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부모는 부모 중 한 명과 자녀로 구성된 가정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질병, 전쟁, 이혼 등으로 인해 발생해왔다. OECD 국가의 한부모 가구 비율은 3%에서 11% 사이이며, 한국을 포함한 각 국가별로 관련 법률 및 지원 정책을 통해 경제적 지원, 자녀 양육 지원, 심리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한부모 가정은 빈곤, 정신 건강 문제, 아동 학대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며,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지원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의 형태 - 핵가족
핵가족은 20세기 초에 등장한 용어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형태를 의미하며, 확대가족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부부만으로 된 가족이나 한부모 가족을 포함하고, 시대와 문화에 따라 구성과 의미가 변화하며 현대 사회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맞물려 감소 추세에 있다. - 가족의 형태 - 소농
소농은 가족 노동에 의존하며 낮은 기술 수준을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농가를 의미하며, 식량 안보와 지역 경제에 기여하지만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여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 출산 - 분만
분만은 임신 후 37주에서 42주 사이에 일어나는 생리 현상으로, 진통, 분만, 후산기, 산욕기 과정을 거치며 자연 분만, 제왕 절개, 수중 분만 등의 종류가 있다. - 출산 - 코들
코들은 중세 영어에서 유래된 향신료와 술을 섞은 따뜻한 음료로, 산후 회복 식품이나 출산 축하 행사 음료로 사용되었으며 특별한 코들 컵에 담겨 선물로 주어지기도 했다.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한부모 | |
---|---|
정의 | |
설명 | 한부모 가정은 부모 중 한 명과 그 자녀로 구성된 가정을 의미함. 이혼, 사별, 미혼모, 유기 등의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편견, 자녀 양육의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음. |
유형 | |
종류 | 미혼모/부 가정 이혼 가정 사별 가정 별거 가정 유기 가정 기타 (가출, 수감 등) |
현황 (대한민국) | |
통계 | 2022년 기준, 전체 가구의 약 10%를 차지 모자 가정이 부자 가정보다 많음 한부모 가구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각한 수준 |
문제점 | |
경제적 어려움 | 소득 감소, 양육비 부족, 주거 불안정 등 |
사회적 편견 | 차별, 낙인, 사회적 고립 등 |
자녀 양육의 어려움 | 양육 부담 증가, 교육 기회 부족, 정서적 불안정 등 |
심리적 어려움 | 외로움, 우울증, 스트레스 등 |
지원 정책 (대한민국) | |
경제적 지원 |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양육비 지원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생활비 지원 주거 지원 |
양육 지원 | 아이돌봄 서비스 방과후 활동 지원 육아 용품 지원 |
교육 지원 | 학비 지원 장학금 지원 교육 프로그램 지원 |
심리 상담 지원 | 한부모가족 상담 심리 치료 정신 건강 증진 프로그램 |
관련 법률 (대한민국) | |
법률 | 한부모가족지원법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미혼모/미혼부 조손 가정 다문화 가정 저소득층 |
2. 역사
역사적으로 한부모 가정은 질병, 전쟁, 살인, 산업재해 및 산모 사망 등으로 인한 부모의 사망 때문에 흔했다. 17~18세기 프랑스, 영국, 스페인의 마을에서는 최소 3분의 1 이상의 아이들이 어린 시절에 부모 중 한 명을 잃었다.[112] 19세기 밀라노에서는 모든 아이들의 약 절반이 20세까지 최소 한 명의 부모를 잃었고, 19세기 중국에서는 거의 3분의 1의 소년들이 15세까지 부모 중 한 명 또는 둘 다 잃었다.[112] 재혼 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이러한 한부모가 되는 것은 종종 짧게 지속되었다.[112]
대한민국에서 미혼모는 사회, 문화, 경제, 정치적 요인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미혼모는 임신으로 인한 사회적 낙인, 미혼부의 책임을 묻지 않고 미혼모에게만 책임을 묻는 이중적 성규범, 분만 후 아기 입양 여부, 사회 재적응 등 여러 어려운 문제에 직면한다. 대부분의 미혼모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발달 단계에 있으며, 준비되지 않은 임신으로 인해 많은 정서적 혼란을 겪고, 자신이 낳은 아이를 떠나보내는 것에 대한 깊은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이혼은 역사적으로 드물었으며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중세 유럽에서는 교회 재판소가 가족 생활에 강력하게 관여하면서 이혼이 매우 어려워졌다 (혼인 무효 및 기타 형태의 분리는 더 흔했지만).[7]
단독 부모 입양은 19세기 중반부터 존재해 왔다. 남성은 양부모로 거의 고려되지 않았으며 훨씬 덜 선호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종종, 단독으로 입양된 아이들은 혼자보다는 쌍으로 양육되었고, 레즈비언과 게이 남성에 의한 많은 입양은 단독 부모 입양으로 이루어졌다. 19세기 중반 동안 많은 주 복지 공무원들은 단독으로 입양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으며, 기관들이 결혼한 이성애 커플을 찾았기 때문에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1965년, 로스앤젤레스 입양국은 결혼한 가족을 찾을 수 없는 흑인 고아를 위해 흑인 단독 부모를 찾았다. 1968년, 미국 아동복지 연맹은 기혼 부부를 선호하지만 단독 부모 입양이 허용되는 "예외적인 상황"이 있다고 말했다.[8]
3. 대한민국
1970년대 이후 대한민국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면서 서구의 성 개방 풍조가 유입되었다. 이로 인해 청소년의 신체적 성숙 연령은 낮아지고 행동의 자유는 커지면서 성에 대한 행동이 적극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10대 미혼모 비율이 급증했는데, 1984년 24.9%에서 2000년 66.5%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혼전 임신은 연간 최소 60만 건 이상으로 추산되며, 이 중 15~19세 임신이 연간 30만 건 이상 발생한다. 이는 해당 연령 인구의 16%에 달하는 수치이다. 특히 만 15세 이하 비율은 1999년 6%에서 2000년 8.7%로 증가했다.
