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공산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공산주의는 한반도 내 공산주의 운동의 역사를 다룬다. 1910년대 러시아에서 활동한 알렉산드라 킴을 최초의 한국인 공산주의자로 보기도 하며, 1918년에는 이동휘 등이 한인사회당을 창당했다. 1925년에는 박헌영 등에 의해 조선공산당이 결성되었으나, 내부 파벌 갈등과 코민테른의 해산 결정으로 인해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해방 이후 북한에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공산 정권이 수립되었고, 남한에서는 조선공산당이 남로당으로 개편되어 활동하다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불법화되었다. 1949년에는 북조선로동당과 남조선로동당이 통합되어 조선로동당이 창당되었고,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김일성은 권력을 강화하고 주체사상을 확립했다. 이후 주체사상은 북한의 공식 이데올로기로 자리 잡았으며, 2009년 헌법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언급이 삭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산주의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은 쿠바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당 대회를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하여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다양한 대중 조직과 연계하여 정책을 전파하고 국제적으로는 좌파 정권 지원과 쿠바 의료 국제주의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공산주의 - 시민 저항
시민 저항은 정부 정책이나 사회 제도에 대한 반대 의사 표출을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회 운동으로, 한국 사회에서는 역사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민주화 운동을 포함한 사회 변화와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공산주의 | |
---|---|
지도 정보 | |
공산주의 | |
주요 정보 | |
목표 | 한반도의 사회주의 혁명 공산주의 국가 건설 노동자 계급 해방 |
핵심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주체사상 |
주요 활동 | 항일 운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한국 전쟁 사회주의 건설 |
관련 정당 | 조선로동당 한국 공산당 남조선로동당 조선공산당 |
관련 인물 |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박헌영 이승엽 김두봉 |
역사적 배경 | |
일제강점기 | 항일 무장 투쟁 및 독립 운동에 참여 |
해방 직후 | 조선공산당 중심으로 정치 세력화 시도 |
남북 분단 | 북한 지역에 공산주의 국가 수립 |
한국 전쟁 | 공산주의 세력과 자유주의 세력 간의 이념 전쟁 |
냉전 시대 | 소련 및 중국과 연대하여 사회주의 진영 형성 |
탈냉전 시대 |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에도 북한은 공산주의 체제 유지 |
이론적 기반 | |
마르크스-레닌주의 | 자본주의 비판 및 프롤레타리아 독재 주장 |
주체사상 | 김일성에 의해 제시된 자립 및 자주 강조 이념 |
선군정치 | 군사 우선 정책으로 북한 체제 유지 강화 |
한반도 내 영향 | |
북한 | 조선로동당 일당 독재 체제 유지 계획 경제 기반의 사회주의 경제 운영 개인숭배 및 사상 통제 강화 |
남한 | 반공주의 및 보수 세력의 강세 노동 운동 및 민주화 운동에 부분적 영향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북한의 정치 북한의 경제 조선로동당 대한민국의 반공주의 한국의 사회주의 한국의 노동 운동 남북 관계 |
추가 정보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
북한 경제 분석 (1954-1989) | 김병연 외, 북한 경제 성과 분석, 1954-1989 |
북한 경제 정책 분석 | 넬스 앤더슨 외, 북한 경제 정책 분석 |
북한의 법, 정치, 시장 경제 | 다렌 C. 즈크, 북한 개혁: 법, 정치, 시장 경제 |
북한 언론 자유 | 국경없는 기자회, 북한 언론 자유 보고서 |
2. 역사
2. 1. 창당 이전
최초의 한국인 공산주의자로 여겨지는 인물은 러시아에 살았던 알렉산드라 킴이다. 그녀는 1916년에 볼셰비키에 가입했고,[32]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시베리아로 보내져 반혁명 세력과 연합 원정군에 대항하여 고려인들을 동원하였다. 하바롭스크의 극동당부에서 대외 업무를 담당하며 이동휘, 김립을 위시한 독립운동가과 친분을 쌓는다. 이들은 1918년 6월 28일 한국 최초의 공산당인 한인사회당을 창당했다.[33][34][35][36]러시아에 거주했던 한국인 김알렉산드라(Alexandra Kim)는 때때로 최초의 한국 공산주의자로 여겨진다. 그녀는 1916년에 볼셰비키에 가입했다.[7]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Vladimir Lenin)은 그녀를 시베리아로 보내 반혁명 세력과 연합군 원정군에 대항하여 현지 한국인들을 동원하도록 했다. 하바롭스크(Khabarovsk)에서 김알렉산드라는 당의 극동 지부에서 대외 업무를 담당했다. 그녀는 거기서 이동휘, 김립 등 다른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만났다. 그들은 함께 1918년 6월 28일 최초의 한국 공산당인 조선인공산당을 창당했다.[8][9][10][11]
2. 1. 1. 러시아 혁명과 한인 공산주의자들
최초의 한국인 공산주의자로 여겨지는 인물은 러시아에 살았던 알렉산드라 킴이다. 그녀는 1916년에 볼셰비키에 가입했고,[32]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시베리아로 보내져 반혁명 세력과 연합 원정군에 대항하여 고려인들을 동원하였다. 하바롭스크의 극동당부에서 대외 업무를 담당하며 이동휘, 김립을 위시한 독립운동가과 친분을 쌓는다. 이들은 1918년 6월 28일 한국 최초의 공산당인 한인사회당을 창당했다.[33][34][35][36]러시아에 거주했던 한국인 김알렉산드라(Alexandra Kim)는 때때로 최초의 한국 공산주의자로 여겨진다. 그녀는 1916년에 볼셰비키에 가입했다.[7]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Vladimir Lenin)은 그녀를 시베리아로 보내 반혁명 세력과 연합군 원정군에 대항하여 현지 한국인들을 동원하도록 했다. 하바롭스크(Khabarovsk)에서 김알렉산드라는 당의 극동 지부에서 대외 업무를 담당했다. 그녀는 거기서 이동휘, 김립 등 다른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만났다. 그들은 함께 1918년 6월 28일 최초의 한국 공산당인 조선인공산당을 창당했다.[8][9][10][11]
