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리오하주 (스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리오하주는 스페인의 자치 지방으로, 북쪽으로 에브로 강을 경계로 바스크 지방, 나바라, 아라곤, 카스티야 이 레온과 접한다. 로마 시대에는 여러 부족이 거주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팜플로나 왕국, 카스티야 왕국 등의 지배를 받으며 분쟁의 역사를 겪었다. 1980년 로그로뇨 주에서 라리오하 주로 이름을 변경하고, 1982년 자치 공동체로 출범했다. 스페인에서 두 번째로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로그로뇨가 주도이다. 리오하 DOCa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며,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행정 구역 - 발레아레스 제도
    발레아레스 제도는 스페인에 속한 지중해 서부의 군도로, 마요르카, 메노르카, 이비자, 포르멘테라 등의 섬으로 구성되어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지중해성 기후와 카탈루냐어,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관광지이다.
  • 스페인의 행정 구역 - 살라망카 (마드리드)
    살라망카는 1860년 마드리드 확장 계획으로 조성되어 호세 데 살라망카 후작의 이름을 딴 마드리드의 부유한 지역으로, 고급 주택과 상업 시설, 주요 거리, 외국 대사관, IE 비즈니스 스쿨 등이 위치하며 보수 성향을 띤다.
라리오하주 (스페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라리오하 위치 (스페인)
스페인 내 라리오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La Rioja 라리오하
유형스페인의 자치 지방 및 주
수도로그로뇨
면적5045km²
면적 순위스페인 내 16위 (스페인 면적의 1.0%)
인구 (2018년)315,675명
인구 순위17위 (스페인 인구의 0.7%)
인구 밀도자동 계산
데모님 (영어)Riojan
데모님 (스페인어)riojano/a
공식 언어스페인어
자치 헌장1982년 6월 9일
의회라리오하 의회
하원 의석4석 (총 350석 중)
상원 의석4석 (총 266석 중)
인간 개발 지수 (2021년)0.910 매우 높음 (스페인 내 6위)
경제
총 GDP (2022년)95억 100만 유로
1인당 GDP (2022년)29,579 유로
행정 구역
단일 현 (로그로뇨)
정부
주지사곤살로 카펠란 (PP)
기타 정보
ISO 3166-2 코드ES-RI
공식 웹사이트라리오하 정부

2. 역사

로그로뇨의 산타 마리아 데 라 레돈다 공동 대성당

2. 1. 로마와 이슬람 시대

로마 시대에 라 리오하 지역에는 베로네스족(중앙 지역), 아우트리고네스족(상부 지역, 북쪽과 서쪽으로도 확장됨), 바스코네스족(하부 지역, 북쪽과 동쪽으로도 확장됨) 부족들이 거주했다. 이 지역은 히스파니아 타르라코넨시스의 일부였다.

중세 시대에 라 리오하는 종종 분쟁 지역이었다. 서고트족은 라 리오하 대부분을 포함했을 가능성이 있는 칸타브리아 공국을 바스코네스족에 대한 국경 지대로 건설했다. 서기 711년 초기 이슬람 정복 이후 라 리오하는 알 안달루스의 이슬람 영토에 속하게 되었다.

2. 2. 중세 시대

로마 시대 이후, 중세 시대에 라 리오하는 종종 분쟁 지역이었다. 서고트족은 바스코네스족에 대한 국경 지대로서 칸타브리아 공국을 세웠는데, 이 공국에는 라 리오하 대부분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기 711년 초기 이슬람 정복 이후 라 리오하는 알 안달루스의 이슬람 영토에 속하게 되었다.

923년, 대부분의 영토는 팜플로나의 산초 1세에 의해 팜플로나 왕국, 레온 왕국, 그리고 레온 국왕의 봉신인 카스티야 백작령과 함께 정복되었다. 아르네도 주변의 저지대는 그의 동맹인 투델라의 바누 카시 지배하에 들어갔다. 레자 강 동쪽 영토는 이슬람 세력의 지배하에 남았다.

