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창은 매콤하고 시큼한 토마토 칠리 소스에 새우, 생선 또는 돼지고기를 요리하는 고아 지역의 음식이다. 콘칸어 "발창"과 포르투갈어 "발샹"에서 유래되었으며, 말레이어 "블라찬" 또는 마카오어 "발리샹"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르투갈령 고아 시대에 고아 지역에 도입되었으며, 새우, 생선, 돼지고기를 소금, 강황으로 양념하여 튀기듯 볶고, 마늘, 양파, 레차도 마살라, 식초 등을 넣어 졸여 만든다. 곤칸어로는 말린 새우 페이스트를 사용한 "갈음보"로 알려져 있으며, 쌀밥과 함께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아 요리 - 빈달루
    빈달루는 포르투갈 요리에서 유래하여 고아 지방에서 현지화된 인도 요리로, 야자나무 식초와 향신료를 사용하여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으로 만들어지며, 서구에서는 매운맛이 강조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 고아 요리 - 초리소
    초리소는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파프리카, 마늘, 소금 등의 향신료를 넣어 만든 소시지로, 스페인과 포르투갈 등 다양한 지역에서 만들어지며 EU 지리적 표시제 보호를 받는 품종도 있고 중남미 지역에서도 활용된다.
  • 포르투갈의 퓨전 요리 - 빈달루
    빈달루는 포르투갈 요리에서 유래하여 고아 지방에서 현지화된 인도 요리로, 야자나무 식초와 향신료를 사용하여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으로 만들어지며, 서구에서는 매운맛이 강조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 포르투갈의 퓨전 요리 - 단탓
    단탓은 20세기 초 영국 커스터드 타르트에서 유래하여 중국 광둥성에서 시작되었으며, 홍콩과 마카오를 거쳐 아시아 여러 지역으로 확산된 디저트이다.
  • 인도의 퓨전 요리 - 빈달루
    빈달루는 포르투갈 요리에서 유래하여 고아 지방에서 현지화된 인도 요리로, 야자나무 식초와 향신료를 사용하여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으로 만들어지며, 서구에서는 매운맛이 강조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 인도의 퓨전 요리 - 치킨 티카 마살라
    치킨 티카 마살라는 닭고기 조각인 치킨 티카를 크림 소스에 넣어 만든 요리로, 1960년대 영국에서 영국 방글라데시인 요리사들이 개발했으며, 토마토, 크림, 마살라 향신료 혼합물로 소스를 만들어 영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요리이다.
발창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새우 발창
다른 이름발샹
종류소스 또는 커리
주 재료새우(또는 생선 또는 돼지고기), 레차도 마살로
지역고아, 말반
나라인도
언어콘칸어: बाल्चांव (Bālchā̃va)
포르투갈어: balchão

2. 어원

콘칸어 "발창(बाल्चांवgom)"과 포르투갈어 "발샹(balchãopt)"의 정확한 유래는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새우장'을 의미하는 말레이어 '블라찬(belacanms)' 또는 마카오어 '발리샹(balichãomzs)'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카오어 '발리샹' 역시 말레이어 '블라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발샹은 포르투갈령 고아 시대에 포르투갈인들을 통해 고아 지역에 전해졌으며, 이는 말라카(현재의 말라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3. 역사

발샹은 포르투갈령 고아 시대 동안 포르투갈에 의해 고아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말라카 (오늘날의 말라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4. 재료 및 조리법

발창은 새우, 생선, 또는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하여 매콤하고 시큼한 맛을 내는 고아 요리이다.[1] 주재료를 양념하여 볶은 뒤, 여러 향신료와 식초를 넣어 졸여 만드는 방식으로 조리된다.

이 요리는 절임과 유사한 특성이 있어 며칠 전에 미리 만들어 두었다가 데우지 않고 차갑게 먹기도 한다.[1] 전통적인 방식이나 지역, 가정에 따라 사용하는 재료나 식초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맛의 차이로 이어진다.[2]

4. 1. 재료

발창의 주재료로는 새우, 생선, 또는 돼지고기가 사용된다.[1] 이 재료들은 먼저 소금강황 가루로 양념하여 재워둔다.

조리 시에는 식용유를 두르고, 다진 양파, 토마토, 마늘 페이스트 또는 정향, 생강 페이스트 또는 생강을 볶는다. 매콤한 맛을 내기 위해 레차도 마살로(고추 양념)나 말린 붉은 고추가 사용되며, 이 외에도 커민 씨, 겨자씨, 계피, 정향, 커리나무 잎 등이 향을 더한다. 맛을 조절하기 위해 설탕, 식초(주로 야자식초), 소금이 사용된다.[3]

덜 맵게 만들 때는 토마토 퓌레나 건새우 가루를 넣기도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타마린드 소스를 사용하기도 한다.[2]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곤칸어로 ''갈음보''(galmbo)라 불리는 말린 새우 페이스트를 사용한다.

발창에 사용되는 주요 재료는 다음과 같다.[3]

구분재료
주재료새우, 생선, 돼지고기
기름식용유
채소 및 향신료양파, 토마토, 마늘 (페이스트 또는 정향), 생강 (페이스트 또는 생강), 말린 붉은 고추, 커민 씨, 겨자씨, 계피, 정향, 커리나무 잎
조미료소금, 강황 가루, 설탕, 식초 (야자식초)
기타레차도 마살로, 토마토 퓌레, 건새우 가루, 타마린드 소스, 갈음보 (말린 새우 페이스트)


4. 2. 조리법

새우생선, 돼지고기소금강황 가루로 양념하여 재워둔다. 식용유를 넉넉히 두르고 재워둔 주재료를 튀기듯 볶아낸다. 주재료를 볶았던 기름에 마늘, 양파레차도 마살로(고추 양념)를 볶는다. 이때 커리나무 잎이나 생강을 함께 볶기도 한다. 양념이 익으면 볶아두었던 새우나 생선, 돼지고기를 다시 넣고 식초(주로 야자식초)를 부어 졸인다. 덜 맵게 만들 때는 토마토 퓌레나 건새우 가루를 넣기도 한다.

다른 조리법으로는 생강, 마늘, 구운 향신료를 식초와 함께 갈아 페이스트를 만드는 방식이 있다.[3] 이 경우, 먼저 새우를 기름에 튀겨 익으면 잠시 꺼내둔다.[3] 그 다음 팬에 양파와 토마토를 볶다가, 미리 만든 향신료-식초 페이스트, 설탕, 소금을 넣는다.[3] 기름이 양념(마살라)에서 분리되기 시작할 때까지 볶다가, 꺼내두었던 새우를 다시 넣고 몇 분 더 조리한다.[3]

돼지고기 발창


발창은 보통 뜨겁게 지은 흰 쌀밥과 함께 먹으며, 냉장 보관하면 잘 보존된다.

전통적으로 가톨릭 가정에서는 신맛을 위해 코코넛 식초를 사용하고, 힌두교 가정에서는 맛을 순하게 하기 위해 사탕수수 식초를 사용하기도 했다. 현재는 백식초나 맥아 식초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사진

참조

[1] 서적 Goa & Mumbai Lonely Planet 2009
[2] 웹사이트 Goan Prawn Balchao {{!}} Prawn Pickle Goan Style + Video https://www.rakshask[...] 2024-02-20
[3] 뉴스 Pickle Style Dry Goan Prawns https://www.thespruc[...] 2018-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