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형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종교 의식, 놀이, 예술 작품, 상업적 활용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고대에는 점토, 나무, 뼈 등으로 만들어졌으며, 시대가 흐르면서 자기,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인형은 아이들의 장난감, 수집품, 예술 작품으로 활용되며, 성 역할 고정관념, 페디오포비아(인형 공포증) 등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한국에서도 전통 인형과 현대 인형이 존재하며, 인형 관련 산업과 문화가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형 - 치링치링 시크릿 쥬쥬
치링치링 시크릿 쥬쥬는 2012년에 처음 공개된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다양한 채널에서 방영되었으며, 쥬쥬, 마고, 베키 등 여러 등장인물이 출연하고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 인형 - 탈인형
탈인형은 사람이 안에 들어가 연기하는 인형으로, 특촬 영화에서 시작하여 테마파크, 이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착용자의 안전을 위해 조수가 동행하고, 한국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키구루미 문화가 확산되었다. - 놀이 - 팔씨름
팔씨름은 두 사람이 팔을 굽혀 손을 잡고 상대방의 손을 테이블에 닿게 하여 승패를 가리는 스포츠로, 에도 시대 일본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전문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국제팔씨름연맹, 세계팔씨름연맹 등의 단체가 존재하고, 다양한 기술과 전략, 규칙이 적용된다. - 놀이 - 민속놀이
민속놀이는 민중의 생활양식을 반영하여 창조되고 전승된 음악, 무용, 연극 등의 놀이로, 한국에서는 마당굿 형태의 농악, 탈춤놀이, 줄다리기, 길놀이 등으로 나타나며 풍요와 평등 사상을 바탕으로 사회 풍자와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 장난감 - 구슬
구슬은 돌, 점토, 유리, 강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작은 공 모양의 물체로, 기원전 250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19세기 유리 구슬 제조 기계 발명 후 대량 생산되어 장난감, 게임 도구, 수집품, 산업용 부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장난감 - 루빅스 큐브
루빅스 큐브는 헝가리 건축학자 루비크 에르뇌가 고안한 3차원 조합 퍼즐로, 26개의 작은 큐브 조각으로 구성되어 각 면을 돌려 섞인 색상을 맞추는 방식으로, 1980년대 초 전 세계적으로 2억 개 이상 판매되었으며, 수학적 군론과 관련이 깊다.
인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모형 |
재료 | 다양함 |
제작 시기 | 고대부터 현재까지 |
특징 | |
설명 | 인간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를 모방한 장난감 재료, 크기, 용도 다양함 |
용도 | 놀이 장식 수집 교육 |
상세 정보 | |
역사 |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존재함. |
재료 변천 | 뼈, 나무, 찰흙, 천, 도자기, 플라스틱 등 다양 지역 및 시대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 변화 |
형태 | 사람, 동물, 캐릭터 등 다양한 형태 단순한 형태부터 정교한 형태까지 존재 |
문화적 의미 | 놀이 외에 종교적 의식이나 예술적 표현에도 사용 특정 문화나 시대의 가치관 반영 |
사회적 영향 | 어린이의 사회성 및 창의성 발달에 기여 대중문화 및 소비문화에 영향 |
기술 발달 | 전자 기술 접목 (움직임, 소리 기능 추가) 3D 프린팅 등 최신 기술 활용 |
관련 산업 | 완구 산업, 패션 산업, 수집 시장 등과 연관 다양한 관련 상품 및 서비스 개발 |
유명 인형 | 바비 인형 곰인형 구체관절 인형 |
수집 대상 | 역사적 가치나 희귀성 있는 인형은 수집 대상 특정 작가나 브랜드의 인형 선호 |
교육적 기능 | 어린이의 역할 놀이 및 상상력 발달에 도움 특정 문화나 직업 이해에 활용 |
윤리적 문제 | 인형 외모에 따른 사회적 편견 문제 제기 인형 생산 과정에서의 환경 문제 발생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모형 (模型) 장난감 (玩具) 마네킹 피규어 (figure) |
2. 역사
로마의 인형 제작자들은 이집트와 그리스에서 발달된 기술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그들은 예술적 감각과의 조화를 통해 더 우아하고 아름다운 인형을 만들기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 로마의 프라티(Prati)에서 발견된 한 인형은 상아로 만들어졌으며, 18세의 나이로 사망했던 주인 옆에 놓여 있었다. 인형 옆에는 작은 빗과 은으로 만든 거울, 상아로 만든 작은 상자가 있었다. 그 인형은 손가락에 반지를 끼고 있었고, 상자를 여는 작은 열쇠도 쥐고 있었다. 마치 오늘날의 아이들처럼 로마 문명의 어린이들도 인형 옷을 입히고, 최신 유행에 맞게 머리와 손가락을 꾸미곤 했다.
일본의 재단법인 인형미술협회(人形美術協会)는 일본 최고의 옛 인형 컬렉션인 “관방 컬렉션”(観方コレクション일본어)을 소장하고 있다. 일본화가이자 풍속 연구가였던 吉川観方(요시카와 칸포)가 평생에 걸쳐 수집한 옛 인형들의 총결산이 바로 “관방 컬렉션”이다. 요시카와 칸포가 수집한 인형 컬렉션은 궁가(宮家)나 귀족(公家), 무가(武家) 등에 전해 내려온 고전 인형부터 일반 서민들의 삶과 함께했던 소박한 향토 인형(郷土人形)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질과 양 모두 일본 최고이다. 관방 컬렉션은 의례(儀礼)용, 애완(愛玩)용, 장식(装飾)용, 감상(鑑賞)용, 미술 공예품 등 여러 가지로 나뉘며, 헤이안 시대(平安時代)부터 발전하여 에도 시대(江戸時代)에 이르기까지 일본 인형의 역사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생활사와 풍속을 엿볼 수 있다. 컬렉션에는 전래, 제작 연대, 제작자 등이 명확한 것도 많으며, 인형미술협회(人形美術協会)는 이 귀중한 문화유산인 컬렉션의 보존과 연구에도 힘쓰고 있다.
관방 컬렉션은 다음 9가지 인형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수집되었다.
번호 | 종류 |
---|---|
1 | 고대 인형(古代人形)(히토가타) |
2 | 고쇼 인형(御所人形) |
3 | 가모 인형(加茂人形) |
4 | 나라 인형(奈良人形) |
5 | 사가 인형(嵯峨人形) |
6 | 의상 인형(衣装人形) |
7 | 미인 인형(美女人形)과 역자 인형(役者人形) |
8 | 기교(機巧)(카라쿠리(からくり)) 인형 |
9 | 토인형(土人形)(쓰치닌교) |
2. 1. 고대 사회의 인형


고대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된 나무 패들 인형은 기원전 21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2] 움직이는 사지와 탈착 가능한 옷을 가진 인형은 기원전 2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자들은 점토로 만들어지고 엉덩이와 어깨가 관절로 연결된 그리스 인형들을 발견했다.[2][3] 누비 인형과 봉제 동물들도 아마 인기가 많았을 것이지만, 이러한 것들의 알려진 예시는 현재까지 남아 있지 않다.[3] 서기 100년경 고대 그리스의 이야기들은 인형이 어린 소녀들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2] 그리스인들은 인형을 κόρη|코레grc라고 불렀는데, 문자 그대로 "어린 소녀"를 의미하며, 밀랍 인형은 δάγυνον|다귀논grc, δαγύς|다귀스grc 및 πλαγγών|플랑곤grc이라고 불렸다. 인형들은 종종 움직이는 사지를 가지고 있었고 νευρόσπαστα|뉴로스파스타grc라고 불렸는데, 실이나 철사로 조작되었다.[4]
고대 로마에서는 인형이 점토, 나무 또는 상아로 만들어졌다. 로마 아이들의 무덤에서 인형이 발견되었다. 오늘날의 아이들처럼, 로마 문명의 어린 구성원들은 최신 유행에 따라 인형을 꾸몄을 것이다.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사내아이들이 사춘기에 도달했을 때 장난감을 신들에게 바치는 것이 관례였고, 여자아이들은 결혼했을 때 장난감을 여신들에게 바치는 것이 관례였다.[2][3] 결혼식에서 그리스 여자아이들은 인형을 아르테미스에게, 로마 여자아이들은 비너스에게 바쳤지만, 결혼하기 전에 죽으면 인형은 함께 묻혔다.[4]
로마의 인형 제작자들은 이집트와 그리스인들에 의해 발달된 기술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그들의 예술적 감각과 조화를 이루어, 그들은 더 우아하고 더 아름다운 인형을 만들기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 로마의 프라티(Prati)에서 발견된 한 인형은 상아로 만들어져 있었고, 18세의 나이로 사망했던 주인 옆에 놓여 있었다. 인형 옆에는 작은 빗과 은으로 만든 거울이 들어있고 상아로 만든 작은 상자가 있었다. 그 인형은 손가락에 반지를 끼고 있었고, 그 상자를 여는 작은 열쇠도 쥐고 있었다.
