의 용량으로 투여되었을 때 소량의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와 유사한 환각 효과 또는 지각 장애를 유발했다.[47][48][49][50] 또한 동공 확대, 혈압 상승, 슬개 반사의 증가를 포함한 다른 LSD 유사 효과를 나타냈다.[47][49][48][50] 트립타민은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따끔거림, 발한, 신체의 무거움 등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켰다.[47][50] 반대로 심박수호흡수에는 변화가 없었다.[50] 효과의 작용 발현은 빠르고 작용 지속 시간은 매우 짧았다.[38][49][48][50] 이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MAO)에 의한 트립타민의 매우 빠른 약물 대사와 매우 짧은 제거 반감기 때문일 수 있다.[38][49][48][50]

동물에서 트립타민은 단독으로 또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와 함께 투여 시 과운동성 및 레세르핀 유발 저활동성의 반전과 같은 행동 변화를 일으킨다.[47][38][60][59] 또한 고체온증, 빈맥, 근간대성 경련, 발작 또는 경련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47][38][60][59] 설치류의 트립타민과 머리 꼬임 반응에 대한 연구 결과는 혼합되어, 일부 연구에서는 효과가 없다고 보고했으며,[55][51] 일부 연구에서는 트립타민에 의해 머리 꼬임이 유도된다고 보고했으며,[52][53][54] 다른 연구에서는 트립타민이 실제로 5-하이드록시트립토판(5-HTP) 유발 머리 꼬임을 길항한다고 보고했다.[60][55] 또 다른 연구에서는 트립타민과 MAOI의 조합이 용량 의존적으로 머리 꼬임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했다.[56] 설치류의 머리 꼬임은 환각 유사 효과의 행동 지표이다.[57][58] 트립타민의 많은 효과는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인 메테르골린, 메티테핀(메티오테핀), 시프로헵타딘에 의해 역전될 수 있다.[38][60][59][47] 반대로, 트립타민의 동물에 대한 효과는 대사를 억제하기 때문에 MAOI에 의해 심각하게 증가한다.[38][59][47]

트립타민은 동물 및/또는 인간의 프로락틴코르티솔 수치를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59]

동물에서 트립타민의 중간 치사량(LD50) 값은 마우스의 경우 100mg/kg i.p., 마우스의 경우 500mg/kg s.c., 랫의 경우 223mg/kg i.p.이다.[63]

