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역관동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역관동권은 일본의 행정 구역상 여러 현을 포괄하는 지역으로, 행정 기관 및 관할 범위가 다양하다. 이 지역은 도쿄를 중심으로 경제, 문화, 인구 이동 등 여러 측면에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갑신에쓰, 시즈오카현, 후쿠시마현 등 주변 지역과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범주로 묶여 불리기도 한다. 2020년 기준 인구는 5,417만 명이며, 일본 GDP의 약 45%를 차지하는 경제 규모를 보인다. 또한, 도쿄를 중심으로 주간 인구와 야간 인구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인접 도도부현 간의 인구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토 지방 - 수도권 (일본)
    수도권은 일본의 수도 도쿄를 중심으로 법률, 통계, 일반적인 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 광역 도시권으로, 수도권정비법에서는 도쿄도와 주변 8개 현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간토 지방 1도 7현 또는 1도 3현을 가리키며, "도쿄권" 또는 "도쿄 도시권"이라고도 불린다.
  • 간토 지방 - 도카이도
    도카이도는 혼슈 태평양 연안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대에는 간토와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현재는 국도, 철도, 신칸센 등으로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 일본의 도시권 - 수도권 (일본)
    수도권은 일본의 수도 도쿄를 중심으로 법률, 통계, 일반적인 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 광역 도시권으로, 수도권정비법에서는 도쿄도와 주변 8개 현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간토 지방 1도 7현 또는 1도 3현을 가리키며, "도쿄권" 또는 "도쿄 도시권"이라고도 불린다.
  • 일본의 도시권 - 삿포로 도시권
    삿포로 도시권은 삿포로시를 중심으로 행정적, 경제적, 교통적 측면에서 다양한 정의와 범위를 가지며, 홋카이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일본에 관한 - 소카시
    소카시는 사이타마현 남동부에 위치하며 과거 역참 마을로 발전했고 현재는 도쿄의 베드타운이자 소카 센베이로 유명하며 2004년 특례시로 지정된 인구 약 25만 명의 도시이다.
  • 일본에 관한 - 최고재판소 (일본)
    일본 최고재판소는 1947년에 설립된 일본의 최고 사법기관으로, 상고 및 소송법에서 정하는 항고에 대한 최종심 판결을 내리고, 법령 해석의 통일 및 헌법 위반 여부 판단(위헌심사)을 담당하며, 내각이 임명하는 15명의 재판관과 재판소장으로 구성된다.
광역관동권
지도 정보
개요
명칭광역 간토권
로마자 표기Kōiki Kantōken
주요 지역간토 지방
범위
정의간토 지방 전체
야마나시현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음
수도권과의 차이점수도권은 간토 지방과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
사용되는 맥락지역 구분
방송 지역 구분
관련 지역 구분
간토 지방광역 간토권의 핵심 지역
수도권광역 간토권보다 더 넓은 지역을 포괄
동일본간토 지방을 포함하는 더 넓은 지역
주로 일본의 동쪽 지역을 의미
행정 구역
포함 지역 (기본)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도쿄도
가나가와현
포함 지역 (확장)야마나시현 (경우에 따라)
특징
중심지도쿄도
경제적 특징일본의 경제 중심지 중 하나
문화적 특징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공존
활용 예시
방송방송 권역 구분시 활용
통계지역 통계 작성 시 활용
정책지역 정책 수립 시 활용

2. 행정 구역 및 관할 기관

광역 관동권은 행정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된 지역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정부 기관 및 기업에서 이 지역을 관할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1956년 수도권정비법에 따라 야마나시현수도권에 포함되었고, 1957년 동북개발촉진법에 따라 후쿠시마현니가타현이 동북권에, 1966년 중부권개발정비법에 따라 나가노현시즈오카현이 중부권에 포함되었다. 각 현의 개발 계획에 따른 공공사업 창구로는 이러한 틀에서 지사회가 구성되었다(전국지사회 참조). 관동지방지사회를 구성하는 지자체 중 시즈오카현나가노현은 중부권지사회의 구성 지자체에도 포함된다.

현대에는 고속 교통과 제3차 산업의 비율이 증가하고, 도쿄도(특히 도쿄 23구)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도쿄 또는 관동지방(특히 남관동)과의 경제적 연관이 깊은 지역으로서 "광역 관동권"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게 되었다.

