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무호흡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는 질환으로, 코골이, 주간 졸림,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등의 증상을 보인다. 폐쇄성 및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나뉘며, 비만, 남성, 고령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진단은 수면다원검사(PSG)를 통해 이루어지며, 무호흡-저호흡 지수(AHI)를 기준으로 중증도를 평가한다. 치료법으로는 생활 습관 개선, 지속적 양압 호흡기(CPAP), 구강 내 장치, 수술 등이 있으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치료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운전 중 졸음으로 인한 교통사고 등 사회적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흡 이상 - 과호흡
- 호흡 이상 - 호흡곤란
호흡곤란은 숨 가쁨이나 호흡의 어려움을 느끼는 주관적인 경험을 의미하는 의학 용어로, 다양한 질환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객관적인 척도로 중증도를 평가하고, 원인 해결에 초점을 맞춘 치료와 완화 의료가 중요하다. - 수면 장애 - 불면증
불면증은 수면의 양과 질이 모두 저하되는 수면 장애로, 잠들기 어려움, 수면 중 각성, 조기 각성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스트레스, 정신 질환, 신체 질환, 약물,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인지행동치료를 중심으로 비약물적 치료와 약물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며, 건강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수면 장애 - 시차증
시차증은 여러 시간대 이동으로 생체리듬이 깨지면서 수면 장애, 소화 불량, 두통, 피로 등을 유발하는 현상이며, 빛 노출 조절, 멜라토닌 복용 등으로 관리하고 조울증 재발 및 자살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면 무호흡증 | |
---|---|
질병 개요 | |
이름 | 수면 무호흡증 |
영어 이름 | sleep apnea, sleep apnoea |
동의어 | sleep apnea syndrome |
진료 분야 | 이비인후과, 수면의학 |
증상 및 합병증 | |
주요 증상 | 수면 중 무호흡 또는 호흡 저하, 코골이, 일상 피곤 |
합병증 | 심근 경색, 심장 마비, 뇌졸중, 당뇨병, 심부전, 부정맥, 비만증, 자동차 사고, 알츠하이머병, 조기 사망 |
발병 및 지속 기간 | |
발병 시기 | 다양함, 20~70세 여성의 최대 50% |
원인 및 위험 요인 | |
원인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OSA) 중추 수면 무호흡증 (CSA) 혼합 수면 무호흡증 |
위험 요인 | 과체중, 가족력, 알레르기, 확장된 편도, 천식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방법 | 야간 수면 검사 |
예방 및 치료 | |
치료 | 생활 습관 변화, 마우스피스, 호흡 기구, 수술 |
예후 및 빈도 | |
빈도 | ~ 10명 중 1명, 남성 대 여성 비율 2:1, 노화 및 비만이 위험 증가 |
사망 | |
추가 정보 | |
![]() | |
국제 질병 분류 | |
메쉬 아이디 | D012891 |
메드라인플러스 | 000811 |
이메디신 하위 주제 | ped |
이메디신 주제 | 2114 |
2. 증상
수면 무호흡증을 선별하는 일반적인 과정에는 환자에게 코골이, 수면 중 호흡 정지 목격, 과다한 주간 수면과 같은 흔한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15] 그러나 수면 무호흡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때로는 증상이 없거나 미미하여 본인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다른 문제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15][26] 특정 증상들이 함께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환자들을 바탕으로 수면 무호흡증의 다른 유형(아형)을 구분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15]
2. 1. 주요 증상
수면 무호흡증의 증상은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여,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부터 자동차 운전 중 졸음이 쏟아지는 심각한 경우까지 나타날 수 있다.[15] 이 때문에 자신이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거나,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26][130]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심한 코골이: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의 특징적인 증상이다.[130] 일반적인 코골이와 달리 숨을 쉬지 않는 조용한 구간이 있다가 갑자기 매우 큰 소리의 코골이가 나타나는 불규칙한 양상을 보인다.[130] 하지만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CSA)에서는 코골이가 없거나 심하지 않을 수 있다.[130] 동거인이 있더라도 이러한 특징을 모르면 단순히 코를 심하게 고는 잠버릇으로 오인하여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130]
- 수면 중 호흡 정지: 잠자는 동안 숨을 반복적으로 멈추는 현상으로, 주로 함께 자는 사람에 의해 목격된다.[15]
- 잦은 각성 및 수면의 질 저하: 호흡 곤란으로 인해 밤중에 자신도 모르게 잠시 깨는 일이 반복되어 깊은 잠을 이루지 못하고 뇌가 충분히 쉬지 못한다.[15][130]
- 주간 졸림 및 피로감: 밤 동안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낮에 심한 졸음을 느끼고 만성적인 피로감을 호소한다.[15][130] 이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운전이나 작업 중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다.[15]
- 인지 기능 저하 및 정서적 문제: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고, 주의력이 산만해지며 전반적인 활력이 감소할 수 있다.[27][130] 또한, 이유 없는 기분 변화나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하며, 심한 경우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27][28][130]
- 기타 신체 증상:
- 야간 빈뇨: 밤에 소변을 보기 위해 자주 깨며, 이는 2형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될 수 있다.[130]
- 기상 시 두통[130]
- 발기부전 (남성)[130]
- 월경 불순 (여성)[130]
- 호흡성 산증[130]
- 다리 경련[130]
이 외에도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고혈압이나 심장 부정맥과 같은 심혈관계 문제가 수면 무호흡증의 미묘한 징후일 수 있다.[8]
혼자 사는 경우나 자각 증상이 약한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증을 발견하기 더욱 어려워 상태가 악화될 때까지 방치될 수 있다.[130]
2. 2. 합병증
수면 무호흡증은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질환으로, 적절히 치료받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34]심혈관계 합병증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은 심혈관계에서 나타난다.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심방세동을 포함한 부정맥, 관상동맥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등의 위험을 높인다.[34][121] 특히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고혈압이나 심장 부정맥은 수면 무호흡증의 미묘한 징후일 수 있다.[8] 또한 뇌졸중과 같은 뇌혈관 장애의 위험도 증가시킨다.[34][121] 수면 중 반복적인 저산소증과 각성은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이러한 심혈관 질환의 발생 및 악화에 기여한다.[15] 수면 무호흡증은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로 작용하며, 고지혈증, 다혈증과도 관련될 수 있다.[121]
대사 및 기타 합병증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15][34][121] 비만은 수면 무호흡증의 주요 원인이자 결과일 수 있으며, 서로 악영향을 미친다.[121]
