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 고속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 고속 철도는 일본 지바현을 운행하는 철도 회사로, 1981년 설립되어 가쓰타다이선의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한다. 1972년 도시 계획으로 시작되어, 게이세이 전철과의 갈등과 오일 쇼크 등의 영향으로 건설이 지연되었다. 1996년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과 직통 운전을 시작했으며, 2000계 전동차를 운행하고 있다. 운임은 킬로미터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다양한 기획 승차권을 판매한다. 건설비 증가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최근 연선 지역의 주택 개발에 따른 승객 증가로 경영 상황이 개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요 고속 철도 - 도요 고속 철도 도요 고속선
도요 고속선은 니시후나바시역과 도요카쓰타다이역을 잇는 도요 고속 철도의 노선으로,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행하며 1996년에 개통되었다. - 도요 고속 철도 - 도요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
도요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는 1996년 도요 고속선 개통에 맞춰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5000계 전동차를 개조하여 도입, 해가 뜨고 지는 컨셉의 디자인과 라인 컬러가 적용되었으며, 10량 1편성으로 운행되다 2006년 운행 종료 후 일부는 인도네시아로 매각되었다. - 1981년 설립된 기업 -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는 대한민국의 전력 생산, 송전, 변전, 배전 및 판매를 담당하는 공기업으로, 한성전기회사로 시작하여 여러 합병과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스마트 그리드 구축 및 해외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나, 에너지 정책 변화와 요금 인상 논란, 적자 문제가 과제로 남아 있다. - 1981년 설립된 기업 - 블룸버그 L.P.
블룸버그 L.P.는 마이클 블룸버그가 설립한 글로벌 금융 정보 서비스 기업으로, 블룸버그 터미널을 중심으로 뉴스, 미디어,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금융 및 비즈니스 전문가들에게 필수적인 플랫폼이지만,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있다. - 제3섹터 철도 - 아이즈 철도
아이즈 철도는 1987년 동일본여객철도로부터 아이즈 선을 인수하여 아이즈 지역을 운행하는 제3섹터 철도 회사이다. - 제3섹터 철도 -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은 1984년에 설립되어 아부쿠마 급행선을 운영하는 일본의 철도 회사이며, 동일본 대지진 등의 피해를 입었으나 2022년 전 노선 운행을 재개하고 8100계와 AB900계 전동차를 운행한다.
| 도요 고속 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회사 이름 | 동엽고속철도 주식회사 |
| 영어 회사 이름 | TOYO Rapid Railway Co.,Ltd. |
![]() | |
![]() | |
| 약칭 | (정보 없음) |
| 우편 번호 | 276-0049 |
| 본사 위치 | 지바현야치요시미도리가오카 1초메 1120번지 3 |
| 본사 위도 | 35도 43분 44.8초 북위 |
| 본사 경도 | 140도 4분 35.7초 동경 |
| 설립일 | 1981년 9월 1일 |
| 업종 | 육운업 |
| 사업 내용 | 여객 철도 사업 외 |
| 대표자 | 대표이사 사장 다나카 쓰요시 |
| 자본금 | 626억 엔 |
| 매출액 | 158억 1300만 엔 (2024년 3월기) |
| 영업 이익 | 57억 600만 엔 (2024년 3월기) |
| 경상 이익 | 47억 200만 엔 (2024년 3월기) |
| 순이익 | 33억 500만 엔 (2024년 3월기) |
| 순자산 | (정보 없음) |
| 총 자산 | 2298억 3600만 엔 (2024년 3월기) |
| 직원 수 | 299명 (2024년 4월 1일 현재) |
| 결산기 | 3월 31일 |
| 회계 감사인 | 지바 제1 감사 법인 |
| 주요 주주 | 지바현 33.5% 후나바시시 24.9% 야치요시 22.1% 도쿄 지하철 주식회사 12.6% 게이세이 전철 주식회사 2.0% 도부 철도 주식회사 0.7% 신케이세이 전철 주식회사 0.7% 주식회사 미즈호 은행 0.4% (2016년 4월 1일 현재) |
| 주요 자회사 | (정보 없음) |
| 관련 인물 | (정보 없음) |
|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
| 특기 사항 | (정보 없음) |
| 기타 정보 | |
| 철도 트리비아 | 철도 트리비아(84) 별로 빠르지 않은데 "고속 철도"인 이유는? |
2. 역사
1972년 3월,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시 계획 제5호선(도자이선)을 니시후나바시 - 신후나바시 부근 - 이이야마만 - 기타나라시노 - 야치요시 중앙부 - 가쓰타다이를 종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변경하였다.[5] 제도고속도교통영단(영단 지하철)은 1974년 3월 22일, 제5호선 "영단 가쓰타다이선" 니시후나바시 - 가쓰타다이 간(16.2 km) 연장을 정식 결정하고, 같은 해 3월 30일에 노선 면허를 신청했다.[5]
1980년 7월 19일, 운수성은 최종 조정안을 제시하였다.[8]
1981년 9월 1일, 이 안을 기본으로 도요 고속 철도가 설립되어 가쓰타다이선 건설·경영을 담당하게 되었다.[8]
도요 고속 철도가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신청하자, 영단 지하철은 1982년 2월 15일에 가쓰타다이선 노선 면허 신청을 철회하고, 같은 해 3월 19일에 도요 고속 철도에 지방 철도 부설 면허가 교부되었다.[8]
1984년부터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나리타 공항 문제의 영향으로 지바현 수용 위원회가 기능하지 못해 토지 수용이 어려워지면서 용지 매수가 난항을 겪었다.[9] 1994년 6월 말에야 용지 교섭이 완료되었다.
