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옙스크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옙스크 사건은 1920년 러시아 내전 중 야코프 트랴피친이 이끄는 붉은 군대가 니콜라옙스크온아무르를 점령한 후 일본인, 러시아인, 한인 등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블라디보스토크 진입에 대한 소련과 일본 간의 논의 중 발생했으며, 일본은 이를 빌미로 북사할린을 점령했다. 사건 당시 한인들은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붉은 군대에 가담하기도 했으며, 일본 내에서는 사건의 참상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일었다. 현재 니콜라옙스크에는 사건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니콜라옙스크 사건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학살 이후 니콜라옙스크의 폐허
위치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표적러시아 및 일본 민간인과 포로
날짜1920년 3월 12일 – 1920년 6월 3일
유형학살
사망자수천 명 (인구의 절반)
가해자야코프 트랴피친 휘하의 붉은 군대 파르티잔 부대
배경
러시아 내전 시베리아 개입시베리아 개입
관련 전투일본 개입
라즈돌노예
노비츠카야
로마노프카
수찬 계곡
노보 리토프스카야
포솔스카야
니콜라옙스크
니항 사건 (尼港事件)
위치니콜라옙스크 (尼港, 현재의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날짜1920년 3월 - 5월
결과붉은 군대가 니콜라옙스크를 점령하고 파괴함. 책임자는 후일 재판에 의해 처형됨.
교전 세력백군
일본군
교전 세력 2붉은 군대
중국군
지휘관이시카와 마사치카
지휘관 2야코프 트랴피친
진세영(陣世栄)
병력백군 약 300명
일본군 350~400명
병력 24300명
사상자약 6000명 사망, 이 중 일본인은 최소 731명
사상자 250명 사망
관련 이미지
니항 순난자 추도비 (아마쿠사시 고와마치 테노)
니콜라옙스크 사건
관련 정보Николаевский инцидент (러시아어)
니코-지켄 (일본어)

2. 학살의 전개

알렉세이 테플야코프 박사에 따르면, 1920년까지 러시아 극동 지역 주민들에게 적색 학살은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 1918년 3월, 블라고베셴스크에서 1,000명이 넘는 주민들이 적위대에 의해 희생되었다. 그러나 야코프 트랴피친의 학살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학살 중에서도 가장 무자비했다.[237]

야코프 트랴피친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부사관까지 오른 아나키스트 빨치산 지도자였다. 1919년 말, 아무르 강 하류로 파견되어 군대를 조직했고, 블라고베셴스크 출신의 사회주의 혁명-극단주의자인 니나 레베데바가 함께했다.[237]

트랴피친 부대는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가면서 혁명에 소극적인 농촌 지식인, "부르주아"로 보이는 사람들, 사제들을 학살했다. 사제들은 얼음 구멍에 쳐넣어 익사시켰다.[237] 그의 조력자 이반 랩타는 붉은 군대를 조직하여 마을과 수용소를 습격하고 사람들을 강탈, 살해했으며, 랩타 부대는 아무르 원주민 수백 명을 살해했다.[237] 트랴피친 부대에는 약 200명의 중국인과 같은 수의 한국인(일리야 박 지휘)이 있었는데, 이들은 타이가의 금광에서 모집되었으며, 많은 현금을 선불로 지급받고 광산에서 나오는 금과 러시아 여성들을 약속받았다. 금광에서 모집된 이 부대는 범죄적이고 잔인했으며, 가장 잔인한 인물들이 빨치산 대장으로 임명되었다.[237]

니콜라옙스크는 사할린 섬 맞은편 아무르 강 하구에 위치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일본 주둔군은 1918년에 개입의 일환으로 니콜라옙스크에 주둔했고, 니콜라옙스크는 금광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일본 시민도 마을에 살았다.[238] 1918년 9월 이후 일본 해군은 강이 얼어붙을 것을 우려해 일본의 지상군만 남겨두고 빠르게 철수했다.[239]

1920년, 소련과 일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설치할 완충국에 대해 논의했다. 콜차크 정부가 무너진 이후 일본은 1920년 1월 말 이후로 붉은 군대가 블라디보스토크로 진입하는 것에 동의했다. 트랴피친의 부대는 니콜라옙스크를 포위 공격했고, 2월 말 포격 끝에 일본군 대대(350명)와 거의 같은 수의 백군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던 니콜라옙스크를 점령했다. 붉은 군대는 1920년 2월 28일 일본 주둔군과 협정을 체결했지만, 협정은 무색해졌고 즉시 약탈과 살육을 시작했다. 3월 11일 저녁, 적색 진영은 일본군 지휘관들을 회의에 초대한 후 다음날 아침 12시까지 무기를 내놓고 투항하라고 통보했다.[237]

적색 게릴라 부대는 일본 수비대와 평화협정을 약속한 이후 도시에 들어갔으나 약속을 무시하고 주민들을 살해했다. 이후 일본 수비대에게 무장 해제를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고, 일본 수비대는 이를 거부했다. 이로 인해 3월 12일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240][238][241] 일본 수비대 사령관 이시카와 소령은 최후통첩을 거부하고 3월 13일 선제공격을 개시했다. 트랴피친은 기습 공격으로 두 번 부상을 입었지만 저항군을 조직하여 일본 수비대를 압도했다. 게릴라들이 영사관에 불을 질렀고 일본 영사와 직원들은 모두 사망했다.[237]

트랴피친 부대는 일본군과의 전투 전후로 수많은 수형자들을 처형하고 시체를 훼손했다. 1920년 3월 11일까지 교도소, 민병대 체포실, 군 영창은 체포된 사람들로 가득 찼다. 3월 12일과 13일, 감옥에 있던 600명 이상의 러시아인이 붉은 게릴라에 의해 살해당했다.[237]

트랴피친은 니콜라옙스크에서 테러리스트 공동체를 설립해서 사회 정화를 실현하려고 했다. "부르주아", 유대인 또는 단순히 "그들이 아닌" 사람들의 가족까지 완전히 파괴하기로 결정했고, 그 '숙청'은 계획적이고, 신중하게 준비된 후, 실행되었다.[237] 니콜라옙스크에는 3개월 동안 징발, 몰수, 무역 금지 등을 특징으로 하는 니콜라옙스크 코뮌이 존재했다. 트랴피친과 레베데바는 음모 혐의로 '자신들의'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하고 살해했으며, 전시 공산주의 정책을 극단적으로 추구했다. 트랴피친의 측근들은 형사범죄 경력이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237]

오이 시게모토 장군은 1920년 4월 4일과 5일에 러시아 극동 지역의 볼셰비키를 상대로 전면 공격을 지휘했다. 5월에는 일본 부대가 하바롭스크에서 아무르강 하구로 보내졌고, 군함이 해안에 접근했다.[242][238] 트랴피친과 레베데바는 일본군이 접근한다는 소식을 듣고 도시를 불태우고 주민들을 파괴하기로 계획했다. 5월 2일, 트랴피친은 중국 영사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중국이 도움을 주지 않으면 도시 전체를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239] 5월 28일, 붉은 군대는 니콜라옙스크와 주변 지역을 불태우고 파괴했다. 5월 29일, 붉은 군대는 주거지를 불태우고 대형 석조 건물들을 폭파시켜 전체 주택의 거의 97%를 파괴했다.[237][238][245]

트랴피친 부대는 유대인 어린이와 여성들도 학살했다. 여성들은 처형되기 전에 강간을 당했고 아이들은 어머니와 함께 살해됐다. 또한 붉은 게릴라들은 유대인 공동체를 배에 태운 후 아무르 강으로 끌고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익사시켰다.[237] 붉은 군대는 도시의 주민들을 도시 밖으로 강제로 끌고 갔으며, 생존자들은 타이가까지 강제로 이동해야 했다.[238][240]

적색 테러는 니콜라옙스크 파괴 이후에도 지속됐다. 트랴피친 부대는 마을 주민들을 강제로 끌고가면서 약해진 여성과 어린이들을 말을 탄 상태로 그 자리에서 살해했다. 밤에는 많은 주민들을 끌고가서 검으로 잘라 죽인 후 강에다 버렸다.[237][246]

결국 켈비 마을에선 트랴피친에게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났다. 7월 4일 밤, I. T. 안드레예프가 이끄는 붉은 빨치산은 트리아피친과 그의 450명의 동료들을 습격해서 체포했다. 며칠 후, 적군 빨치산과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103인 법정에서 트랴피친 부대의 중범죄자들은 재판에 회부되었다. 트라피친은 1920년 7월 9일 공산주의 정권에 대한 노동자들의 신뢰를 훼손한 죄로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당했다.[237][238]

2. 1. 러시아 극동의 적색 테러

1918년 3월, 블라고베셴스크에서 아타만 I. M. 가모프의 반란을 진압하고 도시를 점령한 적위대가 1,000명 이상의 주민들을 학살했다.[237] 체키스트 I. P. 파블루노프스키는 "광산 노동자들이 도시를 공격하여 '부르주아'를 조직적으로 학살했고, 반란 혐의자와 동조자들을 모두 학살했으며, 블라고베셴스크 시 행정부와 광산 사무소 직원들을 학살했다"고 보고했다.[237]

1919년 봄, 언론은 블라고베셴스크에서 적색군의 테러 행위를 보도했다. "1,000명 이상이 총살당했고, 무덤 발굴이 시작되었다. 도시 점령 후 대부분의 학생들이 우리 군대에 합류했다."[237]

