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멀구슬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구슬나무는 -5°C의 저온과 39°C의 고온에서도 생존 가능한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낙엽활엽교목으로, 히말라야 산록, 중국, 한국 남부 등 건조한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둥근 수관과 우산 모양의 수형을 가지며, 잎은 2회 홀수깃꼴겹잎, 꽃은 연한 자주색, 열매는 황갈색으로 익는 타원형 핵과이다. 잎과 목재는 약한 향기를 가지며, 목재는 건축, 가구, 공예 등에 사용된다. 열매는 사포닌을 함유하여 사람과 개에게는 독성이 있지만, 일부 조류는 섭취한다. 멀구슬나무는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며, 생약재로도 사용된다. 또한, 추출 성분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성화하고, 암세포의 자가포식을 촉진하여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문화적으로는 일본의 여러 지자체에서 지정한 나무이며, 꽃말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멀구슬나무과 - 랑삿
    랑삿은 동남아시아 원산의 나무로,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타원형 또는 둥근 모양의 열매는 달콤하고 신맛이 나며, 생으로 먹거나 시럽에 절여 먹고, 건축 자재로도 사용된다.
  • 멀구슬나무과 - 님나무
    님나무는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상록수로, 살충 효과가 있는 아자디라크틴을 함유하여 방충제로 사용되고 전통 의학에서도 활용되며, 특허 분쟁과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나무 - 유칼립투스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는 블루검으로도 불리며 호주가 원산지인 높이 100m까지 자라는 늘푸른 나무로, 잎은 유칼립투스 오일의 주요 원천이며, 빠른 성장 속도로 전 세계에서 조림되지만 환경적 문제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고, 타즈메이니아 블루검 잎은 허브차로도 사용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나무 - 멍석딸기
    멍석딸기는 산기슭이나 들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반관목으로, 덩굴처럼 뻗는 줄기와 붉은 열매, 5~7월에 피는 분홍색 꽃이 특징이며, 열매는 신맛이 강해 식용으로 이용되고 류큐 왕국에서 재배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멀구슬나무
기본 정보
잎, 꽃, 열매
학명Melia azedarach L.
센단속
센단과
이명Azedara speciosa Raf.
Azedarach commelinii Medik.
Azedarach deleteria Medik.
Azedarach fraxinifolia Moench
Azedarach odoratum Noronha
Azedarach sempervirens Kuntze
Azedarach sempervirens var. glabrior (C.DC.) Kuntze
Azedarach sempervirens f. incisodentata Kuntze
Azedarach sempervirens f. longifoliola Kuntze
Azedarach sempervirens f. subdentata Kuntze
Melia azedarach var. intermedia (Makino) Makino
Melia azedarach var. subtripinnata Miq.
Melia azedarach var. toosendan (Siebold & Zucc.) Makino
Melia bukayun Royle
Melia cochinchinensis M.Roem.
Melia commelini Medik. ex Steud.
Melia composita Benth.
Melia florida Salisb.
Melia guineensis G.Don
Melia japonica G.Don
Melia japonica var. semperflorens Makino
Melia orientalis M.Roem.
Melia sambucina Blume
Melia sempervirens Sw.
Melia toosendan Siebold & Zucc.
한국어 이름센단, 오우치, 아미노키
영어 이름chinaberry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
진정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하위 분류
변종센단 (좁은 의미) Melia azedarach L. var. subtripinnata Miq.
토우센단 Melia azedarach var. toosendan
품종시로바나센단 Melia azedarach f. albiflora
표준 학명
상세 학명
좁은 의미Melia azedarach L. var. subtripinnata Miq. (1867)
이명Melia azedarach L. var. japonica (G.Don) Makino (1914)
이명Melia azedarach var. umbraculifera Knox

2. 분포 및 생육 환경

멀구슬나무는 히말라야 산록을 비롯하여 중국, 타이완, 한국 남부 및 일본 등 건조한 열대부터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14] 일본에서는 혼슈 (이즈반도 이서), 이즈 제도,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에 분포한다.[14]

온난한 지역의 해안 근처나 가장자리에 많이 자생하며, 정원수, 공원, 사찰, 가로수로도 심어져 있고 심어진 것이 야생화되기도 한다.

성숙한 멀구슬나무는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5°C의 저온에도 견딜 수 있으며 최대 39°C의 고온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이 나무는 뉴욕주처럼 북쪽으로도 자란다.

3. 특징

완전히 자란 멀구슬나무는 둥근 수관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높이는 7m에서 12m이고, 드물게는 45m에 달한다.[7] 낙엽활엽교목으로 수고는 5m에서 20m 정도이고 생장이 빠르다. 가지는 굵은 편이며 사방으로 퍼져 자라 우산 모양 또는 느티나무와 비슷한 분위기의 둥근 수형을 이룬다. 성목의 줄기는 지름이 약 25cm 정도이다. 어린 수피는 암녹색이며 타원형의 희끄무레한 피목이 많아 눈에 잘 띄지만, 굵은 줄기는 흑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져 현저한 요철이 생긴다.