2. 1. 행정 기관

주요 행정 기관으로는 도쿄고등법원, 방위성 동부방면대, 총무성, 경찰청 관동관구경찰국, 법무성 도쿄입국재류관리국, 재무성, 환경성 관동지방환경사무소, 농림수산성 관동농정국, 후생노동성 관동신에쓰후생국, 공정거래위원회, 산림청 관동산림관리국 등이 있다.[1] 각 기관의 관할 범위는 기관 및 소관 업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2. 기타

일본의 상용 전원 주파수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니가타현 에치고 지역(50Hz)과 니가타현사도시 및 호쿠리쿠 3현에 속하는 도야마현·이시카와현·후쿠이현(60Hz) 사이에서 차이가 난다. 또한, 나가노현시즈오카현에는 50Hz와 60Hz 지역이 혼재한다.

NHK는 전국을 8개 권역으로 나누고 있지만, 니가타·나가노·야마나시는 도쿄 본국의 관할로서 '간토코신에쓰'로 묶는 반면, 시즈오카현은 '주부(도카이호쿠리쿠)', 후쿠시마현은 '도호쿠'의 틀로 되어 있다. NHK의 일기 예보에서는 간토 광역 예보 표시 범위에 시즈오카현 동부와 이즈 지방도 포함되어 있다(한때는 예보만 시즈오카현 전역이나 후쿠시마현을 표시했던 적도 있었지만, 2020년 이후로는 시즈오카현 동부와 이즈 지방으로 좁혀졌다). NHK종합텔레비전의 기행 프로그램『작은 여행』의 프로그램 이름은 원래 '간토코신에쓰 작은 여행'이었다. 후쿠시마현시즈오카현을 취재 지역에 추가한 후, 프로그램 이름에서 '간토코신에쓰'를 빼고 현재는 전국 각지를 취재 지역으로 하고 있다.

3. 인접 지역과의 관계

광역 관동권은 주변 지역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교류 양상이 다르다.

경기도를 제외한 관동 1도 6현(이바라키현일본어, 도치기현일본어, 군마현일본어, 사이타마현일본어, 지바현일본어, 도쿄도일본어, 가나가와현일본어)에 인접한 현은 북쪽부터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나가노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의 5개 현이다.

1956년 수도권정비법에 따라 야마나시현이 수도권에 포함되었고, 1957년 동북개발촉진법에 따라 후쿠시마현과 니가타현이 동북권에 포함되었으며, 1966년 중부권개발정비법에 따라 나가노현과 시즈오카현이 중부권에 포함되었다. 각 현의 개발 계획에 따른 공공사업 창구로는 이러한 틀에서 지사회가 구성되었다(전국지사회 참조). 관동지방지사회를 구성하는 지자체 중 시즈오카현나가노현은 중부권지사회의 구성 지자체에도 포함되어 있다.

현대에는 고속 교통과 제3차 산업 비율이 증가하고, 도쿄도(특히 도쿄 23구)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도쿄 또는 관동지방(특히 남관동)과의 경제적 연관이 깊은 지역으로서 "광역 관동권"이라는 틀이 나타나게 되었다.

야마나시현, 나가노현, 니가타현을 묶어 갑신에쓰라고 부르며, 이 지역은 관동 지방과의 관계가 깊다. 도쿄에 본사를 둔 기업이나 중앙성청의 지방분부국에서는 관동 1도 6현에 이들 지역을 더한 '관동갑신', '관동갑에쓰', '관동갑신에쓰', '관동신에쓰' 등의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3. 1. 갑신에쓰 (야마나시현, 나가노현, 니가타현)

도쿄에 본사를 둔 기업이나 중앙성청(재무성재무국·공정거래위원회·후생노동성 후생국 등)의 지방분부국에서는 관동 지방 1도 6현에 야마나시현·나가노현을 더한 '''관동갑신''', 또는 관동에 니가타현·야마나시현 2현을 더한 '''관동갑에쓰''', 더 나아가 관동 지방에 니가타현·야마나시현·나가노현 3현을 더한 '''관동갑신에쓰''', 야마나시현을 관동 지방에 포함한 수도권에 신에쓰[2]를 더한 '''관동신에쓰'''라는 틀이 자주 보인다.

갑신에쓰 3현은 현경계나 교통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역(니가타현 조에쓰 지역과 나가노현 호쿠신 지역·토신 지역 간, 야마나시현 코쿠추 지역과 나가노현의 추신 지역·난신 지역 간)에서는 상호 인적·경제적 교류가 있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는 각 현이 별개로 도쿄와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 발전했다. 도도부현 간 유동 조사에서 현외 유출 1위가 3현 모두 도쿄도이기 때문에 "갑신에쓰의 중심 도시는 도쿄"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갑신에쓰 지방」으로서의 블록성은 약하고, 「관동갑신에쓰」라는 표현은 「관동과 야마나시현」「관동과 나가노현」「관동과 니가타현」의 각각의 연결을 종합하여 표현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나가노현, 니가타현, 야마나시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문단을 참조할 수 있다.