미혼부의 출생신고와 관련하여, 과거에는 모(母)의 인적 사항이 불분명한 경우 출생신고가 어려웠으나, 2015년 법 개정으로 미혼부가 가정법원의 친자 확인을 받으면 출생신고를 할 수 있게 되었다.
2006년 일본 드라마 '14세의 어머니', 2022년 MBN '고딩엄빠'와 같은 미디어 프로그램은 미혼모, 미혼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지만, 동시에 선정성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한부모가족지원법,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직무에 관한 법률 등이 한부모 가정을 지원하기 위해 제정되어 있다.
3. 1. 미혼모 문제
대한민국에서 미혼모는 사회 문제로 여겨지는 범위 내에서 정의되며, 미망인과 같이 성차별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싱글맘' 또는 '싱글대디'라는 신조어가 등장하여, 배우자 없이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을 지칭하기도 한다.[121]
계획하지 않은 임신은 혼외 출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이는 한부모 가정을 초래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혼외 출산이 용납되지 않는 경우, 강제 결혼으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이러한 결혼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에서는 기혼 커플보다 미혼 커플 사이에서 계획하지 않은 임신 비율이 더 높다. 1990년, 미혼 여성 출산의 73%가 계획하지 않은 임신이었으며, 이는 전체 출산의 약 57%와 비교된다.[39]
계획하지 않은 임신을 한 어머니와 그 자녀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자녀는 학교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낮고 빈곤하게 살거나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
"취약한 가족"은 일반적으로 계획하지 않은 혼외 임신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버지는 양육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어머니, 아버지, 자녀 간의 관계는 불안정하다. 또한, "취약한 가족"은 인적 자원 및 자금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자녀들이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40] 대부분의 취약한 가족은 어머니가 한부모가 되면서 끝나고, 이는 빈곤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42]
4. 해외
역사적으로 질병, 전쟁, 살인, 업무상 사고 및 산모 사망 등으로 인해 부모 중 한 명이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17~18세기 프랑스, 영국, 스페인 마을에서는 최소 1/3의 아이들이 어린 시절 부모 중 한 명을 잃었다는 기록이 있다.[112] 19세기 밀라노에서는 아이들 절반가량이 20세 이전에 부모 중 한 명을 잃었고, 19세기 중국에서는 소년 1/3 정도가 15세 이전에 부모를 잃었다.[112] 그러나 재혼 비율이 높아 한부모 상태는 비교적 짧게 지속되었다.[112]
이혼은 역사적으로 드물었으며, 특히 중세 유럽에서는 이혼이 매우 어려웠다.[113]
영어권에서는 혼인 여부와 관계없이 한 사람이 아이를 양육하는 경우를 한부모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미혼모, 별거, 이혼, 사별 등의 상태가 포함된다.[120] 영국, 독일, 프랑스,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 유럽 국가에서는 미혼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다.[120]
2016/17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별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의 비율은 6%에서 28% 사이로 국가별로 차이가 컸으며, OECD 평균은 17%였다.[116] 한부모 가정 아동의 비율이 낮은 국가는 튀르키예(6%), 그리스(8%), 크로아티아(8%), 폴란드(10%) 등이었고, 높은 국가는 프랑스(23%), 영국(23%), 벨기에(25%), 리투아니아(27%), 라트비아(28%) 등이었다.[116]
한부모 가정 아동은 대부분 어머니와 함께 살고, 일부는 아버지와 함께 살거나, 두 부모와 거의 동등한 시간을 보내는 공동 양육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2016년 기준, 6~12세 아동 중 아버지와 주로 함께 사는 비율은 OECD 국가별로 5~36%였다. 벨기에(17%), 아이슬란드(19%), 슬로베니아(20%), 프랑스(22%), 노르웨이(23%), 스웨덴(36%)에서 높았고, 리투아니아(4%), 아일랜드(5%), 폴란드(5%), 에스토니아(7%), 오스트리아(7%), 영국(8%)에서 낮았다. 미국은 15%였다.[12]
