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로코 요리는 베르베르, 안달루시아, 터키, 유대인 요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지중해 원산 재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야채, 과일, 육류, 해산물을 활용한다. 주요 향신료는 커민, 파프리카, 사프란 등이며, 쿠스쿠스와 타진이 대표적인 요리이다. 모로코의 식사는 샐러드, 타진 또는 드와즈, 고기 요리, 민트차 순으로 진행되며, 빵과 민트차는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모로코 요리는 2010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즐겨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로코 요리 | |
---|---|
요리 정보 | |
종류 | 요리 |
지역 | 모로코 |
문화적 기원 | 베르베르 요리, 아랍 요리, 안달루시아 요리 |
주요 요리 | |
주요리 | 쿠스쿠스 타진 파스틸라 므로우지아 탄지아 세파 르피사 클레아 메추이 하리라 트켈리아 |
과자 및 디저트 | |
디저트 | 가젤 앙클 베그리르 브리왓 므세멘 셰바키아 크라셸 하르샤 스펜지 크링구 |
기타 음식 | |
기타 음식 | 트파야 셀루 마쿠다 피클 레몬 세코크 스케프케프 하리사 탁투카 잘루크 |
사라진 음식 | |
사라진 음식 | 아스마스 센하지 |
음료 | |
음료 | 아타이 오렌지 주스 레벤 자자 라이비 |
알코올 음료 | |
알코올 음료 | 마히아 맥주 와인 안지르 |
2. 영향과 역사
모로코는 수많은 문명이 머물러 가는 기착지로 여겨졌기 때문에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 옛날부터 거주했던 베르베르인의 음식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스페인계 주민에 의해 안달루시아 요리를, 터키인들에 의해 터키 요리가 자리 잡았다. 뿐만 아니라 유태인계 요리도 다수 남아 있다.
모로코에서는 지중해 원산 식물이 많이 재배되어 다양한 야채와 열대 과일이 생산된다. 쇠고기, 염소고기, 양고기가 흔히 사용되며, 닭고기와 해산물도 모로코 요리의 기본 재료이다.[5] 주요 조미료로는 레몬 절임, 아르간 오일, 발효 버터(스멘), 올리브 오일, 말린 과일 등이 있다.[5]
중세 시대에 바그다드를 떠나 모로코에 정착한 피난민들의 요리법은 모로코에 적용되었지만, 중동에서는 사라졌다. 이는 12세기 기독교인들에 의해 전해진 요리법에 따라 파악된 것으로, 현재의 모로코 요리법이 과거 12세기의 것과 상당히 흡사하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대체적으로 과일과 육류를 함께 조리하며, 양고기나 살구, 닭고기를 많이 사용한다. 스페인에서 쫓겨나 남하한 아랍계 피난민들의 영향력이 커서, 이들이 정착하면서 모로코 요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3. 재료
20세기 중반까지는 특히 남부 지역에서 보리가 중요한 주식이었으나,[5] 오늘날 주식은 빵과 쿠스쿠스에 사용되는 쌀과 밀이다. 포도는 주로 디저트로 신선하게 먹으며, 와인 소비량은 1인당 연간 약 1리터에 불과하다.[6][7][8] 전통적인 조리용 지방은 버터와 동물성 지방이었지만, 현재는 올리브 오일이 이를 대체하고 있다.[9] 버터는 신선한 상태(zebeda)와 발효된 상태(smen)로 사용된다.[10]
3,000km가 넘는 해안선을 가진 모로코는 정어리가 상업적으로 중요하며, 세계 최대의 정어리 수출국이다.[26] 모로코 생선 시장에서는 가자미, 황새치, 참치, 터봇, 고등어, 새우, 붕장어, 가오리, 붉돔, 거미게, 바닷가재 및 다양한 연체동물을 찾을 수 있다. 해산물은 타진, 바스티야, ''브리오와트'', 빠에야 등에 사용된다.
모로코 요리에서는 커민, 파프리카, 사프란을 자주 사용하며, 자주 사용되는 허브로는 이탈리안 파슬리와 고수 잎이 있다. 요리에 건포도, 대추야자, 아몬드, 레몬 절임, 올리브를 자주 사용하는 것도 특징이다. 쇠고기와 양고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육류이며, 닭고기와 비둘기 고기도 자주 먹는다. 남부에서는 낙타를 식용으로 한다.