은 길이 최대 50cm이고 어긋나며, 긴 잎자루를 가지고, 2회 또는 3회 깃꼴겹잎(奇數羽狀複葉)이다. 소엽은 위쪽은 짙은 녹색이고 아래쪽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소엽은 3cm에서 6cm의 길이를 가지며, 끝이 뾰족한 난형타원형이고 가죽질이며 얇다. 잎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더 크게 갈라지는 경우도 있다.

은 작고 향기롭고, 연한 자주색 또는 라일락색 꽃잎이 5개이며, 무리지어 핀다. 당년생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꽃차례를 내어 연한 자주색의 5장의 꽃잎을 가진 꽃을 여러 개, 원추형으로 붙인다. 꽃차례의 길이는 10cm에서 20cm이다. 꽃잎은 길이 8mm에서 9mm이며, 앞면은 흰색, 뒷면은 연한 자주색이고, 10개의 수술은 진한 자주색이다.

열매핵과(核果)로, 구슬 크기이며, 성숙하면 연한 노란색이 되고, 겨울 내내 나무에 매달려 있다가 점차 주름지고 거의 흰색이 된다. 열매는 장경 17mm 정도의 타원형 핵과이며, 늦가을(10~12월경)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가을이 깊어지고 낙엽이 지더라도, 한동안 가지 끝에 열매가 매달려 남아 있기 때문에 눈에 잘 띈다. 열매는 과육이 적고 씨앗(핵)이 1cm 전후로 크며, 위에서 보면 별 모양을 하고 있다.

청금빛 에메랄드벌새(''Amazilia lactea''), 반짝이는 배 에메랄드벌새(''Chlorostilbon lucidus''), 플라날토 은둔벌새(''Phaethornis pretrei'')와 같은 일부 벌새들이 꽃을 먹고 수분하는 것으로 기록되었지만, 이들은 기회적으로만 이용한다.[14] 미국에서는 꿀벌이나 나비가 꽃(또는 꿀)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수분 매개자에게 이점이 없다.[18]

케이프 라일락나무 애벌레(Cape lilac worm), ''Leptocneria reducta''와 같은 해충은 호주에서 나무의 잎을 심하게 갉아먹고 나무에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다.[23]

진균성 식물 병원균인 ''Pseudocercospora subsessilis''이 나무의 잎에서 발견되며,[15] 잎에 반점을 유발한다.[16]

''Melia azedarach''는 수명이 짧아 평균 약 20년이다.[8] 성숙한 멀구슬나무는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5˚C의 저온에도 견딜 수 있으며 최대 39˚C의 고온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꽃의 근접 사진


익은 열매송이의 근접 사진


인도 회색뿔새가 우타라칸드주, 인도에서 멀구슬나무 열매를 먹고 있다.


이집트과일박쥐가 터키에서 멀구슬나무 열매를 먹고 있다.

4. 화학적 성분

Italo 등(2009)과 Safithri와 Sari(2016)는 멀구슬나무(*M. azedarach*)에서 발견된 플라보노이드페놀 화합물을 보고하였다.[9]

과실은 생약의 '''고련자'''(苦楝子) 또는 '''천련자'''(川楝子)라 하여, 습진, 굳은살, 동상에 외용하고, 정장제, 진통제로서 달여서 내복하였다. 나무껍질은 생약의 '''고련피'''(苦楝皮)라 하여, 구충제(충하시)로서 전액을 내복하였다. 나무껍질에는 쓴맛 성분이 있어, 어업에 사용하는 어독으로도 사용되었다. 잎은 강한 살충 효과를 가지므로, 옛날에는 농가에서 살충에 사용되었다.

오키나와현에 자생하는 멀구슬나무의 추출 성분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네루메 쿠니아키, 야마모토 마사시는 동일 성분이 세포의 오토파지(자가포식작용)를 촉진시켜 사멸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70종류의 암에서 멀구슬나무의 항암 작용을 확인하였다.[35] 멀구슬나무의 항암 작용은 마우스 실험, 개에 대한 투여에서 실증되었고, 미국의 암 연구 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Cancer Research"가 생물자원연구소(나고시) 등의 논문을 게재하였다.[36]

5. 어원

속명 'Melia'는 그리스어 μελία|멜리아grc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물푸레나무속의 잎과 비슷한 잎을 가진 나무를 지칭하기 위해 테오프라스토스(기원전 371년경 – 기원전 287년경)가 사용한 단어이다.[10][11] 종명 'azedarach'는 프랑스어 'azédara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자유로운 또는 고귀한 나무'라는 뜻의 페르시아어 'āzād dirakht' (ازادرخت)에서 온 것이다.[13]