2005/06년, 11~15세 자녀를 가진 부모 중 한 명과 함께 공동 육아를 하는 비율은 1%에서 17% 사이였으며, 스웨덴에서 가장 높았다. 아일랜드와 미국은 5%, 캐나다와 영국은 7%였다.[118] 2016/17년까지 스웨덴에서는 이 비율이 28%로 증가했다.[119]
4. 1. 국가별 현황
201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전체 가구 중 한부모 가구 비율은 3~11%대로 평균 7.5%였다. 오스트레일리아(10%), 캐나다(10%), 멕시코(10%), 미국(10%), 리투아니아(10%), 코스타리카(11%), 라트비아(11%), 뉴질랜드(11%)에서 가장 높았고, 일본(3%), 그리스(4%), 스위스(4%), 불가리아(5%), 크로아티아(5%), 독일(5%), 이탈리아(5%), 키프로스(5%)에서 가장 낮았다. 아일랜드와 영국은 모두 9%였다.[114]2005/09년 자녀를 둔 가구 중 한부모 가구 비율은 일본 10%, 네덜란드 16%, 스웨덴 19%, 프랑스 20%, 덴마크 22%, 독일 22%, 아일랜드 23%, 캐나다 25%, 영국 25%, 미국 30%였다. 미국의 비율은 1980년 20%에서 2008년 30%로 증가하였다.[115]
OECD 국가 대부분은 어머니가 가장을 맡고 있으며, 아버지가 가장을 맡는 비율은 9~25% 사이였다. 에스토니아(9%), 코스타리카(10%), 키프로스(10%), 일본(10%), 아일랜드(10%), 영국(12%)에서 가장 낮았고, 노르웨이(22%), 스페인(23%), 스웨덴(24%), 루마니아(25%), 미국(25%), 오스트레일리아(25%)에서 가장 높았다.[114]
국가 | 한부모 가정 비율 | 비고 |
---|---|---|
오스트레일리아 | 15.9% (2011년) | 대부분 여성 가장(82.4%), 한부모 입양 가능[51][52] |
인도 | - | 대법원과 고등법원에서 한부모의 출산 및 양육 권리 인정,[54][55] 출생 신고 시 아버지 정보 요구 불가[56][57] |
뉴질랜드 | 17.8% (2013년) | 대부분 여성 가장[60] |
시에라리온 | - | 멘데족 여성의 경우 미혼 출산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경향[61]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HIV/AIDS 유행, 경제 이주, 식민주의와 아파르트헤이트의 영향으로 증가,[62]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낙인 존재[65] |
영국 | 자녀가 있는 가족의 약 1/4 | 대부분 여성 가장,[69][70][71] 한부모 가족의 빈곤율 높음[72] |
미국 | - | 1960년대 이후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 수 증가,[74] 미혼모 출산율 높음,[79] 한부모 가구는 평균적으로 더 가난함[82] |
짐바브웨 | - | 일부다처제 전통으로 인해 한부모 역할 존재,[86] 가족 지원 시스템을 통해 경제적 지원[87] |
일본 | - | 한부모 가정 수 증가 추세, 대부분 이혼으로 인해 발생,[88] 모자 가정이 부자 가정보다 많음, 경제적 어려움 겪는 경우 많음,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 제도 존재 |
5. 한부모 가정의 어려움
한부모 가정은 정신 건강 문제, 재정적 어려움, 낮은 사회적 지원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미혼모는 정신 장애 발생률이 더 높다.[15] 불안, 우울증, 약물 남용, PTSD 등의 위험이 더 크며,[16] 재정적 어려움은 이러한 정신 건강 문제를 악화시킨다.[15]
한부모 가정의 자녀는 학업 실패, 비행, 약물 사용, 십 대 임신, 빈곤 등의 위험에 더 노출될 수 있다.[25] 스웨덴 연구에서는 한부모와 함께 사는 어린이가 온전한 가정의 어린이에 비해 신체 및 정신 건강, 또래 관계, 학교 폭력, 문화 활동, 스포츠, 가족 관계 등에서 더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28] 이혼한 부모와 거의 같은 시간을 보내는 공동 양육 자녀는 온전한 가정의 자녀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복지를 누린다.[28]
영국 국가 통계청 보고에 따르면, 한부모 가정 자녀는 정신 질환 가능성이 두 배 더 높으며,[29] 불행, 반사회적 행동, 약물 남용, 청소년 비행 등의 문제를 겪을 가능성도 더 높다.[30][31]
후생노동성은 "아동 학대 대응 지침"[99]에서 미혼을 포함한 한부모 가정을 아동 학대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꼽는다. 한 보육원 조사에서는 아동 학대 및 학대 의심 가정의 절반 이상이 한부모 가정이었으며,[100] 육아 방임이 저체중 출생아나 한부모 가정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01]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는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한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모자 가정을 중심으로 지원하며, 부자 가정을 위한 지원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푸드뱅크, 아동 급식소[102][103], 무료 학원 운영[104] 등 민간 지원도 활발하다.