부실 공사로 인한 터널 함몰 사고, 버블기의 토지 및 자재 가격 상승으로 건설비가 당초 예정을 크게 초과하였다.[10]
1996년 4월 27일, 도요 고속선이 개통되고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하였다.[30]
| 날짜 | 내용 |
|---|---|
| 1972년 3월 |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자이선 연장 노선 확정[5] |
| 1974년 3월 22일 |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이 도자이선 연장 정식 결정[5] |
| 1974년 3월 30일 | 영단 지하철, 도자이선 연장 구간(영단 가쓰타다이선) 면허 신청[5] |
| 1980년 7월 19일 | 운수성, 가쓰타다이선 최종 조정안 제시[8] |
| 1981년 9월 1일 | 도요 고속 철도 설립 |
| 1982년 2월 15일 | 영단 지하철, 가쓰타다이선 면허 신청 철회 |
| 1982년 3월 19일 | 도요 고속 철도, 가쓰타다이선 면허 취득 |
| 1984년 | 건설 공사 착수 |
| 1994년 6월 | 용지 교섭 완료 |
| 1996년 4월 27일 | 도요 고속선 개통,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전 시작[30] |
| 1999년 12월 6일 | 도요 쾌속 운행 시작 |
| 2000년 10월 14일 | 패스넷 도입 |
| 2004년 12월 7일 | 2000형 전동차 도입[31] |
| 2006년 11월 20일 | 여성 전용 차량 도입[32] |
| 2006년 12월 3일 | 1000형 차량 영업 운전 종료 |
| 2007년 3월 18일 | PASMO 도입, Suica와 상호 이용 시작 |
| 2008년 3월 14일 | 패스넷 자동 개찰기 사용 종료 |
| 2009년 10월 1일 | 제복 변경 |
| 2013년 3월 23일 |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시작 |
| 2014년 3월 15일 | 도요 쾌속 폐지[33] |
2. 1. 설립 배경 및 과정
도요 고속 철도는 게이세이 본선의 혼잡 완화를 위해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의 연장 구간으로 계획된 '영단 가쓰타다이선'(가칭)을 건설 및 운영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2년 3월 도시 교통 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자이선 연장 노선이 '''니시후나바시 - 신후나바시 부근 - 이이야마만 - 기타나라시노 - 야치요시 중앙부 - 가쓰타다이'''를 종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5]1974년 3월, 제도고속도교통영단(영단 지하철, 현 도쿄 메트로)은 해당 구간 연장을 정식 결정하고 노선 면허를 신청했다.[5] 당시 영단 지하철은 1979년 10월 개통을 목표로, 도자이선과의 직통 운전 및 쾌속 열차 운행도 계획했다.[5] 그러나, 연선에서 경쟁 관계에 있던 게이세이 전철의 반대와 영단 지하철의 담당 구역을 크게 벗어난다는 의견으로 인해 노선 면허 취득에 난항을 겪었다.[7]
1980년 7월, 운수성은 최종 조정안을 제시했다.[8]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건설 주체는 제3섹터 방식
# 운영은 게이세이 전철에 위탁
#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전
# 공사는 일본 철도 건설 공단(현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이 시공
# 공사는 2단계로 나누어 시공
이 조정안을 바탕으로 1981년 9월 1일 도요 고속 철도가 설립되었고, 가쓰타다이선의 건설 및 경영을 담당하게 되었다.[8] 1982년 2월, 영단 지하철은 가쓰타다이선 노선 면허 신청을 철회하고, 3월에 도요 고속 철도가 면허를 취득했다.[8]
