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헤라클레스의 아들이다. 힐루스는 아버지의 유산을 되찾기 위해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침략하려 했으나, 델포이 신탁에 따라 세 번의 실패를 겪었다. 이후 그의 후손들이 여러 번의 시도 끝에 펠로폰네소스를 정복하여 도리아인의 지배자가 되었다. 힐루스와 관련된 이야기는 그리스 비극 작가들에 의해 확장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정복은 헤라클레스 후손의 유산 회복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라클레스 가 - 아리스토데모스
아리스토데모스는 헤라클레스의 후손으로 도리스인의 침입과 스파르타 건국에 관련된 그리스 신화 및 역사 속 인물이며, 스파르타의 왕가와 마케도니아 왕가, 헤라클레이다이 가문의 계보에 등장하여 아기아스 왕조와 에우리폰티드 왕조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헤라클레스 가 - 헤라클레이다이
헤라클레이다이는 그리스 신화 영웅 헤라클레스의 후손으로, 도리스인과 함께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침공하여 스파르타, 코린토스, 아르고스, 마케도니아 등지에 왕조를 세우고 세력을 확장했으며,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작품에도 등장한다. - 그리스 신화의 인물 - 오리온
오리온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냥꾼으로, 뛰어난 사냥 실력, 연인들과의 갈등, 비극적인 죽음, 그리고 별자리로의 변신을 묘사하며, 다양한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 그리스 신화의 인물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힐로스 | |
---|---|
인물 정보 | |
![]() | |
그리스어 | Ὕλλος 또는 Ὕλᾱς |
로마자 표기 | Hýllos 또는 Hýlās |
관련 인물 | 헤라클레스 |
가계 | |
아버지 | 테오다마스 |
어머니 | 메노데케 |
형제자매 | 데오네이라 |
신화 속 역할 | |
주요 사건 | 아르고나우타이 원정 참여 님프에게 납치 |
추가 정보 | |
참고 | 아이기미우스 왕은 힐로스를 자신의 아들 팜필로스와 디마스와 함께 양자로 삼았음 힐로스는 헤라클레스의 아들임 |
2. 헤라클레스의 후손들과 추방
제우스가 헤라클레스를 아르고스, 라케다이몬, 메세니아 필로스의 지배자로 삼으려 했으나, 헤라의 계략으로 미케네 왕 에우리스테우스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헤라클레스 사후, 그의 자손들은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박해받고 추방당했다.
힐루스와 그의 형제들은 펠로폰네소스를 침략했지만, 1년 동안 머물다가 역병으로 인해 테살리아로 물러났다. 그곳에서 헤라클레스가 도왔던 도리아인의 신화적 조상 아이기미우스가 힐루스를 양자로 삼고 영토의 3분의 1을 주었다. 아이기미우스 사후, 그의 아들들(팜필루스와 디마스)은 힐루스에게 복종했고, 힐루스는 도리아인의 지배자가 되었다. 힐루스는 델포이 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세 번째 열매"를 기다린 다음 "좁은 바닷길"로 펠로폰네소스에 들어가라는 말을 들었다.
3년 후, 힐루스는 코린토스 지협을 건너 에우리스테우스의 후계자인 아트레우스를 공격했지만, 테게아 왕 에케무스와의 결투에서 사망했다. 이후 힐루스의 아들 클레오다이우스와 손자 아리스토마쿠스가 각각 펠로폰네소스 침략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2. 1. 헤라클레스와 데이아네이라
헤라클레스와 데이아네이라의 아들 힐로스는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이올레와 결혼하여 아들 클레오다이우스와 세 딸 에바에크메, 아리스테크메, 힐리스를 낳았다.[3][4][5]힐로스는 부모가 사망한 후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박해받았다. 에우리스테우스는 헤라클레스의 직계 아들인 힐로스가 자신의 왕위를 빼앗을 것을 두려워했다. 힐로스는 처음에는 트라키스의 케이쿠스 왕에게 의탁했지만, 에우리스테우스의 협박으로 나라를 떠나 아테네의 마라톤에 있는 제우스 신전으로 도망쳤다. 당시 아테네 왕 데모폰은 그들을 버리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에우리스테우스가 이끄는 미케네 군과 맞섰다.
