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쌀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쌀떡은 쌀가루를 찌거나 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 먹는 음식으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찌는 떡, 치는 떡, 삶는 떡, 지지는 떡 등 다양한 종류의 쌀떡이 있으며, 떡국, 떡볶이 등이 대표적이다.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등에서도 쌀을 주재료로 한 다양한 떡 요리가 발달했으며, 각 지역의 문화와 식습관에 따라 독특한 쌀떡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쌀 요리 - 바인 짱
    바인 짱은 쌀가루와 타피오카 전분 등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베트남의 얇은 전병으로, 반짱을 기본으로 튀김, 구이,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반짱 메, 반짱 몽, 반짱 푀스엉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쌀 요리 - 당고
    당고는 쌀가루 반죽을 둥글게 빚어 꼬치에 꿰어 먹는 일본의 전통 경단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본 문화에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에도 사용된다.
  • 떡 - 백설기
  • 떡 - 시루떡
    시루떡은 멥쌀이나 찹쌀을 주재료로 여러 곡물과 함께 찌는 한국 전통 떡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설기떡과 켜떡으로 나뉘며 고사떡이나 잔치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
  • 이탈리아의 후식 - 젤라토
    젤라토는 이탈리아 전통 수제 방식으로 만든 아이스크림으로, 낮은 공기 함량과 유지방 함량으로 인해 일반 아이스크림보다 밀도가 높고 칼로리가 낮으며, 16세기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여러 인물의 기여와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이탈리아에서는 수제 젤라토가 여전히 인기 있다.
  • 이탈리아의 후식 - 카사타
    카사타는 10세기 시칠리아 이슬람 에미르국 시대 팔레르모에서 기원한 시칠리아 디저트로, 리코타 치즈를 사용한 둥근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와 변형이 존재하며, 미국과 인도 등지에서도 독특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쌀떡 - [음식]에 관한 문서
쌀떡 정보
떡케이크
일반 정보
영어rice cake (라이스 케이크)
종류
기타 정보
비슷한 음식떡케이크

2. 한국

한국의 쌀떡은 찌는 떡, 치는 떡, 지지는 떡, 삶는 떡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한국의 떡


떡은 한국에서 찹쌀가루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음식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 찌는 떡: 쌀가루를 시루에 안쳐 증기로 쪄낸다.
  • 치는 떡: 찐 쌀을 절구나 떡판에 쳐서 만든다.
  • 삶는 떡: 쌀가루 반죽을 끓는 물에 삶아 익힌다.
  • 지지는 떡: 쌀가루 반죽을 얇게 펴서 기름에 지져 만든다.


한국에서는 1년 내내 다양한 종류의 떡을 즐겨 먹는다. 특히 설날에는 떡국을, 결혼식이나 생일에는 달콤한 떡을 먹는 풍습이 있다. 떡은 축하 음식으로 여겨지며, 전통적인 음양 우주론에 따라 색깔과 재료를 선택하여 특별한 행사에 사용하기도 한다.[23]

꿀떡은 찹쌀가루에 꿀을 섞고 밤, 대추, 잣 등을 넣어 만든 떡으로, 송편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작다.[25] 떡볶이는 가래떡을 고추장이나 간장 양념에 볶아 어묵, 삶은 달걀, 파 등과 함께 먹는 음식이다. 떡국설날에 얇게 썬 떡과 멸치, 파, 계란 등을 넣어 끓여 먹는 국이다. 무지개떡은 연한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을 층층이 쌓아 만든다.[27]

2. 1. 찌는 떡 (증병; 蒸餠)

가루를 시루에 안쳐 증기로 쪄낸 떡이다. 꿀떡, 망개떡, 바람떡, 버무리, 설기떡(백설기, 무지개떡), 송편, 술떡, 시루떡 등이 찌는 떡에 해당한다. 가마솥에 찐 떡은 찹쌀이 무쇠솥의 발명으로 자리를 잡기 전까지 한국인들의 가장 오래된 주식이었다.[22]

2. 2. 치는 떡 (도병; 搗餠)