누비 인형은 전통적으로 남는 천 조각으로 집에서 만든다. 기원전 3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로마 누비 인형이 발견되었다.[5]
고고학에서 출토된 유물로서의 인형에는 제사 용도의 토우나 목제인형(), 부장품으로서의 병마용이나 하니와 등이 있다.
2. 2. 동서양 전통 인형
가장 초기의 인형들은 점토, 돌, 나무, 뼈, 상아, 가죽 또는 밀랍과 같이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졌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인형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장난감의 가장 유력한 후보이다. 기원전 21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집트 무덤에서 나무 패들 인형들이 발견되었다.[2] 움직이는 사지와 탈착 가능한 옷을 가진 인형은 기원전 2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고학자들은 점토로 만들어지고 엉덩이와 어깨가 관절로 연결된 그리스 인형들을 발견했다.[2][3] 누비 인형과 봉제 동물들도 아마 인기가 많았을 것이지만, 이러한 것들의 알려진 예시는 현재까지 남아 있지 않다.[3] 서기 100년경 고대 그리스의 이야기들은 인형이 어린 소녀들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2] 그리스인들은 인형을 κόρη|코레grc라고 불렀는데, 문자 그대로 "어린 소녀"를 의미하며, 밀랍 인형은 δάγυνον|다귀논grc, δαγύς|다귀스grc 및 πλαγγών|플랑곤grc이라고 불렸다. 인형들은 종종 움직이는 사지를 가지고 있었고 νευρόσπαστα|뉴로스파스타grc라고 불렸는데, 실이나 철사로 조작되었다.[4]
고대 로마에서는 인형이 점토, 나무 또는 상아로 만들어졌다. 로마 아이들의 무덤에서 인형이 발견되었다. 오늘날의 아이들처럼, 로마 문명의 어린 구성원들은 최신 유행에 따라 인형을 꾸몄을 것이다.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사내아이들이 사춘기에 도달했을 때 장난감을 신들에게 바치는 것이 관례였고, 여자아이들은 결혼했을 때 장난감을 여신들에게 바치는 것이 관례였다.[2][3] 결혼식에서 그리스 여자아이들은 인형을 아르테미스에게, 로마 여자아이들은 비너스에게 바쳤지만, 결혼하기 전에 죽으면 인형은 함께 묻혔다.[4]
누비 인형은 전통적으로 남는 천 조각으로 집에서 만든다. 기원전 3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로마 누비 인형이 발견되었다.[5]

전통 인형은 때때로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사용되지만, 영적, 마법적, 의례적 가치를 가질 수도 있다. 영적 인형과 장난감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선이 없다. 어떤 문화에서는 의례에 사용되었던 인형이 아이들에게 주어졌다. 그것들은 또한 아이들의 교육과 문화유산의 전달자로 사용되었다. 다른 문화에서는 인형이 마법의 힘으로 가득 차 있어 아이들이 가지고 놀도록 허용하지 않았다.[6]
아프리카 인형은 가르치고 즐겁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초자연적인 중재자이며, 의례적인 목적으로 조작된다. 그 모양과 의상은 지역과 관습에 따라 다르다. 인형은 종종 어머니로부터 딸에게 전해진다. ''아쿠아바''는 가나와 인근 지역의 나무로 만든 의례적인 다산 인형이다. 가장 잘 알려진 ''아쿠아바''는 아산티족의 것으로, 그들의 ''아쿠아바''는 크고 원반 모양의 머리를 가지고 있다. 그 지역의 다른 부족들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아쿠아바''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일본 인형의 풍부한 역사는 도구상(기원전 8000~200년)과 하니와 장례상(서기 300~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1세기까지 인형은 장난감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보호와 종교 의식에도 사용되었다. 히나마쓰리, 인형 축제 기간 동안 雛人形|히나닌교|히나-닌교일본어가 전시된다. 이것은 짚과 나무로 만들어지고, 페인트칠을 하고, 정교하고 여러 겹의 직물로 장식된다. 다루마 인형은 붉은 몸과 동공이 없는 하얀 얼굴을 가진 구형 인형이다. 이것은 선을 창시한 동인도인 보리달마를 나타내며, 행운의 부적이다. 나무 코케시 인형은 팔이나 다리가 없지만, 큰 머리와 원통형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 소녀를 나타낸다.