힐로스 군은 "페르세포네에게 유서 깊은 가문의 딸을 제물로 바치면" 승리할 수 있다는 신탁을 듣고, 헤라클레스의 딸 마카리아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늙은 이올라오스는 하늘의 헤라클레스와 그의 아내 헤베에게 기도하자 하늘에서 두 개의 별이 내려와 검은 구름이 그를 감쌌다. 검은 구름에 휩싸인 이올라오스는 순식간에 젊어져 옛 힘을 되찾았다. 젊어진 이올라오스는 적장을 격파하고 에우리스테우스를 궁지에 몰아넣은 후, 스케이론의 바위 곁에서 에우리스테우스를 붙잡아 알크메네에게 처형하도록 했다.[7]
2. 2. 에우리스테우스의 박해
헤라의 계략으로 헤라클레스의 소유가 미케네의 왕 에우리스테우스의 손에 들어갔다.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그의 자녀들은 에우리스테우스에게서 벗어나 아테네로 피신했다. 에우리스테우스는 그들의 인도를 요구했지만 거절당했고, 아테네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살해당했다.[3]힐로스는 헤라클레스와 데이아네이라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부모가 사망한 후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박해를 받았다. 에우리스테우스는 헤라클레스의 직계 아들인 힐로스에 의해 자신의 왕위가 빼앗길 것을 두려워했다. 힐로스는 처음에는 트라키스의 케이쿠스 왕에게 몸을 의탁했지만, 에우리스테우스의 협박으로 나라를 떠나 결국 아테네의 마라톤에 있는 제우스 신전으로 도망쳤다. 당시 아테네 왕이었던 데모폰은 그들을 버리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에우리스테우스가 이끄는 미케네 군과 전면 대결을 펼치게 되었다.
힐로스 군은 "페르세포네에게 유서 깊은 가문의 딸을 제물로 바치면" 승리할 수 있다는 신탁을 듣고, 헤라클레스의 딸 마카리아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늙은 이올라오스는 하늘에 있는 헤라클레스와 그의 아내 헤베에게 기도를 올리자 하늘에서 두 개의 별이 내려와 검은 구름이 그의 주위를 감쌌다. 검은 구름에 휩싸인 이올라오스는 순식간에 젊어져 옛 힘을 되찾았다. 젊어진 이올라오스는 그 무용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적장을 격파하고 에우리스테우스를 궁지에 몰아넣은 후, 스케이론의 바위 곁에서 에우리스테우스를 붙잡았다. 에우리스테우스는 알크메네에 의해 처형되었다.[7]
2. 3. 아테네로의 피신
헤라의 계략으로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미케네 왕위를 빼앗긴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그의 자녀들은 방황 끝에 에우리스테우스로부터 아테네로 피신했다. 에우리스테우스는 아테네에 헤라클레스 자녀들의 인도를 요구했지만 거절당했고, 이에 아테네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당시 아테네 왕이었던 데모폰은 헤라클레스의 자손들을 보호했다. 헤라클레스의 딸 마카리아는 "페르세포네에게 유서 깊은 가문의 딸을 제물로 바치면" 승리할 수 있다는 신탁에 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7] 늙은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와 헤베에게 기도하여 젊음과 힘을 되찾고, 에우리스테우스를 사로잡아 알크메네에게 처형당하게 했다.[7]3.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 시도
헤라클레스는 원래 제우스가 아르고스, 라케다이몬, 메세니아 필로스의 지배자로 삼으려 했으나, 헤라의 계략으로 인해 그의 소유는 미케네의 왕 에우리스테우스의 손에 들어갔다.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그의 자녀들은 방황 끝에 에우리스테우스로부터 아테네로 피신했다. 에우리스테우스는 아테네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힐로스와 그의 형제들은 테살리아로 물러났고, 도리아인의 신화적 조상 아이기미우스가 힐루스를 양자로 삼아 그의 영토의 3분의 1을 넘겨주었다. 아이기미우스가 죽은 후, 그의 두 아들 팜필루스와 디마스는 자발적으로 힐루스에게 복종했고, 힐루스는 이렇게 도리아인의 지배자가 되었다. 힐루스는 자신의 아버지의 유산을 되찾고 싶어 델포이 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그곳에서 "세 번째 열매"를 기다린 다음 "좁은 바닷길"로 펠로폰네소스에 들어가라는 말을 들었다.