찐 쌀을 절구나 떡판에 쳐서 만드는 떡이다.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가래떡, 개피떡, 단자, 떡면, 부편, 송편, 인절미, 절편 등이 있다.[24] 치는 떡은 ''절구''와 ''절굿공이'' 또는 ''떡메''와 ''안반''이라고 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쌀이나 찹쌀을 찧어 만든다.[22]

2. 3. 삶는 떡

가루 반죽을 끓는 물에 삶아 익힌 떡이다. 경단, 새알심 등이 있다.[22]

2. 4. 지지는 떡 (전병; 煎餠)

쌀가루 반죽을 얇게 펴서 기름에 지져 만든 떡이다. 노티, 부꾸미, 전병, 주악, 화전 등이 있다.[22] 화전은 찹쌀가루와 진달래, 국화, 장미 등 계절별 꽃잎으로 만든 작은 달콤한 팬케이크이다.[26]

2. 5. 기타

밴새는 찹쌀가루와 멥쌀가루를 섞어 만든 반죽으로 만든 떡이다. 뻥튀기는 쌀을 튀겨 만든 과자이다.

3. 동아시아

동아시아에서는 쌀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쌀로 만든 떡이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일본에서는 모치와 센베이 등이 대표적인 쌀떡이다. 모치는 찹쌀을 찧어 만든 떡으로, 다이후쿠당고 등이 있다. 센베이는 쌀 과자의 일종으로, 간장이나 소금 등으로 맛을 낸다.[1][2]

중화권에서는 녠가오, 쭝쯔, 탕위안 등 다양한 쌀떡이 존재한다. 녠가오는 찹쌀로 만든 중국의 설 떡이며, 쭝쯔는 찹쌀을 댓잎 등에 싸서 찐 떡이다. 탕위안은 찹쌀가루로 만든 새알심이다. 이 외에도 박통고우, 붓자이고우, 앙꾸꾸에, 얼콰이, 젠두이, 히판 등 다양한 종류의 쌀떡이 있다.

3. 1. 일본

모치는 찹쌀을 찧어 반죽하여 모양을 낸 것이다.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모치츠키라는 의식을 통해 만든다. 1년 내내 먹지만, 모치는 일본 설날의 전통 음식이며, 그 시기에 흔히 판매되고 먹는다. 다이후쿠, 당고 등이 모치의 일종이다.[1]

센베이는 구워지거나 구워지는 일본식 쌀 과자의 일종으로, 전통적으로 숯불 위에서 조리된다. 준비하는 동안 간장과 미린으로 만든 소스로 맛을 낼 수 있다. 그런 다음 으로 감쌀 수 있다. 또는 소금이나 소위 "샐러드" 맛으로 맛을 낼 수도 있다.[2]

당고, 쌀가루로 만든 일본식 경단


당고는 쌀가루로 만든 경단의 한 종류이며, 꼬치에 꽂아 다양한 맛으로 제공된다. 전통적으로 계절에 따라 다르게 먹는다.[3]

3. 2. 중화권


  • 녠가오(年糕): 찹쌀로 만든 중국의 설 떡이다.
  • 박통고우(白糖糕): 백설탕을 넣어 만든 떡이다.
  • 붓자이고우(砵仔糕): 작은 그릇에 담아 쪄낸 떡이다.
  • 앙꾸꾸에(紅龜粿): 붉은 색의 찹쌀떡이다.
  • 얼콰이(饵块): 쌀을 빻아 만든 떡으로, 볶거나 구워 유탸오에 말아 먹기도 한다.
  • 젠두이(煎堆): 찹쌀 반죽에 소를 넣고 튀긴 떡이다.
  • 쭝쯔(粽子): 찹쌀을 댓잎이나 갈댓잎에 싸서 찐 떡이다.
  • 탕위안(湯圓): 찹쌀가루로 만든 새알심이다.
  • 히판(喜粄): 객가인들의 쌀떡이다.
  • 치바 케이크: 찹쌀을 빻아 반죽하여 만들며, 흔히 공이나 정육면체 모양으로 성형하여 튀기거나 찐 후 흑설탕 시럽과 볶은 콩가루를 묻혀 먹는다.

