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나리 사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나리 사미어는 핀란드 이나리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미어의 한 종류이다. 1859년 에드바르드 빌헬름 보르그가 쓴 책으로 기록이 시작되었으며, 1906년 라우리 아르비드 이트코넨의 성경 번역을 통해 현대 이나리 사미어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92년부터 핀란드 사미족은 이나리 사미어로 공무원과 소통할 권리를 갖게 되었고, 이나리 시는 4개의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이나리 사미어를 사용한다. 이나리 사미어 언어 협회는 이나리 사미어 보존을 위해 책, 교과서, 신문 등을 발행하고 있으며, 랩 음악에도 사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이나리 사미어는 음운론, 자음 교체, 모음 변동 등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언어 - 크벤어
    크벤어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계열의 언어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2007년 표준 문자 제정 계획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화자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스웨덴의 언어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스웨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핀란드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란드의 언어 - 타타르어
    타타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주로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고 약 7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해 왔고 현재는 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볼가르어와 킵차크어군에 기원을 둔 교착어이다.
이나리 사미어
언어 정보
이름이나리 사미어
고유 명칭anarâškielâ (이나리어)
aanaarsämikielâ (아나르 사미어)
사용 국가핀란드
사용자 수400명 (2018년 인구 조사)
민족이나리 사미족
언어 계통우랄어족
어파사미어
어군동부 사미어군
소수 언어핀란드
ISO 639-2smn
ISO 639-3smn
Glottologinar1241
Glottolog 명칭이나리 사미어
문자라틴 문자
지리적 분포
사프미 내 이나리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사프미 내 이나리 사미어 사용 지역 (빨간색)
이나리 사미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이나리 사미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기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2. 역사

이나리 사미어의 첫 책은 1859년 에드바르드 빌헬름 보르그가 쓰고 번역한 ''Anar sämi kiela aapis kirje ja doctor Martti Lutherus Ucca katkismus''였다. 현대 이나리 사미어 기록의 역사는 1906년 라우리 아르비드 이트코넨이 성경 역사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평가된다. 이트코넨은 성경 역사 번역 이전에 이미 마르틴 루터와 존 찰스 라일스의 책들을 이나리 사미어로 번역한 바 있다. 이후 이나리 사미어는 주로 언어학자, 특히 프란스 아이매와 에르키 이트코넨의 저서를 통해 출판되었다. 수년간 이나리 사미어로 쓰인 문헌은 매우 적었지만, 최근 사미티게는 여러 책 등을 지원하고 출판했다.

1986년 이나리 사미어 사용 장려를 위한 Anarâškielâ servi(이나리 사미어 언어 협회)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이나리 사미어로 된 책, 교과서, 달력 등을 출판하고, 1997년에는 이나리와 이발로에서 3~6세 어린이를 위한 언어 몰입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07년부터는 ''Kierâš''라는 이나리 사미어 온라인 신문을 발행하고 있다.

1992년부터 핀란드의 사미족은 에노테키외, 우츠요키, 이나리, 소단킬레 북부 지역에서 자신의 언어로 공무원과 소통할 권리를 갖게 되었다. 이는 언어 보존을 위한 공식 정책의 일환이었다. 핀란드에서 유일하게 4개 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이나리의 모든 공지는 핀란드어, 북부 사미어, 이나리 사미어, 스코트 사미어로 발표해야 한다. 그러나 이 지역 공무원의 약 10%만이 이나리 사미어를 구사하는 인구를 지원할 수 있으며, 나머지 90%는 핀란드어를 사용한다.

믹칼 모로타야(예명: Amoc)는 이나리 사미어를 랩에 사용하여 새로운 현상을 보여주었다. 모로타야는 2007년 2월 6일 사미 국경일에 세계 최초의 이나리 사미어 랩 CD를 발매했다.