이후 카스티야의 페르난 고메스 백작과 팜플로나-나바라 왕들 사이에 큰 전투를 동반한 분쟁이 있었다. 960년 시루에냐에서 백작의 가족이 투옥된 후 나바라 왕들이 승리하였다.[4] 라 리오하 지역은 970년부터 약 1005년까지 잠시 비구에라 왕국으로 독립을 이루었고, 그 후 팜플로나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산초 가르세스는 팜플로나 왕국의 수도를 나헤라(라 리오하)로 옮겨, 소위 나헤라-팜플로나 왕국을 건설했다. 1035년 카스티야가 독립한 이후, 이 새로운 왕국은 부레바, 라 리오하 및 기타 영토의 소유권을 놓고 팜플로나와 격렬하게 싸웠다. 1076년 나바라의 산초 4세가 살해된 후, 나바라는 카스티야와 아라곤 사이에 분할되었다. 카스티야는 다른 나바라 영토와 함께 라 리오하를 얻었다.[4]

'라 리오하'(La Rioja)라는 이름은 1099년 미란다 데 에브로 헌장에 처음 기록되었다. 이 지명은 지역을 흐르는 오하 강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로그로뇨의 요새화된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12세기에 지어진 산타 마리아 데 팔라시오 교회(Iglesia de Santa María de Palacio)는 행정궁의 예배당이었던 역사를 보여준다. 로그로뇨는 10세기부터 나바라 국왕과 카스티야 국왕 사이에 분쟁이 있던 국경지대였다.

1134년부터 나바라의 가르시아 라미레스("복구자")와 그의 아들 나바라의 산초 6세("현명한 자")는 이전 팜플로나 영토의 회복을 위해 카스티야와 격렬하게 싸웠다. 결국 이 지역은 잉글랜드의 헨리 2세의 중재 판결에 따라 카스티야에 할당되었고, 1177년(일부 기록에는 1173년)에 최종적으로 병합되었다. 이 지역의 중요성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가는 순례길인 ''산티아고 순례길''이 석조 다리인 ''푸엔테 데 피에드라''에서 에브로 강을 건넜기 때문이기도 하다.

2. 3. 로그로뇨 주 (1833-1982)

토마스 로페스 데 바르가스 마추카(Tomás López de Vargas Machuca)가 1769년에 그린 라리오하 지도


18세기까지 라리오하 지역은 부르고스 인텐덴시아와 소리아 인텐덴시아로 나뉘어 있었다. 반도 전쟁(1808-1814) 시기에는 나폴레옹 군대에 점령되어 1814년까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프랑스 점령기 동안, 역사가 후안 안토니오 요렌테는 1810년 계획에서 이 지역을 부르고스를 수도로 하는 아란손 관구의 일부로 편입시키려 했다. 그러나 1812년 스페인 헌법(카디스 헌법)에 따라 소집된 카디스 코르테스는 라리오하를 독립된 주로 선포하였다. 이후 자유주의 3년(1820-1823) 시기인 1822년 1월, 라파엘 델 리에고의 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라리오하의 역사적 영토 대부분을 포함하는 로그로뇨 주가 왕령으로 설립되었다.

하지만 절대 왕정을 복원한 페르난도 7세는 이러한 자유주의적 조치들을 무효화하고 이전의 영토 구분을 대부분 복원시켰다. 결국 1833년 지방 행정 구역 재편을 통해 스페인 전역에 49개의 주가 설치되면서, 라리오하 지역은 카스티야 라 비에하 지방의 일부로서 '''로그로뇨 주'''라는 이름으로 다시 설립되었다. 이 주는 1841년에 일시적으로 영토가 확장되기도 했다.

