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프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코프차는 러시아어로 당근을 뜻하는 "마르코프"와 한국어로 "채"를 뜻하는 "차"가 결합된 단어로, 한국식 당근 샐러드를 의미한다. 19세기 후반 연해주로 이주한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후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를 구하기 어려워 당근으로 김치를 만들어 먹으면서 유래되었다. 현재는 구소련 국가에서 널리 소비되며, 한국에는 러시아계 한국인의 귀환 이주와 이민이 증가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주요 재료는 당근, 마늘, 양파, 고춧가루, 고수 씨앗, 식초, 식물성 기름, 소금, 후추 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식 한국 요리 - 쿡시
분짜는 베트남의 대표 음식으로, 쌀국수, 돼지고기, 채소 등을 느억맘 소스에 적셔 먹는 음식이다. - 러시아식 한국 요리 - 푼초자
푼초자는 고려인들이 '푼초자 포코레이스키'라고도 부르는 러시아식 당면 요리로, 실온 또는 차갑게 먹으며 다양한 채소, 양념, 고기를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 당근 요리 - 당근 케이크
당근 케이크는 당근을 주재료로 하여 밀가루, 설탕, 향신료 등을 섞어 구운 케이크로, 크림 치즈 프로스팅 등을 곁들여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 당근 요리 - 카불리 팔라우
카불리 팔라우는 아프가니스탄 요리의 쌀 요리이며, 축제나 중요한 날에 주로 먹고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주요리 또는 연회의 일부로 제공된다. - 김치 - 세계김치연구소
세계김치연구소는 김치산업진흥법에 따라 김치 종주국의 위상 회복을 목표로 설립된 광주광역시 소재 연구기관으로, 김치 관련 다양한 연구와 김치 산업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으로 운영된다. - 김치 - 배추김치
배추김치는 배추에 고춧가루와 젓갈 등 여러 양념을 넣어 만드는 한국의 대표 김치로,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고추 상용화 이후 현재 모습으로 발전했으며 김장 문화와 함께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다양한 종류가 있다.
마르코프차 | |
---|---|
개요 | |
![]() | |
명칭 | |
한국어 | 마르코프차 |
러시아어 | 마르코프차 (markov-cha) 모르코피 포코레이스키 (morkov' po-koreyski) |
우즈베크어 | 코레이스차 사브질리 살라트 (koreyscha sabzili salat) 코레이스 우슬리비다 타요르란간 사브지 (Koreys uslubida tayyorlangan sabzi) |
다른 표기 | 고려말: 마르코프차 (mareukopeucha) 러시아어 (키릴 문자): марков-ча (markov-cha) |
특징 | |
종류 | 샐러드 |
주재료 | 당근 고추 |
기원 | 고려인 |
유래 | 중앙아시아 |
2. 명칭
마르코프차(марков-ча|마르코프차ru)는 러시아어로 "당근"을 뜻하는 "모르코프(морковru)"에 반찬을 뜻하는 한국어 "채(菜)"를 붙인 말이다. 러시아어권에서는 흔히 '''한국식 당근'''(морковь по-корейски|모르코피 포코레이스키ru) 또는 '''한국식 당근 샐러드'''(Koreyscha sabzili salat|코레이스차 사브질리 살라트uz)로 불린다.
고려인들은 배추를 구하기 어려워 김치 대신 마르코프차를 만들었다. 이 음식은 구소련 국가 대부분의 카페테리아와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며, 저녁 식탁과 명절 잔치에 자주 등장하는 등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1][2] 러시아계 한국인의 귀환 이주와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이민이 흔해지기 전까지는 한국에 알려지지 않았다.[9][10]
3. 역사
3. 1. 고려인의 이주와 정착
19세기 후반, 평안도와 함경도 출신의 조선인들이 마을 단위로 연해주로 이주했다. 러시아 제국은 청나라와 관계없는 고려인들의 이주를 긍정적으로 여겼는데, 유럽에서 연해주로 이주하는 사람이 적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 제국과의 대립이 심해지면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고려인과 일본을 분리해야 한다고 판단, 연해주의 18만 고려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했다.
화물차에 실려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은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지역에 흩어졌고, 혹독한 첫 겨울을 보내며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고려인들은 끈질기게 농사에 성공하여 정착했다. 그러나 김치를 담글 재료가 부족했다. 고려인들은 대부분 평안도와 함경도 출신으로, 주로 무로 김치를 담갔다. 고려인들은 중앙아시아에서도 재배 가능하며 무와 가장 비슷한 뿌리채소인 당근으로 김치를 만들기 시작했고, 이것이 마르코프차의 기원이 되었다.
고려인(구 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한국계 민족)은 전통적인 김치의 주요 재료인 배추를 구하기 어려워 마르코프차를 만들었다.[1] 1937년 강제 이주 이후 많은 고려인이 거주해 온 중앙아시아에서는 이 샐러드를 러시아어 ''morkov''("당근")과 고려말 ''cha''(''채'')를 결합하여 ''morkovcha''라고 부른다.[1][2] 마르코프차는 최근까지 대한민국에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러시아계 한국인의 귀환 이주와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이민이 흔해지면서 알려지게 되었다.[1]
3. 2.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
19세기 후반 연해주에는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마을 단위로 이주해 온 조선인들이 많았다. 러시아 제국은 청나라와 상관없는 고려인들이 연해주로 이주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유럽에서 연해주로 이주하는 사람이 적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 제국과의 대립이 심해지면서, 이오시프 스탈린은 고려인과 일본을 분리할 필요를 느꼈다. 이에 연해주의 18만 고려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했다.