2. 1. 초기 역사

이나리 사미어 첫 번째 책은 에드바르드 빌헬름 보르그가 1859년에 쓰고 번역한 ''Anar sämi kiela aapis kirje ja doctor Martti Lutherus Ucca katkismus''였다. 하지만 현대 이나리 사미어의 기록된 역사는 라우리 아르비드 이트코넨이 1906년에 성경 역사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 전에 그는 이미 다른 책들(마르틴 루터와 존 찰스 라일스)을 이나리 사미어로 번역했다. 그 이후, 이나리 사미어는 주로 언어학자, 특히 프란스 아이매와 에르키 이트코넨이 쓴 책으로 출판되었다.[1]

2. 2. 최근 역사

1986년 이나리 사미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Anarâškielâ servi(이나리 사미어 언어 협회)가 설립되었다.[1] 이 협회는 이나리 사미어로 된 다양한 책, 교과서, 달력 등을 출판한다.[1] 1997년에는 이나리와 이발로의 보육 시설에서 3세에서 6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 몰입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 2007년에는 이 협회가 ''Kierâš''라는 이나리 사미어 온라인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1]

1992년부터 핀란드의 사미족은 에노테키외, 우츠요키, 이나리, 소단킬레 북부 지역에서 자신의 언어로 공무원과 소통할 권리를 갖게 되었다.[1] 이는 언어 보존을 위한 공식 정책의 일환이었다.[1] 핀란드에서 유일하게 4개 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지방 자치 단체인 이나리의 모든 공지는 핀란드어, 북부 사미어, 이나리 사미어, 스코트 사미어로 발표해야 한다.[1] 그러나 이 지역 공무원의 약 10%만이 이나리 사미어를 구사하는 인구를 지원할 수 있으며, 나머지 90%는 핀란드어를 사용한다.[1]

믹칼 모로타야(예명: Amoc)는 이나리 사미어를 랩에 사용하며 새로운 현상을 보여주었다.[1] 모로타야는 2007년 2월 6일 사미 국경일에 세계 최초의 이나리 사미어 랩 CD를 발매했다.[1]

3. 사용 현황

핀란드어, 콜타사미어, 북부 사미어와 함께 이나리 사미어는 이나리 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4] 핀란드에서 유일하게 4개 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지방 자치 단체인 이나리의 모든 공지는 핀란드어, 북부 사미어, 이나리 사미어, 스코트 사미어로 발표해야 한다. 그러나 이 지역 공무원의 약 10%만이 이나리 사미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나머지 90%는 핀란드어를 사용한다.

이나리 사미어는 주로 다음의 이나리 호 기슭에 위치한 마을에서 사용된다. (마을의 이나리 사미어 이름은 괄호 안에 표기):

핀란드어 지명이나리 사미어 지명
악수얘르비Ákšujävri
이얘르비Ijjävri
이나리Aanaar
이발로Avveel
카아마넨Kaamâs
메네스얘르비Menišjävri
넬림Njellim
파르타코Päärtih
레포요키Riemâšjuuhâ
세베티얘르비Čevetjävri
쉬스얘르비Čovčjävri
티로Mosshâš


4. 음운론

이나리 사미어의 음운론은 자음, 모음, 운율 체계로 구성된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음과 모음에 대한 자세한 표와 설명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나리 사미어 음운론의 특징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이나리 사미어는 양순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을 포함한 다양한 자음을 가지고 있다. 파열음파찰음무성음유성음으로 구분되며, 마찰음, 접근음, 전동음도 존재한다. 모음 체계는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구성되며, 과거에는 중설 개모음 ä가 있었으나 현대에는 æ로 통합되었다.

이나리 사미어는 단어 첫머리에 고정된 강세를 가지며, 음절은 발로 나뉜다. 각 발은 보통 두 음절로 구성되고, 각 발의 첫 음절에 이차 강세가 온다. 다른 사미어에서는 홀수 음절 단어의 마지막 음절은 발에 할당되지 않지만, 이나리 사미어에서는 초기 변화로 인해 운율 리듬이 달라졌다. 음절 수가 홀수인 단어에서 마지막 두 음절은 발로 변환되어 세 번째 마지막 음절이 자체 발로 남게 되었고, 세 음절 이상 단어에서 특정 최종 모음 탈락으로 새로운 마지막 발이 단일 음절로 줄었다. 결과적으로 이나리 사미어는 원래 모음으로 끝났지만 탈락을 겪은 단어와 원시 사미어에서 이미 자음으로 끝난 단어를 운율적으로 구별하며, 발 구조 재배열은 모음과 자음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

4. 1. 자음



이나리 사미어의 자음 체계는 위 표와 같다. 양순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이 있으며, 파열음/파찰음무성음유성음으로 구분된다. 마찰음, 접근음, 전동음도 존재한다.