누군가에게 마법을 걸기 위해 초상을 사용하는 것은 아프리카, 아메리카 원주민, 유럽 문화에서 기록되어 있다. 그러한 마법적 도구의 예로는 유럽의 포펫과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의 ''엔키시'' 또는 ''보시오''가 있다. 유럽의 민속 마법과 마녀 사냥에서 포펫 인형은 사람을 대표하여 그 사람에게 마법을 걸기 위해 사용된다. 그 의도는 초상에 대해 수행되는 어떤 행동이든 동감 마법을 통해 주제로 전달된다는 것이다. ''부두 인형''에 핀을 꽂는 관행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후두 민속 마법과 관련이 있다. 부두 인형은 아이티 부두 종교의 특징이 아니지만, 대중 문화에서 그렇게 묘사되어 왔으며, 전형적인 부두 인형이 아이티 관광객들에게 판매되고 있다. 대중 문화에서 부두 인형 개념은 유럽의 포펫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7] 부엌 마녀는 북유럽에서 유래한 포펫이다. 그것은 전형적인 마녀 또는 노파를 닮았으며, 행운을 가져다주고[8] 악령을 막기 위해 주택 부엌에 전시된다.[9]

호피 카치나 인형은 목화나무로 만들어진 초상으로, 호피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가면을 쓴 영혼인 의례적인 카치나의 특징을 구현한다. 카치나 인형은 각 카치나의 특징을 배우기 위해 소중히 여기고 연구해야 할 물건이다. 이누이트 인형은 이누이트에게 흔한 재료인 비누석과 뼈로 만들어진다. 많은 것들이 동물의 털이나 가죽으로 옷을 입고 있다. 그들의 옷은 추운 겨울, 바람, 눈을 견디는 데 필요한 전통적인 의복 스타일을 나타낸다. 이누이트족의 차 인형은 어린 소녀들이 먼 여정에서 휴대할 수 있도록 차로 채워졌다. 사과 인형은 말린 사과로 머리를 만든 전통적인 북미 인형이다. 잉카 신화에서 사라 마마는 곡물의 여신이었다. 그녀는 여러 개로 자라거나 비슷하게 이상한 옥수수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이상한 식물은 때때로 사라 마마의 인형으로 꾸며졌다. 옥수수 껍질 인형은 말린 잎이나 껍질로 만든 전통적인 아메리카 원주민 인형이다. 옥수수대[10] 전통적으로 얼굴이 없다. 옥수수 껍질 인형 만들기는 미국 초기 유럽 정착민들에 의해 채택되었다.[11] 초기 정착민들은 누비 인형도 만들고 ''페니우드''라고 불리는 나무 인형을 조각했다.[12] La última muñeca 또는 "마지막 인형"은 라틴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소녀의 열다섯 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퀸세아네라''의 전통이다. 이 의식 동안 ''퀸세아네라''는 더 이상 그러한 장난감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어린 시절의 인형을 포기한다.[13]

마트료시카 인형은 전통적인 러시아 인형으로, 서로 열리고 겹쳐지는 속이 빈 나무 인형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전통적인 농민을 묘사하며, 첫 번째 세트는 1890년에 조각되고 페인트칠되었다.[15] 독일에서는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점토 인형과 15세기부터의 나무 인형 제작이 기록되었다.[16] 15세기경부터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성탄 장면 전시를 위해 점점 더 정교한 인형이 만들어졌다.[17] 세련되고 유행하는 옷을 입은 인형이 16세기에 프랑스에서 판매되었지만, 몸은 종종 조잡하게 만들어졌다.[18] 독일과 네덜란드의 못 나무 인형은 값이 싸고 간단하게 만들어졌으며, 16세기부터 유럽의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인기 있는 장난감이었다. 나무는 19세기까지 유럽에서 인형의 주요 재료로 남아 있었다.[20] 18세기와 19세기를 거치면서 나무는 가죽, 밀랍, 자기와 같은 다른 재료와 점점 더 많이 결합되었고, 몸은 더욱 관절이 생겼다.[20] 인형의 유리 눈이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갈색은 빅토리아 시대까지 인형의 주된 눈 색깔이었고, 빅토리아 여왕의 영향으로 파란 눈이 더 인기 있게 되었다.[21]

인형, 꼭두각시 인형 및 가면은 일반 사람들이 현실 상황에서 불가능한 것을 말할 수 있게 해준다.[22] 예를 들어 이란에서는 카자르 시대 동안 사람들이 아흐마드 샤 통치의 정치와 사회적 상황을 처벌에 대한 두려움 없이 꼭두각시 인형극을 통해 비판했다.[23] 이슬람 규칙에 따르면, 특히 여성의 공개적인 춤은 금기시된다. 그러나 인형이나 꼭두각시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사람에게는 불가능한 일을 할 수 있다. 레이리는 이란의 루르족 사이에서 인기 있는 경첩이 달린 춤추는 인형이다.[24][25] 레이리라는 이름은 중동 민속과 사랑 이야기인 레이라와 마주눈에서 유래했다. 레이리는 영적으로 아름다운 연인의 상징이다.[26] 레이리는 또한 도시 생활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는 문화 전통을 나타내고 유지한다.

2. 3. 산업화 시대의 인형
19세기 인형 머리는 자기로, 몸체는 가죽, 천, 나무, 또는 종이죽이나 합성 재료와 같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졌다.[34][27] 20세기에 고분자 및 플라스틱 재료가 등장하면서 인형 제작 방식이 바뀌었다. 플라스틱은 저렴하고, 제조가 쉬우며, 내구성이 좋아 대량 생산에 유리했다. 초기에는 고무와 셀룰로이드가 사용되었고, 20세기 중반부터는 부드러운 비닐이 어린이 인형의 주재료가 되었다.[28][29] 20세기부터는 성인 수집가를 위한 자기 및 플라스틱 인형도 제작되었다. 합성 수지는 폴리우레탄처럼 자기와 비슷한 질감을 낼 수 있어 수집용 인형에 사용된다.
"자기 인형", "비스크 인형", "차이나 인형"은 때때로 혼용되지만, 수집가들은 유약을 바른 자기로 만든 차이나 인형과 유약을 바르지 않은 비스킷 자기로 만든 비스크 인형을 구분한다. 골동품 차이나 인형은 흰색 유약 자기 머리에 칠해진 머리카락, 천이나 가죽 몸체를 가졌다. "차이나"라는 이름은 자기 재료를 지칭하는 데서 유래했다. 독일에서 대량 생산된 차이나 인형은 1840년에서 1890년 사이에 수백만 개가 팔리며 인기를 끌었다.[30][31][32] 파리안 인형은 1860년경부터 1880년경까지 독일에서 만들어졌는데, 차이나 인형과 유사하지만 유약이 없어 무광택 마감이었다.[33] 비스크 인형은 사실적인 피부와 같은 무광택 마감이 특징이며, 1860년부터 1900년 사이에 프랑스와 독일에서 인기를 얻었다. 19세기 골동품 비스크 인형은 장난감으로 만들어졌지만, 현대 비스크 인형은 주로 수집가용으로 제작된다.[34][32][35]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는 사실적인 밀랍 인형이 인기 있었다.[36]
19세기 중반까지 유럽 인형은 주로 성인을 묘사했지만, 1850년경 어린이 인형과 아기 인형이 등장했다.[32][37] 19세기 후반에는 아기 인형과 어린이 인형이 시장을 장악했다.[32] 1920년경 아기 인형은 천 몸체에 합성 재료로 만들어졌고, 머리카락, 눈, 입은 칠해졌다. 몸체에는 기울이면 소리가 나는 음성 상자가 있어 "엄마 인형"이라 불렸다. 1923년 미국에서 판매된 인형의 80%가 엄마 인형이었다.[38]

종이 인형은 종이로 만들어지고 별도의 옷이 있어, 접는 탭으로 인형에 부착된다. 19세기 발레리나 종이 인형은 초기 연예인 인형 중 하나였다. 1930년대 셜리 템플 인형은 수백만 개가 팔린 성공적인 연예인 인형이었다. 로즈 오닐의 삽화를 바탕으로 한 셀룰로이드 큐피 인형은 20세기 초에 인기를 끌었다. 마담 알렉산더는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를 최초의 수집용 인형으로 만들었다.[39]
2. 4. 현대의 인형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으로 가상 및 온라인 인형이 나타났다. 이들은 종종 전통적인 종이 인형과 유사하며, 사용자들이 가상 인형을 디자인하고 실제 사람의 이미지나 인형에 옷을 드래그 앤 드롭하여 옷 입히기 놀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는 KiSS, 스타돌, Dollz 등이 포함된다.또한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수집용 인형들이 맞춤 제작되어 온라인으로 판매되거나 전시된다. 리본 인형은 가능한 한 최대한 사실주의적으로 사람 아기를 닮도록 맞춤 제작된 비닐 인형이다. 이들은 종종 이베이와 같은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판매된다.[47][48] 아시아의 볼 조인트 인형(BJD)은 사실적이면서도 애니메이션의 영향을 받은 스타일로 폴리우레탄 합성 수지로 주조된다.[49][50][51] 아시아 BJD와 아시아 패션 인형인 풀립과 블라이스는 종종 맞춤 제작되어 사진이 찍히고, 이 사진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유된다.[52][53]
현대의 인형 종류는 다음과 같다.
3. 용도
인형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 '''인형극''' : 인형극에 사용되는 인형은 극의 내용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선물 및 장난감''' : 아이들의 선물이나 장난감으로 널리 사용된다.
- '''키덜트족 수집''' : 키덜트족은 인형을 수집하고 전시하며 즐거움을 얻는다.