1984년부터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나리타 공항 문제의 영향으로 지바현 수용 위원회가 기능하지 못해 토지 수용이 어려워 용지 매수에 난항을 겪었다.[9] 또한, 부실 공사로 인한 터널 함몰 사고, 버블기의 토지 및 자재 가격 상승으로 건설비가 당초 예상을 크게 초과했다.[9]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996년 4월 27일 도요 고속선이 개통되어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30]
설립 및 개통 과정 요약
| 날짜 | 사건 |
|---|---|
| 1972년 3월 1일 | 도시 교통 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자이선 연장 노선 확정[5] |
| 1974년 3월 22일 |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이 도자이선 연장 정식 결정[5] |
| 1974년 3월 30일 | 영단 지하철, 도자이선 연장 구간(영단 가쓰타다이선) 면허 신청[5] |
| 1980년 7월 19일 | 운수성, 가쓰타다이선 최종 조정안 제시[8] |
| 1981년 9월 1일 | 도요 고속 철도 설립 |
| 1982년 2월 15일 | 영단 지하철, 가쓰타다이선 면허 신청 철회 |
| 1982년 3월 19일 | 도요 고속 철도, 가쓰타다이선 면허 취득 |
| 1984년 6월 27일 | 공사 시공 인가 |
| 1984년 7월 27일 | 건설 공사 착수 |
| 1996년 4월 27일 | 도요 고속선 개통,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전 시작[30] |
2. 2. 건설 및 개통
1972년 3월, 도시 교통 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시 계획 제5호선(도자이선)을 니시후나바시 - 신후나바시 부근 - 이이야마만 - 기타나라시노 - 야치요시 중앙부 - 가쓰타다이를 종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변경하였다.[5] 제도고속도교통영단(영단 지하철)은 1974년 3월 22일, 제5호선 "영단 가쓰타다이선" 니시후나바시 - 가쓰타다이 간(16.2 km) 연장을 정식 결정하고, 같은 해 3월 30일에 노선 면허를 신청했다.[5]영단 지하철은 당초 1976년 9월 20일에 착공하여[6] 1979년 10월 개업을 예정하고, 건설 비용은 955억 엔으로 예상했다.[5] 도자이선(니시후나바시 이서)과 직통 운전을 하고, 도중 기타나라시노역만 정차하는 쾌속 열차 운행도 예정했다.[5]
1973년 5월, 후나바시시, 야치요시 등은 지바현과 함께 "영단 지하철 도자이선 건설 촉진 협의회"를 결성하여 영단 지하철에 "영단 가쓰타다이선" 건설을 진정하였다.[7] 그러나 연선에서 경쟁 관계에 있던 게이세이 전철의 반대와 영단 지하철의 담당 구역을 크게 벗어난다는 의견으로 노선 면허 취득이 난항을 겪었다.[7]
오일 쇼크의 영향과 나리타 국제공항 개항 지연으로 게이세이 전철의 업적이 악화되자, 운수성은 일시적으로 계획을 동결했다.
1980년 7월 19일, 운수성은 최종 조정안을 제시하였다.[8]
# 건설 주체는 제3섹터, 지역 자치체, 금융 기관, 관계 철도 사업자가 출자
# 운영은 게이세이 전철에 위탁
# 도자이선과 접속, 상호 직통 운전
# 일본 철도 건설 공단(현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이 시공
# 공사는 2단계로 시공
1981년 9월 1일, 이 안을 기본으로 도요 고속 철도가 설립되어 가쓰타다이선 건설·경영을 담당하게 되었다.[8]
도요 고속 철도가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신청하자, 영단 지하철은 1982년 2월 15일에 가쓰타다이선 노선 면허 신청을 철회하고, 같은 해 3월 19일에 도요 고속 철도에 지방 철도 부설 면허가 교부되었다.[8]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이 민철선 방식(P선 방식)으로 건설하고, 완성 후 도요 고속 철도에 시설을 양도하여 영업하는 방식이었다.
