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꽃은 씨앗의 배젖이 분가루와 같아 붙여진 이름으로, 칼 폰 린네가 명명한 *Mirabilis jalapa*의 한국어 명칭이다. 덩이뿌리 모양의 검은색 뿌리와 녹색 줄기를 가지며,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흰색, 적색, 황색 등의 나팔꽃 모양의 꽃이 피는 다년생 초본 관목 식물이다. 같은 식물에서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거나, 꽃의 색이 변하는 특징이 있으며, 꽃은 늦은 오후나 초저녁에 피어나 '네 시 꽃'이라는 별칭을 갖는다. 분꽃은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씨앗은 분으로, 뿌리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씨앗과 뿌리에는 유해한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꽃과 - 부겐빌레아
부겐빌레아는 남아메리카 원산의 가시 덩굴식물로, 밝은 포엽에 둘러싸인 작은 꽃과 다양한 종 및 재배 품종으로 인해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열정을 상징하고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 네팔의 식물상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네팔의 식물상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원예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원예 식물 - 국화속
국화속(Chrysanthemum)은 관상용 여러해살이풀로 두상화 형태의 꽃을 피우며, 다양한 색상과 크기를 가지고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분꽃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irabilis jalapa |
이명 | Mirabilis jalapa L. |
일반명 | marvel of Peru (페루의 경이), four o'clock flower (네 시 꽃) |
한국어 이름 | 오시로이바나 (オシロイバナ), 분꽃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피자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목 | 석죽목 |
과 | 분꽃과 |
속 | 분꽃속 (Mirabilis) |
분포 및 서식지 | |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
귀화 지역 |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지역 |
형태 | |
종류 | 다년생 초본식물 (온대 지역), 일년생 (추운 기후) |
높이 | 최대 1m |
잎 | 난형 또는 삼각형, 길이 2-6cm, 폭 1-5cm |
꽃 | 지름 2.5-3cm 색상: 흰색, 분홍색, 빨간색, 자홍색, 노란색 (하나의 식물에서 여러 색상이 나타날 수 있음) 저녁부터 아침까지 피어남 |
종자 | 검은색, 주름진 구형, 지름 5-8mm, "가루"를 포함 |
생태 | |
개화 시기 | 여름 |
활용 | |
용도 | 관상용 식물 |
기타 용도 | 뿌리는 이뇨제 및 완하제로 사용됨 잎은 염증을 줄이는 데 사용됨 종자는 화장품에 사용됨 |
기타 정보 | |
PLANTS 데이터베이스 ID | MIJA |
국립환경연구소 침입생물 DB | 오시로이바나 / 국립환경연구소 침입생물DB |
2. 명칭
한국에서는 분꽃의 씨앗 속 배젖이 분가루를 닮았다는 점에서 '분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3] 1753년 칼 폰 린네가 붙인 학명 ''Mirabilis jalapa''는 '놀라운'이라는 뜻의 라틴어 'Mirabilis'와 원산지 중 하나인 멕시코 할라파(Xalapa) 지역 이름에서 유래한 'jalapa'를 합쳐 만든 것이다.[3]
분꽃은 꽃이 피는 시간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영어권에서는 'Four o'clock flower'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는 씨앗 안의 흰 가루가 게이샤들이 사용하는 분인 ''oshiroi''를 닮았다고 하여 ''oshiroi-bana'' (オシロイバナ일본어)라고 부른다.[3] 중국에서는 "목욕꽃" () 또는 "밥 짓는 꽃" ()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이 활동들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꽃이 피기 때문이다.[3]
다른 나라에서도 분꽃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국가 | 이름 | 뜻 |
---|---|---|
그리스 | "Nychtolouloudo" (Νυχτολούλουδοgrc) | 밤의 꽃 |
몰디브 | "asurumaa" | 오후 3~4시(무슬림의 세 번째 기도 시간)에 피는 꽃 |
방글라데시 | sandhyamalati (সন্ধ্যামালতীbn) | 저녁 꽃 |
파키스탄 | gul adnan (گل عدنانur) 또는 gul-e-abbas (گل عباسur) | |