- '''예술 작품''' : 예술 작품으로서 인형은 작가의 창의적인 표현 수단이 된다.
전통 인형은 장난감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영적, 마법적, 의례적 가치를 지니기도 한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의례에 사용된 인형을 아이들에게 주어 교육과 문화유산 전달의 매개체로 활용하기도 했다. 반면, 어떤 문화권에서는 인형에 마법적인 힘이 있다고 믿어 아이들이 가지고 놀지 못하게 했다.[6]
아프리카 인형은 교육, 오락, 초자연적인 중재, 의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형은 종종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로 전해진다. 가나와 인근 지역의 ''아쿠아바''는 나무로 만든 의례적인 다산 인형이다.
일본 인형은 도구상(기원전 8000~200년)과 하니와 장례상(서기 300~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1세기까지 인형은 장난감뿐만 아니라 보호와 종교 의식에도 사용되었다. 히나마쓰리에 전시되는 히나 인형은 짚과 나무로 만들어지고, 채색과 정교한 직물 장식이 특징이다. 다루마 인형은 붉은 몸통과 동공 없는 흰 얼굴을 가진 구형 인형이며, 나무 고케시 인형은 팔다리가 없지만 큰 머리와 원통형 몸통으로 어린 소녀를 표현한다.
호피 카치나 인형은 호피족의 가면을 쓴 영혼인 카치나를 구현한 목화나무 조각상이다. 이누이트 인형은 비누석과 뼈로 만들어지며, 동물의 털이나 가죽으로 옷을 입힌다. 사과 인형은 말린 사과로 머리를 만든 전통적인 북미 인형이다. 잉카 신화에서 사라 마마는 곡물의 여신이었다. 옥수수 껍질 인형은 말린 잎이나 껍질로 만든 전통적인 아메리카 원주민 인형이다.[10]
마트료시카 인형은 전통적인 러시아 인형으로, 속이 빈 나무 인형이 여러 겹으로 겹쳐진 형태이다.
인형, 꼭두각시 인형, 가면은 현실에서 말하기 어려운 것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22] 이란의 루르족 사이에서 인기 있는 레이리는 경첩이 달린 춤추는 인형이다.[24][25] 레이리는 영적인 연인을 상징하며,[26] 도시 생활에서 사라져가는 문화 전통을 보존하는 역할도 한다.
농촌에서는 참새, 제비, 까마귀 등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허수아비를 사용한다.
해부학에서는 인체 모형이, 인명 구조 및 소방 훈련에는 훈련용 인형이 사용된다.
박물관에서는 당시 복장을 입은 마네킹 인형을 사용하여 당시 사람들의 삶을 재현하고 설명한다.
자동차 충돌 실험 등에는 더미 인형이 사용되며,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 촬영에서 인체 손상 장면에는 더미(ダミー人形)가 사용되기도 한다.
3. 1. 놀이와 교육
고대부터 인형은 아이들의 놀이 도구로 사용되었다. 현재에도 일본 각지에 존재하는 '향토 인형'은 어린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매우 소중히 여겨졌다. 일본에서는 주로 목재나 토기를 소재로 하여 훠분(胡粉) 등으로 채색한 인형이 많지만, 공예품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도 있으며, 전후부터는 미술품으로 취급되는 향토 인형도 있다. 에도 시대에 보급된 여아용 인형으로 '언니 인형(姉様人形)'이 있다. 화지(和紙)와 치요가미(千代紙)로 만들어진 소박하지만 우아한 인형은 부유한 무가(武家)나 상가(商家)의 자녀들에게 소중히 여겨졌다. 대표적인 놀이 방법으로는 인형을 의인화하여 일상생활을 재현하는 '가상 놀이(飯事あそび)'가 있으며, 상당히 후대인 근대부터는 천으로 만든 '문화 인형(文化人形)'으로 놀이하는 것이 보급되었다. 인형의 옷을 바꿔 입히거나 조합하는 것을 즐기는 '옷 갈아입히기 놀이(着せ替えあそび)'는 전후 일본 전국에 퍼졌다.서양에서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를 기원으로 프랑스 귀족 사회에서 발전하여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 일반 서민에게 보급된 소위 '프랑스 인형(フランス人形)'이 대표적이다.
현대의 '옷 갈아입히기 놀이'는 합성수지제 인형으로 한다. 마네킹과 유사하며, 옷을 입히거나 옷을 벗긴 상태로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개의 부속품 의상이 있으며, 거의 현실의 인간의 옷과 비슷하게 만들어져 있다. 옷을 탈착할때에는 등 뒤에 붙어있는 찍찍이(マジックテープ)나 스냅(ホック)을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1960년대부터 생활의 서구화와 함께 보급되었으며, 실바니안 패밀리, 리카쨩, 바비 인형 등이 있다. 고도경제성장과 더불어 서민의 패션의 번영과 함께 인형의 의상도 화려해졌다.
여아가 어머니의 입장으로서 육아를 전제로 하는 아기와 유사한 인형(수유를 위한 '젖병 인형(ミルク飲み人形)'이나 기저귀를 갈아주는 인형 등)도 있다.
3. 2. 종교와 주술
고대에는 인형이 다른 사람에게 저주를 거는 주술 도구나, 인간 대신 액운을 짊어지는 대상물로 사용되었다. 전자의 예로는 짚인형이나 부두교의 진흙 인형이 있고, 후자의 예로는 한지로 만든 흘려보내는 히나 등이 있다. 후자 중 현대에도 신도의 대부(大祓) 등에서 사용되는 한지로 만든 것은 '형대(形代)'라고도 불린다. 그 외에도 산차 인형처럼 신 등을 본떠 만든 인형이 상징으로 장식되는 축제도 있다.
- 좌의장(左義長) - 일본 일부 지역에서 낡은 다루마 등의 액막이 물건을 태우는 의식
- 효고현의 바바야키 축제 - 짚인형을 묶은 기둥을 태우는 축제
- 위커맨 - 인형 속에 넣은 제물을 태우는 드루이드의 의식
- 가이 포크스의 밤 - 영국의 인형을 태우는 축제
- Vijayadashami영어 - 인도의 악신 라바나를 본뜬 인형을 태우는 축제
- 발렌시아의 불축제 - 스페인의 인형을 태우는 축제
- 마슬레니차 - 슬라브의 짚인형을 태우는 축제
- 제크셀뢰텐 - 스위스의 눈사람을 태우는 축제
- 카르나발 데 볼즈 - 스위스의 인형을 태우는 축제
- 예블레의 염소 - 스웨덴의 크리스마스에 장식되는 짚인형.
- 버닝 맨 - 미국 서부에서 1년에 한 번 개최되며, 마지막 날 인형 조형물 "더 맨"에 불을 지른다.
축제 외에도, 데모 집회 등에서 항의를 위해 특정 인물을 본뜬 인형을 불태우는 행위도 행해지고 있다.