화물차에 태워져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은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에 흩어졌고, 중앙아시아의 첫 겨울 동안 많은 고려인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고려인들은 끈질기게 농사에 성공하여 정착에 성공했다. 하지만 김치를 담글 재료가 부족했다. 고려인들은 대부분 평안도와 함경도 출신이었는데, 이 지역에서는 주로 무로 김치를 담갔다. 고려인들은 중앙아시아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무와 비슷한 뿌리채소인 당근으로 김치를 만들기 시작했고, 이것이 마르코프차의 기원이 되었다.[1][2]
3. 3. 중앙아시아에서의 정착과 마르코프차의 탄생
19세기 후반 평안도와 함경도 출신 조선인들이 연해주로 이주해왔다. 러시아 제국은 이들의 이주를 긍정적으로 보았으나, 일본 제국과의 갈등이 심화되자 이오시프 스탈린은 고려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화물차에 실려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은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각지에 흩어졌고, 혹독한 환경 속에서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살아남은 고려인들은 끈질기게 농사에 성공하며 정착했다. 그러나 김치를 담글 재료가 부족했다. 무로 김치를 담그던 평안도와 함경도 출신 고려인들은 무와 비슷한 당근으로 김치를 만들기 시작했고, 이것이 마르코프차의 기원이 되었다.
고려인(구 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한국계 민족)은 전통적인 김치의 주요 재료인 배추를 구하기 어려워 이 음식을 만들었다.[1][2] 1937년 강제 이주 이후 중앙아시아에 거주해 온 많은 고려인들은 이 샐러드를 러시아어 ''morkov''("당근")과 고려말 ''cha''(''반찬''을 의미하는 한국어 ''채''에서 유래)를 결합하여 ''morkovcha''라고 불렀다. 마르코프차는 러시아계 한국인의 귀환 이주와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이민이 흔해지면서 한국에도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 샐러드는 국제적인 인기를 얻어 구소련 국가의 대부분의 카페테리아에서 제공되고, 많은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며, 전 구소련 민족이 차리는 저녁 식탁과 명절 잔치에서 애피타이저 (''자쿠스카'')와 반찬으로 자주 등장한다.[9][10]
3. 4. 한국으로의 역이주와 마르코프차의 전파
고려인 (구 소련령)에 거주하는 조선인은 전통적인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를 구하기 어려워 마르코프차를 만들어 먹었다. 1930년대 후반 소련 정책의 영향으로 중앙아시아에는 많은 고려인이 거주하고 있는데, 마르코프차는 러시아어로 당근을 의미하는 "마르코프"(морковь|morkovru)와 고려어로 샐러드 형식의 반찬을 의미하는 "차"(채|chae / ch'ae한국어)에서 유래했다. 마르코프차는 고려인의 한국으로 이주 (일계 남미인 등이 여러 세대를 거쳐서 일본으로 건너와 그대로 정착하는 것과 유사하게) 또는 중앙아시아계 이민이 일반화되기 전까지 한국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구 소련령 내 대부분의 카페테리아에서 제공되거나, 많은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며, 전채(자쿠스카)나 저녁 식사의 부찬, 휴일의 별미로 먹는 등 구 소련 구성 국가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9][10]
4. 재료
전형적인 재료는 잘게 채 썬 당근, 마늘, 양파,[4] 고춧가루, 빻은 고수 씨앗, 식초, 식물성 기름 (또는 올리브 오일), 소금, 후추이다. 참깨를 사용하기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Carrots (Koreyscha Sabzili Salat)
http://zenkimchi.com[...]
2012-03-31
[2]
서적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Volume 3: Obesity to Zoroastrianism
Scribner
[3]
뉴스
The Silk Road Leads to Queens
https://www.nytimes.[...]
2006-01-18
[4]
웹사이트
Korean carrot salad, recipe
https://falktime.com[...]
2020-02-20
[5]
웹사이트
Korean Carrots (Koreyscha Sabzili Salat)
http://zenkimchi.com[...]
2012-03-31
[6]
서적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Volume 3: Obesity to Zoroastrianism
Scribner
[7]
뉴스
The Silk Road Leads to Queens
https://www.nytimes.[...]
2006-01-18
[8]
문서
ただし、白菜はキムチの材料としては比較的新しい部類である([[キムチ]]の項を参照)。
[9]
웹사이트
Korean Carrots (Koreyscha Sabzili Salat)
http://zenkimchi.com[...]
2012-03-31
[10]
서적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Volume 3: Obesity to Zoroastrianism
Scribner
[11]
웹사이트
Korean carrot salad, recipe
https://falktime.com[...]
[12]
웹사이트
Korean Carrots (Koreyscha Sabzili Salat)
http://zenkimchi.com[...]
201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