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아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아 요리는 인도 고아 지역의 요리로,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의 영향으로 인도 요리와 포르투갈 요리가 융합된 특징을 보인다. 해산물을 중심으로 코코넛, 향신료를 활용하며, 고아 힌두 요리는 채식 위주, 고아 가톨릭 요리는 육류를 포함한 다양한 요리를 선보인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빈달루, 소르포텔, 샤쿠티 등이 있으며, 빵과 디저트 문화도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아 요리 | |
|---|---|
| 개요 | |
![]() | |
| 종류 | 인도 요리 |
| 지역 | 고아 주 |
| 주요 재료 | 쌀 해산물 코코넛 향신료 고기 |
| 영향 받은 문화 | 포르투갈 요리 인도 요리 |
| 특징 | |
| 매운맛 | 강함 |
| 주식 | 쌀과 생선 |
| 코코넛 | 코코넛과 코코넛 오일 광범위하게 사용 |
| 식초 | 코코넛 식초 사용 |
| 주요 요리 | |
| 생선 요리 | 생선 카레 새우 카레 방그라 튀김 생선 암부틱 생선 라이스 |
| 고기 요리 | 돼지고기 비달루 소시지 칠리 치킨 카페랄 |
| 채식 요리 | 콩 카레 야채 카레 두부 |
| 빵 | 폴리 파오 |
| 디저트 | 베빙카 도도 페브 |
| 음료 | 페니 킹스 맥주 |
| 기타 | |
| 참고 | 인도 요리와 포르투갈 요리의 융합 |
2. 역사
고아 요리의 역사는 크게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포르투갈 식민 지배 이전의 고아 힌두 요리는 주로 생선과 채식을 기반으로 하며, 사라스와트 요리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타마린드, 코쿰(''kokum''), 자가리, 다양한 향신료와 채소를 사용하며 코코넛 오일을 주로 활용했다.
1510년 포르투갈인들이 고아에 도착하면서 고아 요리에는 큰 변화가 생겼다. 포르투갈인들은 감자, 토마토, 파인애플, 구아바, 캐슈 등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져온 신대륙 작물을 소개했다. 특히 고추의 도입은 고아뿐만 아니라 인도 요리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쳐 중요한 향신료로 자리 잡았다. 또한 쇠고기와 돼지고기 같은 육류가 소개되었으나, 힌두교 문화의 영향으로 여전히 많은 고아 사람들은 육류를 섭취하지 않거나 가톨릭 신자 중에서도 채식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포르투갈의 영향은 인도 요리와 포르투갈 요리의 요소가 결합된 독특한 고아 가톨릭 요리를 탄생시켰다. 고기 요리에 식초(주로 코코넛 식초)를 사용하여 신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돼지고기를 사용한 빈달루(Vindaloo)나 소르포텔(Sarapatel)과 같은 요리가 대표적이다. 이처럼 고아 요리는 토착 음식 문화와 포르투갈로부터 유입된 식재료 및 조리법이 융합되어 독특하게 발전해 왔다.
2. 1.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 이전
고아 주의 고아 힌두 요리는 주로 생선을 먹거나 유제품을 섭취하는 채식 형태이며, 그 기원이 되는 사라스와트 요리와 매우 유사하다. 고아 힌두 요리는 순한 맛이 특징이며, 신맛을 내기 위해 타마린드와 코쿰(''kokum'')을 사용하고, 단맛을 내기 위해 자가리(재거리)를 사용한다. 또한 아사페티다, 호로파, 카레 잎, 겨자, 우라드 달과 같은 향신료를 사용하며, 양파와 마늘도 들어간다. 렌즈콩, 호박, 박, 죽순, 뿌리채소와 같은 다양한 채소도 요리에 포함된다. 요리에는 주로 코코넛 오일이 사용된다.인기 있는 고아 힌두 요리는 다음과 같다.