흑설탕과 볶은 콩가루를 곁들인 치바 케이크
치바 케이크 흑설탕과 볶은 콩가루를 곁들인 치바 케이크

  • 파가오: 쌀가루, 팽창제(전통적으로 효모), 설탕으로 만들어지며, 찐 컵케이크와 같은 페이스트리로, 가장 일반적으로 중국 설날에 소비된다.
  • 푸닝 다케이크: 찹쌀가루와 다양한 견과류로 고명을 만들어 정육면체 모양으로 성형하여 찐 다음 종이처럼 얇게 썰어 만든다.
  • 뤼다군(驢打滾|뤼다군중국어): 꿀과 팥 앙금을 채운 둥근 찹쌀 페이스트리에 노란 콩가루를 뿌려 만든다.
  • 로 마이 치(누오미치): 찹쌀 경단으로, 속은 달콤한 속으로 채워져 있고 겉면에는 건조된 코코넛 플레이크가 뿌려져 있다.
  • 미가오(米糕, 쌀 케이크), 누오미가오(糯米糕, 찹쌀 케이크), 또는 장미가오(江米糕, 강 쌀 케이크)는 찹쌀로 직접 만들고 대추나 용안 과육 또는 팥을 첨가하여 완전히 찌고 조각이나 블록으로 잘라 만든 케이크이다.[14]
  • 쩡가오(甑糕, 솥 케이크)는 산시성 방언으로 징가오라고 불리며, 원래 고대 중국 음식 용기 쩡(甑)으로 쪄서 만든 쌀 케이크로, 현재는 찜통을 사용하여 요리한다. 찹쌀, 팥, 찹쌀, 대추, 건포도를 번갈아 층층이 쌓아 만든다.[15]
  • 타이난 완 쌀 케이크(''óaⁿ-kóe'', 碗粿)는 대만의 남부 도시 타이난에서 유래되었다. 이 요리는 찹쌀을 한 번 찌고, 그 위에 토핑을 얹어 다시 쪄서 만든다.
  • 계화떡: 찹쌀가루, 꿀, 계화, 설탕으로 만든 전통적인 향긋한 중국식 페이스트리이다.[16]

계화떡

  • 칭투안: 중국 쑥 또는 보리 잎즙을 섞은 찹쌀로 만들어 녹색을 띠며, 일반적으로 달콤한 붉은 팥이나 검은 팥으로 속을 채운다. 특히 청명절을 위해 만들어진다.
  • 송가오: 쌀가루, 설탕, 물로 구성된 상하이 간식으로, 팥이 케이크 전체에 박혀 있다.
  • 백설탕 스펀지 케이크: 찐 쌀 케이크로, 일반적으로 사각형 조각이나 삼각형으로 소비되며 몇 개의 끈이 달려 있다.

호박 탕위안 팥 앙금과 검은 깨 속

4.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에는 쌀이나 찹쌀, 쌀가루 등으로 만든 다양한 떡과 쌀 요리가 있다.


  • 쿠이: 쌀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만든 간식으로,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에서 즐겨 먹는다.
  • 바인: 쌀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만든 베트남 음식이다. 바인 둑, 바인 또, 바인 배오, 바인 보, 바인 쯩 등이 있다.
  • 나가사리: 쌀가루, 코코넛 밀크, 설탕으로 만든 반죽에 바나나 조각을 넣어 만든 인도네시아 전통 떡이다.
  • 론통: 바나나 잎에 쌀을 넣어 압축해 만든 음식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많이 먹는다.
  • 름프르: 찹쌀 안에 닭고기나 생선 등을 넣어 만든 인도네시아 간식으로, 중국의 쭝쯔와 비슷하다.
  • 부라사: 바나나 잎에 싸서 코코넛 밀크로 요리한 쌀 경단으로, 인도네시아 남술라웨시 지역의 특산물이다. 론통과 비슷하지만 코코넛 밀크 덕분에 더 풍부한 맛이 난다.
  • 비빙카: 쌀가루와 코코넛 밀크로 만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케이크이다.
  • 스라비: 코코넛 밀크를 넣어 만든 인도네시아식 쌀가루 팬케이크이다.
  • 아름아름: 채소와 고기로 속을 채운 작은 론통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즐겨 먹는다.
  • 쿠에: 쌀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만든 간식들을 통칭하는 인도네시아어 단어이다.
  • 크투팟: 야자나무 잎으로 짠 주머니에 쌀을 넣어 삶은 음식으로,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에서 먹는다. 주로 이드 알 피트르 (하리 라야 아이딜피트리)같은 축제에 먹는다.