1984년부터 건설 공사가 시작되어, 제1기 구간(니시후나바시 - 야치요(→야치요 주오) 간)은 1991년 4월, 제2기 구간(야치요(→야치요 주오) - 가쓰타다이(→도요 가쓰타다이) 간)은 1993년 4월 개업 예정이었으며, 차량비를 포함한 건설 비용은 2,091억 엔(1km 당 약 1290억엔)이었다.
나리타 공항 문제의 영향으로 지바현 수용 위원회가 기능하지 못해 토지 수용이 어려워지면서 용지 매수가 난항을 겪었다.[9] 한 지권자에게 300번이나 용지 교섭을 한 사례도 있었으며, 1994년 6월 말에야 용지 교섭이 완료되었다.
부실 공사로 인한 터널 함몰 사고, 버블기의 토지 및 자재 가격 상승으로 건설비가 당초 예정을 크게 초과하였다.[10]
1996년 4월 27일, 도요 고속선이 개통되고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하였다.[30]
'''건설 및 개통 연혁'''
| 날짜 | 내용 |
|---|---|
| 1981년 9월 1일 | 도요 고속 철도 설립. |
| 1984년 | 건설 공사 착수. |
| 1996년 4월 27일 | 도요 고속선 개통, 영단 지하철 도자이선(당시)과 상호 직통 운전 시작.[30] |
| 2004년 12월 7일 | 2000형 전동차 도입.[31] |
| 2007년 3월 18일 | PASMO 도입.[32] |
2. 3. 연혁
wiki- 1981년 9월 1일: 도요 고속 철도 설립.[8]
- 1996년 4월 27일: 도요 고속선 개통.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전 시작.[30]
- 2004년 12월 7일: 2000형 전동차 도입.[31]
- 2007년 3월 18일: PASMO 도입. Suica와 상호 이용 시작.
- 1972년 3월: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 도시 계획 제5호선(도자이선)이 '''니시후나바시 - 신후나바시 부근 - 이이야마만 - 기타나라시노 - 야치요시 중앙부 - 가쓰타다이'''를 종점으로 하는 노선으로 변경.[5]
- 1974년 3월 22일: 제도고속도교통영단(영단 지하철)이 제5호선 "영단 가쓰타다이선" 니시후나바시 - 가쓰타다이 간(16.2 km)의 연장 정식 결정.[5]
- 1974년 3월 30일: 영단 지하철이 노선 면허 신청.[5]
- 1980년 7월 19일: 운수성이 최종 조정안 제시.[8]
- 1982년 2월 15일: 영단 지하철이 가쓰타다이선의 노선 면허 신청 철회.[8]
- 1982년 3월 19일: 도요 고속 철도에 지방 철도 부설 면허 교부.[8]
- 1984년: 건설 공사 착수.
- 1994년 6월: 용지 교섭 완료.[9]
- 1999년 12월 6일: 평일 다이어에서 니시후나바시・기타나라시노・야치요미도리가오카・도요가쓰타다이 4개 역에만 정차하는 도요 쾌속 운행 시작.
- 2000년 10월 14일: 패스넷 도입.
- 2006년 11월 20일: 아침 출퇴근 시간에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으로 직통하는 전철에서 여성 전용 차량 도입.[32]
- 2006년 12월 3일: 1000형 차량 영업 운전 종료.
- 2008년 3월 14일: 패스넷 자동 개찰기 사용 종료.
- 2009년 10월 1일: 개업 당시 청색 제복에서 차콜 그레이에 회사 색인 녹색 선이 들어간 제복으로 변경.
- 2013년 3월 23일: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시작.
- 2014년 3월 15일: 도요 쾌속 폐지.[33]
3. 노선
- - 도요 고속선 니시후나바시역 (TR01) - 도요카츠타다이역 (TR09) 16.2km
4. 차량
- 2000계
- 1000형 (1996년 3월 16일 - 2006년 12월 4일)
도요 고속철도는 당초 신조 차량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개업에 따른 건설 비용을 삭감하기 위해 차량 기지의 정비 공장과 차륜 전삭반 시설 건설을 보류했다. 대신 영단 지하철(현 도쿄 메트로) 05계 신조에 따라 여유가 생긴 5000계를 개조하여 도입했다.[1] 영단 지하철 5000계는 제어 장치를 저항 제어에서 계자 첨가 여자 제어로 갱신하고, 냉방 장치를 설치했으며, 차내 갱신 공사 등을 거쳐 도요 고속철도 1000형이 되었다. 1000형은 이후 신조 차량인 2000계로 대체되었다.
