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수도권의 광역 교통망 개선을 위해 건설 중인 급행 철도 시스템이다. 교류 25000V를 사용하며, 설계 최고 속도 200km/h, 운영 최고 속도 180km/h, 표정 속도 100km/h로 운행된다. 현재 A, B, C 3개의 노선이 추진 중이며, A노선은 수서-동탄 구간이 2024년 3월 30일에 부분 개통되었고, B노선과 C노선도 건설이 진행 중이다. GTX는 빠른 속도로 도시 간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역 간 거리가 멀고 환승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수도권 집중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은 덕정에서 수원을 잇는 총 74.2km의 광역 급행철도로, 2016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3년 착공하여 2028년 삼성역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은 수도권 광역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운정역에서 동탄역을 잇는 83.1km 구간으로, 일부 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과 선로를 공유하고 SG레일이 관리 운영하며, 2024년 수서-동탄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6년에는 삼성-운정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 1기 지하철
    1기 지하철은 1970년대 서울의 인구 증가와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계획, 건설된 지하철 1, 2, 3, 4호선으로, 특히 2호선은 순환선 형태로 건설되어 강남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수도권 전철 - 서울 경전철
    서울 경전철은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시스템으로, 1993년 계획 수립 이후 여러 차례의 계획 수정과 노선 확정을 거쳐 우이신설선, 신림선 등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 (Great Train eXpress)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도
개요
국가대한민국
종류광역 철도
운영 기관A선: SG레일
B선: 미정
C선: 미정
D선: 미정
E선: 미정
F선: 미정
차량 종류전동차
운행
노선 수6개 노선 (계획 포함)
노선A선
B선
C선
D선
E선
F선
개통일2024년 3월 30일 (A선 일부 구간)
운행 거리A선: 82.3km
B선: 82.8km (계획)
C선: 86.46km (계획)
D선: 68.1km (계획)
E선: 71.6km (계획)
F선: 93km (계획)
최고 속도180km/h (설계 최고 속도)
노선 색상A선: ● 노란색
B선: ● 하늘색
C선: ● 진한 파란색
D선: ● 미정
E선: ● 미정
F선: ● 미정
기술
신호 방식CBTC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
궤간1,435mm (표준궤)
전철화 방식교류 25,000V, 60Hz 가공 전차선 방식
기타 정보
다른 이름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영문 명칭Great Train eXpress
약칭GTX

2. 운영 및 요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교류 25000V를 사용하며, 복선 선로로 운영된다. 차량은 8량 1편성으로 구성된다. 설계 최고 속도는 200km/h이며, 운영 최고 속도는 180km/h, 표정 속도는 100km/h이다.

요금은 경기도 안과 한국교통연구원 안이 제안되었는데, 경기도 안은 3,000원 단일 요금제를, 한국교통연구원 안은 10km 기본요금 1,800원에 1km당 40원을 추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3. 노선



해당 노선은 2017년 3월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로 먼저 착공됐으며, 나머지 파주~삼성 구간은 2018년 3월 착공됐다. 연신내역부터 신분당선과 노선을 공유하여 신분당선을 연장시키는 계획이 있으며 삼성역부턴 수서평택고속선을 공용한다. 2024년 3월 30일 수서~동탄구성역 구간이 부분 개통됐다.

본 노선은 2017년 9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했으며, 2019년 8월 21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경춘선 망우~마석 구간을 공용하여 노선을 남양주까지 연장했다. 마석역부터 청량리역까지는 기존의 경춘선중앙선을 공유한다.

본 노선은 2016년 1월부터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여 2018년 12월에 B/C값이 1.36을 기록해 사업 추진이 확정됐다. 이르면 2021년 말 공사에 착수하여 2026년 개통될 예정이었다. 소요시간은 수원~양재 18분, 수원~삼성 22분, 의정부~삼성 16분, 덕정~삼성 23분으로 표정속도는 100km/h 수준으로 예상되었다. 개통시 수도권 동북부 및 남부지역 광역교통 여건을 크게 개선할 것이 예상된다.[17] 2023년 12월 28일 착공했다.

서부권 급행철도를 계승해 김포·인천원당역(가칭)·계양역을 경유해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을 공유해 오류동역을 지나 서울역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추진중이다.

인천공항2터미널역,가정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광운대역을 지나 경의·중앙선과 선로를 공유해 덕소까지 가는 노선으로 추진 중이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선로를 공용해 대곡역에서 가칭 시흥시청역까지 간 후 초지역을 거쳐 야목역에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선로를 공용해 복정역까지 간다. 그리고 교산신도시와 탑석역, 의정부역을 지나 대곡역으로 돌아오는 순환선계획하고 있다.