1920년 4월 초, 콜차크 정부의 전 수반 P. V. 볼고드스키는 상하이에서 블라디보스토크의 적색 테러에서 탈출한 두 명의 장교들을 만났다. 그들은 A. S. 메드베데프의 연합 사회주의 정부에도 불구하고 "볼셰비키가 실제로 그곳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백군을 체포하고 고문 후에 살해했다고 말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백군 장교에 대한 조직적인 살인이 벌어지고 있다. 그들은 체포되어 탈출 시도를 막는다는 구실로 감옥으로 가는 길에 총살당한다."[237]

사회주의 혁명가-최대주의자 I. I. 주코프스키-주크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극동, 특히 아무르강의 블라고베셴스크의 거의 모든 혁명가들은 '넝마주의' 방식, 즉 타협을 모르는 적극적이고 무자비한 혁명 투쟁 방식을 사용했다. 재판 없는 총격은 이곳에서 드문 일이 아니었다. 암르 당국의 개인 대표자들은 반혁명과 백군주의 혐의로 기소된 수십 명을 재판 없이 총살했다."[237]

그러나 알렉세이 테플랴코프 박사에 따르면, 트랴피친의 무리들은 거의 모든 사회적, 민족적으로 이질적인 요소들이 상당수의 "사회적으로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물리적으로 제거되는 가장 무자비한 형태로 적색 테러를 수행할 수 있었다.[237]

우스리스크 (러시아 극동)에서 적군에 의해 살해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장병 (1918년)

2. 2. 트랴피친 부대의 등장과 만행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던 야코프 트랴피친페트로그라드 출신의 아나키스트이자 적군 빨치산 지도자였다. 1919년 말, 트랴피친은 하바롭스크와 니콜라예프 지역의 군사 혁명 참모에 의해 아무르 강 하류로 파견되어 군대를 조직했다.[237]

트랴피친 부대는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가면서 혁명에 소극적인 농촌 지식인, "부르주아"로 보이는 사람들, 사제들을 학살했다. 사제들은 얼음 구멍에 쳐넣어 익사시켰다.[237]

트랴피친의 조력자 이반 랩타(야코프 로고진)는 붉은 군대를 조직하여 마을과 수용소를 습격하고 사람들을 강탈, 살해했다. 랩타 부대는 아무르 원주민 수백 명을 살해했다.[237]

트랴피친 부대에는 약 200명의 중국인과 같은 수의 한국인 (일리야 박 지휘)이 있었다. 이들은 타이가의 금광에서 모집되었으며, 트랴피친은 이들에게 많은 현금을 선불로 지급하고 광산에서 나오는 금과 러시아 여성들을 약속했다. 금광에서 모집된 이 부대는 범죄적이고 잔인했으며, 가장 잔인한 인물들이 빨치산 대장으로 임명되었다.[237]

2. 3. 니콜라옙스크 포위와 점령

1920년, 소련과 일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설치할 완충국에 대해 논의했다.[237] 콜차크 정부가 무너진 이후 일본은 1920년 1월 말 이후로 붉은 군대가 블라디보스토크로 진입하는 것에 동의했다. 연해주엔 주둔한 외국 군대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 볼셰비키는 사회주의 젬스트보를 받아들였다. 동시에 트랴피친의 부대는 니콜라옙스크 온 아무르를 포위 공격했고, 2월 말 포격 끝에 일본군 대대(350명)와 거의 같은 수의 백군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던 니콜라옙스크를 점령했다. 붉은 군대는 일본 주둔군과 백군에게 잔학 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후 이 지역에 진입하여 1920년 2월 28일 일본 주둔군과 협정을 체결했다.[237] 그러나 협정은 무색해졌고 붉은 군대는 즉시 약탈과 살육을 시작했다. 시체는 차곡차곡 쌓여갔고 하루에 72명이 살해됐다. 시체를 완전히 벗긴 후 썰매 여러 대가 도착하여 시체를 가져다가 특별히 만든 얼음 구멍에 익사시켰다.[237] 적색 게릴라들은 일본군과의 협정에서 어떤 체포도 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보복하지 않기로 했으나, 3월 8~9일 밤에는 트랴피친의 부대가 93명을 감옥에서 데리고 나온 후 총살했다.[237] 3월 11일 저녁, 적색 진영은 일본군 지휘관들을 회의에 초대한 후 다음날 아침 12시까지 무기를 내놓고 투항하라고 통보했다.[237]

일본은 극동 남부(연해주, 프리아무례, 사할린 북부)에 대한 개입을 유지하기 위해 극단주의 게릴라 그룹의 약탈과 국민(대부분 부유층)과 외국인(일본인, 미국인)에 대한 테러 행위를 핑계로 삼고 있었다.[240]

아무르강 하구의 항만 도시가 니콜라옙스크다.


니콜라옙스크는 주요 사건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으나 사할린 섬 맞은편 아무르 강 하구에 위치했기 때문에 도시의 위치는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일본 주둔군은 1918년에 개입의 일환으로 니콜라옙스크에 주둔하게 되었다.[238] 또한 니콜라옙스크는 19세기 후반부터 금광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1918년 이곳에 주둔한 소규모 수비대 외에도 영사와 그의 가족을 포함한 일본 시민이 마을에 살았다.[238]

1918년 9월 이후 일본 해군은 강이 얼어붙을 것을 우려해 일본의 지상군만 남겨두고 빠르게 철수했다. 니콜라옙스크는 얼어붙은 강으로 인해 바다와 단절되어 육로 교통이 어려웠다. 이 마을에는 원래 러시아인과 중국인 외에도 일본 군인과 일본 민간인 이민자들도 거주하고 있었는데, 일본군은 니콜라옙스크를 폭압적으로 통제했다.[239]

2. 4. 일본군과의 충돌과 대학살

1920년 2월 말, 붉은 군대는 일본군 대대(350명)와 거의 같은 수의 백군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던 니콜라옙스크-온-아무르를 점령했다.[237] 붉은 군대는 일본 주둔군과 백군에게 잔학 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후 이 지역에 진입했으나,[237] 1920년 2월 28일, 일본 주둔군과 협정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약탈과 살육을 시작했다.[237]

붉은 군대는 백색 운동에 동조하는 민간인과 부유한 민간인까지 체포하고 처형했다.[240][238][241] 이후 붉은 군대는 일본 수비대에게 무장 해제를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고, 일본 수비대는 이를 거부했다.[240][238][241] 1920년 3월 12일, 일본군의 선제공격으로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240][238][241] 일본 수비대 사령관 이시카와 소령은 최후통첩을 거부하고 3월 13일 선제공격을 개시했다.[237] 야코프 트랴피친은 기습 공격으로 두 번 부상을 입었지만 저항군을 조직하여 일본 수비대를 압도했다.[237] 붉은 게릴라들이 영사관에 불을 질러 일본 영사와 직원들은 모두 사망했다.[237]

트랴피친 부대는 일본군과의 전투 전후로 수많은 수형자들을 처형하고 시체를 훼손했다.[237] 생존자 S. 스트로드는 350명이 넘는 시체 더미를 목격했는데, 그 시체들은 끔찍한 고문과 구타를 당한 것이 분명했고, 아래턱과 코가 옆으로 비틀어져 있었다고 증언했다.[237] 1920년 3월 11일까지 교도소, 민병대 체포실, 군 영창은 체포된 사람들로 가득 찼다.[237] 3월 12일과 13일, 감옥에 있던 600명 이상의 러시아인이 붉은 게릴라에 의해 살해당했다.[237] 체포, 수색, 재산 몰수, 시민 살해는 단 하루도 멈추지 않았고, 붉은 군대 빨치산들은 검과 도끼로 목을 자르고, 총검으로 난도질하고, 통나무로 몽둥이질을 하여 잔인하게 살해했다.[237]

2. 5. 니콜라옙스크 코뮌과 전시 공산주의

러시아 내전 당시 니콜라옙스크에는 3개월 동안 징발, 몰수, 무역 금지 등을 특징으로 하는 니콜라옙스크 코뮌이 존재했다. 아나키스트 트랴피친과 사회주의 혁명가-극대주의자 레베데바는 음모 혐의로 "자신들의"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하고 살해했으며, 전시 공산주의 정책을 극단적으로 추구했다.[11] 트랴피친의 측근들은 비첸코, 부드린, 랩타 등 형사범죄 경력이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2. 6. 일본군의 공세와 도시 파괴

오이 시게모토 장군은 1920년 4월 4일과 5일에 러시아 극동 지역의 볼셰비키를 상대로 전면 공격을 지휘했다. 이 결정에는 1920년 3월에 발생한 니콜라옙스크 사건이 영향을 미쳤다. 당시 일본군은 러시아인, 중국인, 한국인으로 구성된 야코프 트랴피친 지휘하의 게릴라 부대와 충돌했다. 일본 정부는 또한 당시 일본군에게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진행 중이던 한국인 게릴라 투쟁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일본군은 현지 볼셰비키를 공격하면서 많은 한국 정치인과 전사들을 체포했다. 블라디보스토크 연립 정부의 경제 담당이었던 볼셰비키 표트르 미하일로비치 니키포로프에 따르면, 블라디보스토크의 완충 국가에 반대하는 집단의 행동이 일본군의 전면 공격을 초래했다.[11]

1920년 4월 4일과 5일 일본군의 무력 개입은 붉은 군대에게 매우 큰 타격을 주어, 흩어진 붉은 군대 유격대와 러시아 극동 지역 군대는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없었다. 일본은 군 주둔지, 영사 및 그의 가족 살해를 이유로 추가 병력을 도시에 파견하고 북사할린(니콜라옙스크 맞은편)을 무기한 점령했다. 5월에는 일본 부대가 하바롭스크에서 아무르강 하구로 보내졌고, 군함이 해안에 접근했다.[11]

트랴피친과 레베데바는 일본군이 접근한다는 소식을 듣고 도시를 불태우고 주민들을 파괴하기로 계획했다. 5월 2일, 트랴피친은 중국 영사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중국이 도움을 주지 않으면 도시 전체를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18] 5월 28일, 붉은 군대는 니콜라옙스크와 주변 지역을 불태우고 파괴했다. 5월 29일, 붉은 군대는 주거지를 불태우고 대형 석조 건물들을 폭파시켜 전체 주택의 거의 97%를 파괴했다.[11] 붉은 군대는 도시 주민들을 도시 밖으로 강제로 끌고 갔으며, 생존자들은 타이가까지 강제로 이동해야 했다.[11]

트랴피친 부대는 "숙청" 과정에서 유대인 어린이와 여성들을 학살했다. 아이들은 어머니와 함께 살해되었고, 여성들은 처형되기 전에 강간당했다. 게릴라들은 불필요한 짐으로 여겨 아이들을 의도적으로 학살했다.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들은 증기선을 타고 아무르 강으로 끌려가 젊은이와 노인들이 익사당했다.[11]

2. 7. 트랴피친의 체포와 처형

1920년 7월 4일 밤, 켈비 마을에서 I. T. 안드레예프가 이끄는 붉은 군대 빨치산이 기습하여, 야코프 트랴피친은 저항하지 못하고 동료 450명과 함께 체포되었다.[9][5] 이는 켈비 마을에서 트랴피친에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난 결과였다.