1000형 차량은 영단 지하철 5000계를 개조하여 양도받은 것이다. 도요 고속선 개업 전인 1996년 3월 16일부터 영단 지하철 도자이 선 내에서만 운용되었다.
차량 보수 비용 절감을 위해, 차량의 중요부 검사·전반 검사 및 차륜 깎기 등은 영단 지하철(및 후신의 도쿄 지하철)에 위탁하고 있다.[1]
5. 운임
성인 보통 여객 운임은 2019년 10월 1일에 개정되었다[34]. IC 카드를 사용하면 1엔 미만은 절사되고, 승차권을 구입하면 10엔 미만은 올림된다.
| 킬로정 | IC 카드 (엔) | 승차권 구입 (엔) |
|---|---|---|
| 첫 승차 1 - 3 km | 210 | 210 |
| 4 - 5 km | 293 | 300 |
| 6 - 7 km | 367 | 370 |
| 8 - 9 km | 440 | 440 |
| 10 - 11 km | 513 | 520 |
| 12 - 14 km | 576 | 580 |
| 15 - 17 km | 639 | 640 |
정기권 할인율은 통근 30.8%, 통학 55.6%(2014년 4월 기준)이다. 일반 운임보다 저렴해지는 경우는 통근 정기권은 월 21회 왕복, 통학 정기권은 월 14회 왕복 이상 이용하는 경우이다. 6개월 정기권 할인율은 통근 정기권 37%이며, 월 19회 왕복 이상 이용하면 저렴하다. 2014년 4월부터 통학 정기권은 통근 정기권의 반값으로 인하되었다.
회수권은 구간식으로, "보통 회수권"은 11장, "주간/토휴일 할인 회수권"은 13장 묶음으로 발매한다. 니시후나바시역과 시설 최우선 역에서는 발매하지 않는다.
기획 승차권은 다음과 같다.
- 도요 시네마 티켓[37]: 야치요미도리가오카역 왕복 승차권과 TOHO 시네마즈 영화 감상 교환권이 세트로 되어 있다. 2006년 9월 2일부터 2007년 3월 31일까지 발매된 후, 2007년 5월 1일부터 연중 발매되었다. 발매액은 1900JPY이다.[38]
- 도요 도쿄 메트로 패스[39]: 도요 고속선 왕복과 도쿄 메트로선 하루 종일 자유 이용이 세트인 승차권이다. 발매 당일에만 유효하며, 발매액은 역에 따라 다르다.
- 도요 로즈 티켓: 게이세이 장미원 입장권이 붙은 야치요미도리가오카역까지의 왕복 할인 티켓이다. 봄 장미 시즌(4월 하순~6월 중순)에만 발매한다. 고등학생 이상만 발매하고, 중학생 이하는 발매하지 않는다. 주주 우대, 장미원 연간 패스포트, 친구회, 야치요 시민 할인, 장애인 할인 등과 병용할 수 없다.
- 도요 하네다 버스 승차권[41]: 도요 고속선 승차권과 니시후나바시 - 하네다 공항 고속 버스 승차권[42]이 세트로 구성된 승차권이다. 구매일로부터 1개월간 유효(유효 기간 내 1회 한정 유효)하며, 편도권과 왕복권을 발매했다. 왕복권은 왕복 할인이 없으며 편도권의 2배 가격이다. 도요 고속선 내 각 역에서만 발매하며, 하네다 공항에서는 발매하지 않았다. 2023년 9월 30일을 기해 발매가 종료되었다[43][44].