참조

[1]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5
[2] 웹사이트 Tryptamine https://pubchem.ncbi[...] 2020-12-01
[3] 논문 Influence of Tryptophan and Serotonin on Mood and Cognition with a Possible Role of the Gut-Brain Axis 2016-01-20
[4] 논문 Psilocybin – Summary of knowledge and new perspectives http://www.sciencedi[...] 2014-03-01
[5] 논문 Recreational Use, Analysis and Toxicity of Tryptamines 2015
[6] 웹사이트 The Ayahuasca Phenomenon https://maps.org/art[...] 2014-11-21
[7] 논문 The emerging roles of human trace amines and human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s (hTAARs) in central nervous system http://www.sciencedi[...] 2016-10-01
[8] 논문 Pharmacology of human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s: Therapeutic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2017-12-01
[9] 논문 Gut Microbiota-Produced Tryptamine Activates an Epithelial G-Protein-Coupled Receptor to Increase Colonic Secretion 2018-06-13
[10] 논문 Intestinal ion transport and the pathophysiology of diarrhea 2003
[11] 간행물 Serotonin Receptor Agonists (Triptans) http://www.ncbi.nlm.[...]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20-10-15
[12] 웹사이트 New Compound Related to Psychedelic Ibogaine Could Treat Addiction, Depression https://www.ucdavis.[...] 2020-12-11
[13] 웹사이트 Chemists re-engineer a psychedelic to treat depression and addiction in rodents https://www.science.[...] 2020-12-11
[14]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race Amine Associated Receptor 1 in the Functional Regulation of Monoamine Transporters and Dopaminergic Activity 2011
[15] 웹사이트 Serotonin Synthesis and Metabolism https://www.sigmaald[...] 2020
[16] 웹사이트 MetaCyc L-tryptophan degradation VI (via tryptamine) https://biocyc.org/M[...] 2020-12-11
[17] 웹사이트 PDSP Database https://pdsp.unc.edu[...] 2024-11-07
[18] 웹사이트 BindingDB BDBM50024210 1H-indole-3-ethanamine::2-(1H-indol-3-yl)ethanamine::2-(3-indolyl)ethylamine::CHEMBL6640::tryptamine https://www.bindingd[...] 2024-11-07
[19] 논문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gonists at recombinant human 5-HT2A, 5-HT2B and 5-HT2C receptors in CHO-K1 cells 1999-09
[20] 논문 Tryptamine: a metabolite of tryptophan implicated in various neuropsychiatric disorders 1993-03
[21] 논문 Vasoconstrictor and vasodilator responses to tryptamine of rat-isolated perfused mesentery: comparison with tyramine and β-phenylethylamine 2012-04
[22] 논문 Tryptamine-induced vasoconstrictor responses in rat caudal arteries are mediated predominantly via 5-hydroxytryptamine receptors 1985-04
[23] 웹사이트 Microbiome-Lax May Relieve Constipation https://www.genengne[...] 2020-12-11
[24] 논문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Monoamine Oxidase and Cytochrome P450 Isozymes to the Metabolic Deamination of the Trace Amine Tryptamine https://jpet.aspetjo[...] 2003-02-01
[25] 논문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s and their ligands 2006
[26] 논문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a promising target for the treatment of psychostimulant addiction 2015-08-15
[27] 논문 "TAARgeting Addiction" The Alamo Bears Witness to Another Revolution 2016-02-01
[28] 논문 Trace Amines and Their Receptors https://pharmrev.asp[...] 2018-07-01
[29] 논문 Behavioral, biological, and chemical perspectives on atypical agents targeting the dopamine transporter 2015-02
[30] 웹사이트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Rigid Analogues of Methamphetamines https://scholarworks[...] 2024-11-04
[31] 서적 Dopamine Transporters: Chemistry, Biology and Pharmacology https://books.google[...] Wiley 2008-07
[32] 논문 Studies of the biogenic amine transporters. 14. Identification of low-efficacy "partial" substrates for the biogenic amine transporters 2012-04
[33] 논문 The effects of non-medically used psychoactive drugs on monoamine neurotransmission in rat brain 2007-03
[34] 논문 Amphetamine-type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 release norepinephrine more potently than they release dopamine and serotonin 2001-01
[35] 논문 Powerful cocaine-like actions of 3,4-methylenedioxypyrovalerone (MDPV), a principal constituent of psychoactive 'bath salts' products
[36] 논문 Monoamine transporters and psychostimulant drugs 2003-10
[37] 논문 Therapeutic potential of monoamine transporter substrates https://zenodo.org/r[...]
[38] 논문 Tryptamine: a neuromodulator or neurotransmitter in mammalian brain? 1982
[39] 논문 Alpha-ethyltryptamines as dual dopamine-serotonin releasers 2014-10
[40] 논문 Pharmacological studies with endogenous enhancer substances: beta-phenylethylamine, tryptamine, and their synthetic derivatives 2004-05
[41] 논문 Enhancer regulation/endogenous and synthetic enhancer compounds: a neurochemical concept of the innate and acquired drives 2003-08
[42] 논문 Enhancer Regulation of Dopaminergic Neurochemical Transmission in the Striatum 2022-08
[43] 논문 Striking Neurochemic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in the Mode of Action of Selegiline and Rasagiline 2023-08
[44] 논문 Antiaging compounds: (-)deprenyl (selegeline) and (-)1-(benzofuran-2-yl)-2-propylaminopentane, [(-)BPAP], a selective highly potent enhancer of the impulse propagation mediated release of catecholamine and serotonin in the brain 2001
[45] 논문 Structure-activity studies leading to (-)1-(benzofuran-2-yl)-2-propylaminopentane, ((-)BPAP), a highly potent, selective enhancer of the impulse propagation mediated release of catecholamines and serotonin in the brain 2001-05
[46] 논문 (-)1-(Benzofuran-2-yl)-2-propylaminopentane, [(-)BPAP], a selective enhancer of the impulse propagation mediated release of catecholamines and serotonin in the brain 1999-12
[47] 서적 Drug Addiction II Springer Berlin Heidelberg
[48] 서적 Tihkal: The Continuation https://books.google[...] Transform Press 2024-08-17
[49] 논문 Interaction of psychoactive tryptamines with biogenic amine transporters and serotonin receptor subtypes 2014-10
[50] 논문 Effects of infused tryptamine in man 1970
[51] 논문 The behavioural effects of intravenously administered tryptamine in mice 1987-01
[52] 논문 Animal models of the serotonin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2013-11
[53] 논문 Effect of tryptamine on the behavior of mice 1986-01
[54] 논문 Effects of 5,7-dihydroxytryptamine and 6-hydroxydopamine on head-twitch response induced by serotonin, p-chloroamphetamine, and tryptamine in mice 1988
[55] 논문 In vivo 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ryptamine and 5-hydroxytryptamine 1981-06
[56] 서적 Neurobiology of the Trace Amines Humana Press 1984
[57] 논문 Head-twitch response in rodents induced by the hallucinogen 2,5-dimethoxy-4-iodoamphetamine: a comprehensive history, a re-evaluation of mechanisms, and its utility as a model 2012
[58] 서적 The Neuroscience of Hallucinations Springer New York 2013
[59] 서적 Neuropsychopharmacology of the Trace Amines Humana Press
[60] 서적 Receptor Binding Humana Press
[61] 논문 Tryptamine, N,N-dimethyltryptamine, N,N-dimethyl-5-hydroxytryptamine and 5-methoxytryptamine in human blood and urine 1965-06
[62] 논문 The dependence of tryptamine excretion on urinary pH 1975-12
[63] 웹사이트 Tryptamine https://pubchem.ncbi[...] 2024-11-07
[64] 서적 TiHKAL: The Continuation Transform Press
[65] 웹인용 Tryptamine CAS#: 61-54-1 http://www.chemicalb[...]
[66] 웹인용 Tryptamine https://pubchem.ncbi[...] 2020-12-01
[67] 저널 인용 Influence of Tryptophan and Serotonin on Mood and Cognition with a Possible Role of the Gut-Brain Axis 2016-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