인지 기능 및 정신 건강 문제수면 단편화와 주간 졸음은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등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중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6] 이는 뇌 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증가와 백색질 손상과 관련이 있으며[37][38][39], 이는 수면 부족으로 인한 신경퇴행 과정의 일부로 여겨진다.[37] 중년기의 수면 무호흡증은 노년기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높이며, 반대로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수면 무호흡증이 발견될 가능성도 높다.[40] 때로는 수면 무호흡증의 인지 기능 저하 증상이 치매로 잘못 진단되기도 한다.[41] 지속적 양압기(CPAP) 치료는 아밀로이드 단백질 수치를 개선하고 인지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2][43][44] 하지만 모든 연구에서 CPAP 치료가 인지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며, 우울증이나 불안 같은 다른 증상 개선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47] 체질량 지수(BMI)와 알츠하이머병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계속 발견되고 있으며[45], 특히 70세 이상 여성의 경우 BMI가 높을수록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증거도 있다.[46] 주간 인지 상태 저하는 기분 변화, 공격성 증가, 주의력 및 에너지 감소 등 행동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27], 심한 경우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28]
사고 위험 증가과다한 주간 수면은 수면 무호흡증의 흔한 증상으로, 졸음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을 크게 높인다. 이는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간주된다.[15][34] 또한 직장 내 안전사고의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15]
기타수면 무호흡증은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35]
3. 원인 및 위험 요인
수면 무호흡증은 성별, 인종,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29] 그러나 다음과 같은 위험 요인이 존재한다.[30][124]
- 남성[30][31]
- 비만[30][31][124]
- 40세 이상[30]
- 목둘레가 굵음[30]
- 편도선 또는 혀 비대[30]
- 아데노이드(인두편도 비대)[123][124]
- 좁은 상악[11]
- 작은 하악[31]
- 혀 지방/혀 요철[11]
- 수면 무호흡증 가족력[30][124]
- 알레르기[124]
- 내분비 장애[30] (예: 저하갑상선증)[31]
- 흡연이나 음주와 같은 생활 습관[30]
수면 무호흡증은 크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CSA), 그리고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분류된다.[121] 이 중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이 가장 흔하며,[121] 주로 상기도의 물리적인 막힘과 관련이 깊다.[11][121]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CSA)은 뇌의 호흡 조절 기능 문제와 연관된 경우가 많다.[14] 각 유형에 대한 자세한 원인과 기전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폐쇄성 수면 무호흡 (OSA)
폐쇄성 수면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상기도(코, 입, 인두)가 반복적으로 막히는 현상을 말한다.[130] 이는 전체 수면 무호흡증 사례의 약 84%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이다.[48]OSA의 발생 원인은 복잡하며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주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적 요인이 결합되어 나타난다.[11]
- 해부학적 요인: 선천적으로 인두가 좁거나,[11] 수면 중 근육 이완으로 혀뿌리나 연구개가 처져 기도를 막는 경우가 대표적이다.[130] 또한 좁은 상악,[11] 작은 하악,[31] 편도선이나 혀의 비대,[30] 혀의 지방 축적[11] 등도 기도를 좁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비만은 OSA 위험을 3배 이상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134]
- 기능적 요인: 수면 중 인두를 확장시키는 근육의 기능이 비효율적이거나,[11] 호흡 조절 능력이 불안정(높은 루프 게인)한 경우,[11] 또는 경미한 기도 협착에도 쉽게 잠에서 깨는(조기 각성) 경우[11] 등이 OSA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이러한 요인들이 많을수록 OSA의 중증도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11]
상기도가 막혀 호흡이 멈추면 혈액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다. 혈류 속의 화학수용체는 이를 감지하여 뇌에 신호를 보낸다.[32] 뇌는 수면자를 깨워 기도를 다시 열고 호흡을 재개하도록 한다. 정상 호흡이 돌아오면 산소 농도가 회복되고 다시 잠들게 된다.[32] 이러한 반복적인 각성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서파 수면과 REM 수면 시간을 감소시킨다.[33] 때로는 흉벽이나 인두 근육을 조절하는 뇌간의 기능 저하로 인해 인두가 허탈(붕괴)되어 이산화탄소가 축적되기도 한다.[33]
OSA 선별 검사에는 체질량지수(BMI),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코골이 정도 등을 평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131]
3. 2. 중추성 수면 무호흡 (CSA)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CSA)은 다음과 같은 위험 요인과 더 많이 관련되어 있다.[14]치료 방법으로는 원인이 되는 뇌 질환이나 심장 질환(허혈성 심장 질환 등)을 우선적으로 치료하며, 가정용 산소 요법이나 이중양압기(BiPAP) 요법이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4. 진단
수면장애 국제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에 따르면, 수면 무호흡증의 진단 기준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58][59]
# '''수면 관련 증상''': 낮 동안의 과도한 졸음,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은 느낌, 피로감, 또는 불면증 증상 등이 나타나는 경우.
# '''호흡 관련 증상 1''': 수면 중 숨 막힘이나 질식감으로 인해 잠에서 깨는 경험.
# '''호흡 관련 증상 2''': 주변 사람으로부터 코골이가 심하거나 자는 동안 숨을 멈춘다는 이야기를 듣는 경우.
# '''동반 질환''':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심부전, 심방세동, 제2형 당뇨병, 기분 장애, 인지 장애 등 특정 의학적 문제가 있는 경우.
이러한 기준과 함께,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또는 가정 수면 무호흡 검사를 통해 수면 시간당 5회 이상의 호흡 장애(주로 폐쇄성)가 확인될 경우 진단될 수 있다. 시간당 15회 이상이면 더 심각한 수준으로 간주된다. 만약 시간당 호흡 장애 발생 횟수가 5회 미만이라면,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진단하지 않는다.[59]
수면 무호흡증은 밤마다 증상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어 진단이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여러 날에 걸쳐 검사를 진행해야 할 수도 있다.[60] 병원 검사실에서 여러 날 검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르므로, 여러 날 측정이 용이하고 평소 수면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가정 수면 검사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61]
4. 1. 수면다원검사 (PSG)
야간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는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62] 이 검사에서는 환자에게 다양한 센서를 부착하여 수면 중 생리 신호를 기록한다.[62] 측정 항목은 다음과 같다.- 뇌파(EEG)
- 안전도 (눈 움직임)
- 턱 근육 근전도(EMG)
- 다리 근육 근전도(EMG)
- 심전도(ECG)
- 코와 입의 기류 (온도 및 압력 센서)
- 흉부 및 복부 움직임 (호흡 노력 측정)
- 맥박 산소측정기 (혈중 산소 포화도, SpO2)
이 검사를 통해 수면 단계, 호흡 패턴, 심장 활동, 혈중 산소 농도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면 무호흡증 여부와 심각도를 평가한다.
