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르타도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베르타도레스는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남아메리카와 필리핀의 주요 인물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들은 크리오요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상, 군사 훈련 경험 등을 바탕으로 독립 운동을 이끌었다. 주요 리베르타도레스에는 시몬 볼리바르, 호세 데 산 마르틴,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베르나르도 오히긴스, 미겔 이달고 등이 있으며, 각자 아르헨티나, 칠레, 멕시코, 필리핀 등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했다. 이들의 유산은 국기 디자인, 국가 명칭,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같은 스포츠 대회 등에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차별이라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의 역사 - 잉카 제국
15세기부터 16세기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에 존재했던 잉카 제국(타완틴수유)은 쿠스코를 중심으로 네 지역으로 나뉘어 급속히 확장되었으나, 스페인 침략과 내전으로 몰락 후에도 남아메리카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남아메리카의 역사 - 카우디요
카우디요는 스페인어로 '지도자'를 뜻하며, 19세기 초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후 혼란기에 나타나 폭력을 통해 질서를 확립하고 추종자들의 충성을 기반으로 권력을 유지한 강력한 군사적·정치적 지도자를 지칭하며, 공화국 대통령과 같은 칭호로 통치를 정당화하려 했던 인물들을 대표적으로 아르헨티나의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멕시코의 안토니오 로페스 데 산타 안나,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프랑코 등이 있다. - 남아메리카 독립 전쟁 관련자 - 호세 데 산마르틴
호세 데 산마르틴은 남아메리카 독립을 이끈 아르헨티나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스페인 군 복무 후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칠레와 페루의 독립을 쟁취했으며, 과야킬 회담 이후 은퇴하여 프랑스에서 사망했지만 남미에서 그의 공헌을 기리고 있다. - 남아메리카 독립 전쟁 관련자 - 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남아메리카 독립 운동가, 군인, 정치가로서, '해방자'라는 칭호로 불리며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하고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기반한 통합을 추구했으나 그란 콜롬비아 해체로 이상이 좌절된,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 혁명가 - 넬슨 만델라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운동을 이끌고 27년간 수감 생활을 했으며, 석방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첫 흑인 대통령이 되어 국민 화합과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 혁명가 - 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남아메리카 독립 운동가, 군인, 정치가로서, '해방자'라는 칭호로 불리며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하고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기반한 통합을 추구했으나 그란 콜롬비아 해체로 이상이 좌절된,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리베르타도레스 | |
---|---|
개요 | |
![]() |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시몬 볼리바르 호세 데 산 마르틴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베르나르도 오히긴스 미겔 이달고 호세 마리아 모렐로스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호세 헤르바시오 아르티가스 마누엘 벨그라노 후안 호세 카스테야 마리아노 모레노 호아킨 올메도 호세 미겔 카레라 마누엘 로드리게스 에라스리스 길레르모 브라운 에르메네힐도 갈레아나 마리아노 마타모로스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미나 비센테 게레로 마르틴 미겔 데 궤메스 에바리스토 칼세도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마누엘 피아르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 마리아노 아스코수비 마누엘 이시도로 벨수 유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 호세 마리아 코르도바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멜렌데스 마누엘 무리스 주앙 비아나 호세 마누엘 아르세 이그나시오 알렌데 카를로스 마리아 데 알베아르 마테오 푸마카우아 레오폴도 루이스 토마스 알렉산데르 코크란 후아나 아주르두이 데 파디야 |
관련 전쟁 | |
관련 전쟁 | 에스파냐-아메리카 독립 전쟁 |
2. 리베르타도레스의 배경
리베르타도레스는 크리오요라고 불리는 현지 태생의 부르주아 자제들이 많았으며, 이들은 군대 지휘 훈련 경험이 있었다. 또한 유럽식 가정 교육을 통해 높은 수준의 교양을 갖춘 지식인으로,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 혁명,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아이티 혁명, 7월 혁명 등 역사적 사건을 가져온 자유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다. 신문 등 근대 문자 매체를 통해 국내외 여론 형성에도 참여했다.
2. 1. 크리오요 부르주아
리베르타도레스의 많은 이들은 크리오요라고 불리는 현지 태생의 부르주아 자제들로, 군대 지휘에 관한 훈련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들 중 다수는 문자 해독 능력에 머무르지 않고 유럽식 가정 교육을 통해 높은 수준의 교양을 갖춘 지식인이었으며, 18세기 말의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 혁명, 그리고 이어진 19세기의 나폴레옹 전쟁, 아이티 혁명, 7월 혁명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가져온 자유주의로부터 사상적인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신문 등 근대적인 문자 매체를 통해 내외의 여론 형성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적 소양을 갖추고 있었다.2. 2. 자유주의 사상의 영향
리베르타도레스는 대부분 크리오요라 불리는 현지 태생 부르주아 자제로, 군 지휘 훈련 경험이 있었다. 이들은 문자 해독 능력을 넘어 유럽식 가정 교육을 통해 높은 수준의 교양을 갖춘 지식인이었다.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 혁명,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아이티 혁명, 7월 혁명 등 역사적 사건을 가져온 자유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신문 등 근대 문자 매체를 통해 국내외 여론 형성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2. 3. 군사 훈련 경험
리베르타도레스는 대부분 크리오요라고 불리는 현지 태생 부르주아 자제로, 군대 지휘 훈련 경험이 있었다.[1] 이들은 문자 해독 능력뿐만 아니라 유럽식 가정 교육을 통해 높은 수준의 교양을 갖춘 지식인이었다.[1] 또한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 혁명, 19세기의 나폴레옹 전쟁, 아이티 혁명, 7월 혁명 등 역사적 사건을 이끈 자유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신문 등 근대 문자 매체를 통해 여론 형성에 참여할 능력도 갖추고 있었다.[1]3. 주요 리베르타도레스
(출생–사망)

(1791–1871)

(1801–1864)

(1778–1850)

(1783–1830)

(1783–1824)

(1770–1820)

(1778–1842)

(1753–1811)

(1765–1815)

(1797–1867)

(1792–1865)

(1764–1850)

(1775–1860)

(1750–1816)

(1778–1811)

(1795–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