| 발착역 | 도요 도쿄 메트로 패스 (성인) | 도요 도쿄 메트로 패스 (소아) | 도요 로즈 티켓 (성인, 고등학생 이상) |
|---|---|---|---|
| 도카이신역 | 910JPY | 460JPY | 2100JPY |
| 이이야마만역 | 1230JPY | 620JPY | 1900JPY |
| 기타나라시노역 | 1370JPY | 690JPY | 1800JPY |
| 후나바시니치다이마에역 | 1530JPY | 770JPY | 1800JPY |
| 야치요미도리가오카역 | 발매 없음 | 발매 없음 | 발매 없음 |
| 야치요추오역 | 1650JPY | 830JPY | 1800JPY |
| 무라카미역 | 1770JPY | 890JPY | 1900JPY |
| 도요카쓰타다이역 | 1770JPY | 890JPY | 2000JPY |
| (참고) 단독 구매 시 | 도쿄 메트로 24시간권 (600JPY) | 도쿄 메트로 24시간권 (300JPY) | 게이세이 장미원 입장료 (1800JPY(봄), 1500JPY(가을), 500JPY(여름, 겨울)) |
6. 경영 상황
게이세이 본선의 혼잡 완화 노선이자 도자이선의 연장 구간으로 계획된 '영단 가쓰타다이선'(가칭)을 건설 및 운행하기 위해 설립된 제3섹터이다. 지바현, 후나바시시, 야치요시의 연선 자치단체와, 영단 지하철(현 도쿄 메트로), 게이세이 전철, 도부 철도, 신케이세이 전철의 철도 사업자, 그리고 금융 기관이 출자하였다.[11]
도요 고속 철도선의 건설 비용은 당초 계획의 2,091억 엔에서 2,948억 엔(최종 총액)으로 증가했다. 이는 개업 시에 양도받은 본선 부분이 2,813억 엔, 개업 1년 후에 게이세이와의 연락 통로 부분이 136억 엔이었기 때문이다. 공단 P선 방식 제도 하에서 금리는 최대 5%로 제한되지만, 25년간의 이자액을 포함한 상환 총액은 4,960억 엔에 달한다. 다만, 도요 고속 철도에 대한 경영 지원책으로 현재 상환 기간은 60년까지 연장되었다.
2006년 3월 말 현재, 전국의 제3섹터 철도 사업자 중 가장 채무 초과액이 많다.[11] 2008년 3월기 결산에서는, 매출액은 약 152.5억엔, 영업 손익은 약 47.4억엔의 흑자였지만, 약 5억엔의 경상 손익 적자가 있어, 누적 적자는 약 846.8억엔이었다. 그 후에도 잠시 동안 "매출액이 150억 엔대, 영업 손익은 흑자이지만 경상 손익 · 순손익이 적자"라는 상황이 이어졌지만, 2011년 3월기(2010년도) 결산에서 지불 이자 감소 등으로 개업 이후 처음으로 경상 손익 · 순손익이 흑자로 전환되었다.[12] 2024년 3월기 결산에서 채무 초과를 해소했다.[13]
한편, 누적 적자액은 일시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었던 적도 있어, 2013년 3월기 결산에서는 약 83357.23억엔으로 개선은 미미했지만,[14][15] 최근에는 연선 지역의 주택 개발 진전에 따른 승객 증가의 영향으로, 2024년 3월기 결산에서는 약 60103.5억엔까지 감소했다.[16]
| 영업 수익 | 영업 이익 | 경상 이익 | 순이익 | 이월 이익 잉여금 (누적 적자) | 장기 채무 잔액 | 순자산 | |||
|---|---|---|---|---|---|---|---|---|---|
| 2007년도 | △484.93억엔 | △347.92억엔 | △84678.57억엔 | △49878.57억엔 | |||||
| 2008년도 | △347.01억엔 | △322.12억엔 | △85000.68억엔 | △47780.68억엔 | |||||
| 2009년도 | △38.93억엔 | △43.14억엔 | △85043.82억엔 | △45403.82억엔 | |||||
| 2010년도 [12] | 150.64억엔 | 46.43억엔 | 1.68억엔 | 3.98억엔 | △84644.86억엔 | 3043.85억엔 | △41754.86억엔 | ||
| 2011년도 | 149.06억엔 | 44.71억엔 | 3.11억엔 | 3.07억엔 | △84337.83억엔 | 2975.94억엔 | △38197.83억엔 | ||
| 2012년도 [14] | 151.72억엔 | 50.5억엔 | 10.81억엔 | 9.8억엔 | △83357.23억엔 | 2916억엔 | △33917.23억엔 | ||
| 2013년도 | 154.86억엔 | 55.09억엔 | 16.64억엔 | 15.31억엔 | △81825.39억엔 | 2853.96억엔 | △29095.39억엔 | ||
