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흡기내과는 폐, 기관지 등 호흡기 질환을 다루는 의학 분야이다. 폐순환 발견을 시작으로 발전해왔으며, 한국에서는 1950년대부터 전문 분야로 자리 잡았다.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유전 질환, 독성 물질 노출, 감염병, 자가면역 소인 등을 확인하고, 신체 검사, 병력 청취, 혈액 검사, 폐 기능 검사, 기관지 내시경, 흉부 X선 촬영, CT 스캔, 수면다원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치료는 약물 치료, 산소 요법, 호흡 재활, 수술적 치료 등을 포함하며, 폐렴, 폐결핵,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천식, 폐암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다룬다.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 졸업 후 인턴, 내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분과 전문의 과정을 수료해야 하며, 호흡기계 임상 및 기초 연구도 활발히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흡기과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 호흡기과 - 폐기종
폐기종은 흡연, 대기 오염, 유전적 요인 등으로 폐포가 파괴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기침, 가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호흡 부전, 폐성심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고, 흉부 X선, CT 촬영, 폐 기능 검사 등으로 진단하여 금연, 약물 치료, 호흡 재활, 산소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호흡기내과 |
---|
2. 호흡기내과의 역사
호흡기내과 분야와 관련된 최초의 주요 발견 중 하나는 폐순환의 발견이었다. 원래는 혈액이 심장의 오른쪽으로 흘러가 갈레노스가 이론화한 것처럼 심실 중격의 작은 '구멍'을 통해 왼쪽으로 통과하여 산소화되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폐순환의 발견은 2세기부터 받아들여졌던 이 이론을 반증했다. 13세기의 해부학자이자 생리학자인 이븐 알-나피스는 심장의 두 부분(심실) 사이에 '직접적인' 통로가 없다는 것을 정확하게 이론화했다. 그는 혈액이 폐동맥을 통과하여 폐를 거쳐 다시 심장으로 들어가 신체 전체로 펌핑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폐순환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설명으로 여겨진다.[4]
폐의학이 1950년대에 이르러서야 의학 전문 분야로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윌리엄 웰치와 윌리엄 오슬러는 미국 흉부학회의 모체 조직인 결핵 연구 및 예방 전국 협회를 설립했다.[5][6]
2. 1. 한국 호흡기내과의 역사
한국에서 호흡기내과는 1950년대 이후 결핵 환자가 급증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부터 대한결핵협회가 설립되어 결핵 퇴치 사업을 주도했다.[5][6] 폐결핵학은 폐 결핵의 치료, 관리 및 연구를 다루는 분야이다.[7]198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등 만성 호흡기 질환 환자가 증가하면서 호흡기내과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2000년대 이후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호흡기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연구 및 치료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진단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환자의 병력, 신체 검사, 영상 검사, 기능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질환을 진단한다.
진단 과정은 유전 질환, 독성 물질 노출, 감염병 병원체 노출, 자가면역 소인 등을 확인하는 일반적인 검토로 시작한다.[16][17][18][19]
신체 검사[19]는 손 검사, 경부 림프절, 기관 및 흉벽 움직임 촉진, 폐야 타진, 폐야 청진 등을 포함한다. 청진기를 통해 수포음이나 천명이 들리는지 확인한다.
심장학 질환이 폐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철저한 심장 검사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0]
3. 1. 병력 청취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진단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사항들을 검토한다.[16][17][18][19]- 유전 질환이 폐에 미치는 영향 (예: 낭성 섬유증,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 독성 물질 노출 (예: 담배 연기, 석면, 배기가스, 탄광 매연, 전자담배 에어로졸)
- 감염병 병원체 노출 (예: 특정 종류의 조류, 맥아 가공)
- 특정 질환에 대한 소인을 제공할 수 있는 자가면역 소인 (예: 폐 섬유증, 폐 고혈압)
심장학 질환이 폐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철저한 심장 검사도 포함된다.[20]
3. 2. 신체 검사
호흡기내과 신체 검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한다.[19]- 손가락 곤봉증이나 청색증 징후, 흉벽과 호흡수를 확인하기 위해 손을 검사한다.
- 경부 림프절, 기관, 흉벽 움직임을 촉진하여 확인한다.
- 폐 부위를 타진하여 둔탁하거나 과도하게 공명되는 소견이 있는지 확인한다.
- 청진기를 사용하여 폐 부위를 청진하여 호흡음이 감소되었거나 특이한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한다.[19]
- 수포음이나 천명이 청진기를 통해 폐에서 들리는지 확인한다.