멀구슬나무는 같은 과에 속하지만 다른 속인 인도멀구슬나무속 나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6. 용도

멀구슬나무는 1830년경 미국(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조지아주)에 관상용으로 도입되었으며, 잎은 해충 퇴치, 열매는 가정용 위스키와 비누 제조에 사용되었다.[17] 1840년에는 하와이에도 도입되었다.[18] 한국 남부에서는 관상수로 심어지고 있다.[16]

호주에서는 공원, 공공 정원, 개울가, 도로변에 심어졌다.[20] 향기로운 라일락색 꽃과 노란색 열매는 멀구슬나무를 매력적인 관상수로 만든다.[21] 단단한 씨앗은 묵주 등 공예품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멀구슬나무의 주요 용도는 목재이다. 중간 정도의 밀도를 가지며, 연한 갈색에서 짙은 적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띤다. 외관상으로는 티크와 혼동하기 쉽다. 건조가 비교적 간단하며, 판자는 갈라짐이나 뒤틀림 없이 건조되고 곰팡이 감염에 강하다.

단단한 다섯 개의 홈이 있는 씨앗은 묵주와 구슬이 필요한 다른 제품을 만드는 데 널리 사용되었지만, 나중에 플라스틱으로 대체되었다. 성숙한 열매가 달린 가지는 꽃집과 조경업체에 판매되는데, 특히 야외 휴일 장식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케냐에서는 농부들이 사료 나무로 재배해왔다. 잎은 소에게 먹이면 우유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24]

호주, 특히 멜버른 교외 지역에서는 지방 자치단체가 가로수로 자주 심는다.[25]

잎은 천연 살충제로 사용되어 식량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독성이 강해 먹어서는 안 된다.[26] 멀구슬나무 열매는 과일 속의 해충 유충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었다.

과거에는 잎과 나무의 희석된 우림을 자궁 이완을 유도하는 데 사용했다.

멀구슬나무의 리모노이드는 항암 및 항말라리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나무는 가로수, 정원수, 공원 나무로 심어진다. 가지가 옆으로 넓게 퍼지기 때문에 가로수로서의 기능성이 뛰어나다. 목재는 건축용 재료, 기구용 재료, 가구, 나막신 재료나 불상 조각에도 사용된 적이 있다. 민디 목재라고 쓰여 있는 것은 이 멀구슬나무를 말한다. 느티나무의 모조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씨앗은 염주의 구슬로 사용된다.

일본 구마모토현 아마쿠사시에서는 산간벽지에 있는 농지의 활용 방안으로 조림되고 있다.

7. 독성

열매는 다량 섭취할 경우 사람에게 유독하거나 마취 효과가 있다.[28] [29] 중국 의학 문헌에 따르면, 열매 6~9개, 씨앗 30~40개, 나무껍질 400g을 섭취하면 사람이 중독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독소는 새들에게는 해롭지 않아, 새들은 열매를 게걸스럽게 먹고 결국 "술에 취한" 상태에 이른다. 열매를 먹을 수 있는 조류는 배설물을 통해 종자를 퍼뜨린다. 독소는 주로 열매에 들어 있는 신경독과 미확인 수지이다. 중독 증상은 섭취 후 몇 시간 후에 나타난다. 식욕 부진, 구토, 변비 또는 설사, 혈변, 복통, 폐울혈, 심장마비, 경직, 협응 장애 및 전반적인 쇠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망은 약 24시간 후에 발생할 수 있다. 근연종과 마찬가지로, 테트라노르트리테르페노이드가 중요한 독성 원리이다. 이들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니임 오일의 주요 살충제 성분인 아자디락틴과 화학적으로 관련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아마도 목재와 씨앗의 해충 침입에 대한 저항성과 꽃이 동물에게 매력적이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 식물은 고양이에게 유독하다.[30]

과실은 생약의 '''고련자'''(苦楝子) 또는 '''천련자'''(川楝子)라 하여, 습진, 굳은살, 동상에 외용하고, 정장제, 진통제로서 달여서 내복하였다. 나무껍질은 생약의 '''고련피'''(苦楝皮)라 하여, 구충제(충하시)로서 전액을 내복하였다. 나무껍질에는 쓴맛 성분이 있어, 어업에 사용하는 어독으로도 사용되었다. 잎은 강한 살충 효과를 가지므로, 옛날에는 농가에서 살충에 사용되었다.