하바롭스크 당국은 충성스러운 당원들과 체키스트의 도움을 받아 트랴피친을 제거하는 작전을 주도했다.[5] 트랴피친은 극동 공화국공산당에 적대적이었고, 일본에 대한 군사적 도발을 일으켰기 때문에 제거 대상이 되었다.[5] 한 역사가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이미 1920년 5월, 하바롭스크의 혁명 본부는 트랴피친과 그의 본부를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트랴피친과 그의 악당 조수들을 체포하고, '인민 법정'에서 재판을 받게 한 다음, '소비에트 권력의 배신자'로 처형하라는 명령을 받은 10명의 분견대가 준비되었다. 6월 말, 하바롭스크 특사들은 아무르 강으로 잠입하여 트랴피친에 반대하는 안드레예프가 이끄는 파르티잔 그룹과 연락을 취했다."[5]

FSB 기록에 접근할 수 있었던 A. A. 페트루신은, 당국이 트랴피친의 독단적인 행위에 대해 알게 되자,

> "'시베리아 파르티잔의 길들이는 자'... 알렉산드르 레표킨을 프리아무르로 보내야 했다... 레표킨의 체키스트 특수 부대는 파르티잔 트랴피친의 본부를 은밀히 점거하여 그의 정부 레베데바-키야시코와 함께 제거했다. 그의 친구 못지 않은 잔혹행위를 저질렀다."[5]

라고 언급했다.

며칠 후, 트랴피친 부대의 범인들은 급하게 소집된 103명의 붉은 군대 빨치산과 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다.[9][5] 7월 9일, 트랴피친은 공산 정권에 대한 노동자들의 신뢰를 훼손한 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되었다.[9][5] 주요 피고인 7명에게 사형이 선고되어 즉시 총살되었다.[5]

7월 13일에는 나머지 적극적인 가해자들이 선고를 받았다. 총 133명이 재판을 받았으며, 그 중 23명이 총살, 33명이 징역형, 50명이 석방되었고, 27건은 아예 심리되지 않았다. 총살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체키스트 M.G. 모로조프
  • 비첸코의 부관 A.L. 파인베르크
  • 비첸코의 폭력 조직원 I.G. 지브니, V.N. 부랴, V. 로바스토프
  • 연대 사령관
  • 권력 구조 직원 B.V. 아무로프-코조조프, V. 아무로프-코조다예프, L. V. 그라코프, F. V. 코조다예프, M. S. 포도프리고로프, F. I. 고렐로프, A.S. 코지친, A.I. 이바노프, A.I. 볼코프-소콜로프, I.D. 쿨리코프-표도로프, G.N. 콘스탄티노프, K.I. 몰로트소프[5]


징역형을 선고받은 다른 강간범과 살인범들은 허술한 감시를 틈타 곧 그 지역에서 활동하는 게릴라 부대로 탈출했다.[5] 트랴피친의 일부 부하들은 이 지역의 권력 구조에 남아 있었는데, 이는 극동 공화국 지도부에게 우려를 불러일으켰다.[5] 1921년 6월 6일,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 중앙 위원회 달부(Dalbureau)는 바실리 가니메도프를 암구노-케르빈스키 지역 수장직에서 "불량배"로 해임하기로 결정했다.[5]

재판의 주요 인물 중 일부는 러시아에서 도망쳐야 했다. I.T. 안드레예프는 일본중국으로 갔고, A.Z. 오브친니코프는 미국으로 갔다.[5]

니콜라옙스크를 잿더미로 만든 트랴피친 일행은 켈비(니콜라옙스크에서 96킬로미터)에 도착하기까지 인원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강제 동원되었던 농민들은 도망쳤고, 일본군의 보복을 두려워한 조선인중국인들도 타이가로 도망간 자들이 많았다.[180]

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 블라고베셴스크, 일본에서 온 피난민들은 사건의 전모를 알리기 시작했다. 소련 정권 계열 언론은 트랴피친의 주장을 초기에는 지지하며 일본군의 배신을 비난했지만, 노동자가 대다수인 수천 명의 시민 학살과 도시 파괴를 일본군의 책임으로 돌릴 수 없었다. 위기감을 느낀 하바롭스크의 소련 대표단은 6월 말에 아므군 지역으로 가서 반 트랴피친 그룹과 접촉했다.[181]

반 트랴피친 그룹은 살해된 부드린의 친구였던 포수 안드레예프가 이끌었다. 협력자로는 조선인 제2중대를 이끌었던 바실리 박이 있었다. 켈비의 파르티잔 본부는 아므군강에 정박하는 증기선 안에 있었는데, 7월 3일 밤, 본부에서 잠자던 트랴피친과 니나 레베데바가 체포되었고, 이어서 지도부 전원이 잡혔다. 7월 9일, 인민재판이 열려 트랴피친과 니나 레베데바 이하 7명이 총살되었다.[182]

재판 과정에서 트랴피친은 "만약 자신이 니콜라옙스크에서 행한 모든 일 때문에 재판을 받는다면, 그때의 동지나 자신을 배신하여 재판에 넘기고 체포한 사람들을 포함해서 함께 재판을 받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판결문에 있어서 트랴피친의 주요 죄목은, 5월 22일부터 6월 2일까지의 니콜라옙스크 대학살을 허용한 것, 7월 4일까지 사할린주 여러 마을에서도 학살 명령을 내린 것, 부드린 등 몇 명의 동료 공산주의자를 사살한 것이었고, 일본인의 학살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동시에, "니콜라옙스크 관구 적군 사령관으로 재직 중, 소련 정치의 방침을 따르지 않고, 직권자를 압박하며, 러시아 공화국 정부 아래에서 활동하던 노동자 간의 공산주의에 대한 신뢰를 훼손했다"는 점을 죄목으로 삼아, 트랴피친과 니나 레베데바는 소련 정권에 대한 반역자로 규정되었다.[183]

3. 트랴피친 군대의 학살에 의한 사망자 수

알렉세이 테플랴코프 박사에 따르면, 1920년까지 러시아 극동 주민들에게 붉은색 학살은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11] 1918년 3월 블라고베셴스크에서는 적위대에 의해 1,000명 이상의 주민들이 희생되었고,[11] 1920년 4월 초 상하이에서는 블라디보스토크의 적색 테러에서 탈출한 두 명의 장교들이 백군을 체포하고 고문 후 살해했다는 증언이 있었다.[11]

테플랴코프 박사는 트랴피친의 무리들이 "사회적으로 가까운" 사람들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사회적, 민족적으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가장 무자비한 형태로 적색 테러를 수행했다고 평가했다.[11] 니콜라옙스크 파괴 이후에도 붉은 테러는 멈추지 않았고, 강제 대피 과정에서 민간인 대량 학살이 발생했다.[11][16] M. V. 소트니코프-고레미카의 보고에는 여성들의 가슴이 잘리고 남성들의 생식기가 짓눌리는 등 잔혹한 학살 정황이 묘사되어 있다.[5]

테플랴코프 박사는 트랴피친을 고의적인 어린이 학살을 포함한 민간인 대량 학살의 이데올로그이자 실행자 중 한 명으로 지목한다.[11] 1920년 5월 21일부터 24일까지 3,000명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되며,[165] 5월 24일에는 일본군 병사, 군속, 거류민 등 122명이 아무르 강가에서 학살되었고, 병원에 있던 부상 일본군 17명도 모두 살해되었다.[166]

사건 전체의 일본인 희생자는 군속을 포함한 육군 관계자 336명, 해군 관계자 44명, 외무성 관계자(이시다 영사 일가) 4명, 확인된 민간인 347명으로 총 731명으로 추정된다. 민간인 희생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171] 최종적으로 몇천 명이 살해되었는지 정확한 숫자는 불명이다.[169] 역사가들은 야코프 트랴피친 휘하의 붉은 군대 빨치산 부대가 니콜라예프스크에서 살해한 희생자 수를 수천 명으로 추정한다.[4]

3. 1. 볼셰비키·소비에트 정부 공식 문서

볼셰비키와 소비에트 정부의 공식 문서 및 판결에 따르면, 트랴피친 부대는 사할린 지역 인구의 약 절반을 박멸했다.[247][248] 1924년 지역 코뮌은 1920년 당시 니콜라옙스크 인구를 3만 명으로 추정했으며,[248] 사할린 지역 행정 당국은 기아와 박탈로 인한 사망자를 포함하여 1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248]