2. 4. 라 리오하 자치 지방 (1982-)

프랑코 독재 시대 이후 스페인의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1980년 이 지역은 기존의 로그로뇨 주라는 이름 대신 '''라 리오하 주'''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후 1982년, 산 밀란 기본법(Estatuto de San Millánes, 라 리오하 주 기본법)이 채택됨에 따라 단일 주로 구성된 자치주인 '''라 리오하 자치주'''가 되었다.[5][17] 이는 스페인에서 두 번째로 작은 면적과 가장 적은 인구를 가진 자치주이다. 전체 174개 시정촌 중 절반가량이 인구 200명 미만이며, 주민의 거의 절반은 주도에 거주한다.[5]

과거 카스티야라비에하 지방에 속했던 주들 중 라 리오하 주와 산탄데르 주(훗날 칸타브리아 자치주가 됨)를 제외한 나머지 6개 주는 카스티야이레온 자치주의 일부가 되었다.[17]

교육 기관으로는 1992년에 공립 대학인 라 리오하 대학교가 문을 열었으며, 이 대학은 와인학과 같은 특색 있는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2009년에는 사립 대학인 라 리오하 국제대학교가 개교했다.

3. 지명 유래

라 리오하(La Riojaes)라는 지명의 어원은 복잡하며 여러 논의가 있다. 주요 이론으로는 오하 강(Ojaes)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전통적인 설, "시내의 땅"을 의미하는 라틴어 'Rivalia'에서 왔다는 설, "하상의 강"을 뜻하는 'rivo Ohia'라는 표현이 동어반복되어 만들어졌다는 설, 그리고 바스크어에 기원을 둔 다양한 설들이 있다. 바스크어 기원설 중 하나는 'herria'(땅)와 'ogia'(빵)가 합쳐져 "빵의 땅"이라는 의미가 되었다는 것이다.

18세기의 마테오 안구아노, 19세기의 안헬 카시미로 데 고반테스, 20세기의 라몬 메넨데스 피달과 메리노 우루티아, 21세기의 에두아르도 아스나르 마르티네스 등 여러 시대의 학자들이 지명 어원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했다. 16세기의 플로리아노 데 오캄포나 17세기의 로드리고 멘데스 실바 같은 더 오래된 저술가들의 글에는 민중어원에 대한 설명도 나타난다.

이 지명은 11세기 문헌에 'Rioga' 또는 'Riogam'이라는 형태로 처음 등장하며, 이후 'Rioxa', 'Riogia', 'Rivo de Oia', 'Rivogio' 등 다양한 철자로 표기되다가 최종적으로 'Rioja'가 되었다. 이 지역 주민을 가리키는 주민명은 13세기 문서에 'riogeñ' 또는 'riogensi'(리오하 사람, riojanoes)라는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11세기 처음 기록될 당시의 라 리오하는 현재 스페인 지역의 가장 서쪽 부분을 가리켰다. 즉, 원래 라 리오하는 티론 강(Tirónes)과 오하 강(Ojaes) 유역 주변의 영토였으며, 그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연구자마다 의견이 다르다. 중세 이후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치면서 지명이 점차 확장되어, 현재의 라 리오하처럼 서쪽의 티론 강과 동쪽의 알하마 강(Alhamaes) 사이에 위치하며 에브로 강(Ebroes)으로 흘러드는 7개의 강 계곡으로 이루어진 더 넓은 지역을 의미하게 되었다.[6]

4. 지리

라 리오하 전경


라 리오하는 북쪽으로 바스크 지방(알라바 주)과 나바라, 동쪽으로 아라곤(사라고사 주), 남쪽과 서쪽으로 카스티야 이 레온(소리아 주부르고스 주)과 경계를 이룬다. 주요 하천으로는 에브로 강과 이 지방의 이름 유래가 된 오하 강이 흐른다.

에브로 강은 라 리오하 자치 지역의 북쪽 경계를 따라 흐른다. 강 남쪽(오른쪽 강둑)은 전체가 라 리오하에 속하지만, 북쪽(왼쪽 강둑)에는 브리냐스, 산 비센테 데 라 손시에라, 아발로스 세 시정촌 전체만 속해 있다. 다만, 로그로뇨, 아곤시요, 알칸드레, 린콘 데 소토, 알파로 같은 일부 시정촌은 영토 일부가 강 북쪽에 걸쳐 있다. 에브로 강과 칸타브리아 산맥 사이에 위치한 알라바 주 지역은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리오하 알라베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4. 1. 기후

기후는 주로 대륙성 기후이다. 리오하 알타(Rioja Alta) 코마르카(comarca)는 리오하 바하(Rioja Baja)보다 강수량이 많다. 연평균 기온은 11.8°C~31.8°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300mm~500mm이다.[7] 겨울에는 Cierzo|시에르소spa라고 불리는 바람이 라 리오하(La Rioja) 주변에서 자주 분다.