3. 1. 1. 나가노현

나가노현은 지형적인 이유로 시오지리고개, 젠치도리고개, 토리이고개, 와다고개, 다이몬고개, 무기쿠사고개[3]를 경계로 남북 간의 차이가 있다. 나가노현의 남쪽은 모두 태평양으로 흘러드는 텐류강, 키소강, 후지강 유역에 속하는 반면, 북쪽은 일본해로 흘러드는 시나노강, 히메강, 세키강 유역에 속하여 분현론이 있을 정도였다(신슈(信濃)의 나라#역사 참조).

나가노현 남신지역 중 하이이(下伊那)지구는 도쿄보다 나고야를 중심으로 한 주쿄권(中京圏)과의 인적 교류 및 경제·문화적 유대가 강하다.[3]

또한 나가노현 중신지역 중 키소 지역은 고대에는 미노국에 속했고,[4] 에도시대에는 오와리번의 영지였으며, 키소강은 노노미야(濃尾)평야에서 이세만으로 흘러들기 때문에 주쿄권의 일부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3. 1. 2. 니가타현

니가타현메이지 유신 이후 도쿄와의 교통이 발달하면서 관동 지방과의 관계가 강화되었다. 도도부현 간 유동 조사에서 니가타현에서 다른 지역으로 나가는 사람들의 1위는 도쿄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관동과 니가타현"의 연결을 표현한 "관동갑신에쓰"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3. 1. 3. 야마나시현

야마나시현은 지역에 따라 관동 지방과의 연계 정도가 다르다. 특히 군나이 지역은 남칸토와의 교류가 활발하다. 메이지 유신 이후, 야마나시현은 도쿄도와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 발전했으며, 현외 유출 1위가 도쿄도일 정도로 "갑신에쓰의 중심 도시는 도쿄"라고 할 수 있다.[2]

후지산은 야마나시현과 시즈오카현에 걸쳐 있으며, 야마나시현의 가이 고쿠추 지역과 시즈오카현 스루가 지역후지카와 유역에 속한다. 따라서 야마나시현과 시즈오카현을 묶어 산세이 지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방언학적으로도 야마나시현 고쿠추 지역은 나가노·야마나시·시즈오카 방언(나야시 방언)에 속하며, 시즈오카현 및 나가노현과 상호 간에 일정한 연관성이 있다.

3. 2. 시즈오카현

시즈오카현은 일반적으로 도카이 지방 또는 중부 지방으로 분류되지만, 역사적으로 관동 지방과의 관계가 깊다. 시즈오카현은 지역에 따라 도쿄 지향과 나고야 지향으로 나뉘며, 특히 동부 지역은 도쿄와의 연계가 강하다.

3. 3. 후쿠시마현

후쿠시마현은 동북 지방에 속하지만, 관동 지방과의 경제적, 인적 교류가 활발하다. 특히 현 남부 지역은 관동 지향이 강한 편이다. 1957년 제정된 동북개발촉진법에 따라 후쿠시마현은 동북권에 포함되었지만, 교통망 발달로 도쿄도와의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일부 분야에서는 광역 관동권에 포함되기도 한다.[2]

4. 인구 및 도시권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반으로 한 도시고용권(10% 통근권)에 따르면, 광역관동권에는 1도 12현에 걸쳐 다양한 도시권(권역 인구 20만 명 이상)이 존재한다. 주요 도시권의 명칭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

순위도시고용권인구(명)
1도쿄 도시권35,303,778
12마에바시 도시권1,263,034
13하마마쓰 도시권1,129,296
15우쓰노미야 도시권1,103,745
17니가타 도시권1,060,013
18시즈오카 도시권988,056
19쓰쿠바 도시권843,402
29미토 도시권687,734
35오타 도시권613,825
56히타치 도시권349,111
58나리타 도시권328,796
67카미스 도시권270,079
72나스시오바라 도시권250,876
84오야마 도시권218,354



이 외에도 나가노 도시권, 고후 도시권, 코리아마 도시권 등 다양한 도시권이 존재한다.

