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콜트 사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콜트 사미어는 핀란드, 러시아,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사미어의 한 갈래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핀란드 페차모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전쟁 이후 스콜트족이 핀란드 이날리, 세베티예르비, 넬림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언어 사용 지역이 바뀌었다. 현재 핀란드에서는 약 300~400명이 사용하며, 이날리 자치구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스콜트 사미어는 핀란드 사미어 언어법에 따라 공무 수행에 사용될 수 있으며, 학교에서 교육도 제공되지만, 사용 인구가 적어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스콜트 사미어는 고유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복잡한 모음 및 자음 체계, 초분절음소, 굴절 문법 등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란드의 언어 - 타타르어
타타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주로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고 약 7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해 왔고 현재는 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볼가르어와 킵차크어군에 기원을 둔 교착어이다. - 사미어파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사미어파 - 룰레 사미어
룰레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와 노르웨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약 650명의 화자를 가진 사미어의 한 방언으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1983년 표준화되었고, 7개의 격과 특이한 동사 활용 체계를 갖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 굴절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굴절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스콜트 사미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스콜트 사미어 |
고유 이름 | nuõrttsääʹmǩiõll (누오르참키얼) |
뜻 | 동부 사미어 |
발음 | nuɘrʰtːɕa̟ːmʰʲc͡çiɘlː (누오르트샤암치얼) |
사용 지역 | 핀란드, 러시아 |
사용자 | 약 330명 (2002-2023년) |
민족 | 스코트인 |
언어 분류 | |
어족 | 우랄어족 |
어파 | 사미어군 |
하위 분류 | 동부 사미어군 - 본토 동부 사미어군 |
방언 | |
북부 방언 | Neiden (네이덴) Paatsjoki (파차요키) |
남부 방언 | Njuõʹttjäuʹrr (뉘오트야우르) Suõʹnnʼjel (수온넬) |
문자 |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
지위 | |
소수 언어 | 핀란드, 노르웨이 |
위협 정도 | 심각한 위기 (UNESCO) |
언어 코드 | |
ISO 639-2 | sms |
ISO 639-3 | sms |
Glottolog | skol1241 |
Glottopedia | Skolt_Saami |
지도 정보 | |
![]() | |
2. 역사
스콜트 사미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핀란드, 러시아, 노르웨이 세 국가의 영토에서 사용되었다. 핀란드에서는 페차모 지역의 수오니킬랴와 페차모 마을을 포함한 4개 마을에서 사용되었고, 이 지역은 전쟁 이후 러시아에 할양되었다. 러시아에서는 현재는 사라진 사미족 정착지인 모토프스키, 송겔스키, 노토제로(러시아어 이름, 즉 "노토제르스키" 방언에서 유래)에서 사용되었다. 노르웨이에서는 쇠르바랑에르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네이덴 마을에 문화 센터가 있었다.
2. 1. 핀란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핀란드 영토에서는 4개의 마을에서 스콜트 사미어가 사용되었다. 페차모에서는 수오니킬랴와 페차모 마을에서 사용되었다. 이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러시아에 할양되었고, 스콜트족은 이날리, 세베티예르비, 넬림의 이날리 자치구 마을로 대피했다.
2. 2. 러시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페차모 지역이 러시아(당시 소련)에 할양되면서, 모토프스키, 송겔스키, 노토제로(러시아어 이름, 즉 '노토제르스키' 방언에서 유래) 등 현재는 사라진 사미족 정착지에서 스콜트 사미어가 사용되었다. 일부 화자들은 여전히 툴로마와 로보제로 마을에 거주하고 있을 수 있다.[4][5]2. 3. 노르웨이
노르웨이 영토에서는 쇠르바랑에르 지역에서 스콜트 사미어가 사용되었으며, 네이덴 마을에 문화 센터가 있었다. 이 언어는 더 이상 노르웨이에서 모국어로 사용되지 않는다.
3. 현황
핀란드에서는 약 300명[6] 또는 400명이 스콜트 사미어를 사용한다. 핀란드의 사미어 언어법(1086/2003)에 따르면 스콜트 사미어는 사미족이 라플란드에서 공무를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사미어 중 하나이다. 이 언어는 이날리 자치구의 공용어이며, 이곳의 초등학교에서는 모국어 화자와 외국어로서 배우는 학생 모두를 위해 이 언어 강좌를 제공한다. 소수의 젊은이들만이 이 언어를 배우고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스콜트 사미어는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이며, 거의 같은 수의 화자가 있고 같은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이날리 사미어보다 훨씬 심각하다. 또한, 이 지역 외에도, 특히 수도권 지역에 많은 스콜트족이 거주하고 있다.