1920년 말, 사할린 인민 혁명 위원회 의장 G.Z. 프로코펜코는 극동 공화국 정부에 "지역의 절반이 파괴되었고 인구의 절반이 빨치산에 의해 죽거나 얼음 밑으로 내몰렸다"라고 보고했다.[2] 재판에서 게릴라들은 스스로 지역 인구의 약 절반을 파괴했다고 진술했다.[2]

1920년 초, 코뮌 지도자들은 이 지역의 인구를 거의 3만 명으로 추산했다. 트랴피친 학살 결과, 1920년 사할린 지역 인구는 일부 자료에 따르면 1만 명으로 감소했으며, 이 지역은 프리모르스키 지방과 합병되었다. 1920년 말, 사할린 지역 지도부는 러시아 인구를 1만 7천 명, 외국인 인구를 1200명으로 결정했다. 생존 인구 1만 8천 명을 기준으로, 전체 지역의 손실 규모는 최소 1만에서 1만 5천 명으로 추산되며, 여기에는 굶주림과 고통으로 사망한 사람들이 포함된다.[2]

공식 판결에 따르면, 사할린 인구의 절반이 붉은 군대에 의해 몰살되었다.[16]

3. 2. 역사학 박사들의 견해

많은 역사학 박사들은 트랴피친 군대의 학살로 인한 사망자 규모를 수천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음은 트랴피친 군대에 의한 사망자 규모에 대한 역사학 박사들의 견해를 정리한 표이다.

학계 국가형식학자요약
러시아논문블라디미르 프로코로비치 불다코프 박사[249]약 2,500명
러시아논문블라디미르 그레고리예비치 다치센 박사[250]수천 명
러시아논문알렉세이 게오르기예치 테플랴코프 박사[251]약 6,000~7,000명
러시아/대한민국학술서적이완종 박사[252]약 4,000명
미국서방학술서적존 J 스테판 박사[253]약 4,000명
중화민국논문이창 박사[254]약 4,000명
미국/대한민국과 서방학술서적반병률 박사와 독립기념관[255]약 4,000명



이처럼 여러 역사학 박사들은 트랴피친 군대의 대규모 학살로 인해 수천 명이 희생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알렉세이 테플랴코프 박사는 1920년까지 붉은색 학살 사건은 러시아 극동 주민들에게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고 지적한다.[11] 그는 트랴피친의 무리가 "사회적으로 가까운" 사람들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사회적, 민족적으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가장 무자비한 형태로 적색 테러를 수행했다고 평가했다.[11]

테플랴코프 박사는 트랴피친을 "발전되고 박식한 프롤레타리아"라고 묘사하며, 그의 사회 정화 방식은 동부 러시아 빨치산 부대에 만연했던 범죄 요소에 의존했다고 설명한다. 그는 빨치산 테러가 볼셰비키와 아나키스트의 특징을 모두 띠고 있었으며, 대량 학살, 무자비함, 사회적 및 국가적 이유로 인한 인명 살상, 심지어 "자신"에 대한 테러까지 포함했다고 덧붙였다.[11]

4. 역사학계와 증거

알렉세이 테플랴코프 박사에 따르면, 1920년까지 러시아 극동 주민들에게 붉은색 학살은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11] 1918년 3월 블라고베셴스크에서는 적위대에 의해 1,000명 이상이 희생되었고, 1919년 봄에는 적색군 아래에서 벌어진 테러 행위가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11] 1920년 4월 초,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백군 장교에 대한 조직적인 살인이 벌어지고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11]

유명한 극동 사회주의 혁명가-최대주의자 I. I. 주코프스키-주크는 아무르강의 블라고베셴스크에서 혁명가들이 타협을 모르는 적극적이고 무자비한 혁명 투쟁 방식을 사용했으며, 재판 없는 총격이 드문 일이 아니었다고 기록했다.[11] 그러나 알렉세이 테플랴코프 박사는 트랴피친의 무리들이 "사회적으로 가까운" 사람들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사회적, 민족적으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가장 무자비한 형태로 적색 테러를 수행했다고 보았다.[11]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이자 하사관 출신인 야코프 이바노비치 트랴피친은 빨치산 지도자로, 아무르강 하류 지역에서 반란을 조직하라는 지시를 받았다.[11] 트랴피친과 그의 위원인 니나 레베데바-키야슈코의 부대는 아무르강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촌 지식인과 도시 "부르주아지"로 보이는 사람들을 거의 완전히 제거했다.[11] 트랴피친의 조력자 중 한 명인 이반 랍타는 사람들을 강탈하고 죽이는 붉은 군대 부대를 조직하여 금광과 주변 마을을 약탈했다.[11] 트랴피친 부대에는 약 200명의 중국인과 한국인이 있었는데, 이들은 타이가의 금광에서 모집되었으며, 범죄적이고 잔인한 행동을 보였다.[11] 나병 환자들 또한 니콜라예프스크에서 벌어진 사건의 희생자였다.[3]

시베리아 출병 중 연합군의 퍼레이드.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제국 등 각국의 국기, 군기가 게양되어 있다 (1918년)


1918년 시작된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은 초기에는 "체코 군단 구원"을 목적으로 했으나, 실제로는 볼셰비키 정권과의 적대 관계로 인해 러시아 내전에 간섭할 수밖에 없었다. 1920년 1월, 미국의 단독 철병 통고 이후, 일본군은 중립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었지만,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 현지 일본군은 곤혹스러워했다.

니콜라옙스크 개성 조건에 대해서는 일본과 소련의 견해가 엇갈린다. 일본 측은 『시베리아 출병사요』에서 "일로(파르티잔) 양군이 치안을 유지할 것. 재판 없이 시민을 총살하지 않을 것. 마음대로 시민을 체포하거나 약탈하지 않을 것"이 합의 사항이었다고 주장하고,[97] 『시베리아 출병 헌병사』에서는 "니콜라옙스크 시내에서는 반혁명파를 검거하지 않을 것. 규정 수 이상의 파르티잔을 시내에 들이지 않을 것"이었다고 한다.[98]

반면, 소련 측은 일본 측이 "인격과 주거의 완전한 불가침, 백군 및 관료, 정부 기관 직원 등을 포함한 전 시민의 재산 불가침" 등을 요구했지만, 파르티잔 측이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99] 하라 테루유키도 소련 측 문헌을 근거로 일본 측의 조건을 파르티잔 측이 거부하고 일본군이 굴복하여 합의에 이르렀다고 한다.[100]

사건 직후의 선서 증언에 따르면, 일본군은 러시아군(백군)에게 무장 해제를 요구했고, 파르티잔 도착 전까지 시내 치안 유지 활동을 일본군에게 인계할 것을 요구했다. 파르티잔과의 전투에 참가한 자에 대해서는 전원의 죄의 면제가 보장되었다는 증언도 있다.

니콜라옙스크 사건에 관한 사료는 일본 측, 소련 측, 생존자의 증언을 백계 러시아인이 기록한 것, 이렇게 세 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라 테루유키는 일본 측 사료로 『시베리아 출병사』와 『일본 외교 문서 다이쇼 9년』을, 소련 측 자료는 주목할 만한 것이 없다고 평가했다. 백계 러시아인의 기록 중 구트만의 『니콜라옙스크의 재앙』은 생존자 증언과 빨치산 측 문서를 포함하고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213]

구트만의 『니콜라옙스크의 재앙』은 최근 영문, 일문 번역으로 출판되었다. 엘라 류리 위스웰은 1993년 구트만의 책을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했고,[216] 2001년 사이토 마나부는 이를 일본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217]

4. 1. 역사학자들의 견해

러시아, 대한민국, 미국, 서방, 잉글랜드, 대만 등 여러 국가의 역사학 박사들은 니콜라옙스크 사건 당시 트랴피친이 이끄는 빨치산(게릴라) 부대가 대규모 민간인 학살을 자행했다고 설명한다. 다음은 이를 뒷받침하는 학자들의 견해와 관련 논문 및 학술 서적 목록이다.

트랴피친 게릴라 부대에 의한 대규모 민간인 학살을 서술하는 논문·학술적 서적을 쓴 역사학 박사 목록
학계 국가형식학자
러시아논문블라디미르 프로코로비치 불다코프 박사[256]
러시아논문블라디미르 그레고리예비치 다치센 박사[257][258]
러시아논문알렉세이 게오르기예비치 테플랴코프 박사[259][260][261]
러시아논문발레리 블라디미로비치 크리벤키 박사[258][262]
러시아논문알렉산드르 알렉세이비치 아자렌코프 박사[263]
러시아/대한민국학술서적이완종 박사[264]
미국서방학술서적존 J 스테판 박사[265]
미국서방논문커트 해커머 박사[266]
미국서방논문타티아나 린코바 박사[267]
잉글랜드논문존 K 창 박사[234]
대만논문이창 박사[268]
미국/대한민국학술서적반병률 박사와 독립기념관[269]


  • 블라디미르 프로코로비치 불다코프 박사: 약 2,500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219] 그는 트랴피친과 그의 참모장 니나 레베데바, 그리고 5명의 볼셰비키 공범자들이 소비에트 정권의 위신을 실추시켰다는 이유로 총살되었다고 기록했다.[219]

  • 블라디미르 그레고리예비치 다치센 박사: 수천 명이 사망했다고 분석했다.[220] 그는 트랴피친이 사할린 지역에서 "혁명적" 테러 공격을 벌였으며, 일본과의 전쟁을 촉구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아무르강 하류의 러시아인 인구 প্রায় 절반이 학살되었다고 보았다.[220]