4. 1. 인구

2020년 10월 1일 현재 국세조사에 따른 광역관동권 12개 도현의 총 인구는 54,179,052명이다.[16]

도현인구
이바라키현(茨城県)2,867,009명
토치기현(栃木県)1,933,146명
군마현(群馬県)1,939,110명
사이타마현(埼玉県)7,344,765명
지바현(千葉県)6,284,480명
도쿄도(東京都)14,047,594명
가나가와현(神奈川県)9,237,337명
후쿠시마현(福島県)1,833,152명
니가타현(新潟県)2,201,272명
야마나시현(山梨県)809,974명
나가노현(長野県)2,048,011명
시즈오카현(静岡県)3,633,202명



도쿄도의 하위 행정구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행정 구역인구
도쿄 23구(東京都区部)9,733,276명
다마 지역(多摩地域)4,289,857명
이즈 제도(伊豆諸島)21,532명
오가사와라 제도(小笠原諸島)2,929명



1도 12현의 주요 도시권(권역 인구 20만 명 이상)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반으로 한 도시고용권(10% 통근권)에 따른다. 도시권 명칭 및 인구는 2015년 당시의 것이다.

순위도시고용권인구(명)
1도쿄 도시권35,303,778
12마에바시 도시권1,263,034
13하마마쓰 도시권1,129,296
15우쓰노미야 도시권1,103,745
17니가타 도시권1,060,013
18시즈오카 도시권988,056
19쓰쿠바 도시권843,402
29미토 도시권687,734
35오타 도시권613,825
36나가노 도시권589,549
37고후 도시권585,986
39코리아마 도시권544,662
44누마즈 도시권497,258
48마쓰모토 도시권447,802
53후지 도시권387,236
54나가오카 도시권356,767
55이와키 도시권350,237
56히타치 도시권349,111
58나리타 도시권328,796
67카미스 도시권270,079
72나스시오바라 도시권250,876
78죠에쓰 도시권230,186
81아이즈와카마쓰 도시권223,807
84오야마 도시권218,354
85산죠 도시권215,037
86후루카와 도시권212,776
87우에다 도시권212,314



: ''참고: 표시는 관동 1도 6현 이외의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도시권''

4. 2. 주요 도시권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반으로 한 도시고용권(10% 통근권)에 따르면, 광역관동권에는 1도 12현에 걸쳐 다양한 도시권(권역 인구 20만 명 이상)이 존재한다. 이들 도시권의 명칭과 인구는 2015년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순위도시고용권인구
1도쿄 도시권35,303,778
12마에바시 도시권1,263,034
13하마마쓰 도시권1,129,296
15우쓰노미야 도시권1,103,745
17니가타 도시권1,060,013
18시즈오카 도시권988,056
19쓰쿠바 도시권843,402
29미토 도시권687,734
35오타 도시권613,825
56히타치 도시권349,111
58나리타 도시권328,796
67카미스 도시권270,079
72나스시오바라 도시권250,876
84오야마 도시권218,354



위 표에서 언급된 도시권 외에도, 나가노 도시권, 고후 도시권, 코리아마 도시권, 누마즈 도시권, 마쓰모토 도시권, 후지 도시권, 나가오카 도시권, 이와키 도시권, 죠에쓰 도시권, 아이즈와카마쓰 도시권, 산죠 도시권, 후루카와 도시권, 우에다 도시권 등 다양한 도시권이 존재한다.

5. 방언

광역 관동권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서관동방언은 에도 도쿄 방언의 기초를 이루고 있으며,[18] 남관동(도쿄도 구부(구 도쿄시사다마 지역·가나가와현·사이타마현·지바현군마현·도치기현 아시카가시야마나시현 군내 지역)이 서관동방언 지역에 속한다. 현재는 간토·고신에쓰·시즈오카 지방 1도 10현 전역에서 에도 도쿄 방언을 모태로 한 표준어(수도권 방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동해동산방언'''은 '''나가노·야마나시·시즈오카 방언'''(나야시 방언), '''북부 이즈 제도 방언''' 및 '''에치고 방언''' 등으로 나뉜다.


  • 나가노·야마나시·시즈오카 방언(나야시 방언):야마나시현 고쿠츄 지역 - 나가노현 - 시즈오카현
  • 북부 이즈 제도 방언:오시마 - 토시마 - 신시마 - 신쓰시마 - 미야케지마 - 오구라지마
  • 에치고 방언:니가타현(사도가섬, 아가노가와 이북의 아가키타 지역 및 히가시카마이라군 아가정 제외)


니가타현 중 아가노가와 이북의 아가키타 지역 및 히가시카마이라군 아가정, 이바라키현도치기현 (아시카가시 제외)은 '''동북・동관동 방언''' 지역에 속한다.

이즈 제도하치조섬, 하치조코지마, 아오가시마 및 조도는 하치조 방언 지역에 속한다.

니가타현에서는 유일하게 사도가섬만이 호쿠리쿠 방언 사도 방언 지역에 속한다.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사용되는 보닌어(English로는 '''Bonin islands''' )는 서구계 원주민과 일본 민족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혼성어[19]이다.