4. 2. 산맥

라리오하주의 산맥들은 이베리아 산맥의 일부이다. 이 산맥은 에브로 강 남쪽으로 약 40km~60km 거리에서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고도는 1000m~2000m에 이른다. 이 산맥에서 시에라 데 라 데만다 산맥이 북쪽으로 라리오하 중심부까지 이어지는데, 2271m로 라리오하 주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몬테 산 로렌소를 포함한다. 다른 주요 산맥으로는 시에라 데 카메로 비에호, 시에라 데 카메로 누에보, 시에라 데 세볼레라, 피코스 데 우르비온 등이 있다.

라리오하와 그 일곱 개의 계곡. 에르네스토 라이너(Ernesto Reiner)의 그림


라리오하 주의 주요 지리적 특징으로는 에브로 강, 피케라스 고개, 아로의 콘차스, 이베리아 산맥, 온칼라 고개, 칸타브리아-코데스 산맥, 알라마 계곡, 리나레스 계곡, 시다코스 계곡, 주베라 계곡, 레사 계곡, 이레구아 계곡, 나헤릴라 계곡, 오하 계곡, 티론 계곡, 그리고 주도인 로그로뇨 등이 있다.

4. 3. 수계

라 리오하의 에브로 강


에브로 강은 라 리오하 지방을 통과하는 주요 하천이다. 아로의 콩차스 암석 사이의 좁은 수로에서 발원하여 라 리오하에 도달하며, 지중해로 향하는 여정을 계속하기 전에 약 120km에 걸쳐 라 리오하를 흐른다. 아로의 콩차스에서 강의 고도는 445m이며, 알파로의 소토스 델 에브로 자연보호구역에서 라 리오하를 떠날 때는 260m이다. 따라서 에브로 강은 라 리오하를 비교적 빠르게 흐른다.

산맥에서 에브로 강으로 7개의 하천이 빠르게 흘러내리기 때문에 라 리오하는 때때로 "7개 계곡의 지역"이라고 불린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순서대로 알라마, 시다코스 강, 레사, 이레구아, 나헤릴라, 오하, 티론 강이 있으며, 알라마와 시다코스의 발원지는 소리아에, 나헤릴라-네일라와 티론은 부르고스에 있다. 때로는 알라마의 지류인 리나레스 강을 추가하여 티론과 그 지류인 오하 강을 함께 묶기도 한다.

이들 계곡의 모든 하천은 지류를 형성하여 리나레스, 오콘, 후베라, 투에르토, 브리에바, 비니에그라스, 산 밀란 등과 같은 독자적인 많은 계곡을 형성한다. 아구아스 부에나스, 니에바, 만사나레스, 아르단차, 나바훈, 발데레사, 올로라, 토비아, 산 마르틴 등과 같이 자연이 매우 아름다운 웅장한 협곡이 거의 무한히 많다.

4. 4. 동식물

고지대에는 참나무, 너도밤나무, 소나무가 자란다. 노간주나무, 황양목, 슬로베리, 호랑가시나무, 시스투스 등의 덤불도 찾아볼 수 있다. 백리향, 로즈메리, 노간주나무, 홀름참나무도 자생한다. 넓게 펼쳐진 산비탈에는 가축, , 을 위한 좋은 목초지가 있다. 저지대에는 참나무, 올리브나무, 아몬드 나무가 자란다. 에브로 강 근처 평원에서는 곡물, 사탕무, 감자를 재배하며, 언덕에는 이 지역에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포도밭이 넓게 펼쳐져 있다.

에브로 강을 포함한 라리오하의 모든 강가에는 사시나무미루나무가 줄지어 서 있다. 라리오하의 사시나무에 대해 작가 아나 마리아 마투테는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물가에서 그것들을 보라, 마치 마법의 창처럼 강바닥의 비현실적이고 신비로운 나라를 가리키며 풍경을 바꾸고 있다." [8]

4. 5. 천연 자원

석고이산화규소가 채굴된다. 아르네디요는 온천 마을이다.

