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함거포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함거포주의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주요 해군국에서 지지받은 사상으로, 대형 군함에 대형 함포를 많이 탑재하려는 사고방식이다. 증기 기관 발달로 대형 함정 제작이 가능해지고, 함포의 사거리와 위력이 증가하면서 나타났다. 사격 통제 장치의 발달도 거함거포주의를 뒷받침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유틀란트 해전으로 장거리 포격전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더욱 강화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항공모함의 부상과 잠수함 전술의 발전으로 쇠퇴했다.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이후 주포 구경의 제한이 생기면서 대함거포주의는 종말을 맞이했고, 현재는 전함의 신규 건조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거함거포주의 | |
---|---|
거함거포주의 | |
![]() | |
다른 이름 | 대함거포주의 |
영어 | Big gun doctrine |
일본어 | 大艦巨砲主義 (다이칸쿄호슈기) |
개요 | |
개념 | 거대한 군함에 강력한 대구경 포를 장착하여 해상 전투력을 극대화하려는 군사 전략 |
목표 | 해상 우세 확보 및 제해권 장악 |
주요 특징 | 거대한 함선 크기 강력한 대구경 주포 두꺼운 장갑 높은 건조 비용 |
등장 배경 | 산업 혁명으로 인한 철강 기술 발전 해군력 강화 경쟁 시대적 흐름 |
역사 | |
태동 |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
전성기 | 제1차 세계 대전 및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
쇠퇴 | 항공모함의 등장 및 해전 양상 변화 |
주요 해전 | 러일 전쟁의 쓰시마 해전 제1차 세계 대전의 유틀란트 해전 |
주요 함선 | |
영국 해군 | HMS 드레드노트 HMS 퀸 엘리자베스 HMS 후드 |
미국 해군 | USS 뉴욕 아이오와급 |
일본 제국 해군 | 야마토급 |
독일 해군 | SMS 바이에른 |
평가 | |
장점 | 강력한 화력 높은 생존성 심리적 위압감 |
단점 | 높은 건조 및 유지 비용 운용의 복잡성 항공모함에 대한 취약성 |
영향 | |
해군력 경쟁 심화 | 각국의 군비 확장 및 해군력 강화 경쟁을 초래 |
해전 양상 변화 | 함대 간의 대규모 포격전이 주요 해전 양상으로 변화 |
군사 기술 발전 | 함선 건조 기술 및 포격 기술 발전 촉진 |
2. 거함거포주의의 개념과 사상
19세기 말, 증기 기관의 발달로 크고 빠른 함정 제작이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함포 기술도 발전하여, 더 크고 강력한 함포를 탑재한 대형 군함을 건조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을 '거함거포주의'라고 하며,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주요 해군 강국들의 지지를 받았다.[4]
거함거포주의는 단순히 큰 함선에 큰 포를 탑재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격 통제 장치의 발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멀리 있는 적 함선에 포를 명중시킬 수 있는 기술이 없다면, 사거리가 긴 포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2. 1. 거함거포주의의 배경
함포는 대형화될수록 사거리와 위력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대형 군함에 대형 포를 더 많이 탑재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는데, 이러한 사고방식을 거함거포주의라고 한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주요 해군 국가들은 이러한 경향을 지지하였다.[4]일본 해군은 러일 전쟁 당시 동해 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거함거포와 함대 결전을 중시하는 사고방식을 확립하였다. 이후 대동아 전쟁 후반기까지 함대의 주력은 전함이며,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등은 보조적인 역할에 불과하다는 인식이 군령 및 전술상의 주류를 이루었다.
거함거포주의의 발전은 사격 통제 장치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원거리에서 적함에 명중시킬 수 있는 기술 없이는 사거리가 긴 포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2. 2. 거함거포주의 사상의 변천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6년에 발생한 유틀란트 해전에서 영국과 독일이 드레드노트급 전함·초드레드노트급 전함을 포함한 함대로 충돌하여 장거리 포격전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각국의 거함거포주의는 더욱 강화되었고[5], '''속력과 방어력 향상'''을 추구한 '''포스트 유틀란트 함'''(고속 전함)이 건조되었다. 하지만, 필연적으로 배수량도 증가하여 주포 구경의 증대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이러한 반성에서, '''속력·방어력의 밸런스'''가 전함 설계에서 중요시되었다. 지금까지의 전함은 속도를, 순양전함은 방어력을 타협하여 배수량을 억제했지만, 그러한 설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항공기의 발달에 따라 항공기의 우위가 확립되었고, 항공 주병론의 대두로 항공모함이 우위를 점하면서 전함 시대는 막을 내렸다. 한편, 해전 양상은 무제한 잠수함 작전이나 통상 파괴와 같이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잠수함을 이용한 전법에 의해 이미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미국에서 계획되었던, 야마토급 전함(72,800t 45구경 46cm 9문)과 동등한 몬태나급 전함(71,922t 50구경 16인치 포 12문) 총 5척이 1943년에 건조 중단된 것을 기점으로 전함은 종말을 맞이했다.