많은 심장학 질환이 폐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철저한 심장 검사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0]
3. 3. 검사
폐 기능 검사: 폐 용적 및 기류 속도를 측정하여 폐쇄성 또는 제한성 폐 질환을 진단한다. 여기에는 폐활량 측정법, 기관지 확장제 반응, 폐 용적, 확산 능력 등이 포함되며, 확산 능력은 폐의 산소 흡수 면적을 측정한다.[21][22]폐활량 측정법: 특정 폐 용적에서 최대 기류를 결정하는 것으로, 전용 기계에 숨을 내쉬어 측정한다. 이는 기류 폐쇄를 진단하는 핵심 검사이다.[21][22]
기관지 내시경 검사: 기관지 내부를 관찰하고, 필요시 기관지 폐포 세척, 기관지 내 및 경기관지 생검과 상피 브러싱 등을 시행한다.[23]
흉부 방사선 사진[24] 및 CT 스캔[25]: 폐, 흉막, 종격동 등의 이상 소견을 확인한다.
혈액에 대한 의학 실험실 검사 (혈액 검사)를 시행하며, 때로는 동맥혈 가스 검사도 필요하다.[21][22]
수면다원검사: 수면 무호흡증 등 수면 관련 호흡 장애를 진단한다.[27]
신티그래피 및 기타 핵의학 방법,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26] (특히 폐암에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4. 치료
호흡기 질환의 치료는 약물 치료, 산소 요법, 호흡 재활, 수술 등 다양한 방법을 포함한다. 흉부외과 또는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수술을 시행한다.
4. 1.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흡입(기관지 확장제 및 스테로이드) 또는 경구 투여 형태(항생제, 류코트리엔 길항제)로 대부분 호흡기내과 질환의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다. 일반적인 예로는 흡입기를 사용하여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같은 염증성 폐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산소 요법[29]은 심각한 호흡기 질환(폐기종 및 폐 섬유증)에 종종 필요하다.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 환자는 기계 환기가 필요할 수 있다.4. 2. 산소 요법
산소 요법은 폐기종, 폐 섬유증과 같은 심각한 호흡기 질환에 종종 필요하다.[29]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 환자는 기계 환기가 필요할 수 있다.4. 3. 호흡 재활
폐 재활[30]은 폐 질환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다차원적인 서비스 연속체로, 일반적으로 전문 분야의 학제 간 팀이 참여하여 개인의 최대 독립성과 지역 사회에서의 기능 유지를 목표로 한다.[31] 폐 재활은 환자와 가족을 교육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과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폐 재활의 구체적인 중재에는 운동, 교육, 정서적 지원, 산소, 비침습적 기계 환기, 기도 분비물 제거 최적화, 악화 및 입원 횟수 감소를 위한 의료 준수 촉진, 직장 복귀 및/또는 보다 활동적이고 정서적으로 만족스러운 삶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는 폐쇄성 또는 고유 폐 질환(산소 공급 장애)이나 신경 근육 쇠약(환기 장애)으로 인해 호흡 예비력이 감소한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다.
폐 재활 팀[32]에는 재활 의사, 호흡기내과 전문가, 의사 보조원 및 재활 간호사, 호흡 치료사, 언어 치료사,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심리학자, 사회 복지사를 포함한 관련 보건 전문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폐 재활을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호흡 게임이 사용된다.
4. 4. 수술
폐암, 기흉, 농흉 등 특정 질환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흉부외과 또는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수술을 시행한다.5. 호흡기 질환
호흡기내과는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다룬다. 주요 질환은 다음과 같다.
- 감염성 질환: 폐렴, 폐결핵, 급성 세기관지염, 흡인성 폐렴, 감기, 폐 비결핵항산균증 등
- 폐쇄성 폐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범세기관지염(DPB) 등
- 제한성 폐질환: 간질성 폐렴, 사르코이드증, 진폐증 등
- 면역/알레르기성 질환: 기관지 천식, 과민성 폐렴, 베게너 육아종증, 굿패스쳐 증후군, 알레르기성 기관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재발성 다발성 연골염 등
- 종양: 폐암 등
- 기타 질환: 기흉, 농흉, 흉수, 폐포 단백증, 폐포 미세 석회증, 기도 이물, 과호흡 증후군 등
5. 1. 감염성 질환
폐렴, 폐결핵, 급성 세기관지염, 흡인성 폐렴, 감기, 폐 비결핵항산균증 등이 있다. 감기는 원인이 되는 병원체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감기 증후군'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7] 급성 세기관지염은 흉부 X선 촬영 검사에서 폐가 과도하게 팽창하는 소견이 보이고, 흉부 CT 검사에서 폐야에 작은 알갱이 모양의 그림자가 보인다.[8] 한국은 결핵 발생률이 OECD 국가 중 높은 편이므로, 결핵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된다.5. 2. 폐쇄성 폐질환
폐쇄성 폐질환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범세기관지염(DPB) 등이 있다. 흡연, 미세먼지 등이 주요 위험 요인이다. 재발성 다발 연골염은 기관지 연골의 염증성 비대로 인해 점차 기도 협착을 유발한다. 카르타게너 증후군은 기관지의 섬모 운동 장애로 인해 기관지 확장증이 나타난다.5. 3. 제한성 폐질환
간질성 폐렴, 사르코이드증, 진폐증 등이 있다.5. 4. 면역/알레르기성 질환
- 기관지 천식
- 과민성 폐렴
- 베게너 육아종증
- 굿패스쳐 증후군
- 알레르기성 기관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 재발성 다발성 연골염: 기관지 연골의 염증성 비대로 인해 기도 협착을 일으킨다.