3. 3. 장식과 수집
19세기에는 인형 머리가 자기로 만들어지고, 몸체는 가죽, 천, 나무 또는 종이죽이나 합성 재료와 같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졌다.[34][27] 20세기에 고분자 및 플라스틱 재료가 등장하면서 인형 제작은 대부분 이러한 재료로 옮겨갔다. 초기에는 고무와 셀룰로이드가 사용되었고, 20세기 중반부터는 부드러운 비닐이 어린이 인형의 주된 재료가 되었다.[28][29] 20세기부터는 자기 인형과 플라스틱 인형 모두 성인 수집가를 위한 시장이 형성되었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 수지는 자기와 비슷한 질감을 가져 수집용 인형에 사용된다."자기 인형", "비스크 인형", "차이나 인형"은 때때로 혼용되지만, 수집가들은 유약을 입힌 자기로 만든 차이나 인형과 유약을 입히지 않은 비스킷 자기로 만든 비스크 인형을 구분한다. 골동품 차이나 인형은 칠해진 성형 머리카락이 있는 흰색 유약 자기 머리와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독일에서 대량 생산되어 1840년에서 1890년 사이에 수백만 개가 판매되며 큰 인기를 얻었다.[30][31][32] 파리안 인형도 1860년경부터 1880년경까지 독일에서 만들어졌는데, 차이나 인형과 유사하지만 유약이 칠해져 있지 않아 무광택 마감이다.[33] 비스크 인형은 사실적인 피부와 같은 무광택 마감이 특징이며, 1860년부터 1900년 사이에 프랑스와 독일에서 인기를 끌었다. 19세기의 골동품 독일 및 프랑스 비스크 인형은 어린이 장난감으로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현대 비스크 인형은 주로 수집가 시장을 위해 만들어진다.[34][32][35] 밀랍 인형은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 인기가 있었다.[36]
종이 인형은 종이로 잘라내며, 접는 탭으로 인형에 부착되는 별도의 옷을 가지고 있다. 19세기 발레리나 종이 인형은 초기 연예인 인형 중 하나였고, 1930년대 셜리 템플 인형은 수백만 개가 팔린 성공적인 연예인 인형이었다. 로즈 오닐의 큐피 인형은 20세기 초에 인기가 있었다. 마담 알렉산더는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를 통해 라이선스 캐릭터 기반의 첫 수집용 인형을 만들었다.[39]


패션 인형은 패션 트렌드를 반영하며, 십대 소녀나 성인 여성을 모델로 한다. 19세기 중반 프랑스 비스크 인형이 초기 패션 인형이었고, 현대 패션 인형은 비닐로 만들어진다. 마텔의 바비는 1959년 출시 이후 시장을 장악했으며,[43] 브래츠는 2006년 시장 점유율 40%를 달성하며 바비의 지배력에 도전했다.[44]

앤티크 인형이나 일본 인형과 같은 전통적인 미술 공예품으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 것들이나, 마트료시카나 코케시처럼 조형에 특색이 있는 공예품 인형 등은 유리 케이스 등에 넣어 인테리어로 장식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히나마쓰리나 단오절과 같은 전통적인 행사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 인형을 장식하는 것이 관례이다. 전후 일본에서 제작·판매된 비닐 인형이나 브리키 인형 등의 장난감 인형 중에는, 빈티지 제품을 수집하는 마니아적인 어른 수집가들이 존재하며, 희귀한 인형(피규어)은 수십만 엔의 고가로 거래되기도 한다.
3. 4. 상업적 활용
인형은 상업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9세기에는 인형 머리가 자기로 만들어지고, 몸체는 가죽, 천, 나무 또는 종이죽이나 합성 재료와 같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졌다.[34][27] 20세기에 들어 고분자 및 플라스틱 재료가 등장하면서 인형 제작 방식이 변화했다. 플라스틱은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대량 생산에 적합했다. 초기에는 고무와 셀룰로이드가 사용되었고, 20세기 중반부터는 부드러운 비닐이 어린이 인형의 주재료가 되었다.[28][29] 20세기부터는 자기 인형과 플라스틱 인형이 성인 수집가 시장을 위해 만들어지기도 했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 수지는 자기와 비슷한 질감을 가져 수집용 인형에 사용된다.
"자기 인형", "비스크 인형", "차이나 인형"은 때때로 혼용되지만, 수집가들은 유약을 바른 자기로 만든 차이나 인형과 유약을 바르지 않은 비스킷 자기로 만든 비스크 인형을 구분한다. 골동품 차이나 인형은 흰색 유약 자기 머리에 칠해진 머리카락, 천이나 가죽 몸체를 가진다. "차이나"라는 이름은 자기 재료를 지칭하는 데서 유래했다. 이들은 독일에서 대량 생산되어 1840년에서 1890년 사이에 수백만 개가 판매되며 큰 인기를 얻었다.[30][31][32] 파리안 인형도 1860년경부터 1880년경까지 독일에서 만들어졌는데, 차이나 인형과 유사하지만 유약이 없어 무광택 마감이다.[33] 비스크 인형은 사실적인 피부와 같은 무광택 마감이 특징이며, 1860년부터 1900년 사이에 프랑스와 독일에서 인기를 얻었다. 19세기 골동품 독일 및 프랑스 비스크 인형은 주로 어린이 장난감으로 만들어졌지만, 현대 비스크 인형은 대부분 수집가 시장을 겨냥한다.[34][32][35] 사실적이고 생생한 밀랍 인형은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 인기가 있었다.[36]
19세기 중반까지 유럽 인형은 주로 성인을 묘사했지만, 1850년경 어린이 인형과 아기 인형이 등장하기 시작했다.[32][37] 19세기 후반에는 아기 인형과 어린이 인형이 시장을 장악했다.[32] 1920년경에는 천으로 된 몸체에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아기 인형이 일반적이었다. 머리카락, 눈, 입은 칠해졌고, 몸체에는 인형을 기울이면 소리가 나는 음성 상자가 꿰매어져 "엄마 인형"이라고 불렸다. 1923년 미국에서 판매된 인형의 80%가 엄마 인형이었다.[38]
종이 인형은 종이로 만들어지고, 별도의 옷을 접는 탭으로 인형에 부착한다. 당대 스타일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19세기 발레리나 종이 인형은 초기 연예인 인형 중 하나였다. 1930년대 셜리 템플 인형은 수백만 개가 팔리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로즈 오닐의 삽화를 바탕으로 한 작은 셀룰로이드 큐피 인형은 20세기 초에 인기를 얻었다. 마담 알렉산더는 라이선스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수집용 인형인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를 만들었다.[39]
현대 인형의 집은 17세기 유럽의 "아기 집" 전시 케이스에서 유래했다. 초기 인형의 집은 수작업으로 만들어졌으나, 산업 혁명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량 생산되어 가격이 저렴해졌다. 20세기 어린이 인형의 집은 주석 리토, 플라스틱, 나무로 만들어졌다. 성인 수집가를 위한 현대식 집은 주로 나무로 제작된다.
최초의 현대 봉제 인형은 1880년에 만들어졌다. 이전의 헝겊 인형과 달리 플러시 모피 같은 직물로 만들어졌으며, 주로 동물을 묘사했다.[40] 테디베어는 1902년에서 1903년 사이에 처음 등장했다.[40][41]
흑인 인형은 다양한 짙은 피부색을 가진 사람들을 닮도록 디자인되었다. 미국의 노예들이 만든 헝겊 인형은 노예 아이들의 장난감이었다. 골리와그는 19세기 후반 어린이 책의 헝겊 인형 캐릭터로, 장난감으로 널리 재현되었다. 이 인형은 검은 피부, 흰색 테두리 눈, 광대 입술, 곱슬머리를 가져 흑인 반대 캐리커처로 묘사되기도 했다.[42] 초기 대량 생산된 흑인 인형은 흰색 인형의 어두운 버전이었지만, 1960년대에 사실적인 아프리카 얼굴 특징을 가진 미국 흑인 인형이 만들어졌다.
