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의 주도이자, 야고보 사도의 유해가 안치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이 있는 도시이다. 로마 시대 묘지에서 시작하여 수에비족, 서고트 왕국을 거쳐 아스투리아스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야고보 사도의 유해 발견 이후 순례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갈리시아 왕국의 수도였으며, 198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갈리시아 자치 정부의 정치적 중심지이자, 산티아고 순례길의 종착지로서 관광, 문화, 교육,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코루냐도의 자치체 - 페롤
페롤은 스페인 아 코루냐 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해군 기지이자 조선 산업의 중심지이며, 로마 시대부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이 남아 있고 18세기 부르봉 왕가 시대에 해군 기지로 발전했다. - 아코루냐도의 자치체 - 로이스 (스페인)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아 코루냐 현에 있는 로이스는 12개의 교구로 나뉘고 산악 지형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이며, 사회노동당과 국민당의 경쟁 구도로 정치가 이루어지고 2023년 기준 사회노동당 소속 시장과 13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시의회가 있다. - 가톨릭 순례지 - 사해
사해는 이스라엘, 요르단, 팔레스타인에 걸쳐있는 염호로, 높은 염분 농도 때문에 생물이 살기 어려워 사해라 불리며, 미네랄이 풍부한 염수와 머드를 이용한 관광 산업과 광물 자원 채취가 활발하지만 수위가 낮아져 회복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가톨릭 순례지 - 쾰른
쾰른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에 위치한 독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로, 로마 시대에 기원하여 중세 시대 신성 로마 제국의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으며, 쾰른 대성당을 비롯한 역사적 건축물과 축제로 유명하고, 제2차 세계 대전 후 라인-루르 지역의 주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 스페인의 세계유산 - 사그라다 파밀리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건설 중인 사그라다 파밀리아는 안토니 가우디가 설계한 가톨루냐 모더니즘 건축의 대표작으로, 예수의 탄생, 수난, 영광을 상징하는 파사드와 첨탑으로 구성될 가톨릭 대성당이며, 관광객 입장료와 기부금으로 건설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바르셀로나의 상징이다. - 스페인의 세계유산 - 구엘 공원
구엘 공원은 에우세비 구엘 백작의 후원으로 시작되어 안토니 가우디의 자연주의 건축 양식이 돋보이는 건축물과 조형물들을 갖춘,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정식 명칭 |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
유형 | 자치제 |
위치 | 스페인 갈리시아 아코루냐 |
교구 | 30 |
교구 목록 | 아린스 반도 아바르시엘라 부스토 오카르발랄 오카스티녜이리뇨 세사르 콘소 오에이쇼 아엔페스타 페차 피게이라스 폰티냐스 그리쇼아 라라뇨 마란테스 마로소스 네멘소 아페레그리나 사부게이라 산카에타노 산라사로 산파이오 산타크리스티나데페차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사르 베르디아 비단 비예스트로 비스타알레그레 |
정치 | |
정부 형태 | 시장-의회제 |
의회 | 산티아고 시의회 |
시장 정당 | BNG |
시장 | 고레티 산마르틴 |
면적 | |
총 면적 | 220 km² |
고도 | |
고도 | 260 m |
인구 | |
인구 (2020년) | 97,849명 |
도시권 인구 | 183,855명 |
인구 밀도 | auto |
주민 | 산티아간 santiagués, -guesa (gl/es) compostelán, -á (gl) compostelano, -na (es) |
시간대 | |
시간대 | CET (GMT +1) |
일광 절약 시간 | CEST (GMT +2) |
좌표 | 42° 52′ 40″ N, 8° 32′ 40″ W |
우편 번호 | 15700 |
지역 번호 | +34 |
웹사이트 | santiagodecompostela.gal |
기타 | |
문화어 | 싼띠아고데꼼뽀스뗄라 |
공식 언어 | 갈리시아어 |
참고 | |
발음 |
2. 역사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4세기경 로마 제국 시대의 묘지였으며, 5세기 초 수에비족이 점령했다. 6세기에는 이리아 플라비아 주교구에 귀속되었고, 이후 서고트 왕국에 병합되었다. 711년에서 739년 사이에는 아랍인의 습격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750년경 아스투리아스 왕국에 편입되었다.
818년에서 842년 사이, 테오데미르 주교가 야고보 사도의 유해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면서, 산티아고 순례길이 발전하고 도시가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10세기에는 '콤포스텔라'로 불렸으며, 갈리시아 왕국의 수도가 되면서 정치적 중요성이 커졌다.
10세기와 11세기 초에는 바이킹의 공격을 받았으며, 997년에는 알만소르의 공격으로 도시가 부분적으로 파괴되기도 했다. 11세기 중반, 크레스코니오 주교는 도시 전체를 요새화했다. 12세기에 디에고 헬미레스 주교의 주도로 대주교구가 되었고, 이후 시민들의 자치 투쟁이 시작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중에는 프랑스군에 의해 함락되고 약탈당했으며, 사도의 유해는 한 세기 동안 분실되기도 했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로마 시대와 수에비족 시대의 묘지가 발견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Santiagogl는 속라틴어 ''Sanctus Iacobus'' "성 야고보(Saint James)"의 갈리시아어 변형이다. 리처드 플레처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학자들은 콤포스텔라(Compostela)라는 이름의 기원이 라틴어 ''compositum tella''에서 유래했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며, 이는 잘 정돈된 매장지라는 뜻으로, 기독교 건물보다 앞선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교회 부지에 있던 고대 매장지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3] 민간어원학에 따르면 ''Compostela''는 ('별의 들판')에서 유래했다.중세 전설에 따르면, 야고보 사도(야고보 세베대오의 아들)의 유해가 갈리시아로 옮겨져 매장되었으나, 그 후 행방이 묘연해졌다고 한다. 800년 후, 밤에 양 떼를 지키던 한 목동, 펠라지오 수도사가 밝게 빛나는 별의 인도를 받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있는 매장지를 발견하였다.[3] 이곳은 원래 리브레돈 산(Mount )이라 불렸으며,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탁 트인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상공의 구름을 걷어내는 효과가 있었다.[4] 목동은 즉시 이리아의 주교, 테오데미르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3] 주교는 발견된 유해가 야고보 사도의 것이라고 선포하고 즉시 오비에도의 알폰소 2세 국왕에게 알렸다.[3] 야고보 성인을 기리기 위해 그의 유해가 발견된 자리에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수많은 기적적인 사건들을 포함한 이 전설은 이슬람 세력과의 싸움에서 북부 스페인의 기독교 세력에게 지지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으며, 도시의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졌다.[3]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지역은 4세기경 로마 시대의 묘지였으며,[3] 5세기 초 갈리시아와 포르투갈에 정착한 수에비족이 로마 제국의 몰락으로 인한 초기 민족 대이동 시기에 점령했다. 이 지역은 나중에 테오데마르 왕의 명령(파로키알레 수에보룸)에 따라 6세기에 이리아 플라비아 주교구에 귀속되었다. 585년에 이 정착지는 수에비 왕국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리우비길드에 의해 서고트 왕국의 여섯 번째 주로 병합되었다.