  • 블라디미르 G. 다치셴 박사와 세르게이 V. 그리샤체프 박사 (2019년 공동 논문): 트랴피친의 행동을 "전례가 없는 근거 없는 잔혹 행위"라고 묘사하며, "도시 전체를 의도적으로 불태워 헤아릴 수 없는 폐허와 그 전쟁의 역사에 비할 바 없는 영토의 황폐화로 수천 명을 죽였다"는 데 많은 역사가들이 동의한다고 요약했다.[272][273]

  • 알렉세이 게오르기예비치 테플랴코프 박사: 2015년 논문에서는 약 6,000-7,000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221] 그는 트랴피친 부대가 아무르강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촌 지식인과 "부르주아지"로 보이는 사람들을 거의 완전히 제거했으며, 여자와 어린아이를 가리지 않고 강간, 대량 학살, 약탈,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고 서술했다.[235] 또한, 트랴피친 부대에 속했던 일부 '상하이파' 한국인 유격대 지도자들이 니콜라옙스크와 사할린 지역 민간인 학살에 적극 참여했다고 밝혔다.[274]

  • 발레리 블라디미로비치 크리벤키 박사: 트랴피친이 니콜라옙스크 항구를 점령한 후, 1920년 3월 12-15일에 "니콜라옙스크 사건"을 일으켰다고 설명했다. 그는 트랴피친의 급진주의와 초혁명 모험주의가 볼셰비키와 그들의 특수기관 주도로 게릴라들의 손으로 트랴피친의 독재를 제거하게 만들었다고 분석했다.[276]

  • 알렉산드르 알렉세이비치 아자렌코프 박사: 빨치산 지도자 트랴피친이 니콜라옙스크 항구에서 일본인과 도시 주민들을 학살했다고 기술했다.[222]

  • 이완종 박사: 약 4,000명의 주민이 학살되었으며, 피신할 수 있었던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 주민들은 폐허가 된 도시를 빨치산들과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기록했다.[278]

  • 존 J 스테판 박사: 5월 말 구조군이 가까이 다가오자 파르티잔들이 일본인 포로 136명을 사형시키고 약 4,000명의 러시아 남성, 여성, 아이들을 학살하고 마을을 불태운 후 멍한 생존자 2,000명을 아무르강을 따라 켈비로 몰아갔다고 서술했다.[279]

  • 커트 해커머 박사: 트랴피친의 군대가 일본군이 도착하기 전에 최대한 많은 도시를 파괴하고 탈출했으며, 니콜라옙스크에 머무는 동안의 잔학 행위 희생자들은 "우파의 사람들뿐 아니라 리버럴 사회주의자들과 심지어 볼셰비키 여러명까지 포함됐다"고 기록했다.[281]

  • 존 K 창 박사: 니콜라옙스크에 붉은 빨치산이 포위 공격(1920년 3월 4일)을 하는 동안, 많은 러시아 사업가들과 경영자들은 일본인들과 '협력자'로 여겨졌고, 승리 후, 트리피친(적색 빨치산)과 그의 군대는 유난히 니콜라옙스크의 러시아인 주민들과 일본인들을 학살했다고 설명했다.[234]

  • 타티아나 린코바 박사: 일본군은 1918년 여름 니콜라옙스크를 점령했는데, 주로 그 지역의 상당한 일본 어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야코프 트랴피친 휘하의 게릴라들에게 공격받기 전까지였다고 설명했다. 니콜라옙스크 학살로 알려진 이 사건에, 700명 이상의 일본인 장교와 마을 주민들과 러시아 시민 8,000명이 추가로 살해됐다고 보았다. [283]

  • 이 창 박사: 적군(Red Army)이 일본인뿐만 아니라 러시아인 4,000명도 학살하고 마을 전체를 태웠다고 썼다.[284]


이처럼 여러 역사학자들은 트랴피친 부대가 니콜라옙스크에서 대규모 학살을 자행했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다만, 학계에서는 도발 유발이나 유도측이 어느 집단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지만, 트랴피친 측의 대규모 학살 자체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4. 2. 증거

트랴피친 측의 학살을 증언하는 많은 생존자들이 있다.[231][232][233] 이들은 모두 러시아인으로, 미하일 페트로비치 그리고리예프,[288] 세르게이 데멘티예비치 스트로드,[289] 야코프 그달리예비치 도비소프,[290] 아브람 아브살루모프,[291] 아나톨리 파블로비치 압샬루모프,[292] 안나 니콜라예브나 보즈코,[293] 에브게니 이바노비치 바실레프스키,[294]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버나셰프,[295] 필리프 테렌티예비치 파투르낙,[296] 페트르 야코블레비체 보로비예프,[297] 세르게이 레포르스키,[298] 니콜라이 콘스탄티노비치 주예프,[299] 파벨 세메노비치 에포프(38세), 파벨 페트로비치 날레토프 (23세),[300] 게오르기 바그라토비치 바셰이슈빌리,[301] 발렌티나 니콜라예브나 크바소바,[302] 이오시프 라페일로비치 버만트(46세),[303] 안나 일리니슈나 루리(60세),[304] 라이사 야코블레브나 밀러,[305] 알렉세이 아프나시예비치 멜니코프,[306] 라이사 세메노브나 악커만,[307] 마리아 이시도로브나 그로시,[308] 콘스탄틴 알렉산드로비치 에멜리아노프(37세),[309] 이오시프 이오시포비치 미하일릭(39세),[310] 에카테리나 페도로브나 코토바,[311] 안드레이 안토노비치 코발리크(33세), 마트베이 이그나티에비치 닐리우보프(55세),[312] 알렉산드르 그리고리비치 보로파예프(26세),[313] 이오소프 딤친,[314]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불리바르(53세),[315] 이반 에고로비치 카자흐코프(25세),[316] 야코프 바실리예프(43세),[317] 야코프 미하일로비치 캅잔(51세),[318] 가브리일 이바노비치 투고프초프(29세),[319] 에브도킴 스테파노비치 부겐코,[320] 안톤 자하로비치 오브치니코프,[321] 조지 S 다이어[322] 등이다.

1920년에 후버도서관에서 필사된 안톤 자하로비치 오브치니코프의 기록 「Memoirs of the Red Partisan Movement in the Russian Far East, 1918-1920」[323]이 존재한다.

중국영사관에 머물러서 살아남은 조지 S. 다이어가 망원경으로 학살 현장을 목격하고 증언한 기록(Statement of George S. Dyer, Caldwell to Colby, July 14, 1920, received August 25, 1920, RDS, 861.00/7290.)도 존재한다.[324]

1920년 7월 13일 블라디보스토크의 비볼셰비키 위원회 조사에 동행한 블라디보스토크 기자 E.에흐(V. 칠리킨)는 현장 조사 기사를 내보냈다.[325] 신문 Delo Rossii의 특파원 N.Amursky는 생존자들을 최초로 만난 사람 중 하나로, 이후 기사를 내보냈다.[326]

볼셰비키 진영 내부에서도 이 사건을 문제 삼았다. 케르비 읍의 군사회의 전권위원 베즈드닌은 니콜라옙스크 학살사건을 알게 됐고, 윗사람들에게 해명을 요구하였다.[327]

아나톨리 야코블레비치 구트만 자료도 학계에서 중요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영국 켄트 대학 역사학 교수 이안 R 스톤은 구트만의 저서가 객관적이지 않고 편향적인 문제가 있지만, 중요한 사건에 대한 근현대적인 설명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328] 세르게이 V. 그리샤체프 & 블라디미르 G 다트시셴의 2019년 논문에서도 구트만의 기록을 역사적 기록으로 인정하며, 소련과 현대 러시아 학자들의 서적처럼 학계의 연구 중 일부로 인정한다.[329] 알렉세이 게오르기예비치 테플랴코프는 2013년 논문에서 구트만의 저작을 권위있는 연구로 설명한다.[330]

5. 독립기념관의 해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반병률 교수와 함께 완성한 책에서 트랴피친 부대가 약 4,000명의 러시아인을 학살했다고 서술했다.[285][286] 이 책은 트랴피친의 군대가 아이와 어른을 가리지 않고 러시아인들을 학살했으며, 도시를 완전히 불태웠다고 설명한다.[286]

독립기념관 자료는 박일리야 등이 트랴피친을 혁명적 애국자로 간주하여 그의 처형에 불만을 가졌다고 서술하며, 독립기념관의 독립운동인명사전 "고명수" 문서에서는 박일리야의 독립군 부대가 러시아인 살해에 직접 참여했다고 언급하고 있다.[11]

6. 일본의 대응과 북사할린 점령

일본 정부는 니콜라옙스크 사건을 구실로 1920년 여름, 북사할린을 무기한 점령했다.(보장 점령)[184][185] 일본은 군 주둔지, 영사 및 그의 가족 살해를 추가 병력을 파견하고 북사할린을 점령할 충분한 근거로 보았다.[15]

이러한 일본의 북사할린 점령은 국제적으로 비난받았으며, 일본 내에서도 비판적인 목소리가 있었다. 백계 러시아인 구트만은 일본의 북사할린 점령에 영토 야욕을 보고 "러시아 국민은 침략을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비난했다.[199] 철병 반대론자이며 대외 강경론자로 알려진 이오키 료조도 "사할린 점령과 같은 것은 거리의 상인과 비교할 수 있는 가장 쩨쩨한 현금 거래이며,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라고 반대했다.[200]

1925년, 일본은 소련과 국교를 회복하고, 보장 점령하고 있던 북사할린을 반환했다. 그러나 그 협상 과정에서 니콜라옙스크 사건은 정치적으로 보류되었고, 북사할린의 오하 유전을 중심으로 하는 석유 장기 이권[203]과 교환하여 배상은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7. 사건의 파장과 역사적 의미

