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미프라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미프라민은 주로 우울증, 특정 불안 장애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이다. 야뇨증 치료에도 사용되며, 수의학에서는 자일라진과 함께 사용하여 약리학적 사정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 약물은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세로토닌 수송체에 대한 강력한 재흡수 억제 효과를 보인다. 이미프라민은 알코올과 병용 시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신 중에는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부작용으로는 중추 신경계, 심혈관, 위장 관계 등에 걸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도 주의해야 한다. 1950년대에 항우울 효과가 우연히 발견되어 1958년 유럽, 1959년 미국에서 치료제로 도입되었으며, "토프라닐"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벤즈아제핀 - 카르바마제핀
    카르바마제핀은 1953년에 발견된 항경련제 및 기분 안정제로, 신경 흥분을 억제하여 발작 장애, 신경병성 통증, 양극성 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졸음, 어지럼증 등의 부작용과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을 보이고 폐수 처리 시설에서 검출되기도 한다.
  • 다이벤즈아제핀 - 클로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은 강박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로 작용하며 부작용과 과다 복용 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삼환계 항우울제 - 클로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은 강박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로 작용하며 부작용과 과다 복용 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삼환계 항우울제 - 독세핀
    독세핀은 삼환계 항우울제로서 경구 복용 시 우울증, 불안 장애, 불면증 치료에, 크림 형태로 도포 시 가려움증 완화에 사용되며, 특히 H1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H1 수용체 길항제이다.
  • 세로토닌 수용체 대항제 - 클로자핀
    클로자핀은 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 치료, 자살 위험 감소, 추체외로계 장애에 효과적인 비정형 항정신병제이나, 심각한 부작용 위험으로 혈액 검사를 통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제2세대 항정신병약의 효시로 재도입되었으나 인종 간 대사 차이 및 저사용 현상 등의 문제점이 있다.
  • 세로토닌 수용체 대항제 - 미르타자핀
    미르타자핀은 사환계 항우울제로, 주요 우울 장애 치료에 사용되며, 히스타민 및 특정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작용을 통해 진정 효과를 나타내고, 항불안제, 수면제, 구토약, 식욕유발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수의학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이미프라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미프라민 분자 구조
이미프라민 분자 구조
이미프라민 3D 모델
이미프라민 3D 모델
상품명토프라닐
토프라닐-PM
기타
약물닷컴이미프라민 염산염
메들라인플러스a682389
데일리메드ID이미프라민
ATC 코드N06AA02
CAS 등록번호50-49-7
켐스파이더ID3568
약물은행DB00458
유니OGG85SX4E4
KEGGD08070
ChEBI47499
ChEMBL11
IUPAC 명칭3-(10,11-dihydro-5H-dibenzo[b,f]azepin-5-yl)-N,N-dimethylpropan-1-amine
기타 이름멜리프라민
G-22355
약리학
투여 경로경구
근육 주사
생체 이용률94–96%
단백질 결합86%
대사간 (CYP1A2, CYP2C19, CYP2D6)
주요 대사 산물데시프라민
반감기20시간
배설신장(80%)
분변(20%)
법적 규제
임신 범주 (호주)C
법적 지위 (호주)S4
법적 지위 (브라질)C1
법적 지위 (캐나다)Rx-only (처방전 필요)
법적 지위 (영국)POM (처방전 전용 의약품)
법적 지위 (미국)Rx-only (처방전 필요)
화학 정보
분자량280.407 g/mol
분자식C19H24N2
치료적 사용
적응증우울증
야뇨증
공황 장애

2. 적응증

이미프라민은 주로 우울증 및 급성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을 포함한 특정 불안 장애 치료에 사용된다.[7][8][9] 소아 및 청소년의 급성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효능 연구는 화상으로 인한 외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대한 효능 증거는 덜 강력하지만,[10] 여전히 유효한 치료법이다.[11] 이미프라민은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인 페넬진과 상당히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어린이 및 청소년(예: 야뇨증, 재발성 공황 발작, 급성 외상 또는 데시프라민의 경우[12][13] ADHD)에게 이미프라민(및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대사산물인 데시프라민)을 처방할 때는 특정 연령 미만의 사람들에게 특히 우려될 수 있는 특정 부작용의 가능성으로 인해 주의가 필요하다.[14][15]