711년에서 739년 사이에 아랍인들에게 습격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리아의 주교구는 약 750년경 아스투리아스 왕국에 편입되었다.[14] 818년과 842년 사이 알폰소 2세 통치 기간에,[15] 이리아의 테오데미르 주교 (847년 사망)는 야고보 사도로 여겨지는 유골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 발견은 교황 레오 3세와 814년에 사망한 샤를마뉴가 아스투리아스를 왕국으로, 알폰소 2세를 왕으로 인정하고 긴밀한 정치적, 교회적 유대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발견 장소 주변에 순례의 새로운 중심지이자 정착지가 나타났으며, 865년에 저자 우스아르두스에게 알려졌고, 10세기에는 '콤포스텔라'로 불렸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의 야고보 사도에 대한 헌신은 10세기와 11세기 동안 이베리아 북부 전역에서 나타난 많은 헌신 중 하나였으며, 통치자들은 오비에도의 메리다의 에울라리아 성녀와 카스티야의 코골라의 에밀리아누스 성인과 같이 자체 지역 특유의 헌신을 장려했다. 910년 아스투리아스의 정치적 중심지가 오비에도에서 레온으로 이동한 후 콤포스텔라의 정치적 중요성이 커졌고, 여러 갈리시아의 왕과 레온의 왕이 갈리시아 귀족들에 의해 추대되었다. 958년 오르도뇨 4세,[16] 982년 베르무도 2세, 1111년 알폰소 7세가 현지 주교에 의해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치렀으며, 그때 콤포스텔라는 갈리시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페르난도 2세와 알폰소 9세 등 12세기의 왕들도 대성당에 묻혔는데, 이들은 두 왕국이 카스티야 왕국과 통합되기 전 마지막 레온과 갈리시아의 왕들이었다.
10세기와 11세기 초, 바이킹 약탈자들이 도시를 공격하려고 시도했다. 갈리시아는 북유럽 사가에서 '야코브스랜드' 또는 '갈리잘랜드'로 알려져 있다. 968년 바이킹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시세난드 2세 주교는[17] 신성한 장소를 보호하기 위해 성벽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 997년 콤포스텔라는 안달루시아 지도자 알만소르(알-만수르)의 공격을 받아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는데, 그의 습격에는 기독교 영주들이 동행하여 모두 전리품을 나누어 가졌다. 그러나 안달루시아 지휘관은 야고보 사도의 유물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여 크레스코니오 주교는 11세기 중반에 성벽과 방어탑을 건설하여 도시 전체를 요새화했다.
일부 저자들에 따르면, 11세기 중반까지 이곳은 이미 전 유럽적인 "순례지"가 되었지만, 다른 저자들은 야고보 사도에 대한 헌신이 11-12세기 이전에는 아스투리아스와 레온의 왕들이 동요하는 갈리시아의 충성심을 얻기 위해 지원한 본질적으로 갈리시아적인 문제였다고 주장한다. 산티아고는 다음 세기 동안 로마와 예루살렘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가톨릭 성지가 되었다. 12세기에 디에고 헬미레스 주교의 주도로 콤포스텔라는 대주교구가 되어 대규모이고 다국적인 인구를 유치했다. 이 고위 성직자의 통치하에 시민들은 지방 의회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켜 도시 사람들이 자치를 위해 싸우면서 현지 주교, 도시와 그 봉토의 세속적이고 관할적인 영주인 반자치적인 Terra de Santiagoes ("성 야고보의 땅")에 맞서 싸우는 세속적인 전통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대립의 절정은 14세기에 프랑스인 베랭제르 드 랑도르라는 새로운 고위 성직자가 도시 의원들을 회담에 초대한 후 ''아 로차 포르테'' ("강력한 바위, 성") 성에서 배신적으로 처형하면서 발생했다.