5. 5. 종양
폐암은 한국에서 암 사망 원인 중 높은 순위를 차지하며,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5. 6. 기타 질환
기흉, 농흉, 흉수, 폐포 단백증, 폐포 미세 석회증, 기도 이물, 과호흡 증후군 등이 있다.- 기흉
- 혈흉
- 농흉
- 흉강에 고름이 고이는 것이다.
- 치료: 흉강 배액술
- 적응증: 흉강에 얼마나 많은 세균이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 농즙이 있을 때: 눈으로 볼 수 있는 양의 세균이 있으면 적응증이 된다.
- 흉수 그람 염색 양성: 흉수 내에 그람 양성균이 보이면 적응증이 된다.
- 흉수 포도당 저치: 흉수 내의 포도당이 감소하면 그만큼 많은 세균에 의해 소비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적응증이 된다.
- 흉수 pH 저치: 흉수 내 pH가 감소하면 그만큼 많은 혐기성 세균에 의해 산이 생성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적응증이 된다.
- 흉수에서 부패 냄새가 날 때: 코로 맡을 수 있을 정도의 부패 냄새가 나면 그만큼 많은 혐기성 세균이 번식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적응증이 된다.
- 기도 이물
- 이물을 잘못 흡인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통계에 따르면 기관지에서 분지되는 각도가 좌측 기관지 45°보다 우측 기관지 25°가 더 좁기 때문에 이물은 우측 기관지에 떨어지기 쉽다. 증상은 이물이 동전 등의 무기물보다 땅콩 등의 유기물이 면역 반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더 심각해지기 쉽다. 검사는 흉부 엑스레이 사진으로는 찍히지 않는 이물도 많으므로 흡기 시와 호기 시 모두 촬영하여 종격동을 비교한다. 흡기 시에는 이물이 있는 쪽 폐에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이물이 없는 쪽 폐가 크게 부풀어 종격동이 환측으로 편향되고, 호기 시에는 이물이 있는 쪽 폐에서는 공기가 나오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이물이 없는 쪽 폐가 작게 축소되어 종격동이 건측으로 편향된다. 확진은 기관지 내시경 검사로 한다. 치료 또한 기관지 내시경 검사로 이물을 제거한다. 여기서 이물을 절대 뱉어내게 해서는 안 된다. 폐는 좌우 두 개가 있으므로 한쪽 기관지가 막혀 있어도 호흡할 수 있지만, 이물을 뱉어내는 과정에서 하나밖에 없는 기관에 걸리면 질식사할 수 있다. 게다가 기관에는 기관지보다 가는 성대가 있어 걸릴 위험이 크므로 금기이다.
- 폐포 단백증
- 검사: 폐 생검에서 PAS 염색으로 염색되는 물질로 폐포가 채워져 있다.
- 폐포 미세 석회증
- 과호흡 증후군
6. 교육 및 수련
미국에서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의학 학위(MD 또는 DO)를 받은 후, 내과에서 레지던트 수련을 마치고, 호흡기내과에서 최소 2년 이상의 추가적인 전임의 수련을 받은 의사를 말한다.[33] 호흡기 의학 전임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의사는 호흡기 의학 분야의 전문의 자격 시험을 볼 수 있다. 이 시험에 합격하면 호흡기내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대부분의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호흡기 의학 및 중환자 의학 분야에서 3년의 통합 전임의 과정을 수료한다.
미국에서 소아 호흡기내과 전문의는[34] 의학 학위(MD, DO, MBBS, MBBCh 등)를 취득한 후 소아과 레지던트 과정을 마치고, 호흡기내과에서 최소 3년 이상의 세부 전문 분야 펠로우십 과정을 이수한 의사를 말한다. 소아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기도, 폐, 호흡 역학 및 상기도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치료한다.