수면 중 호흡 사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무호흡''': 10초 이상 입과 코의 기류가 완전히 정지하는 상태.[63]
- '''저호흡''': 10초 이상 기류(환기량)가 50% 이상 감소하거나,[63] 또는 기류가 30% 이상 감소하면서 혈중 산소 포화도가 3% 또는 4% 이상 감소하거나 뇌파 상 각성 반응이 동반되는 상태.[62][63]
이러한 무호흡과 저호흡의 시간당 평균 발생 횟수를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라고 한다.[63] AHI는 수면 무호흡증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이다. 미국수면의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기준에서는 일반적으로 AHI가 5 이상이면서 낮 동안 과도한 졸음 등의 증상이 동반될 때 수면 무호흡증으로 진단한다.
AHI 값에 따른 중증도 분류는 다음과 같다.[63][135]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 (AHI) | 등급 |
---|---|
< 5 | 정상 |
5–14 | 경증 |
15–29 | 중등증 |
≥ 30 | 중증 |
수면다원검사는 주로 병원 검사실에서 하룻밤 입원하여 진행되지만, 휴대용 간편 장치(수면무호흡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가정 수면 검사'''도 가능하다. 가정 검사는 여러 날 검사가 용이하고 일상적인 수면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61] 하지만 야간 변동성이 있을 수 있어, 진단이 불분명한 경우 여러 날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60]
4. 2. 기타 진단 방법
수면 무호흡증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자가 진단 도구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점수 계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성별, BMI, 혈압, 코골이 여부를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 합산한다.항목 | 기준 | 점수 |
---|---|---|
성별 | 남성 | 4점 |
여성 | 0점 | |
BMI | 21.0 미만 | 1점 |
21.0 ~ 22.9 | 2점 | |
23.0 ~ 24.9 | 3점 | |
25.0 ~ 26.9 | 4점 | |
27.0 ~ 29.9 | 5점 | |
30.0 이상 | 6점 | |
혈압 | 수축기 혈압(SBP) < 140 이고 이완기 혈압(DBP) < 90 | 1점 |
140 ≤ SBP < 160 또는 90 ≤ DBP < 100 | 2점 | |
160 ≤ SBP < 180 또는 100 ≤ DBP < 110 | 3점 | |
SBP ≥ 180 또는 DBP ≥ 110 | 4점 | |
코골이 | 코를 골지 않음, 가끔, 때때로, 모름 | 0점 |
코를 자주 곤다, 항상 | 4점 |
위 4가지 항목의 합계 점수가 11점 이상이면 수면무호흡증(OSAS)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14점 이상이면 특이도가 더 높아진다.[132]
5. 치료
수면 무호흡증은 크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CSA), 그리고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나뉜다.[121]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은 치료 방법이 다르다. 일부 환자는 혼합된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지속적 양압 폐포 환기법(CPAP) 치료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할 때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이 나타나는 '치료 발생 중추성 무호흡증'으로 진단되기도 한다.[14] CPAP 치료 중 중추 호흡 기능 상실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CPAP 설정 오류나 다른 동반 질환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66]
일반적으로 치료는 행동 치료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69],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목 근육을 이완시켜 기도를 좁힐 수 있는 알코올, 수면제, 기타 진정제 사용을 피하도록 권고된다.[69] 주요 치료법에는 생활 습관 개선(금주, 체중 감량, 금연, 수면 자세 변경 등), 호흡 보조 기구(지속적 양압 폐포 환기법(CPAP) 장치[125], 구강 내 장치(마우스피스)[135] 착용), 수술 등이 있다.[121] 어떤 치료법이 특정 환자에게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명확한 비교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67]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심장마비, 뇌졸중, 당뇨병, 심부전, 부정맥, 비만, 교통사고 등의 심각한 건강 문제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121]
5. 1. 생활 습관 개선
수면 무호흡증 치료는 종종 행동 치료부터 시작한다.[69] 초기 개입으로 알코올이나 수면제, 기타 진정제를 피하는 것이 권고된다. 이러한 물질들은 목 근육을 이완시켜 야간에 기도가 막힐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69]비만은 수면 무호흡증의 중요한 원인이므로[72], 과체중인 경우 체중 감량이 권장된다. 체중 감량은 상기도 주변의 지방 압박을 줄여 무호흡 빈도를 낮추고 무호흡-저호흡 지수(AHI)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72][74] 특히 비만 저환기 증후군(OHS) 완화를 위해서는 체중의 25~30% 감량이 필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비만 수술이 고려될 수도 있다.[75]
수면 자세를 바꾸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등을 대고 잘 때 증상이 심해지는 체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가 많으며[68], 이 경우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다.[68]
5. 2. 지속적 양압호흡기 (CPAP) 치료


중등도에서 중증 수면 무호흡증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은 지속적 양압 호흡기(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또는 자동 양압 호흡기(APAP, Automatic Positive Airway Pressure)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다.[69][96] 이 기기들은 가압된 공기를 이용하여 수면 중 환자의 기도를 열어두는 원리로 작동한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얼굴 마스크(주로 코 또는 코와 입을 덮는 형태)를 착용하며, 이 마스크는 유연한 튜브를 통해 침대 옆에 놓인 작은 CPAP 기기에 연결된다.[69] 비강 지속적 양압 호흡 치료(nCPAP)는 코에 부착한 마스크를 통해 가압된 공기를 보내, 혀뿌리(설근) 주변의 연조직을 확장시켜 숨을 들이쉴 때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막는다.
