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프리카 가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프리카 가루는 헝가리어에서 유래된 향신료로, 고추의 한 종류인 파프리카를 분말로 만든 것이다. 파프리카는 캡사이신 함량이 적어 매운맛이 거의 없고,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띠며, 비타민 C와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하다. 파프리카는 쌀, 스튜, 수프 등의 요리에 양념 및 색상 첨가용으로 사용되며, 헝가리, 스페인 등 여러 나라의 대표적인 요리에 활용된다. 한국은 파프리카의 주요 생산국이자 수입국이며, 국내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조미료 - 마요네즈
마요네즈는 달걀 노른자, 식용유 등을 유화시켜 만든 소스로, 샐러드, 샌드위치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상업적으로 위생적인 제조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 스페인의 조미료 - 로메스코
로메스코는 구운 채소와 견과류를 갈아 만든 스페인 소스로, 식초와 기름을 넣어 만들며 채소, 생선, 고기 요리 등에 곁들여 먹는 등 활용도가 높다. - 훈제 요리 - 소시지
소시지는 고기를 케이싱에 넣어 만든 식품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제조 과정을 거쳐 굽거나 삶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며, 지방과 나트륨 함량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 - 훈제 요리 - 햄
햄은 돼지고기나 쇠고기 근육을 주원료로 하여 소금, 설탕, 향신료 등을 첨가해 가열 처리한 축산 가공품으로, 국가별 정의가 다르고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염지, 훈연, 가열, 숙성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고 샌드위치부터 크리스마스 요리까지 활용되지만 건강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롬인 - 프렌치 토스트
프렌치 토스트는 얇게 썬 빵을 달걀과 우유 혼합물에 적셔 버터에 구운 요리로, 'Aliter Dulcia'라는 고대 조리법에서 기원하여 중세 유럽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발전해왔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아침 식사나 디저트로 널리 즐겨진다. - 롬인 - 폴렌타
폴렌타는 옥수수 가루를 끓여 만든 이탈리아 요리로, 고대 로마 시대 곡물 죽에서 유래하여 옥수수가 주재료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북부에서 주식으로 여겨지다 이탈리아 전역과 브라질로 퍼져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랑받고 있다.
파프리카 가루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다른 이름 | 없음 |
종류 | 향신료 |
주재료 | 단고추 |
100g 당 열량 | 282 칼로리 |
단백질 | 14g |
지방 | 13g |
탄수화물 | 54g |
어원 | |
헝가리어 | hu (파프리카) |
영어 발음 (IPA) | /pəˈpriːkə/ /pæˈpriːkə/ /ˈpæprɪkə/ /pəˈpriːkə/ |
파프리카 (식물) | |
![]() | |
계 | 식물계 |
문 | 피자식물문 |
강 | 쌍자엽식물강 |
목 | 가지목 |
과 | 가지과 |
속 | 고추속 |
종 | 고추 C. annuum |
품종 | 파프리카 C. annuum 'grossum' |
학명 | Capsicum annuum L. 'grossum' |
일본어 | パプリカ (파푸리카) |
영어 | bell pepper (벨 페퍼) |
파프리카 가루 (향신료) | |
![]() | |
종류 | 향신료 |
주재료 | 단고추 |
영어 | en |
2. 명칭
"파프리카"(paprikahu)는 헝가리어 단어이다. 세르보크로아트어 'paprik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papar'의 지소사이다. 'papar'는 라틴어 ''piper'' 또는 현대 그리스어 ''piperi''에서 파생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산스크리트어 ''pippalī''에서 유래되었다.[14] '파프리카', 'peperke', 'piperke', 'paparka'와 유사한 단어는 여러 언어에서 파프리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7]
파프리카는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고추 종류 중 하나로, 캡사이신이 열성 유전자이기 때문에 피망이나 꽈리고추와 같이 매운맛이 없는 고추의 재배 품종이다.[1] 육질이 두껍고 3~4개의 방으로 나뉜 종 모양을 하고 있다. 파프리카의 과실은 다소 크고 육질이 두꺼우며, 매운맛이 거의 없다. 과실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이 주를 이루지만, 흰색, 검은색, 보라색도 있다.[2][1]
파프리카 가루는 1회 제공량(2g) 기준 6 칼로리를 제공하며, 비타민 A 1일 영양소 기준치의 21%를 제공한다.[24] 수분 함량은 10%이며, 다른 영양소는 유의미한 함량으로 제공하지 않는다.[24]
일본에서는 품종, 열매, 향신료를 모두 파프리카라고 부른다.
