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혜성은 대한민국의 궁중 음식 연구가이자 교육자이다. 1920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나, 숙명여자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하며 궁중 음식 연구를 시작했다. 한희순에게 궁중 음식을 전수받았으며, 1970년 조선왕조 궁중음식을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하는 데 기여했다. 1971년 궁중음식연구원을 설립하여 궁중 음식의 전승과 보급에 힘썼으며, 1973년부터 1986년까지 성균관대학교 가정대 학장을 역임했다. 1957년 스승 한희순과 함께 《이조궁정요리통고》를 저술하는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으며, 1985년 대한민국 교육훈장 목련장, 1990년 문화훈장 보관장을 받았다. 2006년 86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장주원
    장주원은 대한민국의 옥공예 장인으로, 전통 기법을 계승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옥공예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평해 황씨 - 황영시
    황영시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10기 출신 군인으로, 육군참모총장 등 군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감사원장까지 지낸 인물이며, 1980년대 신군부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다.
  • 평해 황씨 - 황병서
    황병서는 1949년생 북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에서 활동하며 김정은 정권 핵심 측근으로, 총정치국장,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등 요직을 역임하고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등 주목받았으나, 숙청설 이후 해임과 복권을 거치며 권력 변동을 겪었다.
  • 한국 요리 연구가 - 이정섭
    이정섭은 양정고와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요리 연구가로, 영화, 드라마, 뮤지컬, 마당놀이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특히 드라마에서의 인상적인 역할과 요리 책 출간을 통해 대중에게 친숙한 인물이다.
  • 한국 요리 연구가 - 백종원
    백종원은 더본코리아 대표이사로 다수의 외식 프랜차이즈를 성공시킨 외식 사업가이자, '백설명'이라는 별명으로 요리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방송인이다.
황혜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밝게 웃는 노년의 황혜성
이름황혜성
원어 이름黃慧性
출생일1920년 7월 5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천안군
사망일2006년 12월 14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직업조선왕조 궁중음식 요리 연구가
대학 교수
작가
저술가
활동 기간1941년 ~ 2006년
배우자한병덕(韓炳悳)
자녀소생 2남 3녀
친척정라나(외손녀)
가족 관계
한복려(궁중 음식 연구가)
한복선(궁중 음식 연구가)
한복진(궁중 음식 연구가)
형제황영성(남동생)

2. 생애

1940년에 외할머니, 1941년에 아버지, 1942년에 어머니를 여읜 황혜성은 열 살 어린 동생과 함께 서울에 있는 작은아버지의 도움으로 돈암동에 이사한다. 1944년 1월 화신백화점 직원 한병덕과 조선신궁에서 혼인하고, 한복려(1947년)를 포함하여 슬하에 1남 4녀를 두었다.

2020년 7월 5일, 황혜성 탄생 100주년을 맞아 구글 두들에 등장했으며, 궁중음식연구원구글 아트 앤드 컬처에서 황혜성을 기념하는 특별 온라인 전시회를 개최하였다.[8]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천안보통학교 입학 직전의 황혜성(앞줄 왼쪽), 외할머니(앞줄 오른쪽), 어머니(뒷줄 왼쪽), 친척언니(뒷줄 오른쪽)
천안보통학교 입학 직전의 황혜성(앞줄 왼쪽), 외할머니(앞줄 오른쪽), 어머니(뒷줄 왼쪽), 친척언니(뒷줄 오른쪽)


지쿠시고녀 재학시절의 황혜성(뒷줄 가장 좌측)
지쿠시고녀 재학시절의 황혜성(뒷줄 가장 좌측)