2. 2. 산티아고 순례길의 발전
중세 전설에 따르면, 야고보 사도의 유해가 갈리시아로 옮겨져 매장되었으나, 그 후 행방이 묘연해졌다. 800년 후, 밤에 양 떼를 지키던 펠라지오 수도사가 밝게 빛나는 별의 인도를 받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있는 매장지를 발견하였다.[3] 목동은 즉시 이리아의 주교, 테오데미르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3] 주교는 발견된 유해가 야고보 사도의 것이라고 선포하고 즉시 오비에도의 알폰소 2세 국왕에게 알렸다.[3] 야고보 성인을 기리기 위해 그의 유해가 발견된 자리에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수많은 기적적인 사건들을 포함한 이 전설은 이슬람 세력과의 싸움에서 북부 스페인의 기독교 세력에게 지지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으며, 도시의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졌다.[3]

중세 시대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는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기독교 여정 중 하나로 부상하여 영적 구원과 성취를 추구하는 수천 명의 순례자를 끌어들였다. 성 야고보 사도의 최후의 안식처로 여겨지는 순례길은 여러 국가와 아름다운 장소들을 거쳐 갔다.[19] 순례는 영적 성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문화 교류도 가능하게 했다. 순례길을 따라 있는 마을들은 방문객들의 유입으로 번영했고, 교회 건설[20]과 마을의 추가 개발로 이어졌다. 이 신성한 여정은 신앙, 끈기 있는 시련, 그리고 신의 은총에 대한 희망을 상징했다. 순례의 상징은 조개껍데기이며, 산토 도밍고 데 실로스의 조각상에서 볼 수 있다. 예수는 조개껍데기가 수놓아진 가방을 멘 순례자로 묘사되어 있다. 조개껍데기는 성 야고보의 도착에 관한 전설에서 유래한다. 그는 말을 놀라게 하여 바다로 몰아넣었고, 말은 조개껍데기로 자신을 덮은 채 다시 나타났다.[21]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Camino de Santiago)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역사적인 기독교 순례길 중 하나이다.[22] 이 신성한 여정은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지방에 있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으로 이어지는데, 이곳에는 성 야고보 사도의 유해가 묻혀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 순례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매년 전 세계에서 수천 명의 순례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참가자들은 다양한 경로를 따라 여행하는데, 가장 인기 있는 경로는 프랑스 길(Camino Francés)[23]이며, 수백 킬로미터를 도보, 자전거 또는 말을 타고 이동한다. 이 여정은 단순한 신체적 도전이 아니라 심오한 영적이고 내성적인 경험이며, 공동체 의식, 자기 성찰, 성취감을 제공한다. 순례길을 따라 순례자들은 다양한 풍경과 역사적인 마을을 지나고 신앙과 지원의 상징을 만난다.[24]
성 야고보가 이베리아 반도에 도착하여 전도 활동을 했다는 전설은 예수의 사도들의 선교 활동과 최후의 안식처에 관한 초기 전통 중 하나이다. 1884년 교황 레오 13세의 교황령 ''Omnipotens Deus''가 콤포스텔라의 유물의 진위를 인정했지만, 바티칸은 그 유물이 야고보 대사도의 유물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확정하지 않고 있으며, 그곳으로의 순례의 일반적인 이점을 계속 홍보하고 있다. 베네딕토 16세는 2010년 스페인 방문 시 이곳에 의식적인 순례를 했다.[25]
1085년 토레도 정복 이후, 왕권과 식민지 확장을 노리는 레온-카스티야 왕가와 스페인 교회에 대한 영향력 강화를 원하는 로마 교황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면서 산티아고 순례길이 정비되었고, 12세기 전반까지 갈리시아 지방의 중심 도시로서 눈에 띄는 발전을 이루었다.[52]
2. 3. 근대와 현대
현재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가 있는 곳은 고대 로마 시대에 로마 가도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성채와 마을이 존재했다.[52] 9세기에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이곳에서 성 야고보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알폰소 2세에 의해 로마 시대 마을터에 새로운 마을과 사실상 이리아 주교좌가 되는 교회가 세워지면서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의 기초가 되었다.[52] 이곳은 레콩키스타와 재정착(레포브라시온) 운동의 최전선에 위치했기 때문에, 10세기 이후에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군사 기지로 발전했다. 1085년 토레도 정복 이후, 왕권과 식민지 확장을 노리는 레온-카스티야 왕가와 스페인 교회에 대한 영향력 강화를 원했던 로마 교황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면서 산티아고 순례길이 정비되었고, 12세기 전반까지 갈리시아 지방의 중심 도시로서 눈에 띄는 발전을 이루었다.[52]3. 지리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는 아 코루냐 주 중남부에 위치하며, 산티아고 코마르카에 속한다. 북쪽으로는 트라소, 오로소와, 동쪽으로는 오 피노, 보케이숑과, 남쪽으로는 베드라, 테오와, 남서쪽으로는 아메스와, 북서쪽으로는 발 도 두브라 자치체와 인접하며, 자치체의 중심 지역은 시가지인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지역이다.[53]
시가지는 몬테 페드로소와 몬테 비소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을 사르 강과 사레라 강이 흐르고 있다. 시가지 주변에는 29개의 교구가 펼쳐져 있다.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는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사법 관할구에 속하며, 동 관할구의 중심 자치체이다.[54]
3. 1.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는 온화하고 다소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을 가진 온대 해양성 기후(Cfb)를 띤다.[77] 대서양과 주변 산맥에서 불어오는 우세풍이 결합하여 산티아고는 스페인에서 가장 강수량이 많은 지역 중 하나가 되었으며, 연간 약 1800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5] 내륙 깊숙이 위치하고 370m의 고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겨울은 온화하며, 서리는 12월, 1월, 2월에만 흔하게 나타나고 연평균 13일 정도이다. 눈은 드물게 내리며, 연간 2~3일 정도만 눈이 온다.[5] 35°C를 넘는 기온은 매우 드물다.
4. 정치
이 도시는 시장-시의회 제도에 따라 운영된다. 2023년 스페인 지방 선거 이후 산티아고의 시장은 BNG의 고레티 산마르틴(Goretti Sanmartín)이다.