6. 통계

2020년 지역경제계산에 따르면, 광역관동권을 구성하는 1도 10현의 현민총생산 합계는 256.3061조이다. 이는 일본 GDP의 약 45%를 차지하며, 세계 10위인 브라질의 GDP와 거의 같은 규모이다.

2020년 국세조사 결과 도쿄도의 주간 인구는 1675.1만 명, 야간 인구는 1404.7만 명으로 주간 인구가 야간 인구보다 270.4만 명 더 많다. 반면 사이타마현, 가나가와현, 치바현 등 도쿄도 주변 현들은 주간 인구가 야간 인구보다 적다. 이는 도쿄도로 통근, 통학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주간인구야간인구주야간 차이
군마현193.9만 명193.9만 명0.03만 명
도치기현191.3만 명193.3만 명-2.0만 명
이바라키현279.8만 명286.7만 명-6.9만 명
치바현554.9만 명628.4만 명-73.5만 명
사이타마현643.4만 명734.4만 명-91.0만 명
도쿄도1675.1만 명1404.7만 명270.4만 명
가나가와현830.5만 명923.7만 명-93.2만 명



2015년 기준 각 도도부현 간 인구 이동 현황을 보면, 연간 100만 명 이상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1] 특히 도쿄도와 주변 현들 사이의 이동량이 많다. 이는 광역관동권 내 교통망이 발달하여 지역 간 이동이 편리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6. 1. 현민총생산

2020년 지역경제계산에 따르면, 광역관동권을 구성하는 1도 10현의 현민총생산 합계는 256.3061조이다. 이는 일본 GDP의 약 45%를 차지하며, 세계 10위인 브라질의 GDP와 거의 같은 규모이다.

6. 2. 주간/야간 인구

2020년 국세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쿄도는 주간 인구가 1675.1만 명, 야간 인구가 1404.7만 명으로 주간 인구가 야간 인구보다 270.4만 명 더 많다. 반면 사이타마현, 가나가와현, 치바현 등 도쿄도 주변 현들은 주간 인구가 야간 인구보다 적은 현상을 보인다. 이는 도쿄도로 통근, 통학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주간인구야간인구주야간 차이
군마현193.9만 명193.9만 명0.03만 명
도치기현191.3만 명193.3만 명-2.0만 명
이바라키현279.8만 명286.7만 명-6.9만 명
치바현554.9만 명628.4만 명-73.5만 명
사이타마현643.4만 명734.4만 명-91.0만 명
도쿄도1675.1만 명1404.7만 명270.4만 명
가나가와현830.5만 명923.7만 명-93.2만 명


6. 3. 도도부현 간 이동

2015년 기준 각 도도부현 간 인구 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연간 100만 명 이상 이동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1] 특히 도쿄도와 주변 현들 사이의 이동량이 두드러진다.



이는 광역관동권 내 교통망이 발달하여 지역 간 이동이 편리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関東経済産業局管轄区域 https://www.kanto.me[...]
[2] 서적 コンサイス日本地名事典 第3版 三省堂 1989-12
[3] 지도 エアリアマップ グランプリ21 10万分の1 長野・山梨県道路地図 最新版 昭文社 1995-05
[4] 서적 角川日本史辞典 第二版 角川書店 1974
[5] 서적 角川日本史辞典 第二版 角川書店 1974
[6] 서적 広辞苑
[7] 웹사이트 遠国 https://www.weblio.j[...] 大辞林:三省堂提供
[8] 서적 コンサイス日本地名事典 第3版 三省堂 1989
[9] 지도 平凡社版 日本地図帳 JAPAN ATLAS 平凡社 1991-02
[10] 지도 マップル (4) 関東道路地図 1:100000 昭文社 1999-01
[11] 지도 グランプリ21 10万分の1 長野・山梨県道路地図 昭文社 1995-05
[12] 서적 コンサイス日本地名事典 第3版 三省堂 1989
[13] 지도 現代日本分県地図 人文社 1992
[14] 서적 角川日本史辞典 第二版 角川書店 1974
[15] 서적 角川日本史辞典 第二版 角川書店 1974
[16] 웹사이트 令和2年国勢調査 人口等基本集計結果 結果の概要 https://www.stat.go.[...]
[17] 서적 世界の言語ガイドブック 2 アジア・アフリカ地域 三省堂 1998-03
[18] 서적 世界の言語ガイドブック 2 アジア・アフリカ地域 三省堂 1998-03
[19] 웹사이트 小笠原における言語接触の歴史 http://nihongo.human[...] 2017-09 # 링크 끊김 날짜를 date 필드로 사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