니콜라옙스크 사건은 러시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사건으로, 무고한 민간인들의 희생을 초래했다. 이 사건은 극단적인 이념 대립과 폭력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역사적 교훈을 제공한다.[11]

알렉세이 테플랴코프 박사에 따르면, 1920년까지 붉은색 학살은 러시아 극동 주민들에게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 1918년 블라고베셴스크에서는 적위대에 의해 1,000명 이상의 주민들이 희생되었고, 1919년 봄에는 적색군의 테러 행위가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11] 1920년 4월 초, 상하이에서는 블라디보스토크의 적색 테러에서 탈출한 장교들이 백군에 대한 조직적인 살인이 벌어지고 있다고 증언했다.[11]

그러나 야코프 트랴피친의 부대는 거의 모든 사회적, 민족적으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제거하는 가장 무자비한 형태로 적색 테러를 수행했다.[11] 트랴피친 부대는 아무르 강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촌 지식인과 도시 "부르주아지"를 제거하고, 사제들을 익사시키거나 포로들을 총살했다.[11] 트랴피친의 부대에는 약 200명의 중국인과 같은 수의 한국인이 있었는데, 이들은 타이가의 금광에서 모집되었으며, 후한 현금 선불과 약탈, 살해 허용으로 부대에 굴복했다.[11]

점령된 도시에는 니콜라예프스카야 코뮌이 3개월 동안 존재했는데, 아나키스트 트랴피친과 사회주의 혁명가-최대주의자 레베데바는 공모 혐의로 "그들의"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하고 살해했다.[11] 트랴피친은 도시 인구의 4분의 3이 반혁명 세력이라고 공공연히 말했으며, 5월에는 "공포! 자비 없는 공포!"를 외치며 적을 제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1]

트랴피친 부대는 유대인 어린이와 여성을 절멸시켰고, 아이들은 어머니와 함께 파괴되었으며, 여성은 처형되기 전에 강간당했다.[11] 1920년 여름, 아무군 강에서는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많은 시신이 건져졌는데, 이들은 귀, 코, 손가락이 잘리고 칼과 총검에 찔린 상처를 입고 있었다.[12]

1920년 5월 말, 트랴피친 부대는 도시를 불태우고 대형 석조 건물을 폭파한 후, 약탈한 물건과 금 반 톤을 싣고 떠났다.[11] 니콜라옙스크 파괴 이후에도 붉은 테러는 멈추지 않았고, 강제로 대피하는 민간인 대량 학살이 발생했다.[11]

1920년 7월 9일, 트랴피친은 공산 정권에 대한 노동자들의 신뢰를 훼손한 죄로 처형되었다.[9] 재판에서 게릴라들은 스스로 지역 인구의 약 절반이 파괴되었다고 말했다.[2]

이 사건은 일본 내에서 큰 충격과 분노를 일으켰고, 시베리아 출병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 일본 각지에서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움직임이 이어졌다. 오타루에는 니콜라옙스크 사건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오타루의 니콜라옙스크 사건 기념비

7. 1. 한인 사회의 연관성

1919년 1월, 니콜라옙스크에는 일본 국적의 조선인이 916명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는 일본인 수의 약 3배였다.[52] 당시 조선인들은 일본 국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부는 일본 상점에 고용되어 목재상이나 목축업에 종사하기도 했다.[67] 그러나 러시아 국적을 가진 고려인도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포함하면 실제 조선인 수는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68]

적군 유격대에 점령된 후 니콜라옙스크에서 활동한 조선인 과격파(유격대)의 수는 자료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중국 정부의 조사와 미국인 마키에프는 1,000명으로 추산했지만,[58][59] 참모본부 편찬 『시베리아 출병사』는 400-500명으로 보고 있다.[29] 이들은 약탈한 군복을 착용하고 있었다.[59]

조선인 유격대가 중국인 유격대와 구별되는 점은, 항일 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유격대 부대에 가담한 이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활동하던 조선 독립 운동 지도자 이동휘블라디미르 레닌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아 적군과 협력하는 방침을 제시했다.[69]

구트만에 따르면, 니콜라옙스크의 조선인들은 주로 근교에서 농업에 종사하거나 부유한 집의 사용인으로 일했으며, 상인은 극소수였다.[70] 이들은 볼셰비키 가입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나, 트랴피친이 조선 독립에 대한 적군의 원조를 약속하자, 시내의 한인회는 부대를 조직하여 유격대 산하에 들어가 충실히 활동했다. 이들은 감옥 감시, 사형 집행 등을 성실히 수행했지만, 군기가 엄격하여 징발, 몰수, 약탈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한다.[70]

하라 테루유키는 구트만이 언급한 "군기가 엄격한 조선인 부대"가 한인회 서기 바실리 박|바실리 박한국어을 중심으로 니콜라옙스크 시내에서 편성된 100명 정도의 제2중대를 가리킨다고 보았다.[71] 반면, 외부에서 온 박일리아|일리야 박한국어이 이끄는 제1중대(사할린 부대)는 횡포가 심하고 사기가 낮았다.[71]

7. 2. 일본 내 반응과 추모

니콜라옙스크 사건은 일본 내에서 큰 충격과 분노를 일으켰다. 특히, 일본 정부의 시베리아 출병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187] 야당인 헌정회는 이 사건을 "정부가 은폐하고 총선을 치렀다"고 주장하며, 하라 총리의 "불가항력" 발언을 "책임 회피"라고 맹렬히 비판했다.[39] 중의원에서는 시베리아 출병 자체의 정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결국 다나카 기이치 육군 대신이 사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90][191]

언론은 사건의 참상을 상세히 보도하며 여론을 더욱 악화시켰다.[39] 요시노 사쿠조와 미야케 세츠레이 같은 지식인들은 정부의 책임을 추궁하는 논평을 발표했다.[188][189] 희생자 유족들은 정부와 군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며, "명예로운 전사가 아니라 비참하게 살해당했다"고 울분을 토했다.[39] 미야케 신고 해군 소좌의 형인 미야케 키이치 박사는 "정부가 구원 방법을 게을리하고 불가항력이라고 말하는 것은 인도에 무감각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198]

일본 각지에서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움직임이 이어졌다. 오타루시는 사할린, 시베리아 방면 물자 수송 항구로서 니콜라옙스크와 인연이 깊어, 시민들의 총의로 위령비와 납골당을 건립했다.[206] 민간인 희생자가 많았던 구마모토현 아마쿠사시에도 유족들이 순난자비를 세웠다.[207] 이바라키현 미토시와 삿포로 호국 신사에도 니항 순난비가 건립되어 희생자들을 기리고 있다.[209]
니항 순난비 (삿포로 호국 신사)


이 사건은 일본의 군사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제국 해군은 쇄빙함 부족으로 재류 일본인을 구출하지 못한 점을 반성하며, 사건 다음 해에 쇄빙함 오도마리를 진수시켰다.[39]

7. 3. 사건의 현재

2014년, 홋카이도 신문 취재반이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를 취재했다.[212] 구 영사관 터는 현재 빈터로 남아 있으며, 시립 박물관에는 빨치산이 사용한 대포가 전시되어 있다. 시 교외에는 일본군의 주둔 시설이 남아 있었다.