| 이름 | 설명 |
|---|---|
| 후만(हुमण|후만kok) | 생선 카레. 찐 쌀(शीत/भात)과 함께 먹으며 카디(कडी|카디kok) 또는 암밧(आंबट|암밧kok)이라고도 한다. |
| 생선 튀김 (तळील्लें नूस्तें) | - |
| 생선 수케(सुकें नूस्तें|수켄 누스텐kok) 또는 다브다빗 | 생선을 매콤하게 말려 조리한 반찬. |
| 생선 우디드 메티/우다메티(उद्दमेथी|우다메티kok) | 호로파와 고등어로 구성된 카레의 일종이다. 이 요리의 채식 버전은 돼지 자두나 생 망고 조각처럼 시고 톡 쏘는 맛이 나는 재료를 사용하여 준비하기도 한다. |
| 키스무르(किस्मुर|키스무르kok) | 일반적으로 말린 생선(주로 고등어 또는 새우), 양파, 코코넛으로 구성된 일종의 반찬이다. |
| 당가르(डांगर|당가르kok) | 고아식 생선 커틀릿. |
| 칼푸티 | 일반적으로 양파와 코코넛을 사용하여 큰 생선 머리로 준비한 요리이다. |
| 바지/샤크(भाजी/शाक|바지/샤크kok) | 다양한 채소와 과일로 만든 스튜, 카레 및 볶음 요리를 일반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 바지 | 베산(병아리콩 가루) 반죽으로 튀긴 튀김. 베산과 함께 사용하는 채소를 변경하여 다양한 종류의 바지를 만들 수 있다. 인기 있는 바지에는 양파나 칠리를 넣은 것이 있다. |
| 카트카테(ख़तखतें|카트카텐kok) | - |
| 바란 | 렌즈콩을 코코넛 밀크로 끓이고 겨자, 카레 잎, 칠리로 간을 한 요리. 쌀밥과 함께 제공되며, 모든 힌두교 축제 기간 동안 준비되는 나이베디야(신에게 바치는 음식)와 결혼 잔치의 필수 요소이다. |
| 톤다크(तोंडाक|톤다크kok) | 콩과 캐슈를 주재료로 하는 요리이다. |
| 쌀과 렌즈콩 과자 | 파야수, 파톨리, madgane|마드가네kok, 키르|고드쉔kok 등. |
| 절임(लोणचे)과 파파드(पापड) | - |
| 솔란치 카디(सोलांची कडी|솔란치 카디kok) | 매운 코코넛과 코쿰(kokum)으로 만든 카레이다. |
2. 2.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 (1510년-1961년)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는 고아 요리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포르투갈인들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져온 여러 신대륙 작물을 고아에 소개했는데, 대표적으로 감자, 토마토, 파인애플, 구아바, 캐슈 등이 있다. 특히 캐슈넛은 현재 고아에서 널리 재배되며 '고아 캐슈'로 유명해졌다. 이러한 작물들은 고아를 거쳐 인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그중에서도 고추는 고아 요리뿐만 아니라 인도 요리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향신료 중 하나가 되었다. 포르투갈인들이 들여온 고추는 매운맛을 선호하는 인도 식문화에 빠르게 자리 잡았다.
또한 포르투갈인들은 쇠고기와 돼지고기 같은 육류를 고아에 소개했다. 하지만 힌두교도가 다수인 고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육류를 먹지 않으며, 가톨릭으로 개종한 사람들 중에서도 페스코나 락토-오보 채식 식단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고아 가톨릭 요리는 이러한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아 인도 요리와 포르투갈 요리가 결합된 독특한 퓨전 요리로 발전했다. 특히 고기 요리에는 식초(주로 코코넛으로 만든 식초)를 사용하여 신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고아 가톨릭 요리로는 돼지고기로 만든 소르포텔(Sarapatel)과 빈달루(Vindaloo) 등이 있다. 빈달루는 고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인기 있는 고아식 카레 요리이다.