3. 1. A노선 (GTX-A)

2017년 7월 7일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으며, 추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15]

노선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환승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신설X101운정중앙Unjeong Jungang雲井中央경기도파주시
X102킨텍스KINTEX킨텍스고양시
X103대곡Daegok大谷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X104창릉Changneung昌陵
X105연신내Yeonsinnae연신내3호선
6호선
서울특별시은평구
X106서울Seoul서울驛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KTX
중구
X107삼성Samseong三成2호선강남구
X108수서Suseo水西3호선
분당선
SRT
5.248.3
수서평택고속선 공유X109성남Seongnam城南경강선10.759.0경기도성남시
X110구성Guseong駒城분당선11.070.0용인시
X111동탄Dongtan東灘SRT11.181.1화성시


3. 1. 1. 역 목록 (A노선)

2017년 7월 7일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으며, 추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15]

노선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환승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역 좌표
신설X101운정중앙Unjeong Jungang雲井中央style="text-align: left;" |경기도파주시
X102킨텍스KINTEXstyle="text-align: left;" |고양시
X103대곡Daegok大谷|■}} SRT0.30.3
수서평택고속선 공유X109성남Seongnam城南|■}} SRT11.233.1화성시



GTX-A 열차


GTX-A 열차 내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의 기공식은 2018년 12월 27일에 열렸으며, 초기에는 2023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었다.[3] 그러나 토지 보상 문제와 조선 시대의 고고학적 유적 발견으로 인해 공식적으로 사업이 지연되었다.[4] 수서, 성남, 동탄역은 2024년 3월 30일에 개통되었으며, 구성역은 2024년 6월 29일에 개통되었다.[5][6] 노선의 북부 구간은 2024년 말에 개통될 예정이며, 서울역수서역을 연결하는 구간은 2026년 말에 개통될 예정이다.[7] 삼성역은 추가로 지연되어 GTX-A의 나머지 구간이 개통된 후인 2028년에 개통될 예정이다.[8] 노선 약 30km 구간은 SRT와 동일한 선로를 공유할 예정이며, 노선의 서쪽 끝으로 9km 구간은 완전 지하 구간으로 건설될 예정이다.[9]

3. 2. B노선 (GTX-B)

본 노선은 2017년 9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했으며, 2019년 8월 21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경춘선 망우~마석 구간을 공용하여 노선을 남양주까지 연장했다. 마석역부터 청량리역까지는 기존의 경춘선중앙선을 공유한다.[10]

2024년 3월 7일에 GTX-B 노선 공사가 시작되었다.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10]


번호
역명환승노선거리
거리
소재지
영어한글한자
colspan="10" style="background:#234699; height:2pt" |
scope="row" rowspan="13" data-sort-value="" style="background: #DDF; color:black;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 }" class="skin-invert no table-no2" | }}}

| 송도역

| 송도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rowspan="10" | GTX-B

| —

| 0.0

| rowspan="3" | 인천

| 연수구

|-

| 인천시청역

| 인천시청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남동구

|-

| 부평역

| 부평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부평구

|-

| 부천종합운동장역

| 부천종합운동장한국어 || 富川综合运动场

| style="text-align:left" | |}}

| —

| —

| 경기

| 부천

|-

| 신도림역

| 신도림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rowspan="6" | 서울

| 구로구

|-

| 여의도역

| 여의도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영등포구

|-

| 용산역

| 용산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용산구

|-

| 서울역

| 서울역한국어 || 서울

| style="text-align:left" | |||||}}

| —

| —

| 중구

|-

| 청량리역

| 청량리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동대문구

|-

| 상봉역

| 상봉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중랑구

|-

| 별내역

| 별내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rowspan="3" | 경춘선 (공용)

| —

| —

| rowspan="3" | 경기

| rowspan="3" | 남양주

|-

| 평내호평역

| 평내호평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마석역

| 마석한국어 ||

| style="text-align:left" |

| —

| —

|-

|}

3. 2. 1. 역 목록 (B노선)

2017년 7월 7일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은 다음과 같다.[10] 이후 2024년 3월 7일 착공하여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환승소재지



·


마석Maseok磨石경춘선경기도남양주시
평내호평Pyeongnae―Hopyeong坪內好坪경춘선
별내Byeollae別內경춘선
8호선
상봉Sangbong上鳳7호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서울특별시중랑구

