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치만 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치만 신은 일본의 신으로, 일반적으로 오진 천황의 신령으로 여겨지며, 황실의 조상신이자 수호신으로 숭배받았다. 하치만 신앙은 일본 전역으로 퍼져나가, 현재 1만에서 2만 곳의 하치만 신사가 존재하며, 우사 신궁이 총본산이다. 하치만 신은 무가와 깊은 관련을 맺으며 무사들의 수호신으로 숭앙받았고, 신불습합을 통해 불교와 융합되기도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신불분리령에 따라 변화를 겪었지만, 군신으로서의 신앙은 지속되었고, 현대에도 신불습합을 부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요로 4년(720년), 하야토의 난이 발발하자 조정은 우사하치만에 신탁을 구했고, 하치만 신은 "내가 가서 굴복시키겠다"라며 스스로 정벌에 나섰다고 한다. 이때 많은 하야토를 죽인 일로 호조에가 개최되었다고 한다.
하치만 신은 무사 가문, 특히 세이와 겐지와 깊은 관련이 있다.
하치만 신을 모시는 신사는 하치만구(八幡宮), 하치만 신사(八幡神社), 하치만샤(八幡社), 하치만사마(八幡さま), 와카미야 신사(若宮神社) 등으로 불리며, 그 수는 1만에서 2만 곳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이나리 신사에 이어 일본 전국 2위 규모이다. 오카다 쇼지(岡田荘司)에 따르면 제신(祭神)으로 일본 전국의 신사를 분류할 경우 하치만 신앙으로 분류되는 신사는 7,817곳으로 일본 전국 1위라고 한다.[49]
1868년(메이지 원년) 신불분리령으로 전국의 하치만구는 신사로 개조되었고, 진구지는 폐지되었으며, 본지불이나 승형 하치만 신상도 철거되었다. 하치만 대보살 칭호는 폐지되었고, 우사 하치만구와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의 방생회는 각각 추슈 마쓰리, 이와시미즈 마쓰리로 변경되었다.[38]
메이지 원년(1868년) 신불분리령에 따라 전국의 하치만구는 신사로 개편되었고, 진구지는 폐지되었으며, 본지불과 승형 하치만 신의 상은 철거되었다. 또한 메이지 정부는 불교적 신호인 '''하치만 대보살'''(하치만 다이보사쓰)을 금지하였다. 우사 하치만구와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의 호조에는 각각 추계제, 이와시미즈제로 개정되었다[13] . 쓰루오카 하치만구는 현재도 6월에 반딧불이 방생제, 헤이세이 16년( 2004년)부터는 9월에 방울벌레 방생제를 추가하여 연 2회 실시하고 있다.
[1]
서적
Shinzō: Hachiman Imagery and Its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Harvard University
1985-07-01
2. 역사적 배경
덴표 12년(740년), 후지와라노 히로쓰구가 다자이후에서 반란을 일으키자(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대장군 오노노 아즈마비토가 우사하치만에 전승을 기원했다. 반란 진압 후, 이듬해 법화경과 금자최승왕경 등을 봉납하고 삼중탑을 건립했다. 덴표 17년(745년) 쇼무 천황이 병에 걸려 히로쓰구의 원령 때문이라는 소문이 돌자, 오노노 아즈마비토와 함께 진압에 나섰던 아베노 무시마로가 우사하치만에 파견되어 천황의 병 회복과 히로쓰구 원령 진무를 기원했다.[22]
덴표쇼호 원년(749년) 쇼무 천황이 나라의 대불을 건설할 때, 우사하치만 신은 천황과 같은 금동 봉황을 단 가마를 타고 입경하여 이를 도왔다.
