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고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고기는 달고기과에 속하는 해수어로, '금빛'을 뜻하는 프랑스어 'dorée'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전 세계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최대 65cm까지 자란다. 몸은 납작하고 둥근 형태이며, 옆구리에는 짙은 반점이 있다. 주로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상어 등이 주요 포식자이다. 식용으로 이용되며, 흰 살 생선으로 맛이 좋아 세계 각지에서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흑해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흑해의 물고기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 지중해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지중해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달고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Zeus faber |
| 명명자 | Linnaeus, 1758 |
| 영명 | John dory |
| 다른 이름 | St. Peter's fish |
| 한국어 | 달고기 |
| 일본어 | マトウダイ (Matōdai)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 강 | 조기어강 |
| 아강 | 신기아강 |
| 하강 | 진골어하강 |
| 상목 | 측극기상목 |
| 목 | 달고기목 |
| 과 | 달고기과 |
| 속 | 달고기속 Zeus |
| 보존 상태 | |
| IUCN 적색 목록 | DD (자료 부족) |
| 참고 | Iwamoto, T. (2015). "Zeus faber".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198769A42390771. |
| 분포 | |
![]() | |
| 고생물학적 정보 | |
| 화석 기록 | 올리고세 ~ 현재 |
| 기타 | |
| 참고 자료 | Bray, Dianne (2014년 8월 24일). "John Dory, Zeus faber". Fishes of Australia. |
2. 명칭

달고기는 한국, 일본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한국에서는 '달고기'라는 이름 외에도 여러 지방에서 부르는 이름이 있으며, 한자로는 "海魴(해방)" 등으로 표기한다. 영어권에서는 "John dory"라고 불리는데, 그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에서는 성 베드로와 관련된 이름으로 불리며, 옆구리의 검은 반점을 성 베드로의 지문으로 여기는 전설도 있다.[13]
2. 1. 어원
달고기라는 이름은 1440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프랑스어 'dorée'(금빛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1609년에 추가된 "John"은 17세기 노래에 나오는 선장 존 도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John Dory'와 발음이 유사한 프랑스어 'jaune dorée'(금빛 노란색)나 이탈리아어 'gianitore'(관리인)에서 유래되었다는 어원은 현재 부정되고 있다.[5]전설에 따르면, 물고기 옆구리의 검은 반점은 성 베드로의 지문이라고 한다.[6] 스페인 북부 해안에서는 산 마르티뇨라고 불린다. 뉴질랜드 고유 이름으로 보이는 마오리어 이름은 kuparu|쿠파루mi이다.[7]
| 지역 | 지방명 |
|---|---|
| 후쿠시마현, 지바현 | 카가미다이 |
| 지바현 코미나토 | 하츠바 |
| 니가타현, 에히메현 우와지마시 | 카네타타키 |
|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 쿠루마다이 |
| 이시카와현 노토정 우출 | 몬다이 |
| 후쿠이현 | 바토 |
| 교토부 요사군, 시마네현 | 바토우 |
| 돗토리현 | 츠키노와 |
| 야마구치현 하기시 | 오오바 |
| 아이치현 도요하시시 | 혼마토 |
| 와카야마현 다이지 | 마토우오 |
| 와카야마현 쿠시모토 | 마토하기 |
| 효고현 | 마토우 |
| 후쿠오카현 | 와시노이오 |
[12]
달고기는 저서·원양성 연안 어류로,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유럽 연안에서 발견된다. 해저 근처에서 서식하며, 수심 5m~360m 범위에서 산다. 보통 단독 생활을 한다. 뉴질랜드 북섬 해역에서 뉴질랜드 남섬을 둘러싼 더 차가운 해역보다 더 흔하게 발견된다.[7]
달고기는 최대 65cm, 무게는 5kg까지 자란다. 등지느러미에는 10개의 긴 가시가 있고, 뒷지느러미에는 4개의 가시가 있다. 몸 전체에는 미세하고 날카로운 비늘이 있다. 올리브 그린색을 띠며 배는 은백색이고, 옆구리에는 짙은 반점이 있다. 눈은 머리 꼭대기 근처에 있다. 몸은 납작하고 둥근 형태이며, 수영을 잘 못한다.[14]
달고기는 먹이를 몰래 접근한 다음, 턱을 관 모양으로 앞으로 뻗어 물과 함께 물고기를 빨아들여 잡는다. 물은 아가미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악골을 사용하여 음식을 갈아 먹는다.[8]
한자 명칭은 "海魴(해방)"이며, 별칭으로는 원동해방, 일본적 鯛, 월량어 등이 있다. 영어의 dory에 근거한 다리어라는 말도 쓰인다.