오키나와현에 자생하는 멀구슬나무의 추출 성분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네루메 쿠니아키, 야마모토 마사시는 동일 성분이 세포의 오토파지(자가포식작용)를 촉진시켜 사멸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70종류의 암에서 멀구슬나무의 항암 작용을 확인하였다.[35] 멀구슬나무의 항암 작용은 마우스 실험, 개에 대한 투여에서 실증되었고, 미국의 암 연구 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Cancer Research"가 생물자원연구소(나고시) 등의 논문을 게재하였다.[36]

8. 문화

멀구슬나무의 꽃말에는 여러 의견이 있다. "멀구슬나무는 싹부터 향기롭다"라는 속담이 있지만, 이것은 멀구슬나무가 아니라 백단향을 가리킨다.

일본 만엽집에 수록된 연애가에도 멀구슬나무가 등장한다. 헤이안 시대의 가인 세이 쇼나곤마쿠라노소시에서 멀구슬나무 꽃을 "아후치(楝)의 꽃 참으로 아름답다"라고 칭찬했다. 아후치(アフチ)는 멀구슬나무의 옛 이름이다.[37] 일본의 전통색에는 멀구슬나무 꽃에서 유래한 연한 청자색인 연색이 있으며 겹옷의 색깔에도 사용되었다.[37]

헤이안 시대 후기의 헤이케모노가타리에서는 단노우라 전투에서 잡혀 참수된 다이라 무네모리·다이라 키요무네 부자가 교토 산조가와라에서 목이 걸린 나무로 등장한다. 원래 교토의 좌옥과 우옥 문밖에는 오우치(멀구슬나무) 나무가 심어져 있었고, 여기에 목을 걸어 두었다고 한다. 이 무렵부터 에도 시대 무렵까지 옥문에 처형된 죄수의 목을 거는 나무로 꺼려졌다.[38]

한편 인도중국 등에서는 사기를 쫓는 힘이 있다고 믿어졌고, 옥문대로 사용된 것은 그 영력을 이용하여 처형된 사람의 액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반드시 불길한 이미지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아름다운 꽃을 노래에 읊는 시대도 있었다.[38]

참조

[1] 문서 Linnaeus, C. (1753)
[2] 웹사이트 Melia azedarach L. —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021-05-23
[3] GRIN 2017-12-15
[4] 서적 The Shrubs and Woody Vines of Florida – A Reference and Field Guide Pineapple Press Inc
[5] 웹사이트 Melia azedarach https://www.anbg.gov[...] Australian Government 2019-11-30
[6] 학술지 A Monograph of ''Melia'' in Asia and the Pacific: The history of White Cedar and Persian Lilac http://www.sbg.org.s[...] 2014-06-18
[7] 서적 Rainforest Trees of Mainland South-eastern Australia Inkata Press
[8] 웹사이트 Melia azedarach https://www.anbg.gov[...] 2024-11-16
[9] 서적 Plant and human health Springer
[10] 서적 Abrégé du dictionnaire grec français Hachette 1981-01-01
[11] 웹사이트 Greek-french dictionary online http://www.tabulariu[...] 2018-10-18
[12]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20-09-03
[13] 문서 Merriam-Webster
[14] 문서 (2005)
[15] 웹사이트 Species Fungorum - Names Record https://www.speciesf[...] 2023-09-17
[16] 학술지 First report of leaf spot caused by ''Pseudocercospora subsessilis'' on ''Melia azedarach'' in Korea. 2013
[17] 서적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in Alabam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4-11-10
[18] 웹사이트 CHINABERRY TREE details http://www.tsusinvas[...] 2023-09-18
[19] 문서 Langeland & Burks
[20] 서적 Element of Stewardship Abstract for ''Melia azedarach'' The Nature Conservancy 2008
[21] 서적 Encyclopedia of Australian Plants Suitable for Horticulture Thomas C. Lothian Pty Ltd 1993
[22] 서적 Western Weeds: a guide to the weeds of Western Australia Plant Protection Society of Western Australia (Inc.) 1997
[23] 웹사이트 ''Melia azedarach'' - Growing Native Plants https://www.anbg.gov[...] Australian National Botanic Gardens 2023-09-18
[24] 웹사이트 Fodder trees for more milk and income https://assets.publi[...] 2021-07-14
[25] 웹사이트 Street and Park Tree Management Strategy https://www.yourking[...] 2019-11-28
[26]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www.worldcat[...] Skyhorse Publishing
[27] 서적 The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of Southern Africa
[28]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Western Region Knopf
[29] 문서 (1997)
[30] 웹사이트 Toxic and Non-Toxic Plant List - Cats https://www.aspca.or[...] 2021-05-23
[31] YList 2023-04-18
[32] YList 2023-04-18
[33] YList 2023-04-18
[34]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35] 뉴스 琉球新報 琉球新報 2016-11-11
[36] 뉴스 琉球新報 2020-04-19
[37] 서적 色名がわかる辞典 https://kotobank.jp/[...] 講談社 2011-00-00
[38] 데이터베이스 レファレンス協同データベー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