우울증 치료에서 MAOI 모클로베미드와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16] 또한 배뇨가 일어나는 델타파 단계 수면 시간을 단축시키는 능력 때문에 야뇨증 치료에도 사용된다. 수의학에서 이미프라민은 자일라진과 함께 사용하여 종마에서 약리학적 사정을 유도한다. 개와 고양이의 분리 불안에도 사용된다. 이미프라민과 그 대사산물 데시프라민의 혈중 농도가 150~250ng/mL 사이이면 일반적으로 항우울 효과가 나타난다.[17]

2. 1. 대한민국 내 적응증

이미프라민은 주로 우울증 및 급성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을 포함한 특정 불안 장애 치료에 사용된다.[7][8][9] 화상으로 인한 외상에 초점을 맞춘 소아 및 청소년의 급성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효능 연구도 상당수 존재한다.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에 대한 효능 증거는 덜 강력하지만,[10] 여전히 유효한 치료법으로 간주된다.[11] 이미프라민은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인 페넬진과 상당히 유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내에서 이미프라민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우울증, 우울상태
  • 주야간의 유뇨증

3. 금기

알코올 섭취와 함께 이미프라민을 복용하면 더 많은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주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18] 임신 중에는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1]

MAOI는 이미프라민과 심각한 상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약물 사용 중이거나 중단 후 2주 이내에는 이미프라민 투여가 금기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 범주에는 아이소카복사지드, 리네졸리드, 메틸렌 블루, 페넬진, 셀레길린, 모클로베미드, 프로카바진, 라사길린, 사피나미드, 트라닐시프로민과 같은 약물이 포함된다.[18][19]

다음은 이미프라민 투여가 금기시되는 경우이다.


  • 녹내장 환자
  • 이 약의 성분 또는 삼환계 항우울제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 심근경색 회복 초기 환자
  • 요폐(전립선 질환 등)가 있는 환자
  • 모노아민 산화 효소(MAO) 억제제를 투여 중이거나 투여 중지 후 2주 이내의 환자
  • 치오리다진을 투여 중인 환자
  • QT 연장 증후군이 있는 환자

4. 부작용

이미프라민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아세틸콜린, 에피네프린, 히스타민 등 여러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20] 과도한 구토 반사 감소, 무작위적 또는 신체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실금 감소 등 일부 부작용은 어떤 경우에는 유익할 수 있다.


  • 중추 신경계: ''어지럼증'', ''졸음'', 혼란, 발작, 두통, 불안, 떨림, 자극, 쇠약, 불면증, 악몽, 노인 환자의 추체외로 증상, 정신과적 증상 악화, 이상감각
  • 심혈관: ''기립성 저혈압'', ''심전도 변화'', ''빈맥'', 고혈압, 심계항진, 부정맥
  • 눈, 귀, 코 및 인후: 시야 흐림, 이명, 산동
  • 위장 관계: ''구강 건조'', 구역질, 구토, 마비성 장폐색, 식욕 증가, 경련, 상복부 불쾌감, 황달, 간염, 구내염, 변비, 미각 변화
  • 비뇨 생식기: ''요저류''
  • 혈액: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 호산구 증가증, 백혈구 감소증
  • 피부: 발진, 두드러기, 발한, 가려움증, 광과민성
  • 항콜린 작용: 구갈, 권태감, 탈력감, 집중력 저하, 졸음, 두통, 현기증, 기립성 어지럼증, 변비, 빈맥

5. 약물 상호작용

다른 삼환계 항우울제와 마찬가지로 이미프라민은 많은 약물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다. 많은 MAOI는 이 약물과 심각한 상호작용을 일으킨다.[18] 이미프라민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른 범주의 약물에는 혈액 희석제, 항히스타민제, 근이완제, 수면제, 갑상선 약물, 안정제가 포함된다. 고혈압, 정신 질환, 메스꺼움, 파킨슨병, 천식, 감기, 또는 알레르기와 같은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는 일부 약물도 포함된다.[18]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세인트 존스 워트, 엑스터시(MDMA)와 같은 약물을 포함하여 특정 약물은 세로토닌 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바르비투르산염, 일부 항부정맥제, 일부 항경련제, 특정 HIV 약물(프로테아제 억제제)을 포함한 다른 처방약은 신체가 이미프라민을 제거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다른 약물은 QT 연장과 같은 심장 리듬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18]

알코올과 담배는 이미프라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담배는 약물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18]

6. 약리학

이미프라민은 체내에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이다. 약력학과 약동학적 특성을 통해 이미프라민의 작용 기전과 체내 동태를 이해할 수 있다.