참조

[1] 논문 The following papers acknowledge that the Red Army partisan detachment under Yakov Tryapitsyn committed massacres and war crimes against civilians
[2] 논문 Тепляков, 2015, p=718, 730.
[3] 간행물 ИСТОРИЯ НИКОЛАЕВСКОЙ-НА-АМУРЕ КОЛОНИИ ПРОКАЖЕННЫХ https://www.elibrary[...] 2003
[4] 논문 Fisher, Varneck, 1935, p=265~328; Stephan, 1994, p=144~146; Тепляков, 2015, p=718-731; Булдаков, 2013, p=117; Дацышен, 2014, p=194; Grishachev, Datsyshen, 2019, p=145~146; Li, 2016, p=49
[5] 논문 Тепляков, 2015, p=728-730
[6] 논문 Тепляков, 2015, p=727
[7] 간행물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и проза 1920-х годов. https://www.elibrary[...] 2013
[8] 간행물 Русско-японские отношения на Северном Сахалине в период японской оккупации (1920-1925 гг.) https://www.elibrary[...] 2014
[9] 간행물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di[...] 2019
[10] 간행물 ПАРТИЗАНСКИЕ СОЦИАЛЬНЫЕ ЧИСТКИ НА ВОСТОКЕ РОССИИ В 1919-1920 ГГ.: РОГОВЩИНА И ТРЯПИЦЫНЩИНА https://www.elibrary[...] 2013
[11] 간행물 Суд над террором: партизан Яков Тряпицын и его подручные в материалах судебного заседания https://www.elibrary[...] 2015
[12] 간행물 "СОТНИ ДЕВУШЕК СТАЛИ ЖЕНЩИНАМИ...": МАССОВОЕ СЕКСУАЛЬНОЕ НАСИЛИЕ СО СТОРОНЫ ПАРТИЗАН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1918-1920 ГГ.) https://www.elibrary[...] 2017
[13] 간행물 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https://www.elibrary[...] 2018
[14] 간행물 Дальневосточная республика как периферийная модель преодоления системного кризиса традиционной империи https://www.elibrary[...] 2019
[15] 간행물 ЯКОВ ТРЯПИЦЫН БЕЗ ЛЕГЕНД: НОВЫЕ ДАННЫЕ О СУДЬБЕ ПАРТИЗАНСКОГО КОМАНДИРА https://www.elibrary[...] 2018
[16] 간행물 НАРОДНЫЙ СУД 103-Х ИЛИ "СУД ЛИНЧА"? https://www.elibrary[...] 2020
[17] 간행물 Regionalisms and Imperialisms in the Making of the Russian Far East, 1903–1926 https://www.cambridg[...] 2018
[18] 간행물 Sino-Japanese negotiations over the Nikolayevsk Incident https://www.tandfonl[...] 2016
[19] 간행물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https://www.proquest[...] 1998
[20] 서적 The Russian Far East: A History https://www.sup.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Japanese Anticommunism https://www.tandfonl[...] 2018
[22] 서적 The Testimony of Kolchak and Other Siberian Materials. The Testimony of Kolchak. Memoirs of the Red Partisan Movement in the Russian Far East. By A.Z. Ovchinnikov. The Nikolaevsk Massacre. The Vladivostok Incident, April 4-5, 1920. https://catalogue.nl[...] Stanford University, Calif. : Stanford University Press ; London : H. Mil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 간행물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A. Ya. Gutman. Translated by EL Wiswell. Edited by Richard A. Pierce. 1993. Fairbanks and Kingston, Ontario: Limestone Press, xxxiii+ 395 p, illustrated, hard cover. ISBN 0-919642-35-7. US $28.00 https://www.cambridg[...] 1995
[24] 문서 『尼港事件と日本社会、一九二〇年』p. 1
[25]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Greenwood Pub Group
[26] 서적 Lever Of Empire: The International Gold Standard And The Crisis Of Liberalism In Prewar Japan (Twentieth Century Japan: the Emergence of a World Pow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문서 「ニコラエフスクの日本人虐殺―一九二〇年、尼港事件の真実」p8,[[アナトリー・ヤコヴレヴィチ・グートマン]]【著】/長勢了治【訳】 , 勉誠社,2020/04
[28] 서적 尼港虐殺事件哈府武装解除事件記念寫眞帖 https://ci.nii.ac.jp[...] '[出版者不明]' 192-
[29] 문서 『大正七年及至十一年西伯利出兵史 復刻版中巻』p. 833、p. 836
[30] 웹사이트 <近代茨城の肖像>(21)歩兵第二連隊 極寒のシベリアで全滅: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09-05
[31] 뉴스 辛亥革命之後哪一年中國版圖最大? http://www.chinarevi[...] 中国評論新聞網 2010-08-27
[32] 웹사이트 【書評】『ニコラエフスクの日本人虐殺 一九二〇年、尼港事件の真実』 https://www.sankei.c[...] 2020-05-17
[33] 문서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p. 2 米訳者前文
[34] 문서 『アムールのささやき』pp. 207-232
[35] 서적 尼港事件の背景を探る 文芸社
[36]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37] 서적 初期シベリア出兵の研究
[38] 서적 初期シベリア出兵の研究
[39] 서적 尼港事件と日本社会、一九二〇年
[40] 서적 総力戦とデモクラシー
[41] 서적 シベリア出兵 : 革命と干渉1917-1922
[42] 뉴스 尼港の大惨事 (上・下) http://dl.ndl.go.jp/[...] 時事新報 1920-04-20
[43] 뉴스 在露邦商陳情 http://dl.ndl.go.jp/[...] 大阪朝日新聞 1917-12-09
[44]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4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46] 간행물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47]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48] 웹사이트 スラブ研究センターニュース 季刊 2007年秋号 No.111 図書館だより http://src-h.slav.ho[...]
[49] 서적 北海道拓殖銀行 調査彙纂
[50] 간행물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51] 서적 国辱記
[52] 서적 「尼港事件」の諸問題
[53]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54]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5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56] 서적 ニコラエフスク事件と中国砲艦
[57] 웹사이트 経済網-世界新聞報2007年12月11日 http://big5.ce.cn/cu[...]
[58] 간행물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59] 뉴스 尼港邦人全滅 言語に絶せる過激派の惨虐 米人の報告=陸軍省発表 http://dl.ndl.go.jp/[...] 報知新聞 1920-04-27
[60] 문서
[61]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62] 서적 「尼港事件」の諸問題
[63] 문서 A.Ya.Gutman, Ella Lury Wiswell
[64] 인용
[6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事件
[66] 인용
[67] 서적 国辱記
[68] 서적 「尼港事件」の諸問題
[69] 서적 朝鮮戦争前史としての韓国独立運動の研究
[70]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71] 서적 シベリア出兵 : 革命と干渉1917-1922
[72]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73] 서적 西伯利出兵 憲兵史
[74]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75]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76] 서적 校訂 国辱記
[77]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78]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79] 웹사이트 石田領事一家および館員(前列左端が石田虎松領事) http://www.yasukuni.[...] 靖国神社
[80]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81] 서적 西伯利出兵史要、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ニコラエフスク事件
[82]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83] 서적 ニコラエフスク事件
[84]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8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86]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87]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88]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校訂 国辱記
[8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90]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91] 서적 西伯利出兵史要、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92]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93]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94]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9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96]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97]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98] 서적 西伯利出兵 憲兵史
[9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事件
[100] 서적 シベリア出兵 : 革命と干渉1917-1922
[101] 서적 西伯利出兵 憲兵史
[102] 서적 世界史のなかの満洲帝国 PHP研究所
[103]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04]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0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06]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07]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08]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0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10]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11] 서적 『西伯利出兵 憲兵史』
[112] 간행물 『「尼港事件」の諸問題』
[113] 서적 『シベリア出兵 : 革命と干渉1917-1922』
[114] 간행물 『ニコラエフスク事件』
[11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B
[116]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17]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18]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1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20]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21]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米訳者前文
[122] 간행물 『ニコラエフスク事件』
[123] 서적 『シベリア出兵 : 革命と干渉1917-1922』
[124]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25] 서적 『西伯利出兵 憲兵史』
[126]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27] 문서 A.Ya.Gutman Ella Lury Wiswell
[128]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129] 문서 『アムールのささやき』の軍人名簿で臨時第一電信隊尼港軍用通信所所属・佐賀県・工兵一等卒香田昌三と記述されている日記を書き残した一等兵について、外務省資料では香月昌三としているが陸軍省資料等では香田昌三としていることから香田昌三に統一する
[130]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31] 서적 『国辱記』
[132]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33]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34]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35]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36]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37]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38]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3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40]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41]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42]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43]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44]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4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46]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47]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48]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49] 서적 国辱記
[150]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51]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52]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53] 외교문서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54] 외교문서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5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回想』
[156] 뉴스 人民網-環球時報2004年10月28日 http://big5.xinhuane[...] 2004-10-28
[157] 웹사이트 画期的!?自ら官製メディアの環球時報が「政府寄りネット評論員」を批判―米メディア http://www.recordchi[...] 2011-05-25
[158]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5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60]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61] 서적 『極東共和国の夢』
[162]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63] 서적 A.Ya.Gutman Ella Lury Wiswell
[164] 문서 ニッポン 領土問題の原点!!「樺太-カラフト」を知る48頁中段10行目 産経新聞社
[16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66]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67] 외교문서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68]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6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70]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A 事件直後の宣誓証言集
[171]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172]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73] 외교문서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74]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175]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76]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付録B
[177]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78]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79]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80]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81]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82]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83]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184] 서적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第一冊下巻
[185] 간행물 『官報』号外 NDLJP|2954489 1920-07-03
[186] 서적 『西伯利出兵史要』
[187] 서적 『シベリア出兵 : 革命と干渉1917-1922』
[188] 간행물 『中央公論』
[189] 간행물 『中央公論』
[190] 서적 『尼港事件と日本社会、一九二〇年』
[191] 서적 國民に訴ふ 中野正剛大演説集 平凡社 1929-04-05
[192] 서적 『尼港問題を通して』
[193] 서적 『パル判決書』の真実 いまこそ東京裁判史観を断つ PHP研究所
[194] 뉴스 残虐無道悪魔の如きバルチザンの毒手にその最愛の妻子三名を殺戮され辛くも身を以て逃れたる尼港事件唯一の生還者本社を訪う : 巨万の試算を掠奪された毛皮商井上雅雄氏 : 凶徒三名を殺し僅かに妻子の讐を報じて単身危地を脱し爾来辛苦実に三十有六日殆ど絶食し哈爾賓に避難 : 我外務当局に報告すべく東上の途次来神し声涙倶に下りつつ悲惨なる遭難実況を物語る 0100323311 神戸大学経済経営研究所 新聞記事文庫 外交
[195] 인용
[196] 뉴스 尼港邦人全滅 : 言語に絶せる過激派の惨虐 : 米人の報告=陸軍省発表 0100200716 神戸大学経済経営研究所 新聞記事文庫 外交
[197] 인용
[198] 서적 『 国辱記』
[199]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本文
[200] 서적 『尼港問題を通して』
[201] 서적 『 国辱記』
[202] 서적 『校訂 国辱記』
[203] 문서
[204] 문서 『尼港事件・オホーツク事件損害に対する再救恤、一九二六年』より