CPAP 치료는 무호흡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다른 치료법보다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105] 하지만 일부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답답함, 가슴 통증, 피부 또는 코의 자극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으며, 다른 부작용으로는 입 마름, 코 마름, 코피, 입술과 잇몸 통증 등이 있다.[105] 처방 직후에는 불쾌감을 느끼기 쉬워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마스크를 벗어버리는 경우도 있는데, 일부 기종에는 이런 경우 경고음을 울리는 기능이 있다.
CPAP가 사망 위험이나 심장병 위험을 감소시키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했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그렇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18][70][67] 이러한 연구 결과의 차이는 환자의 낮은 순응도(치료 지침을 따르는 정도) 때문일 수 있다. 하룻밤에 최소 4시간 이상 CPAP를 꾸준히 사용하는 사람들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심혈관계 질환 발생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71]
CPAP 장치는 크게 고정형 CPAP와 자동형 CPAP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고정형 CPAP: 환자가 미리 검사를 통해 적절한 압력을 측정하고, 의사가 그 압력을 장치에 설정하여 사용한다. 설정 값이 높으면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작동 초기에 낮은 압력으로 시작하여 점차 설정 압력으로 높이는 기능이 있는 장치도 있다.
- 자동형 CPAP (APAP): 별도의 압력 설정 없이, 환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또한, 사용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이 있어 의사가 이를 분석하여 치료 경과를 확인할 수 있다.

CPAP 장치에서 마스크로 보내지는 공기의 압력은 환자의 증상과 체격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4~20 cmH₂O 정도이다. 마스크 착용 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조절용 밴드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맞추고 가능한 한 빨리 익숙해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 마스크는 구조적으로 약간의 공기가 새어 나가도록 설계되어 있어, 작동 중 '쉬익'하는 소리가 나는 것은 정상이다. 숨을 내쉴 때는 공기가 마스크 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며, 일부 기종은 숨을 내쉴 때 압력을 낮춰 호흡을 더 편하게 하기도 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차가운 실내 공기가 가압되어 공급되면서 코나 목이 차갑고 건조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가습기나 가온기가 장착된 기종(옵션 포함)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과도한 가습이나 가온은 오히려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침실의 공조 시설을 이용하여 적절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다.
CPAP 장치에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걸러주는 에어필터가 부착되어 있다. 꽃가루나 집먼지 진드기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환자를 위해 HEPA 필터와 같은 고성능 필터가 옵션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어떤 종류의 필터를 사용하든 정기적인 세척과 청소는 필수적이다.
CPAP 사용자는 여행이나 출장 등 숙박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장치를 휴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CPAP 장치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배낭이나 숄더백 형태의 케이스와 함께 제공된다. 장치의 무게는 대략 1kg에서 3kg 정도이지만, 1kg 미만의 가벼운 기기도 있다.
CPAP 치료와 함께 행동 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목 근육을 이완시켜 기도 폐쇄를 유발할 수 있는 알코올이나 수면제, 기타 진정제 사용을 피하도록 권고받을 수 있다.[69] 비만인 환자의 경우, 체중 감량을 통해 목 주변의 지방 조직 압박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5. 3. 구강 내 장치
구강 내 장치(oral appliance)는 맞춤 제작된 마우스피스의 일종으로, 아래턱뼈(하악)를 앞으로 이동시키고 약간 교합을 열어 기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100][101] 흔히 하악 전진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splint)라고도 불리며, 일반 치과의사가 제작할 수 있다.이 장치는 주로 경증에서 중등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게 효과적이다.[100][101] 특히 CPAP 치료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구강장치 치료(OAT)는 CPAP보다 수면 무호흡증 자체에 대한 효과는 낮을 수 있지만, 주간 졸음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며, CPAP보다 환자가 더 편안하게 느끼고 꾸준히 사용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101]
수면 스프린트라고도 불리는 이 장치는 특히 비만보다는 아래턱의 크기나 위치가 수면 무호흡의 주된 원인인 경우에 유용하다. 아래턱뼈를 전진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5. 4. 수술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는 여러 가지 수술적 방법(수면 수술)이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지속적 양압 폐포 환기법(CPAP) 치료나 구강 내 장치 사용에 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거부 반응을 보이는 경우, 또는 폐쇄를 유발하는 특정 해부학적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 고려되는 3차 치료법이다.[18][7]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폐쇄를 일으키는 모든 해부학적 부위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별로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7]수술은 주로 폐쇄가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나뉜다.