필리핀에는 다양한 종류의 쌀떡이 있으며, 쌀로 만든 후식은 ''카카닌(kakanin)''이라고 불린다. 이는 "준비된 쌀"을 의미한다. 쌀떡은 크게 찐 쌀떡인 ''푸토''와 구운 쌀떡인 ''비빙카''로 나눌 수 있다. 다음은 필리핀의 대표적인 쌀떡이다.

이름설명
바예바예코코넛과 녹색 쌀 (피니피그) 또는 간 옥수수 낱알로 만든 쌀떡이다.
비빙카갈라퐁과 코코넛 밀크 또는 물로 만들어지며 바나나 잎으로 덮여 있는 쌀떡이다. 전통적으로 점토 오븐과 숯을 사용하여 굽는다.
비코시누크마니(sinukmani) 또는 와지트(wadjit)라고도 불리며, 코코넛 밀크, 설탕, 통 찹쌀로 만든 쌀떡이다.
에스파솔쌀가루를 코코넛 밀크로 요리하고 달콤한 코코넛 스트립을 얹어 구운 쌀가루로 덮어 만든다.
쿠친타쌀가루, 흑설탕, 잿물, 코코넛 과육으로 만든 찐 쌀떡(푸토)이다.
팔리타우코코넛 과육과 설탕으로 덮인 삶은 쌀떡이다.
푸토찐 쌀떡의 일반적인 용어이며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사핀사핀찹쌀가루, 코코넛 밀크, 설탕, 물로 만들고, 위에 코코넛 플레이크를 뿌린다. 층 모양은 식용 색소를 사용하여 만든다.
수만찹쌀을 코코넛 밀크로 요리하여 바나나 잎 등으로 찐 떡이다.
암파우튀긴 쌀에 시럽을 입힌 과자이다.
푸소야자수 잎으로 엮은 주머니에 쌀을 넣어 삶은 음식이다.


4. 1. 미얀마

미얀마 요리에는 쌀, 쌀가루, 찹쌀가루로 만든 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간식과 디저트가 있다. 달콤한 미얀마 몬은 동남아시아 다른 지역의 음식보다 단맛이 덜하며, 강판 코코넛, 코코넛 밀크, 찹쌀, 과일 등에서 자연스러운 단맛을 얻는다.[1][2]

4. 2. 캄보디아


  • 안솜 첵은 바나나 잎으로 싼 찹쌀떡이다. 일년 내내 먹지만 분 춤 벤(Bun Pchum Ben) 또는 "조상의 날" 축제 기간에 가장 흔하게 먹는다. 바나나 속이나 돼지 비계와 콩을 넣고 바나나 잎으로 여러 겹으로 싸서 찐다.[3]
  • 넘 콤은 팜 설탕, 갓 간 코코넛, 구운 참깨를 채운 찐 달콤한 찹쌀 가루 케이크이다. 전통적으로 조상 기념일(분 춤 벤/돈타), 비삭(부처님 탄생일), 특히 캄보디아 설날(Bon chol thnam tmey|본 쫄 트남 트메이km)에 만들어 먹는다. 불교 사탑을 형상화한 피라미드 형태를 띤다.[4][5]
  • 넘 크록은 쌀가루, 코코넛 밀크, 잘게 썬 샬롯, 소금을 약간 섞은 찹쌀 케이크로, 생선 소스와 칠리 소스에 찍어 먹으며 때로는 팜 설탕도 곁들인다. 철판으로 만든다.[6][7]
  • Num Plae Ai () 코코넛 토핑을 곁들인 크메르식 찹쌀 경단
    Num Plae Ai (ផ្លែអាយ|놈 쁠라에 아이km)는 팜 설탕을 넣고 갓 간 코코넛으로 덮어 만든 찹쌀 경단이다.[8][9][10]
  • 넘 아 코르(នំអាកោរ)는 가장 인기 있는 캄보디아/크메르 디저트 중 하나이다. 크메르 설날과 축제 기간에 제공되는 디저트이다. 쌀가루로 만들고 갓 간 코코넛을 토핑한다. 다양한 색상이 있다.[11]
  • 놈 차크-카찬은 찹쌀 층 케이크로도 알려져 있다. 찹쌀, 타피오카 가루, 코코넛 밀크로 만든다. 여러 가지 색상이 있으며, 녹색과 노란색 층이 가장 인기가 많다.[12][13]

4. 3. 말레이시아·브루나이·싱가포르

쿠이는 쌀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만든 간식이다.