힐로스는 코린토스의 지협을 건너 아트레우스를 공격하기 위해 갔지만, 테게아의 왕 에케무스와의 일대일 결투에서 죽었다. 이후 그의 아들 클레오다이오스와 그의 손자 아리스토마코스도 펠로폰네소스 귀환을 시도하였지만 모두 실패했다.
마침내 아리스토마코스의 아들 테메누스, 크레스폰테스 및 아리스토데무스는 신탁에 불평을 했고, 그들은 "세 번째 열매"는 "세 번째 세대"를 의미하고, "좁은 통로"는 코린토스의 지협이 아니라 리움 해협을 의미한다는 답을 받았다.
그들은 이에 따라 나우팍투스에 함대를 건조했지만, 출항하기 전에 여러 사건이 발생했다. 아리스토데무스는 번개에 맞아 죽었고, 함대가 파괴되기도 했다. 테메누스가 다시 신탁에 조언을 구하자, 그는 속죄 제물을 바치고 살인자를 10년 동안 추방하며, 안내자로 세 개의 눈을 가진 사람을 찾아보라는 지시를 받았다. 나우팍투스로 돌아가는 길에 테메누스는 한쪽 눈을 잃은 아이톨리아인 옥실루스를 만나 그를 등용했다.
헤라클레이다이는 배를 수리하고, 나우팍투스에서 안티리움으로 항해했고, 그 후 펠로폰네소스의 리움으로 향했다. 티사메누스와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고, 티사메누스는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헤라클레이다이는 이렇게 펠로폰네소스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고, 제비뽑기로 영토를 분배했다. 아르고스는 테메누스에게, 라케다이몬은 아리스토데무스의 쌍둥이 아들 프로클레스와 에우리스테네스에게, 메세네는 크레스폰테스에게 돌아갔다. 엘리스는 옥실루스를 위해 남겨졌다.
헤라클레이다이는 기원전 221년까지 라케다이몬에서 통치했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훨씬 더 일찍 사라졌다. 일반적으로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이라고 불리는 도리아인에 의한 펠로폰네소스 정복은 헤라클레스의 후손이 그들의 영웅 조상과 그의 아들들의 정당한 유산을 되찾은 것으로 묘사된다.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에는 이 헤라클레이다이 또는 그들의 침략에 대한 언급이 없다. 헤로도토스(vi. 52)는 그들의 업적을 기린 시인들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이것은 헤라클레스의 죽음 직후의 사건으로 제한되었다.
3. 1. 힐로스의 펠로폰네소스 침공과 실패
힐로스는 펠로폰네소스를 침략했으나 1년 동안 머물다가 역병으로 인해 물러나야 했다. 그는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침공하여 그 영토를 손에 넣으려 했다. 그러나 각지에서 역병이 발생했고, 신탁을 통해 알아본 결과, 정해진 운명보다 일찍 펠로폰네소스로 돌아온 것이 원인임을 알게 되었다. 힐로스는 어쩔 수 없이 펠로폰네소스에서 철수하여 마라톤으로 돌아갔다.[7]3. 2. 델포이 신탁과 "세 번째 수확"
힐로스는 델포이에서 "세 번의 수확 후에 귀환해야 한다"는 신탁을 받았다.[13] 힐로스는 이를 "3년 후"로 해석하고 3년 뒤 군대를 이끌고 다시 펠로폰네소스로 쳐들어갔다.[13] 당시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다스리던 왕은 오레스테스[14] 또는 그의 아들 티사메노스였다.[13] 펠로폰네소스 군대는 코린토스 지협에서 힐로스의 군대와 대치했다.[15][16] 힐로스는 전쟁 대신 일기토를 제안하며, 자신이 이기면 헤라클레이다이가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돌아와 선조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지만, 지면 100년간 돌아오지 않겠다고 약속했다.[17] 펠로폰네소스 측은 이를 받아들였고, 테게아 왕 에케무스가 힐로스와 일기토를 벌여 그를 죽였다.[14][16][17][18] 힐로스의 유해는 메가라 지역에 묻혔다.[14]3. 3. 클레오다이오스와 아리스토마코스의 시도
힐로스의 아들 클레오다이오스와 그의 손자 아리스토마코스도 펠로폰네소스로 돌아가기 위해 각각 세 번째와 네 번째 시도를 했지만, 모두 성공하지 못했다.4. 펠로폰네소스 정복
헤라클레스의 아들 힐루스는 아버지의 유산인 펠로폰네소스를 되찾기 위해 여러 차례 원정을 시도했지만, 델포이 신탁의 지시를 잘못 해석하여 실패했다. 힐루스는 코린토스 지협을 건너 테게아의 왕 에케무스와의 일대일 결투에서 죽었고, 그의 아들 클레오다이우스와 손자 아리스토마쿠스의 시도 역시 실패했다.