이미프라민 및 대사체의 결합 프로파일은 아래 표와 같다.[21][22]

이미프라민(및 대사체)의 결합 프로파일
부위이미프라민데시프라민참고
SERT1.3–1.417.6–163사람[23][24]
NET20–370.63–3.5사람[23][24]
DAT8,5003,190사람[23]
5-HT1A≥5,800≥6,400사람[36][28][25]
5-HT2A80–150115–350사람[36][25]
5-HT2C120244–748사람/쥐[26][27][28]
5-HT3970–3,651≥2,500설치류[28][29]
5-HT6190–209[30]
5-HT7>1,000>1,000[31]
α13223–130사람[36][37][24]
α23,100≥1,379사람[36][37][24]
β>10,000≥1,700[32][33][34]
D1>10,0005,460사람[28][35]
D2620–7263,400사람[35][28][37]
D3387사람[28]
H17.6–3760–110사람[36][37][38]
H25501,550사람[38]
H3>100,000>100,000사람[38]
H424,0009,550사람[38]
mACh4666–198사람[36][37]
  M142110사람[39]
  M288540사람[39]
  M360210사람[39]
  M4112160사람[39]
  M583143사람[39]
α3β4410–970사람[40]
σ1332–5201,990–4,000설치류[41][42][43]
σ2327–2,100≥1,611[21][42][43]
human Ether-à-go-go-Related Gene|휴먼 Ether-à-go-go 관련 유전자영어3,400사람[44]
값은 Ki (nM)이며, 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부위에 더 강하게 결합한다.



이미프라민의 약동학은 경구 생체이용률이 22%에서 77%로 다양하며, 이는 개인별 약물 반응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경구 투여 시 빠르게 흡수되지만, 초회 통과 대사(first-pass metabolism)의 영향을 받는다. 음식은 이미프라민의 흡수 및 약물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56]

이미프라민은 체내에서 데시프라민(데스메틸이미프라민)으로 전환되며, 이는 활성 대사체이다.[56] 주로 CYP2D6에 의해 수산화되어 비활성체가 되지만, CYP1A2CYP2C19에 의해 탈메틸화되어 데시프라민이 생성되기도 한다. CYP2D6 효소 결핍 환자는 이미프라민의 작용이 증강될 수 있다.

6. 1. 약력학

이미프라민은 우울증, 불안,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야뇨증 등 여러 정신적, 신체적 상태의 병인에 관련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45] 일부 근육 이완제와 구조가 유사하며 상당한 진통 효과가 있어 일부 통증 질환에 매우 유용하다.

이미프라민의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

  • 세로토닌: 매우 강력한 재흡수 억제. 이미프라민은 3차 아민 TCA로, 세로토닌 재흡수를 강력하게 억제한다. 이는 노르트립틸린 및 데시프라민과 같은 2차 아민 TCA보다 더 강력하다.[45]
  • 노르에피네프린: 강력한 재흡수 억제. 데시프라민은 이미프라민보다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에 더 높은 친화력을 가진다.
  • 도파민: 이미프라민은 D2 수용체를 차단한다.[46] 이미프라민 및 그 대사체인 데시프라민은 도파민 수송체에 대한 친화성이 낮다(''K''i = 각각 8,500 및 >10,000 nM).[47]
  • 아세틸콜린: 이미프라민은 항콜린제이며, 특히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길항제이다. 이로 인한 부작용(흐린 시야, 구강 건조, 변비 등)은 아미트립틸린 및 프로트립틸린보다 덜 흔하다. 그러나 노인이나 정신병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처방해야 하는데, 뇌 활동 강화와 항콜린제의 "치매" 효과가 결합되어 환각, 혼란, 섬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요저류를 포함한 "항콜린성" 부작용은 베타네콜 등의 아세틸콜린 효능제로 치료/역전될 수 있다.[48][49][50] 베타네콜은 삼환계 항우울제 치료와 관련된 성기능 장애 증상을 완화할 수도 있다.[51][52][53]
  • 에피네프린: 이미프라민은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길항하여 때때로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한다.
  • 시그마 수용체: 시그마 수용체에 대한 활성이 존재하지만 매우 약하다(Ki = 520 nM).
  • 히스타민: 이미프라민은 H1 수용체의 길항제이다.
  • BDNF: 만성적인 이미프라민 투여는 해마 BDNF 프로모터에서 히스톤 아세틸화를 증가시키고, 해마 HDAC5 발현을 감소시킨다.[54][55]