4. 6. 공룡 발자국

발자국 수각류의 발자국. 엔시소 근처에서 발견됨.


초기 백악기 시대에 카메로스 지역은 주기적으로 범람하는 충적 평원의 일부였다. 범람 후 진흙 지역이 남았고, 공룡들은 그곳을 지나다니며 발자국을 남겼다. 시간이 지나 발자국은 마르고 새로운 퇴적층으로 덮였으며, 상층의 무게로 인해 수백만 년에 걸쳐 암석으로 굳어졌다. 침식 작용으로 상층이 깎여나가면서 많은 암석층이 드러났고, 그 속에서 화석화된 발자국들이 드러났다. 라리오하는 이러한 지층의 수와 보존 상태가 뛰어나며, 소리아 북부의 양구아스, 산타 크루스 데 양구아스 및 기타 고지대 지역에서 발견되는 지층과 더불어 주목할 만하다.[9]

4. 7. 코마르카

라리오하주의 코마르카 구분


지리적 코마르카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리오하 알타'''(Rioja Alta)
  • * 앙구이아노
  • * 에스카라이
  • * 아로
  • * 나헤라
  • * 산토 도밍고 데 라 칼사다
  • '''리오하 메디아'''(Rioja Media)
  • * 티에라 데 카메로스(Tierra de Cameros)
  • ** 카메로 누에보
  • ** 카메로 비에호
  • * 로그로뇨
  • '''리오하 바하'''(Rioja Baja)
  • * 세르베라
  • * 알파로
  • * 아르네도
  • * 칼라오라

5. 경제

라 리오하 아루발의 발전소


2018년 기준 자치 지역의 국내총생산(GDP)은 85억유로으로, 스페인 전체 경제 생산량의 0.7%를 차지했다. 구매력을 고려한 1인당 GDP는 같은 해 29200EUR으로, EU27 평균의 97% 수준이었으며, 종업원 1인당 GDP는 EU 평균의 102%였다.[10]

라 리오하의 포도밭 (Viñedos)


라 리오하는 리오하 DOCa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다. 다만, 리오하 포도 재배 지역은 인접한 알라바와 나바라 자치 지역까지 일부 확장된다.

밭농업으로는 밀, 보리, 포도를 재배하고, 관개 농업으로는 아스파라거스, 피망 및 기타 작물을 재배하며, 양을 사육하는 축산업도 이루어진다.

산업 분야에서는 와인 생산 외에도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지역별 주요 산업
산업주요 생산 지역
와인 생산 및 통조림로그로뇨, 세니세로, 아로, 칼라오라
섬유 및 신발로그로뇨, 아르네도, 세르베라 델 리오 알라마, 에스카라이
가구 제조에스카라이, 로그로뇨, 나헤라
고무, 플라스틱, 화학 제품, 운송 기계(지역 명시 없음)
초리소카살라레이나



주요 수출 대상 국가는 유럽 연합, 미국, 캐나다 등이다.

라리오하주에서는 매년 아로 마을에서 와인 전투(Batalla del Vinoes) 축제가 열린다. 또 다른 유명한 지역 축제로는 투로 데 후에고(Toro de fuegoes)가 있는데, 황소 모양의 금속틀을 축제 참가자들이 함께 운반하는 행사로 역시 아로에서 열린다.

6. 인구 통계

스페인 통계청 (INE)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라리오하주의 인구는 315,675명으로, 남성 155,758명, 여성 159,917명이다.[11] 이는 스페인 자치 공동체 중 가장 적은 인구이며, 인구 밀도는 km2당 62.57명이다. 주도인 로그로뇨는 약 151,113명의 인구를 가진 가장 큰 도시이다.