4. 4. 베트남

바인은 쌀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만든 베트남 음식의 총칭이다. 다음은 바인의 종류이다.

  • 찐 반 보: 쌀가루로 만든 쫄깃한 베트남식 스펀지 케이크
  • 반 베오: 작고 찐 쌀 케이크 또는 쌀 팬케이크의 일종. 일반적으로 중앙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 있으며, 다진 말린 새우 또는 신선한 새우, 파, 녹두 페이스트, 바삭한 튀긴 샬롯, 어장, 식초, 기름과 같은 풍미 가득한 재료가 채워져 있다.
  • 반 보: 쌀가루, 물, 설탕, 효모로 만든 달콤하고 쫄깃한 스펀지 케이크.
  • 반 둑: 찹쌀이 아닌 쌀가루로 만든 케이크 (옥수수 가루도 북부 베트남에서 사용되기도 함).
  • 북부: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톰 차이(구운 다진 새우), 튀긴 양파, 참깨, 소금, 땅콩, 라임 주스, 간장 또는 어장과 같은 풍미 가득한 재료로 장식.
  • 남부: 디저트로 제공되며, 판다누스 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젤라틴 덩어리의 형태. 재료를 끓여 식히고 젤리처럼 굳혀 덩어리로 자르는 방식으로 조리.
  • 반 쯩: 찹쌀, 녹두, 돼지고기 및 기타 재료로 만든다.
  • 반 텟: 반 쯩과 형태가 거의 같지만 원형으로 잘라서 베트남 명절 뗏을 기념하여 먹는다.
  • 반 토: 찹쌀로 만든 떡으로, 중국의 녠 가오와 관련이 있다.

4. 5.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는 다양한 쌀떡 및 쌀을 이용한 음식이 있다.

  • 나가사리는 쌀가루, 코코넛 밀크, 설탕으로 만든 전통 떡으로, 안에 바나나 조각을 넣어 만든다.[21]
  • 론통은 바나나 잎에 쌀을 넣어 압축해 만든 음식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많이 먹는다.
  • 름프르는 찹쌀 안에 닭고기나 생선 등을 넣어 만든 간식으로, 중국의 쭝쯔와 비슷하다.
  • 부라사는 바나나 잎에 싸서 코코넛 밀크로 요리한 쌀 경단으로, 남술라웨시 지역의 특산물이다. 론통과 비슷하지만 코코넛 밀크 덕분에 더 풍부한 맛이 난다.
  • 비빙카는 쌀가루와 코코넛 밀크로 만든 케이크이다.
  • 스라비는 코코넛 밀크를 넣어 만든 쌀가루 팬케이크이다.
  • 아름아름은 채소와 고기로 속을 채운 작은 론통이다.
  • 쿠에는 쌀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만든 간식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 크투팟은 야자나무 잎으로 짠 주머니에 쌀을 넣어 삶은 음식으로,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에서 먹는다. 주로 이드 알 피트르 (하리 라야 아이딜피트리)같은 축제에 먹는다.

4. 6. 필리핀

다양한 전통 필리핀 ''카카닌''(쌀떡)


필리핀 ''푸소''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엮은 주머니에 찹쌀을 넣어 요리한 쌀떡으로, 짭짤한 요리와 함께 먹는다.


쌀떡은 필리핀에서 흔한 간식이며, 필리핀 사람들은 다양한 종류의 쌀떡을 만들어왔다. 필리핀어로 쌀로 만든 후식은 ''카카닌(kakanin)''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준비된 쌀"을 의미한다. 쌀떡은 찐 쌀떡인 ''푸토''와 구운 쌀떡인 ''비빙카''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이들은 밤새 담가둔 찹쌀을 갈아 만든 쌀 반죽인 ''갈라퐁(galapong)''을 사용하여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17][18]

다음은 전통적인 필리핀 쌀떡의 몇 가지 예이다.

