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케슈처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케슈처버는 헝가리 대평원에 위치한 도시로, 부다페스트에서 남동쪽으로 215km 떨어져 있다. 1330년대에 '처버'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1495년에는 헝가리인 정착지였다. 오스만 제국 시기를 거쳐 18세기 초 재건된 후, 철도 연결과 산업 발전을 통해 성장했다. 19세기 말 실업 문제로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 점령과 유대인 학살, 소련군 점령 등의 역사를 겪었다. 사회주의 시대에는 베케시 주의 주도가 되었고, 헝가리의 주요 식품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 현재는 헝가리 식품 산업의 중심지로 남아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주요 명소로는 대 루터교회, 성 안토니오 대성당, 시청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주도 - 죄르
    죄르는 헝가리 서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켈트족,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의 침략을 겪으면서도 발전해 1743년 제국자유도시 지정, 19세기 중반 도나우 강 증기선 운항으로 무역 도시로 번성, 현재는 아우디 공장이 위치한 산업 도시이자 역사적 건물과 문화를 간직한 13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헝가리 서부 지역의 물류 중심지이자 경제 활동의 중추 도시이다.
  • 헝가리의 주도 - 에게르
    헝가리 북동부 헤베시주에 있는 에게르는 역사적 요새 도시이자 종교 중심지로서, 바로크 양식 건축물, "에그리 비카베르" 와인, 온천 등으로 유명하며 "헝가리의 아테네"라는 별칭을 가진 관광 도시이다.
  • 헝가리의 도시주 - 죄르
    죄르는 헝가리 서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켈트족,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의 침략을 겪으면서도 발전해 1743년 제국자유도시 지정, 19세기 중반 도나우 강 증기선 운항으로 무역 도시로 번성, 현재는 아우디 공장이 위치한 산업 도시이자 역사적 건물과 문화를 간직한 13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헝가리 서부 지역의 물류 중심지이자 경제 활동의 중추 도시이다.
  • 헝가리의 도시주 - 에르드
    에르드는 헝가리 중부 다뉴브 강 인근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시대 인류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고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72년 이후 급성장하여 2006년 주 권한을 가진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성 미카엘 교회, 에르드 미나레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는 지방 자치 정부 도시이다.
  • 헝가리의 도시 - 죄르
    죄르는 헝가리 서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켈트족,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의 침략을 겪으면서도 발전해 1743년 제국자유도시 지정, 19세기 중반 도나우 강 증기선 운항으로 무역 도시로 번성, 현재는 아우디 공장이 위치한 산업 도시이자 역사적 건물과 문화를 간직한 13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헝가리 서부 지역의 물류 중심지이자 경제 활동의 중추 도시이다.
  • 헝가리의 도시 - 에르드
    에르드는 헝가리 중부 다뉴브 강 인근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시대 인류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고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972년 이후 급성장하여 2006년 주 권한을 가진 도시로 승격되었으며, 성 미카엘 교회, 에르드 미나레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는 지방 자치 정부 도시이다.
베케슈처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베케슈처버 시청
베케슈처버 시청
공식 명칭베케슈처버 시
슬로바키아어베케슈스카 차바
로마자 표기Békéscsaba
위치헝가리
면적193.93 km²
고도89m
행정 구역
국가헝가리
베케시 주
베케슈처버 구
인구 통계
총 인구59,732명 (2017년)
인구 순위헝가리 내 16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정치
시장페테르 사르바시 (무소속)
지리
좌표북위 46° 40′ 44.4″ 동경 21° 05′ 27.6″
기타 정보
시간대CET (+1)
일광 절약 시간CEST (+2)
우편 번호5600, 5623, 5671
지역 번호(+36) 66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베케슈처버 시기
시기
베케슈처버 시 문장
시 문장

2. 역사

베케슈처버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철기 시대에는 스키타이인, 켈트족, 훈족 등이 거쳐갔으며, 마자르인의 정착 이후 여러 마을이 형성되었다. 중세에 '처버'(Csaba|처버hu)라는 이름의 마을이 기록되었으나,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과정에서 파괴되는 아픔을 겪었다. 18세기에 이르러 슬로바키아인 정착민들을 중심으로 재건이 시작되었고, 19세기 철도 부설과 함께 근대적인 도시로 발전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루마니아 점령, 트리아농 조약 이후 지역 중심 도시로서의 역할 변화, 공산주의 시기와 체제 전환 등 격동의 현대사를 거치며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1. 초기 역사

이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으며, 철기 시대에는 스키타이인, 켈트족, 훈족 등이 차례로 이 지역을 차지했다. 마자르인의 헝가리 정복 이후에는 여러 작은 마을들이 들어섰다.