2. 1. 2. 한인사회당 창당
최초의 한국인 공산주의자로 여겨지는 인물은 러시아에 살았던 알렉산드라 킴이다. 그녀는 1916년에 볼셰비키에 가입했고,[32] 1917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시베리아로 보내져 반혁명 세력과 연합 원정군에 대항하여 고려인들을 동원하였다. 하바롭스크의 극동당부에서 대외 업무를 담당하며 이동휘, 김립을 위시한 독립운동가들과 친분을 쌓는다. 이들은 1918년 6월 28일 한국 최초의 공산당인 한인사회당을 창당했다.[33][34][35][36]2. 2. 조선공산당의 창당과 활동 (1925-1945)
조선공산당은 1925년 서울에서 열린 비밀회의에서 박헌영, 김단야, 조봉암 등에 의해 창당되었다.[37] 당 지도자는 김용봉과 박헌영이었다. 이 당은 1928년 8월~9월 제6차 코민테른 대회에서 코민테른의 조선 지부가 되었다. 그러나 코민테른 조선 지부로 활동한 지 불과 몇 달 만에, 창당 이후부터 당을 괴롭혀 온 엠엘파, 화요파 등 라이벌 파벌 간의 끊임없는 다툼으로 인해 코민테른은 같은 해 12월 조선공산당을 해산시켰다.[37][38][12][13] 그러나 당은 여러 당 세포를 통해 계속 존재했다. 일부 조선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공산당 초기 활동에 참여했다. 1930년대 초 조선과 중국 공산주의자들은 일제에 대한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2. 2. 1. 창당 배경과 초기 활동
조선공산당은 1925년 서울에서 열린 비밀회의에서 박헌영, 김단야, 조봉암 등에 의해 창당되었다.[37] 당 지도자는 김용봉과 박헌영이었다. 이 당은 1928년 8월~9월 제6차 코민테른 대회에서 코민테른의 조선 지부가 되었다. 그러나 코민테른 조선 지부로 활동한 지 불과 몇 달 만에, 창당 이후부터 당을 괴롭혀 온 엠엘파, 화요파 등 라이벌 파벌 간의 끊임없는 다툼으로 인해 코민테른은 같은 해 12월 조선공산당을 해산시켰다.[37][38][12][13] 그러나 당은 여러 당 세포를 통해 계속 존재했다. 일부 조선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공산당 초기 활동에 참여했다. 1930년대 초 조선과 중국 공산주의자들은 일본군에 대한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2. 2. 2. 코민테른과의 관계와 해산
조선공산당은 1925년 서울에서 열린 비밀회의에서 박헌영, 김단야, 조봉암 등에 의해 창당되었다.[37] 1928년 8월부터 9월까지 열린 제6차 국제회의에서 코민테른의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코민테른으로 활동한 지 불과 몇 달 만에 창당 때부터 당을 괴롭혔던 엠엘파, 화요파 등 경쟁 파벌 간의 끊임없는 불화로 코민테른은 같은 해 12월 조선공산당을 해산한다.[37][38] 이후 한국의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공산당에 참여하고, 1930년대 초에는 중국 공산당과 힘을 합쳐 일본군에 대항하여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조선공산당은 1925년 서울에서 비밀리에 개최된 회의에서 창당되었다.[12] 당 지도자는 김용봉과 박헌영이었다. 이 당은 1928년 8월~9월 제6차 코민테른 대회에서 코민테른의 조선 지부가 되었다. 그러나 코민테른 조선 지부로 활동한 지 불과 몇 달 만에, 창당 이후부터 당을 괴롭혀 온 라이벌 파벌 간의 끊임없는 다툼으로 인해 코민테른은 같은 해 12월 조선공산당을 해산시켰다.[12][13] 그러나 당은 여러 당 세포를 통해 계속 존재했다. 일부 조선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공산당 초기 활동에 참여했다. 1930년대 초 조선과 중국 공산주의자들은 일본군에 대한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
2. 2. 3. 중국에서의 항일 무장 투쟁
조선공산당은 1925년 서울에서 열린 비밀회의에서 박헌영, 김단야, 조봉암 등에 의해 창당되었다.[37] 1928년 8월부터 9월까지 열린 제6차 국제회의에서 코민테른의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엠엘파, 화요파 등 경쟁 파벌 간의 끊임없는 불화로 코민테른은 같은 해 12월 조선공산당을 해산한다.[37][38] 이후 한국의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공산당에 참여하고, 1930년대 초에는 중국 공산당과 힘을 합쳐 일본군에 대항하여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조선공산당은 1925년 서울에서 비밀리에 개최된 회의에서 창당되었다.[12] 당 지도자는 김용봉과 박헌영이었다. 이 당은 1928년 8월~9월 제6차 코민테른 대회에서 코민테른의 조선 지부가 되었다. 그러나 코민테른 조선 지부로 활동한 지 불과 몇 달 만에, 창당 이후부터 당을 괴롭혀 온 라이벌 파벌 간의 끊임없는 다툼으로 인해 코민테른은 같은 해 12월 조선공산당을 해산시켰다.[12][13] 그러나 당은 여러 당 세포를 통해 계속 존재했다. 일부 조선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공산당 초기 활동에 참여했다. 1930년대 초 조선과 중국 공산주의자들은 일본군에 대한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
2. 3. 해방 이후 (1945-1949)
1945년 광복 이후 한국의 공산주의자들이 처한 상황은 격변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공산당 지도자 박헌영이 석방되자마자 서울에서 중앙위원회를 조직하고 서기를 맡았다.
소련 붉은 군대는 1945년 8월 한국의 북부를 점령하였다. 그러나 당시 북한에는 공산당 간부들이 거의 없었다.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한국으로 돌아온 망명 공산주의자나 소련 내 고려인들에게 크게 의존하기 시작했는데, 그 중 김일성이 있었다. 김일성은 소련으로 건너가 붉은 군대의 대위로 임관하고, 소련이 북한에서 공산당의 지도자를 물색하고 있을 때 평양에 귀환했다.