진호케이운 3년(769년), 승려 도쿄가 쇼토쿠 천황의 신임을 얻어 황위를 노리자, "도쿄를 황위에 앉히면 천하가 태평해질 것이다"라는 우사 신궁의 신탁이 있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조정은 와케노 기요마로를 파견하여 신탁을 확인했고, "무도한 자를 제거해야 한다"는 신탁을 받아 도쿄의 야망은 좌절되었다. (우사하치만구 신탁 사건) 이 사건은 당시 불교 정책을 둘러싼 조정 내 대립과 관련이 있으며, 하치만 신이 정치적 항쟁에 휘말린 결과로 해석되기도 한다.[19]
고닌 천황 즉위 후 쇼무 천황의 혈통이 끊어지고 천재지변이 잇따르자, 조정은 쇼무 천황과 관련된 이들의 재앙을 두려워했다. 호키 8년(777년) 5월 19일(쇼무 천황 장례 29주년)에 하치만 신이 "출가"하고, 덴오 원년(781년)에 "하치만 대보살" 호가 주어졌다. 이는 조정이 쇼무 천황 사후 하치만 신과 결합했다고 믿고, 보살호를 주어 불교 수호신으로 삼아 재앙을 막으려 한 것으로 보인다.[19]
2. 1. 기원과 정체
일본 신토에서 하치만 신은 오진 천황(호무타와케노 미코토誉田別命)의 신령으로, 긴메이 천황 32년(571년)에 처음 우사(宇佐) 땅에 나타났다고 전해진다.[37] 오진 천황(호무타와케노 미코토)을 주신으로 하여 히메노카미(比売神), 오진 천황의 어머니로 알려진 전설적인 인물 진구 황후와 함께 '''하치만 삼신'''('''八幡三神''')으로 제사지낸다. 신사에 따라서는 하치만 삼신 가운데 히메노카미나 진구 황후 대신 주아이 천황, 다케노우치노 스쿠네, 다마요리히메노 미코토를 섬기는 경우도 있다.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가 서로 맹세할 때, 스사노오가 지닌 검 도쓰카노쓰루기를 아마테라스가 씹어 내뱉은 자리에서 태어났다는 무나가타 세 여신(宗像三女神), 즉 다기쓰히메노 미코토・이치키시마히메노 미코토・다기리히메노 미코토가 지쿠시(筑紫)의 우사 섬(宇佐嶋, 우사의 오모토 산御許山)에 강림했다고 전해진다.[38] 이들은 무나카타 씨(宗像氏) 등 아마비토(海人) 집단이 섬기는 신이었다. 진구 황후의 삼한 정벌 때 무나카타 씨가 협력한 것을 계기로 이들이 섬기던 세 여신이 야마토 조정의 신으로 포섭되었다. 하치만 신 이전에 존재했던 지주신(地主神)으로도 알려져 있다.[35] 히메노카미는 하치만 신의 부인, 백모, 또는 어머니 신으로서의 다마요리히메(玉依姫命)나, 오진 천황의 황후인 나카쓰히메노 미코토(仲津姫命)라는 설이 있다.[38] 도다이지에 소장된 《도다이지요록》이나 《스미요시 대사 신대기》에 하치만 신을 오진 천황이라 기술한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나라 시대에서 헤이안 시대에 걸쳐 오진 천황이 기존의 하치만 신과 동일시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38] 최근에는 히메노카미가 히미코 또는 아마테라스일 것이라는 설이나 시라야마히메 신(白山比咩神)이라는 설도 있다.