서벵골 | sandhyamoni (সন্ধ্যামণিbn) | 저녁 보석 |
스리랑카 | hendirikka (හෙන්දිරික්කාsi) | |
카르나타카 | sanje mallige (ಸಂಜೆ ಮಲ್ಲಿಗೆkn) | |
타밀나두 | andhi mandhaarai (அந்தி மந்தாரைta) | |
태국 | bānyĕn (บานเย็นth) | 저녁에 피는 꽃 |
안드라프라데시 | "chandrakantha"(చంద్రకాంతte) | 달빛 |
불가리아 | noshtna krasavica (нощна красавицаbg) | 밤의 미녀 |
독일 | Wunderblume | 기적의 꽃 |
케랄라 | naalumani poovu (നാലുമണിപ്പൂ, പതിറ്റടിമുല്ലml) | 4시 꽃 |
마하라슈트라 | gulabakshi (गुलबक्षीmr) | |
아삼 | godhuli gopal (গধূলিগোপালas) | 저녁 (godhuli) |
마이틸리어 | sanjhaa phool | |
오디샤 | rangani (ରଂଗଣୀor) | |
펀자브어에서는 | sham di sohnap | 저녁의 아름다움 |
인도네시아 | bunga pukul empat | |
말레이시아 | seroja | |
홍콩 | "자색 재스민" () | |
터키 | akşam sefası | 저녁의 즐거움 |
네덜란드, 프랑스 | nachtschone, belle de nuit | 밤의 미녀 |
이탈리아 | bella di notte | 밤에 아름다운 |
이란 | laleh abbasi (لاله عباسیfa) | |
이스라엘 | lilanit rav-gonit (לילנית רב-גוניתhe) | 다색 야행성 |
나미비아 | vieruurtjie | 4시 |
폴란드 | dziwaczek | 작은 이상한 사람, 약간의 특이함 |
슬로베니아 | nočna frajlica | 밤의 아가씨 |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 noćurak (ноћуракsr) | |
루마니아 | frumoasa nopții 또는 noptiță | 밤의 미녀 |
필리핀 | prinsesa ng gabi 또는 alas quatro | 밤의 공주, 4시에 |
칠레 | putita | 작은 창녀 |
멕시코, 쿠바 | maravilla | 경이 |
몰타 | ħummejr | |
러시아 | 'zorka'' (зорькаru) | 새벽 |
시리아 | alshab alzarif (الشاب الظريفar) | 매력적인 젊은이 |
우크라이나 | nichna krasunya (нічна красуняuk) | 밤의 미녀 |
콜롬비아 | Don Diego de noche | 밤의 디에고 씨 |
푸에르토리코 | Ceciliana | |
레바논 | shab el layl (شاب الليلar) | 밤의 젊은이 |
우타라칸드 | "गुल बांक" Gul baank |
분꽃은 검은색 덩이뿌리, 녹색 줄기를 가지며, 마디가 있고 높이는 60-100cm 가량으로 여러 갈래로 나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나팔꽃 모양의 흰색, 붉은색, 노란색 등의 꽃이 해질 무렵부터 아침까지 핀다.[3]
3. 특징
같은 식물에서 서로 다른 색깔의 꽃이 피거나, 하나의 꽃에 여러 색깔이 섞여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노란색 품종은 성숙하면서 점차 어두운 분홍색으로, 흰색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은 꽃잎이 아닌 꽃받침의 색소 침착 변형이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을 가지고 있다.[12]
꽃은 늦은 오후나 초저녁, 흐린 날씨에 피며, 담배 꽃을 연상시키는 향기로 스핑크스 나방이나 호크 나방과 같은 긴 혀를 가진 야행성 수분 매개체를 유인한다. 개화는 16~20시간 지속된다.[13]
열매는 둥글고 검은색이며, 안에는 흰 가루 모양의 배젖이 들어 있다. 씨앗은 둥글고 얇은 흰색 껍질에 싸여 있으며, 검게 익는다.[3] 뿌리는 감자나 우엉 모양이며, 겨울철에 동결되지 않으면 다음 봄에 다시 싹이 터 다년생 식물이 된다.
분꽃의 색깔은 베타레인 색소의 발현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빨강은 베타시아닌, 노랑은 베타크산틴, 흰색은 색소 발현 없음이 기본이다. 또한, 불완전 우성에 의해 분홍색(빨강과 흰색의 혼합)이 나타나며, 트랜스포존 발현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무늬(원평 피기, 피어 나눔, 얼룩무늬)가 나타난다.[31][33]
3. 1. 생태
분꽃은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가장 잘 자란다. 햇볕이 강한 곳에서는 잎이 시들었다가 저녁에 기온이 내려가고 해가 지기 시작하면 활발하게 다시 살아난다. 추위에 약하여, 첫 서리가 내리면 지상 부분이 쇠퇴하여 죽을 수 있지만, 봄에 다시 싹을 틔울 수 있는 지하 부분은 생존해 있다. 이 식물은 씨앗으로 번식하며, 정원에 방치하면 빠르게 퍼지는 경향이 있다. 일부 정원사들은 파종 전에 씨앗을 담가두는 것을 권장하지만, 이는 완전히 필요한 것은 아니다.[14] 북아메리카에서는 따뜻한 해안 지역, 특히 USDA 기후 구역 7~10 구역에서 여러 해 동안 생존한다. 햇볕이 잘 들거나 부분적으로 그늘진 곳에서 쉽게 재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에서는 매우 빠르게 성장한다.