4. 사용
핀란드에서는 약 300명[6] 또는 400명이 스콜트 사미어를 사용한다. 핀란드의 사미어 언어법(1086/2003)에 따르면 스콜트 사미어는 사미족이 라플란드에서 공무를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사미어 중 하나이다. 이 언어는 이날리 자치구의 공용어이며, 이날리의 초등학교에서는 모국어 화자와 외국어로서 배우는 학생 모두를 위해 이 언어 강좌를 제공한다. 소수의 젊은이들만이 이 언어를 배우고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스콜트 사미어는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이며, 거의 같은 수의 화자가 있고 같은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이날리 사미어보다 훨씬 심각하다. 또한, 이 지역 외에도, 특히 수도권 지역에 많은 스콜트족이 거주하고 있다.
1978년부터 1986년까지 스콜트족은 자체 언어로 발행되는 분기별 간행물인 Sääʹmođđâzsms를 발행했다.[7] 2013년부터는 투오드리 페르라는 새로운 잡지가 연 1회 발행되고 있다.[8]
핀란드 뉴스 프로그램 YLE Ođđasatse는 2016년 8월 26일에 처음으로 스콜트 사미어 뉴스 앵커를 선보였다. 그 외에도 YLE Ođđasatse는 때때로 스콜트 사미어로 개별 뉴스 기사를 제공한다.[9] 또한, YLE에서는 어린이 TV 시리즈 Binnabánnašsms와 같은 다양한 스콜트 사미어 TV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다.
4. 1. 종교
스콜트 사미어로 출판된 최초의 서적은 1983년에 출판된 동방 정교회 기도서(Risttoummi moʹlidvaǩeʹrjj|정교회를 위한 기도서sms)였다. 1988년에는 요한 복음 번역본(Evvan evaŋǧeʹliumsms)이 출판되었고, 2002년에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전례(Pââʹss Eʹččen Evvan Krysostomoozz Liturgia|우리 성부 요한 크리소스토모스의 전례sms)가 출판되었다. 스콜트 사미어는 핀란드어와 함께 라피 정교회 교구(Lappi ortodookslaž sieʹbrrkåʹddsms)의 이발로, 세베티얘르비, 넬림 교회에서 예배에 사용된다.4. 2. 음악
이날리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스콜트 사미어는 티이나 사닐라-아이키오가 부르는 록 음악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현상을 보였는데, 그녀는 스콜트 사미어로 두 개의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1]4. 3. 교육
핀란드에서는 약 300명[6] 또는 400명이 스콜트 사미어를 사용한다. 핀란드의 사미어 언어법(1086/2003)에 따르면 스콜트 사미어는 사미족이 라플란드에서 공무를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사미어 중 하나이다. 이 언어는 이날리 자치구의 공용어이며, 이곳의 초등학교에서는 모국어 화자와 외국어로서 배우는 학생 모두를 위해 이 언어 강좌를 제공한다. 소수의 젊은이들만이 이 언어를 배우고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스콜트 사미어는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이며, 거의 같은 수의 화자가 있고 같은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이날리 사미어보다 훨씬 심각하다. 또한, 이 지역 외에도, 특히 수도권 지역에 많은 스콜트족이 거주하고 있다.1993년, 7세 미만의 어린이를 위한 언어 둥지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한동안 이 프로그램은 간헐적인 자금 지원을 받아 일부 어린이들은 스콜트 사미어를 배우는 반면, 다른 어린이들은 배우지 못했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직면한 모든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는 가장 어린 세대의 스콜트 사미어 사용자를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 프로그램은 다시 시행되었다.