라리오하주에는 총 174개의 지방 자치체가 있다.[5] 이 중 절반가량이 인구 200명 미만의 작은 규모이며, 주민의 거의 절반이 주도인 로그로뇨에 거주한다.[5] INE 자료에 따르면, 174개 지방 자치체 중 150곳은 남성 인구가 여성보다 많고, 2곳은 남녀 인구가 같으며, 22곳은 여성 인구가 더 많다. 특히 주도인 로그로뇨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4,868명 더 많다.[11]

2006년 통계 추산으로는 총 인구가 301,084명이었다.

다음은 주요 도시의 인구를 나타내는 표이다. (2006년 기준)

순위도시명인구
1로그로뇨145,866
2칼라오라23,768
3아르네도14,082
4아로11,463
5알파로9,576


7. 행정 구역

2006년 통계 추산 라리오하주의 총 인구는 301,084명이다. 총 174개의 무니시피오(기초자치단체)가 있으며, 이 중 거의 절반은 인구가 200명 이하이다.

스페인의 17개 자치주 중에서는 발레아레스 제도 다음으로 두 번째로 면적이 작고, 인구는 가장 적다. 인구의 약 절반이 주도 로그로뇨에 거주하고 있다.

다음은 주요 도시 인구를 나타내는 표이다.

순위도시명인구
1로그로뇨145,866
2칼라오라23,768
3아르네도14,082
4아로11,463
5알파로9,576



라 리오하 주의 포도밭

7. 1. 사법 관할구

라 리오하 주는 3개의 사법 관할구로 나뉜다.[18]

사법 관할구중심 자치체소속 자치체 목록
아로 사법 관할구[19]아로아바로스, 아우구시아나, 바냐레스, 바뇨스 데 리오하, 브리냐스, 브리오네스, 카사라레이나, 카스타냐레스 데 리오하, 세호리고, 시다몬, 시울리, 실웨냐, 코르폴라레스, 쿠스크리타 데 리오 티론, 에스칼라이, 폰세아, 폰살레체, 갈바르리, 히밀레오, 그라뇨, 에라메훌리, 에르비아스, 레이바, 만사나레스 데 리오하, 오찬둘리, 오하카스트로, 오하울리, 파센고스, 로데스노, 사하사라, 산 아센시오, 산 미한 데 헤콜라, 산 토르쿠아르토, 산 비센테 데 라 쏜시에라, 산토 도밍고 데 라 칼사다, 산투르데 데 리오하, 산투르데호, 티르고, 토르만토스, 트레비아나, 발가뇨, 비야르바 데 리오하, 비야로바르 데 리오하, 비야르 데 토레, 비야레호, 비야르타-킨타나, 사라톤, 소라킨
칼라오라 사법 관할구[20]칼라오라아길라르 델 리오 아라마, 알카나드레, 알데아누에바 데 에브로, 알팔로, 알네디호, 알네도, 아우세호, 아우톨, 베르가사, 베르가시하스 바헤라, 세르베라 델 리오 아라마, 코레라, 코르나고, 엔시소, 갈릴레아, 그라바로스, 에르세, 이헤아, 무니하, 무로 데 아구아스, 나바훈, 오콘, 프라데혼, 프레하노, 켈, 엘 레달, 린콘 데 소토, 산타 에울라리아 바헤라, 투델리하, 발데마데라, 엘 비야르 데 알네도, 비야로하, 살소사
로그로뇨 사법 관할구[21]로그로뇨아곤시호, 아하밀, 알베르다 데 이레구아, 알베리테, 알레산코, 알레손, 알말사 데 카메로스, 안기안코, 아렌사나 데 아바호, 아렌사나 데 아리바, 아루발, 아소프라, 바달란, 바뇨스 데 리오 토비아, 베르세오, 베사레스, 보바디하, 브리에바 데 카메로스, 카베손 데 카메로스, 캄프로빈, 카나레스 데 라 시에라, 카냐스, 카니하스 데 리오 투엘토, 칼데나스, 카스트로비에호, 세니세로, 클라비호, 코르도빈, 달로카 데 리오하, 엔트레나, 에스토호, 푸엔마호르, 가시네로 데 카메로스, 올미하, 올미헤하, 올니호스 데 카메로스, 올노스 데 몬칼비호, 우엘카노스, 하론 데 카메로스, 라구나 데 카메로스, 라구니하 델 후베라, 라르데로, 레데스마 데 라 코고하, 레사 데 리오 레사, 룸브레라스, 만하레스, 만시하 데 라 시에라, 마투테, 메드라노, 무리호 데 리오 레사, 무로 엔 카메로스, 나헤라, 날다, 나바레테, 네스타레스, 니에바 데 카메로스, 오르티고사 데 카메로스, 페드로소, 피니호스, 프라디호, 라바네라, 엘 라시호 데 카메로스, 리바프레차, 로브레스 델 카스티호, 산 미한 데 라 코고하, 산 로만 데 카메로스, 산타 코로마, 산타 엥그라시아 델 후베라, 소푸에라, 솔사노, 소테스, 소토 엔 카메로스, 테로바, 토비아, 토레 엔 카메로스, 트레시하 엔 카메로스, 트레시하 소브레 알레산코, 트레몬탈보, 트리시오, 우르뉴에라, 벤토사, 벤토로사, 비게라, 비야메디아나 데 이레구아, 비야누에바 데 카메로스, 비야베라호, 비야베르데 데 리오하, 비호스라다 데 카메로스, 비니에그라 데 아바호, 비니에그라 데 아리바