2015년 지방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0]
colspan="7"| | ||||||
정당 | 득표수 | 의석 수 | ||||
---|---|---|---|---|---|---|
득표 | % | ±pp | 획득 | +/− | ||
콤포스텔라 아베르타 (CA) | 16,327 | 34.58 | 10 | --10 | ||
갈리시아 인민당 (PP) | 15,869 | 33.61 | 9 | --4 | ||
갈리시아 사회당-스페인 사회노동당 (PSdeG-PSOE) | 6,919 | 14.65 | --16.31 | 4 | --5 | |
갈리시아 민족주의 블록-개방된 의회 (BNG) | 3,277 | 6.94 | --6.94 | 2 | --1 | |
colspan="7" bgcolor="#C0C0C0"| | ||||||
시민당 (시민당) | 2,285 | 4.84 | 신규 | 0 | ±0 | |
갈리시아에 대한 헌신-투명한 시정(CxG-CCTT) | 1,112 | 2.35 | 신규 | 0 | ±0 | |
연대와 국제주의적 자치관리 (SAIn) | 301 | 0.64 | --0.23 | 0 | ±0 | |
컨버젠시아 XXI (C21) | 139 | 0.29 | --0.29 | 0 | ±0 |
2007년 5월 27일 지방 선거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획득 의석 | ||
---|---|---|---|---|---|
갈리시아 인민당 (PPdeG) | 18,664 | 39.01% | 11 | ||
갈리시아 사회당-스페인 사회당 (PSdeG-PSOE) | 18,270 | 38.19% | 10 | ||
갈리시아 블록 (BNG) | 7,871 | 16.45% | 4 | ||
유럽연합 (EU) | 1,119 | 2.34% | 0 | ||
산티아고 시민연합 (SAIn)[66] | 620 | 1.30% | 0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갈리시아 주의 주도이자 정치 중심지이다. 북부 산 카에타노 지역에는 갈리시아 주 정부인 갈리시아 주 정부가 있으며, 오레오 거리의 오레오 궁전(Pazo do Hórreo)에는 갈리시아 주 의회 의사당이 있다. 구시가지의 오브라도이로 광장, 대성당 정면에 있는 라쇼이 궁전(Pazo de Raxoi)에는 갈리시아 주 총재 관저가 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아 코루냐 주 제2사법관할구역(Partido xudicial número 2 da provincia da Coruña)의 중심 자치체이며, 아메스(Ames), 보케시온(Boqueixón), 테오(Teo), 베드라(Vedra)를 관할한다.
5. 경제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의 경제는 갈리시아 자치정부의 수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공공행정(즉, 갈리시아 자치정부의 본부)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만, 문화 관광, 산업, 그리고 대학교를 통한 고등교육 등으로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목재 가공(FINSA), 자동차 산업(UROVESA), 통신 및 전자(Blusens 및 Televés)와 같은 새로운 산업이 자리 잡았다. 노바카이샤갈리시아 소유의 은행인 Banco Gallego의 본사는 도심의 ''rúa do Hórreo''에 있다.
산티아고 순례길 덕분에 관광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성 야고의 해(성 야고 축일이 일요일에 해당하는 해)에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1993년 성 야고의 해를 위한 갈리시아 지방 정부(Xunta)의 상당한 투자와 엄청난 성공을 거둔 광고 캠페인 이후 순례길을 완주하는 순례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성 야고의 해에는 27만 2천 명이 넘는 순례자가 순례 여정을 떠났다. 2010년 이후 다음 성 야고의 해는 성 야고 축일이 다시 일요일에 해당하는 11년 후에 찾아온다. 성 야고의 해가 아닌 해에도 도시는 상당한 수의 순례자를 받고 있다. 2013년에는 215,880명, 2014년에는 237,983명, 2015년에는 262,513명, 2016년에는 277,854명이 순례를 완주했다.[18]
Editorial Compostela는 일간 신문 ''El Correo Gallego'', 지역 TV 및 라디오 방송국을 소유하고 있다. 갈리시아어 온라인 뉴스 포털 ''Galicia Hoxe'' 또한 이 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갈리시아의 공영 방송인 Televisión de Galicia의 본사도 산티아고에 있다.
6. 인구
연도 | 인구 |
---|---|
1842 | 22,749 |
1857 | 26,938 |
1877 | 23,629 |
1887 | 22,574 |
1900 | 24,317 |
1910 | 24,660 |
1920 | 27,341 |
1930 | 39,620 |
1940 | 43,815 |
1950 | 52,675 |
1960 | 57,173 |
1970 | 65,270 |
1981 | 82,404 |
1991 | 87,807 |
2001 | 90,188 |
2011 | 95,397 |
2021 | 97,798 |
2019년 기준 도시 인구는 96,260명이며, 광역권 인구는 178,695명이다. 2010년 기준으로 도시에는 4,111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4.3%를 차지한다. 주요 국적은 브라질(11%), 포르투갈(8%), 콜롬비아(7%)이다.
2008년 자료에 따르면 언어 사용 측면에서 전체 인구 중 21.17%는 항상 갈리시아어를 사용하고, 15%는 항상 스페인어를 사용하며, 31%는 주로 갈리시아어를 사용하고, 32.17%는 주로 스페인어를 사용한다.[12] 갈리시아 지방 정부의 2010년 연구에 따르면 도시의 초중등 교육 학생 중 38.5%가 갈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13]
7. 문화
중세 시대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은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기독교 순례길 중 하나였으며, 영적 구원과 성취를 추구하는 수천 명의 순례자를 끌어들였다. 성 야고보 사도의 마지막 안식처로 여겨지는 이 순례길은 여러 국가와 아름다운 장소들을 거쳐 갔다.[19] 순례는 영적 성장을 촉진하고 문화 교류를 가능하게 했다. 순례길을 따라 있는 마을들은 방문객들의 유입으로 번영했고, 교회 건설[20]과 마을의 추가 개발로 이어졌다. 순례의 상징은 조개껍데기이며, 산토 도밍고 데 실로스의 조각상에서 볼 수 있듯이 예수는 조개껍데기가 수놓아진 가방을 멘 순례자로 묘사되어 있다.[21]
성 야고보가 이베리아 반도에 도착하여 전도 활동을 했다는 전설은 예수의 사도들의 선교 활동과 최후의 안식처에 관한 초기 전통 중 하나이다. 1884년 교황 레오 13세의 교황령 ''Omnipotens Deus''가 콤포스텔라 유물의 진위를 인정했지만, 바티칸은 그 유물이 야고보 대사도의 유물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확정하지 않고 있으며, 그곳으로의 순례의 일반적인 이점을 계속 홍보하고 있다. 베네딕토 16세는 2010년 스페인 방문 시 이곳에 의식적인 순례를 했다.[25]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버나드 콘웰의 1988년 역사 소설인 『샤프의 소총』에 중요하게 등장한다. 이 소설은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09년 1월, 갈리시아 프랑스 침공 당시를 배경으로 한다.