황혜성은 1920년 충청남도 천안평해 황씨 집안에서 5천석 대지주의 맏딸로 태어났다. 수명이 길어진다는 속설에 따라 여러 명의 수양어머니를 두었는데, 젖을 물리는 젖어미, 업어주는 업은어미, 무당어미, 광덕사의 스님을 까까어미로 총 다섯 명의 어머니를 두었다고 회고한다.[1] 천안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첫 학기에 낙제하기도 했지만 1등으로 졸업했다. 졸업 후 공주공립고등여학교에 진학했으나, 2학년을 마치고 규슈 대학에 다니는 사촌오빠가 집안을 설득해 일본으로 유학, 후쿠오카시 지쿠시 여자고등학교(筑紫高等女学校, 현재의 지쿠시 여학원 중학교・고등학교)를 졸업한다.[1]

이후 교토여자전문학교(京都女子専門学校, 현재의 교토 여자 대학) 가사과에서 일본 음식과 서구식 영양학을 전공한다. 졸업 후 1941년에는 대동고녀로 부임하여 가사교사로서 2학년 담임, 기숙사 사감, 사이클반, 체조반 담당교사도 맡았다. 대동고녀 재직 당시 교감이 조선인 지원병들을 미개하다고 흉보자, 조선인 학생들을 위로하며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계몽을 위해 나아가야 한다고 한 것이 알려져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1]

2. 2. 궁중음식과의 만남

1942년 숙명여전 가사과 조교수로 임명되어 영양학과 조선요리를 가르치게 되었으나, 황혜성은 조선요리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이왕직 촉탁이었던 오다 쇼고의 추천으로 창덕궁 낙선재에 거하던 조선 시대의 마지막 주방상궁인 한희순을 찾아가 궁중음식을 전수받았다.[1]

2. 3. 교육 및 연구 활동

교토여자전문학교(京都女子専門学校, 현재의 교토 여자 대학)에서 일본 음식과 서구식 영양학을 전공하였다. 졸업 후 1941년 대동고녀 가사 교사로 부임하여 2학년 담임, 기숙사 사감, 사이클반, 체조반 담당 교사도 겸임하였다.[1]

1942년 오다 쇼고의 추천으로 숙명여전 가사과 조교수로 임명되어 영양학과 조선 요리를 가르쳤다. 조선 요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던 황혜성은 이왕직 촉탁이었던 오다 쇼고의 추천으로 창덕궁 낙선재에 거주하던 조선 시대 마지막 주방 상궁 한희순에게 궁중 음식을 전수받았다.[1]

6.25전쟁 이후 영등포여고에서 가사실습을 지도하는 모습(왼쪽에서 두번째)이다.


1944년 1월 화신백화점 직원 한병덕과 조선신궁에서 혼인하고, 슬하에 한문규(1945년생), 한복려(1947년생), 한복선(1949년생), 한복진(1952년생), 한용규(1957년생)를 두었다. 한국 전쟁 당시 숙명여전이 부산으로 피란을 가면서 숙명여전 교수를 그만두고 영등포여자고등학교 강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명지대학교를 거쳐 한희순의 거처인 왕십리 근교 한양대학교 가정과 교수로 부임하였다.[1]

석주선의 도움으로 조선 왕조 궁중 음식을 문화재로 등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969년 12월 회의 결과, 1970년부터 조선 왕조 궁중 음식이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다. 1·4 후퇴 때 분실한 궁중 요리 조리법을 복원하고, 규장각의 음식발기와 진연의궤를 발굴하여 한상궁, 제자 이혜경과 함께 궁중 음식을 계량화하고 조리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이조궁정요리통고 (李朝宮廷料理通考)》를 출간하였다.[1]

1971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을 설립, 궁중 요리 전승 및 보급에 기여하였다. 1972년 한희순 별세 후 석주선의 권유로 1973년 기능보유자 자리를 승계하였다.[2]

1962년부터 1978년까지 문화재관리국 식생활 분야 문화재 전문위원을 역임하였다. 미국, 일본, 프랑스, 필리핀, 중화민국 등에서 조선 궁중 음식 전시 및 강습회를 개최하였다. 1973년부터 1986년까지 성균관대학교 가정대 학장을 역임하였다.[3]

