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빼앗긴 자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빼앗긴 자들》은 어슐러 K. 르 귄의 1974년작 SF 소설로, 타우 세티의 쌍둥이 행성 아나레스와 우라스를 배경으로 한다. 아나키즘, 자본주의, 유토피아니즘, 페미니즘, 탈 감옥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특히 권위주의 국가와 사회적 제약 속에서 개인의 자유와 협동의 가치를 탐구한다. 소설은 아나레스 출신 물리학자 셰벡이 자신의 이론을 발표하기 위해 우라스로 향하는 여정을 중심으로, 두 행성의 사회 시스템과 문화를 대비하여 보여준다. 셰벡은 아나레스의 척박한 환경과 아나키즘적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과, 우라스의 자본주의적이고 계층적인 사회에서 느끼는 혐오감을 경험하며, 두 세계의 모순과 이상을 드러낸다. 이 작품은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 등을 수상하며 비평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소설 - 죠스 (소설)
    피터 벤츨리의 스릴러 소설 《죠스》는 뉴욕 롱아일랜드의 가상 휴양 도시 애미티에서 식인 상어의 출현에 맞서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관광 수입을 우선시하는 시장과 시민의 안전을 지키려는 경찰서장, 상어 사냥꾼 퀸트 등의 인물을 통해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며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 1974년 소설 -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존 르 카레의 스파이 소설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는 냉전 시대 MI6 내부에 침투한 소련 스파이를 색출하는 과정을 은퇴한 정보 요원 조지 스마일리가 맡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로, 케임브리지 5인방 사건에서 영감을 받아 배신, 권력, 이상주의 몰락 등 복잡한 주제를 다루고 TV 드라마와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고래자리 타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시스템 쇼크 2
    시스템 쇼크 2는 이래셔널 게임즈가 개발하고 일렉트로닉 아츠가 발매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액션 롤플레잉 게임과 생존 공포 장르를 융합한 독특한 게임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다양한 직업을 선택하여 캐릭터를 육성하고 무기와 사이오닉 능력을 활용해 스토리를 진행한다.
  • 고래자리 타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히페리온 (시먼스 소설)
    댄 시먼스의 SF 소설 《히페리온》은 먼 미래 우주를 배경으로 시간 여행, 슈라이크, 아우스터 등을 다루며, 순례자들이 히페리온 행성에서 슈라이크와 관련된 비밀을 파헤치는 이야기로, 휴고상과 로커스상을 수상하고 미디어 믹스 계획이 있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 사회 SF - 걸리버 여행기
    《걸리버 여행기》는 조너선 스위프트가 1726년에 익명으로 출판한 소설로, 레뮤얼 걸리버의 기이한 여행을 통해 당대 사회와 인간 본성을 풍자하며, 릴리퍼트, 브롭딩낵, 라퓨타, 후이넘 등 네 개의 가상 세계를 배경으로 정치, 과학, 인간의 어리석음과 탐욕을 비판한다.
  • 사회 SF - 1984 (소설)
    《1984》는 조지 오웰이 1949년에 발표한 디스토피아 소설로, 감시 사회 속에서 개인의 자유가 억압받는 미래를 배경으로 전체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윈스턴 스미스가 당의 통제에 저항하는 이야기를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빼앗긴 자들 - [서적]에 관한 문서
도서 정보
제목빼앗긴 자들
원제The Dispossessed
저자어슐러 K. 르 귄
삽화가프레드 윙코스키
언어영어
시리즈헤인 시리즈
장르과학 소설
출판 정보
국가미국
출판사하퍼 & 로
출판일1974년
미디어 유형인쇄 (하드커버, 페이퍼백)
페이지 수341쪽 (초판)
ISBN0-06-012563-2 (초판, 하드커버)
OCLC800587
수상
로커스상로커스상 최우수 소설상 (1975년)
휴고상휴고상 최우수 장편 소설상 (1975년)
네뷸러상네뷸러상 최우수 장편 소설상 (1975년)

2. 배경

어슐러 K. 르 귄은 2017년 Library of America 재판 서문에서 지난 40년을 되돌아보며 다음과 같이 썼다.

The Dispossessed영어은 엉망인 단편 소설로 시작되었고, 끝내려 하지는 않았지만 완전히 놓을 수도 없었다. 책 한 권이 들어 있었고, 그걸 알았지만, 그 책은 내가 무엇에 관해 쓰고 있는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배울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나는 우리가 끝없이, 영원히 베트남에서 벌이는 전쟁과 끝없이 국내 시위에 대한 나의 열정적인 반대를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만약 내가 그때 내 조국이 남은 평생 동안 공격적인 전쟁을 계속 벌일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면, 아마 그 전쟁에 반대하는 데 더 적은 에너지를 쏟았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더 이상 전쟁을 연구하고 싶지 않다는 것만 알았기에,[3] 평화를 연구했다. 나는 수많은 유토피아를 읽고 평화주의, 간디, 비폭력 저항에 대해 배우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것은 나를 표트르 크로포트킨과 폴 굿먼과 같은 비폭력적 아나키스트 작가들로 이끌었다. 나는 그들과 즉각적인 친밀감을 느꼈다. 그들은 노자와 마찬가지로 내게 이해가 되었다. 그들은 전쟁, 평화, 정치, 우리가 서로와 스스로를 어떻게 통치하는지, 실패의 가치, 그리고 약한 것의 강점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래서 아무도 아나키스트 유토피아를 쓰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나는 마침내 내 책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나는 처음 잘못된 이야기에서 언뜻 본 주인공이 살아있고 건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의 아나레스 안내자였다.[4]