라파가의 「우나 세르베사」 뮤직비디오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의 역사 지구를 배경으로 한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의 순례는 루이스 부뉴엘 감독의 영화 『은하수』(1969)의 서사적 틀을 제공한다.
브라질 작가 파울로 코엘료의 1987년에 출판된 자서전이자 로맨스 소설인 『순례』에서는 신비주의적인 순례가 묘사된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 및 행사가 열린다.
축제/행사명 | 날짜 | 내용 |
---|---|---|
승천절 | ||
Día Nacional de Galiciagl | 7월 25일 | 성 야고보의 날이기도 하며, 이 날을 중심으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일요일과 겹치는 해는 성년 (Ano Santo)으로 여겨지며, 평소 닫혀 있는 성문(Porta Santa)이 열려 성당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2010년이 바로 성년이었으며, 11월 6일에는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방문했다. 다음 성년은 11년 후인 2021년이다. 전야인 24일에는 대성당 앞 오브라도이로 광장을 메인 무대로 대규모 불꽃놀이가 펼쳐진다. 최근에는 프로젝션 맵핑을 이용한 영상과 음향 행사가 대성당 앞에서 진행되고 있다.[71] 2013년에는 전야인 24일에 교외 안그로이스 지역에서 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모든 행사가 취소되었다.[72] |
산 로케의 날 | 8월 16일 | |
시네우로파(Cineuropa) | 11월~12월 | 영화제. 명칭은 유럽 영화를 나타내지만, 아시아와 남북 아메리카 등 세계 각국의 영화가 약 1개월 동안 시내 극장 등에서 상영된다. 매년 일본 영화도 몇 편 상영된다. |
유럽·아랍 영화제 아말(Amal) | 10월 말 | 1주일간 아랍 영화 상영 |
7. 1. 주요 명소
중세 전설에 따르면, 야고보 사도의 유해가 갈리시아로 옮겨져 매장되었으나, 그 후 행방이 묘연해졌다고 한다. 800년 후, 목동 펠라지오 수도사(펠라지오 수도사)가 별의 인도를 받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야고보의 매장지를 발견하였다.[3] 이 유해는 이리아의 주교 테오데미르(테오데미르)에 의해 야고보 사도의 것으로 선포되었고, 오비에도의 알폰소 2세에게 알려졌다.[3] 야고보 성인을 기리기 위해 그의 유해가 발견된 자리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이 건립되었다.[3]오브라도이로 광장 서쪽에는 18세기 건축물인 락소이 궁전(Pazo de Raxoi)이 있으며, 현재 시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광장 건너편에는 1492년 가톨릭 군주인 이사벨 1세와 페르디난드 2세가 순례자 숙소로 설립한 레예스 카톨리코스 여관(레예스 카톨리코스 여관)이 있으며, 현재는 파라도르로 사용되고 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의 오브라도이로 파사드는 스페인 유로 동전 1, 2, 5센트 동전에 새겨져 있다.
산티아고에는 16세기 초에 설립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가 있다. 구시가지에는 역사적인 건물이 즐비한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길이 많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활기찬 밤문화를 가지고 있다. 신시가지(a zona nova|갈리시아어|아 소나 노바gl)와 구시가지(a zona vella|갈리시아어|아 소나 베야gl) 모두에서 새벽까지 활기찬 분위기를 유지한다.
산티아고는 스페인의 4개 군사 수도회 중 하나인 산티아고 수도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
- 라쇼이 궁전 – 시청 및 갈리시아 자치주 정부 수반 집무실
- 12세기 산타 마리아 두 사르 수도원 교회
- 16세기 바로크 양식 산 마르틴 피나리오 수도원
- 17세기 산 프란시스코 수녀원 및 교회
- 갈리시아 현대미술센터 (Centro Galego de Arte Contemporánea), 알바루 시자 비에이라 설계
- 갈리시아 문화도시, 피터 아이젠만 설계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성벽
- 알라메다 공원 (Parque da Alameda)
- 샤를마뉴 공원 (Parque de Carlomagno)
- 산 도밍고스 데 보나발 공원, 에두아르도 칠리다와 알바루 시자 비에이라 재설계
구시가지는 1985년 유네스코(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오브라도이로 광장 - 산티아고의 상징적인 광장으로, 스페인 전역에서 일어난 15-M 운동[74]에서는 이 광장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한 달 이상 점거되었다.[75][76]
- 킨타나 광장 - 대성당 뒤편 광장.
- 프라테리아 광장 - 대성당의 측랑 남쪽 광장.
- 세르반테스 광장
- 토우랄 광장
- 마사레로스 광장 - 산티아고 대학교 철학과 정면에 있는 광장.
; 박물관
- 갈리시아 민족 박물관 - 구 산토 도밍고 데 보나발 수도원 내부, 인접한 교회는 갈리시아 명사들의 묘소가 되어 있으며,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 알폰소 카스테야오 등 갈리시아 민족의 위인들이 묻혀 있다.