청량리Cheongnyangni淸凉里1호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강릉선
경춘선
동대문구
서울Seoul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부선
중구
용산Yongsan龍山1호선
경의·중앙선
용산구
여의도Yeouido汝矣島5호선
9호선
영등포구
신도림Sindorim新道林1호선
2호선
구로구
부천종합운동장Bucheon Stadium7호선
서해선
경기도부천시
부평Bupyeong富平1호선
인천 1호선
인천광역시부평구
인천시청Incheon City Hall仁川市廳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남동구
송도Songdo松島인천 1호선연수구


3. 3. C노선 (GTX-C)

본 노선은 2016년 1월부터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여 2018년 12월에 B/C값이 1.36을 기록해 사업 추진이 확정됐다. 이르면 2021년 말 공사에 착수하여 2026년 개통될 예정이었다. 소요시간은 수원~양재 18분, 수원~삼성 22분, 의정부~삼성 16분, 덕정~삼성 23분으로 표정속도는 100km/h 수준으로 예상되었다. 개통시 수도권 동북부 및 남부지역 광역교통 여건을 크게 개선할 것이 예상된다.[17] 2023년 12월 28일 착공했다. GTX-C 노선 공사는 2024년 1월 25일에 시작되었으며, 2028년에 완공될 예정이다.[11]


번호
역 이름환승노선 이름거리
거리
위치
영어한글한자
수원수원한국어경부선 (공용)
과천선 (공용)
0.0경기도수원시
금정금정한국어군포시
과천과천한국어서울특별시강남구
삼성삼성한국어
청량리청량리한국어동대문구
광운대학교광운대한국어노원구
창동창동한국어도봉구
의정부의정부한국어{{rint양주시



이 노선의 건설을 위한 우선 협상 대상자 선정 이후, 최신 계획에 따르면 인덕원역왕십리역 2개의 역이 노선에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3. 3. 1. 역 목록 (C노선)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경원선덕정Deokjeong德亭경기도양주시
의정부Uijeongbu議政府의정부시
창동Changdong倉洞
서울특별시도봉구
광운대Kwangwoon Univ.光云大노원구
rowspan="2" |청량리Cheongnyangni淸凉里


(예정)
rowspan="2" |rowspan="2" |동대문구
신설
왕십리Wangsimni往十里


성동구
삼성 (2028년 개통 예정)Samseong三成
강남구
양재Yangjae良才
서초구
과천선정부과천청사Gwacheon果川경기도과천시
인덕원Indeogwon仁德院안양시
rowspan="2" |금정Geumjeong衿井
rowspan="2" |rowspan="2" |군포시
경부선
의왕Uiwang義王의왕시
수원Suwon水原
수원시
팔달구



GTX-C 노선 공사는 2024년 1월 25일에 시작되었으며, 2028년에 완공될 예정이다.[11] 이 노선의 건설을 위한 우선 협상 대상자 선정 이후, 최신 계획에 따르면 인덕원역왕십리역 2개의 역이 노선에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3. 4. D, E, F 노선 (계획)

GTX-D 노선은 서부권 급행철도를 계승하여 김포·인천원당역(가칭)·계양역을 경유해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을 공유해 오류동역을 지나 서울역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추진 중이다.[12] 장기역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까지의 노선 계획이 일부 제시되었다.[12]

GTX-E 노선은 인천공항2터미널역, 가정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광운대역을 지나 경의·중앙선과 선로를 공유해 덕소까지 가는 노선으로 추진 중이다.[12]

GTX-F 노선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 선로를 공용해 대곡역에서 가칭 시흥시청역까지 간 후 초지역을 거쳐 야목역에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선로를 공용해 복정역까지 간다. 그리고 교산신도시와 탑석역, 의정부역을 지나 대곡역으로 돌아오는 순환선을 계획하고 있다.[12]

2021년, 이전 정부에서 D노선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많은 반대에 직면했고, 아직 승인되지 않았다. 윤석열 정부는 3개의 새로운 노선(D, E, F 노선) 건설을 약속했으며, 노선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이전 정부가 발표한 노선보다 더 긴 D노선 계획을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12]

4. 역사

2007년 6월 1일, 동탄 2지구 신도시 개발 계획이 발표되었고,[18] 7월 1일에는 경기남부 광역교통망 구상 연구 착수 및 동탄-강남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졌다. 2007년 11월 1일 대한교통학회 토론회에서 '수도권 고속직행철도 구축방안'이 발표되었다.[19] 2008년 4월 1일 경기도는 국토해양부와 공동으로 대심도 고속급행철도 건설 타당성 용역을 실시하였고, 6월 1일에는 대한교통학회·한국철도학회에서 수도권 급행철도 구축방안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2008년 8월 1일 동림컨설턴트 컨소시엄은 킨텍스~삼성구간을 광역도심지하철도(37.86km, 6개역)로 제안하였다. 2008년 12월 1일 국토해양부는 2009년 업무계획에 대심도 급행철도를 반영하였다.