이미프라민(및 대사체)의 결합 프로파일[21][22]
부위이미프라민데시프라민참고
SERT1.3–1.417.6–163사람[23][24]
NET20–370.63–3.5사람[23][24]
DAT8,5003,190사람[23]
5-HT1A≥5,800≥6,400사람[36][28][25]
5-HT2A80–150115–350사람[36][25]
5-HT2C120244–748사람/쥐[26][27][28]
5-HT3970–3,651≥2,500설치류[28][29]
5-HT6190–209[30]
5-HT7>1,000>1,000[31]
α13223–130사람[36][37][24]
α23,100≥1,379사람[36][37][24]
β>10,000≥1,700[32][33][34]
D1>10,0005,460사람[28][35]
D2620–7263,400사람[35][28][37]
D3387사람[28]
H17.6–3760–110사람[36][37][38]
H25501,550사람[38]
H3>100,000>100,000사람[38]
H424,0009,550사람[38]
mACh4666–198사람[36][37]
  M142110사람[39]
  M288540사람[39]
  M360210사람[39]
  M4112160사람[39]
  M583143사람[39]
α3β4410–970사람[40]
σ1332–5201,990–4,000설치류[41][42][43]
σ2327–2,100≥1,611[21][42][43]
human Ether-à-go-go-Related Gene|휴먼 Ether-à-go-go 관련 유전자영어3,400사람[44]
값은 Ki (nM)이며, 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부위에 더 강하게 결합한다.


6. 2. 약동학

이미프라민은 22%에서 77%에 이르는 다양한 경구 생체이용률을 보인다. 이는 약동학적 특성에 상당한 변동성을 야기한다. 경구 투여 후 약물은 빠르고 완전하게 흡수되지만, 상당 부분이 초회 통과 대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음식은 흡수, 최고 약물 농도 또는 최고 약물 농도 도달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56]

이미프라민은 체내에서 데시프라민(데스메틸이미프라민)으로 전환되는 대사체이다.[56] 이미프라민은 주로 CYP2D6에 의한 수산화 반응을 거쳐 비활성체가 되지만, 일부는 CYP1A2CYP2C19에 의한 탈메틸화 반응을 거쳐 활성 대사물인 데시프라민이 된다. CYP2D6 효소 결손 환자의 경우, CYP1A2CYP2C19에 의한 탈메틸화가 주로 일어나 비활성체의 생성이 억제되므로, 이미프라민의 작용이 증강된다.

7. 화학

이미프라민은 삼환계 화합물이며, 더 자세하게는 디벤자제핀의 일종이다. 화학 구조상 세 개의 고리가 결합되어 있고, 여기에 측쇄가 붙어 있는 형태를 띤다.[57] 디벤자제핀 계열의 삼환계 항우울제(TCA)로는 데시프라민 (''N''-데스메틸이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 (3-클로로이미프라민), 트리미프라민 (2′-메틸이미프라민 또는 β-메틸이미프라민), 로페프라민 (''N''-(4-클로로벤조일메틸)데시프라민) 등이 있다.[57][58] 이미프라민은 3급 아민 TCA에 속하며, 측쇄-탈메틸화를 거친 대사물인 데시프라민은 2급 아민이다.[59][60] 다른 3급 아민 TCA로는 아미트리프틸린, 클로미프라민, 도술레핀 (도티에핀), 독세핀, 트리미프라민 등이 있다.[61][62] 이미프라민의 화학명은 3-(10,11-디하이드로-5''H''-디벤조[''b'',''f'']아제핀-5-일)-''N'',''N''-디메틸프로판-1-아민이며, 자유 염기 형태일 때 C19H24N2화학식과 280.407 g/mol의 분자량을 가진다.[76] 이 약물은 주로 염산염 염 형태로 사용되며, 엠본산염 (파모산염) 염은 근육 주사용으로 사용된다. 자유 염기 형태는 사용되지 않는다.[76][77] CAS 등록 번호는 자유 염기가 50-49-7, 염산염이 113-52-0, 엠본산염이 10075-24-8이다.[76][77]