르 귄의 부모님인 인류학자 알프레드와 작가 테오도라 크뢰버는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친구였으며, 르 귄은 오펜하이머가 이 책의 주인공인 셰벡의 모델이었다고 말했다.[5]

3. 제목의 의미

르 귄의 제목은 무정부주의에 관한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인 악령(Бесы|Bésyru)을 언급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소설의 인기 있는 영어 번역본 중 하나는 ''The Possessed''라는 제목을 사용한다.[28] 르 귄이 머레이 북친에게 보낸 편지에 따르면, 많은 철학적 기반과 생태학적 개념은 북친의 포스트-희소성 아나키즘(1971)에서 가져온 것이다.[6] 아나레스 시민들은 정치적 선택뿐만 아니라, 실제로 소유할 자원이 부족하다는 점 때문에 '빼앗긴' 존재이다. 여기서 르 귄은 다시 한번 우라스의 자연적 풍요로움, 그리고 이것이 조장하는 경쟁적 행동과 대조를 이룬다.[7]

4. 설정



소설의 배경은 타우 세티 항성계의 쌍둥이 행성인 우라스와 아나레스이다. 우라스는 풍부한 자원을 가진 행성으로, 자본주의 체제의 A-Io와 권위주의 체제의 Thu라는 두 강대국이 경쟁하고 있다.

아나레스는 우라스와 달리 물이 부족하고 척박한 환경을 가진 행성이다. 200여 년 전, 우라스의 혁명가 오도의 사상을 따르는 오도주의자들이 그들만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아나레스로 이주했다. 이들은 아나키즘과 유사한 형태의 사회 공동체를 이루어, 개인 소유보다는 공유와 협동을 중시하며, 계급이나 권력의 통제가 없는 사회를 운영한다. 생산과 분배는 PDC라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되며, 구성원들은 자신의 흥미와 재능에 따라 일을 선택하고, 다이브랩이라는 컴퓨터가 노동 배분을 돕는다.

아나레스인들은 프라 어라는 인공어를 사용하며, 의식주 역시 공동체 구성원 간에 공유하는 개념으로 생활한다. 남녀 관계는 자유로우며, 결혼과 같은 제도 없이 상호 합의하에 반려 관계를 맺기도 한다.

셰벡은 아나레스 출신의 물리학자로, 동시성 시간 물리학을 연구하며 우라스의 물리학자들과 교류한다. 셰벡은 자신의 이론을 발표하려 하지만, 아나레스 사회의 경직성과 대가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이후 셰벡은 동료들과 함께 우라스와의 교류를 추진하고, 결국 우라스 물리학계의 초청을 받게 된다. 아나레스 주민들은 셰벡을 배신자라고 비난하며 암살을 시도하기도 하지만, 결국 셰벡은 우라스로 떠난다.[4]

2017년 Library of America 재판 서문에서 르 귄은 지난 40년을 되돌아보며 이 소설의 집필 계기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4. 1. 우라스

우라스는 물이 매우 풍족하며 크게 두 개의 대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이-이오(A-Io)와 츄(Thu)라는 두 강대국이 있는데, 에이-이오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츄는 사회주의 경제 체제를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몇몇 작은 나라들이 더 있다.

우라스는 여러 국가로 나뉘어 있지만, A-Io와 Thu라는 두 개의 경쟁적인 초강대국이 지배하고 있다. 주인공은 우라스에 머무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자본주의 경제와 가부장제를 가진 A-Io에서 보낸다. Thu는 실제로 방문하지 않지만, 프롤레타리아트의 이름으로 통치한다고 주장하는 권위주의 체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A-Io에는 몇 개의 다른 반대 좌익 정당을 포함하여 국경 내에 반대 세력이 존재하며, 이 중 하나는 경쟁 사회 Thu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라스의 세 번째 주요 지역이자 미개발 지역인 벤빌리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A-Io는 Thu가 지원하는 혁명 지역을 침공하여 대리 전쟁을 일으킨다.[1]

아나레스의 경제적, 정치적 상황과 우라스와의 관계는 모호하다. 아나레스 사람들은 자신들이 자유롭고 독립적이며 구세계의 정치적, 사회적 영향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라스의 강대국들은 아나레스를 기본적으로 그들의 광산 식민지로 간주하는데, 아나레스의 귀금속 연간 할당과 우라스의 주요 강대국에 대한 분배가 구세계의 주요 경제적 사건이기 때문이다.[3]

우라스에서 셰베크를 맞이한 곳은 자본주의적이고 계급 사회적인 국가 아=이오의 대학이었다. 셰베크는 화려한 아=이오의 사교계를 경험하지만, 그 속에서 자신의 이론이 발표될 때 그것이 인류 전체의 것이 아니라 아=이오의 국가 소유물이 될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대학을 뛰쳐나온다.[4]

아=이오에서 의지할 곳 없는 그는 아=이오의 노동 계급 사람들에게 의존했다. 그리고 아=이오의 노동자들 또한 200년 전에 자유를 쟁취한 오도주의자의 후예인 셰베크와 만나는 것을 원했다.[5]

아=이오와 인접국 수 사이에서 일어난 전쟁에 의한 징용에 반대하는 노동자들은 파업을 계획했고, 거기서 셰베크는 연설을 한다. 그러나 아=이오 정부는 이 파업을 탄압했고, 갈 곳을 잃은 셰베크는 우라스에 주재하는 이성(지구)의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한다. 대사의 중재로 셰베크는 자신의 이론을 이성을 포함한 전 인류에게 공개하고, 아나레스로 귀환하게 된다.[6]

4. 2. 아나레스

아나키즘과 유사한 사회 공동체인 아나레스는 척박한 기후의 영향으로 말과 같은 큰 동물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벌레와 갑각류가 육상 동물의 전부이다.[43] 바다 생물은 몇 백만 년간 서로 단절되어 고립된 환경 속에서 다양하게 진화해왔다. 험한 자연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홀럼 나무가 대표적인 식물인데, 아나레스인들은 이를 이용하여 식량과 옷을 만들기 위한 재료를 얻곤 한다.