5. 1. 빈곤 문제
한부모 가정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미혼모 가정의 빈곤 문제는 심각하며, 이들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자립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의 조사[97]에 따르면, 일본의 한부모 가정 중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빈곤선을 밑도는 가구의 비율은 모자 가정에서 51.4%, 부자 가정에서 22.9%로 나타났다. 이는 두 부모 가정의 5.9%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이다. 가처분 소득이 빈곤선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딥 푸어(Deep Poor)" 가구의 비율 역시 모자 가구가 13.3%, 부자 가구가 8.6%로, 두 부모 가구(0.5%)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모자 가정의 경우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적 곤궁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구분 | 빈곤선 미만 가구 비율 | 딥 푸어(Deep Poor) 가구 비율 |
---|---|---|
모자 가정 | 51.4% | 13.3% |
부자 가정 | 22.9% | 8.6% |
두 부모 가정 | 5.9% | 0.5% |
한부모 가정의 소득 격차는 지난 15년간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한부모 가정 내에서도 소득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98] 한부모의 학력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학력층으로의 편중 현상은 여전하며, 가구 소득의 학력 간 격차가 한부모 가정의 소득 격차 확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98] 다만, 다른 성인 친족과의 동거는 한부모 가정의 계층 차이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98]
이러한 한부모 가정의 빈곤은 빈곤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일본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모자 가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있으며, 부자 가정을 위한 육아 지원 제도도 점차 확대하고 있다. 2010년 8월부터는 아동 부양 수당 지급 대상에 부자 가정도 포함되었다.
6. 지원 정책
대한민국에서는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라 한부모가족에게 경제적 지원, 자녀 양육 지원, 생활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아동 수당, 아동 부양 수당, 주택 수당, 세금 감면 등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모자 가정을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0년부터는 부자 가정도 아동 부양 수당 지급 대상에 포함되었다.[96]
일본의 주요 한부모 지원 제도는 다음과 같다.
- '''아동 수당''': 일본 국내에 거주하는 0세 이상 중학교 졸업(=의무 교육 과정 수료)까지의 아동이 대상이다.
- '''아동 부양 수당''': 부모의 이혼 등으로 아버지 또는 어머니 한쪽으로부터만 양육을 받는 한부모 가정 등의 아동을 위해 지방 자치단체에서 지급한다. 아동 1명인 경우 월 41720JPY이다.
- '''아동 육성 수당''': 18세 미만의 아동을 부양하는 한부모 가정이 대상이다. 아동 1명당 월 13500JPY이다.
- '''생활 보호''': 경제적으로 곤궁할 때, 그 상황에 따라 가산된 생활 보호비를 지급한다. (생활 부조, 주택 부조, 교육 부조, 의료 부조, 출산 부조, 생업 부조, 장례 부조, 개호 부조)
- '''주택 수당''': 자치단체에서 지급 조건을 정한다.
- '''소득세·주민세의 우대 감면''': 한부모 공제 및 주민세 비과세 세대.
- '''국민 연금·국민 건강 보험(세) 면제''': 소득이 낮은 경우에는 감면·면제된다.
- '''교통 기관 할인 제도''': 한부모 가정을 위한 할인 제도가 있다. 예를 들어 아동 부양 수당을 수급하고 있는 세대는 JR의 통근 정기 승차권을 3할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 '''공영 교통 무료 이용''':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노선 버스, 지하철, 노면 전차, 신교통 시스템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복지 승차증, 복지 회수권, 복지 택시 티켓, 자가용 연료권(휘발유·경유)이 교부되는 곳도 있다.
- '''상하수도 감면 제도''':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감면되는 경우도 있다.
- '''공영 주택 주택 사용료 감면 제도''':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18세 미만의 아동이 있는 한부모 가정을 대상으로 주택 사용료가 감면되는 경우도 있다.
- '''인가 보육원 입원 우대 제도'''
- '''대형 폐기물 처리 수수료 감면 제도'''
- '''보육료 반액 면제/전액 면제'''
- '''급식비 반액 면제/전액 면제'''
- '''공립 고등학교 수업료 반액 면제/전액 면제'''
- '''공립 고등학교 입학 검정료 전액 면제'''
- '''한부모 가족 등 의료비 지원 제도''': 18세까지 의료비의 일부를 지원한다.
- '''어린이 의료비 지원 제도''': 최근에는 모든 자치단체에서 충실하게 지원하고 있다.
- '''이자 비과세 제도 (마루유)'''
- '''모자 복지 대부 제도''': 연대 보증인이 필요하지만, 무이자로 대부 받을 수 있다. 연대 보증인을 선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연 1.5%로 대부 받을 수 있다.
- '''모자 기숙사(모자 생활 지원 시설)''': 자녀가 18세 미만이면 수입에 따른 부담으로 입주할 수 있다. 생활 보호, 주민세 면제 세대는 무료.
- '''헬퍼 파견''': 관혼상제나 급병이 발생했을 경우, 취업을 계속하는 것이 곤란할 때, 보호자의 상병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가사 지원이 필요한 경우 홈 헬퍼를 파견 받을 수 있다.
- '''한부모 휴양 홈''':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휴양 시설 이용을 보조 받을 수 있다.