중세 시기인 13세기에 '처버'(Csaba|처버hu)라는 이름의 마을이 세워졌고, 1330년대 문헌에 처음으로 그 이름이 등장한다.[3] 당시 현재의 베케슈처버 자리에는 처버 외에도 8개의 다른 마을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헝가리 왕실 재무부 기록에 따르면, 1495년 당시 베케슈처버는 헝가리인 정착지였다.[4] 이후 오스만 제국헝가리 왕국 중남부를 정복하여 이 지역이 오스만 제국령 헝가리의 일부가 된 후에도 처버 마을은 한동안 유지되었으나, 17세기에 합스부르크-오스만 전쟁이 격화되면서 결국 파괴되어 사라졌다.[3]

1715년 기록에는 처버가 황폐한 곳으로 묘사되었으나, 불과 1년 뒤 세금 납부 기록에 다시 이름이 나타난다. 이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 베케시 주 일대를 확보한 하루케른 야노시 죄르지(Harruckern János György|하루케른 야노시 죄르지hu)가 새로운 처버 마을을 건설하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는 1718년, 황폐해진 이 지역에 상부 헝가리(현재의 슬로바키아 지역) 출신의 슬로바키아인들을 정착시켰다.[3]

2. 2. 오스만 제국 시기

중세 헝가리 마을인 처버(Csaba)는 1330년대 문헌에 처음 등장했으며,[3] 오스만 제국헝가리 남부와 중부를 정복하여 이 지역이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된 이후에도 한동안 존속했다. 하지만 17세기 오스만 제국과의 계속된 전쟁 와중에 결국 소멸하고 말았다.[3]

1715년의 기록에는 처버가 황폐한 곳으로 언급될 정도로 파괴되었으나, 불과 1년 뒤 세금 납부 마을 목록에 다시 이름이 등장한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부터 헝가리를 해방시키는 데 공을 세우고 베케시 주 일대를 사들인 하루케른 야노시 죄르지(Harruckern János György)가 새로운 처버를 건설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1718년, 하루케른은 황폐해진 이 지역에 상부 헝가리(현재의 슬로바키아 지역)에서 온 슬로바키아인 정착민들을 초대하여 마을 재건의 기틀을 마련했다.[3]

2. 3. 재건과 발전

17세기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으로 인해 과거 처버(Csaba) 마을은 명맥이 끊어졌고, 1715년 당시에는 황폐한 곳으로 남아 있었다.[3] 그러나 불과 1년 뒤 세금 납부 기록에 다시 등장하는데, 이는 헝가리를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키는 데 공을 세우고 베케시 주를 사들인 하루케른 야노시 죄르지(Harruckern János György)가 새로운 처버를 건설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1718년, 하루케른은 황폐해진 이 지역에 상부 헝가리 출신의 슬로바키아인들을 정착시켰다.[3]

작은 루터교 교회와 큰 교회


모르 요카이 극장


1847년에는 인구 22,000명으로 헝가리에서 20번째로 큰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진흙길과 빽빽한 집들이 들어선 큰 마을과 같은 모습이었다. 1858년 철도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발전이 시작되어 새로운 주택과 공장이 건설되고 도시는 번영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세기 말에는 실업 문제가 심화되어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었고, 1891년에는 농민들의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으나 루마니아 군대의 도움으로 진압되었다. 이 시기 중요한 정치 인물로는 농민당을 창설하고 베케슈처버를 "의회가 있는 도시"로 승격시키는 데 기여한 언드라시 L. 아킴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도시에 큰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1919년부터 1920년까지는 루마니아의 점령 하에 놓이기도 했다. 트리아농 조약으로 헝가리가 남부의 주요 도시인 아라드와 나지바라드(오라데아)를 잃게 되면서, 베케슈처버는 이들 도시의 역할을 이어받아 헝가리 남동부 지역의 가장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1920년대에는 슬로바키아인보다 헝가리인 인구가 많아졌고, 1930년 인구 조사에서는 헝가리인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4]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에는 경제 침체로 빈곤과 실업이 증가했으며, 1925년에는 큰 홍수를 겪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시 자체에서 직접적인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비극적인 사건들이 발생했다. 1944년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3,000명이 넘는 유대인 주민들이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로 강제 이송되었다. 같은 해 9월 21일에는 영국과 미국 공군이 기차역과 그 주변을 폭격하여 100명 이상이 사망했다. 1944년 10월 6일에는 소련군이 베케슈처버를 점령했다.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베케슈처버는 1950년 베케시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헝가리에서 중요한 식품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3] 1989년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진 후 산업 기반이 약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위기는 극복된 것으로 보이며, 베케슈처버는 여전히 헝가리 식품 산업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5]

