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식 (148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식(148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다. 1501년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다가, 중종의 개혁 의지에 따라 조광조 등과 함께 등용되었다. 그는 현량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대사성에 이르렀으나,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자결했다. 김식은 개혁 정치를 펼치며 훈구 세력 제거에 앞장섰고, 후학 양성에도 힘썼으며, 명종 때 복권되어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의(文毅)이다.

2. 생애

김식은 청풍 김씨로, 예빈시정에 추증된 김숙필(金叔弼)의 아들이며 사림파의 대표적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어머니 사천 목씨(泗川睦氏)는 학식이 있어 당시 사람들은 여자 선비라 불렀다. 서울에서 성장하였으며, 어릴 적 아버지를 여의고 학문에 정진하여 1501년(연산군 7)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벼슬에는 뜻이 없어 과거 시험에 응시하지 않고 집에서 성리학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그 뒤 효령대군의 후손인 왕족 영신군 이이의 딸 전주 이씨와 혼인하였다. 영신군은 효령대군 이보의 아들 의성군 이채의 서자였다.[1]

초기에는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신명인(申命仁), 목세칭(睦世秤), 오희안(吳希顔), 김윤종(金胤宗), 조경(趙瓊), 홍순복(洪舜福), 이세명(李世銘), 윤광일(尹光溢), 신영(申瑛), 김덕수(金德秀) 등이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1]

조선 중종은 정치적 분위기를 쇄신하고 훈구파 공신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조광조, 박훈 등과 함께 성균관과 이조판서 안당의 천거로 김식을 관직에 등용했다. 김식은 종6품직인 광흥창주부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형조좌랑, 호조좌랑, 사헌부지평, 장령 등을 역임했다.

중종 반정 당시 공신이 된 훈구파 중 위훈자를 가려내, 76인에 대한 공신 또는 원종공신 자격을 삭제하고 토지와 노비를 빼앗는 등 과격한 정치를 펼쳤다. 김식은 조광조 등과의 개인적 친분, 사림 인맥을 바탕으로 훈구세력 제거에 앞장섰으며, 조광조와 함께 왕도정치 실현을 위한 개혁정치를 추진했는데, 미신 타파, 향약 실시, 정국공신(靖國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등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무속불교 관련 행사, 불사 등도 미신으로 간주하여 금지할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1519년 4월 조광조, 김정(金淨) 등 사림파의 건의로 실시된 현량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여, 사림파의 지도자로 올라섰다. 이후 벼슬이 대사성에 이르렀다.[1][2] 당시 현량과 천거 명목에는 성품, 기국, 재능, 학식, 행실, 행적, 생활 태도, 현실 대응 의식 등 일곱 가지가 있었는데, 김식은 현량과 급제자 28명 가운데 유일하게 이 7개 항목 모두 만점을 받았다.[1][2] 현량과 급제 닷새 뒤에 성균관사성으로 승진하였고, 10일 후에는 홍문관직제학(弘文館直提學)에 올랐다. 이조판서 신상(申鏛)과 의정부우의정 안당대사성에 추천하였으나 중종은 이들의 주청을 물리치고 홍문관부제학에 임명하였다.[1][2] 그러나 신상안당의 재차 상계(上啓)에 의해 마침내 대사성에 임명되었다.[1][2] 그의 파격 승진에 훈구파와 온건 사림파들은 일부 반발하였다.

심정, 홍경주, 온건 사림파인 남곤, 김전 등이 기묘사화를 일으키자 조광조 일파에 대한 체포령이 떨어졌다. 그해 11월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절도안치(絶島安置)의 처벌이 내려졌으나, 영의정 정광필 등의 비호로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

뒤따라 일어난 신사무옥에 연좌되어 다시 절도로 이배된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체포를 피해 경상도 거창으로 가서 1520년(중종 15) 5월 16일 〈군신천세의〉(君臣千世義) 또는 〈군신천재의 〉(君臣千載義)라는 시를 짓고 자결하였다.

日暮天含黑중국어

山空寺入雲중국어

君臣千載義중국어

何處有孤墳중국어

그는 자신의 종자에게 멀리 떨어진 마을에서 음식을 마련해 오게 시키고는 중종에게 남길 상소문을 몇 통 지었다.