패션 인형은 패션 트렌드를 반영하여 옷을 입히도록 디자인되었으며, 십대 소녀나 성인 여성을 모델로 한다. 초기 패션 인형은 19세기 중반 프랑스 비스크 인형이었다. 현대 패션 인형은 주로 비닐로 만들어진다. 미국 완구 회사 마텔의 바비는 1959년 출시 이후 시장을 장악했다.[43] 브래츠는 2006년 시장 점유율 40%를 달성하며 바비의 지배력에 도전했다.[44]
액션 피겨는 주로 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슈퍼히어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45] 패션 인형과 액션 피겨는 영화, TV, 비디오 게임 등 미디어 프랜차이즈의 일부인 경우가 많다. 밥블헤드 인형은 머리가 용수철이나 갈고리로[46] 몸체에 연결되어 흔들리는 수집용 플라스틱 인형으로, 야구 선수나 운동선수를 묘사한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으로 가상 및 온라인 인형이 나타났다. 이들은 전통적인 종이 인형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가상 인형을 디자인하고 옷을 드래그 앤 드롭하여 옷 입히기 놀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KiSS, 스타돌, Dollz 등이 있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수집용 인형들이 맞춤 제작되어 온라인으로 판매되거나 전시된다. 리본 인형은 사람 아기를 최대한 사실적으로 묘사한 비닐 인형으로, 이베이와 같은 사이트를 통해 판매된다.[47][48] 아시아의 볼 조인트 인형(BJD)은 폴리우레탄 합성 수지로 주조되며, 사실적이면서도 애니메이션의 영향을 받은 스타일을 가진다.[49][50][51] 아시아 BJD와 아시아 패션 인형인 풀립과 블라이스는 맞춤 제작되어 사진이 찍히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유된다.[52][53]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언니 인형(姉様人形)이라 불리는 여아용 인형이 보급되었다. 화지(和紙)와 치요가미(千代紙)로 만들어진 소박하지만 우아한 인형은 부유한 무가(武家)나 상가(商家)의 자녀들에게 소중히 여겨졌다. 인형을 의인화하여 일상생활을 재현하는 「가상 놀이(飯事あそび)」가 대표적인 놀이 방법이었으며, 근대에는 천으로 만든 「문화 인형(文化人形)」으로 놀이하는 것이 보급되었다. 인형의 옷을 바꿔 입히는 「옷 갈아입히기 놀이(着せ替えあそび)」는 전후 일본 전국에 퍼졌다.
서양에서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를 기원으로 프랑스 귀족 사회에서 발전하여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 일반 서민에게 보급된 「프랑스 인형(フランス人形)」이 대표적이다.
현대의 「옷 갈아입히기 놀이」는 합성수지제 인형으로 한다. 마네킹과 유사하며, 옷을 입히거나 벗길 수 있다. 여러 개의 부속품 의상이 있으며, 현실의 옷과 비슷하게 만들어져 탈착에는 찍찍이나 스냅을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1960년대부터 생활의 서구화와 함께 보급되었으며, 실바니안 패밀리, 리카, 바비 인형 등이 있다. 고도경제성장과 더불어 서민 패션의 번영과 함께 인형 의상도 화려해졌다.
여아가 어머니의 입장으로 육아를 하는 아기 인형(수유를 위한 「젖병 인형」이나 기저귀를 갈아주는 인형 등)도 있다.
행복이나 장사 번창 등을 위해 칠복신, 복조로 인형, 빌리켄 등을 장식하기도 한다. 결혼식 결혼식 예단으로 부부의 화목과 장수를 기원하는 빗자루(액운을 쫓는다)와 갈퀴(복을 모은다)[72]를 든 노부부 인형(高砂人形)도 있다.
의류나 한복 등의 의류 판매점에서 상품 착용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마네킹을 사용한다. 미술 드로잉에 사용되는 드로잉 인형은 모델 대신 사용하여 형태를 쉽게 확인하고, 움직임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특정 매장의 상징이나 제조사의 판촉으로 인형이 설치되기도 한다. 롯데의 빼빼로, 사토제약의 사토짱, 켄터키프라이드치킨의 커넬 샌더스, 쿠이다오레의 쿠이다오레 타로, 저팬의 사와야카 오야지, 스시잔마이 사장의 등신대 인형 등이 있다.
3. 5. 기타 용도
인형극에 사용되거나, 아이들 선물, 장난감, 키덜트족 수집, 예술 작품 등 다양한 분야에 등장한다.[1]전통 인형은 때때로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사용되지만, 영적, 마법적, 의례적 가치를 지니기도 한다. 어떤 문화에서는 의례에 사용되었던 인형이 아이들에게 주어졌다. 그것들은 또한 아이들의 교육과 문화유산의 전달자로 사용되었다. 다른 문화에서는 인형이 마법의 힘으로 가득 차 있어 아이들이 가지고 놀도록 허용하지 않았다.[6]
아프리카 인형은 가르치고 즐겁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초자연적인 중재자이며, 의례적인 목적으로 조작된다. 인형은 종종 어머니로부터 딸에게 전해진다. ''아쿠아바''는 가나와 인근 지역의 나무로 만든 의례적인 다산 인형이다.
일본 인형의 풍부한 역사는 도구상(기원전 8000~200년)과 하니와 장례상(서기 300~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1세기까지 인형은 장난감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보호와 종교 의식에도 사용되었다. 히나마쓰리에 전시되는 히나 인형은 짚과 나무로 만들어지고, 페인트칠을 하고, 정교하고 여러 겹의 직물로 장식된다. 다루마 인형은 붉은 몸과 동공이 없는 하얀 얼굴을 가진 구형 인형이다. 나무 코케시 인형은 팔이나 다리가 없지만, 큰 머리와 원통형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 소녀를 나타낸다.
초상을 사용하여 마법을 거는 것은 아프리카, 아메리카 원주민, 유럽 문화에서 기록되어 있다. 유럽의 민속 마법과 마녀 사냥에서 포펫 인형은 사람을 대표하여 그 사람에게 마법을 걸기 위해 사용된다. ''부두 인형''에 핀을 꽂는 관행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후두 민속 마법과 관련이 있다. 부엌 마녀는 북유럽에서 유래한 포펫으로, 행운을 가져다주고[8] 악령을 막기 위해 주택 부엌에 전시된다.[9]
호피 카치나 인형은 목화나무로 만들어진 초상으로, 호피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가면을 쓴 영혼인 의례적인 카치나의 특징을 구현한다. 이누이트 인형은 이누이트에게 흔한 재료인 비누석과 뼈로 만들어진다. 많은 것들이 동물의 털이나 가죽으로 옷을 입고 있다. 사과 인형은 말린 사과로 머리를 만든 전통적인 북미 인형이다. 잉카 신화에서 사라 마마는 곡물의 여신이었다. 옥수수 껍질 인형은 말린 잎이나 껍질로 만든 전통적인 아메리카 원주민 인형이다. 옥수수대[10] La última muñeca 또는 "마지막 인형"은 라틴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소녀의 열다섯 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퀸세아네라''의 전통이다.[13]
마트료시카 인형은 전통적인 러시아 인형으로, 서로 열리고 겹쳐지는 속이 빈 나무 인형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인형, 꼭두각시 인형 및 가면은 일반 사람들이 현실 상황에서 불가능한 것을 말할 수 있게 해준다.[22] 레이리는 이란의 루르족 사이에서 인기 있는 경첩이 달린 춤추는 인형이다.[24][25] 레이리라는 이름은 중동 민속과 사랑 이야기인 레이라와 마주눈에서 유래했다. 레이리는 영적으로 아름다운 연인의 상징이다.[26]
논밭 등 농산물 생산 현장에서 볍씨나 곡식을 해치는 참새, 제비, 까마귀를 쫓기 위해 허수아비 인형이 사용된다.
- 공사 현장에서는 교통 유도를 촉구하는 전기 장치가 된 인형이 있다.