이탈리아에는 '''팔레르모'''라고 불리는 대형 고추와 비슷한 모양의 파프리카가 있다. 팔레르모라는 이름은 시칠리아 북서부 도시 팔레르모에서 유래했다.
3. 역사
파프리카 생산의 원료인 고추는 북아메리카, 특히 멕시코 중부에서 유래했으며, 수세기 동안 멕시코 원주민들이 재배해 왔다. 16세기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스페인으로 전파되었다.[10][11]
헝가리에서 파프리카 향신료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은 1569년에 처음 재배되었다. 중앙 유럽 파프리카는 1920년대까지 매운맛이 강했으나, 세게드의 한 육종가가 단맛 열매를 생산하는 식물을 발견하여 다른 식물에 접목하면서 단맛 파프리카 품종이 개발되었다.[9]
영어에서 '파프리카'라는 단어는 1831년에 처음 기록되었다.[12] 이 단어는 헝가리어 '파프리카'(paprika)[13]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세르보크로아트어 에서 유래되었고, (검은 후추)의 지소사이다. 이 단어는 라틴어 ''piper'' 또는 현대 그리스어 ''piperi''에서 파생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산스크리트어 ''pippalī''에서 유래되었다.[14] '파프리카' 및 'peperke', 'piperke', 'paparka'와 유사한 단어는 다양한 언어에서 파프리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7]
4. 특징
과피는 다소 단단하지만, 과육은 과즙이 풍부하고 육질이 두꺼우며 당도가 높다. 가열 조리 외에도 생으로도 먹을 수 있다. 영양소 구성은 피망과 비슷하지만, 비타민 P를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 P는 비타민 C를 파괴로부터 보호하고, 항산화 작용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가열 조리해도 비타민 C가 덜 손실된다.
5. 영양
파프리카는 비타민 C, 비타민 E, 식이 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녹색 피망에 비해 비타민 C는 약 2배, β-카로틴은 약 3배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17] 빨간색 파프리카의 색소 성분인 캡산틴은 강한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어 활성 산소의 해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다.[16] 캡산틴은 캡사이신과는 다른 성분이다.[16] 비타민 P는 비타민 C를 파괴로부터 보호하고 항산화 작용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파프리카를 가열 조리해도 비타민 C가 덜 손실된다.
실제 영양가는 재배 조건, 생육 환경, 수확 시기, 품종에 따라 다르므로 기재된 값은 대표값이다.
5. 1. 카로티노이드
파프리카 가루의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은 카로티노이드 혼합물에서 비롯된다.[22] 노란색-오렌지색은 주로 α-카로틴, β-카로틴(비타민 A 전구체), 제아잔틴, 루테인, β-크립토잔틴에서 유래하며, 붉은색은 캡산틴, 캡소루빈에서 유래한다.[22] 오렌지색 파프리카에는 제아잔틴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23] 붉은색이나 노란색 파프리카보다 루테인을 훨씬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23]
6. 재배
헝가리는 파프리카의 주요 생산지이며,[16] 헝가리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향신료이다.[17] 19세기 초 헝가리 요리에 처음 사용되었으며,[17] 다양한 등급으로 판매된다. 헝가리에서 파프리카 품종을 만들고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현재도 주요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주요 생산지는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이다. 그 외 주요 생산국으로는 불가리아와 스페인 등이 있다.