8. 역사

이미프라민의 모체 화합물인 10,11-디하이드로-5''H''-디벤즈[b,f]아제핀(디벤자제핀)은 1899년에 처음 화학 합성되었지만, 1940년대 후반까지 약리학적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63][64][65] 1951년에 항히스타민제로 처음 합성되었으며,[66][67] 1952년 클로르프로마진의 항정신병 효과가 발견된 후,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사용하기 위한 항정신병 약물로 개발 및 연구되었다.[37][69] 그러나 수백 명의 정신병 환자에게 시험한 결과 효과는 거의 없었다.[70]

1950년대 중반,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던 한 여성 환자에게 이미프라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된 사례 보고를 통해 항우울 효과가 우연히 밝혀졌다.[37][69][71] 이후 다른 환자들에게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면서 더 많은 임상 연구가 진행되었다.[72][70] 그 결과, 1958년 유럽, 1959년 미국에서 우울증 치료제로 도입되었다.[73] 비슷한 시기에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인 이프로니아지드가 항우울제로 발견되면서, 이미프라민은 모노아민성 약물이 항우울제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71][72][70]

1950년대 후반, 이미프라민은 Ciba에 의해 최초의 삼환계 항우울제(TCA)로 개발되었다. 1958년 9월 로마에서 열린 제1회 국제 신경약리학 학회에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프레이한 박사는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미프라민의 효과에 대해 처음으로 발표했다. 대부분 "우울성 정신병"으로 진단받은 이 환자들은 우울한 무관심, 운동 지연, 절망감 등의 증상을 기준으로 선정되었다. 모든 환자의 30%에서 최적의 결과를, 약 20%에서는 실패를 보고했다. 부작용으로는 아트로핀 유사 증상이 나타났고, 대부분의 환자는 어지럼증을 경험했다. 처음에는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항우울제로서의 임상 연구에서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심한 우울증 환자에게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74]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가 등장하기 전에는 이미프라민의 부작용이 더 용인할 만한 것으로 여겨져 표준 항우울제로 널리 사용되었고, 이후 출시된 TCA 개발의 전형적인 약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이후 SSRI의 등장으로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주요 우울증 치료의 2차 치료제로 가끔 처방되기도 한다. 또한 편두통, ADHD, 외상 후 증후군 치료에도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공황 발작, 만성 통증, 클라인-레빈 증후군 치료에도 사용된다. 소아 환자에게는 야경증야뇨증 치료에 비교적 자주 사용된다.

9. 사회와 문화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이미프라민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9. 1. 일반명

이미프라민은 이 약물의 영어 및 프랑스어 일반명이며, 국제 일반 명칭(INN), 영국 승인 명칭(BAN), 프랑스 일반 명칭(DCF)이다. 이미프라민 염산염은 미국 채택 명칭(USAN), 미국 약전(USP), 영국 승인 명칭(BANM), 일본 허가 명칭(JAN)이다.[76][77][78][79] 스페인어 및 이탈리아어에서의 일반명칭과 이탈리아 일반 명칭(DCIT)은 이미프라미나이며, 독일어는 이미프라민, 라틴어는 이미프라미넘이다.[77][79] 에본산염은 이미프라민 파모산염으로 알려져 있다.[77][79]

9. 2. 상품명

''이미프라민''은 이 약물의 영어 및 프랑스어 일반명이며, 국제 일반 명칭(INN), 영국 승인 명칭(BAN), 프랑스 일반 명칭(DCF)이다. 반면 ''이미프라민 염산염''은 미국 채택 명칭(USAN), 미국 약전(USP), 영국 승인 명칭(BANM), 일본 허가 명칭(JAN)이다.[76][77][78][79] 스페인어 및 이탈리아어에서의 일반명칭과 이탈리아 일반 명칭(DCIT)은 ''이미프라미나''이며, 독일어는 ''이미프라민'', 라틴어는 ''이미프라미넘''이다.[77][79] 에본산염은 ''이미프라민 파모산염''으로 알려져 있다.[77][79]

10. 연구

2001년에 보고된 "스터디 329"[82]를 재분석한 결과, 파록세틴과 이미프라민은 청소년기 우울증에 모두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유해 사건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83]