이백년여 전, 우라스의 혁명가 오도의 사상을 좇아 아나레스로 이주한 이들이 현재 아나레스인들의 조상이다. 아나레스인은 자신들을 오도니안이라 칭하며, 개인 소유보다는 공동체의 구성원들끼리 공유하며 협동을 추구한다. 모든 구성원은 계급 등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그들을 통제하는 권력도 존재하지 않는다. PDC(Production and Distribution Coordination)라는 행정·관리 네트워크가 존재하지만 생산 활동을 관리할 뿐이다. 구성원들은 성별에 관계없이 자신의 흥미, 재능, 힘에 따라 일을 선택할 수 있는데, 다이브랩이라는 컴퓨터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노동 배분을 한다. 아나레스인들은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사회적 필요에 의해 노동 배분을 받으면 어디든 달려가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

아나레스인은 프라 어라는 인공어를 사용한다. 오도니안의 이상에 맞게 만들어진 이 언어는 상호 협동, 나눔에 대한 어휘가 중시되고, 계급적인 비교 우위의 뜻을 지닌 어휘나 자본주의적, 폭력적인 개념을 지칭하는 어휘는 거의 없다.[44] 이러한 특징은 어린 아이들이 교육을 받을 때에도 명백하게 드러난다.[45]

아나레스에서는 의식주도 개인이 소유한다기보다는 공동체의 구성원들끼리 나눠쓴다는 개념에 가깝다. 숙소의 경우 필요하다면 빈 방이 있는 경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미성년자나 반려가 없는 경우 대개 넷에서 열명 정도가 함께 생활하는 편이며,[46] 방의 크기는 선택 가능하고, 룸메이트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숙소로 옮길 수도 있다. 개인실도 존재하나, 아이들이 개인실에서 혼자 자는 것은 숙소의 다른 아이들을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괴롭힌 경우이다. 반면 어른들의 경우는 대개 성적인 프라이버시를 위한 것이다. 의류의 경우, 지역의 의복 창고에서 받을 수 있다.

남녀 관계는 상당히 자유로우며, 사춘기 무렵부터 성적 욕구가 완전히 채워지는 것이 정상인 사회라 강간은 극히 드물다.[47] 결혼과 같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제도는 없으나, 두 당사자 간의 상호 합의하에 반려를 구해 동거하기도 한다. 반려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로 한 이들은 노동 배분에서도 되도록 함께 머무를 수 있도록 배려를 받곤 하나, 대가뭄 대처와 같은 시급한 노동 배분이 떨어지게 되면 떨어지기도 한다.

5. 이론적 연대표

하이니시인들이 타우 세티에 도착한 것은 우라스에서 오도니안이 분리되어 아나레스로 이주한 지 100년이 넘은 시점으로부터 60년 전이다.[9] 테란인들 또한 그곳에 있으며, 이 소설은 1975년 SF 작가 이안 왓슨이 제시한 연대기에 따르면 미래의 어느 시점에 해당한다. 왓슨은 "《빼앗긴 자들》의 기준 연도인 서기 2300년은 그 책(§11)에서 지구를 묘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구 90억 명으로 정점을 찍은 생태적, 사회적 붕괴를 겪고 인구가 적지만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회복 경제를 거친 시점으로 추정된다."라고 하였다.[9] 왓슨은 《어둠의 왼손》을 서기 4870년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왓슨 자신이 언급했듯이, 이 두 날짜는 "젠리 아이의 '테란인들은 약 3천 년 전까지 0의 사용법을 몰랐다'는 진술"과 모순된다는 문제가 있다.[9]

6. 줄거리

각 장은 두 행성 사이, 그리고 현재와 과거 사이를 교차하며 전개된다. 아나레스에서 진행되는 짝수 장들은 시간 순서상 먼저 발생하며, 우라스에서 진행되는 홀수 장들이 그 뒤를 따른다. 유일한 예외는 첫 번째와 마지막 장이다. 첫 번째 장은 달과 행성 모두에서 진행되며, 마지막 장은 우주선에서 진행된다.

장의 시간 순서
2, 4, 6, 8, 10, 12, 1, 3, 5, 7, 9, 11, 13



타우 세티 항성계에는 아나레스와 우라스라는 두 개의 행성이 있었다. 이 중 아나레스는 약 200년 전 오도주의자라는 정치적 망명자들이 개척한 곳으로, 우라스에 비해 황량했다.

셰벡은 일반 시간 이론의 완성을 꿈꾸며 아나레스에서 우라스로 향한 젊은 물리학자였다. 그는 논문 교환 등을 통해 우라스의 물리학계와 교류하고 있었으며, 그의 이론에 주목한 우라스 물리학계의 초청을 받았다. 아나레스 주민 대부분은 그를 배신자라고 비난했고, 우주 항구에서 암살 시도가 있었지만 혼란스러운 군중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야기는 우라스 도착 후의 우라스에서의 이야기와 우라스로 출발하기 전 아나레스에서의 이야기가 교대로 전개된다. 우라스에서 셰벡을 맞이한 곳은 자본주의적이고 계급 사회적인 국가 아=이오의 대학이었다. 셰벡은 화려한 아=이오의 사교계를 경험하지만, 자신의 이론이 발표될 때 그것이 인류 전체의 것이 아니라 아=이오의 국가 소유물이 될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대학을 뛰쳐나온다. 의지할 곳 없던 그는 아=이오의 노동 계급 사람들에게 의존했고, 그들 또한 200년 전 자유를 쟁취한 오도주의자의 후예인 셰벡과 만나는 것을 원했다.