1945년 10월 13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이 설립되었다. 이 공산당은 엄밀히 말하자면 서울에 기반을 둔 당 지도부의 통제 아래 있었지만, 실제로는 남한과의 접촉은 거의 하지 않은 채 소련 당국의 협조를 받았다. 북조선분국의 초대 책임비서는 1930년대 코민테른에 의해 한국에 파견되어 지하 활동을 한 김용범이었다. 김일성은 1945년 12월 김용범의 뒤를 이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책임비서가 되었다. 그러나 북한의 역사학자들은 김일성이 조선총독부 출범 때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위원장이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이의를 제기하고, 10월 10일을 김일성이 북한 최초의 진정한 공산당을 창당한 '당 창건일'로 간주한다. 북조선공산당이라는 명칭은 '조선공산당 조직위원회'로 변경되었다고 주장한다.
1946년 7월 22일 조선공산당은 조선신민당, 조선사회민주당, 천도교청우당과 함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을 설립한다.
1945년 해방 이후 한국 공산주의자들의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남한에서는 저항 운동가였던 공산당 지도자 박헌영이 1945년 석방 후 서울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중앙위원회를 재조직하고 서기장이 되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그의 그룹은 북쪽의 소련과의 접촉이 제한적이었다.
소련 적군은 1945년 8월 북한을 해방시켰다. 당시 북한에는 공산주의 간부가 매우 적었다.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한국으로 돌아온 망명 공산주의자들과 소련 내 거대한 한국인 공동체의 일부였던 한국계 사람들에게 크게 의존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은 북부 지역에서 당의 중요 인물이 되었다. 게릴라 지도자 시절을 보낸 후 김일성은 소련으로 이주하여 적군 대위가 되었다. 그의 대대는 소련이 북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을 적임자를 찾고 있던 바로 그때 평양에 도착했다.
1945년 10월 13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이 설립되었다. 기술적으로 서울에 기반을 둔 당 지도부의 통제하에 있었지만, 북조선분국은 서울과의 접촉이 거의 없었고 소련 민정청과 긴밀히 협력했다. 분국의 초대 의장은 1930년대 코민테른에 의해 지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으로 파견된 김용범이었다. 김일성은 분국 설립 당시 회원이었으며 1945년 12월 김용범을 대신하여 의장이 되었다. 북한의 공식 역사가들은 나중에 이를 부인하며 김일성이 분국 초창기부터 의장이었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의 공식 자료들은 회의가 10월 10일에 열렸다고 주장한다. 10월 10일은 북한에서 김일성이 한국 최초의 진정한 공산당을 결성했다고 여기는 '당 창건일'로 여겨진다. 북한의 공식 역사가들은 박헌영과 같은 초기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역할을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다. 북한의 공식 자료에 따르면 분국의 이름은 '조선공산당 북조선지방위원회'(흔히 '조선공산당'으로 간략히 불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1946년 7월 22일, 북조선분국은 신민당, 민주당 및 영향력 있는 종교 운동의 지지자였던 천도교 청우당과 합쳐 북조선 조국전선을 결성했다.
2. 3. 1. 남한 지역: 조선공산당 재건과 남조선로동당 창당
1945년 해방 이후 남한에서는 저항 운동가였던 조선공산당 지도자 박헌영이 석방 후 서울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중앙위원회를 재조직하고 서기장이 되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그의 그룹은 북쪽의 소련과의 접촉이 제한적이었다.[39]조선공산당 북조선 지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여전히 38선 이남에서 활동하였다. 1946년 11월 23일,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과 합당하여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이 되었다.[39]
남로당은 곧 대한민국에서 불법화되었지만, 당은 비밀 조직망을 통해 상당한 추종자들을 얻을 수 있었다.[39]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이 당과 연결되었다. 1947년부터는 무장 게릴라 투쟁을 시작하였다. 당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자 당 지도부의 상당 부분이 평양으로 이동했다.[39] 남로당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1948년 2월에서 3월 사이에는 이에 반대하는 총파업을 일으켰다.[41] 1948년 4월 3일에는 제주 4·3 사건을 일으켰는데,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양민과 군경이 희생되었다.[42]
2. 3. 2. 북한 지역: 북조선공산당과 북조선로동당 창당
1945년 10월 13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이 설립되었다. 북조선분국은 서울에 기반을 둔 당 지도부의 통제하에 있었지만, 서울과의 접촉이 거의 없었고 소련 민정청과 긴밀히 협력했다. 분국의 초대 의장은 1930년대 코민테른에 의해 지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으로 파견된 김용범이었다. 김일성은 분국 설립 당시 회원이었으며 1945년 12월 김용범을 대신하여 의장이 되었다. 그러나 북한의 공식 역사가들은 김일성이 분국 초창기부터 의장이었다고 주장한다.[39] 북한의 공식 자료들은 회의가 10월 10일에 열렸다고 주장하며, 10월 10일은 북한에서 '당 창건일'로 여겨진다. 북한의 공식 역사가들은 박헌영과 같은 초기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역할을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다.
소련 적군은 1945년 8월 북한을 해방시켰다. 당시 북한에는 공산주의 간부가 매우 적었다.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한국으로 돌아온 망명 공산주의자들과 소련 내 한국인 공동체의 일부였던 한국계 사람들에게 크게 의존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은 북부 지역에서 당의 중요 인물이 되었다. 게릴라 지도자 시절을 보낸 후 김일성은 소련으로 이주하여 적군 대위가 되었다. 그의 대대는 소련이 북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을 적임자를 찾고 있던 바로 그때 평양에 도착했다.
1946년 7월 22일, 북조선분국은 신민당, 민주당 및 천도교 청우당과 합쳐 북조선 조국전선을 결성했다.