- '''패밀리 서포트 센터''': 급한 일이 있을 때 아이를 맡아 준다.
- '''숏 스테이(육아 단기 지원 사업)''': 행정이 단기간 아이를 맡아 준다.
- '''공영 주택 추첨 배율 우대''':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18세 미만의 아동이 있는 한부모 가정에 공영 주택 추첨 배율을 우대하는 곳도 있다.
- '''지정 수집 봉투 교부''':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지정 수집 봉투가 교부되는 곳도 있다.
- '''공중 목욕탕 입욕권 교부''':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회수권 방식으로 교부되는 곳도 있다.
- '''복지 등유권 교부''': 자치단체에 따라서는 겨울철에 교부되는 곳도 있다.
6.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라 저소득 한부모 가족, 청소년 한부모 가족 등에게 경제적 지원, 자녀 양육 지원, 주거 지원, 심리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생계 유지가 어려운 한부모 가족에게는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통해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등을 지원한다. 또한, 만 12세 이하 아동을 둔 한부모 가족에게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이돌보미가 가정을 방문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6. 2. 일본
일본에서 한부모 가정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16년 기준 미혼의 20세 미만 자녀를 둔 한부모 가정은 모자 세대가 123.2만 세대, 부자 세대가 18.7만 세대였다.[91] 한부모 가정이 된 주된 이유는 이혼(80%)이며,[88] 이혼 시 어머니가 친권을 갖는 경우가 많다.[94]일본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는 한부모 가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모자 가정을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0년부터는 부자 가정도 아동 부양 수당 지급 대상에 포함되었다.[96]
주요 지원 제도는 다음과 같다.
지원 제도 | 내용 |
---|---|
아동 수당 | 중학교 졸업까지의 아동에게 지급되는 수당. |
아동 부양 수당 | 부모의 이혼 등으로 한부모 가정에 지급되는 수당. 아동 1명당 월 41720JPY. |
아동 육성 수당 | 18세 미만의 아동을 부양하는 한부모 가정이 대상. 아동 1명당 월 13500JPY. |
주택 수당, 세금 감면, 국민 연금·국민 건강 보험 면제, 교통 기관 할인 등 | 해당 제도 참조 |
의료비 지원 | 한부모 가족 의료비 지원 제도, 어린이 의료비 지원 제도 등. |
7. 사회적 인식과 과제
대한민국 사회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서구의 성 개방 풍조가 급격히 유입되면서, 청소년의 성적 성숙 연령은 낮아지고 행동의 자유는 커지는 현상을 겪었다. 1990년대 이후 미혼모의 연령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1984년 10대 미혼모 비율이 24.9%였던 것이 2000년에는 66.5%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혼전 임신은 최소 연간 60만 건 이상으로 추산되며, 이 중 15~19세 임신이 연간 30만 건 이상 발생하여 해당 연령 인구의 16%에 달한다. 특히 만 15세 이하 비율은 1999년 6%에서 2000년 8.7%로 증가하였다.
미혼부는 출생신고만 할 수 있다면 인지의 효력이 발생하여 친자로 등재된다. 과거에는 모가 혼인 중인 경우 인지를 할 수 없어 모 불상의 출생신고를 수리하지 않았으나, 2015년 법 개정으로 부가 가정법원의 친자 확인을 받으면 출생신고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미혼모는 사회, 문화, 경제, 정치적 요인에 의해 깊은 영향을 받는다. 이들은 임신으로 인한 사회적 낙인, 미혼부의 책임을 배제하고 미혼모에게만 책임을 묻는 이중적 성 규범, 분만 후 아기 입양 여부, 사회 재적응 등 어려운 문제들을 혼자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대다수 미혼모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발달 단계에서 준비되지 않은 임신으로 인해 많은 정서적 혼란을 겪으며, 자신이 낳은 아이를 떠나보낸 것에 대한 깊은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영어권에서는 혼인 여부와 관계없이 한 사람이 아이를 양육하는 경우 한부모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미혼, 별거, 이혼, 사별 등의 다양한 경우가 포함된다. 대한민국에서도 사회사업 대상 규정은 이 범위를 따르며, 영국, 독일, 프랑스,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 유럽에서는 미혼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120] 대한민국에서는 미혼모라는 개념이 사회 문제화되는 규범 내에서 정의되는 경향이 있으며, 미망인과 같이 성차별적인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21세기 들어 '싱글맘' 또는 '싱글대디'라는 신조어가 '배우자 없이 자녀를 기르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21]
한부모 입양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혼한 부모보다는 자녀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덜 주는 것으로 여겨져 여전히 선호된다.[46] 한 연구에 따르면,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은 부모의 질병이나 부상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행복에 대한 질문에는 입양된 한부모와의 외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았다.[47] 한부모는 자신의 수입으로만 생활해야 하므로, 잠재적인 자녀를 위한 비상 계획이 부족할 수 있으며,[48] 여행도 더 복잡해질 수 있다.[49]
7. 1. 개선 방향
2016/17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별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의 비율은 6%에서 28%로 다양했으며, OECD 평균은 17%였다.[11] 국가별로 살펴보면, 터키(2015년, 6%), 그리스(8%), 크로아티아(8%), 폴란드(10%)에서 가장 낮았고, 프랑스(23%), 영국(23%), 벨기에(25%), 리투아니아(25%), 미국(27%), 라트비아(28%)에서 가장 높았다. 아일랜드와 캐나다는 19%였다.[11]한부모 가정 아동의 대다수는 주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일부는 아버지와 함께 살거나, 공동 양육 형태로 두 부모와 거의 같은 시간을 보낸다. 2016년 기준으로, 한부모인 아버지와 주로 함께 사는 6~12세 아동의 비율은 OECD 국가별로 5%에서 36%까지 다양했다. 벨기에(17%), 아이슬란드(19%), 슬로베니아(20%), 프랑스(22%), 노르웨이(23%), 스웨덴(36%)에서 높았고, 리투아니아(4%), 아일랜드(5%), 폴란드(5%), 에스토니아(7%), 오스트리아(7%), 영국(8%)에서 낮았다. 미국은 15%였다.[12]