이름설명
바예바예코코넛과 녹색 쌀 (피니피그) 또는 간 옥수수 낱알로 만든 쌀떡이다.
비빙카갈라퐁과 코코넛 밀크 또는 물로 만들어지며 바나나 잎으로 덮여 있는 쌀떡이다. 전통적으로 점토 오븐과 숯을 사용하여 굽는다.
비코시누크마니(sinukmani) 또는 와지트(wadjit)라고도 불리며, 코코넛 밀크, 설탕, 통 찹쌀로 만든 쌀떡이다.
에스파솔쌀가루를 코코넛 밀크로 요리하고 달콤한 코코넛 스트립을 얹어 구운 쌀가루로 덮어 만든다.
쿠친타쌀가루, 흑설탕, 잿물, 코코넛 과육으로 만든 찐 쌀떡(푸토)이다.
팔리타우코코넛 과육과 설탕으로 덮인 삶은 쌀떡이다.
푸토찐 쌀떡의 일반적인 용어이며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사핀사핀찹쌀가루, 코코넛 밀크, 설탕, 물로 만들고, 위에 코코넛 플레이크를 뿌린다. 층 모양은 식용 색소를 사용하여 만든다.
수만찹쌀을 코코넛 밀크로 요리하여 바나나 잎 등으로 찐 떡이다.
암파우튀긴 쌀에 시럽을 입힌 과자이다.
푸소야자수 잎으로 엮은 주머니에 쌀을 넣어 삶은 음식이다.


5. 남아시아

남아시아 지역의 쌀떡은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이들리남인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침 식사로 인기 있는 짭짤한 쌀 케이크이다.
피타벵골 요리, 아삼 요리, 비하르 요리, 오리사 요리에서 일반적으로 만드는 얇고 평평한 케이크이다.
푸투남인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쪄낸 쌀가루와 코코넛으로 만든 원통형 음식으로 스리랑카에서 널리 소비된다.[20]


5. 1. 인도

이들리, 남인도 쌀 케이크

  • 이들리: 남인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침 식사로 인기 있는 짭짤한 쌀 케이크이다. 검은 렌즈콩(껍질을 벗긴 것)과 쌀을 약 1:2 비율로 섞어 하룻밤 발효시킨 반죽을 쪄서 만든다. 보통 코코넛 처트니 또는 삼바와 함께 먹는다.[19]
  • 피타: 벵골 요리, 아삼 요리, 비하르 요리, 오리사 요리에서 일반적으로 물에 불려 갈아 만든 반죽으로 만든 얇고 평평한 케이크이다. 뜨거운 철판이나 프라이팬에서 요리하며 기름에 튀기거나, 약한 불에 굽거나, 구워서 뜨거운 판에 굴릴 수 있다.
  • 푸투: 남인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쪄낸 쌀가루와 코코넛으로 만든 원통형 음식이다. 스리랑카 전역에서 널리 소비된다.[20]

6. 기타 지역


  • 볼루 드 아호스|포르투갈의 쌀 케이크pt[1]
  • 타친|이란의 쌀 케이크fa[2]
  • 토르타 디 리소|이탈리아의 쌀 케이크it[3]