1946년 7월 29일, 김두봉의 조선신민당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은 양당 중앙위원회 합동총회를 개최하고 북조선로동당으로 통합하기로 합의하였다.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조선로동당 창당대회가 열렸다. 초대 당 중앙위원장으로 조선신민당의 당수였던 김두봉이 선출되었고, 당 부주석은 주영하와 김일성이었다.[39] 창당 당시 당원은 약 36만 6천 명으로, 당세포수는 약 1만 2천 개에 이르렀다.[39][40]
조선신민당은 주로 지식인층을, 조선공산당은 주로 노동자와 농민들을 기반으로 두었다. 공산주의자들은 내부적인 이견과 갈등이 커져갔으며 새로운 통일 정당에는 서로 다른 공산주의 분파들이 양립했다. 신당 창당 당시 당의 핵심 이념으로써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일성은 총회의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을 유지하는 것에 찬성했다.[39]
2. 3. 3. 남북한 공산당의 통합 시도와 좌절
1946년 7월 29일 김두봉의 조선신민당과 조선공산당은 양당 중앙위원회 합동총회를 개최하고 북조선로동당으로 통합하기로 합의하였다. 조선로동당 창당대회는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열렸다. 초대 당 중앙위원장으로 조선신민당의 당수였던 김두봉이 선출되었다. 당 부주석은 주영하와 김일성이었다.[39] 창당 당시 당원은 약 36만 6천 명으로, 당세포수는 약 1만 2천 개에 이르렀다.[39][40]
같은해 11월 23일, 두 당이 정식으로 통합하고 북조선로동당이 창당되었다. 그러나 조선신민당에는 주로 식자층을, 조선공산당은 주로 노동자들과 농민들을 기반으로 두었다. 공산주의자들은 내부적인 이견과 갈등이 커져갔으며 새로운 통일 정당에는 서로 공산주의 분파들이 양립했다. 신당 창당 당시 당의 핵심 이념으로써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일성은 총회의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을 유지하는 것에 찬성했다.[39]
조선공산당 북조선 지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여전히 38선 이남에서 활동하였다. 1946년 11월 23일 북조선공산당과 마찬가지로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과 합당하여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이 되었다.
남로당은 곧 대한민국에서 불법화되었지만, 당은 비밀 조직망을 통해 상당한 추종자들을 얻을 수 있었다.[39] 노동조합 운동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이 당과 연결되었다. 1947년부터는 무장 게릴라 투쟁을 시작하였다. 당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자 당 지도부의 상당 부분이 평양으로 이동했다. 남로당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1948년 2월에서 3월 사이에는 이에 반대하는 총파업을 일으켰다.[41] 1948년 4월 3일에는 제주 4·3 사건을 일으켰는데, 이는 명백히 남로당의 주도로 이루어진 대한민국에 대한 반역행위였다. 이 사건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양민과 군경이 희생되었다.[42]
2. 3. 4.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
1946년 7월 29일 김두봉의 조선신민당과 조선공산당은 양당 중앙위원회 합동총회를 개최하고 북조선로동당으로 통합하기로 합의하였다. 조선로동당 창당대회는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열렸다. 초대 당 중앙위원장으로 조선신민당의 당수였던 김두봉이 선출되었다. 당 부주석은 주영하와 김일성이었다.[39] 창당 당시 당원은 약 36만 6천 명으로, 당세포수는 약 1만 2천 개에 이르렀다.[39][40]같은해 11월 23일, 두 당이 정식으로 통합하고 북조선로동당이 창당되었다. 그러나 조선신민당에는 주로 식자층을, 조선공산당은 주로 노동자들과 농민들을 기반으로 두었다. 공산주의자들은 내부적인 이견과 갈등이 커져갔으며 새로운 통일 정당에는 서로 공산주의 분파들이 양립했다. 신당 창당 당시 당의 핵심 이념으로써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일성은 총회의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을 유지하는 것에 찬성했다.[39]
조선공산당 북조선 지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여전히 38선 이남에서 활동하였다. 1946년 11월 23일 북조선공산당과 마찬가지로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과 합당하여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이 되었다.
남로당은 곧 대한민국에서 불법화되었지만, 당은 비밀 조직망을 통해 상당한 추종자들을 얻을 수 있었다.[39] 노동조합 운동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이 당과 연결되었다. 1947년부터는 무장 게릴라 투쟁을 시작하였다. 당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자 당 지도부의 상당 부분이 평양으로 이동했다. 남로당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1948년 2월에서 3월 사이에는 이에 반대하는 총파업을 일으켰다.[41] 1948년 4월 3일에는 제주 4·3 사건을 일으켰는데, 이 사건은 무고한 제주도민들의 대량 학살로 이어진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특히 이승만 정권의 강경 진압 과정에서 수많은 양민들이 희생되었으며, 이는 한국 현대사의 아픈 상처로 남아있다.[42]
2. 4. 조선로동당의 창당과 한국전쟁 (1949-1953)
1949년 6월 30일 평양에서 북조선로동당과 남조선로동당이 통합되어 조선로동당이 되었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는 위원장으로 김일성, 부위원장으로 박헌영, 허가이가 선출되었고, 중앙위원회의 정치위원회의 의장에는 김일성, 부의장에는 박헌영이 선출되었다.[47][48][49] 이들 중 대부분은 이후 김일성에 의해 숙청되었다.[50]
같은 날, 평양에서 열린 당 대회에서 조선로동당(북한)과 남조선노동당이 합병하여 조선로동당이 결성되었다. 김일성이 당 위원장이 되었고, 박헌영과 알렉세이 이바노비치 헤가이/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Хега́йru가 부위원장이 되었다.[18][19][21] 최초의 정치국원에는 이승엽, 김삼룡, 김책, 김두봉, 박일우, 박정애 등이 있었다.[22] 이들 중 대부분은 나중에 김일성에 의해 숙청되었다.[22]
조선로동당 집권 초기 5년간은 6.25 전쟁이 상황을 지배했다. 1950년 10월, 유엔군은 38선 이북의 대부분을 점령했고, 조선로동당 지도부는 중국으로 도망쳐야 했다. 그러나 11월, 조선인민군과 중공군이 전쟁에 뛰어들어 유엔군을 밀어내고 12월에는 평양을, 1951년 1월에는 서울을 탈환했다. 3월에 유엔군이 서울을 재탈환했으며 전선은 교착되어 결국 1953년 휴전선이 결정되었다. 이후 공산주의는 대한민국 내에서 대대적인 퇴출 대상이 되었다. 조선로동당은 이 선의 북쪽에 통치권을 재확립할 수 있었다.