이후 아리스토마쿠스의 아들들인 테메누스, 크레스폰테스, 아리스토데무스 형제가 신탁을 재해석하고 옥실루스의 도움을 받아 펠로폰네소스 정복에 성공했다.
4. 1. 신탁의 재해석과 옥실루스의 합류
테메누스, 크레스폰테스, 아리스토데무스 형제는 델포이 신탁의 지시에 따라 펠로폰네소스를 침공하려 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그들은 신탁에 불만을 토로했고, "세 번째 열매"는 "세 번째 세대"를, "좁은 통로"는 코린토스 지협이 아닌 리움 해협을 의미한다는 새로운 해석을 받았다.이에 따라 나우팍투스에 함대를 건조했지만, 출항 전 아리스토데무스가 번개에 맞아 죽고 함대도 파괴되는 불운을 겪었다. 테메누스는 다시 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속죄 제물을 바치고 살인자를 추방하며, 세 개의 눈을 가진 사람을 안내자로 찾으라는 지시를 받았다.
나우팍투스로 돌아가던 테메누스는 한쪽 눈을 잃은 말(또는 노새)을 탄 아이톨리아인 옥실루스를 만났고, 그가 세 개의 눈을 가졌다고 여겨 안내자로 삼았다. 옥실루스의 도움으로 헤라클레이다이는 배를 수리하고 안티리움을 거쳐 펠로폰네소스의 리움으로 항해했다. 그들은 오레스테스의 아들 티사메누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펠로폰네소스를 차지했다.
아르고스는 테메누스, 라케다이몬은 아리스토데무스의 쌍둥이 아들 프로클레스와 에우리스테네스, 메세네는 크레스폰테스에게 돌아갔고, 엘리스는 옥실루스의 차지가 되었다.
4. 2. 티사메누스와의 전투
헤라클레이다이는 배를 수리하고, 나우팍투스에서 안티리움으로 항해한 후, 펠로폰네소스의 리움으로 향했다. 오레스테스의 아들 티사메누스가 이끄는 군대와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고, 티사메누스는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이로써 헤라클레이다이는 펠로폰네소스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었다.4. 3. 펠로폰네소스 분할 통치
헤라클레이다이는 펠로폰네소스를 제비뽑기로 분배하여 통치하였다. 아르고스는 테메누스에게 돌아갔고, 라케다이몬은 아리스토데무스의 쌍둥이 아들 프로클레스와 에우리스테네스에게 돌아갔다. 메세네는 크레스폰테스에게 돌아갔으며, 비옥한 지역인 엘리스는 옥실루스를 위해 남겨졌다.5.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과 도리아인의 침입
헤라클레스는 제우스가 아르고스, 라케다이몬, 메세니아 필로스의 지배자로 삼으려 했으나, 헤라의 계략으로 미케네 왕 에우리스테우스에게 권한이 넘어갔다. 헤라클레스 사후, 그의 자녀들은 아테네로 피신했고, 에우리스테우스는 아테네를 공격하다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힐루스와 형제들은 펠로폰네소스를 침략했으나 1년 후 역병으로 물러났다. 이후 테살리아에서 도리아인의 시조 아이기미우스에게 의탁하여 양자가 되었다. 힐루스는 도리아인의 지배자가 되었고, 도리아 부족은 세 영웅의 이름을 따 세 분파로 나뉘었다. 힐루스는 델포이 신탁에서 "세 번째 열매"와 "좁은 바닷길"에 대한 신탁을 받았다.