또한, 2005년에는 핀란드 대학 입학 시험에서 외국어로서 스콜트 사미어를 사용하는 것이 처음으로 가능해졌다. 2012년에는 빌레-리코 포포노프 (Läärvan-Oʹlssi-Peâtt-Rijggu-Vääʹsǩ-Rijggu-Ville-Reeiǥažsms)가 시험의 모국어 부분에 스콜트 사미어를 사용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는 같은 해 올해의 스콜트 상을 수상했다.[12]
5. 문자 체계
1973년에 Suõʹnnʼjel|수온니옐sms 방언을 기반으로 스콜트 사미어의 공식 표준 정서법이 도입되었다. 이후 몇 가지 작은 수정 사항을 거쳐 널리 받아들여졌다.[1] 스콜트 사미어 정서법은 몇 가지 특수 문자가 추가된 ISO 기본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문자 | 음소 | 문자 | 음소 | 문자 | 음소 |
---|---|---|---|---|---|
A a | Ǧ ǧ | Õ õ | |||
 â | Ǥ ǥ | P p | |||
B b | H h | R r | |||
C c | I i | , | S s | ||
Č č | J j | Š š | |||
Ʒ ʒ | K k | T t | |||
Ǯ ǯ | Ǩ ǩ | U u | , | ||
D d | L l | V v | |||
Đ đ | M m | Z z | |||
E e | , | N n | Ž ž | ||
F f | Ŋ ŋ | Å å | |||
G g | O o | Ä ä |
참고:
- 문자 Q/q, W/w, X/x, Y/y 및 Ö/ö도 사용되지만 외국어 또는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핀란드어와 스웨덴어와 마찬가지로 Ü/ü는 '''''u'''''가 아닌 '''''y'''''로 정렬된다.
- 표준 정서법에서는 와 의 차이를 두지 않는다. 사전, 문법 및 기타 참고 자료에서는 문자 ẹ|영어가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디그래프 lj|영어와 nj|영어는 각각 자음 및 를 나타낸다.
스콜트 사미어 단어를 쓸 때 추가 기호가 사용된다.
- 프라임 기호 ʹ (U+02B9 수정 기호 문자 프라임)은 음절의 모음 뒤에 추가되어 분절 초분절 팔라탈라이제이션을 나타낸다. 가끔 단독 급성 악센트 ´ 또는 ˊ (U+00B4 급성 악센트 또는 U+02CA 수정 기호 문자 급성 악센트)가 사용되지만 이것은 정확하지 않다.
- 아포스트로피 ʼ (U+02BC 수정 기호 문자 아포스트로피)는 조합 lʼj|영어 및 nʼj|영어에 사용되어 이것들이 단일 소리가 아닌 두 개의 개별 소리임을 나타낸다. 또한 동일한 자음 사이에 배치하여 별도의 운율 발에 속하며 결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lueʹštted|자유롭게 하다sms와 그 사역형 lueʹštʼted|자유롭게 하도록 만들다sms를 구별한다.
- 하이픈 –은 합성어의 부분 사이의 접합점에 두 개의 동일한 자음이 있는 경우 사용된다. 예를 들어 ǩiõtt-tel|휴대폰sms과 같다.
- 세로선 ˈ (U+02C8 수정 기호 문자 수직선), 타자기 아포스트로피 또는 기타 유사한 기호는 쌍자음이 길고 앞의 이중 모음이 짧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것은 항상 이중 모음이 앞에 오는 동일한 자음 쌍 사이에 배치된다. 이 기호는 일반 스콜트 사미어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사전, 문법 및 기타 참고 자료에 나타난다.
6. 음운
이 사미어는 매우 복잡한 모음 체계와, 구개음화된 강세 그룹과 그렇지 않은 강세 그룹의 초분절적 대조가 특징이다. 경구개음화된 강세 그룹은 "소프트너 마크"로 표시되며, 이는 수정 문자 아포스트로피(ʹ)로 나타낸다.
하위 섹션인 '모음', '자음', '초분절음'에 각각 모음, 자음, 초분절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오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6. 1. 모음
스콜트 사미어의 모음 음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스콜트 사미어에는 모음 길이가 있지만, 뒤따르는 자음의 길이와 대조를 이룬다. 예를 들어, leʹtt|레트sms ‘배’와 leeʹtt|레에트sms ‘배들’이 있다.
모음은 결합하여 12개의 이중 모음을 형성할 수 있다.
단모음과 마찬가지로, 모든 이중 모음은 짧거나 길 수 있지만, 철자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짧은 이중 모음은 길이와 강세 위치로 구별된다. 짧은 이중 모음은 두 번째 요소에 강세가 있는 반면, 긴 이중 모음은 첫 번째 요소에 강세가 있다.
이중 모음은 또한 평탄하거나 구개음화된 환경에서 발생하는지에 따라 두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두 번째 요소가 후설 또는 중설인 이중 모음에서 더 명확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개음화를 포함한 특정 굴절 형태소는 이중 모음 품질의 변화를 유발한다.
평탄 | 구개음화 |
---|---|
iõ|이오sms | iõʹ|이오sms |
iâ|이아sms | ieʹ|이에sms |
eâ|에아sms | eäʹ|에애sms |
eä|에애sms | |
uõ|우오sms | uõʹ|우오sms |
uå|우오sms | ueʹ|우에sms |
uâ|우아sms | |
uä|우애sms | uäʹ|우애sm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