2. 4. 1. 남북 노동당 합당과 조선로동당 창립
1949년 6월 30일 평양에서 북조선로동당과 남조선로동당이 통합되어 조선로동당이 되었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는 위원장으로 김일성, 부위원장으로 박헌영, 허가이가 선출되었고, 중앙위원회의 정치위원회의 의장에는 김일성, 부의장에는 박헌영이 선출되었다.[47][48][49] 이들 중 대부분은 이후 김일성에 의해 숙청되었다.[50]
같은 날, 평양에서 열린 당 대회에서 조선로동당(북한)과 남조선노동당이 합병하여 조선로동당이 결성되었다. 김일성이 당 위원장이 되었고, 박헌영과 알렉세이 이바노비치 헤가이/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Хега́йru가 부위원장이 되었다.[18][19][21] 최초의 정치국원에는 이승엽, 김삼룡, 김책, 김두봉, 박일우, 박정애 등이 있었다.[22] 이들 중 대부분은 나중에 김일성에 의해 숙청되었다.[22]
조선로동당 집권 초기 5년간은 6.25 전쟁이 상황을 지배했다. 1950년 10월, 유엔군은 38선 이북의 대부분을 점령했고, 조선로동당 지도부는 중국으로 도망쳐야 했다. 그러나 11월, 조선인민군과 중공군이 전쟁에 뛰어들어 유엔군을 밀어내고 12월에는 평양을, 1951년 1월에는 서울을 탈환했다. 3월에 유엔군이 서울을 재탈환했으며 전선은 교착되어 결국 1953년 휴전선이 결정되었다. 이후 공산주의는 대한민국 내에서 대대적인 퇴출 대상이 되었다. 조선로동당은 이 선의 북쪽에 통치권을 재확립할 수 있었다.
2. 4. 2. 한국전쟁과 조선로동당의 역할
1949년 6월 30일 평양에서 북조선로동당과 남조선로동당이 통합되어 조선로동당이 되었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는 위원장으로 김일성, 부위원장으로 박헌영, 허가이가 선출되었고, 중앙위원회의 정치위원회의 의장에는 김일성, 부의장에는 박헌영이 선출되었다.[47][48][49] 이들 중 대부분은 이후 김일성에 의해 숙청되었다.[50]
조선로동당 집권 초기 5년간은 6.25 전쟁이 상황을 지배했다. 1950년 10월, 유엔군은 38선 이북의 대부분을 점령했고, 조선로동당 지도부는 중국으로 도망쳐야 했다. 그러나 11월, 조선인민군과 중공군이 전쟁에 뛰어들어 유엔군을 밀어내고 12월에는 평양을, 1951년 1월에는 서울을 탈환했다. 3월에 유엔군이 서울을 재탈환했으며 전선은 교착되어 결국 1953년 휴전선이 결정되었다. 이후 공산주의는 대한민국 내에서 대대적인 퇴출 대상이 되었다.
2. 5. 권력 투쟁과 숙청 (1953-1960년대)
1945년 당시 조선로동당에는 크게 네 계파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소련파는 허가이가 이끌었으며, 1870년대부터 가족이 러시아로 이주한 뒤 러시아에서 태어나거나 자란 사람들이다.[43][44] 이들 중 일부는 1920년대~1930년대에 공산주의 공작원으로 한국에 파견되었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붉은 군대의 일원이거나 광복 이후 북한에서 살고 있던 민간인들이었다. 이 계파는 광복직후 평양에서 초기 공산당의 당 구조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
- 국내파는 한반도를 떠나지 않고 독립군에 가담했던 인물들이다. 주요 인물로는 오기섭, 정달헌, 이주하, 주영하, 김용범 등등이 있었다.[46] 이들은 서울에 있던 옛 조선공산당 지도부와 정치적으로 결부되어 있었는데, 박헌영이 이끄는 남로당을 말한다.
- 연안파는 처음에는 김무정이, 그 다음에는 김두봉과 최창익이 이끌었다. 이들은 중국 산시성 옌안시에 지역 본부가 있는 중국공산당에 가입했었던 망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마오쩌둥과 친분이 있었다.
- 빨치산파는 김일성이 이끌었으며, 만주에서 활동한 빨치산 출신으로 구성되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일본이 이들을 진압하자 만주를 탈출해 소련으로 건너가 붉은 군대에서 복무하였다.
당 지도부에는 각 파벌들이 비례적으로 들어있었다. 최고 정치국에는 소련파 3명, 연안파 6명, 국내파 2명, 빨치산파 2명이 들어있었다. 빨치산파는 중앙위 분파 중 가장 작은 분파였지만, 현재 북한 정부를 이끌고 있으며 당내에서 영향력이 큰 김일성을 갖고 있었다. 게다가 김일성은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김일성은 잠재적 경쟁자들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우선 소련파 지도자 허가이를 1951년에 강등시키고, 1953년에는 저수지 복구 지연을 구실로 권좌에서 축출했다.(이는 자살로 위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2]
조선인민군이 중화인민공화국 국경까지 밀려나자, 김일성은 군사적 실패 책임을 물어 연안파의 지도자이자 인민군 사령관이었던 무정을 숙청했다. 무정은 모든 직위에서 쫓겨난 뒤 중국으로 돌아갔다.[22] 또한 내무상이었고, 마오쩌둥의 대리인이었던 박일우도 제거되었다.[22]
전쟁이 끝나갈 무렵, 김일성은 국내파를 공격했다. 1952년 1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남조선로동당 출신들이 비판받았다. 1953년 초, '남한 출신'들이 쿠데타를 모의한다는 소문이 돌았고, 이는 박헌영과 이승엽의 체포로 이어졌다. 이들은 '미국 간첩' 혐의를 받았다.[22]
1953년 8월, 정전협정 체결 직후, 이승엽 등 국내파 지도자 11명이 군사 쿠데타 모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1955년, 박헌영은 1939년부터 미국의 간첩이었으며, 파괴 공작, 암살, 쿠데타를 계획했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22]
이승엽과 박헌영 재판을 전후로 남로당 출신 당원과 활동가들이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강제 노역을 당했다. 국내파는 사실상 몰락했으나, 김일성과 개인적 친분이 있던 일부는 살아남아 요직에 등용되기도 했다.