파프리카는 아르헨티나, 멕시코, 헝가리, 세르비아, 스페인, 네덜란드, 중국, 그리고 미국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에서 생산된다.[15][16]
피망과 달리 녹색의 미숙과를 수확하는 것이 아닌, 파프리카는 과실을 완숙할 때까지 키운 후 수확한다. 과실이 대형이므로 피망처럼 계속 열리게 하면 나무에 부담이 가므로 전정과 솎아내기를 실시하며 키운다. 처음에 나온 주지를 적심하여 4개의 측지를 뻗게 하는 4본 가지치기가 가장 적합하며, 측지의 첫 번째 마디에 착과시키고, 그 열매보다 먼저 생기는 과실은 솎아낸다. 한 개의 가지에 3~4개, 한 그루에 12~16개의 과실을 열리게 하고, 지상 1미터 정도 뻗은 측지는 지주를 쳐서 고정한다.
7. 품종 및 종류
헝가리는 파프리카의 주요 생산지이며,[16] 헝가리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향신료이다.[17] 19세기 초 헝가리 요리에 처음 사용되었다.[17] 헝가리 파프리카는 다양한 등급으로 판매된다.
스페인 파프리카(pimentón)는 순한맛(''pimentón dulce''), 약간 매운맛(''pimentón agridulce'') 및 매운맛(''pimentón picante'')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가장 흔한 스페인 파프리카인 ''라 베라''의 pimentón은 훈연으로 말리기 때문에 독특한 훈제 풍미와 향이 난다. 일반적으로 참나무 나무를 사용한다.[18]
''무르시아''의 pimentón은 bola/ñora 고추로 만든 비훈연 품종으로[20] 전통적으로 햇볕이나 가마에서 건조한다.[21]
8. 활용
파프리카는 전 세계 수많은 요리의 재료로 사용된다. 주로 쌀, 스튜, 굴라시와 같은 수프의 양념 및 색상을 넣는데 사용되며, 고기와 기타 향신료와 섞어 스페인 초리조와 같은 소시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고추의 올레오레진에 포함된 풍미는 기름에 가열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
헝가리 요리에서 파프리카는 빠질 수 없는 재료이며, 굴라시를 비롯한 수많은 요리에 사용되었다. 한때는 국가 차원에서 파프리카를 생산하고 보호할 정도였다. 헝가리 대표 요리로는 고기 수프인 '굴야스', 국제적으로 굴라쉬로 알려진 스튜인 푀르쾰트, 파프리카시(파프리카 그레이비: 닭고기, 육수, 파프리카, 사워크림을 조합한 헝가리식 레시피)가 있다. 모로코 요리에서 파프리카(''tahmira'')는 보통 소량의 올리브 오일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포르투갈 요리에서는 맛과 색상을 위해 많은 요리에 파프리카(''colorau'')가 필요하다.
일본 국내에서도 2006년 이후 구마모토현, 2010년 이후 이바라키현, 히로시마현,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야마나시현, 홋카이도 등에서 생산되고 있다. 일본의 주요 수입국은 한국, 네덜란드, 뉴질랜드 등이다. 일본에서는 과거 네덜란드산 파프리카 수입이 많았지만, 2010년부터는 한국산이 일본 시장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거의 전역에서 파프리카가 사용되지만, 소시지에 고기와 함께 섞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초리소).
8. 1. 향신료
파프리카는 과육을 분말 형태로 만든 향신료로 매운맛이 있는 것도 있다. 일본에서 채소로 유통되는 파프리카와는 다른 품종으로, 일본에서는 매운맛이 없는 타입이 일반적이다.[31] 고추와 비슷한 독특한 풍미를 지니지만, 맛과 풍미가 부드러워 대량으로 넣어도 요리의 맛을 해치지 않는다고 한다. 선명한 붉은색으로, 검게 태우지 않는 한 조리해도 붉은색을 유지하기 때문에 요리의 색감을 더하는 데에도 사용된다.훈연한 후 파우더 형태로 만든 스모크 파프리카도 있다.[32] 스페인의 La Vera|라 베라es에서 만들어지는 Pimentón de la Vera|피멘톤 데 라 베라es는 보호 원산지 명칭으로 보호받고 있다.[33]
9. 한국의 파프리카
한국은 파프리카의 주요 수입국이자 생산국이다. 일본에서는 과거 네덜란드산 파프리카 수입이 많았지만, 2010년부터 일본 시장의 과반수를 한국산이 차지하고 있다.[1]
참조
[1]
OED
paprika
[2]
웹사이트
pepper
https://encyclopedia[...]