亡命臣某。謹再拜稽首吐露微臣寸忱于 主上殿下。臣雖無狀。粗識古人行己之有方。非不知偸生之可恥。守節之可尙。必此冒恥而爲之者。見兇賊之將危 宗社。欲效區區之忠義。 殿下少垂察焉。豈特知臣之情而已哉。沈貞本一貪饕無厭小人。不爲淸議所容。積怨于胸。思欲作亂者久矣。第無其隙。因光祖知遇 聖上。學者同趨。小民稱善。乃造讖文。潛撓 上志。又族群不逞。遂搆士林之禍。중국어

與南衮多聚武士。其意豈止於翦除士林而已哉。朝廷非 殿下之朝a090_320d廷。乃貞,衮之朝廷也。 殿下之勢。不亦孤哉。不亦危哉。臣故隱忍亡命。而俟奸兇危逼 君上。則挺身赴難。以報 殿下不世之遇。此臣之素志也。且臣深知 殿下之疑光祖非本心也。罪臣亦非本心。故爲此區區也。 殿下深察微臣情素。而觀其勢。則可以知奸兇之情迹。若 殿下終始不悟。則 祖宗奈何。 社稷奈何。盡殺名士而國存者未之有也。微臣一身。非所恤也。以臣之故。延及無辜。臣卽爲 殿下訣。중국어

몇 통의 편지를 남긴 뒤 목을 매어 죽었다.

2. 1. 생애 초반

김식은 청풍 김씨로, 생원으로 예빈시정에 추증된 김숙필(金叔弼)의 아들이었으며 사림파의 대표적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어머니는 사천 목씨(泗川睦氏)인데, 학식이 있어 당시 사람들은 여자 선비라 불렀다고 한다. 서울에서 성장하였으며, 어릴 적 아버지를 여의고 학문에 정진하여 1501년(연산군 7) 진사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는 뜻이 없어 과거 시험에 응시하지 않고 집에서 성리학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그 뒤 효령대군의 후손인 왕족 영신군 이이의 딸 전주 이씨와 혼인하였다. 영신군은 효령대군 이보의 아들 의성군 이채의 서자였다.[1]

초기에는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신명인(申命仁), 목세칭(睦世秤), 오희안(吳希顔), 김윤종(金胤宗), 조경(趙瓊), 홍순복(洪舜福), 이세명(李世銘), 윤광일(尹光溢), 신영(申瑛), 김덕수(金德秀) 등이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1]

2. 2. 천거와 출사

김식은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바로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이후 조선 중종이 정치적 분위기를 쇄신하고 훈구파 공신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조광조, 박훈 등과 함께 성균관과 이조판서 안당의 천거로 김식을 관직에 등용했다. 김식은 종6품직인 광흥창주부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형조좌랑, 호조좌랑을 거쳤다. 응교 한충은 중종에게 "김식은 통하지 못하는 학문이 없으니, 성리학을 진강하는데 그보다 나은 사람은 없습니다."라고 천거했고, 이에 따라 김식은 사헌부지평, 장령 등을 역임했다.

2. 2. 1. 개혁 정책

김식은 조광조, 김안국, 기준 등과 함께 도학 소장파를 이루어 제도 개혁과 교화 시험을 촉진하였다. 그는 중종 반정 당시 공신이 된 훈구파 중 위훈자를 가려내, 76인에 대한 공신 또는 원종공신 자격을 삭제하고 토지와 노비를 빼앗는 등 과격한 정치를 펼쳤다. 김식은 사림의 영수로 추앙받던 조광조와 학문적, 인간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김식은 조광조 등과의 개인적 친분, 사림 인맥을 바탕으로 훈구세력 제거에 앞장섰다. 또한 조광조와 함께 왕도정치 실현을 위한 개혁정치를 추진했는데, 미신 타파, 향약 실시, 정국공신(靖國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등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무속불교 관련 행사, 불사 등도 미신으로 간주하여 금지할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2. 3. 현량과 급제

1519년 4월 조광조, 김정(金淨) 등 사림파의 건의로 실시된 현량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후 벼슬이 대사성에 이르렀다.[1][2]