2009년 2월 1일 경기도·경기도시공사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건설' 토론회를 개최하였고,[20] 4월 1일 경기도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경제성 및 기술성 검토용역결과를 발표하면서 A노선(일산 킨텍스 ~ 동탄), B노선(청량리 ~ 인천 송도), C노선(의정부 ~ 금정)을 제시하였다. 같은 날 삼성중공업 컨소시엄은 수도권고속직행철도 사업 중 B구간(청량리 ~ 송도, 47.82km, 9개역)을,[21]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은 4개 노선(킨텍스 ~ 수서(동탄) 48.1km(76.7km), 회룡 ~ 금정 46.5km, 광명 ~ 청량리 30.4km, 부평 ~ 삼성 34.5km)을 국토해양부에 제안하였다.[22] 2009년 6월 1일 국토해양부는 타당성 조사 연구에 착수하였다.[23]

2010년 4월 1일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서울·경기·인천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협약 18개 공동 우선추진과제 중 광역인프라 부문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를 포함시켰고, 9월 1일 대심도 광역급행철도 타당성조사가 이루어졌다.[24] 2011년 1월 1일 국토해양부는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포함시켰으며, 4월 1일에는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시행중 사업으로 포함시켰다.[25] 2011년 9월 1일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50여개사)은 GTX 사업 제안서를 국토부에 제출하였으나, 국토부는 정부고시사업으로 반려하였다. 2011년 11월 1일 기획재정부는 2011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고, 12월 1일 국토해양부는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에서 광역철도로 신규 지정하였다.

2013년 1월 1일 한국철도협회는 국민행복 민생복지를 위한 광역 급행철도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여[26] A노선에서 C노선으로 진입, 의정부 방면 노선확보 및 KTX 운행, A노선과 공항철도 연계, X선을 당아래에서 강남을 거쳐 잠실로 가도록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2013년 2월 1일 박근혜 정부 인수위원회는 140개 국정과제에 GTX를 반영하였고,[27] 7월에는 국토교통부가 A노선(수도권고속철도 병용) 중간역을 선정하였다.[28] 서울시는 '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에 GTX 노선변경 제안을 정부 건의 사항으로 포함시켰고, 박근혜정부는 지방공약 이행계획에 반영하였다.

2014년 2월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통보에 따라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3개 노선 모두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29] 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A노선(일산 ~ 삼성)은 즉시 추진하고, B노선(송도 ~ 청량리)과 C노선(의정부 ~ 금정)은 재기획 및 보완 후 재추진하기로 하였다. 2014년 6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용역이 이루어졌으며,[30] 9월에는 MTX 광역급행철도주식회사('''M'''etropolitan '''T'''rain E'''x'''press)가 A노선 민간제안을 하였다.[31]

2015년 9월 국토교통부는 기획재정부에 C노선(KTX 의정부 연장 포함)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였다. 2015년 11월 평가준비서 심의를 거쳐 12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이 공개되었다.[32] 2016년 2월 국토교통부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를 개최하였고,[33] 6월에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B노선(송도 ~ 청량리, 48.7km)과 C노선(의정부 ~ 금정, 48.7km)을 포함시켰다.[34] 2017년 12월 29일 A노선 민자사업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35]

2023년 8월 2~31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공식 노선명을 국민 대상으로 제정 추진하였으며,[36] 2024년 3월 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수서~동탄구성역 (용인)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다. 2024년 12월 28일에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운정중앙~서울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5. 과제 및 전망

GTX는 지하 40~50m 이하의 깊이에 터널을 굴착하므로 토지보상비가 적게 들어 건설비를 줄일 수 있고, 평균 속도를 빠르게 해 도시 간 이동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7]