| 2014년도 [17] | 152.6억엔 | 53.11억엔 | 17.71억엔 | 12.62억엔 | △80562.52억엔 | 2789.61억엔 | △24542.52억엔 | ||
| 2015년도 [18] | 156.58억엔 | 59.27억엔 | 27.87억엔 | 18.22억엔 | △78740.29억엔 | 2722.22억엔 | △19430.29억엔 | ||
| 2016년도 [19] | 159.13억엔 | 56.65억엔 | 29.88억엔 | 21.94억엔 | △76545.51억엔 | 2652.29억엔 | △13945.51억엔 | ||
| 2017년도 [20] | 163.2억엔 | 58.16억엔 | 31.28억엔 | 25.58억엔 | △73986.7억엔 | 2601.11억엔 | △11386.7억엔 | ||
| 2018년도 [21] | 165.31억엔 | 61.7억엔 | 36.31억엔 | 25.25억엔 | △71461.55억엔 | 2547.31억엔 | △8861.55억엔 | ||
| 2019년도 [22] | 165.19억엔 | 63.68억엔 | 46.51억엔 | 32.31억엔 | △68230.1억엔 | 2471.45억엔 | △5630.1억엔 | ||
| 2020년도 [23] | 122.1억엔 | 25.69억엔 | 10.6억엔 | 7.14억엔 | △67515.55억엔 | 2415.04억엔 | △4915.55억엔 | ||
| 2021년도 [24] | 131.6억엔 | 33.98억엔 | 22.51억엔 | 15.47억엔 | △66077.08억엔 | 2356.91억엔 | △3477.08억엔 | ||
| 2022년도 [25] | 147억엔 | 46.62억엔 | 38.41억엔 | 26.68억엔 | △63408.86억엔 | 2297.53억엔 | △808.86억엔 | ||
| 2023년도 [26] | 152.93억엔 | 57.06억엔 | 47.02억엔 | 33.05억엔 | △60103.5억엔 | 2202억엔 | 2496.49억엔 |
2007년 초까지 게이세이 본선과의 환승으로 나리타 국제공항까지 빨리 갈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멋진 지름길"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홍보했다. 개발로 인해 연선 지역의 베드타운화가 진행된 점도 있어, 수익은 개선되는 경향이 있다.
현재는 여객 외 수입에도 힘쓰고 있으며, 역 시설(홈이나 개찰구 등)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드라마를 비롯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CM의 로케이션 촬영도 자주 이루어지고 있다. 드라마 촬영은 『M의 비극』[27], 『검은 사기』, 『아빠와 딸의 7일간』, 『엽기적인 그녀』, 『최고의 인생을 마감하는 방법 ~엔딩 플래너~』 등 TBS 계열이 많지만, 니혼 TV 계열의 『악몽짱』, 후지 텔레비전 계열의 『평범한 기적』, 『리갈 하이』, 『GTO』(간사이 텔레비전 제작, 2012년), TV 아사히 계열의 『파트너』에서도 사용된 적이 있다.[28] CM에서는 지금까지 야쿠르트 본사의 건강 음료 "프레티오", 소비자 금융의 아콤, 미쓰이 스미토모 해상 그룹, 유산균 음료 요구르트 등의 촬영에 사용되었다.
7. 기타
- 2007년 10월 2일부터 11월 4일까지 지바현 후나바시시의 후나바시 안데르센 공원에서 "제24회 전국도시녹화 후나바시 페어 옛날 옛적 동화나라 꽃 페스타 in 후나바시"가 개최되었다. 이에 맞춰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였다.
- 니시후나바시역 이외의 각 역에서 특별 사전 판매권을 발매했다.
- 2007년 9월 9일부터 10월 31일까지 2000계 2102F 선두 차량 전면에 후나바시시 시제 70주년 기념 특제 헤드마크를, 2109F 선두 차량 전면에 야치요시 시제 40주년 기념 특제 헤드마크를 부착했다. 2101F, 2102F, 2107F, 2108F, 2110F 5개 편성 측면에는 이벤트 고지 스티커를 부착했다.
- 2007년 9월 20일부터 11월 4일까지 나카노, 니시후나바시, 아야세를 제외한 도쿄 지하철 정기권 판매소에서 "도쿄 메트로 & 도요 고속 1일 승차권 세트"를 발매했다.
- 자체 연수 시설이 없어 동력차 승무원(운전사) 양성을 타사에 위탁하고 있다.