::《고사기》 및 《일본서기》에서 오진 천황은 어머니 태내에서부터 이미 천황이 될 운명을 타고난 '태중(胎中)의 천황'이라 불렸고, 황후에 대한 신앙이 모자 신앙으로 확대되었다고 해석된다. 삼한 정벌에 협력한 무나카타 씨 등이 섬기던 무나카타 세 여신이나 스미요시 삼신(住吉三神),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등 많은 신들이 각지에서 섬겨졌고, 진구 황후 이후 쓰시마의 히로하타 하치만 대신(広幡乃八幡大神, 오진 천황)은 이름의 유래인 커다란 군기(軍旗) 여덟 개를 세워 신을 제사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하치만 신을 오진 천황으로 보는 기록은 《고사기》, 《일본서기》, 《속일본기》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하치만 신의 유래를 오진 천황으로 보는 데는 근거가 없다고 할 수 있다.[38] 《도다이지요록》, 《스미요시 대사 신대기》에 관련 기록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나라 시대에서 헤이안 시대에 걸쳐 오진 천황이 하치만 신과 동일시되기 시작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38] 현대 하치만 신사의 제신(祭神)은 대부분 오진 천황이지만, 하치만 삼신을 구성하는 히메노카미, 진구 황후 외에도 다마요리히메나 오진 천황의 아버지 주아이 천황과 함께 제사지내는 신사도 많다.[38]
'하치만'(八幡)이라는 단어는 《속일본기》 덴표 9년(737년)조에 처음 등장하며, 덴표쇼호 원년(749년) 선명에 '히로야노 야하타노 오카미'(広幡乃八幡大神), 《일본영이기》의 '야하타노카미'(矢幡神), 《겐지모노가타리》 제22첩 다마카즈라의 '야하타노 미야'(ヤハタの宮)처럼 훈독했으나, 훗날 신불습합과 함께 불교식으로 음독하여 '하치만'으로 읽게 되었다. '하타'(幡)란 '신'이 내려오는 '강림처(요리시로)'로서의 '깃발(하타)'을 의미한다.[38] 야하타(八幡)는 여덟(일본어에서 숫자 8은 '많다'는 의미) 개의 깃발을 의미하며, 진구 황후가 삼한 정벌을 위해 쓰시마에 갔을 때 제단에 여덟 깃발을 세워 제사했고,[38] 오진 천황 탄생 시 지붕 위에 여덟 깃발이 펄럭였다는 전설이 있다.[38]
원래 하치만 신은 기타큐슈 호족 구니노미야쓰코(国造) 우사 씨(宇佐氏)의 씨족신이었고,[44] 우사 신궁에서 제사했는데, 영검을 보여 야마토 조정의 수호신이 되었다. 역사적으로 신탁을 잘 내린 신으로도 알려졌다. 덴표 20년(748년) 9월 1일, 하치만 신은 "나는 진단국(震旦国, 중국)에 강림했다가 지금은 일역(日域, 일본국)을 지키는 대신이 되었다"(《하치만 우사궁 어탁선집》 권2, 권6)고 밝혔다. 그러나 《부젠 국 풍토기》에는 "옛날 신라국 신이 건너와 가와라(河原, 고하루香春)에 머물렀다"고 기록되어 있다.[45] '신도노 카타노 카바네 계도'(辛嶋勝姓系図)에는 스사노오노 미코토와 그 아들 이소타케 신의 자손으로 아마테라스와 친척간이라고 적혀 있다.[46]
2. 2. 황실과의 관계
하치만 신은 오진 천황의 신령으로서 일본 황실의 조상신이라는 위치를 지니고 있다. 가마쿠라 시대의 군담소설 《이세의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太神)・하치만 대보살(八幡大菩薩)께서 점지하시는 바"라고 기록되어 있어, 아마테라스에 버금가는 황실의 수호신으로 알려져 있었다. 호무타 하치만구(誉田八幡宮)의 창건도 오진 천황과의 연고가 예로부터 깊었고, 황실도 우사 신궁(宇佐神宮, 우사 하치만구)이나 이와시미즈 하치만구(石清水八幡宮)를 이세 신궁에 버금가는 두 번째 종묘(宗廟)로 취급해 숭배했다.[39][47]
오진 천황은 어머니이자 황후인 진구 황후의 태내에서부터 이미 즉위할 운명이었으며, '태내 천황'이라 불렸다. 때로는 숭배받을 아이의 '어머니 신'으로 여겨졌다. '삼한 정벌'에 도움을 준 무나카타 씨가 숭배하던 삼 무나카타 여신, 삼 스미요시 신(住吉三神)과 아마테라스 여신 역시 여러 곳에서 숭배받고 있다. 전승에 따르면, 정벌 이후 진구 황후가 쓰시마(対馬)에 8개의 큰 군기를 세운 것이 '히로하타노 야하타 오카미(広幡乃八幡大神)'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당시 천황이었던 황후의 아들 오진 천황에게 '야하타(八幡)'라는 이름이 붙여진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2. 3. 신불습합
도다이지 대불 건조 당시 덴표쇼호 원년(749년), 우사 하치만(宇佐八幡)의 신탁을 받았다고 자처하는 비구니가 수도로 올라와 하치만 신이 대불 제작에 협력할 것을 선언했다는 기록이 있어, 일찍부터 불교와 습합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15][16][40][41][42][43] 덴오 원년(781년) 조정은 우사 하치만에게 진호 국가・불교 수호의 신으로서 '''하치만 대보살'''(八幡大菩薩)이라는 신호를 하사했다. 이로 인해 전국 사찰의 진수신으로 하치만 신을 권청하면서 하치만 신앙이 전국으로 퍼지게 되었다. 이후 혼지스이쟈쿠 사상에 따라 아미타여래가 하치만 신의 본지불(本地仏)이라는 믿음이 퍼져갔다. 그러나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니치렌은 아미타여래설을 부정하고 하치만 대보살의 본지를 석가모니불로 주장하였다.[17][18]
헤이안 시대 이후, 세이와 겐지, 간무 헤이시 등의 무사들의 숭배를 받아 전국에 하치만 신사가 권청되었고, 혼지스이쟈쿠 사상이 퍼지면서 승려 형태로 표현되게 되어, 이를 "승형 팔만신(僧形八幡神, 소교 하치만신)"이라고 한다.