반면, 열차의 표정속도를 높이고자 역을 줄이고, 노선을 직선화하고자 지하 깊은 곳에 역을 짓는다는 점으로 말미암아, 역과 먼 곳에 사는 사람들이나 각 역에서 10분가량 소요되는 수직 환승 시간에 피로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GTX로 20분 이상의 시간이 절약되지 않는다면 GTX로 환승하는 대신 기존의 교통수단을 이용할 것으로 예측된다.[38]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이 서울로의 사회적, 경제적 집중 현상을 심화시켜 수도권 집중 현상을 가속화하고, 다른 지방 도시들의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Graphic News] GTX lines expansion" https://m.koreaheral[...] 2024-03-31
[2] 웹사이트 드디어 베일 벗은 '2기 GTX'…D·E·F 노선 '이곳' 지난다 https://www.hankyung[...] 2024-03-31
[3] 웹사이트 파주~강남~동탄 GTX A노선 사업 오늘 착공 https://news.naver.c[...]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21-07-08
[4] 웹사이트 2025년 개통도 턱없다…'비운의 노선' GTX-A https://m.post.naver[...] 2022-02-21
[5] 웹사이트 GTX-A commuter line to launch 1st leg Saturday https://m.koreaheral[...] 2024-03-31
[6] 웹사이트 "[단독]GTX-A 동탄-수서 '빈 퍼즐' 구성역, 내달 29일 개통" https://www.newsis.c[...] 2024-05-18
[7] 웹사이트 '[Q&A] GTX-A 30일 첫 운행…K-패스 O, 기후동행카드 X' https://www.hani.co.[...] 2024-06-13
[8] 웹사이트 GTX-A 삼성역, 2028년에나 개통…최소 3년 노선분리 https://m.post.naver[...]
[9] 웹사이트 Tunnelling completed in Seoul for GTX-A line https://www.railjour[...] 2023-01-26
[10] 웹사이트 GTX-B breaks ground for 30-min Seoul-Incheon commute https://www.koreaher[...] 2024-03-31
[11]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Seoul express Line C starts as part of the 'first year of the GTX era' https://www.railwayg[...] 2024-03-31
[12] 웹사이트 GTX 플러스 노선안 공개…포천~인천, 파주~위례신도시 연결 https://www.newsis.c[...] 2024-06-29
[13] 뉴스 "'문제 투성이' GTX사업…우려 확산" http://www.newsway.c[...] 2021-01-18
[14] 문서 국토교통부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http://www.molit.go.[...]
[15] 문서 국토교통부 http://www.molit.go.[...]
[16] 문서 2028년 4월 개통 예정.
[17] 문서 한우진의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
[18] 웹인용 동탄2신도시 정보 http://www.gico.or.k[...] 2016-07-09
[19] 웹인용 "[대한교통학회]수도권 급행전철 구축방안 정책토론회" http://www.ksce.or.k[...] 2020-08-16
[20] 웹인용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건설 토 론 회 - 대한교통학회 http://www.kor-kst.o[...] 2016-07-09
[21] 뉴스 삼성중공업 3조8211억 '대심도 급행철도' 제안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20-08-17
[22] 문서 현대산업 컨소, 12조원대 수도권 대심철도 제안 http://www.asiae.co.[...]
[23] 문서 ‘대심도 지하 급행철도’ 정부 본격 검토 http://www.molit.go.[...]
[24] 문서 "’대심도 광역급행철도 타당성조사 보고서’(’10.9.)" http://www.molit.go.[...]
[25] 문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1~2020) http://www.molit.go.[...]
[26] 문서 「국민행복 민생복지를 위한 GTX 정책 세미나(안)」개최 https://www.koti.re.[...]
[27] 웹인용 박근혜정부 인수위 5대 국정목표 140개 국정과제 http://daegu.minjoo.[...] 2016-07-09
[28] 웹인용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 성남·용인권 역사 2곳 결정 http://biz.chosun.co[...] 2016-07-09
[29] 문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3개노선 모두 추진 (종합) http://www.asiae.co.[...]
[30] 문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용역 기술제안서 평가표(사유서) 공지 http://www.molit.go.[...]
[31] 웹인용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G T X) 사업 민간사업자 제안 http://www.itrailnew[...] 2016-07-09
[32] 문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전략환경영향평가(국토교통부 공고 제2015-1448호) http://www.molit.go.[...]
[33] 문서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16~'25) 공청회 개최 http://www.molit.go.[...]
[34] 문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 공고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6 - 371호) http://www.molit.go.[...]
[35] 문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53호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민간투자대상사업 지정 및 시설사업기본계획”, 2017년 12월 29일." http://www.molit.go.[...]
[36] 뉴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국민 제안을 통해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납니다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37] 뉴스 수도권 광역급행 철도 시대 오나<상> 마스터플랜 살펴보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09-06-18
[38] 서적 거대도시 서울 철도 워크룸 프레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