8. 교육

2007년 PISA 보고서에 따르면, 라리오하의 교육은 스페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학생들의 지식 측면에서 전반적인 교육 수준이 더 높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이다.[13] 교육부의 2009년 보고서에서도 라리오하는 초등 및 중등 교육의 일반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자치 지역 중 1위를 차지했다.[14]

학교 중퇴율은 스페인 평균보다 낮으며, 학교에 등록된 이민자 비율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85%가 ESO 자격을 취득하는 성과를 보였다.[14] 학생 1인당 교육 지출액은 6208EUR로, 이 부문에서 10위를 기록했다.[2] 지역 내 교육 기관은 공립학교가 대부분이며, 그 다음으로 지원금을 받는 학교와 사립학교 순이다. 사립학교는 초중등 교육 수준에서는 매우 적다. 바칠레라토(bachillerato)는 공립학교에서는 무료이지만, 사립학교에서는 유료로 운영된다.[15]

라리오하 인구의 30.6%가 고등 교육을 이수했으며,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라리오하 대학교(University of La Rioja)와 온라인 대학인 라리오하 국제대학교(International University of La Rioja) 두 곳이 있다.[16]

9. 교통

산 비센테 데 라 손시에라(San Vicente de la Sonsierra) 방면의 지방도 LR-210


라 리오하는 로그로뇨-아곤시요 공항을 통해 항공편으로 연결된다.

철도 교통으로는 카스테혼-미란다 노선이 지역을 동서로 가로지른다. 이를 통해 마드리드, 사라고사, 바르셀로나, 바야돌리드, 오비에도, 빌바오, 라코루냐, 비고 등 주요 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주요 기차역은 로그로뇨에 위치한다.

도로 교통의 경우, 라 리오하와 인근 지역은 주로 AP-68 고속도로를 통해 연결된다. 2006년에는 팜플로나로그로뇨를 잇는 A-12 고속도로가 개통되었으며, 이 도로는 향후 부르고스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그 외 주요 도로 및 관련 시설은 다음과 같다.

  • N-111 국도
  • N-232 국도
  • N-120 국도
  • AP-69 고속도로 (계획 중)
  • 피케라스 터널
  • 온칼라 고개
  • 피케라스 고개