당시 현량과 천거 명목에는 성품, 기국, 재능, 학식, 행실, 행적, 생활 태도, 현실 대응 의식 등 일곱 가지가 있었는데, 김식은 현량과 급제자 28명 가운데 유일하게 이 7개 항목 모두 만점을 받았다.[1][2] 이는 당시 사림들로부터 두터운 신뢰를 얻고 있었고, 중앙에 이미 진출해 있던 사림파 중에서도 조광조에 버금가는 인물로 평가되고 있었음을 뜻한다.[1][2]

현량과에 급제한 직후 사림파의 지도자로 올라섰다. 현량과 급제 닷새 뒤에 성균관사성으로 승진하였고, 10일 후에는 홍문관직제학(弘文館直提學)에 올랐는데, 이는 현량과 실시일로부터 겨우 보름 사이의 일이었다. 이조판서 신상(申鏛)과 의정부우의정 안당은 이에 만족하지 못하여 대사성에 추천하였으나 중종은 이들의 주청을 물리치고 홍문관부제학에 임명하였다.[1][2]

2. 4. 기묘사화와 최후

그러나 신상안당의 재차 상계(上啓)에 의해 마침내 대사성에 임명되었다.[1][2] 그의 파격 승진에 훈구파와 온건 사림파들은 일부 반발하였다.

마침내 훈구파의 심정, 홍경주, 온건 사림파인 남곤, 김전 등이 기묘사화를 일으키자 조광조 일파에 대한 체포령이 떨어졌다. 그해 11월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절도안치(絶島安置)의 처벌이 내려졌으나, 영의정 정광필 등의 비호로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

뒤따라 일어난 신사무옥에 연좌되어 다시 절도로 이배된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체포를 피해 경상도 거창으로 가서 1520년(중종 15) 5월 16일 〈군신천세의〉(君臣千世義) 또는 〈군신천재의 〉(君臣千載義)라는 시를 짓고 자결하였다.

日暮天含黑중국어

山空寺入雲중국어

君臣千載義중국어

何處有孤墳중국어

그는 자신의 종자에게 멀리 떨어진 마을에서 음식을 마련해 오게 시키고는 중종에게 남길 상소문을 몇 통 지었다.

亡命臣某。謹再拜稽首吐露微臣寸忱于 主上殿下。臣雖無狀。粗識古人行己之有方。非不知偸生之可恥。守節之可尙。必此冒恥而爲之者。見兇賊之將危 宗社。欲效區區之忠義。 殿下少垂察焉。豈特知臣之情而已哉。沈貞本一貪饕無厭小人。不爲淸議所容。積怨于胸。思欲作亂者久矣。第無其隙。因光祖知遇 聖上。學者同趨。小民稱善。乃造讖文。潛撓 上志。又族群不逞。遂搆士林之禍。중국어

與南衮多聚武士。其意豈止於翦除士林而已哉。朝廷非 殿下之朝a090_320d廷。乃貞,衮之朝廷也。 殿下之勢。不亦孤哉。不亦危哉。臣故隱忍亡命。而俟奸兇危逼 君上。則挺身赴難。以報 殿下不世之遇。此臣之素志也。且臣深知 殿下之疑光祖非本心也。罪臣亦非本心。故爲此區區也。 殿下深察微臣情素。而觀其勢。則可以知奸兇之情迹。若 殿下終始不悟。則 祖宗奈何。 社稷奈何。盡殺名士而國存者未之有也。微臣一身。非所恤也。以臣之故。延及無辜。臣卽爲 殿下訣。중국어

몇 통의 편지를 남긴 뒤 목을 매어 죽었다.