부식토가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는 가볍고 중성적인 산도(pH)의 토양에서 잘 자란다. 80%의 토양과 20%의 정원 토양을 혼합한 흙, 그리고 덩이줄기를 10cm 깊이에 심을 수 있는 매우 깊은 용기를 사용하여 화분 재배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2월 중순부터 5월까지 파종한다. 씨앗은 18°C에서 빠르게 발아한다.[14]
3. 2. 유전
카를 코렌스는 분꽃의 얼룩덜룩한 잎을 통해 세포질 유전을 증명하였다.[15] 그는 분꽃의 잎 색깔이 단일 부모로부터 유전되는 방식으로 전달된다고 제안했다.[15]
붉은색 꽃을 가진 식물과 흰색 꽃을 가진 식물을 교배하면 분홍색 꽃을 가진 자손이 나오는데, 이는 멘델의 우성의 법칙에 대한 예외로 여겨진다. 이 경우 붉은색 유전자와 흰색 유전자가 동일한 강도를 가지는 것처럼 보여 어느 쪽도 다른 쪽을 완전히 지배하지 못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불완전 우성이라고 한다.[16][17][18] 그러나 F1세대에서의 멘델의 균일성의 원칙과 F2세대에서의 유전자 분리의 원칙이 적용되어 멘델의 발견이 가지는 중요성이 확인되었다.[16][17][18]
4. 분포
남아메리카의 건조한 열대 지역, 즉 멕시코, 과테말라, 칠레, 페루가 원산지이다. 관상용으로 도입되어 전 세계 열대, 아열대, 온대 지역에서 귀화했다. 현재 아시아, 아프리카, 미국, 중동 및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 발견된다. 레위니옹에서는 관상용 식물이었으나, 해발 400~700m 사이의 서해안과 해발 0~700m 사이의 남해안에서 귀화했다. 쓰레기가 많은 지역에서 자생하며, 서해안과 남해안의 잡초가 많은 사탕수수 밭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된다. 씨앗 생산량이 많고 성장이 빨라 사탕수수 밭의 30%에서 50%까지 덮을 수 있다.[3][4]
5. 화학 성분
꽃에서는 8가지 베타크산틴(인다시잔틴, 불가잔틴-I, 미라잔틴-I, II, III, IV, V 및 VI)을 추출할 수 있다.[19]
뿌리에서는 로테노이드(미라비잘론 A, B, C 및 D, 9-O-메틸-4-하이드록시보에라비논 B, 보에라비논 C 및 보에라비논 F, 및 1,2,3,4-테트라하이드로-1-메틸이소퀴놀린-7,8-디올)을 추출할 수 있다.[20]
종자 오일에서는 지방산(8-하이드록시옥타데카-시스-11,14-디에노산)이 미량 성분으로 발견된다.[21]
지상부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β-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우르솔산, 올레아놀산, 브라시카스테롤이 생성된다.[22]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이소플라본, 로테노이드 및 데하이드로로테노이드가 분꽃의 조작된 식물 세포 배양물에서 분리되었다.[23] 분꽃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활성 폴리페놀 아미드인 N-트랜스-페룰로일 4′-O-메틸도파민도 분리되었는데, 이는 다제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유출 펌프 억제제로서 중간 정도의 활성을 보인다.[24]
6. 이용
분꽃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다.[25] 꽃은 식용 색소로 사용되며, 잎도 비상 식량으로 먹을 수 있다. 짙은 붉은색 염료는 꽃에서 얻어 케이크와 젤리에 색을 내는 데 사용한다.[25]
본초학에서는 분꽃의 여러 부위가 약재로 쓰인다. 뿌리는 최음제, 이뇨제, 완하제로 여겨지며 수종 치료에도 사용된다. 잎은 염증 완화에, 잎의 달임물은 농양 치료에 사용된다. 잎즙은 상처 치료에, 꽃의 덩이뿌리는 변비약 효과가 있다.
일부 품종의 씨앗은 가루로 만들어 화장품이나 염료로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6] 분꽃은 중금속 오염 토양의 생물 정화에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27]
브라질 카야포 원주민들은 말린 꽃 가루를 두통 치료에, 뿌리 달임물을 상처 세척과 나병 같은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한다. 페루에서는 꽃 추출 즙을 헤르페스 병변과 귀 통증에, 뿌리 추출 즙은 귀 통증, 설사, 이질, 매독, 간 감염 치료에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식물 전체 달임물을 이질, 감염된 상처, 벌 및 전갈에 물린 상처에 사용한다.[28]
꽃 추출물은 산-염기 적정에서 천연 pH 지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29]
뿌리는 이뇨, 관절염의 생약으로 처방된다. 잎은 베인 상처, 백선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전초, 특히 종자나 뿌리는 유해한 알칼로이드(트리고넬린)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7. 주의사항
씨앗과 뿌리는 유해한 알칼로이드(트리고넬린)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함부로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26] 전문적인 지식에 근거하여 사용해야 한다.