이후 준공된 아이오와급 전함이나 뱅가드, 장 바르 등은 그 이전에 기공된 것이며, 이후 전함의 신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3. 거함거포주의의 역사
19세기 말, 증기 기관의 발달로 대형 함정 제작이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함포는 대형화될수록 사거리와 위력이 커졌다. 이에 대형 군함에 대형 포를 탑재하려는 '거함거포주의'가 나타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주요 해군국에서 지지를 받았다.[4]
대포 기술 발달로 함포 격침이 가능해지자, 선측에 다수의 함포를 배치하면 방호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포 수를 줄이고 1문당 위력을 높이며 장갑을 갖춘 장갑함 시대가 되었다. 기술 개발로 포 크기(구경·구경장)가 위력과 비례하게 되었고, 전열함에서 장갑함으로 이행하며 소형화되기도 했지만, 대포·동력·조선 기술 발달로 군함은 거대화되었다. 목조 선체에 장갑을 덧댄 장갑함에서 철강 선체 함으로 이행, 대형 선체와 탑재 포를 가진 전함과 소형 정찰 목적의 순양함으로 분기되었다.
거함거포주의 발전은 방위반 등 사격 통제 장치 발달과 관련이 있다. 장거리 포가 있어도 원거리 명중 기술이 없으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3. 1. 노급 전함 이전
19세기 말, 증기 기관의 발달로 대형 함정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더 크고 강력한 함포를 탑재하려는 거함거포주의가 나타났다. 근대 전함의 시초는 로열 서브린급 전함이며, 1895년부터 순차적으로 준공된 마제스틱급 전함은 30.5cm 포 4문을 주포로 탑재하고, 그 포의 위력에 대응하는 장갑을 갖춘 전노급 전함의 기본형을 확립했다. 이후 잠시 동안 각국은 이 양식으로 전함을 건조했다.1906년 영국에서 완성된 드레드노트는 기존 전함에 비해 비약적으로 향상된 공격력과 기동력을 가지고 있어 건조 중인 전함조차 단숨에 구식으로 만들 정도의 충격을 주었다. 그 때문에 이후 세계 해군은 "드레드노트"를 기준으로 삼았고, 이를 노급 전함이라고 칭한다.[4]
3. 2. 드레드노트급 전함 (노급 전함) 등장과 '노급 충격'
드레드노트는 12인치 함포 10문과 20노트 이상의 속도를 갖춘 혁신적인 전함이었다. 이는 당시 해전의 양상을 완전히 바꾸는 '노급 충격'을 일으켰다.[5] 각국은 드레드노트를 기준으로 자국의 주력 전함을 건조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거함거포주의' 경쟁을 촉발했다.초노급 전함의 등장으로 30.5cm 주포 구경의 한계를 넘어서면서, 전함의 공격력은 주포의 크기로 결정되는 시대가 되었다.
3. 3. 초노급 전함과 군비 경쟁
드레드노트 이후 주포 구경의 한계를 넘어선 초노급 전함이 등장하면서 전함의 공격력은 주포의 크기로 결정되는 시대가 되었다.[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전함 위주의 해군 군비 경쟁은 계속되었으며, 1922년 워싱턴 D.C.에서 체결된 해군 군비 제한 조약으로 일시적인 '해군의 휴일'을 맞이했다. 이 조약으로 주요 열강 5개국(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의 주력함 보유 비율은 10:10:6:3:3으로 고정되었고, 기존 함정의 대량 파기 및 신규 함정 건조가 제한되었으며, 신조함(新造艦)의 배수량은 35,000톤, 주포 구경은 16인치로 상한선이 정해졌다.[5] 그러나 조약의 범위 밖에서 보조 전력 경쟁이 심화되었다.1930년에는 보조함 제한 규정을 마련한 런던 해군 군비 제한 조약(1차)이 조인되었다. 그러나 일본은 이러한 군비 제한 조약이 자국에 매우 불리하다고 판단, 1937년 런던 해군 군비 제한 조약(2차) 비준을 거부하여 군축 조약은 사실상 의의를 잃게 되었고, 각국은 조약을 무시하고 거함거포주의의 초거대 전함 건조에 나섰다.
