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철도 전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철도 전철화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1973년 중앙선 청량리역~제천역 구간의 전철화 개통을 기점으로 본격화되었다. 이후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등 주요 노선의 전철화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022년 기준 전철화율은 78.53%에 이른다. 한국철도공사 외에도 서울 지하철, 부산 도시철도 등 다양한 도시철도 노선이 전철화되어 운영되고 있다.
평부선, 평의선, 강원선은 직류 3000V로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5]
2. 역사
2. 1. 일제강점기
2. 2. 해방 이후 (대한민국)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자재와 차량을 구입하여 중앙선 단양역 ~ 풍기역 구간 전철화를 추진하였으나,[2] 한국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3]
1973년 6월 20일 중앙선 청량리역 ~ 제천역 구간(154.9km)이 교류 25000V 60Hz 방식으로 전철화 개통되면서,[4] 한국 최초의 교류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같은 날 망우선 망우 ~ 성북(現 광운대) 4.9km 구간도 전철화되었다. 1974년 6월 20일에는 태백선 제천 ~ 고한역 구간(80.1km)이 전철화되었다.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경부선 (서울역 ~ 수원역, 41.5km), 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27km)[1], 경원선 (청량리역 ~ 성북역(現 광운대역), 18.2km)이 전철화되었다.
1975년 12월 5일에는 영동선 철암역 ~ 동해역 구간(61.5km)과 태백선 고한 ~ 백산역 구간(23.7km)이 전철화되었다.
이후 각 노선별 전철화 사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2. 3. 해방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방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평부선, 평의선, 강원선 등 여러 철도 노선이 직류 3000V 방식으로 전철화되었다.[5]
3. 전철화 방식
3. 1. 직류 방식
3. 2. 교류 방식
4. 노선별 현황 (대한민국)
'''한국철도공사'''[1]
경부고속선은 2004년 4월 1일 금천구청역~신동역 구간(223.6km)과 2010년 11월 1일 동대구역~부산역 구간(122.8km)이 개통되었다. 호남고속선은 2015년 4월 2일 오송~광주송정역 구간(183.8km)이 개통되었다. 수서평택고속선은 2016년 12월 9일 SRT 수서역~평택분기점 구간(61.1km)이 개통되었다. 강릉선은 2017년 12월 22일 서원주역~강릉역 구간(120.7km)이 개통되었고, 2020년 3월 강릉삼각선이 개통되었다.
경부선은 1974년 8월 15일 서울역~수원역 구간(41.5km) 전철화를 시작으로, 2006년 12월 8일 옥천역~신동역 구간 전철화로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경인선은 1974년 8월 15일 구로역~인천역 구간(27km)이 전철화되었다. 경의선은 2009년 7월 1일 행신역~문산역 구간을 시작으로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역~도라산역 구간까지 전철화되었다. 경춘선은 2010년 12월 21일 망우역~춘천역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다. 경강선은 2016년 9월 24일 판교~여주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과천선은 1993년 1월 15일 금정역~인덕원역 구간을 시작으로 1994년 4월 1일 인덕원역~남태령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분당선은 1994년 9월 1일 수서역~오리역 구간을 시작으로 2013년 11월 30일 망포역~수원역 구간까지 전철화되었다. 수인선은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역~송도역 구간을 시작으로 2020년 9월 12일 수원역~한대앞역 구간까지 전철화되었다. 안산선은 1988년 10월 26일 금정역~안산역 구간(19.5km)을 시작으로 2000년 7월 28일 안산역~오이도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영동선은 1975년 12월 5일 철암역~동해역 구간(61.5km)을 시작으로 2005년 9월 8일 동해역~강릉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전라선은 2011년 10월 5일 익산역~여수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충북선은 2005년 3월 30일 조치원역~봉양역 구간 전철화로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태백선은 1974년 6월 20일 제천역~고한역 구간(80.1km)을 시작으로 1976년 12월 30일 함백선까지 전철화되었다. 호남선은 2004년 4월 1일 KTX 개통과 함께 대전조차장역~목포역 구간(252.5km)이 전철화되었다.