2. 5. 1. 김일성 권력 강화와 파벌 투쟁
1945년 당시 조선로동당에는 크게 네 계파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소련파는 허가이가 이끌었으며, 1870년대부터 가족이 러시아로 이주한 뒤 러시아에서 태어나거나 자란 사람들이다.[43][44] 이들 중 일부는 1920년대~1930년대에 공산주의 공작원으로 한국에 파견되었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붉은 군대의 일원이거나 광복 이후 북한에서 살고 있던 민간인들이었다. 이 계파는 광복직후 평양에서 초기 공산당의 당 구조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
- 국내파는 한반도를 떠나지 않고 독립군에 가담했던 인물들이다. 주요 인물로는 오기섭, 정달헌, 이주하, 주영하, 김용범 등등이 있었다.[46] 이들은 서울에 있던 옛 조선공산당 지도부와 정치적으로 결부되어 있었는데, 박헌영이 이끄는 남로당을 말한다.
- 연안파는 처음에는 김무정이, 그 다음에는 김두봉과 최창익이 이끌었다. 이들은 중국 산시성 옌안시에 지역 본부가 있는 중국공산당에 가입했었던 망명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마오쩌둥과 친분이 있었다.
- 빨치산파는 김일성이 이끌었으며, 만주에서 활동한 빨치산 출신으로 구성되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일본이 이들을 진압하자 만주를 탈출해 소련으로 건너가 붉은 군대에서 복무하였다.
당 지도부에는 각 파벌들이 비례적으로 들어있었다. 최고 정치국에는 소련파 3명, 연안파 6명, 국내파 2명, 빨치산파 2명이 들어있었다. 빨치산파는 중앙위 분파 중 가장 작은 분파였지만, 현재 북한 정부를 이끌고 있으며 당내에서 영향력이 큰 김일성을 갖고 있었다. 게다가 김일성은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2. 5. 2. 주요 숙청 사건
1950년 한국 전쟁 중, 김일성은 잠재적 경쟁자들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우선 소련파 지도자 허가이를 1951년에 강등시키고, 1953년에는 저수지 복구 지연을 구실로 권좌에서 축출했다.(이는 자살로 위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2]조선인민군이 중화인민공화국 국경까지 밀려나자, 김일성은 군사적 실패 책임을 물어 연안파의 지도자이자 인민군 사령관이었던 무정을 숙청했다. 무정은 모든 직위에서 쫓겨난 뒤 중국으로 돌아갔다.[22] 또한 내무상이었고, 마오쩌둥의 대리인이었던 박일우도 제거되었다.[22]
전쟁이 끝나갈 무렵, 김일성은 국내파를 공격했다. 1952년 1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남조선로동당 출신들이 비판받았다. 1953년 초, '남한 출신'들이 쿠데타를 모의한다는 소문이 돌았고, 이는 박헌영과 이승엽의 체포로 이어졌다. 이들은 '미국 간첩' 혐의를 받았다.[22]
1953년 8월, 정전협정 체결 직후, 이승엽 등 국내파 지도자 11명이 군사 쿠데타 모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1955년, 박헌영은 1939년부터 미국의 간첩이었으며, 파괴 공작, 암살, 쿠데타를 계획했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22]
이승엽과 박헌영 재판을 전후로 남로당 출신 당원과 활동가들이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강제 노역을 당했다. 국내파는 사실상 몰락했으나, 김일성과 개인적 친분이 있던 일부는 살아남아 요직에 등용되기도 했다.
2. 6. 주체사상의 확립과 발전 (1950년대-현재)

김일성은 1955년 12월 28일 “사상 이데올로기 사업에서의 도그마티즘과 형식주의를 제거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주체”를 슬로건으로 제시했다. 주체사상 자체는 1960년대 중소 분쟁의 정치적 압력 속에서 점차 체계적인 이데올로기 교리로 발전했다. "주체"라는 단어는 1965년경부터 영어로 된 북한 자료에도 번역되지 않은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은 1965년 4월 1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건설과 남조선 혁명에 관하여”라는 연설에서 주체의 3대 원칙인 “정치적 자주”(자주(自主)), “경제적 자립”(자립(自立)), “국방적 자위”(자위(自衛))를 제시했다.
노동당 이데올로그와 연설문 작성자들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자기 재생산 개념과 같은 마오이즘 사상을 공개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마오이즘 예술 이론 또한 북한 음악극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전은 중소 분쟁이라는 배경 속에서 일어났다.
북한의 공식 역사에 따르면, 주체가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 중 하나는 1956년부터 1961년까지의 5개년 계획으로, 천리마운동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青山里方式 및 大安의 사업体系로 이어졌다. 5개년 계획은 중공업에 초점을 맞춘 북한의 급속한 경제 발전을 포함했다. 그러나 천리마 운동은 1928년 소련의 제1차 5개년 계획에서 시작된 중앙 집권적 국가 계획과 같은 방식을 적용했다.
1972년, 중소 분쟁에 대한 대응으로 개정된 북한 헌법에서 주체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여 공식적인 국가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그러나 주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인 응용으로 정의되었다. 김일성은 또한 주체가 북한에서 독창적인 것이 아니며, 그것을 공식화함에 있어 그는 모든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에 내재하는 프로그램적 방향에만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전직 북한 지도자 김정일은 1982년 “주체사상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주체에 대한 결정적인 진술을 공식적으로 작성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북한의 가장 큰 경제적 후원자였던 소련이 붕괴된 후, 1992년 개정 헌법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삭제되었다.[23] 김정일은 1996년 선군(군사 우선) 정책을 주체에 통합했다. 공산주의식 중앙 지도 구조는 1998년 개정 헌법에서 제거되었는데, 이 헌법은 대통령직과 중앙인민위원회를 폐지하고 그 권한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와 내각으로 이전했다.[23] 지배하는 조선로동당 지도부의 이전 권한과는 대조적으로, 1998년 헌법 개정은 최고 국가 권력 지도력을 조선인민군을 이끄는 사람들에게 재분배했고;[23] 조선인민군에게 최고 지도력을 재분배했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 개정안의 언어는 노동당의 폐지를 요구하지 않았다.[23]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삭제되었다. 2012년 북한은 외무성 건물 벽에서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를 내렸다.[24] 그러나 2021년 1월 조선로동당은 공산주의에 대한 헌신을 재확인했다.[25] 2024년, 마르크스와 레닌의 초상화는 새롭게 개장한 조선로동당 중앙 간부훈련소에 전시되어 2012년 이후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26]
2. 6. 1. 주체사상의 등장과 초기 발전
김일성은 1955년 12월 28일 “사상 이데올로기 사업에서의 도그마티즘과 형식주의를 제거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주체”를 슬로건으로 제시했다. 주체사상 자체는 1960년대 중소 분쟁의 정치적 압력 속에서 점차 체계적인 이데올로기 교리로 발전했다. "주체"라는 단어는 1965년경부터 영어로 된 북한 자료에도 번역되지 않은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은 1965년 4월 1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건설과 남조선 혁명에 관하여”라는 연설에서 주체의 3대 원칙인 “정치적 자주”(자주(自主)), “경제적 자립”(자립(自立)), “국방적 자위”(자위(自衛))를 제시했다.