- 교통안전 캠페인
- * 보행자 뛰어나옴 주의를 촉구하는 목적으로, 아동이나 인기 애니메이션 작품의 캐릭터를 본뜬 인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 차량 속도 주의를 촉구하는 목적으로 경찰관을 본뜬 인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해부학 등에서 사용되는 인체 모형이나 인명 구조(인공 호흡, AED) 및 소방 구조대를 위한 훈련용 인형에도 사용된다.
주로 박물관에서 설명용으로 당시의 복장을 입힌 마네킹 역할을 하는 인형이 있으며, 당시 사람들의 삶이 어떠했는지 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형이 있다.
주로 자동차 충돌 실험 등에서 운전자나 동승자를 대신하여 차량에 인형을 태우고 실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더미 인형이라고 부른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 촬영에서 인체에 상처를 입는 장면 등은 더미(ダミー人形)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4. 사회문화적 의미
인형은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고대부터 인형은 마법과 종교 의식에서 신을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어린이들의 장난감으로도 널리 사용되었다.[54] 어른들은 향수, 아름다움, 역사적 중요성, 금전적 가치 때문에 인형을 수집하기도 한다.[54] 앤티크 인형이나 일본 인형처럼 전통적인 미술 공예품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 인형, 마트료시카나 코케시처럼 조형에 특색이 있는 공예품 인형은 인테리어 장식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서구 사회에서는 장난감 선택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관찰된다. 남자아이들은 액션 피겨와 같이 전통적인 남성적 특징을 가진 장난감을, 여자아이들은 여성적 특징을 나타내는 인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60][61][62]
20세기에는 아트돌이 고급 예술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한스 벨머(Hans Bellmer)는 1930년대와 1940년대 독일에서 나치의 아리아인 신체 숭배에 반대하여 팔다리가 교체 가능한 초현실적인 인형을 만들었다.[54] 이스트 빌리지 예술가 그리어 랭크턴(Greer Lankton)은 1980년대에 마약 중독자, 거식증 환자, 돌연변이 인형을 전시하는 쇼윈도로 유명해졌다.[57]
에글리 피규어(Egli-Figuren)는 1964년 스위스에서 성경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만들어진 인형의 한 종류이다.[59]
페디오포비아(Pediophobia)는 인형이나 비슷한 물체에 대한 공포를 의미한다.[63][64]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이러한 이론을 더 발전시켰다.[65]
4. 1. 예술 작품으로서의 인형
앤티크 인형이나 일본 인형과 같이 전통적인 미술 공예품으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 것들과 마트료시카나 코케시처럼 조형에 특색이 있는 공예품 인형은 유리 케이스 등에 넣어 인테리어로 장식하기도 한다.일본에서는 히나마쓰리나 단오절과 같은 전통적인 행사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 인형을 장식하는 것이 관례이다.
4. 2. 성 역할 고정관념과 인형
서구 사회에서는 장난감 선택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고 연구되어 왔다. 전통적인 남성적 특징을 가진 액션 피겨는 도구, 교통 수단, 정비소, 기계 및 군사 장비와 관련된 장난감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은 남자아이들에게 인기가 많다.[60][61][62] 여자아이를 위한 인형은 여성적 특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의류, 주방 기구, 식기, 가구 및 보석과 같은 액세서리가 함께 제공된다.[60][61][62]4. 3. 인형과 관련된 논쟁
고대부터 인형은 마법과 종교 의식에서 신을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한 인형은 전통적으로 어린이들의 장난감이었다. 어른들은 향수, 아름다움, 역사적 중요성 또는 금전적 가치 때문에 인형을 수집하기도 한다.[54] 원래 어린이 장난감으로 만들어진 골동품 인형은 수집품이 되었다. 브(Bru)나 주모와 같은 프랑스 제조업체가 만든 19세기 비스크 인형은 오늘날 거의 22000USD의 가치가 있을 수 있다.[55]인형은 전통적으로 조잡하고 간단한 장난감으로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정교하고 예술적인 디자인으로도 만들어졌다.[56] 20세기에는 아트돌이 고급 예술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예술가 한스 벨머(Hans Bellmer)는 1930년대와 1940년대 독일에서 완벽한 아리아인의 신체에 대한 나치 당의 숭배에 반대하여 팔다리가 교체 가능한 초현실적인 인형을 만들었다.[54] 이스트 빌리지 예술가 그리어 랭크턴(Greer Lankton)은 1980년대에 마약 중독자, 거식증 환자, 돌연변이 인형을 전시하는 연극적인 쇼윈도로 유명해졌다.[57]
에글리 피규어(Egli-Figuren)는 1964년 스위스에서 성경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만들어진 인형의 한 종류이다.[59]
실물과 같은 또는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인형은 의료 전문가, 의과대학 및 사회복지사가 다양한 건강 절차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를 교육하거나 아동 성 학대 사건을 조사하는 데 사용된다. 예술가들은 때때로 인체를 그릴 때 관절이 있는 나무 마네킹을 사용한다. 많은 일반 인형 브랜드도 해부학적으로 정확하지만, 대부분의 인형은 성기가 없어져 있다.[58]
서구 사회에서는 장난감 선택에 있어 성별 차이가 관찰되고 연구되었다. 전통적인 남성적 특징을 나타내는 액션 피규어는 도구, 교통 수단, 정비소, 기계 및 군사 장비와 관련이 있는 장난감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은 남자아이들에게 인기가 있다. 여자아이를 위한 인형은 여성적 특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의류, 주방 기구, 식기, 가구 및 보석과 같은 액세서리가 함께 제공된다.[60][61][62]
페디오포비아(Pediophobia)는 인형이나 비슷한 물체에 대한 공포이다.[63][64] 심리학자 어니스트 옌치(Ernst Jentsch)는 어떤 물체가 살아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지적인 불확실성이 있을 때 불쾌한 감정이 생긴다고 이론화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이러한 이론을 더 발전시켰다.[65] 일본 로봇 공학자 모리 마사히로는 이러한 이론을 확장하여 불쾌한 골짜기 가설을 개발했다. 즉, 어떤 물체가 충분히 비인간적이라면 그 인간적인 특징이 두드러져 사랑스러워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 물체가 특정 수준의 인간과 같은 외모에 도달하면 비인간적인 특징이 두드러져 불안감을 줄 것이다.[66]
5. 한국의 인형 문화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 요약, 하위 섹션 내용이 모두 제공되지 않아 빈 섹션이 생성되었습니다.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5. 1. 전통 인형
[74][75]6. 관련 개념
- 역할놀이
- 봉제인형 - 탈인형 - 캐릭터 인형
- 실바니안 패밀리
- 인형의 집
- 인형 눈알 - 인형의 눈
- 인형극
- 복화술
- 아사쿠사바시(도쿄의 인형 도매상가) - 마츠야마치(오사카의 인형 도매상가)
- 인형 제사 - 사용하지 않는 인형을 절이나 신사에 봉납하여 처리하는 의식
- 점토 애니메이션
- 인형 작가
- 원형사
- 대상애
- 피그말리온 콤플렉스
- 장난감 - 식완
- 조각상 - 불상
- 말 - 체스와 같은 보드 게임에서 사용되는 인물 등을 본뜬 작은 조각
- 캐릭터
- 로봇 - 인조인간
- 데코레이션 케이크 - 머랭이나 마지판 등을 가공하여 만든 인형 모양의 장식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하니와 - 토우 - 병마용
참조
[1]
웹사이트
Textile Doll
https://art.thewalte[...]
[2]
harvnb
[3]
서적
Ancient Greece: Everyday Life in the Birthplace of Wester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Sterling
2008
[4]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Pupa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The twenty-first century BCE. British museum exhibit
http://www.thebritis[...]
2018-07-00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처리 불가.