3년 후, 힐루스는 코린토스 지협을 건너 아트레우스를 공격하다 테게아 왕 에케무스와의 결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과 손자도 펠로폰네소스 침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아리스토마쿠스의 아들들인 테메누스, 크레스폰테스, 아리스토데무스는 신탁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세 번째 열매"는 "세 번째 세대", "좁은 통로"는 리움 해협임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나우팍투스에서 함대를 건조했으나, 출항 전 아리스토데무스가 벼락으로 사망하고 함대도 파괴되었다. 테메누스는 다시 신탁을 받고, 속죄 제물과 살인자 추방, 세 개의 눈을 가진 안내자를 찾으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는 나우팍투스로 돌아가던 중 한쪽 눈을 잃은 옥실루스를 만나 그를 등용했다.
헤라클레이다이는 배를 수리하여 나우팍투스에서 안티리움을 거쳐 펠로폰네소스의 리움으로 향했다. 오레스테스의 아들 티사메누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펠로폰네소스를 장악하고, 영토를 분배했다. 아르고스는 테메누스, 라케다이몬은 아리스토데무스의 쌍둥이 아들, 메세네는 크레스폰테스, 엘리스는 옥실루스의 차지가 되었다.
5. 1. 역사적 배경과의 연관성
일반적으로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이라고 불리는 도리아인의 펠로폰네소스 정복은 헤라클레스의 후손이 그들의 영웅 조상과 그의 아들들의 정당한 유산을 되찾은 것으로 묘사된다. 도리아인들은 다른 그리스 부족의 관습에 따라 지배 가문을 위한 조상으로 전설적인 영웅 중 한 명을 주장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전통을 완전히 신화적인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이 이야기는 테살리아인들의 압력으로 인해 원래 북부 고향에서 남쪽으로 몰려난 아이톨리아인과 도리아인의 공동 펠로폰네소스 침략을 나타낸다.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에는 이 헤라클레이다이나 그들의 침략에 대한 언급이 없다. 헤로도토스(vi. 52)는 그들의 업적을 기린 시인들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이것은 헤라클레스의 죽음 직후의 사건으로 제한되었다. 이 이야기는 아마도 아테네가 펠로폰네소스의 통치자에게 제공한 봉사를 찬양한 지역 전설에서 영감을 얻은 그리스 비극 작가들에 의해 처음으로 확장되었을 것이다.
5. 2. 신화와 역사의 경계
헤라클레스는 원래 제우스가 아르고스, 라케다이몬, 메세니아 필로스를 지배하려 했으나, 헤라의 계략으로 미케네의 왕 에우리스테우스에게 그 권한이 넘어갔다. 헤라클레스 사후, 그의 자녀들은 아테네로 피신했으나 에우리스테우스는 아테네를 공격하다 패배하고 살해당했다.힐로스와 그의 형제들은 펠로폰네소스를 침략했지만, 1년 후 역병으로 물러났다. 그들은 테살리아로 이동, 도리아인의 시조 아이기미우스에게 의탁하여 양자가 되었다. 힐루스는 도리아인의 지배자가 되었고, 도리아 부족은 세 영웅의 이름을 따서 세 분파로 나뉘었다. 힐루스는 델포이 신탁에서 "세 번째 열매"와 "좁은 바닷길"에 대한 신탁을 받았다.