일본에 불교가 전래된 후, 하치만은 신불습합 요소를 갖춘 신이 되었다. 8세기에는 불교 신판에 八幡大菩薩|하치만 다이보사츠일본어[7]으로 합류했으며, 그의 ''신사'' 및 징구는 불교 사찰의 신사에 통합되었다.
3. 무가와의 관계
요로(養老) 4년(720년), 하야토(隼人)의 난이 일어나자 조정은 우사하치만에 신탁을 구했고, 하치만 신은 직접 정벌에 나서겠다고 했다. 많은 하야토를 죽인 것에 대한 호조에가 열리게 되었다.[47] 덴표쇼호 원년(749년) 쇼무 천황(聖武天皇)이 나라의 대불을 만들 때, 하치만 신은 천황과 함께 수도로 와서 도왔다고 한다.
진고케이운(神護景雲) 3년(769년), 승려 도쿄(道鏡)가 쇼토쿠 천황의 신임을 얻어 천황 자리를 노리고, 우사 신궁에서 자신을 황위에 앉히면 천하가 태평할 것이라는 신탁을 받았다고 거짓 선언했다. 그러나 와케노 기요마로(和気清麻呂)가 다시 신의 뜻을 확인한 결과, "무도한 자를 제거해야 한다"는 신탁을 받아 도쿄의 야망은 좌절되었다.
헤이안 시대 후기, 다이라노 마사카도(平将門)는 스스로를 신황(新皇)이라 칭하며 939년에 고즈케국의 관아에서 하치만 대보살로부터 신황의 지위를 보증받았다고 《쇼몬키》(将門記)는 전한다. 교토 조정은 이와시미즈 하치만구(石清水八幡宮)에서 마사카도를 굴복시키기 위한 기도를 올렸고, 난이 진압된 후 하치만 신은 국가 수호신으로 숭배가 높아졌다.[47] 엔유 천황 이후 천황과 상황의 이와시미즈 하치만구 행차는 240번이나 이루어졌다.[47]
세이와 겐지는 하치만 신을 씨족신으로 존숭했고, 전국 각지에 권청했다.[47] 미나모토노 요리요시는 가와치국 쓰바이 하치만구(壺井八幡宮)를 가와치 겐지의 씨족신으로 선포했다. 그의 아들 미나모토노 요시이에는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에서 성인식을 치르고 스스로를 '하치만타로 요시이에'(八幡太郎義家)라 칭했다.[47] 요리요시, 요시이에 부자는 전9년의 역, 후3년의 역을 진압하며 무사들을 규합하고 반도에서 겐지의 기반을 다졌다.