타친 또는 페르시아식 구운 사프란 쌀떡. 바베리, 아몬드, 피스타치오 조각으로 장식함

  • 水粿|추이 퀘|물 쌀떡중국어는 찐 쌀떡의 일종으로, 싱가포르와 조호르의 요리이다.[4] 쌀가루와 물을 섞어 약간 점성이 있는 혼합물을 만든 다음, 접시 모양의 작은 용기에 담아 쪄서 요리하면 특징적인 그릇 모양이 된다.[4] 쌀떡 위에는 잘게 썬 절인 무를 올리고 칠리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4] 추이 퀘는 싱가포르와 조호르에서 인기 있는 아침 식사 메뉴이다.[4]
  • 퍼프 쌀떡은 북아메리카와 기타 서방 국가에서 인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압 상태에서 증기와 함께 쌀알을 가열하여 만든 퍼핑 곡물인 퍼프 쌀로 만들어지지만, 제조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5] 그런 다음 퍼핑된 곡물은 케이크 형태로 다양한 방법으로 함께 결합된다.[5] 이들은 어린 아이들과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빵, 크래커 또는 칩 대신 칼로리가 낮은 대체 식품으로 인기가 있다.[5] 플레인, 소금, 맛을 내거나 초콜릿이나 요구르트로 반쯤 덮을 수 있다.[5]
  • 네덜란드벨기에 요리의 Rijsttaartnl와 Rijstevlaainl는 쌀, 설탕, 계란, 우유를 섞어 만든 속을 채운 일종의 쌀 파이이다.[6]
  • 이탈리아 요리, 특히 토스카나 요리에서 ''torte di risoit''는 때때로 식사 후 상당한 디저트로 먹는 쌀떡이다.[7]
  • 이란 요리에서 타친fa 또는 페르시아식 구운 쌀떡은 요구르트, 사프란, 계란, 닭고기 안심으로 만든 찐 쌀떡의 일종이다.[8]
  • 나이지리아 요리에서 마사는 다양한 스튜와 함께 먹는 타원형 모양의 팬에 튀긴 쌀떡과 유사한 쌀떡이며, 특히 하우사족 민족이 있는 북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9]
  • 비툼부아는 쌀 또는 쌀가루와 코코넛으로 만든 동아프리카 스와힐리 해안 요리로, 주로 아침 식사로 먹는다.[10]

참조

[1] 웹사이트 10 foods to try in Myanmar -- from tea leaf salad to Shan-style rice https://www.cnn.com/[...] 2017-07-12
[2] 웹사이트 Burmese sweets https://www.austinbu[...] 2012-12-22
[3] 웹사이트 Cambodian Ghosts Love Sticky Rice Cakes https://munchies.vic[...] 2016-04-25
[4] 웹사이트 Eat and Nham PP http://eatandnham.we[...]
[5] 웹사이트 Num Kom-Sticky Rice Cakes with coconut filling/Khmer Kozhukkattai! https://dosaikal.com[...] 2013-09-09
[6] 뉴스 Deep in Thought in Philosopher's Lane https://www.khmertim[...] 2016-08-04
[7] 웹사이트 AUTHENTIC CAMBODIAN – BAIH KHMER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Eat and Nham PP http://eatandnham.we[...]
[9] 웹사이트 Khmer Memories – Num Plae Ai/Sticky Rice Sweet Balls https://dosaikal.com[...] 2015-03-21
[10] 웹사이트 Nom Plai Ai (glutinous rice balls filled w/palm sugar) http://eatnowcrylate[...]
[11] 웹사이트 Eat and Nham PP http://eatandnham.we[...]
[12] 웹사이트 Eat and Nham PP http://eatandnham.we[...]
[13] 웹사이트 Cambodia Dessert and Snack http://isy100blog.bl[...]
[14] 웹사이트 米糕 https://baike.sogou.[...]
[15] 웹사이트 西安甑糕,一份值得耐心等待的软糯香甜 https://www.dealmoon[...] 2020-04-24
[16] 웹사이트 MoonFestival - Foods https://moonfestival[...] 2021-06-02
[17]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Happiness http://www.manilaspe[...]
[18] 웹사이트 Ever Wonder Why Puto Bumbong Is Violet? (It's Not Ube) https://www.spot.ph/[...]
[19] 간행물 A tradition wrapped in leaves https://web.archive.[...] 2008-08-16
[20] 뉴스 Vattayappam https://m.recipes.ti[...] 2017-03-09
[21] 서적 The Food of Asia: Featuring Authentic Recipes from Master Chefs Tuttle Publishing
[22] 문서 ko:떡
[23] 웹사이트 'Rice Cake, Tteok https://web.archiv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4] 웹사이트 밀양떡, 양반 입맛 사로잡던 그 맛 그대로 http://www.idomin.co[...] Odomin.com 2008-04-10
[25] 웹사이트 꿀떡 https://terms.naver.[...]
[26] 웹사이트 화전 http://www.lifeinkor[...] Lifeinkorea.com
[27] 웹사이트 Korean - English dictionary - View Dictionary https://krdict.kor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