아=이오와 인접국 수 사이에서 일어난 전쟁에 징용에 반대하는 노동자들은 파업을 계획했고, 셰벡은 সেখানে 연설을 한다. 그러나 아=이오 정부는 이 파업을 탄압했고, 갈 곳을 잃은 셰벡은 우라스에 주재하는 이성(지구)의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한다. 대사의 중재로 셰베크는 자신의 이론을 이성을 포함한 전 인류에게 공개하고, 아나레스로 귀환하게 된다.[1]

셰벡은 아나레스에서 자신의 이론을 발표하려 하지만, 소속된 조직의 실력자는 논문 출판을 거부하고 교원직에서도 배제한다. 또한 이상 기후에 의한 대가뭄으로 아나레스 사회는 빈곤해지고, 셰벡도 가족과 떨어져 원격지에서 육체 노동에 종사하게 된다. 수년 후 가족과 재회한 셰벡은 오도주의의 이상이 변질되어 가고 있다는 것과 아나레스 사회가 폐쇄적으로 되어 가는 분위기를 감지하고, 아내와 친구들과 함께 독자적인 조직을 발족하여 논문 출판과 우라스와의 교류를 꾀한다.

6. 1. 아나레스 (2, 4, 6, 8, 10, 12장)

주인공 셰벡은 일반 시간 이론을 개발하려는 아나레스 출신 물리학자이다. 이 책에 나오는 물리학인 동시성 원리는 시간을 이해되는 것보다 훨씬 더 깊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묘사한다. 그것은 수학과 물리학뿐만 아니라 철학과 윤리도 포함한다.[1] 셰벡은 아나레스에서 원고 출판을 통제하는 질투심 많은 상사 사불 때문에 자신의 연구가 방해받는 것을 알게 된다. 그의 이론이 지배적인 정치 철학과 충돌하면서, 셰벡은 자신의 아이디어가 아나레스 사회와 조화되지 않는다고 믿는다.[1] 아베네이에서 지내는 동안 그는 청소년기부터 그의 어머니 룰라그를 포함한 옛 지인들을 만난다. 그의 옛 여성 지인 중 한 명인 타크버와 셰벡은 관계를 맺게 되고, 둘은 관계를 시작하여 첫 아이를 갖는다.[1]

셰벡의 연구는 아나레스의 아나키스트 사회에서 가뭄 동안 육체 노동을 수행해야 하는 그의 사회적 의무 때문에 더욱 방해받는다.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아나레스 사람들은 자신의 개인적 욕망보다 사회의 필요를 우선시해야 하므로 셰벡은 연구 대신 먼지투성이 사막에서 4년 동안 힘든 농업 노동을 수행한다.[1] 가뭄 이후, 그는 그곳에서 자신의 연구로 권위 있는 상을 받았고, 자신의 작품을 배포하기 위해 설립한 신디케이트의 도움을 받아 이론을 완성하고 출판하기 위해 우라스로 가기로 한다.[1] 우라스 학자들과의 접촉과 그의 여행 결정은 아나레스에 정치적 혼란을 야기한다. 셰벡은 사불로부터 반역자로 비난받고, 두 세계 간의 정치적 분리를 위협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자신의 이론이 아나레스인과 더 넓은 사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으며 셰벡은 우라스로 향한다.[1]

6. 2. 우라스 (1, 3, 5, 7, 9, 11장)

타우 세티의 쌍둥이 행성 중 하나인 우라스의 A-Io에 도착한 셰벡은 문화적 충격과 사회적 부조리에 직면한다. 그는 우라스의 계층적 자본주의 사회의 사회적, 성적, 정치적 관습에 혐오감을 느꼈다.[1] 특히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내며, A-Io의 동료들을 공개적으로 꾸짖기도 한다.[1]

A-Io와 경쟁 관계인 Thu가 이웃 벤빌리에서 전쟁을 일으키면서 셰벡의 불안감은 더욱 커진다.[1] Ieu Eun 대학교에서 셰벡은 우라스티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그의 일반 시간 이론이 초광속 우주선 건조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하는 물리학자들에게 조종당한다.[1]

셰벡은 '형제들'과 합류하라는 쪽지를 받고 우라스에 아나키스트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불안해한다.[1] 결국 셰벡은 자신이 제안하는 이론이 사회 전체가 아닌, 잠재적인 전쟁을 위해 우라스티에 의해 이용될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1]

이후 셰벡은 대학교를 탈출하여 지하 혁명 단체에 연락하고, Nio Esseia의 노동 시위에 참여하지만 폭력적으로 진압당한다.[1] 그는 테란 대사관으로 도망쳐 자신의 이론을 모든 세계에 전달해 달라고 요청하고, 테란의 도움으로 아나레스로 무사히 귀환한다.[1]

6. 3. 다베넌트 호 탑승 (13장)

아나레스 행성으로 행성간 이동을 위해, 셰벡은 하이니시 우주선을 둘러본다. 하이니시 문화가 묘사된다. 오도니안 사상에 공감하는 케토라는 하이니시인은 그들이 아나레스에 착륙할 때 셰벡과 함께 내리고 싶어 한다. 셰벡은 아나레스인들이 그를 기꺼이 다시 받아들일지 알 수 없어, 우주선이 착륙을 시작하면서 가족에 대한 생각을 하며 만족해한다.