- 산티아고 순례 박물관 (Museo das Peregrinacións e de Santiago)
- 갈리시아 현대미술센터
- 갈리시아 문화도시(시다데 다 쿠르투라 데 갈리시아)
; 종교 건축
thumb]]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
- 산 마르티뇨 피나리오 수도원
- 산 파이오 데 안테알타레스 수도원
- 산 피스 데 솔로비오 교회
- 아니마스 예배당
; 기타 건축물
- 파소 데 라쇼이 - 18세기 건조의 신고전주의 양식 건축, 현재 시청과 주지사 관저로 사용.
- 오스타르 도스 레이스 카트리코스 (Hostal dos Reis Católicos) - 16세기 건조, 현재 호텔 파라도르로 사용.
- 콜레시오 데 폰세카 (Colexio de Fonseca) - 구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 학사, 현재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 종합 도서관으로 사용.
7. 2. 산티아고 순례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Camino de Santiago)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역사적인 기독교 순례길 중 하나이다.[22] 이 순례길은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지방에 있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으로 이어지는데, 이곳에는 성 야고보 사도의 유해가 묻혀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 순례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매년 전 세계에서 수천 명의 순례자를 끌어들이고 있다.중세 시대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는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기독교 여정 중 하나로 부상하여 영적 구원과 성취를 추구하는 수천 명의 순례자를 끌어들였다. 성 야고보 사도의 최후의 안식처로 여겨지는 순례길은 여러 국가와 아름다운 장소들을 거쳐 갔다.[19] 순례는 영적 성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문화 교류도 가능하게 했다. 순례길을 따라 있는 마을들은 방문객들의 유입으로 번영했고, 교회 건설[20]과 마을의 추가 개발로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다양한 경로를 따라 여행하는데, 가장 인기 있는 경로는 프랑스 길(Camino Francés)[23]이며, 수백 킬로미터를 도보, 자전거 또는 말을 타고 이동한다. 이 여정은 단순한 신체적 도전이 아니라 심오한 영적이고 내성적인 경험이며, 공동체 의식, 자기 성찰, 성취감을 제공한다. 순례길을 따라 순례자들은 다양한 풍경과 역사적인 마을을 지나고 신앙과 지원의 상징을 만난다.[24] 순례의 상징은 조개껍데기이며, 산토 도밍고 데 실로스의 조각상에서 볼 수 있듯이 예수는 조개껍데기가 수놓아진 가방을 멘 순례자로 묘사되어 있다.[21]

1000년 역사를 가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의 야고보 사도의 성지 순례는 영어로는 산티아고 순례길(Way of St. James), 스페인어로는 Camino de Santiagoes로 알려져 있다. 매년 20만 명이 넘는 순례자들이 유럽 전역과 세계 여러 곳에서 이 도시로 여행을 떠난다.
순례가 성행했던 중세, 신자들을 강하게 끌어들인 것은 성유물이라 불리는 예수나 성인과 관련된 유물이었다. 성유물에는 기적을 일으키는 힘이 있다고 믿어졌다. 순례자들은 지나온 긴 여정을 되돌아보며 성지로 인도해준 신에게 감사한다.
12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승에 따르면, ('''코덱스 칼릭스티누스(Codex Calixtinus)''')에 기록된 바와 같이, 성 야고보는 갈리시아에서 전도 활동 후 성지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 그곳에서 그는 참수당했지만, 그의 제자들은 그의 시신을 야파로 옮겼다. 거기서 그들은 기적적으로 그들과 사도의 시신을 갈리시아의 이리아 플라비아로 인도한 놀라운 돌배를 발견했다. 거기서 제자들은 현지 이교 여왕 '로바'(She-wolf, '암늑대')에게 시신을 매장할 허락을 요청했다. 그러나 짐승이 제자들을 공격하자 십자가를 보자마자 드래곤은 폭발했다. 그러자 제자들은 소를 모으러 갔는데, 그 소는 사실 여왕이 적을 처벌하는 데 사용하는 야생 황소였다. 그러나 다시 그리스도인들의 십자가를 보자 황소들은 진정되었고, 멍에를 멘 후 사도의 시신을 현재 콤포스텔라가 있는 곳으로 옮겼다.[26]
유물은 9세기에 펠라기우스라는 은둔자가 숲에서 이상한 빛을 관찰한 후 갈리시아 서부의 현지 주교인 테오데마르에게 도움을 청하면서 재발견되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테오데마르는 별에 이끌려 그 장소로 갔다고 한다.