하치만 신은 무가를 고대 왕조 질서로부터 해방시켜, 아마테라스를 받드는 교토 조정과는 다른 세계를 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지쇼(治承) 4년(1180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는 헤이케와의 첫 전투인 후지강 전투에서 시즈오카현 하치만 부근에 본영을 두었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가 요리토모와 대면한 곳도 이곳이었고, 시미즈정 기세가와 하치만 신사(黄瀬川八幡神社)에는 형제가 헤이케 추토를 맹세했다는 대면석(対面石)이 있다. 요리토모는 오슈 후지와라 씨를 멸망시킬 때 '이세 대신궁', '하치만 대보살'의 이름을 적은 깃발을 앞세웠다.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의 거점 가마쿠라에 쓰루가오카하치만구(鶴岡八幡宮)를 세웠고, 막부의 고케닌들도 하치만 신을 영지 안에 권청했다. 무로마치 막부의 아시카가씨(足利氏)도 하치만 신을 열성적으로 숭배했다.[38]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사후 자신을 '신하치만'(新八幡)으로 모시도록 유언했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도요쿠니 신사에 '도요쿠니 대명신'(豊国大明神)으로 모셔졌다.
미나모토노 요시이에는 교토 이와시미즈 신사에서 성인이 되면서 '하치만타로 요시이에'라는 이름을 얻었고, 군사적 용맹함과 지도자로서의 덕행으로 이상적인 사무라이로 존경받았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쇼군이 되어 가마쿠라 막부를 세운 후, 하치만은 무사 계급의 수호신이 되었다. 하치만 신사의 신체는 보통 등자 또는 활이다.[8]
가마쿠라 막부 수립 이후 하치만 숭배는 일본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현재 하치만에게 헌정된 신사는 약 2,500개이다. 오이타현 우사의 우사 신사가 본사이며, 이와시미즈 하치만구, 하코자키구, 쓰루가오카 하치만구가 중요하다.
하치만의 몬 (문장)은 ''미쓰도모에''이다. 많은 사무라이 씨족이 이 ''몬''을 사용했다.
4. 주요 하치만 신사
하치만 신사의 총본사는 오이타현 우사시에 있는 우사 신궁(우사 하치만구)이다. 원래 우사 지방 오카미 씨(大神氏)의 씨족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농경신 또는 바다의 신으로 모셔졌다. 야나기타 구니오는 대장장이 신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긴메이 천황(재위 539년 - 571년) 때 오카노 히키(大神比義)에 의해 제사되었다고 한다.
우사 신궁에 전해지는 《하치만 우사궁 어선탁집》(八幡宇佐宮御託宣集)에서는 긴메이 천황 32년(571년) 정월 초하루에 "호무타노 스메라미코토 히로하타노 하치만마로"(誉田天皇広幡八幡麿)라고 자칭하는 하치만 신이 나타났고, 이때부터 하치만 신을 오진 천황으로 동일시하게 되었다는 전승을 전하고 있다.[49] 또한 후쿠오카현 이즈카시 다이부(大分, 가에 군嘉穂郡 옛 지쿠호 정筑穂町)에 있던 다이부 궁(大分宮, 다이부 하치만구大分八幡宮)은 우사 신궁의 본궁이자 하코자키 궁의 원궁(元宮)이라고 《하치만 우사궁 선탁집》에 기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흔히 3대 하치만으로 오이타 현 우사 시의 우사 신궁, 교토 부 야와타시의 이와시미즈 하치만구, 후쿠오카시의 하코자키 하치만구를 꼽는데, 하코자키 하치만구 대신 가마쿠라의 쓰루가오카 하치만구를 더하기도 한다.[50]
5. 메이지 유신 이후
교토 도지 경내 진슈 하치만구는 신불분리령 당시 화재로 소실, 1992년 재건되어 구카이가 직접 새겼다는 승려형 하치만 대보살 상을 본존으로 모셨다.[48] 쓰루가오카 하치만구는 현재 6월과 9월에 반딧불이 방생회, 방울벌레 방생회를 열고 있다.