4. 거함거포주의의 종말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해전의 양상이 변화하며 거함거포주의는 종말을 맞이했다. 해전에서 항공모함을 이용한 항공전이 중요해지면서, 주포 사거리가 짧은 전함은 더 이상 주력함이 될 수 없었다.
일본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미국과의 해군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 야마토급 전함을 건조했지만, 항공모함 함재기의 공격에 취약하여 큰 활약을 하지 못했다.[6][7][8] 반면 미국은 전함을 항공모함 호위나 상륙작전 지원에 활용하여 효과를 보았다.
1943년 몬태나급 전함의 건조 중단은 전함 시대의 종말을 상징했다. 이후 건조된 아이오와급 전함, 뱅가드, 장 바르 등은 이전에 기공된 것들이었고, 전함의 신규 건조는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았다.[5]
4. 1. 제2차 세계 대전과 항공모함의 부상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해전에서 항공기를 운용하는 '''"항모기동전술"'''이 시작되면서 해전의 양상이 크게 변화하였다. 일본 해군과 미국 해군이 맞붙은 태평양 전역에서는 진주만 공습, 산호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등 대부분의 해전에서 항공전이 승패를 갈랐다.[5] 항공모함과 함재기를 이용한 전투 방식은 서로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거리에서 레이다로 적을 탐지하고 함재기를 발진시켜 공격하는 방식이었다.이러한 변화로 인해, 주포 사거리가 항공기의 비행 거리에 미치지 못하는 전함은 주력함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었다. 전함은 주포 대신 보조 무기인 대공포를 사용하여 적 항공기를 요격하는 역할, 즉 순양함이나 구축함으로도 충분한 활동밖에 할 수 없게 되었다. 건조 및 유지 비용이 많이 드는 전함은 점차 무용지물이 되었고, 거함거포주의는 사실상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다.[5]
1943년에는 야마토급 전함과 동등한 몬태나급 전함 5척의 건조가 중단되면서 전함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후 아이오와급 전함이나 뱅가드, 장 바르 등이 준공되었지만, 이들은 그 이전에 기공된 것이었고, 이후 전함의 신규 건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4. 2. 일본과 미국의 전함 운용
일본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미국과의 주력함 전력에서 양적, 질적 격차를 겪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야마토급 전함을 건조했다.[6][7][8] 야마토급 전함은 거함거포주의의 결정체였지만, 항공모함 함재기의 공격에 취약하여 결국 "야마토"와 "무사시" 모두 침몰했다.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1941년) 일본과 미국의 초노급 전함 보유 수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전함 종류 | 척수 |
---|---|---|
일본 | 콩고형 (순양전함에서 고속 전함으로 종별 변경) | 4척 |
후소형 | 2척 | |
이세형 | 2척 | |
나가토형 | 2척 | |
야마토형 (건조 중 포함) | 2척 | |
일본 총계 | 12척 | |
미국 | 뉴욕급 전함 | 2척 |
네바다급 전함 | 2척 | |
펜실베이니아급 전함 | 2척 | |
뉴멕시코급 전함 | 3척 | |
테네시급 전함 | 2척 | |
콜로라도급 전함 | 4척 | |
미국 총계 | 15척 |
일본 해군은 대함거포주의에 얽매여 항공주병론으로 전환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9][10] 1942년 4월 28일 및 29일 야마토에서 열린 제1단계 작전 연구회에서 제1항공함대 항공 참모 겐다 미노루 중좌는 대함거포주의에 집착하는 군부를 "진나라 시황제는 아방궁을 짓고, 일본 해군은 전함 '야마토'를 만들어, 함께 웃음을 후세에 남겼다"라고 비판했다.[10]
하지만, 미 해군 역시 전함을 지속적으로 건조한 것을 볼 때 이러한 비판은 완전히 옳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은 항공모함 기동 부대에서 고속 전함을 항공모함 호위함으로 사용하고, 상륙작전 시 함포 사격을 통해 적진을 파괴하는 등 전함을 유용하게 활용했다.