4. 향신료 사용
향신료는 모로코 요리에서 아주 널리 쓰이며 수천 년 전에 수입됐다. 당시부터 샤프란이나 민트, 올리브, 오렌지, 레몬 등은 예부터 일대에 자라기도 했고 외국의 영향을 받아 더욱 다양해졌다. 대개 시나몬이나 큐민, 심황, 생강, 흑후추, 파프리카, 참깨, 코리안더, 파슬리 등을 많이 사용한다.[11][12][13]
향신료와 라스 엘 하누트는 모로코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일부 향신료는 아랍인을 통해 모로코로 수입되었으며, 페르시아 요리와 아랍 요리의 영향을 주었지만, 탈라우인의 사프란, 메크네스의 민트와 올리브, 페스의 오렌지와 레몬 등 많은 재료는 자국산이며 수출되기도 한다. 789년 이드리시드 왕조가 페스를 세운 후, 아랍 문화가 주류를 이루면서 많은 향신료가 동쪽에서 들어왔다.[14] 흔히 사용되는 향신료에는 계피, 커민, 강황, 생강, 파프리카, 고수, 사프란, 육두구, 정향, 회향, 아니스, 넛맥, 카이엔 고추, 호로파, 캐러웨이, 후추 그리고 참깨가 있다. 모로코 향신료 혼합물인 ''라스 엘 하누트''는 27가지 향신료를 혼합하여 만든다.[15]
모로코 요리에 흔히 사용되는 허브에는 민트, 파슬리, 고수, 오레가노, 페퍼민트, 마조람, 버베나, 세이지 그리고 월계수가 있다. 모로코 요리에서는 커민, 파프리카, 사프란을 자주 사용하며, 하리사는 쿠스쿠스에 곁들여 먹는 정도로 요리에 많이 사용하지 않아 튀니지 요리만큼 맵지 않다.
5. 식사
점심식사가 하루 세 끼 중 가장 중요하며 라마단 기간은 제외된다.[16] 보통 식사 때는 뜨겁거나 차가운 샐러드를 먹고 빵이 나오는데, 빵은 항상 등장한다. 양 혹은 닭고기가 다음에 나오며 야채와 고기를 조린 스프가 뒤를 잇는다. 마지막 순서는 달콤한 민트차이다. 모로코 인들이 손가락으로 식사를 하는 것은 흔하며 그들에게 있어 손가락이 주방 기구와도 같다.
전형적인 점심 식사는 샐러드로 시작하여 타진 또는 드와즈가 뒤따른다. 격식을 갖춘 식사에서는 양고기나 닭고기 요리가 다음으로 나오거나, 고기와 채소를 곁들인 쿠스쿠스가 나온다. 전통적으로 모로코인들은 손으로 식사하며 빵을 사용한다.[16] 종교적 제한으로 인해 돼지고기와 알코올 섭취는 흔하지 않다.[17]
6. 주요리
모로코의 주요리는 쿠스쿠스로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18] 베르베르 민족의 유산으로 여겨진다. 이는 아주 오래된 음식이다. 쇠고기는 모로코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붉은 고기이며, 양고기는 더 고급스러운 것으로 인식되나 비싸서 흔치 않다. 마그레브에서 사육되는 양의 종류는 지방의 대부분을 꼬리 근처에 축적하기 때문에 양고기 특유의 냄새가 강하지 않다.[19] 닭고기와 같은 가금류도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타진이나 구이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최근에는 해산물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유럽 정어리는 대량으로 잡히지만, 그 양은 감소하고 있다.[20] 다른 어종으로는 고등어, 멸치, 사르디넬라, 전갱이가 있다.[21]
가장 유명한 모로코 요리는 쿠스쿠스와 파스티야(바스티야)(''basteeya'' 또는 ''bestilla''라고도 표기), ''탄지아'', ''르피사'' 등이 있다. 파스티야는 비둘기나 닭고기를 볶은 양파와 튀긴 아몬드 등을 와르카로 싸서 구운 파이로, 슈가 파우더와 시나몬을 뿌려 먹는 것이 유명하다. 타진은 고기, 야채, 과일 등을 원뿔형 뚜껑이 달린 동명의 뚝배기에 쪄서 만든 조림 요리이다. 탕기아는 동명의 입구가 좁은 항아리에 소나 양고기와 향신료, 절인 레몬, 버터, 마늘을 넣고 종이로 뚜껑을 덮어 모스크의 하맘의 화로 재에 묻어 천천히 쪄서 만든 요리이다.