2. 4. 20세기 이후

19세기 말, 실업 문제가 심화되면서 도시 내 긴장이 고조되었고, 1891년에는 루마니아 왕국 군대의 도움으로 진압된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시기 중요한 정치 인물 중 한 명인 언드라시 L. 아킴은 농민당을 창설하고 베케슈처바를 "의회가 있는 도시"로 승격시키는 데 기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도시에 큰 고통을 안겼다. 전쟁 후 1919년부터 1920년까지 베케슈처바는 루마니아의 점령 하에 있었다. 트리아농 조약의 결과로 헝가리가 남부의 주요 도시인 아라드와 나지바라드(현재의 오라데아)를 잃게 되자, 베케슈처바는 이들 도시의 역할을 이어받아 해당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로 부상했다. 1920년대에는 헝가리인 인구가 슬로바키아인을 넘어서, 1930년 인구 조사에서는 헝가리인이 다수 민족이 되었다.[4]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 기간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컸다. 1925년에는 큰 홍수를 겪었으며, 1929년 시작된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빈곤과 실업이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베케슈처바에서는 직접적인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1944년에 비극적인 사건들이 발생했다.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3,000명이 넘는 유대인 주민들이 아우슈비츠로 강제 이송되었다. 같은 해 9월 21일에는 영국 공군과 미국 공군 연합군의 폭격으로 기차역과 그 주변 지역이 파괴되어 100명 이상의 주민이 목숨을 잃었다. 1944년 10월 6일, 소련군이 베케슈처바를 점령했다.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베케슈처바는 1950년에 베케시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헝가리의 주요 식품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3] 1990년 민주화 이후 산업 기반이 약화되면서 많은 주민들이 일자리를 잃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이후 침체기를 점차 극복하여 오늘날 베케슈처바는 다시 헝가리의 중요한 식품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5]

3. 인구

베케슈처버의 역사적 인구 및 주요 민족 비율[6][7]
연도총 인구헝가리인 (%)슬로바키아인 (%)
188032,6166,250 (19.2%)24,073 (73.8%)
189034,2437,728 (22.6%)25,917 (75.7%)
190037,5479,501 (25.3%)27,488 (73.2%)
191042,59913,271 (31.2%)28,682 (67.3%)
192046,63321,407 (45.9%)24,710 (53%)
193049,37430,054 (60.9%)18,931 (38.4%)
194152,40435,258 (67.3%)16,781 (32%)
194945,89244,328 (96.6%)1,254 (2.7%)
196050,21247,840 (95.3%)2,170 (4.3%)
198067,22566,388 (98.8%)679 (1%)
200167,96863,782 (93.8%)4,078 (6%)
201162,05051,842 (83.5%)1,881 (3%)



베케슈처버의 인구 구성은 역사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슬로바키아인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헝가리인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헝가리인이 압도적인 다수를 점하게 되었다. 특히 1949년 인구 조사에서 슬로바키아인 비율이 2.7%로 급격히 감소했는데, 이는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 간의 인구 교환 등 역사적 사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20세기 후반에는 인구가 증가했지만, 21세기에 들어서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2011년 기준 총 인구는 62,050명이다.[8]

3. 1. 민족 구성

1880년 조사에 따르면, 베케슈처버에는 슬로바키아인 25,339명과 헝가리인 6,579명이 거주했다.

2001년 인구 조사 당시 시의 인구는 67,383명이었으며, 민족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다.