3. 식재료
해산물은 고아 요리의 중심을 이룬다. 주식으로는 쌀밥과 생선을 먹는데, 가장 흔히 먹는 생선은 인도태평양삼치[2] 와 고등어(현지어 ''Visvonn'' 또는 ''Isvonn'')이다.[2] 그 외에도 새다래류, 다랑어류, 고등어류, 상어고기, 돔, 참치, 정어리 등을 먹는다.[2] 해산물 중에서는 게, 새우(타이거 새우 포함), 바닷가재, 오징어, 담치류(홍합)가 흔히 쓰인다.[2] 이 외에도 코코넛, 채소, 고기, 현지 향신료가 중요한 식재료이며, 코캄을 사용하는 것도 고아 요리의 특징 중 하나다.
고아 요리는 크게 힌두 요리와 가톨릭 요리로 나뉘며, 사용하는 식재료에 차이가 있다.
고아 힌두 요리는 주로 페스코(어식) 또는 락토-오보 채식 위주이며, 사라스와트 요리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신맛을 내기 위해 타마린드와 코캄을 사용하고, 단맛을 내기 위해 재거리를 사용한다. 아위, 호로파, 커리 잎, 갓, 우라드콩, 마늘, 생강 등의 향신료가 흔히 쓰인다. 또한 여러 종류의 달(렌즈콩), 호박, 죽순, 뿌리채소 등을 사용하며, 코코넛기름으로 조리하는 경우가 많다.
고아 가톨릭 요리는 포르투갈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포르투갈인들은 감자, 토마토, 고추, 파인애플, 구아바, 캐슈 등 브라질에서 가져온 신대륙 작물을 고아에 소개했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육류도 포르투갈인에 의해 소개되었으나, 고아의 힌두교도와 가톨릭으로 개종한 사람들 다수는 전통적으로 육류를 잘 먹지 않는다. 고아 가톨릭 요리의 또 다른 특징은 식초를 자주 사용하는 것인데, 특히 코코넛 나무 수액을 발효시켜 만든 야자 식초(토디 식초)가 많이 쓰인다.[2]
4. 종류
고아 요리는 크게 고아 힌두 요리와 고아 가톨릭 요리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독특한 특징과 역사를 지닌다.
고아 힌두 요리는 전통적인 사라스와트 요리에 기반을 두며, 주로 채식이나 페스코 채식 식단을 따른다. 맛은 비교적 순하며, 타마린드나 코캄으로 신맛을, 재거리로 단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향신료와 렌즈콩, 다양한 채소가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반면, 고아 가톨릭 요리는 포르투갈 요리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형성된 퓨전 요리이다.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으며, 특히 포르투갈로부터 전래된 야자 식초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활용한 요리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외에도 고아에는 베빈카, 도돌, 파톨레오 등 독특하고 다양한 디저트가 발달해 있다.
4. 1. 고아 힌두 요리
고아 힌두 요리는 주로 페스코(생선은 먹는 채식) 또는 락토-오보 채식(유제품과 달걀은 먹는 채식) 위주이며, 기원인 사라스와트 요리와 매우 유사하다. 맛은 비교적 순하며, 신맛을 내기 위해 타마린드와 코캄을 사용하고, 단맛을 내기 위해 재거리를 사용한다. 아위, 호로파, 커리나무 잎, 갓, 겨자, 우라드콩과 같은 향신료가 흔히 쓰이며, 양파, 마늘, 생강도 사용된다. 렌즈콩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달과 호박, 박, 죽순, 뿌리채소 같은 채소가 주요 재료로 쓰이며, 조리 시에는 코코넛기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대표적인 고아 힌두 요리는 다음과 같다.
- 후만(हुमण|후만kok): 생선 카레. 찐 쌀밥과 함께 먹으며 카디(कडी|카디kok) 또는 암밧(आंबट|암밧kok)이라고도 불린다.
- 생선 튀김 (तळील्लें नूस्तें|탈릴렌 누스텐kok)
- 생선 수케(सुकें नूस्तें|수켄 누스텐kok) 또는 다브다빗: 생선을 매콤하고 마르게 조리한 것으로, 반찬으로 제공된다.