영어로는 "John dory"라고 불리는데, 그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 프랑스어의 "jaune d'orée(노란 가장자리를 가진 것)" 등 여러 설이 있다.[13] 독일어(Petersfisch), 프랑스어(Saint-Pierre), 스페인어(pez de San Pedro) 등에서는 성 베드로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린다.[13] 성 베드로는 공물의 돈을 달고기 입에서 꺼냈다는 전승이 있으며, 달고기의 흑색 반점은 이때 생겨난 성 베드로의 지문으로 여겨진다.[13] 영어에서는 과녁에 비유한 "target perch"라는 별명도 있다.
3. 분포 및 서식지
서부 태평양, 지중해, 인도양, 동부 대서양에 분포하는 해수어이다.[14] 일본 근해에도 많으며, 혼슈 중부에서 동중국해에 걸쳐 있는 연안역에 서식한다. 따뜻한 바다의 해저 부근에서 사는 저생어로, 무리를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유영하는 경우가 많다.[15]
4. 형태
달고기는 좌우로 납작하고 현저하게 측편된 타원형의 체형을 가진다.[14] 전장 40cm 정도의 개체가 많지만, 최대 90cm까지 달한다.[15] 입은 크고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전방으로 재빠르게 내밀 수 있어 먹이를 잡는다.[14][16] 어린 물고기의 몸은 거의 원형이고, 흑색~갈색의 불규칙한 세로 줄무늬를 가진다.[14]
몸 양 측면에는 뚜렷한 테두리를 가진 원형의 흑색 반점이 있으며, 이는 달고기의 큰 특징이다.[14] 이 반점은 눈알무늬라고도 불리며, 어린 물고기 때는 선명하지만 성어가 되면 다소 불분명해진다.[16] 같은 달고기과에 속하는 근연종인 점달고기(''Zenopsis nebulosa'')는 달고기와 매우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흑색 반점이 불분명하다는 점, 머리 등쪽이 다소 함몰되어 있다는 점 등으로 구별된다.[14]
등지느러미의 가시줄은 9-11개이며, 전방부의 지느러미막은 실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뻗는다.[14] 등지느러미 연조는 22-24개이며, 뒷지느러미는 4개의 가시줄과 20-23개의 연조로 구성된다.[15] 비늘은 미세하며, 피부에 묻혀있다.[14]
5. 생태
몸이 옆으로 높이 압축되어 있어 정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머리 앞쪽에 있는 큰 눈은 먹이를 잡는 데 필요한 양안 시력과 깊이 인식을 제공한다. 이 눈점은 먹이를 혼란시켜 입으로 빨려 들어가게 할 수 있다.[8]
주로 정어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 특히 떼를 지어 다니는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가끔 오징어와 갑오징어를 먹기도 한다. 주요 포식자로는 검은상어와 같은 상어와 큰 경골어류가 있다.
달고기는 서부 태평양, 지중해, 인도양, 동부 대서양에 분포하는 해수어이다[14]。일본 근해에도 많으며, 혼슈 중부에서 동중국해에 걸쳐 있는 연안역에 서식한다. 따뜻한 바다의 해저 부근에서 사는 저생어로, 무리를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유영하는 경우가 많다[15]。
일반적인 식성은 어식성으로, 때때로 갑각류나 두족류를 포식한다[15]。

5. 1. 번식
달고기는 3~4세가 되면 번식이 가능하다. 번식은 겨울이 끝날 무렵에 이루어진다. 달고기는 기질 산란형으로, 정자와 난자를 물에 방출하여 수정한다. 일반적인 수명은 야생에서 약 12년이다.