참조

[1] 웹사이트 Imipramine Use During Pregnancy https://www.drugs.co[...] 2019-08-28
[2] 웹사이트 RDC Nº 784 - Listas de Substâncias Entorpecentes, Psicotrópicas, Precursoras e Outras sob Controle Especial https://www.in.gov.b[...] Diário Oficial da União 2023-03-31
[3] 논문 Bioavailability of imipramine tablets relative to a stable isotope-labeled internal standard: increasing the power of bioavailability tests 1979-06
[4] 웹사이트 Product Information Tolerade (imipramine hydrochloride) https://www.ebs.tga.[...] PMIP Pty Ltd 2013-06-04
[5] 논문 Behavioral, cognitive,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critique and synthesis 1991-02
[6] 논문 History repeats itself: pharmacodynamic trends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2005
[7] 논문 Imipramine treatment in pediatric burn patients with symptoms of acute stress disorder: a pilot study 1999-07
[8] 논문 Early treatment of acute stress disorder in children with major burn injury 2005-11
[9] 논문 Treating thermally injured children suffering symptoms of acute stress with imipramine and fluoxetine: a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2008-11
[10] 논문 Platelet imipramine binding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fore and after phenelzine treatment 1996-07
[11] 논문 Pharmacological prevention and early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cute stress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12
[12] 논문 Antidepressa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a-Review of Efficacy, Tolerability and Suicidality in Acute Treatment 2020
[1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desipramine for treating ADHD 2013-07
[14] 논문 Are one or two dangerous? Tricyclic antidepressant exposure in toddlers 2005-02
[15] 논문 Imipramine and enuresis: never forget its dangers 1982-06
[16] 논문 Therapeutic efficacy of antidepressants in agitated anxious depression--a meta-analysis of moclobemide studies 1995-10
[17] 논문 Therapeutic monitoring of antidepressant drugs: guidelines updated 1989-09
[18] 웹사이트 Imipramine: MedlinePlus Drug Information https://medlineplus.[...] 2024-04-01
[19] 웹사이트 Imipramine Oral: Uses, Side Effects, Interactions, Pictures, Warnings & Dosing - WebMD https://www.webmd.co[...] 2024-04-01
[20] 서적 Mosby's Nursing Drug Reference Mosby Elsevier
[21] 웹사이트 PDSP Ki Database https://pdsp.unc.edu[...]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2] 웹사이트 PDSP Ki Database https://pdsp.unc.edu[...]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3] 논문 Pharmacological profile of antidepressants and related compounds at human monoamine transporters 1997-12
[24] 논문 Neurotransmitter receptor and transporter binding profile of antidepressants and their metabolites 1997-12
[25] 논문 Antagonism by antidepressants of serotonin S1 and S2 receptors of normal human brain in vitro 1986-12
[26] 논문 Screening the receptorome yields validated molecular targets for drug discovery
[27] 논문 Interaction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with the serotonin 5-HT2c receptor 1996-08
[28] 논문 Standard binding and functional assays related to medications development division testing for potential cocaine and opiate narcotic treatment medications 1998-03
[29] 논문 '[3H]quipazine' degradation products label 5-HT uptake sites 1989-11
[30] 논문 Clon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serotonin receptor with high affinity for tricyclic psychotropic drugs 1993-03
[31] 논문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 5-hydroxytryptamine7 serotonin receptor subtype 1993-08
[32] 논문 The dopamine inhibitor GBR 12909: selectivity and molecular mechanism of action 1989-08
[33] 논문 Antidepressant biochemical profile of the novel bicyclic compound Wy-45,030, an ethyl cyclohexanol derivative 1986-12
[34] 논문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tidepressants and their metabolites on reuptake of biogenic amines and on receptor binding 1999-08
[35] 논문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he active metabolites of the antidepressants desipramine and citalopram 2007-12
[36] 논문 Binding of antidepressants to human brain receptors: focus on newer generation compounds 1994-05
[37] 논문 Antagonism by antidepressants of neurotransmitter receptors of normal human brain in vitro 1984-07
[38] 논문 Interactions of recombinant human histamine H₁R, H₂R, H₃R, and H₄R receptors with 34 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2012-02
[39] 논문 Antagonism of the five cloned human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s expressed in CHO-K1 cells by antidepressants and antihistaminics 1993-06
[40] 논문 Different interaction between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mecamylamine with the human alpha3beta4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ion channel 2010-03