8. 갤러리
참조
[1]
PLANTS
2016-01-28
[2]
간행물
Connecticut State Register and Manual
https://portal.ct.go[...]
2020-05-02
[3]
서적
Pharmacognosy - Phytochemistry, medicinal plants, 4 th edition, revised and enlarged.
Paris, Tec & Doc - International Medical Publishing
[4]
논문
Volatile composition, emission pattern, and localization of floral scent emission in Mirabilis jalapa (Nyctaginaceae)
2005-01
[5]
웹사이트
Four O’clock Flowers Pictures, Mirabilis Jalapa (Marvel-of-peru)
https://www.cityflow[...]
[6]
웹사이트
How to Grow Four O'Clock Flowers, Growing Four O'Clock Plants, Seeds
http://www.gardeners[...]
[7]
웹사이트
Tips and Information About Growing Four O'clock Plants
https://www.gardenin[...]
[8]
웹사이트
Four O'clock
https://www.southern[...]
[9]
웹사이트
Four O'clock
https://extension.us[...]
[10]
웹사이트
Four O'Clocks, Mirabilis jalapa
https://wimastergard[...]
[11]
웹사이트
Investigations of the inheritance of flower variegation in Mirabilis jalapa L. 1. General introduction and 2. Inheritance of colour in uniformly coloured flowers. J.M.M. Engels, W.N.M. van Kester, C.J.T. Spitters, L. Vosselman, A.C. Zeven. Institute of Plant Breeding, Agricultural University, Wageningen
https://www.research[...]
[12]
문서
Evolution and phylogeny of flowering plants
London
[13]
웹사이트
UCLA Mildred E. Mathias Botanical Garden
http://www.botgard.u[...]
Botgard.ucla.edu
2012-07-31
[14]
논문
Antiviral Activity of Antiviroid and MAP-Containing Extracts from Mirabilis Jalapa Roots
[15]
웹사이트
Non-nuclear genes and their inheritance
http://www.nature.co[...]
Nature Education
[16]
웹사이트
Uniformitätsregel (1. Mendelsche Regel)
http://www.biologie-[...]
Biologie Schule - kompaktes Wissen
[17]
웹사이트
Uniformitätsregel (1. Mendelsche Regel)
https://www.frustfre[...]
Frustfrei Lernen
[18]
웹사이트
Unvollständige Dominanz
http://www.spektrum.[...]
Spektrum Biologie
[19]
논문
Pigments of centrospermae—V. : Betaxanthins from Mirabilis jalapa L.
http://www.sciencedi[...]
[20]
논문
New Rotenoids from Roots of Mirabilis jalapa
2002-08
[21]
논문
An 8-hydroxyoctadeca-cis-11,14-dienoic acid from Mirabilis jalapa seed oil
http://www.sciencedi[...]
[22]
논문
Constituents of Mirabilis jalapa
http://www.cabdirect[...]
[23]
논문
Three New Phenolic Compounds from a Manipulated Plant Cell Culture, Mirabilis jalapa
[24]
논문
N-Caffeoylphenalkylamide derivatives as bacterial efflux pump inhibitors
http://www.sciencedi[...]
2007-03-15
[25]
웹사이트
Mirabilis jalapa Marvel Of Peru PFAF Plant Database
http://www.pfaf.org/[...]
Pfaf.org
2012-07-31
[26]
웹사이트
h2g2 - Four O'Clocks - Night Blooming Beauties
https://www.bbc.co.u[...]
Bbc.co.uk
2002-08-20
[27]
논문
Growth responses and cadmium accumulation of Mirabilis jalapa L. under interaction between cadmium and phosphorus
2009-08-15
[28]
서적
medicinal plants of the world, beliefs and realities
De Boeck Secundair
[29]
서적
Edible medicinal and non medicinal plants
Springer
[30]
논문
Exotic ancient plant introduction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Botany (CUP)
2016-11-28
[31]
웹사이트
オシロイバナ / 国立環境研究所 侵入生物DB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2024-11-04
[32]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33]
웹사이트
桑名市総合医療センター 理事長の部屋 9月 おしろい花
https://www.kuwanacm[...]
[34]
웹사이트
オシロイバナ(白粉花)(オシロイバナ科オシロイバナ属)
https://www.city.nod[...]
2024-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