4. 2. 모음

이나리 사미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과거에는 중설 개모음 ä가 있었으나, 현대 이나리 사미어에서는 전설 모음 æ로 통합되었다.

4. 3. 운율

이나리 사미어는 다른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단어 초두에 고정된 강세를 가진다. 음절은 또한 발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각 발은 두 음절로 구성되고, 각 발의 첫 번째 음절에 이차 강세가 있다. 다른 사미어에서는 음절 수가 홀수인 단어의 마지막 음절은 발에 할당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나리 사미어에서는 이나리 사미어 초기의 두 가지 중요한 변화가 이러한 구조를 바꾸어 운율 리듬을 상당히 다르게 만들었다.

  • 음절 수가 홀수인 단어에서 마지막 두 음절은 발로 변환되어 세 번째 마지막 음절이 자체 발로 남게 되었다.
  • 세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특정 최종 모음의 탈락은 이 새로운 마지막 발을 단일 음절로 줄였다.


결과적으로 이나리 사미어는 원래 모음으로 끝났지만 탈락을 겪은 단어와 원시 사미어에서 이미 자음으로 끝난 단어를 운율적으로 구별한다. 이러한 발 구조의 재배열은 모음과 자음의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

5. 문자 체계

이나리 사미어는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현재 이나리 사미어에 사용되는 알파벳은 1996년에 공식화되었다.

이나리 사미어 알파벳
문자발음 (IPA)
A a/ɑ/
Á á/a/
Ä ä/æ/
 â/ə/
B b/b/
C c/t͡s/
Č č/t͡ʃ/
D d/d/
Đ đ/ð/
E e/e/
F f/f/
G g/ɡ/
H h/h/
I i/i/, /j/
J j/j/
K k/k/
L l/l/
M m/m/
N n/n/
Ŋ ŋ/ŋ/
O o/o/
P p/p/
R r/r/
S s/s/
Š š/ʃ/
T t/t/
U u/u/
V v/v/
Y y/y/
Z z/d͡z/
Ž ž/d͡ʒ/



음성 값은 카렐리아어와 동일하며, 'đ'는 유성 치 마찰음(영어로는 "the")을 나타낸다. Q/q, W/w, X/x, Å/å, Ö/ö는 외래어에 사용된다. 'Á'는 전통적으로 'a'와 'ä'의 중간 발음으로 발음되었지만, 현대 이나리 사미어에서는 'á'와 'ä'의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표기에서는 'Á'와 'ä'를 별개의 문자로 간주한다. 'Ä'는 다음 경우에 사용된다.


  • 단어의 첫 번째 음절에, 동일한 단어의 두 번째 음절에 'e' 또는 'i'가 있는 경우
  • 단일 음절 단어(하지만 'á'도 사용됨)
  • 이중 모음 'iä'(하지만 이중 모음 'uá'에서는 아님)


사전, 문법서 및 기타 언어학 저작물에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 표지를 사용한다. 이 표지들은 일반적인 글쓰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점은 자음 아래에 배치하여 반장 자음을 나타낸다: ''đ̣, j̣, ḷ, ṃ, ṇ, ṇj, ŋ̣, ṛ, ṿ''. 어떤 저작물에서는 대신 문자를 굵게 인쇄하거나 대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 수직선 ˈ (U+02C8 MODIFIER LETTER VERTICAL LINE), 타자기 아포스트로피 또는 기타 유사한 표시는 선행 자음이 길고 선행 이중 모음이 짧음을 나타내기 위해 자음 사이에 배치된다. 이중 모음이 앞에 오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 이중 모음과 자음 사이에 배치된 동일한 표시는 이중 모음이 짧음을 나타낸다.
  • 단일 모음과 자음 사이에 배치된 동일한 표시는 모음이 반장임을 나타낸다.