민족비율
헝가리인93.8%
슬로바키아인6%
독일인0.6%
로마인0.4%
루마니아인0.4%
슬로베니아인0.2%
우크라이나인0.1%
불명5.6%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케슈처버의 총 인구는 62,050명이었으며, 민족별 인구는 다음과 같았다.[8]

민족인구 수비율
헝가리인51,842명83.5%
슬로바키아인1,881명3%
로마인402명0.6%
루마니아인293명0.5%
독일인170명0.3%
민족성 미표기9,666명15.6%



헝가리에서는 한 사람이 2개 이상의 민족성을 밝힐 수 있으므로, 일부 응답자는 헝가리인과 다른 소수 민족 정체성을 함께 표기하기도 했다.[9]

같은 2011년 조사에서 언어 사용 현황을 보면, 헝가리어 사용자가 61,912명(99.8%)으로 가장 많았고, 영어 10,140명(16.3%), 독일어 4,821명(7.8%), 슬로바키아어 3,399명(5.5%) 순이었다.[8]

3. 2. 종교 구성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베케슈처버의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로마 가톨릭 교회: 24.2% (주로 헝가리인 신자)
  • 루터교: 20.5% (주로 슬로바키아인 신자)
  • 칼뱅주의 (헝가리 개혁교회): 10.9% (헝가리인 신자)
  • 그 외의 종교: 2.1% (주로 기독교)
  • 무신론: 30.5%
  • 무응답, 불명: 10.8%


베케슈처버의 종교 구성은 시간에 따라 변화해왔다. 1869년 헝가리 최초의 근대적 인구 조사 당시에는 전체 인구 30,022명 중 루터교 신자가 21,988명(73.2%)으로 가장 많았고, 로마 가톨릭 신자 5,880명(19.6%), 유대교 신자 1,043명(3.5%), 동방 정교회 신자 520명(1.7%), 헝가리 개혁교회 신자 436명(1.4%) 순이었다.[10]

1949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45,892명 중 루터교 신자가 25,661명(56.2%)으로 여전히 가장 많았으나 비율은 감소했다. 로마 가톨릭 신자는 14,216명(31.1%)으로 증가했고, 헝가리 개혁교회 신자는 4,750명(10.4%), 유대교 신자는 498명(1.1%)이었다.[11]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로마 가톨릭 신자가 10,694명(17.2%), 루터교 신자가 8,012명(12.9%), 헝가리 개혁교회 신자가 4,408명(7.1%)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무종교 인구가 19,650명(31.7%)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무신론자는 1,027명(1.7%)이었다. 종교를 밝히지 않은 응답자도 16,883명(27.2%)에 달했다.[8]

베케슈처버 종교 구성 변화 (인구 조사 기준, %)
연도로마 가톨릭루터교개혁교회 (칼뱅주의)유대교동방 정교회기타 기독교무종교/무신론무응답/불명
1869년[10]19.673.21.43.51.7---
1949년[11]31.156.210.41.1----
2001년24.220.510.9--2.130.510.8
2011년[8]17.212.97.1---33.4 (무종교 31.7 + 무신론 1.7)27.2


4. 지리

베케슈처버는 헝가리 대평원에 위치하며, 부다페스트에서 남동쪽으로 215km 떨어져 있다. 44번 국도, 47번 국도, 베케슈처버 순환도로(도시 주변) 및 부다페스트-솔노크-베케슈처버-뢰쾨시하저 고속철도(120–160km/h) 노선이 도시를 통과한다. 44번 국도는 베케슈처버와 귈러 사이의 4차선 고속도로이다.[2]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도시의 총 면적은 193.93km2이다.

5. 기후

베케슈처버는 습윤 대륙성 기후 (쾨펜 ''Dfa'')이며, 습윤 아열대 기후 (쾨펜 ''Cfa'')에 근접하다. 연평균 기온은 11.2°C이며,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기온이 22.1°C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이 -0.5°C이다. 연 강수량은 574.3mm이며, 6월이 68mm로 가장 강수량이 많고, 1월은 32.2mm로 가장 건조하다. 역대 최고 기온은 2000년 8월 21일에 기록된 41.7°C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2001년 12월 25일에 기록된 -24.6°C이다.