[6]
harvnb
[7]
에피소드
Divination
[8]
웹사이트
Kitchen Witches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kitchen witch dolls, kitchen witches, kitchen witch
http://doggychild.tr[...]
[10]
웹사이트
Digital collection – Corn Husk Doll
http://www.americanc[...]
Massachusetts Department of Higher Education
2011-09-28
[11]
웹사이트
The uses of corn in 1845
https://web.archive.[...]
Eastern Illinois University
2011-09-28
[12]
harvnb
[13]
서적
Girl Culture: an Encyclope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
[14]
웹사이트
A History of Dolls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Home – Russian Life
https://web.archive.[...]
2011-10-23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서적
Honar-e Arousaki (The Art of the Puppet)
Nowruz-e Honar
2002
[23]
서적
Iranian theatre
Roshangaran
2004
[24]
학술지
Study of the Importance of Contemporary Iranian Traditional Handmade Dolls and Puppets
[25]
웹사이트
The status of traditional handmade dolls (Layli or Bavig) in Lurish folklore
http://anthropology.[...]
[26]
서적
Farhang-e Aroosak-ha va Namayesh-haye Aroosaki-e Aeeni va Sonati-e Iran (Iranian Ritual and Traditional Puppets and Puppet Shows Dictionary)
Namayesh
2010
[27]
웹사이트
Glossary of Doll Collecting Terms – Composition
https://web.archive.[...]
2017-05-26
[28]
harvnb
[29]
웹사이트
Vinyl Dolls
https://web.archive.[...]
2011-06-17
[30]
서적
The Collector's Encyclopaedia of Dolls Volume One
Robert Hale
1968
[31]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China Doll Collecting
https://web.archive.[...]
2011-06-16
[3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Antique Dolls, Part II
https://web.archive.[...]
2011-06-16
[33]
서적
German Parian Dolls
Reverie Publishing
2006
[3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Bisque and Porcelain Dolls
https://web.archive.[...]
2011-06-16
[35]
서적
The complete book of doll making and collecting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010-02-08
[36]
harvnb
[37]
harvnb
[38]
웹사이트
Mama dolls 19181940+
https://www.dollrefe[...]
2022-06-05
[39]
잡지
Most Popular Toys of the Last 100 Years: Madame Alexander Collectible Dolls
https://www.forbes.c[...]
2009-12-24
[40]
서적
Kids' Stuff: Toys and the Changing World of American Childhoo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Teddy Bears
http://www.americasl[...]
Library Of Congress
2007-12-10
[42]
웹사이트
JCM: The Golliwog Caricature
http://www.ferris.ed[...]
[43]
뉴스
Volley of the Dolls
https://news.google.[...]
2003-07-19
[44]
잡지
Little hotties: Barbie's new rivals
https://web.archive.[...]
2006-12-05
[45]
뉴스
Old Soldiers Never Die
https://www.nytimes.[...]
1990-05-31
[46]
웹사이트
h2g2 – Nodding Dogs – Edited Entry
https://www.bbc.co.u[...]
2012-01-02
[47]
뉴스
The Way We Live Now: Consumed: Hyperreality Hobbying
https://www.nytimes.[...]
2005-02-20
[48]
간행물
Simply Irresistible: What is that elusive quality that makes reborns so hard to resist?
2008-06-01
[49]
뉴스
Elfdoll: Don't Call It A Toy Company
https://web.archive.[...]
2008-10-28
[50]
잡지
Anime Girls
https://archive.toda[...]
2004-07-18
[51]
잡지
The Future Looks Bright for Ball-jointed Dolls
Shojo Beat
2008-06-01
[52]
웹사이트
Plastic fantastic: Japan's doll industry booming
http://www.japantoda[...]
2008-05-17
[53]
웹사이트
Craft – Volume 3
http://www.make-digi[...]
[54]
뉴스
It's a Doll's Life
http://www.haaretz.c[...]
2009-06-08
[55]
뉴스
Henri Launay, French doctor to dolls
https://web.archive.[...]
2008-01-07
[56]
harvnb
[5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reer Lankton
https://web.archive.[...]
1985
[58]
학술지
The value of anatomical dolls in the psychological assessment of child sexual abuse: an evaluation of available empirical evidence
[59]
서적
Arbeitsbuch Biblische Erzählfiguren. Geschichten der Bibel kreativ gestalten.
Wuppertal: Brockhaus
[60]
학술지
Sex differences in 1-, 3-, and 5-year-olds' toy-choice in a structured play session
1999-03-01
[61]
학술지
Children's Toy Collections in Sweden—A Less Gender-Typed Country?
[62]
서적
Masculinities and violence
Thousand Oaks, CA: Sage.
[63]
서적
Coping with Anxiety and Phobias
http://www.health.ha[...]
Harvard Health Publications
[64]
잡지
Worst nightmares: In all five boroughs, haunted houses contain local fears
2006-10-30
[65]
웹사이트
Das Unheimliche
https://web.archive.[...]
[66]
웹사이트
Secrets of The Cabbage Patch: Pediophobia and The Fear of The Inanimate
https://web.archive.[...]
2007-03-12
[67]
웹사이트
Dolling out treatment
http://www.theage.co[...]
2005-06-10
[68]
뉴스
Lisbon doll hospital treats owners' blues too
https://archive.toda[...]
2009-12-23
[69]
웹사이트
Doll Doctor's Association
http://www.dolldocto[...]
[70]
웹사이트
Wilhelmina. The adventures of a dutch doll
https://web.archive.[...]
[71]
웹사이트
The adventures of the two dutch dolls and the Golliwogg
https://web.archive.[...]
2011-01-16
[72]
웹사이트
高砂人形の由来
http://e-shirokiya.c[...]
[73]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 11 埼玉県
角川書店
1980-07-08
[74]
웹사이트
ウクライナ文化紹介展示 I:伝統人形「モタンカ」の展示をしています|お知らせ一覧|岡山県立大学
https://www.oka-pu.a[...]
2024-07-15
[75]
웹사이트
幸せを呼び込む ウクライナの伝統人形「モタンカ」展示 京都|NHK 京都府のニュース
https://www3.nhk.or.[...]
2024-07-15
[76]
트윗
鎌倉国宝館
2023-07-11
[77]
웹사이트
財団法人 人形美術協会
http://www.ningyoubi[...]
[78]
웹사이트
一般社団法人日本人形協会
https://www.ningyo-k[...]
[79]
웹사이트
日本人形劇人協会
https://puppeteerass[...]
[80]
웹사이트
ワンダーフェスティバル
https://wonfes.jp/
[81]
웹사이트
トレジャーフェスタ・オンライン
https://tfo.hobima.c[...]
[82]
웹사이트
ドルパポータル | ボークス公式 ドルフィー総合サイト
https://dollfie.volk[...]
[83]
웹사이트
ドールショウ公式HP
http://www.dollshow.[...]
[84]
웹사이트
ドール・フィギュア・ハンドメイド関連の展示即売会”I・Doll(アイドール)
https://www.idollweb[...]
[85]
웹사이트
ドールワールド
http://dwf.d.dooo.jp[...]
[86]
웹사이트
クラフトアート人形 【わたしの人形物語-】
http://craft-art-dol[...]
[87]
웹사이트
AJCクリエイターズコンテスト
https://ajc.jpn.com/
[88]
웹사이트
Funkenhexe im Allgäu: Brauchtum oder "makaber und kränkend"?
https://www.br.de/na[...]
2023-06-05
[89]
웹사이트
宮崎郁子“Wally and Egon”エゴン・シーレと共に
https://bijutsutecho[...]
美術手帖
2023-03-10
[90]
웹사이트
宮崎郁子
https://www.museum-h[...]
2023-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