8. 교육
갈리시아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는 1495년에 설립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USC)이다. 1990년에 아 코루냐 대학교와 비고 대학교가 설립될 때까지 갈리시아 지방 유일의 대학교였다. 현재 학생 수는 약 3만 명이다. 구시가지를 사이에 두고 남쪽과 북쪽에 2곳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루고에도 4개의 학부와 2개의 전문학교가 있다. 여러 연구 및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1]
9. 스포츠
- SD 콤포스텔라(SD Compostela) (축구) - 라리가(La Liga) 4시즌
- 오브라도이로 CAB(Obradoiro CAB) (농구) - 리가 ACB(Liga ACB) 11시즌
- 산티아고 풋살(Santiago Futsal) (풋살) - 프리메라 디비시온 데 풋살(Primera División de Futsal)/LNFS 15시즌
- 산티아고 블랙 레이븐스(Santiago Black Ravens) (아메리칸 풋볼) - 리가 나시오날 데 풋볼 아메리카노(Liga Nacional de Fútbol Americano)/LNFA 2시즌 및 리가 포르투게사 데 풋볼 아메리카노(Liga Portuguesa de Futebol Americano)/LPFA 2시즌
- 아르테알 테니스 데 메사(Arteal Tenis de Mesa) (탁구) - 수퍼디비시온 테니스 데 메사(SuperDivisión Tenis de Mesa)/SDTM 12시즌
- 에스쿠데리아 콤포스텔라(Escudería Compostela) (모터스포츠) - 랠리 보타푸메이로(Rally Botafumeiro) 주최
- 산티아고 럭비 클럽(Santiago Rugby Club) (럭비 유니온)
- 에스트렐라 베르멜랴 FG(Estrela Vermelha FG) (게일릭 풋볼)

- 안드레스 도밍게스 칸달(Andrés Domínguez Candal) (1918–1978), 별명 피에리타(Pierita), 축구 선수
- 카를로스 길 페레스(Carlos Gil Pérez) (1931–2009), 육상 코치
- 호세 루이스 벨로소(José Luis Veloso) (1937–2019), 축구 선수, 프로 경기 278회 출전
- 토마스 레뇨네스(Tomás Reñones) (1960년생), 토마스(Tomás)로 알려짐, 축구 선수, 프로 경기 약 500회 출전
- 몬초 페르난데스(Moncho Fernández) (1969년생), 농구 감독 및 코치
- 에밀리오 호세 비케이라(Emilio José Viqueira) (1974년생), 축구 선수, 프로 경기 454회 출전
- 마누엘 카스티녜이라스(Manuel Castiñeiras) (1979년생), 축구 선수, 프로 경기 300회 이상 출전
- 루벤 곤살레스 로차(Rubén González Rocha) (1982년생), 루벤(Rubén)으로 알려짐, 축구 수비수
- 보르하 골란(Borja Golan) (1983년생), 스페인을 대표하는 프로 스쿼시 선수
- 이반 카릴(Iván Carril) (1985년생), 축구 선수
- 베로니카 보케테(Verónica Boquete) (1987년생), 축구 선수
- 호세 안헬 안텔로(José Ángel Antelo) (1987년생), 농구 선수
- 알베르토 마누엘 도밍게스 리바스(Alberto Manuel Domínguez Rivas) (1988년생), 알베르토(Alberto)로 알려짐, 축구 골키퍼
- 보르하 이글레시아스(Borja Iglesias) (1993년생), 레알 베티스(Real Betis) 축구 선수
- SD 콤포스텔라(SD Compostela) - 프리메라 디비시온(리가 에스파뇰라) 소속. 1990년대에는 프리메라 디비시온(1부 리그)에 속해 있었다.
- SD 시우다드 데 산티아고(SD Ciudad de Santiago) - 2009-10 시즌에는 리가 에스파뇰라의 테르세라 디비시온(테르세라 디비시온)에 속해 있었지만, 경제적 문제로 2009년 11월 리그를 탈퇴하여 클럽은 해산했다.
참조
[1]
문서
Santiago de Compostela
[2]
서적
La ciudad de Santiago de Compostela en la Alta Edad Media
Consorcio de Santiago
2013
[3]
서적
Santiago de Compostela in the age of the great pilgrimage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78
[4]
웹사이트
THE WAY | Fundación Arousa. Foundation Arousa. Año Santo Compostelano. Año Jacobeo. Xacobeo 2021. The Route of the sea of Arousa and river Ulla
http://www.fundacion[...]
[5]
웹사이트
Santiago de Compostela Aeropuerto: Santiago de Compostela Aeropuerto - State Meteorological Agency - AEMET - Spanish Government
http://www.aemet.es/[...]
[6]
웹사이트
AEMET OpenData
https://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ia
2024-05-14
[7]
웹사이트
Extreme values. Santiago de Compostela Aeropuerto
http://www.aemet.es/[...]
[8]
웹사이트
Standard climate values. Santiago de Compostela Aeropuerto
http://www.aemet.es/[...]
[9]
웹사이트
Extreme values. Santiago de Compostela Aeropuerto
http://www.aemet.es/[...]
[10]
문서
Results compared with the combined results of United Left and Candidatura do Povo in 2011.
[11]
웹사이트
Changes in the municipalities in the population census since 1842
https://www.ine.es/i[...]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12]
웹사이트
Instituto Galego de Estatística – 2008 – Uso da lingua nos grandes concellos – Santiago de Compostela
https://www.ige.eu/w[...]
[13]
웹사이트
'Os datos secretos do galego': Así responderon as familias á consulta lingüística da Xunta
http://praza.gal/mov[...]
2016-12-15
[14]
서적
Atlas of Medieval History Colin Mc Evedy (Penguin Books) [1961]
https://archive.org/[...]
[15]
서적
Almanach de Gotha
https://archive.org/[...]
Justus Perthes
1828
[16]
서적
García II de Galicia, el rey y el reino (1065–1090)
La Olmeda
[17]
서적
Os viquingos en Galicia
USC
[18]
웹사이트
Camino de Santiago Statistics End 2016 Pilgrim Numbers Walking Camino
https://www.caminoad[...]
2017-11-21
[19]
서적
The pilgrim's guide to Santiago de Compostela: first English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commentaries, and notes
Italica Press
1993
[20]
학술지
The Medieval Pilgrimage Business
http://www.jstor.org[...]
2011
[21]
학술지
Pilgrimage to Santiago De Compostela
http://www.jstor.org[...]
2010
[22]
서적
Pilgrimage to the end of the world: the road to Santiago de Compostel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23]
웹사이트
French Way
https://en.wikipedia[...]
2024-11-06
[24]
학술지
The spiritual and the profane: the pilgrimage to Santiago de Compostela
http://www.jstor.org[...]
1997
[25]
웹사이트
Apostolic Journey to Santiago de Compostela and Barcelona: Welcoming ceremony at the International Airport of Santiago de Compostela (November 6, 2010) – BENEDICT XVI
https://www.vatican.[...]
[26]
서적
Aventureiros e curiosos : relatos de viaxeiros estranxeiros por Galicia, séculos XV – XX
Ed. Galaxia
[27]
서적
Aventureiros e curiosos : relatos de viaxeiros estranxeiros por Galicia, séculos XV – XX
Ed. Galaxia
[28]
웹사이트
Porto to Santiago de Compostela by train
https://www.travelin[...]