2017-04-07
[3]
간행물
Condiment paprika research in Australia
https://web.archive.[...]
2020-03-22
[4]
웹사이트
Is Paprika Spicy?
https://pepperscale.[...]
2023-06-18
[5]
서적
Cultivation of Spice Crops
https://books.google[...]
Universities Press
2010-08-22
[6]
웹사이트
The colourful world of chillies
http://www.stuff.co.[...]
2009-03-08
[7]
서적
Peppers: The Domesticated Capsicu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6-10-20
[8]
서적
The Glutton's Glossary: A Dictionary of Food and Drink Ter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0-20
[9]
서적
Paprika: A Spicy Memoir from Hungary
https://books.google[...]
CanWest Books
2016-10-20
[10]
GRIN
311784
2023-05-29
[11]
웹사이트
The colourful world of chillies
http://www.stuff.co.[...]
2009-03-08
[12]
서적
Encyclopae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2016-10-20
[13]
서적
A Magyar Nyelv Történeti-Etimológiai Szótára
Akadémiai Kiadó
1976
[14]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1-11-04
[15]
웹사이트
Paprika — Food Facts
http://www.foodrefer[...]
Food Reference
2011-11-04
[16]
서적
The Complete Book on Spices & Condiments (With Cultivation, Processing & Uses)
https://books.google[...]
Asia Pacific Business Press
[17]
서적
Culinaria Hungary
https://www.worldcat[...]
H.F. Ullmann
2008
[18]
웹사이트
Spanish Paprika — Pimentón
https://web.archive.[...]
Spanishfood.about.com
2011-11-04
[19]
웹사이트
Pimentón de La Vera: The King of Spanish Kitchens
https://spanishclub.[...]
2022-04-16
[20]
웹사이트
Ñora
https://www.foodswin[...]
ICEX
2021-07-18
[21]
뉴스
Pimentón, or Spanish Paprika: Where It Comes from, How It's Made, and More
https://www.thespruc[...]
Dotdash Meredith
2023-08-08
[22]
간행물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carotenoid biosynthesis in chili peppers (''Capsicum'' spp.)
[23]
간행물
Carotenoid profiling from 27 type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with different colors, shapes, and cultivation methods
[24]
웹사이트
Spices, paprika
https://fdc.nal.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1-08-14
[25]
문서
日仏料理学会 編「パプリカ」『フランス食の事典』(2007年)白水社。
[26]
간행물
国産パプリカ生産の現状と課題-既存型産地と新規参入大型経営体-
日本フードシステム学会
2013-12-31
[27]
뉴스
[ヒットをひもとく]パプリカ 生産量10年で8割増
https://www.agrinews[...]
2024-07-06
[28]
웹사이트
パプリカ生産における国内・外の生産・流通の変化
http://vegetable.ali[...]
2017-08-14
[29]
웹사이트
韓国のパプリカの生産および輸出状況-海外情報−2015年11月
https://vegetable.al[...]
2016-04-18
[30]
문서
以下、本段落は特記ない限り『[[料理通信]]』2017年9月号、pp.44-47. による。
[31]
웹사이트
S&B エスビー食品株式会社
https://www.sbfoods.[...]
2016-04-18
[32]
웹사이트
グルメ:この味はクセになる! プロに聞くスパイスの基本と辛旨レシピ(GetNavi web)
https://mainichi.jp/[...]
2023-12-29
[33]
웹사이트
指定の公示について(指定番号第112号):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2023-12-29
[34]
뉴스
釧路産パプリカもっと食べて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どうしん電子版
2022-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