신불분리령 이후에도 군신으로서 하치만 신앙은 유지되어,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 육해군 항공기지에는 '나무하치만대보살' 깃발을 걸었고, '하치만' 이름을 딴 공습부대도 있었다. 항공기 조종사(특히 가미카제)의 신앙 대상이었으며, 1944년 일본 영화 뇌격대 출동에도 출격 시 하치만 대보살 깃발을 흔드는 장면이 나온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사후 자신을 "신하치만"으로 모시고, 도다이지 대불전의 테무케야마 하치만구를 본떠 호코지 대불전(교토의 대불)의 진수 하치만구를 건설할 것을 유언했다. 히데요시 사후, 고요제이 천황은 "도요쿠니 다이묘진" 신호를 내려 도요쿠니 신사에 모셨다.
이와시미즈 하치만구 구지이자 전국 하치만구 연합 총본부장, 진자본청 총장인 다나카 쓰네키요는 신불 습합 부활에 적극적이었고,[28][29] 2006년 "메이지 유신 이전 신불 동좌, 신불 화합 정신의 부활"을 목표로 하는 신불 영장회 설립에 발기인으로 참여,[30] 이후 회장으로서 "신불 화합"이 "우리나라 본래 신앙의 모습"이라 말했다.[31]
6. 현대의 하치만 신앙
그러나 신불 분리 후에도 하치만 대보살의 신호는 끈질기게 남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육해군 항공기지에는 "나무 하치만 대보살"의 큰 깃발이 걸렸고, "하치만 공습 부대(하치만 부대)"를 칭하는 부대도 있었다. 또한, 항공기 탑승원(특히 특공대원)의 신앙도 모았다. 1944년에 제작된, 항공기 탑승원을 그린 영화 "뇌격대출동"에서도 출격 시 하치만 대보살의 깃발을 흔드는 장면이 묘사되었다.
헤이세이 4년(1992년), 도지(교오고쿠지) ( 교토시미나미구)는 메이지 원년(1868년)에 소실된 경내 셋샤의 친수 하치만구를 124년 만에 재건하였고, 본존은 "고보 대사가 직접 조각했다고 전해지는" "승형 하치만 신"이다[27] .
이와시미즈 하치만구구지이자 전국 하치만구 연합 총본부장, 진자본청의 총장(=대표 이사)인 다나카 쓰네키요는 신불 습합의 부활에 적극적으로 힘썼다[28][29], 헤이세이 17년(2006년)에는 "메이지 유신 이전의 신불 동좌, 신불 화합의 정신의 부활을 목표"로 하는 "신불 영장회"의 설립에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서 관여하였고[30], 이후 동회의 "회장"에 취임하였다. 그는 회장으로서 "신불 화합"이 "우리나라 본래의 신앙의 모습"이라고 말했다[31] .
현재, 몇몇 하치만구에서는 희망하는 참배자에게 "하치만 대보살" 묵서의 고슈인을 수여하고 있다[32] .
참조
[2]
간행물
Violence, Ritual Reenactment, and Ideology: The "Hōjō-e" (Rite for Release of Sentient Beings) of the USA Hachiman Shrine in Japan
https://www.jstor.or[...]
1994
[3]
웹사이트
Hachiman & Hachimangū Shrines
http://www.onmarkpro[...]
[4]
웹사이트
Hachiman Shreine
http://www.univie.ac[...]
University of Vienna
2010-08-17
[5]
문서
Essentials of Shinto: An Analytical Guide to Principle Teachings
Green Wood Press, Westport
1994
[6]
웹사이트
Shamei Bunpu (Shrine Names and Distributions)
http://eos.kokugakui[...]
Encyclopedia of Shinto
2010-03-23
[7]
간행물
The Hachiman Cult and the Dōkyō Incident
[8]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World Mythology) (Hardcover)
https://archive.org/[...]
ABC-CLIO
2003-11-05
[9]
웹사이트
宇佐神宮|宇佐神宮について - ご祭神
http://www.usajinguu[...]
[10]
서적
八幡神とはなにか
角川学芸出版
[11]
웹사이트
由緒 宇佐神宮公式ホームページ
http://www.usajinguu[...]
[12]
문서
[13]
서적
八幡神社—歴史と伝説
勉誠出版
2003-11
[14]
웹사이트
宇佐神宮|トップページ
http://www.usajinguu[...]
[15]
문서
神道事典
[16]
문서
八幡宇佐宮御託宣集
[17]
웹사이트
日蓮宗 現代宗教研究所 所報第33号
http://www.genshu.gr[...]