2. 4. 궁중음식연구원 설립과 기능보유자 지정

1971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을 설립하여 궁중요리의 전승 및 보급에 기여하였다.[2] 1972년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보유자 한희순이 노환으로 별세하면서 기능보유자가 공석이 되자, 석주선의 권유로 이듬해 기능보유자 자리를 물려받았다.[2]

2. 5. 국제 교류 및 별세

황혜성은 미국, 일본, 프랑스, 필리핀, 대만 등지에서 여러 차례 조선 궁중 음식을 전시하고 강습하였다.[3] 1962년부터 1978년까지 문화재관리국의 식생활 분야 문화재 전문위원을 지냈으며,[3] 1973년부터 1986년까지는 성균관대학교 가정대 학장으로 재직하였다.[3]

2006년 12월 14일 오후 12시 30분 서울의료원에서 노환으로 향년 86세에 별세하였다.[4][5][6][7]

3. 가족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으며, 자녀 모두 어머니와 관련된 일에 종사하고 있다. 장녀 한복려는 궁중음식연구원 원장이자 제3대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보유자이다. 차녀 한복선은 한복선 식문화연구원을 운영하며, 삼녀 한복진전주대학교 문화관광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4. 업적 및 평가

황혜성은 스승 한희순과 함께 한국 궁중 요리를 정리하고, 이를 대중에게 알리는 데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한희순과 공동 집필한 『이조궁정요리통고』는 궁중 음식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이 외에도 다수의 저서와 10권의 한국 궁중 요리 및 전통 음식 전문 출판물을 남기며 한국 전통 음식 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1]

4. 1. 주요 저서

황혜성은 1957년 스승인 한희순과 공동으로 《이조궁정요리통고》를 저술하였고, 이후 10권의 궁중음식 및 전통음식 전문서적과 다수의 논문을 남겼다.[1]

  • 《이조궁정요리통고 (李朝宮廷料理通考)》 (1957년)
  • 《한국요리백과사전》, 《한국의 미각》 (1976년)
  • 《한국의 요리 (韓國의 料理)》 (1982년)
  • 《한국음식》, 《전통의 맛》 (1985년)
  • 《한국의 식(韓國의 食)》 (1987년)
  • 《한국의 전통 음식》 (1989년)
  • 《조선왕조 궁중 음식》 (1993년)
  • 《한국음식 대관-6권 궁중의 식생활》 (1997년)
  • 《우리 음식 백가지》 (1998년)
  • 《궁중음식》
  • 《한국의 미학 (韓國의 味覺)》
  • 《전통의 맛》
  • 《12첩 수라상으로 차린 세월》
  • 《고종24년 진찬의궤 찬물에 대한 분석적 연구》

4. 2. 수상 경력

연도훈장
1985년교육훈장 목련장
1990년문화훈장 보관장


참조

[1] 서적 열두첩 수라상으로 차린 세월 https://www.worldcat[...] 조선일보사 2001
[2] 뉴스 나의 젊음,나의 사랑 궁중음식 기능보유자 황혜성 (6) 한 우물서 퍼올린'맛깔스런 삶'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6-06-22
[3] 웹인용 황혜성(黃慧性)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0-09-30
[4] 뉴스 궁중음식 산증인 황혜성 별세 https://www.ytn.co.k[...] YTN 2006-12-14
[5] 뉴스 우리 궁중음식 산증인 故황혜성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6-12-14
[6] 웹인용 "[삶과추억] 중요무형문화재 황혜성 선생 별세" https://www.joongang[...] 2020-09-30
[7] 웹인용 조선궁중음식 보유자 황혜성씨 별세 http://www.hani.co.k[...] 2020-09-30
[8] 웹인용 구글이 세계에 알렸다, 한국 궁중음식 대가 황혜성 https://www.joongang[...] 2020-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