2005/06년, 부모 중 한 명과만 사는 경우와 비교해 공동 양육 형태를 취하는 11~15세 아동의 비율은 1%에서 17%까지 다양했으며, 스웨덴에서 가장 높았다. 아일랜드와 미국은 5%, 캐나다와 영국은 7%였다.[13] 2016/17년까지 스웨덴의 비율은 28%로 증가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single parent, noun
https://www.merriam-[...]
Miriam-Webster Dictionary
[2]
웹사이트
single parent
https://www.collinsd[...]
Collins English Dictionary
[3]
웹사이트
Single Parent Law and Legal Definition
https://definitions.[...]
US Legal
[4]
서적
Single-Parent Families
http://edge.sagepub.[...]
Sage Publications
[5]
웹사이트
Orphans
http://www.faqs.org/[...]
Internet FAQ Archives
[6]
서적
Marriage and remarriage in populations of the past
Academic Press
1981
[7]
서적
Kent's Commentaries on American Law
1896
[8]
웹사이트
Single Parent Adoptions
http://pages.uoregon[...]
University of Oregon
2014-04-23
[9]
간행물
SF1.1:Family size and household composition
http://www.oecd.org/[...]
OECD
2016-06-12
[10]
웹사이트
Table 1337. Single-Parent Households: 1980 to 2009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2012
2014-11-04
[11]
간행물
Chart SF1.2.A. Living arrangements of children, 2017
http://www.oecd.org/[...]
OECD
[12]
간행물
Table SF1.3.A. Living arrangements of children by age
http://www.oecd.org/[...]
OECD
[13]
논문
Joint Physical Custody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 Cross-National Study of Children in 36 Western Countries
http://www.nuigalway[...]
2011
[14]
웹사이트
Barns boende (växelvis boende, hos mamma, hos pappa, etc.) 2012—2017
https://www.scb.se/h[...]
Statistics Sweden
2018-11-11
[15]
논문
Single mothers, poverty and depression
1997-01-01
[16]
논문
Mental health profiles among married, never-married, and separated/divorced mother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2006-02-09
[17]
논문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Single Mothers: Implications for Work and Welfare Reform
2000-01-01
[18]
논문
Poverty and women's mental health
1990-03-01
[19]
논문
Negative Thinking and the Mental Health of Low-Income Single Mothers
2004-12-01
[20]
논문
Barriers to Mental Health Treatment Services for Low-Income African American Women Whose Children Receive Behavioral Health Services: An Ethnographic Investigation
2011
[21]
서적
Fatherless America: Confronting Our Most Urgent Social Problem
Basic Books
1995
[22]
뉴스
How Broken Families Rob Children of Their Chances for Future Prosperity
http://www.heritage.[...]
2017-01-18
[23]
서적
From Family Collapse to America's Decline: The Educational, Economic, and Social Costs of Family Disintegration
Rowman & Littlefield
2011
[24]
서적
Families without Fathers: Fathers, Marriage, and Children in American Society
Transaction Publishers
2009
[25]
서적
The Divorce Culture
Alfred Knopf
1997
[26]
논문
Family structure, school context, and eighth-grade math and reading achievement
1997-08-01
[27]
논문
The school compositional effect of single parenthood on 10th-grade achievement
1998-01-01
[28]
논문
The living conditions of children with shared residence–the Swedish example
https://link.springe[...]
2017-01
[29]
뉴스
Single-parent families double likelihood of child mental illness
https://www.theguard[...]
2006-02-21
[30]
논문
The Effects of Single-Mother Families and Nonresident Fathers on Delinquency and Substance Abuse in Black and White Adolescents
1996-01-01
[31]
논문
The Family and Juvenile Delinquency*
[32]
서적
A Commentary 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7-10-03
[33]
논문
Adult Recall of Childhood psychological maltreatment in "Adult Children of divorce": Prevalence and associations with concurrent measures of well being
[34]
논문
Resilience in adult children of divorce: A multiple case study
[35]
서적
Public and Private Families
McGraw Hill
[36]
논문
Post-Divorce Family Relationships as Mediating Factors in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Children
1979-10-01
[37]
논문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An Update
https://www.proquest[...]