[29]
뉴스
Spain train crash: Driver formally detained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7-26
[30]
서적
Actas do Congreso Internacional de Estudios sobre Rosalía de Castro e o Seu Tempo
https://books.google[...]
Univ Santiago de Compostela
1985-07-20
[31]
뉴스
Miriam, Luis y Roi, así son los concursantes gallegos de "Operación Triunfo 2017"
https://www.lavozdeg[...]
2018-12-08
[32]
웹사이트
Todos los Santiagos se hermanan
https://www.elcorreo[...]
El Correo Gallego
2023-11-15
[33]
웹사이트
Documento Unico di Programmazione 2016-2021 – DUP
http://www.comune.as[...]
Assisi
2023-11-13
[34]
웹사이트
Concello de Santiago: Proyecto de red de ciudades hermanadas Santiago-Une
https://www.culturay[...]
culturaydeporte.gob.es
2023-11-14
[35]
웹사이트
Inícianse os trámites para o irmandamento de Compostela coa cidade portuguesa de Braga
http://www.santiagod[...]
Council of Santiago de Compostela
2023-11-14
[36]
웹사이트
Convenios Internacionales
https://buenosaires.[...]
City of Buenos Aires
2023-11-14
[37]
웹사이트
Se cumplen 50 años desde que Cáceres y Santiago de Compostela son hermanas
https://www.hoy.es/c[...]
Hoy
2023-10-15
[38]
웹사이트
Os irmandamentos en Galicia: Globalización, redes e goberno local
https://www.igadi.ga[...]
IGADI
2023-11-15
[39]
웹사이트
Cidades Geminadas e Acordos de Cooperação
https://www.cm-coimb[...]
Coimbra
2023-11-13
[40]
웹사이트
Las 12 hermanas de Córdoba
https://www.diarioco[...]
Diario Córdoba
2020-02-10
[41]
웹사이트
Town Twinning
https://en.mashhad.i[...]
Mashhad
2020-06-18
[42]
웹사이트
Tres calles de San Marcos recibirán el nombre de ciudades hermanadas con Compostela
https://www.lavozdeg[...]
La Voz de Galicia
2008-12-16
[43]
웹사이트
Oviedo se hermanará con la ciudad portuguesa de Sintra en San Mateo
https://www.elcomerc[...]
El Comercio
2018-05-20
[44]
웹사이트
Gemellaggi
https://www.comune.p[...]
Pisa
2023-11-13
[45]
웹사이트
Qom
https://www.toiran.c[...]
Toiran.com
2023-11-13
[46]
웹사이트
QuFu (China) y Santiago de Compostela preparan un acuerdo de hermanamiento
https://www.europapr[...]
Europa Press
2006-06-22
[47]
웹사이트
Compostela se hermana con la ciudad francesa de Rennes, adonde lleva la muestra "Santiago Une"
https://www.lavozdeg[...]
La Voz de Galicia
2010-06-19
[48]
웹사이트
Santiago de Compostela y de Querétaro, hermanadas
https://www.lavozdeg[...]
La Voz de Galicia
2017-03-11
[49]
웹사이트
Cidades-Irmãs de São Paulo
https://www.prefeitu[...]
São Paulo
2022-11-26
[50]
웹사이트
IGE(ガリシア統計局)
http://www.ige.eu/we[...]
ガリシア自治州政府
2015-06-13
[51]
웹사이트
Alcaldía
http://www.santiagod[...]
Concello de Santiago
2015-06-13
[52]
서적
比較都市史の旅 時間・空間・生活
原書房
1993
[53]
서적
Dicionario Xeográfico Ilustrado de Galicia vol.24
Xeogal Publicacións
2009
[54]
웹사이트
Santiago de Compostela, partido judicial nº2 de Coruña (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0-17
[55]
웹사이트
Grupos municipais
http://www.santiagod[...]
Concello de Santiago
2015-07-13
[56]
웹사이트
Conde Roa entrega el bastón de mando a Ángel Currás
http://www.lavozdega[...]
La Voz de Galicia
2012-04-18
[57]
웹사이트
スペイン内務省 地方選挙結果(過去)
http://www.infoelect[...]
スペイン政府 内務省
2011-10-17
[58]
문서
Democracia Galega
[59]
문서
Independientes de Santiago de Compostela
[60]
문서
Esquerda Unida - Izquierda Unida
[61]
문서
Esquerda de Galicia - Os Verdes
[62]
문서
Partido Humanista
[63]
문서
Centro Democrático Independiente
[64]
문서
Otra Democracia Es Posible
[65]
문서
Centro Democrático y Social
[66]
문서
Solidaridad y Autogestión Internacionalista
[67]
웹사이트
スペイン内務省 2011年地方選挙結果
http://elecciones.mi[...]
スペイン政府 内務省
2011-10-17
[68]
문서
Unión Progreso y Democracia
[69]
문서
Converxencia XXI
[70]
웹사이트
DOG Núm. 1
http://www.xunta.es/[...]
Xunta de Galicia
1979-01-01
[71]
Youtube
GPD conmemora el aniversario de la Catedral de Santiago con
http://www.youtube.c[...]
[72]
웹사이트
Os actos festivos do Apóstolo quedan suspendidos
http://www.lavozdega[...]
La Voz de Galicia
2013-07-25
[73]
서적
Historia de la lengua gallega
LINCOM GmbH
2008
[74]
문서
15-M 운동
[75]
뉴스
Una gran paella para 400 personas da nuevas fuerzas a los concentrados en el Obradoiro
http://blogs.lavozde[...]
La Voz de Galicia
2011-05-22
[76]
뉴스
Reflexion lúdica pensando nunha acción mundial
http://www.galiciaho[...]
Galicia Hoxe
2011-05-22
[77]
웹인용
Guía resumida del clima en España (1981-2010)
http://www.aemet.es/[...]
2017-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