10. 주요 인물

파우스토 엘우야르(1755–1833), 화학자이자 그의 형 후안 호세 엘우야르와 함께 텅스텐을 공동으로 발견한 인물


라리오하주 출신 주요 인물
이름생몰년주요 활동/직업
도밍고 데 실로스1000–1073수도사
곤살로 데 베르세오1198–1264시인
후안 곤살레스 데 멘도사1545–1618수도사
후안 호세 엘우야르1754–1796화학자, 광물학자
파우스토 엘우야르1755–1833화학자, 광물학자 (텅스텐 공동 발견)
마누엘 브레톤 데 로스 에레로스1796–1873극작가
마리아노 데 라 파스 그라엘스1809–1898박물학자
프락시데스 마테오 사가스타1825–1903토목기사, 정치가 (스페인의 총리)
디에스 델 코랄1911–1998정치학자
구스타보 부에노1924–2016철학자
라파엘 아스코나1926–2008극작가
호세 이냐시오 페레스 사엔스1951–정치가 (라리오하 주지사)
페드로 산스1953–정치가 (라리오하 주지사)
호세 이냐시오 세니세로스1956–정치가 (라리오하 주지사)
하비에르 카마라1967–배우
콘차 안드레우1967–정치가 (라리오하 주지사)
다니 아란수비아1979–축구 선수
카를로스 콜로마 니콜라스1981–사이클 선수
알베르토 갈손1985–정치가
마르틴 페르난데스 데 나바레테정보 없음정보 없음
셀소 모르가 이루수비에타정보 없음정보 없음
안헬 이투리아가 바르코정보 없음정보 없음
포르투나토 파블로 우르세이정보 없음정보 없음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데 리사나 이 베아몬트정보 없음정보 없음
호세 오르티스-에차구에정보 없음정보 없음


11. 주요 유적지


  • 나헤라 산타 마리아 라 레알 수도원 (Monastery of Santa María la Real of Najera)
  • 산타 마리아 데 라 레돈다 공동대성당 (Concatedral de Santa María de la Redonda)
  • 산토 도밍고 데 라 칼사다 대성당 (Catedral de Santo Domingo de la Calzada)
  • 산토 토마스 교회 (Iglesia de Santo Tomás)
  • 카냐스 산 살바도르 산타 마리아 수도원 (Abbey of Santa María de San Salvador of Cañas)

  • ---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3-06-24
[2] 웹사이트 Contabilidad Regional de España https://ine.es/prens[...]
[3] 웹사이트 ISO 3166-2 NEWSLETTER Date issued: 2010-02-03 No II-1 Corrected and reissued 2010-02-19 http://www.iso.org/i[...] 2018-01-13
[4] 서적 La Rioja entre Navarra y Castilla. Del mundo agrario al espacio urbano https://web.archive.[...] 2013-01-12
[5] 웹사이트 Gobierno de la Rioja https://web.archive.[...] 2007-04-07
[6] 서적 La Rioja como sistema Gobierno de La Rioja
[7] 웹사이트 weather in la rioja https://en-bici.es/p[...] 2024-01-29
[8] 웹사이트 Guía de La Rioja https://web.archive.[...] 2013-01-12
[9] 웹사이트 Fósiles de La Rioja permiten reconstruir totalmente el dinosaurio 'Baryonix' (Fossils of La Rioja allow the full reconstruction of the 'Baryonix' dinosaur) http://www.abc.es/he[...] 2006-07-26
[10] 웹사이트 Regional GDP per capita ranged from 30% to 263% of the EU average in 2018 https://ec.europa.eu[...]
[11] 웹사이트 Datos de población por municipios del INE (INE population data by municipalities) https://web.archive.[...] 2013-01-11
[12] 웹사이트 Continuous Register Population by Population Unit http://www.ine.es/dy[...]
[13] 웹사이트 La Rioja mantiene la mejor educación de España tras la evaluación de diagnóstico del Ministerio http://www.larioja.c[...] 2013-01-11
[14] 웹사이트 El fracaso escolar en La Rioja es del 15% http://www.larioja.c[...] 2013-01-11
[15] 웹사이트 El concierto de Bachillerato para no segregar http://www.larioja.c[...] 2013-01-11
[16] 웹사이트 Website of UNIR - International University of La Rioja. http://en.unir.net/ 2017-05-15
[17] 웹사이트 Statute of Autonomy http://www.larioja.o[...]
[18] 웹사이트 Partidos judiciales de la provincia de Rioja (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5-05-16
[19] 웹사이트 Haro, partido judicial nº1 de Rioja (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5-05-16
[20] 웹사이트 Calahorra, partido judicial nº2 de Rioja (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5-05-16
[21] 웹사이트 Logroño, partido judicial nº3 de Rioja (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5-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