[41] 논문 1,3-Di(2-[5-3H]tolyl)guanidine: a selective ligand that labels sigma-type receptors for psychotomimetic opiates and antipsychotic drugs 1986-11
[42] 논문 Cognition and depression: the effects of fluvoxamine, a sigma-1 receptor agonist, reconsidered 2010-04
[43] 논문 Evaluation of sigma (σ) receptors in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ketamine in vitro and in vivo 2012-04
[44] 논문 Inhibition of the current of heterologously expressed HERG potassium channels by imipramine and amitriptyline 1999-09
[45] DrugBank Imipramine hydrochloride https://go.drugbank.[...]
[46] 논문 Dopamine D2 receptor blocking effect of imipramine in the rat hippocampus 1991-05
[47] 논문 Interactions between dopamine transporter and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in rhesus monkeys 2012-08
[48] 논문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 subtype on frog esophageal peptic cells: binding and secretion studies 1988-09
[49] 논문 The use of bethanechol chloride with tricyclic antidepressants 1975-11
[50] 논문 Treatment of nortriptyline's side effects in elderly patients: a double-blind study of bethanechol 1993-08
[51] 논문 Bethanechol chloride can reverse erectile and ejaculatory dysfunction induced by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mazindol: case report 1986-04
[52] 논문 Reversal by bethanechol of imipramine-induced ejaculatory dysfunction 1987-09
[53] 논문 Bethanecol chloride for treatment of clomipramine-induced orgasmic dysfunction in males 2004-12
[54] 논문 Sustained hippocampal chromatin regulation in a mouse model of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action 2006-04
[55] 논문 The molecular neurobiology of depression 2008-10
[56]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imipramine and desipramine 1990-05
[57] 서적 Polypharmacy in Psychiatry Practice, Volume I: Multiple Medication Use Strategi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2-15
[58] 서적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9] 서적 Pharmacodynamics and Drug Development: Perspectives in Clinical Pharmacology John Wiley & Sons 1994-09-20
[60] 서적 Metabolism of Drugs and Other Xenobiotics John Wiley & Sons 2012-02-23
[61] 서적 Pharmacology Secrets Elsevier Health Sciences
[62] 서적 Shorter Oxford Textbook of Psychiatry OUP Oxford 2012-08-09
[63] 논문 Antidepressant drugs: imipramine, mianserin and trazodone 1987
[64] 논문 Pharmacotherapy of mental illness--a historical analysis 2001-05
[65] 논문 Synthesis of substituted 10,11-dihydro-5H-dibenz[b,f]azepines; key synthons in syntheses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66] 서적 Trends and Changes in Drug Research and Develop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67] 서적 Histaminergic Neurons: Morphology and Function CRC Press 1991-02-22
[68] 서적 History of the Synapse CRC Press 2014-04-21
[69] 서적 Antidepressants Infobase Publishing
[70] 서적 Understanding Depression: Volume 2.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is and Treatment Springer 2018-01-02
[71] 논문 The neurobiology of depression, ketamine and rapid-acting antidepressants: Is it glutamate inhibition or activation? 2018-10
[72] 서적 Seminars in General Adult Psychiatry RCPsych Publications 2007-04
[73] 서적 Forensic Toxicology: Controlled Substances and Dangerous Drug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74] 서적 The Antidepressant Er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75] 논문 Antidepressant-associated maniform states in acute treatment of patients with bipolar-I depression
[76] 서적 The Dictionary of Drugs: Chemical Data: Chemical Data, Structures and Bibliograph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1-14
[77] 서적 Index Nominum 2000: International Drug Direc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8]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Pharmacological Agents: Properties and Synonym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79] 웹사이트 Imipramine Uses, Side Effects & Warnings https://www.drugs.co[...]
[80] 서적 Handbook of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07-04-02
[81] 논문 Incidence and prevalence of primary care antidepressant prescribing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England, 1998-2017: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2020-07
[82] 논문 Efficacy of paroxetine in the treatment of adolescent major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01-07
[83] 문서 Restoring Study 329: efficacy and harms of paroxetine and imipramine in 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in adolescence 2015
[84] 저널 인용 Bioavailability of imipramine tablets relative to a stable isotope-labelled internal standard: increasing the power of bioavailability tests 1979-06
[85] 웹인용 PRODUCT INFORMATION TOLERADE® (imipramine hydrochloride) https://www.ebs.tga.[...] PMIP Pty Ltd 2013-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