7. 주제

르 귄은 2017년 Library of America 재판 서문에서 ''빼앗긴 자들''이 엉망인 단편 소설로 시작해, 끝내려 하지 않았지만 완전히 놓을 수도 없었다고 회고했다. 르 귄은 자신이 무엇에 관해,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배울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고 한다. 그녀는 베트남 전쟁과 국내 시위에 대한 자신의 열정적인 반대를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고 적었다.[3]

르 귄은 더 이상 전쟁을 연구하고 싶지 않아 평화를 연구했고,[3] 수많은 유토피아를 읽고 평화주의, 간디, 비폭력 저항을 공부했다. 이는 그녀를 표트르 크로포트킨, 폴 굿먼 같은 비폭력적 아나키스트 작가들에게 이끌었다. 르 귄은 그들과 즉각적인 친밀감을 느꼈고, 노자처럼 그들이 자신에게 이해되었다고 한다. 그들은 전쟁, 평화, 정치, 통치 방식, 실패의 가치, 약한 것의 강점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었다.[4]

아나키스트 유토피아를 쓴 사람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르 귄은 자신의 책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보기 시작했고, 처음 잘못된 이야기에서 본 주인공이 살아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가 바로 자신의 아나레스 안내자였다.[4]

르 귄의 부모인 인류학자 알프레드와 작가 테오도라 크뢰버는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친구였으며, 르 귄은 오펜하이머가 이 책의 주인공 셰벡의 모델이었다고 말했다.[5]

7. 1. 상징주의

아나레스의 경제적, 정치적 상황과 우라스의 모호한 관계는 아나레스의 유일한 우주 정거장을 둘러싼 낮은 벽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이 벽은 무정부주의 행성에서 "무단 침입 금지!" 표지판을 볼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며, 책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곳이기도 하다.[7] 아나레스 사람들은 이 벽이 자유로운 세상을 억압적인 배에서 오는 부패한 영향으로부터 분리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 벽은 동시에 나머지 행성을 가두고 고립시키는 감옥의 벽일 수도 있다. 셰벡의 삶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다.[7]

셰벡이 사회의 진정한 자유 수준에 대한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한 여정 외에도, 그의 이론 자체가 줄거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셰벡의 이론은 추상적인 물리 개념을 설명할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들의 삶의 굴곡과 아나레스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다. 책에서 자주 인용되는 "진정한 여정은 귀환이다."라는 문구는 셰벡의 이론(시간과 동시성의 본질을 다루는)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그 의미는 다양한 해석의 대상이 되어 왔다.[10] 예를 들어, 소설의 비선형적인 구성 자체가 셰벡의 이론을 재현한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11]

7. 2. 아나키즘과 자본주의

표트르 크로포트킨, 폴 굿맨 등 아나키즘 사상가들은 르 귄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2] 르 귄은 엠마 골드만, 도교, 퍼시 비시 셸리를 언급하며 오도니즘이 아나키즘이라고 설명했다. 르 귄에게 아나키즘의 핵심 목표는 권위주의 국가(자본주의 또는 사회주의)에 맞서는 것이고, 주요 주제는 협동(상호 원조)이다.[13]

아나레스와 우라스에서는 아나키스트 원칙과 권위, 사회적 제약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다. 아나레스에는 성문법이 없지만, 일 처리 방식에 대한 강력한 관습이 셰벡을 좌절시킨다. 아나레스티는 DivLab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원과 노동을 분배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빼앗긴 자들''에서 아나코생디칼리즘이 "자본주의의 대안"을 제시함을 보여준다. 르 귄의 계산 경제는 중앙 경제 계획과 민주적 의사 결정, 관료적 효율성과 신디케이트 연방주의, 개인의 자율성, 중앙 권력의 위험 사이의 긴장을 다룬다.[14]

7. 3. 프라빅 (언어)

아나레스에서 사용되는 프라빅은 에스페란토의 전통을 따른 인공어이다. 프라빅은 유토피아적 아나키즘의 철학적 기초를 반영한다.[15] 소유격 사용은 강력하게 금지되며, 이는 소설의 제목에도 반영된 특징이다.[16] 아이들은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끄는 문제에 대해서만 말하도록 훈련받는다. 그 외의 모든 것은 "자기 중심적"이다. 어떤 종류의 재산 소유도 없다. 셰벡의 딸은 그를 처음 만났을 때 "제가 쓰는 손수건을 함께 쓸 수 있어요"[17]라고 말하는데, 이는 손수건이 소녀의 소유가 아니라 단지 그녀가 사용한다는 생각을 전달한다.[18]

7. 4. 유토피아니즘

이 작품은 유토피아 문학의 현대적 부활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19] 처음 출판 당시 책에는 "모호한 유토피아의 웅장한 서사시!"라는 문구가 있었고, 팬들은 이를 "모호한 유토피아"로 줄여 일부 판본의 부제로 사용하기도 했다.[20][21]

르 귄은 기존 유토피아 문학에 자신만의 혁신적인 요소를 더했다. 이전의 많은 유토피아 소설들은 유토피아 방문자를 등장시켜 그 제도를 독자에게 설명하는 방식을 취했다. 그러나 《빼앗긴 자들》은 이러한 방식을 뒤집어, 아나레스에서의 삶에 불만을 느낀 셰벡이 우라스로 여행을 떠나는 설정을 택했다. 또한 아나레스를 절대적으로 좋은 사회가 아닌, "모호하게 좋은" 사회로 묘사한다.[22]

톰 모일란은 《빼앗긴 자들》을 "1970년대에 출판된 비판적 유토피아 중 가장 잘 알려지고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23] '비판적' 유토피아 소설은 유토피아적 이상을 포용하면서도 지나치게 규정적이 되는 것을 경계하며, "유토피아 사회 자체 내에서 지속되는 차이와 불완전성"에 초점을 맞춘다.[24] 《빼앗긴 자들》은 이언 M. 뱅크스의 컬처 시리즈와 새뮤얼 R. 딜레이니의 《트라이튼의 문제》를 포함한 여러 후기 비판적 유토피아 소설과 같이 유토피아의 불만족스러운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유토피아 사회가 이웃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관심을 기울인다.