- 생선 우디드 메티(उद्दमेथी|우다메티kok): 호로파와 고등어를 넣어 만든 카레의 일종이다. 채식 버전은 돼지 자두나 생 망고 조각처럼 시고 톡 쏘는 맛을 내는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 키스무르(किस्मुर|키스무르kok): 주로 말린 생선(주로 고등어 또는 새우), 양파, 코코넛으로 만드는 반찬이다.
- 당가르(डांगर|당가르kok): 고아식 생선 커틀릿.
- 칼푸티: 주로 큰 생선 머리를 양파, 코코넛과 함께 조리한 요리이다.
- 바지(भाजी|바지kok)/샤크(शाक|샤크kok): 다양한 채소와 과일로 만든 스튜, 카레, 볶음 요리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 바지: 베산(병아리콩 가루) 반죽으로 튀긴 튀김. 사용하는 채소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양파나 칠리를 넣은 것이 인기가 있다.
- 카트카테(ख़तखतें|카트카텐kok)
- 바란: 렌즈콩을 코코넛 밀크에 끓이고 겨자, 커리나무 잎, 칠리로 간을 한 요리이다. 쌀밥과 함께 제공되며, 모든 힌두교 축제 기간 동안 준비되는 나이베디야(신에게 바치는 음식)와 결혼 잔치에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 톤다크(तोंडाक|톤다크kok): 콩과 캐슈를 주재료로 하는 요리이다.
- 쌀과 렌즈콩으로 만든 다양한 종류의 과자: 파야수, 파톨리, madgane|마드가네kok, 키르(고드쉔) 등이 있다.
- 다양한 종류의 절임과 파파드 (लोणचे आनी पापड|론체 아니 파파드kok)
- 솔란치 카디(सोलांची कडी|솔란치 카디kok): 매콤한 코코넛과 코캄으로 맛을 낸 카레이다.
4. 2. 고아 가톨릭 요리
고아 가톨릭 요리는 인도와 포르투갈 요리가 융합된 퓨전 요리이다.[2] 포르투갈 요리의 영향을 받아 식초, 특히 줄기에서 채취한 야자액을 4~6개월간 발효시킨 토디 식초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2] 고아인들의 요리는 대부분 해산물을 기반으로 하며, 주식은 쌀과 생선이다. 가장 흔하게 먹는 생선은 고등어(''Visvonn'' 또는 ''Isvonn'')이며, 그 외에도 돔, 상어, 참치, 정어리 등을 사용한다. 갑각류로는 게, 새우, 타이거 새우, 바닷가재, 오징어, 홍합 등이 있다. 포르투갈이나 다른 외국의 고아 음식점에서는 고기 요리를 흔히 내지만, 고아 현지에서는 기독교 개종자라 하더라도 페스코 또는 락토-오보 채식 식단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고아 가톨릭교도들이 즐겨 먹는 주요 요리는 다음과 같다.
- ''Ambott tîk'': 생선으로 만든 매콤하고 시큼한 카레.
- ''Jeerem-Meerem'': 위 요리보다 더 매콤하고 덜 시큼한 버전.
- ''발샹'' (`Balchanv`): 새우로 만든 피클 카레.
- ''Mol'' (`Mole de Peixe`): 생선으로 만든 피클 카레.
- ''카페랄'': 마살라 양념(고수 잎, 녹색 칠리 등)으로 만든 요리로, 주로 닭고기나 생선에 사용한다.
- ''Canja de galinha'': 쌀과 닭고기를 곁들여 먹는 일종의 닭고기 육수.
- ''차무사'': 고아/포르투갈식 사모사.
- ''Choris'' (`초리소`): 매운 돼지고기 소시지.
- 크로켓: 튀긴 다진 쇠고기 롤. 고아 가톨릭교도와 포르투갈인들이 즐겨 먹는 간식.
- ''페이조아다'': 포르투갈 유래 스튜. 고기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 콩, 양배추로 만든다.
- 고아 수프
- 로스트 비프와 쇠고기 혀: 고아 축제에서 인기 있는 요리.