5. 거함거포주의에 대한 찬반 논쟁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 해군이 미 해군과 달리 대함거포주의에 얽매여 항공 우위 사상으로 전환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지만, 미 해군의 전함 건조 수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생각은 완전히 잘못되었다'''. 개전 직전까지 함력이 20년을 넘는 전함 10척밖에 보유하지 않은 일본 해군은 야마토형 '''2척'''을 건조했을 뿐이지만, 1940년 시점에서 미 해군은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2척, 사우스다코타급 전함 4척, 아이오와급 전함 4척, '''총 10척'''의 건조를 시작했으며, 일본 측은 이러한 동향 및 각 함의 성능을 파악하고 있었다.[13]
또한, 대함거포주의나 항공 우위 사상의 의미는 다의적이어서 검증하기 어려우며, 일본이 결전에 대비하여 전함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는 의견도 있다.[14]
5. 1. 일본 해군 내의 논쟁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 해군 내에서는 대함거포주의에 대한 반성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후쿠도메 시게루 중장은 "오랫동안 전함 중심의 함대 훈련에 몰두해 온 나의 머리는 전환할 수 없었고, 나구모 기동 부대가 진주만 공격에서 위력을 발휘한 후에도 기동 부대는 보조 작업에 맡겨야 하며, 결전 병력은 여전히 대함거포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반성했다.[15] 마유즈미 하루오 대좌는 대함거포가 항공 주병에 패배한 후에도, 전쟁 전의 예상대로 포격 주체의 함대 결전을 벌였어야 한다고 평생 주장했다.[16]반면, 대함거포주의에 반대했던 일본 해군의 항공 주병론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겐다 미노루 대좌는 해군이 대함거포주의에서 항공으로 전환하지 못했던 것은 조직 개혁에서의 희생을 꺼리는 직업 의식이 강했던 것이 원인이었다고 지적하며, "대포가 없으면 우리들은 실업할 수밖에 없다. 아마 그런 것이겠지요. 병술 사상을 바꾼다는 것은, 단순히 병기의 구성을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대함거포주의에 입각하여 구축되어 온 조직을 바꾸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인정에 약하고 파란을 싫어하는 일본인의 성격으로는, 좀처럼 어려운 일입니다"라고 말했다.[17] 오쿠미야 마사타케 중좌는 전함 무용론을 포함한 항공 주병론은 전쟁 전에는 극단적으로 보였지만, 태평양 전쟁의 경과가 그 전망이 거의 옳았음을 증명했다며, 특히 항공 관계자가 한탄한 것은 대함거포주의 하에서 만들어지는 전함의 건조비, 유지비 등 막대한 경비가 낭비되는 데 비해 거의 전황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이며, 그것을 항공에 돌리면 더욱 강력한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18]
참조
[1]
서적
日本史広辞典
山川出版社
1997-10-22
[2]
서적
日本造船技術百年史
日本造船学会
1997-05
[3]
서적
The Eclipse of the Big Gun: The Warship, 1906–45. Conway's History of the Ship
Conway Maritime Press
1992-05-30
[4]
서적
大艦巨砲主義の盛衰
[5]
서적
世界の軍艦 WWI/WWII篇
竹書房
[6]
서적
世界の軍艦 WWI/WWII篇
竹書房
[7]
웹사이트
日本海軍はなぜ大和を建造したのか
https://www.jiji.com[...]
[8]
웹사이트
戦艦大和 ~最後の戦い~
https://www.jacar.go[...]
[9]
간행물
海軍航空概史
[10]
서적
ミッドウェー
学研M文庫
[11]
간행물
海軍航空概史
[12]
간행물
海軍航空概史
[13]
문서
○米國海軍建艦状況一覧表(1940-10-1調)
[14]
논문
イデオロギーとしての「大艦巨砲主義批判」
https://web.archive.[...]
2013-03
[15]
서적
日本海軍の功罪
プレジデント社
[16]
서적
海軍砲戦史談
原書房
1972
[17]
서적
日本海軍の功罪 五人の佐官が語る歴史の教訓
プレジデント社
[18]
서적
大艦巨砲主義の盛衰
朝日ソノラ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