경원선은 1944년 4월 복계역~고산 구간(직류 1500V) 전철화를 시작으로 2023년 12월 16일 소요산역~연천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장항선은 2008년 12월 15일 천안역~신창역 구간을 시작으로 2020년 12월 10일 익산역~대야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중앙선은 1973년 6월 20일 청량리역~제천역 구간(154.9km) 첫 교류 전철화(25000V-60Hz) 개통을 시작으로[4] 2021년 12월 28일 영천역~경주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동해선은 2015년 2월 24일 모량신호장~포항역 구간을 시작으로 2021년 12월 28일 일광역~태화강역~모량신호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전선은 2010년 12월 15일 낙동강역~마산역(미전선 포함) 구간을 시작으로 2023년 6월 23일 광양역~진주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4. 1.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의 전철화는 여러 노선에서 진행되었다.경부고속선은 2004년 4월 1일 금천구청역~신동역 구간(223.6km)과 2010년 11월 1일 동대구역~부산역 구간(122.8km)이 개통되었다.[1] 호남고속선은 2015년 4월 2일 오송역~광주송정역 구간(183.8km)이 개통되었다.[1] 수서평택고속선은 2016년 12월 9일 SRT 수서역~평택분기점 구간(61.1km)이 개통되었다.[1] 강릉선은 2017년 12월 22일 서원주역~강릉역 구간(120.7km)이 개통되었고, 2020년 3월 강릉삼각선이 개통되었다.[1]
경부선은 1974년 8월 15일 서울역~수원역 구간(41.5km) 전철화를 시작으로[1], 2006년 12월 8일 옥천역~신동역 구간 전철화로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1] 경인선은 1974년 8월 15일 구로역~인천역 구간(27km)이 전철화되었다.[1] 경의선은 2009년 7월 1일 행신역~문산역 구간을 시작으로[1]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역~도라산역 구간까지 전철화되었다.[1] 경춘선은 2010년 12월 21일 망우역~춘천역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다.[1] 경강선은 2016년 9월 24일 판교역~여주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
과천선은 1993년 1월 15일 금정역~인덕원역 구간을 시작으로[1] 1994년 4월 1일 인덕원역~남태령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분당선은 1994년 9월 1일 수서역~오리역 구간을 시작으로[1] 2013년 11월 30일 망포역~수원역 구간까지 전철화되었다.[1] 수인선은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역~송도역 구간을 시작으로[1] 2020년 9월 12일 수원역~한대앞역 구간까지 전철화되었다.[1] 안산선은 1988년 10월 26일 금정역~안산역 구간(19.5km)을 시작으로[1] 2000년 7월 28일 안산역~오이도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영동선은 1975년 12월 5일 철암역~동해역 구간(61.5km)을 시작으로[1] 2005년 9월 8일 동해역~강릉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전라선은 2011년 10월 5일 익산역~여수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충북선은 2005년 3월 30일 조치원역~봉양역 구간 전철화로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1] 태백선은 1974년 6월 20일 제천역~고한역 구간(80.1km)을 시작으로[1] 1976년 12월 30일 함백선까지 전철화되었다.[1] 호남선은 2004년 4월 1일 KTX 개통과 함께 대전조차장~목포역 구간(252.5km)이 전철화되었다.[1]
경원선은 1944년 4월 복계~고산 구간(직류 1500V) 전철화를 시작으로[1] 2023년 12월 16일 소요산역~연천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장항선은 2008년 12월 15일 천안~신창 구간을 시작으로[1] 2020년 12월 10일 익산~대야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중앙선은 1973년 6월 20일 청량리~제천 구간(154.9km) 첫 교류 전철화(25000V-60Hz) 개통을 시작으로[4] 2021년 12월 28일 영천역~경주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동해선은 2015년 2월 24일 모량신호장~포항역 구간을 시작으로[1] 2021년 12월 28일 일광역~태화강역~모량신호장 구간이 개통되었다.[1] 경전선은 2010년 12월 15일 낙동강~마산역(미전선 포함) 구간을 시작으로[1] 2023년 6월 23일 광양역~진주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1]
4. 2. 한국철도공사 이외의 철도
한국철도공사 이외의 철도에는 서울 지하철, 부산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인천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용인 경전철 등이 있다.- 직류 750V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 용인 경전철
5. 통계
wikitable
년도 | 1972년 | 1975년 | 1981년 | 1985년 | 1990년 | 1995년 | 2000년 | 2004년 | 2005년 | 2010년 | 2015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철도거리(km,누계) | - | - | 3,121.3 | 3,120.6 | 3,091.3 | 3,101.2 | 3,123 | 3,374.1 | 3,392 | 3,557.3 | 3,944.3 | 4,154.3 | 4,192.3 | 4,192.3 |
전철거리(km,누계) | 10.6 | 406.9 | 425.8 | 429.4 | 522.4 | 556.3 | 668.7 | 1,585.8 | 1,669.9 | 2,147 | 2,727.3 | 3,043 | 3,273.7 | 3,292.1 |
전철화율(%) | - | - | 13.64% | 13.76% | 16.9% | 17.94%[6] | 21.41% | 47% | 49.23% | 60.35% | 70.94%[7] | 73.25% | 78.09% | 78.53% |
비고 | 태백선 증산~고한 구간 | 경원선 성북~창동 구간 복선전철 개통 |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 개통포함 |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포함 |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 개통포함 | SR포함 | SR포함 | SR포함 |
6. 미래 전망
참조
[1]
뉴스
"(404)수도권 지하·전철시대로-3년 4개월의 대투사 드디어 개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4-08-15
[2]
뉴스
등장(登場)될 전기철마(電氣鐵馬)
http://newslibrary.c[...]
조선일보
1947-03-20
[3]
뉴스
전차(電車)예상외(豫想外)로 조속(早速)히 복구(復舊)?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51-08-03
[4]
뉴스
청량리←→제천간 중앙선전철개통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73-06-20
[5]
뉴스
"[클로즈업 북한] “불편하고 민망”…北 교통망 실태는?"
https://n.news.naver[...]
KBS
2018-05-19
[6]
뉴스
철도 전철화율 선진국 절반에도 못미쳐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7-05-13
[7]
뉴스
철도공단, 2017년 우리나라 철도 전철화율 73.62% 달성
https://www.kr.or.kr[...]
2018-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