7. 5. 페미니즘

이 책을 페미니즘 유토피아나 페미니즘 SF 소설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비평가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버팔로 뉴욕 주립 대학교(SUNY)의 메리 모리슨은 이 책의 아나키즘적 주제가 페미니즘적 주제를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반면, SUNY의 윌리엄 마르첼리노와 "대중적 글쓰기와 SF에서의 페미니스트 개입"의 저자인 세라 르파누는 소설 전반에 걸쳐 반페미니즘적 기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모리슨은 르 귄이 묘사한 도교의 이상, 노동과 육체의 찬미, 아나키스트 사회에서의 성적 자유에 대한 열망이 이 책의 페미니즘적 메시지에 크게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음양의 균형을 중시하며 이원론과 분열을 거부하는 도교는 두 행성뿐만 아니라 남녀 거주자 간의 균형에도 주목하게 한다. 아나레스에서 노동을 찬미하는 것은 어머니의 노동을 찬미하는 것에서 비롯되며, 물건을 만드는 것보다 생명을 창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아나레스에서의 성적 자유 또한 이 책의 페미니즘적 메시지에 기여한다.[25]

일부 비평가들은 르 귄의 페미니즘적 주제가 약하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남녀 간의 도교적 상호 의존성이 르 귄의 페미니즘적 메시지를 약화시킨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마르첼리노는 소설의 아나키즘적 주제가 우선하며, 페미니즘적 주제는 이에 압도된다고 생각한다.[26] 르파누는 이 책이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페미니즘적 메시지와 반페미니즘적 기조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이 책은 여성들이 아나레스 사회를 만들었다고 말하지만, 여성 등장인물들은 전통적인 남성 영웅처럼 보이는 남성 주인공에게 종속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르파누는 이러한 전복이 르 귄이 전달하고자 했던 페미니즘적 메시지를 약화시킨다고 주장한다.[27]

7. 6. 탈 감옥

오도는 아나레스 사회의 창시자로, 9년간의 투옥 기간 동안 가장 영향력 있는 저작물을 썼다. 아나레스에는 감옥이 없다. 탈감옥적 성격은 2장에서 아나레스의 학생들이 역사 수업에서 감옥에 대해 배우는 장면에서 나타난다.[28][29] 선생님은 감옥을 "아이들에게 외설적인 것을 설명해야만 하는 괜찮은 어른의 망설임으로" 묘사하며, "국가가 법을 위반한 사람들을 가두는 곳"이라고 설명한다.[30] 이러한 "변태성"에 매료된 학생들은 자신들만의 감옥을 만들고 친구를 가두지만, 결국 그 경험에 끔찍함을 느낀다.

비유적인 투옥 또한 소설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벽"은 사회적 제약의 은유로 사용된다.[31] 우라스에서 셰벡은 "매력, 예의, 무관심의 벽"에 부딪히고, 가난한 사람들을 보지 못하게 하는 "벽을 스스로 쌓았다"고 말한다. 그는 부유한 사람들의 미소의 벽에 포섭되어 그것을 허물 방법을 몰랐다. 셰벡은 우라스 사람들이 진정으로 자유롭지 못한 이유는 사람들 사이에 너무 많은 벽을 쌓고 소유욕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여러분 모두 감옥에 갇혀 있습니다. 각자 고립되어 자신의 소유물을 쌓아두고 있죠. 여러분은 감옥에서 살고, 감옥에서 죽습니다. 여러분의 눈에서 보이는 것은 벽, 벽뿐입니다!"라고 말한다.[32]

셰벡은 감옥 안에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벽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도 주목한다. 스티브 그로시는 "나쁜 사람들을 안에 가두기 위해 물리적인 벽을 쌓음으로써, 우리는 우리 자신, 우리의 생각, 우리의 공감을 밖으로 내보내는 정신적인 벽을 쌓고, 이는 모든 사람에게 집단적인 해악을 끼친다"라고 말한다. 셰벡 자신도 "벽을 쌓는 사람은 스스로의 죄수"라고 말한다.[33]

8. 출판

Library of America에서 2017년에 재판된 서문에서 르 귄은 지난 40년을 되돌아보며 《빼앗긴 자들》이 엉망인 단편 소설로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그녀는 이 소설을 끝내려 하지 않았지만 완전히 놓을 수도 없었다. 책 한 권이 들어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자신이 무엇에 관해 쓰고 있는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배울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3] 그녀는 베트남 전쟁과 국내 시위에 대한 자신의 열정적인 반대를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르 귄은 더 이상 전쟁을 연구하고 싶지 않았기에, 평화를 연구하기 시작했다.[3] 수많은 유토피아를 읽고 평화주의, 간디, 비폭력 저항에 대해 배웠고, 표트르 크로포트킨과 폴 굿먼과 같은 비폭력적 아나키스트 작가들에게 이끌렸다. 그들과 노자에게서 즉각적인 친밀감을 느꼈고, 그들은 전쟁, 평화, 정치, 통치 방식, 실패의 가치, 약한 것의 강점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주었다. 아무도 아나키스트 유토피아를 쓰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자신의 책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처음 잘못된 이야기에서 본 주인공이 살아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가 바로 자신의 아나레스 안내자라고 밝혔다.[4]