[38]
웹사이트
Single Parent Households – How Does it Affect the Children?
http://nydivorcefirm[...]
2014-04-23
[39]
서적
The best intentions: unintended pregnancy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families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y Press
[40]
논문
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2010-01-01
[41]
논문
Parental relationships in fragile families
2010-01-01
[42]
논문
Fragile Families and the Reproduction of Poverty
2009-01-01
[43]
논문
Child gender and father involvement in fragile families
[44]
논문
Single Mothers by Choice: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2016
[45]
뉴스
'I always wanted to be a dad': the rise of single fathers by choice
https://www.theguard[...]
2020-01-29
[46]
웹사이트
Single Parent Adoptions: Why Not?
http://www.adopting.[...]
Adopting.org
2014-04-23
[47]
논문
Single Parent Adoptions: A Longitudinal Study
[48]
웹사이트
Single Parent Adoption
http://www.adoptions[...]
Adoption Services
2014-04-23
[49]
웹사이트
Single Parent Adoption: Challenges of Single Adoption
http://www.adoptions[...]
Adoptions Together
2014-04-23
[50]
논문
One Parent Families
http://www.abs.gov.a[...]
2007-07-08
[51]
웹사이트
QuickStats details
http://www.abs.gov.a[...]
2016-05-17
[52]
웹사이트
Department for Child Protection – Western Australia – Thinking about adoption?
https://www.dcp.wa.g[...]
2016-05-17
[53]
웹사이트
Parenting Payment –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https://www.humanser[...]
2016-05-17
[54]
웹사이트
Single mothers in India not compelled to disclose father's identity: Supreme Court {{!}} DW {{!}} 07.07.2015
https://www.dw.com/e[...]
2021-11-27
[55]
웹사이트
Need to understand the rights of a single mother by choice.
https://www.legalbay[...]
2021-11-27
[56]
웹사이트
No need for single mother conceiving via IVF to give father's name on birth certificate: Kerala HC
https://www.newindia[...]
2021-11-27
[57]
웹사이트
Asking sperm donor's name violates right to privacy, says Kerala high court {{!}} Kochi News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21-11-27
[58]
웹사이트
Requirement of father's name of applicant not mandatory for issuing passport, mother's name sufficient...
https://www.scconlin[...]
2016-05-20
[59]
서적
Single Mothers, Patriarchy and Citizenship in India: Rethinking Lone Motherhood through the Lens of Socio-legal and Policy Framework
We the People Network, Delhi
2024-02-18
[60]
웹사이트
2013 Census QuickStats about families and households
http://www.stats.gov[...]
Statistics New Zealand
2014-11-04
[61]
문서
Ntoimo Mutanda 2020 p=150
[62]
문서
Wright Noble Ntshongwana Neves Barnes 2014 p=40
[63]
문서
Wright Noble Ntshongwana Neves Barnes 2014 p=36
[64]
문서
Wright Noble Ntshongwana Neves Barnes 2014 p=37
[65]
문서
Wright Noble Ntshongwana Neves Barnes 2014 p=38
[66]
문서
Wright Noble Ntshongwana Neves Barnes 2014 p=39
[67]
문서
Wright Noble Ntshongwana Neves Barnes 2014 p=41
[68]
논문
South African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raising a child with a disability
2023-11-17
[69]
웹사이트
Statistics
http://www.gingerbre[...]
Gingerbread
2012-11-08
[70]
간행물
Labour Market Statistics, Labour Market Review 2006 – archived
http://www.ons.gov.u[...]
United Kingdom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6-03-23
[71]
간행물
General Household Survey, 2005 Report
http://www.ons.gov.u[...]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6-11-28
[72]
간행물
Households Below Average Income (HBAI)
http://research.dwp.[...]
United Kingdom Department of Work and Pensions
2012-06-14
[73]
웹사이트
Paying the price: The long road to recovery
http://www.trustforl[...]
[74]
웹사이트
FastStats – Births and Natality
https://www.cdc.gov/[...]
2018-08-08
[75]
학술 논문
The Rise – and Fall? – of Single-Parent Families
http://www.prb.org/A[...]
2011-11-09
[76]
웹사이트
Single Parent Success Foundation
http://www.singlepar[...]
www.childstats.gov
2011-11-09
[77]
보도자료
More Young Adults are Living in Their Parents' Home, Census Bureau Report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04-23
[78]
뉴스
The Most Important Statistics About Single Parents
https://www.thespruc[...]
2017-12-06
[79]
웹사이트
The Number of Births to Unmarried Mothers in Massachusetts is Higher than You Think
https://www.infinlaw[...]
2016-03-28
[80]
간행물
Current Population Survey, 2006 Annual Social and Economic (ASEC) Supplement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Bureau of the Census
[81]
뉴스
The Bachelor Life Includes a Family
https://www.nytimes.[...]