7. 연구
호흡기내과 의사들은 호흡기계의 임상 연구와 기초 연구에 모두 참여하며, 이는 호흡 상피의 해부학에서부터 폐 고혈압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 또한, 폐결핵 및 폐암과 같은 질병의 원인과 가능한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과학 연구도 이루어진다.[1]
8. 관련 학회 및 기관
- 미국 호흡기 치료 협회
- 미국 흉부 내과 의사 협회
- 미국 폐 협회
- 미국 흉부 학회
- 영국 흉부 학회
- 유럽 호흡기 학회
참조
[1]
논문
Pneumonology or Pneumology?
2002-05
[2]
웹사이트
ACP: Pulmonology: Internal Medicine Subspecialty
http://www.acponline[...]
2015-08-11
[3]
논문
Lung sound classification using cepstral-based statistical features
2016-08
[4]
논문
The discovery of the pulmonary circulation – who should get the credit: ibn Al-Nafis or William Harvey
http://www.ishim.net[...]
2010-07-17
[5]
웹사이트
American Thoracic Society - Overview
http://www.thoracic.[...]
2019-01-25
[6]
논문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and Prevention of Tuberculosis.
https://jamanetwork.[...]
2019-01-25
[7]
논문
Phthisiology at the Dawn of the New Century
2000-05-01
[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ivision
http://www.hopkinsme[...]
2017-08-11
[9]
웹사이트
Cardiothoracic Surgery {{!}} Essentia Health {{!}} MN, WI, ND
https://www.essentia[...]
2019-01-25
[10]
웹사이트
Cardiothoracic surgery
https://www.healthca[...]
2019-01-25
[11]
웹사이트
Pulmonary Disease {{!}} Internal Medicine Subspecialties {{!}} ACP
https://www.acponlin[...]
2019-01-25
[12]
웹사이트
Interventional Pulmonology: Procedures, Uses, and Effects
https://www.webmd.co[...]
2019-01-25
[13]
논문
Interventional Pulmonology
2001-03-08
[14]
웹사이트
Interventional Pulmonology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http://www.pamf.org/[...]
2019-01-25
[15]
논문
Interventional Pulmonology
2001
[16]
웹사이트
Cystic Fibrosis - Pediatrics
https://www.msdmanua[...]
2019-01-25
[17]
논문
Electronic cigarette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do?
[18]
논문
E-Cigarette Use Among Adolescents: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and Future Perspectives
[19]
웹사이트
Evaluation of the Pulmonary Patient - Pulmonary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19-01-25
[20]
웹사이트
Pulmonary Tests and Procedures {{!}} Johns Hopkins Medicine Health Library
https://www.hopkinsm[...]
2019-01-25
[21]
웹사이트
Pulmonary Tests and Procedures {{!}} Johns Hopkins Medicine Health Library
https://www.hopkinsm[...]
2019-01-25
[22]
웹사이트
Pulmonary Diagnostic Tests & Procedures {{!}} Essentia Health
https://www.essentia[...]
2019-01-25
[23]
웹사이트
Bronchoscopy {{!}} Johns Hopkins Medicine Health Library
https://www.hopkinsm[...]
2019-01-25
[24]
웹사이트
How Do Chest X-Rays Work?
https://www.hopkinsm[...]
2019-01-25
[25]
웹사이트
Computed Tomography (CT or CAT) Scan of the Chest {{!}} Johns Hopkins Medicine Health Library
https://www.hopkinsm[...]
2019-01-25
[26]
웹사이트
How Does a PET Scan Work?
https://www.hopkinsm[...]
2019-01-25
[27]
웹사이트
How to Prepare for a Sleep Study
https://www.hopkinsm[...]
2019-01-25
[28]
웹사이트
Cardiothoracic surgery
https://www.healthca[...]
2019-01-25
[29]
웹사이트
Oxygen Therapy - Lung and Airway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19-01-25
[30]
웹사이트
Pulmonary Rehabilitation {{!}} Essentia Health {{!}} MN, ND, WI
https://www.essentia[...]
2019-01-25
[31]
웹사이트
Overview of Pulmonary Rehabilitation - Lung and Airway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19-01-25
[32]
웹사이트
Overview of Pulmonary Rehabilitation - Lung and Airway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19-01-25
[33]
웹사이트
Pulmonary Disease {{!}} Internal Medicine Subspecialties {{!}} ACP
https://www.acponlin[...]
2019-01-25
[34]
웹사이트
What is a Pediatric Pulmonologist?
http://www.healthych[...]
2019-01-25
[35]
웹사이트
昭和大学横浜市北部病院 呼吸器センター
http://www.showa-u.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