- 비강 수술: 코 안의 통로를 넓히기 위해 비중격 만곡증을 교정하는 비중격성형술이나 코 선반(비갑개)의 크기를 줄이는 비갑개 수술 등이 시행될 수 있다.[80] 이러한 수술은 코막힘을 개선할 수 있지만, 수면 중 호흡 문제로 인한 각성을 줄이는 데는 직접적인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81]
- 구강인두 수술: 목젖 주변의 연구개나 편도를 절제하여 목구멍(인두) 공간을 넓히는 수술이다. 편도절제술이나 구개수 구개인두 성형술(UPPP 또는 UP3)이 대표적이다.[7]

- 연구개 강화: 'Pillar' 시술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부드러운 입천장(연구개)에 작은 폴리에스터 막대 3개를 삽입하여 연구개를 단단하게 지지해주는 방식이다. 이는 연구개의 떨림이나 처짐으로 인한 기도 폐쇄를 막기 위한 것이다. 이 시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코골이 치료(2002년)와 경증~중등도 수면 무호흡증 치료(2004년) 목적으로 승인받았다. 2013년 발표된 메타 분석 연구에 따르면, Pillar 시술은 코골이와 경증~중등도 수면 무호흡증에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이며, 더 확실한 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또한, 시술받은 사람의 약 10%에서 삽입된 막대가 빠져나오는 부작용이 보고되었다.[82]
- 하인두 수술: 혀뿌리(설기저부)가 뒤로 밀려 기도를 막는 경우, 혀뿌리 자체를 앞쪽으로 당겨 고정하는 설기저부 전진술이나, 혀 아래쪽의 설골을 앞으로 당겨 고정하는 설골 현수술 등을 통해 혀 뒤쪽의 기도 공간을 넓힐 수 있다.[7]
- 턱뼈 수술: 양악 수술의 일종인 상악하악전진술(MMA)은 위턱뼈(상악)와 아래턱뼈(하악)를 함께 앞으로 이동시켜 얼굴 골격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수술이다. 이를 통해 턱 뒤쪽의 기도 공간(후방 기도 공간, PAS)을 영구적으로 확장할 수 있어, 수면 무호흡증 수술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83]
- 기타 수술: 이 외에도 레이저나 고주파 등을 이용하여 입천장이나 목젖 등 늘어진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수축시키는 방법, 또는 조직을 강화하기 위해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삽입하는 수술 등이 있다.[69]
수술을 고려하게 되는 주요 요인으로는 CPAP 치료나 구강 내 장치 사용에 실패했거나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 수술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뚜렷한 해부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 또는 심각한 두개안면 기형으로 인해 비수술적 장치 사용 자체가 어려운 경우 등이 있다.[84]
수면 무호흡증 환자가 수술을 받을 때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다. 수술 중 통증 조절이나 진정을 위해 사용되는 약물들이 수술 후에도 체내에 남아 호흡 기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중추성, 폐쇄성, 또는 혼합형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소량의 진정제만으로도 위험한 호흡 문제나 기도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85] 따라서 수술 후 진통제나 진정제 사용은 가능한 한 최소화해야 한다.[7]
또한, 입안이나 목 부위 수술 후에는 일시적으로 조직이 부어올라 기도가 더 좁아질 수 있다. 편도선 절제술이나 혀뿌리 축소술처럼 기도를 넓히기 위한 수술이라도 수술 직후에는 부기로 인해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부기가 가라앉고 수술 부위가 안정되면 점차 수술의 완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7]
어떤 종류의 수술이나 시술을 받든지 간에,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반드시 담당 의사와 마취통증의학과 의사에게 자신의 상태를 미리 알려야 한다. 이는 수술 중이나 후에 발생할 수 있는 기도 관련 응급 상황에 대비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86]
5. 5. 기타 치료
현재까지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 효과가 입증되어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약물은 없다.[90] 이는 임상시험에서 다양한 유형의 수면 무호흡증 환자를 구분하지 않고 단일 그룹으로 다루었기 때문일 수 있다.[91][92] 향후 수면 무호흡증의 구체적인 원인(기도 협착, 근육 활동 저하, 낮은 각성 역치, 불안정한 호흡 조절 등)을 파악하면, 해당 원인에 맞는 약물 개발 및 시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91][92]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환자에게 약물이 도움이 될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잠에서 쉽게 깨는 낮은 각성 역치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불면증 치료제인 에스조피클론(eszopiclone)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91][93] 상기도 근육 기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항우울제인 데시프라민(desipramine)이 인두 근육을 자극하여 기도 붕괴를 줄이는 데 효과를 보일 수 있다.[91][94] 또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는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나[90][95] 졸피뎀(zolpidem), 트리아졸람(triazolam) 같은 약물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호흡 억제 위험이 없는 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한다.[90][95][96]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합성 THC 성분인 드로나비놀(dronabinol)이 단기 시험에서 증상 개선 효과를 보인 바 있다.[133]
구강 압력 치료(Oral pressure therapyeng)는 입안에 착용하는 장치를 이용해 약한 진공 상태를 만들어 연구개(입천장 뒤쪽 부드러운 부분)를 앞으로 당겨 기도를 확보하는 방식이다.[103][104] 이 치료법은 약 25~37%의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3][104]
비강 EPAP(Nasal Expiratory Positive Airway Pressure)는 콧구멍 입구에 붙이는 작은 밸브 장치이다. 숨을 내쉴 때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약간 막아 기도 내에 가벼운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원리다.[102] 이는 코에 삽입하여 비강을 넓히는 단순한 '비강 확장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 치료에는 횡격막에 주기적인 전기 자극을 주어 호흡을 돕는 횡격막 자극(diaphragm pacing)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87][88] 또한, 지속적 양압 폐포 환기법(CPAP) 사용이 어려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를 위해 설하신경 자극기(hypoglossal nerve stimulator)를 이용한 상기도 자극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장치는 체내에 이식되어 호흡을 감지하고, 숨을 들이쉴 때 혀 신경에 약한 전기 자극을 보내 혀를 앞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열어준다. 이 시스템은 2014년 FDA의 승인을 받았다.[89]
저산소증 개선을 위해 저농도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도 시도되지만, 부작용의 우려가 있어 일반적으로 권장되지는 않는다.[97][98][99]
6. 예후
수면 무호흡증은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질병으로,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105] 치료받지 않은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치료받는 환자에 비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높다.[34]
주요 합병증으로는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심방세동,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제2형 당뇨병 등이 있다.[34][121] 또한 지방간과 같은 간 기능 장애와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106][107][108][109] 수면 무호흡증은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121]
수면 중 반복적인 산소 부족은 뇌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이 제기되는데, 이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증가와 백색질 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6][37][38][39] 중년기의 수면 무호흡증은 노년기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40], 때로는 치매로 잘못 진단되기도 한다.[41] 또한 기억 저장에 관여하는 뇌 영역(유두체)의 조직 손실이 관찰되어 기억력 감퇴를 유발할 수 있다.[110] MRI 연구에 따르면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유두체 크기가 약 20% 더 작다는 결과도 있다.[111]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 호흡 정지가 길어지면 돌연사로 이어질 수도 있다. 혈중 산소량 감소는 발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간질 환자의 경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112] 관상동맥질환 환자에게는 협심증, 부정맥, 심근경색 (심장마비)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112] 장기간 지속될 경우 혈액의 pH 변화로 호흡성 산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수면 무호흡증의 흔한 증상인 주간 졸음과 피로는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을 높여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다뤄진다.[34][121] 또한, 수면 무호흡증은 COVID-19 감염 시 중증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35]