3. 사후

그는 양주군 평구역(平丘驛) 위 금촌면 금촌리(金村里, 현 남양주시 삼패동) 간좌(艮坐)의 언덕에 매장되었다.[1] 상을 치른 사람은 외종사촌 현헌(玄軒) 목세칭(睦世秤)이었고, 문인 구봉(龜峯) 신명인(申命仁)이 송옥(宋玉)의 초혼 (招魂)을 본떠서 애사(哀詞)를 지었다.[1] 비석은 1659년(효종 10년) 9월 4대손 김좌명이 지었다.[1]

그의 묘소는 남양주시 삼패동 산 29-1번지 소쿠리마을 부락 왼쪽 편 산기슭에 있다.[1] 근처에는 8대손으로 정조의 장인 김시묵의 묘소가 있고, 김육, 김좌명 등 후손들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1] 묘소 남동쪽으로 한강이 있고, 묘소 뒷산 너머에는 덕소리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1]

기묘사화현량과가 폐지되면서 직첩과 홍패도 환수되었으나 명종 때 복권여론이 나타나 복관되었다.[1] 선조 때 증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증 의정부 좌찬성추증되었으며, 다시 증 의정부 영의정추증되었다.[1] 시호는 문의(文毅)이다.[1] 양근(楊根)의 미원서원(迷原書院), 청풍의 황강서원(凰岡書院), 거창의 완계서원(浣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1] 신도비문은 김좌명의 부탁으로 용주 조경이 짓고 썼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김숙필(金叔弼)예빈시정에 추증
어머니사천 목씨(泗川 睦氏)목철성(睦哲成)의 딸, 학식이 있어 여자 선비라 불림
부인전주 이씨(全州李氏)영신군 이이의 딸, 효령대군의 후손
장인영신군 이이의성군 이채의 서자, 효령대군의 증손자
아들김덕수(金德秀)
아들김덕순(金德純)
아들김덕기(金德器)
아들김덕무(金德懋)
자부파평 윤씨(坡平尹氏)윤린(尹麟)의 딸
손자김권(金權)
사위손세눌(孫世訥)우후 역임
사위빈양령 이언수(濱陽令 李彥脩)
처증조부효령대군 이보태종의 차남, 세종의 형님, 양녕대군의 동생


5. 평가

조광조·김안국·기준 등과 함께 도학(道學) 소장파를 이루어 제도 개혁과 교화 시험을 촉진하였다. 한편, 중종 반정 공신 중 위훈자(僞勳者)를 가려내어 76인의 공신 자격 또는 원종공신 자격을 삭제하고, 토지와 노비를 빼앗는 등 과격한 정치를 하였다. 그는 사림의 영수로 숭앙받던 조광조와 학문적·인간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1][2]

조광조 등과의 개인적 친분, 사림 인맥 등을 바탕으로 훈구세력 제거에 앞장섰으며, 조광조와 함께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 개혁정치를 폈다. 그 내용으로는 미신 타파, 향약 실시, 정국공신(靖國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등을 시책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무속불교 관련 행사, 불사(佛事) 등의 금지를 적극적으로 촉구하였다.

1519년 4월 조광조·김정 등 사림파의 건의로 실시된 현량과에서 장원으로 급제, 이후 벼슬이 대사성에 이르렀다. 당시 현량과 천거 항목에는 성품·기국·재능·학식·행실·행적·생활 태도 또는 현실 대응 의식 등 일곱 가지가 있었는데, 김식은 현량과 급제자 28명 중 유일하게 이 7개 항목 모두 만점을 받아 완벽하게 평가받았다.[1][2] 이는 당시 사림들로부터 두터운 신뢰를 얻고 있었고, 중앙에 이미 진출해 있던 사림파 중에서도 조광조에 버금가는 인물로 평가되고 있었음을 뜻한다.[1][2]

기묘사화 이후 현량과가 폐지되면서 직첩과 홍패도 환수되었으나, 명종 때 복권 여론이 나타나면서 복관되었다. 선조 때 증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증 의정부 좌찬성추증되었으며, 다시 증 의정부 영의정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의(文毅)이다. 양근(楊根)의 미원서원(迷原書院), 청풍의 황강서원(凰岡書院), 거창의 완계서원(浣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6. 기타

김식은 효령대군의 후손인 왕족 영신군 이이의 딸 전주 이씨와 결혼하였다. 영신군은 효령대군 이보의 아들 의성군 이채의 서자였다.[1]

초기에는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글을 가르쳤으며, 문하생으로는 신명인, 목세칭, 오희안, 김윤종, 조경, 홍순복, 이세명, 윤광일, 신영, 김덕수 등이 있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김식:네이트 한국학 http://koreandb.nate[...]
[2] 웹인용 김식: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https://web.archive.[...] 2011-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