베케슈처버의 기후 (1991년~2020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C)16.820.525.130.633.138.139.441.736.429.124.517.441.7
평균 최고 기온(°C)2.95.711.617.923.126.728.829.023.317.410.43.816.7
일평균 기온(°C)-0.51.36.111.816.720.422.122.016.811.35.90.811.2
평균 최저 기온(°C)-3.5-2.60.95.610.314.015.615.310.96.12.0-2.16.0
역대 최저 기온(°C)-23.4-24.0-17.3-6.9-0.54.45.76.40.6-9.4-9.8-24.6-24.6
평균 강수량(mm)32.235.033.043.459.268.064.853.849.644.944.046.4574.3
평균 강수일수 (≥ 1.0 mm)6.77.16.07.57.78.67.65.56.66.37.18.084.7
평균 상대 습도(%)87.381.270.166.067.169.068.167.671.878.584.288.675.0
출처: NOAA[13]


6. 정치

베케슈처버의 현 시장은 페테르 사르바스(Hajrá Békéscsaba 소속)이다.[12]

2019년 헝가리 지방 선거 결과 선출된 지역 시의회는 시장 1명, 지역구 의원 12명, 비례대표 의원 5명 등 총 1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12] 2019년 선거 결과 베케슈처버 시의회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12]

정당의석 수
Hajrá Békéscsaba8
피데스-기독교민주인민당7
MSZP-LMP2
DK-요비크-Dialogue1


6. 1. 역대 시장

1990년 이후 역대 시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

시장정당임기
야노시 파프자유민주연맹1990–2006
귈러 반타라피데스-KDNP2006–2014
페테르 사르바시무소속 (Hajrá Békéscsaba)2014–


7. 주요 명소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성당

  • 대 루터교회(Evangélikus Nagytemplom|hu)
  • 소 루터교회(Evangélikus Kistemplom|hu)
  •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성당(Páduai Szent Antal székesegyház|hu)
  • 시청(Városháza|hu): 1873년 이믈로스 이블이 설계했다.
  • 미하이 문카치 박물관(Munkácsy Mihály Múzeum|hu)
  • 미하이 문카치 기념관(Munkácsy Mihály Emlékház|hu)
  • 모르 요카이 극장(Jókai Színház|hu)
  • 슬로바키아 카운티 하우스(Szlovák Tájház|hu)
  • 슬로바키아 민속 박물관
  • 바로크 건축 양식 교회 (18세기)
  • 고전주의 교회 (19세기)

8. 자매 도시

베케슈처버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Békéscsaba, KSH http://www.ksh.hu/ap[...]
[2] 서적 Magyarország autóatlasz Dimap-Szarvas 2004
[3] 서적 Magyarország (Hungary) Panoráma 1982
[4] 서적 Etnikai térfolyamatok a Kárpát-medence határon túli régióiban Magyar Tudományos Akadémia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 Földrajtudományi Kutatóintézet (Academy of Geographical Studies) 2006
[5] 뉴스 Új élelmiszerüzem épül Békéscsabán (New food processing plant is going to build in Békéscsaba) http://www.szabadfol[...] Szabadföld 2013-05-04
[6] 웹사이트 1880-1980 (census data): Magyarország történeti statisztikai helységnévtára, 3. Békés megye, KSH, Budapest, 1993, ISBN 963-215-003-1 - 2001 (census data): Hungarian census 2001, table 4.1.11 - 2011 (census data): Hungarian census 2011, 3.1.6.1 http://www.nepszamla[...]
[7] 문서 Ethnic data in 2001 and 2011 censuses
[8] 웹사이트 2011 Hungarian census, Békés county, tables 3.1.4.2, 3.1.6.1, 4.1.7.1 http://www.ksh.hu/ne[...]
[9] 웹사이트 Hungarian census 2011 - final data and methodology http://www.ksh.hu/do[...]
[10] 서적 Az 1869. évi népszámlálás vallási adatai KSH 2005
[11] 서적 1949. évi népszámlálás - vallási adatok településenként KSH 1995
[12] 웹사이트 Városi közgyűlés tagjai 2019-2024 - Békéscsaba (Békés megye) https://www.valaszta[...] 2019-11-24
[13] 웹사이트 Békéscsab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28
[14] 웹사이트 Testvérvárosok https://bekescsaba.h[...] Békéscsaba 2021-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