[205]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206]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207] 웹사이트 尼港事変殉難者碑 https://www.city.ama[...] 天草市 2009-02-23
[208]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209] 서적 『アムールのささやき』
[210] 뉴스 全身血を浴びて倒れた根本少佐と木村署長 鬨を揚げて押寄せた暴兵 0100081761 大阪朝日新聞 1927-03-30
[211] 웹사이트 「この命、義に捧ぐ―台湾を救った陸軍中将根本博の奇跡」が発売になりました。(2010.04.26) http://www.kadotaryu[...] 2010-04-26
[212] Youtube 邦人700人殺害 尼港の歴史後世へ ロシア・ニコラエフスクナアムーレ https://www.youtube.[...] 北海道新聞社 2014-09-03
[213] 문서 『「尼港事件」の諸問題』より
[214] 문서 例えばВ. Г. スモリャーク著『ニコラエフスク事件』。藤本和貴夫の和訳があるため、原暉之『シベリア出兵 革命と干渉 1917-1922』とともに、ソ連側見解を知る文献として活用した。
[215] 문서 『「尼港事件」の諸問題』より
[216] 웹사이트 UNIVERSITY OF HAWAII ATMANOA LIBRARY Russian Collections http://library.manoa[...]
[217] 문서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p. 332 和訳者あとがき
[218] 웹사이트 城山三郎経済小説大賞 http://www.diamond.c[...]
[219] 저널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и проза 1920-х годов. https://cyberleninka[...] 2013
[220] 저널 Русско-японские отношения на Северном Сахалине в период японской оккупации (1920-1925 гг.). https://cyberleninka[...] 2014
[221] 저널 Суд над террором: партизан Яков Тряпицын и его подручные в материалах судебного заседания. https://www.elibrary[...] 2015
[222] 저널 Дальневосточная республика как периферийная модель преодоления системного кризиса традиционной империи. https://www.elibrary[...] 2019
[223] 저널 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https://cyberleninka[...] 2018
[224] 저널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vi[...] 2019
[225] 서적 러시아문서 번역집 : 근대한러관계연구. 14, 러시아국립군문서보관소(РГВА) 선인 2014
[226] 저널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https://www.proquest[...] 1998
[227] 서적 The Russian Far East: A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228] 저널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Japanese Anticommunism https://www.tandfonl[...] 2018
[229] 저널 Sino-Japanese negotiations over the Nikolayevsk Incident https://www.tandfonl[...] 2016
[230]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A)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49;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https://search.i815.[...]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31]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32] 서적 The testimony of Kolchak and other Siberian material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5
[233] 저널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https://www.proquest[...] 1998
[234] 저널 Tsarist continuities in Soviet nationalities policy: A case of Korean territorial autonomy in the Soviet Far East, 1923-1937. https://www.academia[...] 2014
[235] 저널 СОТНИ ДЕВУШЕК СТАЛИ ЖЕНЩИНАМИ...": МАССОВОЕ СЕКСУАЛЬНОЕ НАСИЛИЕ СО СТОРОНЫ ПАРТИЗАН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1918-1920 гг.). https://www.elibrary[...] 2017
[236] 웹인용 독립운동인명사전 "고명수" https://search.i815.[...] 2021-06-26
[237] 문서 Суд над террором: партизан Яков Тряпицын и его подручные в материалах судебного заседания https://elibrary.ru/[...] 2015
[238] 문서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di[...] 2019
[239] 저널 Sino-Japanese negotiations over the Nikolayevsk Incident https://www.tandfonl[...] 2016
[240] 문서 Дальневосточная республика как периферийная модель преодоления системного кризиса традиционной империи https://www.elibrary[...] 2019
[241] 저널 ЯКОВ ТРЯПИЦЫН БЕЗ ЛЕГЕНД: НОВЫЕ ДАННЫЕ О СУДЬБЕ ПАРТИЗАНСКОГО КОМАНДИРА https://www.elibrary[...] 2018
[242] 저널 Regionalisms and Imperialisms in the Making of the Russian Far East, 1903–1926 https://www.cambridg[...] 2018
[243] 문서 ПАРТИЗАНСКИЕ СОЦИАЛЬНЫЕ ЧИСТКИ НА ВОСТОКЕ РОССИИ В 1919-1920 ГГ.: РОГОВЩИНА И ТРЯПИЦЫНЩИНА https://elibrary.ru/[...] 2013
[244] 저널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и проза 1920-х годов https://www.elibrary[...] 2013
[245] 저널 "ЯКОВ ТРЯПИЦЫН БЕЗ ЛЕГЕНД: НОВЫЕ ДАННЫЕ О СУДЬБЕ ПАРТИЗАНСКОГО КОМАНДИРА" https://www.elibrary[...] 2018
[246] 간행물 "НАРОДНЫЙ СУД 103-Х ИЛИ \"СУД ЛИНЧА\"?" https://www.elibrary[...] Eruditorum 2020 Выпуск 2020
[247] 저널 НАРОДНЫЙ СУД 103х ИЛИ «СУД ЛИНЧА»? https://rhga.ru/uplo[...] 2021-06-18
[248] 저널 Суд над террором: партизан Яков Тряпицын и его подручные в материалах судебного заседания https://www.elibrary[...] 2015
[249] 저널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и проза 1920-х годов. https://cyberleninka[...] 2013
[250] 저널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vi[...] 2019
[251] 저널 Суд над террором: партизан Яков Тряпицын и его подручные в материалах судебного заседания. https://www.elibrary[...] 2015
[252] 서적 러시아문서 번역집 : 근대한러관계연구. 14, 러시아국립군문서보관소(РГВА) 선인 2014
[253] 서적 The Russian Far East: A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254] 저널 Sino-Japanese negotiations over the Nikolayevsk Incident https://www.tandfonl[...] 2016
[255]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A)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49;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https://search.i815.[...]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56] 저널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и проза 1920-х годов. https://cyberleninka[...] 2013
[257] 저널 Русско-японские отношения на Северном Сахалине в период японской оккупации (1920-1925 гг.). https://cyberleninka[...] 2014
[258] 저널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vi[...] 2019
[259] 저널 Суд над террором: партизан Яков Тряпицын и его подручные в материалах судебного заседания. https://www.elibrary[...] 2015
[260] 저널 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https://cyberleninka[...] 2018
[261] 저널 СОТНИ ДЕВУШЕК СТАЛИ ЖЕНЩИНАМИ...": МАССОВОЕ СЕКСУАЛЬНОЕ НАСИЛИЕ СО СТОРОНЫ ПАРТИЗАН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1918-1920 гг.). https://www.elibrary[...] 2021-06-17
[262] 저널 НАРОДНЫЙ СУД 103-х ИЛИ «СУД ЛИНЧА»? https://www.elibrary[...] 2021-06-20
[263] 저널 Дальневосточная республика как периферийная модель преодоления системного кризиса традиционной империи. https://www.elibrary[...] 2021-06-17
[264] 서적 러시아문서 번역집 : 근대한러관계연구. 14, 러시아국립군문서보관소(РГВА) 선인 2014
[265] 서적 The Russian Far East: A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266] 저널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https://www.proquest[...] 1998
[267] 저널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Japanese Anticommunism https://www.tandfonl[...] 2018
[268] 저널 Sino-Japanese negotiations over the Nikolayevsk Incident https://www.tandfonl[...] 2016
[269]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A)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49;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https://search.i815.[...]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70] 저널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и проза 1920-х годов. https://cyberleninka[...] 2013
[271] 웹인용 Дацышен Владимир Григорьевич - Гуманитарный институт СФУ https://web.archive.[...] 2021-06-26
[272] 저널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vi[...] 2019
[273] 저널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vi[...] 2019
[274] 저널 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https://cyberleninka[...] 2018
[275] 저널 ЯКОВ ТРЯПИЦЫН БЕЗ ЛЕГЕНД: НОВЫЕ ДАННЫЕ О СУДЬБЕ ПАРТИЗАНСКОГО КОМАНДИРА https://rhga.ru/uplo[...] 2021-06-18
[276] 저널 ЯКОВ ТРЯПИЦЫН БЕЗ ЛЕГЕНД: НОВЫЕ ДАННЫЕ О СУДЬБЕ ПАРТИЗАНСКОГО КОМАНДИРА https://rhga.ru/uplo[...] 2021-06-18
[277] 저널 НАРОДНЫЙ СУД 103-х ИЛИ «СУД ЛИНЧА»? https://www.elibrary[...] 2021-06-20
[278] 서적 러시아문서 번역집 14 - 러시아국립군문서보관소(РГВА) 선인 2014
[279] 서적 The Russian Far East: A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280] 웹인용 Kurt-Hackemer https://www.usd.edu/[...] 2021-02-14
[281] 저널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https://www.proquest[...] 1998
[282] 문서 PhD in Russian/Soviet history from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https://www.ubcpress[...]
[283] 저널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Japanese Anticommunism https://www.tandfonl[...] 2018
[284] 저널 Sino-Japanese negotiations over the Nikolayevsk Incident. https://www.tandfonl[...] 2016
[285]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A)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49;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86]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A)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49;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https://search.i815.[...]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87]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 Fairbanks, Alaska ; Limestone Press 1993
[288]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89]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0]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1]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2]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3]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4]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5]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6]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7]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8]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299]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0]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1]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2]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3]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4]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5]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6]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7]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8]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09]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10]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11]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12]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13]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14]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15]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Kingston, Ont, Fairbanks, Alaska, Limestone Press 1993
[316]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Limestone Press
[317]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Limestone Press
[318]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Limestone Press
[319]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Limestone Press
[320]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Limestone Press
[321] 서적 The testimony of Kolchak and other Siberian materials Stanford University Press
[322] 간행물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323] 서적 The testimony of Kolchak and other Siberian materials Stanford University Press
[324] 간행물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325] 서적 The testimony of Kolchak and other Siberian materials Stanford University Press
[326] 서적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Limestone Press
[327] 서적 러시아문서 번역집 14 선인
[328] 저널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A. Ya. Gutman. Translated by EL Wiswell. Edited by Richard A. Pierce. 1993. Fairbanks and Kingston, Ontario: Limestone Press, xxxiii+ 395 p, illustrated, hard cover. ISBN 0-919642-35-7. US $28.00 https://doi.org/10.1[...] 1995
[329] 저널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https://brill.com/vi[...] 2019
[330] 기타 "Партизанские социальные чистки на востоке России в 1919-1920 гг.: роговщина и тряпицынщина" https://elibrary.ru/[...]
[331]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A)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49;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https://search.i815.[...]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