2008-09-05
[82]
뉴스
How America's Marriage Crisis Makes Income Inequality So Much Worse
https://www.theatlan[...]
2013-10-01
[83]
웹사이트
The Majority of Children Live With Two Parents, Census Bureau Reports
https://www.census.g[...]
2018-12-07
[84]
문서
Amato, Paul R., Sarah Patterson, and Brett Beattie. "Single-Parent Households And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A State-Level Analysis." ''Social Science Research'' 53.(2015): 191–202. ''SocINDEX with Full Text''. Web. 18 March. 2017.
[85]
웹사이트
What is no-fault divorce, and why do some conservatives want to get rid of it?
https://www.cnn.com/[...]
2024-06-19
[86]
문서
Kawewe
[87]
문서
Kawewe
[88]
웹사이트
ひとり親家庭等の支援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1-02-15
[89]
웹사이트
Table 1337. Single-Parent Households: 1980 to 2009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2012
2014-11-04
[90]
문서
OECD Family Database
http://www.oecd.org/[...]
OECD -Social Policy Division -Directorate of Employment, Labour and Social Affairs
2016-06-12
[91]
웹사이트
平成28年度全国ひとり親世帯等調査結果報告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0-03-15
[92]
서적
昭和58年度全国母子世帯等調査
厚生省
[93]
웹사이트
2022(令和4)年 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07-05
[94]
웹사이트
第1編 第1部 第2章 第3節 4 離婚・再婚
http://wwwhakusyo.mh[...]
厚生労働省
1988-06-15
[95]
문서
https://www.marriage[...]
[96]
뉴스
児童扶養手当「父子家庭にも」の声広がる
https://www.jcp.or.j[...]
2008-07-17
[97]
문서
https://www.jil.go.j[...]
[98]
학술 논문
ひとり親世帯の所得格差と社会階層
日本家族社会学会
2018
[99]
문서
「子ども虐待対応の手引き」第2章 虐待の発生を予防するために
https://www.mhlw.go.[...]
[100]
학술 논문
児童虐待と保育園の支援の課題
https://hdl.handle.n[...]
札幌学院大学総合研究所
2020-02
[101]
학술 논문
母親による児童虐待の発生要因に関する実証分析
公益財団法人 医療科学研究所
2019
[102]
문서
“食堂活動” の可能性
https://doi.org/10.1[...]
2020-04-22
[103]
웹사이트
増え続けるこども食堂 過去最大の年間1,400ヶ所増で全国3,718ヶ所に(湯浅誠)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0-04-22
[104]
웹사이트
貧困の子供に学習支援 民間団体が「無料塾」の試み
https://www.sankei.c[...]
2020-04-22
[105]
서적
離婚とお金: どうなる?住宅ローン!
[106]
웹사이트
生活保護Gメン怒りのリポート第2弾 “偽装離婚”で不正受給…1カ月超の追及
https://www.sankei.c[...]
2021-02-13
[107]
웹사이트
偽装離婚は立派な犯罪!ごまかそうとしても捕まる
https://www.riconhir[...]
2021-02-13
[108]
뉴스
『北の国から』『家政婦のミタ』『俺の家の話』etc.「父と子ドラマ」ハズレなしの法則 - 週刊女性PRIME
https://www.jprime.j[...]
主婦と生活社
2021-05-04
[109]
뉴스
「父子家庭」ドラマ、描き方に変化 “不器用なパパ”の奮闘劇では共感されない時代に?
https://www.oricon.c[...]
オリコン
2024-08-20
[110]
간행물
翻訳時評
日本児童文学者協会
1978-10
[111]
간행물
シェからのー皿(20)
毎日新聞出版
1978-11
[112]
서적
Marriage and remarriage in populations of the past
Academic Press
1981
[113]
서적
Kent's Commentaries on American Law
1896
[114]
웹사이트
SF1.1:Family size and household composition
http://www.oecd.org/[...]
OECD -Social Policy Division -Directorate of Employment, Labour and Social Affairs
2016-06-12
[115]
웹인용
Table 1337. Single-Parent Households: 1980 to 2009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2012
2014-11-04
[116]
웹사이트
Chart SF1.2.A. Living arrangements of children, 2017
http://www.oecd.org/[...]
OECD -Social Policy Division -Directorate of Employment, Labour and Social Affairs
[117]
웹사이트
Table SF1.3.A. Living arrangements of children by age
http://www.oecd.org/[...]
OECD -Social Policy Division -Directorate of Employment, Labour and Social Affairs
[118]
논문
Joint Physical Custody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 Cross-National Study of Children in 36 Western Countries
http://www.nuigalway[...]
2011
[119]
웹사이트
Barns boende (växelvis boende, hos mamma, hos pappa, etc.) 2012—2017
https://www.scb.se/h[...]
2018-11-11
[120]
웹인용
Single Parent Adoptions
http://pages.uoregon[...]
University of Oregon
2014-04-23
[121]
웹인용
Intercountry Adoption
http://adoption.stat[...]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Consular Affairs
2014-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