- 역 구내 매점은 데일리 야마자키이다. 이전에는 신케이세이선과 같은 스타시온 서비스가 운영하는 SK 샵도 있었지만 2013년 6월까지 전 점포가 철수했고, 이후에는 게이세이선과 같은 게이세이 스토어가 운영하는 Mini shop이 되었다.
- 현재 본사는 2대째이며, 초대 본사는 지바현 후나바시시의 프론톤 빌딩에 있었다. 1997년경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 개업 당시에는 개업 기념으로 1000형이 캔에 디자인된 맥주가 판매되었다.
- 2017년부터 야치요 시장을 맡고 있는 핫토리 토모노리는 도쿄 지하철과의 경영 통합 등으로 운임 인하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2022년, 프로 야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일본인 최다 타이인 55홈런을 기록했을 때, 같은 이름의 역이 있다는 점에서 "'무라카미'역이 있는 당사도 멋대로 축하드립니다! 남은 15경기, 마지막까지 호쾌한 홈런을 기대하고 있습니다!"라고 공식 Twitter에 트윗[45]하여 화제가 되었다.
참조
[1]
간행물
2023年度(第43期)決算について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024-06-20
[2]
웹사이트
会社案内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024-06-27
[3]
간행물
業務及び財産の状況に関する説明書類
http://tms.jicpa.or.[...]
[4]
웹사이트
鉄道トリビア(84) あんまり速くないのに「高速鉄道」ってどうして?
https://news.mynavi.[...]
2011-01-29
[5]
문서
東京地下鉄道東西線建設史
[6]
논문
9月のメモ帳
電気車研究会
1985-12-01
[7]
문서
営団地下鉄五十年史
[8]
문서
営団地下鉄五十年史
[9]
웹사이트
第151回国会 国土交通委員会 第22号(平成13年6月13日(水曜日))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9-02-06
[10]
간행물
八千代市 寄せられた投書への回答
http://www.city.yach[...]
[11]
논문
債務超過額ワースト200法人ランキング
ダイヤモンド社
2007-12
[12]
간행물
平成22年度決算報告(事業実績報告・貸借対照表・損益計算書)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13]
간행물
2023年度決算報告(事業実績報告・貸借対照表・損益計算書)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14]
간행물
平成24年度決算報告(事業実績報告・貸借対照表・損益計算書)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15]
간행물
公社等外郭団体に関する情報公開(2014年4月1日現在) 東葉高速鉄道(株)
https://www.pref.chi[...]
千葉県
[16]
간행물
2023年度決算報告(事業実績報告・貸借対照表・損益計算書)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17]
간행물
平成26年度決算報告(事業実績報告・貸借対照表・損益計算書)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18]
간행물
平成27年度決算報告(事業実績報告・貸借対조표・손익계산서)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19]
간행물
平成28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0]
간행물
平成29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1]
간행물
平成30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2]
간행물
2019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3]
간행물
2020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4]
간행물
2021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5]
간행물
2022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6]
간행물
2023年度決算報告(사업실적보고・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7]
문서
東速鉄道
[28]
문서
最高の人生の終り方
[29]
뉴스
読売新聞
1985-09-20
[30]
뉴스
東葉高速鉄道が開業 西船橋-東葉勝田台 大手町へ50分で直結
交通新聞社
1996-05-01
[31]
웹사이트
東葉高速鉄道新型車両「2000系」まもなくデビュー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女性専用車両を導入します~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ttps://web.archive.[...]
2019-10-03
[34]
웹사이트
鉄道運賃の改定について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019-09-06
[35]
웹사이트
鉄道運賃の改定及び通学定期旅客運賃の値下げについて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014-03-05
[36]
웹사이트
回数券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019-10-03
[37]
웹사이트
東葉シネマチケット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38]
웹사이트
2019年10月1日以降のおトクなきっぷの発売価格について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2019-09-27
[39]
웹사이트
東葉東京メトロパス
http://www.toyokosok[...]
東葉高速鉄道
[40]
간행물
企画乗車券「東葉ローズチケット」を発売します!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024-04-12
[41]
웹사이트
東葉羽田バスきっぷ
https://web.archive.[...]
2023-08-23
[42]
문서
[43]
뉴스
運賃改定等について
https://www.keikyu-b[...]
京浜急行バス
2023-09-04
[44]
뉴스
「東葉羽田バスきっぷ」の発売終了について
https://www.toyokoso[...]
東葉高速鉄道
2023-09-11
[45]
Twit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