노동당 이데올로그와 연설문 작성자들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자기 재생산 개념과 같은 마오이즘 사상을 공개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마오이즘 예술 이론 또한 북한 음악극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전은 중소 분쟁이라는 배경 속에서 일어났다.
북한의 공식 역사에 따르면, 주체가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 중 하나는 1956년부터 1961년까지의 5개년 계획으로, 천리마운동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青山里方式 및 大安의 사업体系로 이어졌다. 5개년 계획은 중공업에 초점을 맞춘 북한의 급속한 경제 발전을 포함했다. 그러나 천리마 운동은 1928년 소련의 제1차 5개년 계획에서 시작된 중앙 집권적 국가 계획과 같은 방식을 적용했다.
1972년, 중소 분쟁에 대한 대응으로 개정된 북한 헌법에서 주체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여 공식적인 국가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그러나 주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인 응용으로 정의되었다. 김일성은 또한 주체가 북한에서 독창적인 것이 아니며, 그것을 공식화함에 있어 그는 모든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에 내재하는 프로그램적 방향에만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2. 6. 2. 마르크스-레닌주의와의 관계 변화
김일성은 1955년 12월 28일 “사상 이데올로기 사업에서의 도그마티즘과 형식주의를 제거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주체”를 슬로건으로 제시했다. 주체사상 자체는 1960년대 중소 분쟁의 정치적 압력 속에서 점차 체계적인 이데올로기 교리로 발전했다. "주체"라는 단어는 1965년경부터 영어로 된 북한 자료에도 번역되지 않은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김일성은 1965년 4월 1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건설과 남조선 혁명에 관하여”라는 연설에서 주체의 3대 원칙인 “정치적 자주”(자주(自主)), “경제적 자립”(자립(自立)), “국방적 자위”(자위(自衛))를 제시했다.노동당 이데올로그와 연설문 작성자들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자기 재생산 개념과 같은 마오이즘 사상을 공개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마오이즘 예술 이론 또한 북한 음악극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전은 중소 분쟁이라는 배경 속에서 일어났다.
북한의 공식 역사에 따르면, 주체가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 중 하나는 1956년부터 1961년까지의 5개년 계획으로, 천리마운동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청산리 방법/青山里方式일본어 및 대안의 사업체계/大安の事業体系일본어로 이어졌다. 5개년 계획은 중공업에 초점을 맞춘 북한의 급속한 경제 발전을 포함했다. 그러나 천리마 운동은 1928년 소련의 제1차 5개년 계획에서 시작된 중앙 집권적 국가 계획과 같은 방식을 적용했다.
1972년, 중소 분쟁에 대한 대응으로 개정된 북한 헌법에서 주체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여 공식적인 국가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그러나 주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인 응용으로 정의되었다. 김일성은 또한 주체가 북한에서 독창적인 것이 아니며, 그것을 공식화함에 있어 그는 모든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에 내재하는 프로그램적 방향에만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전직 북한 지도자 김정일은 1982년 “주체사상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주체에 대한 결정적인 진술을 공식적으로 작성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북한의 가장 큰 경제적 후원자였던 소련이 붕괴된 후, 1992년 개정 헌법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삭제되었다.[23] 김정일은 1996년 선군(군사 우선) 정책을 주체에 통합했다. 공산주의식 중앙 지도 구조는 1998년 개정 헌법에서 제거되었는데, 이 헌법은 대통령직과 중앙인민위원회를 폐지하고 그 권한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와 내각으로 이전했다.[23] 지배하는 조선로동당 지도부의 이전 권한과는 대조적으로, 1998년 헌법 개정은 최고 국가 권력 지도력을 조선인민군을 이끄는 사람들에게 재분배했고;[23] 조선인민군에게 최고 지도력을 재분배했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 개정안의 언어는 노동당의 폐지를 요구하지 않았다.[23]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삭제되었다. 2012년 북한은 외무성 건물 벽에서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를 내렸다.[24] 그러나 2021년 1월 노동당은 공산주의에 대한 헌신을 재확인했다.[25]
2024년, 마르크스와 레닌의 초상화는 새롭게 개장한 조선로동당 중앙 간부훈련소에 전시되어 2012년 이후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26]
2. 6. 3. 김정일 시대의 주체사상과 선군정치
김정일은 1982년 “주체사상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문서에서 주체에 대한 결정적인 진술을 공식적으로 작성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북한의 가장 큰 경제적 후원자였던 소련이 붕괴된 후, 1992년 개정 헌법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삭제되었다.[23] 김정일은 1996년 선군(군사 우선) 정책을 주체에 통합했다. 공산주의식 중앙 지도 구조는 1998년 개정 헌법에서 제거되었는데, 이 헌법은 대통령직과 중앙인민위원회를 폐지하고 그 권한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와 내각으로 이전했다.[23] 지배하는 조선노동당 지도부의 이전 권한과는 대조적으로, 1998년 헌법 개정은 최고 국가 권력 지도력을 조선인민군을 이끄는 사람들에게 재분배했고;[23] 조선인민군에게 최고 지도력을 재분배했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 개정안의 언어는 노동당의 폐지를 요구하지 않았다.[23]2. 6. 4. 현재의 주체사상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개정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삭제되었다.[24] 2012년 북한은 외무성 건물 벽에서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를 내렸다.[24] 그러나 2021년 1월 조선로동당은 공산주의에 대한 헌신을 재확인했다.[25] 2024년, 마르크스와 레닌의 초상화는 새롭게 개장한 조선노동당 중앙 간부훈련소에 전시되어 2012년 이후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26]3. 대한민국 내 공산주의 운동
3. 1. 대한민국 정부의 반공 정책
3. 2. 남로당의 불법화와 지하 활동
3. 3. 한국전쟁 이후의 탄압
참조
[1]
웹사이트
DPRK Socialist Constitution
http://www.naenara.c[...]