- ''로스 오믈렛'': 매콤한 닭고기 또는 병아리콩 그레이비에 적셔 ''파오''(빵)와 함께 제공되는 오믈렛.
- ''Samarachi koddi'': 신선하고 말린 새우로 만든 고아 카레.
- ''사나'': 촉촉하고 스펀지 같은 쌀 케이크. idli의 변형.
- ''Solantule kodi'': 매콤한 코코넛 밀크와 코쿰 카레.
- ''소르포텔'' (`Sorpotel`): 매우 매운 돼지고기 요리. ''사나'' 또는 ''파오''와 함께 먹는다.
- ''빈달루'': 전통적으로 돼지고기로 만드는 매운 카레. 이름은 '마늘'과 '와인'을 뜻하는 포르투갈어("''vinho e alho''" 또는 "''vinha d'alhos''") 양념에서 유래했다. 고아 외 지역의 대중적인 버전과 달리, 전통적인 빈달루는 돼지고기 외 다른 고기나 감자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름이 힌디어 단어 '''āloo'''(감자)와 관련 없다.[3]
- ''샤쿠티'' (`Shâgotî`): 구운 강판 코코넛과 닭고기 또는 양고기 조각으로 만든 카레.


빵은 고아 요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포르투갈에서 유래했으며, 인도의 다른 지역 빵과는 다르다. 포르투갈인들은 1550년경 살세테 마을에서 현지인들에게 빵 만드는 법을 가르치기 시작했다.[4] 고아 빵은 종종 발효제로 야자주(토디)를 사용한다. 현지 빵 종류는 다음과 같다.
- ''pao'': 가장 흔한 빵. 브리오슈와 비슷한 질감.
- ''katre pao'': 뾰족한 모서리가 있는 사각형 빵.
- ''undo'': 겉면이 바삭한 부드러운 빵.
- ''kankonn'': 구멍이 있는 둥근 빵. 베이글과 모양은 같지만 지름이 더 크며, 오랫동안 보관 가능.
- ''poie'': 톡 쏘는 부스러기가 있는 농가형 빵.
4. 3. 디저트
단맛과 디저트는 콩카니어로 'Goddxem'(또는 Godshem)이라고 한다. 고아의 인기 있는 디저트는 다음과 같다.- ''아로즈 도스''(Arroz doce): 포르투갈식 설탕을 넣은 쌀 커스터드.
- ''베빈카''(Bebinca 또는 Bêbîk): 전통적으로 크리스마스에 먹는 여러 겹으로 구운 푸딩.
- 캐슈 ''라두''(Ladoo)
- ''네브리오''(Neurio): 코코넛, 설탕, 양귀비 씨, 녹색 카다몬, 아몬드로 만든 속을 채운 달콤한 튀김 만두.
- ''카제''(Khaje)
- 레브됴(Revdyo)
- ''사카르바트''(Sakharbhat): 설탕과 코코넛을 넣은 쌀.
- 마드가네(Madgane)
- ''파야사''(Payasa)
- ''할와''(Halwa): ''달리 카파''(적두 할와), 캐슈 할와, 망고 할와, 바나나 할와, 호박 할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도돌''(Dodol)
- ''파톨레오''(Patoleo) 또는 ''파톨리''(Patoli): 쌀, ''달'', 자거리, 코코넛으로 속을 채워 강황 잎에 찐 요리.
- ''세라두라''(Serradura)
- ''쿠스와르''(Kuswar)
- ''페라다''(Perad 또는 Goiabada)
참조
[1]
뉴스
Goa and its cuisine
http://economictimes[...]
The Times Of India
2008-04-03
[2]
논문
‘“I’m Goan Because I Eat Goan Food”: A Critical Look at the History of Goan Canadians.’
https://doi.org/10.1[...]
2021-09-20
[3]
웹사이트
Cricket News, Latest Cricket News Today, Live Cricket Score, Live Score Online Updates
http://cricket.expre[...]
[4]
간행물
How a breadwinner lost its charm in Goa
https://timesofindia[...]
2024-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