[18]
문서
日蓮と神祇
2006-12
[19]
문서
信仰の広がり
吉川弘文館
2016
[20]
문서
道教について
朝日新聞社
2003
[21]
서적
プレステップ神道学
弘文堂
[22]
문서
聖武天皇と八幡神 -天平勝宝六年十一月魘魅事件の意義-
法蔵館
2024
[23]
서적
東北の田村語り
三弥井書房
2004
[24]
서적
東北の田村語り
三弥井書房
2004
[25]
서적
「鎌倉」とはなにか
山川出版
2003
[26]
웹사이트
石清水八幡宮|歴史と信仰
http://www.iwashimiz[...]
[27]
웹사이트
東寺公式サイト/大日堂・鎮守八幡宮・宝蔵
https://toji.or.jp/g[...]
[28]
뉴스
神仏習合へ高まる気運
中外日報
2005-11-16
[29]
뉴스
関西で神仏習合 広がれ多極共存の波動
北海道新聞
2006-01-09
[30]
웹사이트
神仏霊場会公式サイト・沿革
http://shinbutsureij[...]
[31]
웹사이트
神仏霊場会公式サイト・神仏霊場会への誘い
http://shinbutsureij[...]
[32]
문서
[33]
서적
謎多き神 八幡神のすべて
http://www.d1.dion.n[...]
新人物往来社
2010
[34]
서적
全国八幡神社名鑑(別冊歴史読本―神社シリーズ (99))
新人物往来社
2004
[35]
웹인용
우사 신궁(宇佐神宮)|우사 신궁(宇佐神宮)에 대하여(일본어 사이트) - 제신(祭神)
http://www.usajinguu[...]
2015-09-07
[36]
서적
하치만 신이란 무엇인가
출판
2004
[37]
웹인용
우사 신궁|우사 신궁에 대하여 (일본어 사이트) - 유래
https://web.archive.[...]
2015-09-07
[38]
서적
하치만 신사(八幡神社)—역사와 전설
벤세이 출판(勉誠出版)
2003-11
[39]
웹인용
우사 신궁 (일본어)|메인
https://web.archive.[...]
2015-09-07
[40]
웹인용
니치렌종 현대종교연구소 소보(所報) 제33호(일본어)
https://web.archive.[...]
2015-09-07
[41]
웹인용
니치렌종 홈페이지 (일본어)
https://web.archive.[...]
2015-09-07
[42]
서적
니치렌과 신지
2006-12
[43]
문서
하치만 대보살, 석가세존이라는 표기는 출전에 따랐다.
[44]
서적
하치만 신앙
고서방(塙書房)
1985-06
[45]
간행물
도교에 대하여
아사히 신문사
[46]
문서
스사노오는 다카마가하라에서 쫓겨나 한반도의 신라로 내려왔다가 다시 바다를 건너 일본 열도로 들어왔다고 《일본서기》 일서(一書)는 적고 있는데 고대 한반도의 변한(弁韓) 등은 야마타이 국과 교류가 많았고, 변한과 인접한 신라는 예로부터 진한(辰韓) 또는 진한(秦韓)이라 불리며 주민 가운데 중국에서 한반도 남동부로 이주해 왔다는 기록이 《삼국지》(三国志) 위지 동이전(3세기 후반)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에서 한반도도 거쳐온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하타 씨(秦氏)의 선조 궁월군(弓月君)을 따라 일본 열도로 도래했고, 이들은 훗날 하타 씨(秦氏)라 칭했다. 이들의 도래 시기를 《일본서기》는 오진 천황의 대로 전하고 있다.
[47]
웹인용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역사와 신앙 (일본어)
https://web.archive.[...]
2015-09-07
[48]
웹인용
도지 공식 사이트 (일본어)/대일당(大日堂)・진슈하치만구(鎮守八幡宮)・호초(宝蔵)
https://web.archive.[...]
2015-09-07
[49]
문서
호무타노 스메라미코토는 오진 천황의 일본풍 시호이다.
[50]
서적
수수께끼의 신 - 하치만의 모든 것
신인물왕래사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