CPAP 치료는 일부 위험 요소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밀로이드 단백질 수치를 낮추고 뇌 구조 및 인지 장애를 일부 회복시킬 가능성이 있다.[42][43][44] 비록 CPAP 치료가 인지 기능 자체를 크게 향상시키지는 못한다는 연구도 있지만, 우울증이나 불안 같은 다른 증상 완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47]
7. 역학
수면 무호흡증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게 나타나는 수면 장애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의 유병률은 성인의 경우 약 1~6%, 소아의 경우 약 2% 정도로 추정된다.[127][126]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SA)의 유병률은 1% 미만으로 훨씬 낮다.[128]
수면 무호흡증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정 집단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높으며[116][135], 40세 이상[116], 특히 55세에서 60세 사이 연령대에서 가장 흔하게 진단된다.[121][127] 남성은 30대 이후부터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여성의 경우 폐경 이후 호르몬 변화와 관련하여 50대를 기점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135]
비만은 수면 무호흡증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비만인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병 위험이 3배 이상 높다고 알려져 있다.[135]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체중이 10% 증가할 때마다 수면 무호흡증 발생률은 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6]
주목할 점은 동아시아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해 비만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수면 무호흡증 유병률은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는 동아시아인 특유의 안면 골격 구조, 특히 상대적으로 작은 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134][135] 턱이 작으면 기도가 좁아져 수면 중 호흡이 쉽게 막힐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른 체형이라도 턱이 작거나 얼굴 골격이 작은 사람은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이 높을 수 있다.[135]
미국에서는 수면 무호흡증이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1993년 위스콘신 수면 코호트 연구(Wisconsin Sleep Cohort Study)에서는 미국인 15명 중 약 1명이 중등도 이상의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다고 추정했으며[113][114], 중년 여성의 최대 9%, 남성의 최대 24%가 진단이나 치료를 받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고 보았다.[72][113][114] 최근 추산에 따르면 약 2,200만 명의 미국인이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으며, 이 중 중등도 및 중증 환자의 약 80%는 여전히 진단받지 못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된다.[116]
8. 사회적 문제
신칸센 운전사나 화물자동차(트럭) 운전사 등 인명과 직결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수면 무호흡증이 숨겨진 질환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03년 2월 26일, 일본 오카야마역에 진입하던 산요 신칸센 히카리 126호 열차의 운전사가 졸음운전을 하여 시속 270km로 약 8분간 운행했다. 이 운전사는 자동열차제어장치(ATC) 확인 조작을 하지 못했고, 결국 ATC가 작동하여 열차가 정차 위치보다 100m 앞에서 멈추는 사고(인시던트)가 발생했다.[137][138]
- 2012년 일본에서 발생한 간에쓰 자동차도 고속버스 졸음운전 사고의 피고인 운전사가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140][141]
- 2016년 9월 미국의 뉴저지 트랜짓 통근열차 운전사가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해 운전 중 의식을 잃었다. 이로 인해 열차가 호보켄역에 충돌하여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39]
또한, 일본의 스모 선수 중 요코즈나였던 다이노쿠니 야스시(ja)와 하쿠호 쇼(ja) 등도 이 질환으로 고통받았다. 특히 다이노쿠니는 현역 시절인 1980년대 후반에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해 성적 부진을 겪었으며, 이를 계기로 스모 팬들 사이에서 수면 무호흡증이라는 질병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42]
한편, 일본에서는 생명보험 계약자가 많은 보험금을 받기 위해 수면 무호흡증을 이유로 불필요한 검사 입원을 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2024년 11월 28일자 아사히 신문은 각 보험회사가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 보험회사는 보험금 지급을 제한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143]
참조
[1]
웹사이트
Sleep Apnea: What Is Sleep Apnea?
http://www.nhlbi.ni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6-08-18
[2]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Sleep Apnea?
http://www.nhlbi.nih[...]
2016-08-18
[3]
논문
Sleep Disordered Breathing and Mortality: Eighteen-Year Follow-up of the Wisconsin Sleep Cohort
https://aasm.org/stu[...]
2008-08-01
[4]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is a common disorder in the population—a review on the epidemiology of sleep apnea
[5]
논문
Asthma and obstructive sleep apnea: More than an association!
[6]
웹사이트
How Is Sleep Apnea Diagnosed?
http://www.nhlbi.nih[...]
2012-07-10
[7]
논문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on Obstructive Sleep Apnea
2023-07-13
[8]
논문
Clinical manifestations of sleep apnea
https://jtd.amegroup[...]
2015-09-07
[9]
논문
The Epidemiology of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2008-02-15
[10]
논문
Treating sleep apnea with pills instead of machines
https://knowablemaga[...]
2020-04-29
[11]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Current perspectives
[12]
서적
Physiology, Carbon Dioxide Retention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18-10-27
[13]
서적
Cheyne Stokes Respirations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08-01
[14]
논문
Central Sleep Apnea: a Brief Review
2019-03
[15]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Update and Future
https://www.annualre[...]
2017-01-14
[16]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A Review
https://doi.org/10.1[...]
2020-04-14
[17]
웹사이트
How Is Sleep Apnea Treated?
http://www.nhlbi.nih[...]
2016-08-18
[18]
논문
Obstructive sleep apnoea syndrome and its management
2015-09
[19]
논문
Meta-analysis: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mproves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without diabetes
2013-04
[20]
논문
The impact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on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of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s
2007-04
[21]
논문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for treating sleepiness in a diverse populatio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results of a meta-analysis
2003-03
[22]
논문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sleep apnoea
2003-12
[23]
웹사이트
3 Top Medical Device Stocks to Buy Now
https://www.fool.com[...]
2017-11-18
[24]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is a common disorder in the population—a review on the epidemiology of sleep apnea
2015-08
[25]
웹사이트
Who Is at Risk for Sleep Apnea?
http://www.nhlbi.nih[...]
2016-08-18
[26]
논문
Effect of sleep apnea on cognition and mood
2005-08
[27]
논문
Treatment effects on brain activity during a working memory task in obstructive sleep apnea
2009-12
[28]
논문
Sleep pathologies in depression and the clinical utility of polysomnography
https://nrc-publicat[...]
2010-07
[29]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basics
https://www.ccjm.org[...]
[30]
웹사이트
Sleep Apnea - Causes and Risk Factors {{pipe}}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2-03-24
[31]
웹사이트
Risk Factors
https://sleep.hms.ha[...]