일상 식사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빵이다. 모로코의 빵은 주로 ''쿠브즈''로 알려진 듀럼밀 세몰리나로 만들어진다. 빵집은 모로코 전역에서 매우 흔하며 신선한 빵은 모든 도시, 마을, 부락의 주식이다. 가장 흔한 빵은 통곡물 거친 가루 또는 흰 밀가루 빵 또는 바게트이다. 또한, ''클레아''와 ''그디드''(기본적으로 양 베이컨)와 같은 건조 소금에 절인 고기와 소금에 절인 보존 고기가 있으며, 이는 ''타진''의 풍미를 내거나 모로코의 풍미 가득한 접힌 팬케이크인 ''엘 르가이프''에 사용된다.
7. 후식
모로코에서는 단 음식이 식사 마지막에 주로 나온다. 계절 과일이 풍부하여 후식으로 자주 먹으며, 가장 흔한 후식은 캅 엘 그잘(kaab el ghzal)이다. 캅 엘 그잘은 아몬드 가루와 설탕을 뿌린 달콤한 과자이다.[25] 할와의 일종인 "할와 쉐바키아 Halwa shebakia"는 밀가루를 튀겨 참깨를 뿌리고 꿀을 뿌린 디저트로, 라마단에 많이 먹는다.[25]
일반적으로 조리된 디저트보다는 제철 과일이 식사 후에 제공된다.[25] 조하라는 페즈의 별미로, 튀긴 와라크 페이스트리, 크림, 구운 아몬드 슬라이스로 만든다.[25] 코코넛 퍼지 케이크인 '주크레 코코'도 인기 있는 후식이다.
8. 음료
아타이(민트차)는 모로코인들이 가장 즐겨 마시는 차이다.[27] 맛있는 민트차를 만드는 것은 예술과도 가깝게 추앙받으며, 가족이나 친구들과 매일 이야기를 나누며 쉬는 시간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27] 차를 따르는 기술은 차의 맛을 좌우한다고 보기도 한다. 모로코 찻주전자는 길고 구부러진 대롱이 있어서 작은 찻잔에 높이서도 부을 수 있다. 모로코 사람들은 대개 차에 거품이 조금이라도 있는 것을 좋아하여 높이 붓기도 하고, 이때 컵을 잡고 받는 경우가 많다.[27] 차에는 각설탕 등을 넣기도 한다.[27]
차는 시장에서도 흔히 구할 수 있는데,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대개 2~3 디나르 정도면 살 수 있다. 차를 사려고 하면 그냥 차 한잔을 주는 사람도 많다. 모로코는 오렌지와 귤이 풍부하여 신선한 오렌지 주스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저렴하다.[27]
9. 패스트푸드
거리에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는 아주 흔해서 대도시에서는 아주 흔히 볼 수 있다. 1980년대 이후로 새로운 스낵을 주로 한 레스토랑이 문을 열었고 스페인식 보카디요를 내놓기 시작했다. 보카디요는 스페인식 샌드위치로서 지역마다 넣는 재료가 다르지만 대체적으로는 바게트 사이에 참치, 고기, 노른자를 넣는다.
낙농품은 모든 곳에서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가게를 ''mahlabas''()라고 부르는데 모든 유제품을 구할 수 있으며 일종의 작은 스낵바로 볼 수도 있다. 1990년대 이후로는 다국적 기업 패스트 푸드점이 연이어 주요 도시에 문을 열었다.
거리에서 패스트 푸드를 판매하는 것은 오랫동안 전통이었으며, 가장 좋은 예는 마라케시의 자마엘프나 광장이다. ''마쿠다''는 특히 페스에서 학생들과 저소득층 사이에서 인기 있는 감자 튀김이다.[28]
현지에서 ''mhlaba''()라고 불리는 유제품 가게는 전국적으로 매우 흔하다. 이러한 유제품 가게는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유제품, 주스, 스무디와 같은 것들과 보카디요스, ''므셈멘'' 및 ''하르차''와 같은 현지 음식을 제공한다.
''칸즈 우-브닌''(, "냄새나고 맛있는")은 저렴하고 인기 있는 길거리 샌드위치이다.
모로코에서 또 다른 인기 있는 길거리 음식은 달팽이로, 작은 그릇에 국물과 함께 담겨 이쑤시개를 사용하여 먹는다.