르 귄의 부모인 인류학자 알프레드와 작가 테오도라 크뢰버는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친구였으며, 르 귄은 오펜하이머가 이 책의 주인공인 셰벡의 모델이었다고 말했다.[5] 르 귄에게 이야기는 항상 캐릭터를 통해 다가왔다. 《빼앗긴 자들》은 멀리서 본 듯한 남성 물리학자의 비전으로 시작되었는데, 야윈 얼굴, 맑은 눈, 큰 귀를 가진 그는 아마도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떠올리게 하는 생생한 개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녀는 이 캐릭터를 짧은 이야기로 담아내려고 시도했지만, 30년간의 글쓰기 중 최악의 작품 중 하나였다고 회상했다. 이 이야기에서 물리학자는 굴라그 행성에서 인근의 부유한 자매 행성으로 탈출하여 그곳에서 사랑에 빠지지만 그 행성을 더욱 싫어하게 되고, 굴라그로 고귀하게 돌아간다. 그녀는 셰베크라는 이름과 유토피아 출신이라는 설정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다시 쓰기 시작했다. 그의 지성과 매력적인 순진함은 합리적이라고 생각했다.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윌리엄 모리스의 《News from Nowhere》, 윌리엄 헨리 허드슨의 《A Crystal Age》, H. G. 웰스의 《A Modern Utopia》만을 조금 알고 있었지만, 르 귄은 현대 자유 지상 사회주의자들의 저서를 읽고 셰베크의 감옥 행성을 그가 돌아가고 싶어 할 곳으로 만들었다. 그녀가 참고한 인물로는 마르크스와 엥겔스, 윌리엄 고드윈, 엠마 골드만, 폴 굿맨, 표트르 크로포트킨, 메리 셸리가 있었다.

르 귄은 1973년에 《빼앗긴 자들》을 집필하여 1974년 5월[34] 또는 6월에 출판했다.[35]

9. 비평적 평가

소설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베어드 설스는 이 소설을 "뛰어난 작품"이라고 묘사하며 르 귄이 "정교한 세부 사항으로 작동하는 사회를 창조"했고 "그 문화의 필연적인 산물인 살아 숨 쉬는 등장인물뿐만 아니라 완전히 구현된 가상의 문화를 창조했다"고 말했다.[36] 뉴욕 타임스에 글을 기고한 제럴드 조나스는 "르 귄의 책은 그녀의 견고하고 실용적인 문체로 쓰여졌으며, 너무 설득력이 있어서 적어도 10년 동안은 처방적인 유토피아의 저술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37] 테오도르 스터전은 『빼앗긴 자들』을 "아름답게 쓰여지고, 아름답게 구성된 책"이라고 칭찬하며 "그것은 [SF]의 주요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하며, 이는 다른 종류의 사회 시스템을 만들어 그것이 어떻게 작동할지, 혹은 작동할 수 있을지 살펴보는 것이다."라고 평가했다.[38]

그러나 레스터 델 레이는 소설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렸는데, 르 귄의 글쓰기 솜씨는 칭찬했지만 결말이 "심하게 미끄러진다"며, 소설의 "강점을 많이 파괴"하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라고 주장했다.[39]

10. 수상

결과
휴고상 소설 부문수상[1]
존 W. 캠벨 기념상후보[1]
로커스상 소설 부문수상[1]
네뷸러상 소설 부문수상[1]
프로메테우스상 명예의 전당수상[1]


11. 각색

1987년, CBC 라디오 앤솔로지 프로그램 ''바니싱 포인트''는 《빼앗긴 자들》을 30분 분량의 6부작 시리즈로 각색했다.[40]

2021년 10월 5일, 1212 엔터테인먼트와 익명 콘텐츠가 이 소설을 한정 시리즈로 각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1]

12. 번역

언어제목출판 연도
아제르바이잔어Mülksüzləraz2021
불가리아어Освободениятbg
중국어 (간체)2009
중국어 (번체)2005
카탈루냐어Els desposseïtsca2018
크로아티아어Ljudi bez ičegahr2009
체코어Vyděděneccs1995
덴마크어De udstødte : en socialistisk utopida1979
네덜란드어De Ontheemdenl
에스토니아어Ilmajäetudet2018
핀란드어Osattomien planeettafi1979
프랑스어Les Dépossédés프랑스어1975
조지아어განპყრობილებიka2018
독일어Planet der Habenichtsede1976
독일어Die Enteignetende2006
독일어Freie Geisterde2017
그리스어Ο αναρχικός των δύο κόσμωνel
히브리어המנושלhe1980
히브리어בידיים ריקותhe2015
헝가리어A kisemmizettekhu1994
이탈리아어I reietti dell'altro pianetait
이탈리아어Quelli di Anarresit1976
일본어所有せざる人々일본어1980
한국어빼앗긴 자들한국어2002
페르시아어خلع‌شدگانfa2021
폴란드어Wydziedziczenipl
포르투갈어Os Despossuídospt
포르투갈어Os Despojadospt
루마니아어Deposedaţiiro1995
러시아어Обездоленныеru1994
러시아어Обделённыеru1997
세르비아어Čovek praznih šakasr1987
스페인어Los desposeídoses1983
스웨덴어Sheveksv1976
스웨덴어De obesuttnasv2020
터키어Mülksüzlertr1990