[32]
서적
Biological Rhythms, Sleep and Hyponosis
Palgrave Macmillan
2011-02-08
[33]
서적
Neuro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7-04
[34]
논문
Enhancing public health and safety by diagnosing and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in the transportation industry: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position statement
2022-10-01
[35]
웹사이트
Obstructive sleep apnea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36]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and Alzheimer's Disease
[37]
논문
Severe Obstructive Sleep Apnea Is Associated with Higher Brain Amyloid Burden: A Preliminary PET Imaging Study
https://www.scienced[...]
2020-11-10
[38]
논문
The Link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oea and Neurodegeneration and Cognition
https://pub.dzne.d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1-07-13
[39]
논문
Associ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With White Matter Integr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Over a 4-Year Period in Middle to Late Adulthood
https://jamanetwork.[...]
2022-07-20
[40]
논문
Alzheimer's disease neuropathology in the hippocampus and brainstem of peopl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https://www.scienced[...]
2020-09-21
[41]
뉴스
When Sleep Apnea Masquerades as Dementia
https://newoldage.bl[...]
New York Times
2010-10-06
[42]
논문
Sleep apnoeas may represent a reversible risk factor for amyloid-β pathology
2017-12-01
[43]
논문
White Matter Integri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before and after Treatment
https://aasm.org/bra[...]
2014-09-01
[44]
논문
Sustained Use of CPAP Slows Deterioration of Cognition, Sleep, and Mood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 Preliminary Study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
2009-08-15
[45]
논문
Different associations between body mass index and Alzheimer's markers depending on metabolic health
2024-08-29
[46]
논문
An 18-Year Follow-up of Overweight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http://archinte.jama[...]
2003-07-14
[47]
논문
A systematic review on adherence to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oea (OSA) in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dementia
https://linkinghub.e[...]
2024-02-01
[48]
논문
Complex Sleep Apnea Syndrome: Is It a Unique Clinical Syndrome?
https://www.scienced[...]
2006-09-01
[49]
논문
Screening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Evidenc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7-01-01
[50]
논문
Screening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7-01-01
[51]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is a common disorder in the population-a review on the epidemiology of sleep apnea
2015-08-01
[52]
서적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Rules, Terminology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Version 2.6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53]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17-03-01
[54]
논문
Diagnosis of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https://www.minervam[...]
2007-09-01
[55]
논문
Minimum important difference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in obstructive sleep apnoea: estimation from three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9-04-01
[56]
논문
Diagnostic accuracy of the Berlin questionnaire, STOP-BANG, STOP,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in detecting obstructive sleep apnea: A bivariate meta-analysis
2017-12-01
[57]
논문
Comparison of Berlin Questionnaire, STOP-Bang,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for Diagnosing Obstructive Sleep Apnea in Persian Patients
[58]
서적
Sleep Disorders Medicine
2017
[59]
서적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Third Edition
https://aasm.org/wp-[...]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60]
논문
Night-to-night variabili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using peripheral arterial tonometry: a case for multiple night testing
2021-03-30
[61]
논문
Variability and Misclassification of Sleep Apnea Severity Based on Multi-Night Testing
2020-02-18
[62]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63]
논문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recommendations for syndrome defini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clinical research. The Report of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ask Force
1999-08-01
[64]
논문
The Pathogenesis of Central and Complex Sleep Apnea
https://doi.org/10.1[...]
2022-07-01
[65]
논문
Central sleep apnea and Cheyne-Stokes respiration
2008-02-01
[66]
논문
Complex sleep apnea syndrome
[67]
논문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for central sleep apnoea in adults
2022-10-24
[68]
논문
Positional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https://dash.harvard[...]
2018-05-01
[69]
웹사이트
How Is Sleep Apnea Treated?
http://www.nhlbi.nih[...]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70]
논문
Association of Positive Airway Pressure With Cardiovascular Events and Death in Adults With Sleep Apn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7-01
[71]
논문
Does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Reduce Cardiovascular Risk?: It Is Far Too Soon to Say
2017-07-00
[72]
논문
Epidemiology of Obstructive Sleep Apnea: A Population Health Perspective
2002-05-00
[73]
뉴스
Weight loss, breathing devices still best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https://www.health.h[...]
2013-10-02
[74]
논문
Lifestyle intervention with weight reduction: first-line treatment in mild obstructive sleep apnea
2009-02-00
[75]
논문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Hypoventilation Syndrome. An Official American Thoracic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19-08-01
[76]
논문
Efficacy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36 months of follow-up
2011-05-01
[77]
논문
Rapid maxillary expansion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0-00
[78]
논문
Comparison of dimensions and volume of upper airway before and after mini-implant 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2020-05-01
[79]
논문
Maxillary expansion and maxillomandibular expansion for adult OS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5-01
[80]
논문
Surgery for obstructive sleep apnoea in adults
2005-10-19
[81]
논문
Critical Appraisal and Meta-Analysis of Nasal Surger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2011-01-00
[82]
논문
Efficacy of the Pillar implant in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mild-to-moderate obstructive sleep apnea: a meta-analysis
2013-01-00
[83]
논문
Maxillomandibular advancement surger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2002-11-00
[84]
논문
Treatments for snoring in adults
2011-06-00
[85]
서적
Sleep Apnea – The Phantom of the Night: Overcome Sleep Apnea Syndrome and Win Your Hidden Struggle to Breathe, Sleep, and Live
https://archive.org/[...]
New Technology Publishing
[86]
웹사이트
What is Sleep Apnea?
http://www.nhlbi.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87]
EMedicine
Diaphragm Pacing
[88]
논문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via diaphragmatic pacing: a potential gateway for treating systemic dysfunctions
2007-05-00
[89]
웹사이트
Inspire Upper Airway Stimulation – P130008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01-11
[90]
논문
Efficacy of pharmacotherapy for OSA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9-08-00
[91]
뉴스
Treating sleep apnea with pills instead of machines
https://knowablemaga[...]
2020-04-29
[92]
논문
A method for measuring and modeling the physiological traits causing obstructive sleep apnea
2011-06-00
[93]
논문
Eszopiclone increases the respiratory arousal threshold and lowers the apnoea/hypopnoea index in obstructive sleep apnoea patients with a low arousal threshold
https://doi.org/10.1[...]