산란은 겨울부터 봄에 걸쳐 행해지며, 구체적인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알은 분리성 부성란으로, 자어 및 치어는 얕은 바다에서 성장한 후[15], 차츰 수심 50-150m의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성장은 비교적 느린 편으로, 성적 성숙에는 4년이 걸리기도 한다[15]。

6. 인간과의 관계
달고기는 흰살생선의 일종으로, 맛이 좋아 일본을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14][13] 생선회, 조림, 튀김, 냄비 요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되며, 간도 식용으로 사용된다.[17]
6. 1. 문화 속 달고기
요리 작가 엘리자 액턴은 1845년 저서 ''개인을 위한 현대 요리''에서 달고기가 "보기에는 좋지 않지만, 일부 사람들은 식탁에 오르는 가장 맛있는 생선으로 여긴다"라고 언급했다. 그녀는 오븐에서 말라버리는 것을 피하면서 "아주 부드럽게" 굽는 것을 권장한다.[9]
달고기는 생선의 활용도가 높아 전문 요리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선택이지만, 가정 요리사들은 구하기가 어렵다. 이 혼획 어종은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에서 판매되지 않는다.[10]
일본 지방명은 다음과 같다.[12]
| 지역 | 지방명 |
|---|---|
| 후쿠시마현, 지바현 | 카가미다이 |
| 지바현 코미나토 | 하츠바 |
| 니가타현, 에히메현 우와지마시 | 카네타타키 |
|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 쿠루마다이 |
| 이시카와현 노토정 우출 | 몬다이 |
| 후쿠이현 | 바토 |
| 교토부 요사군, 시마네현 | 바토우 |
| 돗토리현 | 츠키노와 |
| 야마구치현 하기시 | 오오바 |
| 아이치현 도요하시시 | 혼마토 |
| 와카야마현 다이지 | 마토우오 |
| 와카야마현 쿠시모토 | 마토하기 |
| 효고현 | 마토우 |
| 후쿠오카현 | 와시노이오 |
한자 명칭은 "海魴(해방)"이며, 별칭으로는 원동해방, 일본적 鯛(일본 도미), 월량어 등이 있다. 영어의 dory에 근거한 다리어라는 말도 있다.
본 종은 영어로 "John dory"라고 불리는데 그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며, 프랑스어의 "jaune d'orée(노란 가장자리를 가진 것)" 등,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13] 한편, 독일어(Petersfisch)・프랑스어(Saint-Pierre)・스페인어(pez de San Pedro) 등 다른 여러 언어에서는, 기독교의 12사도 중 한 명인 성 베드로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린다.[13] 성 베드로는 공물의 돈을 달고기의 입에서 꺼냈다는 전승이 있으며, 본 종의 흑색 반점은 이때 생겨난 성 베드로의 지문으로 여겨진다.[13] 또한, 영어에서도 과녁으로 비유한 "target perch"라는 별명도 있다.
참조
[1]
간행물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http://strata.ummp.l[...]
2002
[2]
웹사이트
Zeus faber
2021-11-02
[3]
웹사이트
New Zealand Coastal Fish: John Dory.
http://www.teara.gov[...]
[4]
웹사이트
John Dory, Zeus faber
http://www.fishesofa[...]
2014-08-24
[5]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2019
[6]
문서
The legend is noticed in Stéphan Reebs, Fish Behavior in the Aquarium and in the Wild (Cornell 1991:36); Reebs notes that the fish does not occur in the [[Sea of Galilee]], where Peter fished.
[7]
Q
Q114871191
[8]
웹사이트
Coastal fish - Fish of the open sea floor
http://www.teara.gov[...]
2006
[9]
서적
Modern Cookery for Private Families
https://archive.org/[...]
Longman, Green, Longman, & Roberts
[10]
웹사이트
How to cook John Dory
https://www.greatbri[...]
2014-12-08
[11]
서적
伊根浦の年寄りたちが伝える海辺の方言
あまのはしだて出版
2003
[12]
서적
日本魚名集覽 第二部
東京、生活社
1944
[13]
서적
海の動物百科3 魚類II
[14]
서적
日本の海水魚
[15]
웹사이트
Zeus faber
http://www.fishbase.[...]
FishBase
2010-04-11
[16]
문서
「薄いからだの大食漢」、『動物たちの地球』89号157頁。
[17]
서적
旬の魚 春の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