3년 후, 힐루스는 코린토스 지협을 건너 아트레우스를 공격하다 테게아 왕 에케무스와의 결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아들과 손자도 펠로폰네소스 침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아리스토마쿠스의 아들들인 테메누스, 크레스폰테스, 아리스토데무스는 신탁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세 번째 열매"는 "세 번째 세대", "좁은 통로"는 리움 해협임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나우팍투스에서 함대를 건조했으나, 출항 전 아리스토데무스가 벼락으로 사망하고 함대도 파괴되었다. 테메누스는 다시 신탁을 받고, 속죄 제물과 살인자 추방, 세 개의 눈을 가진 안내자를 찾으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는 나우팍투스로 돌아가던 중 한쪽 눈을 잃은 옥실루스를 만나 그를 등용했다.
헤라클레이다이는 배를 수리하여 나우팍투스에서 안티리움을 거쳐 펠로폰네소스의 리움으로 향했다. 오레스테스의 아들 티사메누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펠로폰네소스를 장악하고, 영토를 분배했다. 아르고스는 테메누스, 라케다이몬은 아리스토데무스의 쌍둥이 아들, 메세네는 크레스폰테스, 엘리스는 옥실루스의 차지가 되었다.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은 도리아인의 펠로폰네소스 정복 사건으로, 헤라클레스 후손들의 유산 회복으로 묘사된다. 이는 테살리아인에게 밀려 남하한 아이톨리아인과 도리아인의 공동 침략을 나타내는 역사적 사건일 가능성이 있다.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에는 이 사건에 대한 언급이 없다. 헤로도토스는 헤라클레스 사후 사건을 언급한 시인들을 언급하지만, 이 이야기는 아테네의 역할을 찬양한 지역 전설에서 비롯되어 그리스 비극 작가들에 의해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6. 헤라클레이다이 관련 전승
헤라클레스는 제우스가 아르고스, 라케다이몬, 메세니아 필로스를 지배하도록 계획했지만, 헤라의 계략으로 미케네 왕 에우리스테우스가 이 지역들을 차지하게 되었다. 헤라클레스 사후, 그의 자녀들은 에우리스테우스에게 쫓겨 아테네로 피신했다. 에우리스테우스는 아테네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살해당했다.
힐로스와 그의 형제들은 펠로폰네소스를 침략했지만, 1년 후 역병으로 인해 테살리아로 물러났다. 그곳에서 힐로스는 도리아인의 시조 아이기미우스의 양자가 되어 영토의 3분의 1을 받았다. 힐로스는 델포이 신탁에서 "세 번째 열매"와 "좁은 바닷길"에 대한 조언을 듣고 펠로폰네소스 침공을 시도했다.
3년 후, 힐로스는 코린토스 지협을 건너 아트레우스를 공격했으나, 테게아 왕 에케무스와의 결투에서 사망했다. 이후 힐로스의 아들 클레오다이우스와 손자 아리스토마쿠스가 침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아리스토마쿠스의 아들들인 테메누스, 크레스폰테스, 아리스토데무스는 신탁의 의미를 오해하여 침공에 실패했다. 그들은 "세 번째 열매"가 "세 번째 세대"를, "좁은 통로"가 리움 해협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우팍투스에서 함대를 건조하던 중 아리스토데무스가 죽고 함대가 파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테메누스는 다시 신탁의 조언을 받아 한쪽 눈을 잃은 옥실루스를 안내자로 삼았다. 헤라클레이다이는 배를 수리하고 안티리움을 거쳐 펠로폰네소스의 리움으로 향했다. 그들은 티사메누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펠로폰네소스를 차지했다. 아르고스는 테메누스, 라케다이몬은 아리스토데무스의 쌍둥이 아들, 메세네는 크레스폰테스, 엘리스는 옥실루스에게 돌아갔다.