2011-03-07
[94]
논문
Desipramine improves upper airway collapsibility and reduces OSA severity in patients with minimal muscle compensation
https://erj.ersjourn[...]
2016-11-01
[95]
논문
Updated Guidelines from AASM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Sleep Apnea Syndromes
https://www.aafp.org[...]
2012-11-15
[96]
논문
The treatment of central sleep apnea syndromes in adults: practice parameters with an evidence-based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es
2012-01-00
[97]
웹사이트
Sleep Apnea
http://www.psycholog[...]
Psychology Today
[98]
논문
Efecto de la oxigenoterapia nocturna en el paciente con síndrome de apnea-hipopnea del sueño y limitación crónica al flujo aéreo
2001-01-00
[99]
논문
Transtracheale Sauerstofftherapie beim obstruktiven Schlafapnoe-Syndrom
1989-11-00
[100]
논문
Titratable mandibular repositioner appliance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re they an option?
2007-12-00
[101]
논문
Updates in oral appliance therapy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2013-05-00
[102]
논문
Nasal Expiratory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s (Provent) for OS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0-00
[103]
논문
Effectiveness of oral pressure therapy in obstructive sleep apnea: a systematic analysis
2016-05-00
[104]
논문
A multicenter evaluation of oral pressur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http://www.escholars[...]
2013-09-00
[105]
간행물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https://www.effectiv[...]
AHRQ Effective Health Care Program
2011-08-08
[106]
논문
Treatment effects on brain activity during a working memory task in obstructive sleep apnea
2009-12-01
[107]
논문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fatty liver: association or causal link?
2010-09-01
[108]
논문
Symptoms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2005-12-01
[109]
논문
Chronic liver injury during obstructive sleep apnea
2005-06-01
[110]
논문
Reduced mammillary body volum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2008-06-01
[111]
논문
Reduced mammillary body volum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http://newswise.com/[...]
2008-06-12
[112]
논문
Epilepsy and sleep apnea syndrome
1994-11-01
[113]
논문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1993-04-29
[114]
논문
Epidemiology of Obstructive Sleep Apnea: a Population-based Perspective
2008-06-01
[115]
논문
The Medical Cost of Undiagnosed Sleep Apnea
1999-09-01
[116]
웹사이트
Sleep Apnea Information for Clinicians - www.sleepapnea.org
https://www.sleepapn[...]
2022-03-30
[117]
서적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A-Z: An Encyclopedia of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09-11
[118]
논문
Fat, sleep, and Charles Dickens: literary and medical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sleep apnea
1985-12-01
[119]
논문
Reversal of obstructive sleep apnoea by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nares
1981-04-01
[120]
웹사이트
Industry Recognizes Sleep Apnea Awareness Day 2014
http://www.sleeprevi[...]
Sleep Review
2014-04-30
[121]
웹사이트
Sleep Apnea: What Is Sleep Apnea?
http://www.nhlbi.ni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2-07-10
[122]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Sleep Apnea?
http://www.nhlbi.nih[...]
2012-07-10
[123]
웹사이트
アデノイド
https://www.e-health[...]
2023-04-18
[124]
웹사이트
Who Is at Risk for Sleep Apnea?
http://www.nhlbi.nih[...]
2012-07-10
[125]
웹사이트
How Is Sleep Apnea Treated?
http://www.nhlbi.nih[...]
2012-07-10
[126]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5: 5 Books in 1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127]
서적
Global Surveillance, Prevention and Control of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A Comprehensive Approach
https://books.googl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128]
서적
Physician Assistant Review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129]
논문
Complex sleep apnea syndrome: is it a unique clinical syndrome?
http://www.journalsl[...]
2006-09-01
[130]
웹사이트
健康づくりのための睡眠指針検討会報告書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9-12-16
[131]
논문
Simple four-variable screening tool for 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sleep-disordered breathing
2009
[132]
논문
2009
[133]
논문
Pharmacotherapy of Apnea by Cannabimimetic Enhancement, the PACE Clinical Trial: Effects of Dronabinol in Obstructive Sleep Apnea
https://doi.org/10.1[...]
[134]
논문
SASの診断・治療の現状と歯科への期待
의치약출판
[135]
뉴스
毎日新聞
2015-06-01
[136]
웹사이트
The big sleep problems
https://www.health.h[...]
2022-06-17
[137]
웹사이트
睡眠時無呼吸症候群(SAS)問題対策 - 内閣府
https://www8.cao.go.[...]
2021-10-09
[138]
웹사이트
突然の睡魔が事故を呼ぶ ~睡眠時無呼吸症候群~
https://www.nhk.or.j[...]
2021-10-09
[139]
웹사이트
運転士に睡眠障害検査を 居眠り運転による列車事故多発で
https://www.dailysun[...]
日刊サン
2017-09-29
[140]
웹사이트
運転手、事故直前の眠気を否定 関越道バス事故初公判
https://www.nikkei.c[...]
2020-05-24
[141]
저널
職域における睡眠呼吸障害の予防・治療・ フォローアップの重要性
https://www.mlit.go.[...]
[142]
뉴스
大乃国のいびき ――睡眠時無呼吸症候群
http://apital.asahi.[...]
朝日新聞
2013-01-15
[143]
뉴스
「無呼吸症候群」で不要な検査入院頻発 医療保険の一時金が目当て?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11-28
[144]
웹인용
Sleep Apnea: What Is Sleep Apnea?
http://www.nhlbi.ni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2-07-10
[145]
웹인용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Sleep Apnea?
http://www.nhlbi.nih[...]
2016-08-18
[146]
서적
Global Surveillance, Prevention and Control of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A Comprehensive Approach
https://books.googl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147]
웹인용
Who Is at Risk for Sleep Apnea?
http://www.nhlbi.nih[...]
2016-08-18
[148]
웹인용
How Is Sleep Apnea Diagnosed?
http://www.nhlbi.nih[...]
2016-08-18
[149]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5: 5 Books in 1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150]
웹인용
Sleep Apnea: What Is Sleep Apnea?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9-05
[151]
웹인용
Sleep Apnea: Key Points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5-09-27
[152]
저널
Effect of sleep apnea on cognition and mo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