10. 세계 속의 모로코 요리
쿠스쿠스는 북아프리카를 대표하는 요리로, 모로코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 유럽의 여러 레스토랑이나 작은 가게에서도 쿠스쿠스를 많이 볼 수 있는데, 특히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레몬으로 향을 가미한 모로코식 요리를 흔히 접할 수 있다.
모로코 요리를 더 많은 대중에게 알린 사람들 중에는 TV 요리사 추미샤와 알-아민 알-하지 무스타파 안-나키르가 있다. 알-아민 알-하지 무스타파 안-나키르는 전 모로코 국왕 하산 2세의 요리사였다.
11. 무형문화유산
2010년, 이탈리아 요리, 그리스 요리, 스페인 요리와 함께 모로코 요리가 "지중해식 식단"으로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2014년에는 "아르간 나무에 관한 관습과 기술"이 등재되었다.
12. 한국과의 관계
13.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Art of Moroccan Cuisine
http://fescooking.co[...]
2007-10-10
[2]
서적
Ultimate African Travel - Morocco
https://books.google[...]
Herbert Howard
2013-10-30
[3]
서적
Vegan Lunch Box Around the World (Large Print 16pt)
https://books.google[...]
ReadHowYouWant.com
2011-01-22
[4]
웹사이트
Best Moroccan Chefs honored on a TV program, interview with Hossin Houari
https://2m.ma/ar/new[...]
2019-01-21
[5]
서적
Food Barley: Importance, Uses and Local Knowledge
2005
[6]
간행물
https://www.oiv.int/[...]
International Organisation of Vine and Wine
[7]
백과사전
Morocco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Moroccan wine and Muslims
http://www.decanter.[...]
Decanter
2008-06-06
[9]
서적
Tastes of the Kasbah
2005
[10]
서적
Food and Culture
2016
[11]
웹사이트
What Is Baharat Spice? - Baharat vs. Ras el Hanout
https://www.thespruc[...]
[12]
서적
The Food of Morocco, Ras El Hanout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2-01
[13]
서적
Handbook of Spices, Seasonings, and Flavoring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6-10-23
[14]
서적
Morocco: A Culinary Journey with Recipes from the Spice-Scented Markets of Marrakech to the Date-Filled Oasis of Zagora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2012-05-16
[15]
문서
Otal
1999
[16]
서적
Senses and Citizenships: Embodying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5-02
[17]
웹사이트
Food In Morocco
http://www.foodbycou[...]
Food In Every Country
2011-04
[18]
웹사이트
Moroccan Couscous Recipe
http://maroccankitch[...]
Maroccan Kitchen Recipes
2014-04
[19]
웹사이트
Food, Morocco Travel Guide
https://www.desertmo[...]
Desert Morocco Adventure
[20]
서적
The World Supply and Demand Picture for Canned Small Pelagic Fish
https://archive.org/[...]
Food & Agriculture Org.
[21]
웹사이트
Moroccan Sardine FAO 34
http://fisheryimprov[...]
Fishery Improvement Projects
2016-05-10
[22]
웹사이트
How to eat breakfast like a local around the world - Provided By Advertising Publications
http://www.seattleti[...]
2016-06-23
[23]
웹사이트
Moroccan Cuisine: The Ultimate Guide of the Best 25 foods!
https://www.marrakec[...]
2023-10-26
[24]
웹사이트
Eat this! Zaalouk, a cooked salad from Morocco
https://privatedeser[...]
Private Desert Tours
2024-01-12
[25]
뉴스
Traditional Moroccan Food {{!}} Moroccanzest
https://moroccanzest[...]
2018-07-28
[26]
웹사이트
Moroccan Fishery Products Exports on the World Market
https://www.finances[...]
[27]
문서
Otal
1999
[28]
웹사이트
فيديو.."المعقودة"..تعرف على قصة أشهر أكلة فاسية شعبية.. أكلة " الطلبة وأولاد الشعب"
https://www.febrayer[...]
2019-11-07
[29]
웹사이트
Dairy Development in Morocco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05-10
[30]
웹사이트
ربورتاج … عشـاق "خانـز وبنيـن" - جريدة الصباح
https://assabah.ma/2[...]
2018-02-10
[31]
웹사이트
Vacation in Morocco
https://www.moroccan[...]
Moroccan Vacation
2016-05-10
[32]
뉴스
Morocco Tastiest Street Food
https://moroccanzest[...]
2018-09-03
[33]
웹사이트
Fast Food in Morocco
http://www.euromonit[...]
Euromonitor International
2016-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