헤라클레이다이는 기원전 221년까지 라케다이몬을 통치했다.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은 헤라클레스 후손이 유산을 되찾은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테살리아인들에게 밀려 남쪽으로 이동한 아이톨리아인과 도리아인의 공동 침략을 나타낸다.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는 헤라클레이다이나 그들의 침략을 언급하지 않았다. 헤로도토스(vi. 52)는 관련 시인들을 언급했지만, 내용은 헤라클레스 사후 사건으로 제한되었다. 이 이야기는 그리스 비극 작가들에 의해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6. 1. 문학 작품 속 헤라클레이다이
헤라클레스의 사후, 그의 자녀들은 미케네 왕 에우리스테우스에게 쫓겨 아테네로 피신했다. 아테네는 에우리스테우스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물리치고 에우리스테우스를 죽였다. 이 이야기는 아테네의 비극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헤라클레이다이 이야기를 소재로 한 작품들을 창작하게 했다. 이들 작품은 아테네가 펠로폰네소스의 통치자에게 제공한 지원을 찬양하는 지역 전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헤라클레스의 딸 마카리아가 헤라클레이다이 군의 승리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이야기는 감동을 자아낸다.6. 2. 다양한 전승과 해석
헤라클레스는 제우스가 아르고스, 라케다이몬, 메세니아 필로스의 지배자로 삼으려 했으나, 헤라의 계략으로 인해 미케네의 왕 에우리스테우스에게 소유권이 넘어갔다. 헤라클레스 사후, 그의 자녀들은 방황 끝에 에우리스테우스로부터 아테네로 피신했다. 에우리스테우스는 아테네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살해당했다.힐로스와 그의 형제들은 펠로폰네소스를 침략했으나 1년 동안 머물다가 역병으로 인해 테살리아로 물러났다. 그곳에서 헤라클레스가 전쟁에서 도왔던 도리아인의 신화적 조상 아이기미우스가 힐로스를 양자로 삼아 영토의 3분의 1을 넘겨주었다. 아이기미우스 사후, 그의 두 아들 팜필루스와 디마스는 힐로스에게 복종했고, 힐로스는 도리아인의 지배자가 되었다. 힐로스는 델포이 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세 번째 열매"를 기다린 다음 "좁은 바닷길"로 펠로폰네소스에 들어가라는 말을 들었다.
3년 후, 힐로스는 코린토스 지협을 건너 아트레우스를 공격했지만, 테게아의 왕 에케무스와의 결투에서 죽었다. 이후 그의 아들 클레오다이우스와 손자 아리스토마쿠스가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아리스토마쿠스의 아들 테메누스, 크레스폰테스, 아리스토데무스는 신탁의 지시가 잘못되었다고 불평했고, "세 번째 열매"는 "세 번째 세대", "좁은 통로"는 리움 해협을 의미한다는 답을 받았다.
그들은 나우팍투스에 함대를 건조했지만, 아리스토데무스가 번개에 맞아 죽고, 함대가 파괴되었다. 테메누스는 다시 신탁에 조언을 구했고, 속죄 제물을 바치고 살인자를 추방하며, 세 개의 눈을 가진 사람을 안내자로 찾으라는 지시를 받았다. 테메누스는 한쪽 눈을 잃은 옥실루스를 만나 그를 등용했다. 헤라클레이다이는 배를 수리하고, 나우팍투스에서 안티리움을 거쳐 펠로폰네소스의 리움으로 향했다. 티사메누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펠로폰네소스를 차지했다. 아르고스는 테메누스, 라케다이몬은 아리스토데무스의 쌍둥이 아들, 메세네는 크레스폰테스, 엘리스는 옥실루스에게 돌아갔다.
헤라클레이다이는 기원전 221년까지 라케다이몬에서 통치했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더 일찍 사라졌다. "헤라클레이다이의 귀환"은 헤라클레스 후손이 정당한 유산을 되찾은 것으로 묘사된다. 도리아인들은 지배 가문을 위한 조상으로 전설적인 영웅을 주장했지만, 전통을 완전히 신화적인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이는 테살리아인들의 압력으로 남쪽으로 몰려난 아이톨리아인과 도리아인의 공동 침략을 나타낸다.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에는 헤라클레이다이나 그들의 침략에 대한 언급이 없다. 헤로도토스(vi. 52)는 그들의 업적을 기린 시인들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헤라클레스의 죽음 직후의 사건으로 제한되었다. 이 이야기는 아테네가 펠로폰네소스 통치자에게 제공한 봉사를 찬양한 지역 전설에서 영감을 얻은 그리스 비극 작가들에 의해 확장되었을 것이다.