[2]
웹사이트
Reporters sans frontières - Internet - South Korea
http://www.rsf.org/a[...]
2008-06-23
[3]
웹사이트
South Korea | OpenNet Initiative
http://opennet.net/r[...]
[4]
논문
Assess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North Korea, 1954–1989: Estimates and growth accounting analysis
http://www.nkeconwat[...]
[5]
서적
North Korea: Economic Leverage and Policy Analysi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0-01-22
[6]
논문
Reforming North Korea: Law, Politics, and the Market Economy
http://polisci.berke[...]
[7]
웹사이트
ru:Ким Герман Николаевич, доктор исторических наук Библиография о коре сарам: зарубежная литература
http://www.koryosara[...]
2007-04-12
[8]
웹사이트
Association for Asia Research- Who were the Soviet Koreans?
http://www.asianrese[...]
2008-07-13
[9]
웹사이트
13.4. The Women's Brigade
http://www.kimsoft.c[...]
2007-02-12
[10]
Doctoral thesis
Comforting an orphaned nation: Representations of international adoption and adopted Koreans in Korean popular culture
http://urn.kb.se/res[...]
Institutionen för orientaliska språk
[11]
웹사이트
Communist Party of Korea Established in 1925
https://www.koreatim[...]
2011-04
[12]
논문
The Demise of Non-Communist Parties in North Korea (1945–1960)
[13]
논문
Kim Il-Song of North Korea
[14]
논문
Politics in North Korea: Pre-Korean War Stage
[15]
웹사이트
General NK Topics: NK Politics/Regime
http://world.kbs.co.[...]
[16]
웹사이트
Eisenhower Lecture #7: Allan R. Millett
http://www.k-state.e[...]
2006-09-07
[17]
웹사이트
Digital Chosunilbo (English Edition) : Daily News in English About Korea
http://english.chosu[...]
2019-07
[18]
웹사이트
Hagay Aleksei Ivanovich
http://khasan-distri[...]
Khasansky District: History, Nature, Geography (by Kulinczenko Marseille and Larissa)
2008-01-09
[19]
웹사이트
HO GA I: Background of Life and Work
http://vestnik.tripo[...]
The Seoul Herald (Editor: Evgeny Shtefan) >> Library
2008-01-11
[20]
논문
Evolution of the Korean Workers' Party and the Rise of Kim Chŏng-il
[21]
웹사이트
[Another Korea] (110) With Friends Like These...
http://times.hankook[...]
2004-12-13
[22]
서적
The Real North Kore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3]
논문
The Constitution of North Korea: Its Changes and Implications
https://ir.lawnet.fo[...]
[24]
웹사이트
DPRK has quietly amended its Constitution
http://leonidpetrov.[...]
2013-04-21
[25]
뉴스
[표] 북한 노동당 규약 주요 개정 내용
https://www.yna.co.k[...]
2021-06-01
[26]
뉴스
North Korea displays Marx and Lenin portraits for first time in over decade
https://www.nknews.o[...]
2024-05-16
[27]
웹사이트
Reporters sans frontières - Internet - South Korea
http://www.rsf.org/a[...]
2008-06-23
[28]
웹사이트
South Korea | OpenNet Initiative
http://opennet.net/r[...]
[29]
논문
Assess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North Korea, 1954–1989: Estimates and growth accounting analysis
http://www.nkeconwat[...]
[30]
서적
North Korea: Economic Leverage and Policy Analysi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0-01-22
[31]
논문
Reforming North Korea: Law, Politics, and the Market Economy
http://polisci.berke[...]
[32]
웹인용
ru:Ким Герман Николаевич, доктор исторических наук Библиография о коре сарам: зарубежная литература
http://www.koryosara[...]
2007-04-12
[33]
웹인용
Association for Asia Research- Who were the Soviet Koreans?
http://www.asianrese[...]
2008-07-13
[34]
웹사이트
13.4. The Women's Brigade
http://www.kimsoft.c[...]
2007-02-12
[35]
Doctoral thesis
Comforting an orphaned nation: Representations of international adoption and adopted Koreans in Korean popular culture
http://urn.kb.se/res[...]
Institutionen för orientaliska språk
[36]
웹사이트
Communist Party of Korea Established in 1925
https://www.koreatim[...]
2011-04-00
[37]
논문
The Demise of Non-Communist Parties in North Korea (1945–1960)
[38]
논문
Kim Il-Song of North Korea
[39]
논문
Politics in North Korea: Pre-Korean War Stage
[40]
웹사이트
General NK Topics: NK Politics/Regime
http://world.kbs.co.[...]
[41]
웹사이트
Eisenhower Lecture #7: Allan R. Millett
http://www.k-state.e[...]
[42]
웹사이트
Digital Chosunilbo (English Edition) : Daily News in English About Korea
http://english.chosu[...]
2022-05-23
[43]
웹사이트
Hagay Aleksei Ivanovich
http://khasan-distri[...]
Khasansky District: History, Nature, Geography (by Kulinczenko Marseille and Larissa)
[44]
웹사이트
HO GA I: Background of Life and Work
http://vestnik.tripo[...]
The Seoul Herald (Editor: Evgeny Shtefan) >> Library
[45]
논문
Evolution of the Korean Workers' Party and the Rise of Kim Chŏng-il
https://archive.org/[...]
[46]
논문
Politics in North Korea: Pre-Korean War Stage
[47]
웹사이트
Hagay Aleksei Ivanovich
http://khasan-distri[...]
Khasansky District: History, Nature, Geography (by Kulinczenko Marseille and Larissa)
[48]
웹사이트
HO GA I: Background of Life and Work
http://vestnik.tripo[...]
The Seoul Herald (Editor: Evgeny Shtefan) >> Library
[49]
웹사이트
[Another Korea] (110) With Friends Like These...
http://times.hankook[...]
2004-12-13
[50]
서적
The Real North Kore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