13. 참고 문헌

어슐러 K. 르 귄의 작품 목록은 1989년 하퍼콜린스에서 출판된 《밤의 언어: 판타지 및 SF 에세이》(The Language of the Night: Essays on Fantasy and Science Fiction)에 수록되어 있으며, 240-249쪽에서 확인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Awards http://www.sfadb.com[...] Locus Science Fiction Foundation 2021-09-24
[2] 문서 In ''[[The Word for World is Forest]]'', a newly created ansible is brought to Athshe, a planet being settled by [[Earth]]-[[humans]]. In other tales in the Hainish Cycle, an ansible already exists. The word "ansible" was coined in ''[[Rocannon's World]]'' (first in order of publication but third in internal chronology), where it is central to the plot, and became an important concept throughout the realm of [[science fiction]].
[3] 문서 An allusion to the spiritual "[[Down by the Riverside]]"
[4] 웹사이트 “Introduction” from Ursula K. Le Guin: The Hainish Novels & Stories, Volume One https://www.tor.com/[...] 2017-09-08
[5] 서적 Ursula K. Le Guin https://archive.org/[...] Twayne Publishers
[6] 문서 Janet Biehl, Bookchin biographer; letter in UKL archive
[7] 문서 Mathiesen.
[8] 서적 Ursula K. Le Guin https://archive.org/[...] Twayne Publishers
[9] 웹사이트 Le Guin's ''Lathe of Heaven'' and the Role of Dick: The False Reality as Mediator http://www.depauw.ed[...] Science Fiction Studies # 5 = Volume 2, Part 1 1975-03
[10] 문서 Said by Shevek near the end of Chapter 13
[11] 문서 Rigsby, Ellen M. (2005), p. 169
[12] 웹사이트 "Introduction" from Ursula K. Le Guin: ''The Hainish Novels & Stories'', Volume One https://www.tor.com/[...] 2017-08-30
[13] 서적 The Wind's Twelve Quarters Bantam Books 1975
[14] 간행물 'Computing Utopia: The Horizons of Computational Economies in History and Science Fiction' 2019
[15] 서적 The New Utopian Politics of Ursula K. Le Guin's The Dispossessed Lexington Books 2005
[16] 서적 Encyclopedia of Fictional and Fantastic Languages Greenwood Press, Westport 2006
[17] 문서 Ursula K. Le Guin, ''The Dispossessed'', p.69.
[18] 문서 Burton (1985).
[19] 문서 Davis and Stillman (2005).
[20] 웹사이트 Book review discussing meanings http://io9.gizmodo.c[...] 2010-08-29
[21] 웹사이트 Penn State University Press listing https://www.jstor.or[...]
[22] 논문 Ambiguity in Utopia: The Dispossessed http://www.depauw.ed[...]
[23] 문서 Tom Moylan, ''Demand the Impossible: Science Fiction and the Utopian Imagination''. Ed., Raffaella Baccolini. Bern: Peter Lang (2014), p. 87.
[24] 문서 Tom Moylan, ''Demand the Impossible: Science Fiction and the Utopian Imagination''. Ed., Raffaella Baccolini. Bern: Peter Lang (2014), p. 10.
[25] 논문 Anarcho-feminism and permanent revolution in Ursula K. Le Guin's 'The Dispossesse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6] 논문 "Shadows to Walk": Ursula Le Guin's Transgressions in Utopia 2009-09
[27] 서적 Gender, Genre & Narrative Pleasure Routledge 2012
[28] 웹사이트 "Study Guide for Ursula LeGuin: '''The Dispossessed''' (1974)" - Paul Brians http://www.wsu.edu/~[...]
[29] 웹사이트 The Dispossessed https://doukhobor666[...] Samizdat (2015) 2015-12-20
[30] 서적 The Dispossessed
[31] 웹사이트 Wholeness and Balance http://www.depauw.ed[...] Science Fiction Studies (1975)
[32] 서적 The Need for Walls: Privacy, Community, and Freedom in The Dispossessed https://www.academia[...] Lexington Books (2005) 2005-01
[33] 웹사이트 The Dispossessed http://www.stevegros[...] Steve Grossi (2013) 2013-02-02
[34] 서적 Timelines of Americ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9
[35] 서적 The Language of the Night: Essays on Fantasy and Science Fiction https://books.google[...] Ultramarine Publishing
[36] 간행물 The Dispossessed: Visit from A Small Planet Village Voice 1974-11-21
[37] 간행물 Of Things to Come The New York Times Book Review 1975-10-26
[38] 간행물 Galaxy Bookshelf Galaxy Science Fiction 1974-06-01
[39] 간행물 Reading Room If 1974-08-01
[40] 웹사이트 Times Past Old Time Radio Archives http://otrarchive.bl[...]
[41] 웹사이트 1212 Entertainment, Anonymous Content Team to Adapt Ursula K. Le Guin's 'The Dispossessed' as TV Series (EXCLUSIVE) https://variety.com/[...] 2022-01-17
[42] 서적 風の十二方位 早川書房(ハヤカワ文庫SF) 1980-07-31
[43] 문서 6장 참조
[44] 문서 1장에 나오는 다음 문구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쉐벡이 당연시하는 개념이 상대방에게는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것일 경우도 자주 있었다. 예를 들면 우라스 인들은 우월함이라든가 상대적인 높이 같은 신기한 문제를 중요시했다. (중략) 하지만 아나레스인이라면 <더 중추적인>이라는 표현을 썼을 것이다."
[45] 문서 2장에 다음과 같이 어린 아이를 훈계하는 부분이 있다. "자기 중심적으로 굴지 마라", "네 것은 없어. 그건 사용하기 위한 것이지. 함께 나누기 위한 거란다. 공유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어."
[46] 문서 4장 참조
[47] 문서 8장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