헤라클레스가 데이아네이라에게 독살된 후, 힐루스에게 성년이 되면 이올레와 결혼하라고 명령했다.[3] 힐로스와 이올레는 아들 클레오다이우스와[4] 세 딸 에바에크메, 아리스테크메, 힐리스를 낳았다.[5]
힐로스는 헤라클레스와 데이아네이라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부모 사후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박해받았다. 힐로스는 트라키스의 케이쿠스 왕에게 의탁했지만, 에우리스테우스의 협박으로 나라를 떠나 아테네의 마라톤에 있는 제우스 신전으로 도망쳤다. 데모폰은 그들을 돕기로 약속하고, 에우리스테우스가 이끄는 미케네 군과 대결했다.
힐로스 군은 페르세포네에게 가문의 딸을 제물로 바치면 승리한다는 신탁을 듣고, 헤라클레스의 딸 마카리아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올라오스는 헤라클레스와 헤베에게 기도했고, 하늘에서 두 개의 별이 내려와 검은 구름이 그를 감쌌다. 이올라오스는 젊어져 에우리스테우스를 붙잡았고, 에우리스테우스는 알크메네에 의해 처형되었다.[7]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리디아의 테메노튀라이에서[19], 가이아의 아들 힐로스의 유골이 발견되었는데,[20] 그 크기는 보통 사람의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크리사오르의 아들 게리온의 뼈라는 소문이 돌았다.[19] 같은 지역에는 가이아의 아들 힐로스의 이름을 딴 강이 있었고, 헤라클레스는 옴팔레를 섬길 때 이 강을 알고 아들에게 힐로스라고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한다.[20] 필로스트라토스는 프리기아에서 헤라클레스의 아들 힐로스의 뼈를 구경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21]
7. 족보
Zeus | Deianeira | Polyneices | Argeia | ||||
---|---|---|---|---|---|---|---|
Iole | Hyllus | Ctesippus | 그레노스 | 오네테스 | Makaria | Thersander | 데모나사 |
Cleodaius | 아리스타이크메 | 에우아이크메 | 트라슈아노르 | Tisamenus | |||
Aristomachus | 레오나사 | Antimachus | Autesion | ||||
Temenus | Cresphontes | Aristodemus | Argeia | Theras | |||
Ceisus | Caranus | Hyrnetho | Deiphontes | Aepytus | Procles | Eurysthenes | |
메돈 | 글라우코스 | 소스 | Agis |
헤라클레스는 데이아네이라가 독살한 후, 휠로스에게 성년이 되면 이올레와 결혼하라고 명령했다.[3] 휠로스와 이올레 사이에는 아들 클레오다이우스와[4] 세 딸 에바에크메, 아리스테크메, 힐리스가 있었다.[5]
참조
[1]
기타
Hyllus (2)
https://www.perseus.[...]
[1]
서적
Catalogue of Women
https://www.loebclas[...]
[2]
서적
A History of the Archaic Greek world : ca. 1200-479 BCE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4
[3]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4]
웹사이트
The Histories, Book 6, chapter 52
https://www.perseus.[...]
2018-08-31
[5]
웹사이트
Deborah Lyons: GENDER AND IMMORTALITY -- APPENDIX: A Catalogue of Heroines
https://web.archive.[...]
2018-08-31
[6]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7・8。
[7]
문서
エウリーピデース『ヘーラクレースの子供たち』。
[8]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巻32・6。
[9]
문서
ヘーロドトス、6巻52。
[10]
문서
ヘーロドトス、7巻204。
[11]
문서
ヘーロドトス、8巻131。
[12]
문서
パウサニアース、3巻15・10。
[13]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8・2。
[14]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巻41・2。
[15]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巻44・10。
[16]
문서
パウサニアース、8巻5・1。
[17]
문서
ヘーロドトス、9巻26。
[18]
문서
パウサニアース、8巻45・3。
[19]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巻35・7。
[20]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巻35・8。
[21]
문서
ピロストラトス『ヘーローイコス』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