6. 문법

이나리 사미어는 다른 사미어와 비교하여 독특한 문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자음 교체와 모음 변동(Umlaut) 현상이 두드러지며, 명사와 대명사의 격변화, 동사 활용 등에서 복잡한 체계를 보인다.

자음 교체와 모음 변동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생략하고, 명사는 주격, 속격, 대격, 처격, 입격, 공동격, 탈격, 본격, 부분격의 9가지 격을 가진다. 속격과 대격은 종종 형태가 같으며, 부분격은 단수에서만 쓰이는 등 생산성이 낮다.

인칭 대명사는 단수, 복수, 이중수의 세 가지 수를 가진다. 주격과 소유격/대격 형태는 아래 표와 같다.

단수이중수복수
주격소유격주격소유격주격소유격
1인칭mun|문smnmuu|무smnmuoi|무오이smnmunnuu|문누smnmij|미smnmii|미smn
2인칭tun|툰smntuu|투smntuoi|투오이smntunnuu|툰누smntij|티smntii|티smn
3인칭sun|순smnsuu|수smnsuoi|수오이smnsunnuu|순누smnsij|시smnsii|시smn



'나/우리(이중수)/우리(복수)' 인칭 대명사의 격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단수이중수복수
주격mun|문smnmuoi|무오이smnmij|미smn
소유-대격muu|무smnmunnuu|문누smnmii|미smn
처격must|무스트smn, muste|무스테smnmunnust|문누스트smnmist|미스트smn, miste|미스테smn
내격munjin|문인smnmunnui|문누이smnmijjân|미얀smn
공동격muuin|무인smn, muin|무인smnmunnuin|문누인smn, munnuuin|문누인smnmiiguim|미구임smn
무격muuttáá|뭅따smnmunnuuttáá|문눕따smnmiittáá|밑따smn
본격munen|무넨smnmunnun|문눈smnminen|미넨smn
부분격muđe|무데smn------


6. 1. 자음 교체

이나리 사미어의 자음 교체는 이나리 사미어 고유의 강세 패턴의 영향으로 다른 사미어보다 더 복잡하다. 다른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강한 등급과 약한 등급의 구분이 있지만, 두 번째 요인은 자음이 발(foot, FM)의 중간에 나타나는지 또는 두 발 사이의 접합부(FJ)에 나타나는지 여부이다. 후자의 경우 자음이 종종 길어진다.[1]

이나리 사미어의 자음 교체
Q3Q2Q1
FMFJ
đđđ̣đđđ
jjjjj
lllll
mmmmm
nnnnn
rrrrr
vvṿvvv



Q3Q2Q1
FMFJFMFJ
cccccs
čččččjj
kkhh/hhṿvv
pppppv
ssssss
šššššš
tttttđ


6. 2. 모음 변동 (Umlaut)

변모는 이나리 사미어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이 첫 번째 음절의 모음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 표는 각 두 번째 음절 모음에 대한 원시 사미어 첫 번째 음절 모음의 이나리 사미어 결과를 나열한다.

원시*ā, *ō*ë, *i, *u
이나리á, o/ue/iâ/a, i, u
ao
*oou
*ii
*uu
áäa
*eae
*ieie
*oao
*uoyeuo



원시 사미어 모음 중 일부는 특정 두 번째 음절 모음 앞에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원시 사미어 ''*ē'' 앞에서만 모든 모음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시 사미어 ''*oa''와 ''*ë''는 모두 ''*ë'' 앞에서 ''o''로 나타나고, ''*o''와 ''*u''는 모두 ''u''로 나타난다. 두 번째 음절 모음이 변경되는 경우, 특정 단어의 모음이 어떤 계열에 속하는지 아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juuḥâđsmn "마시다"는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가 juhásmn이고, nuuḥâđsmn "끝내다"는 nohásmn이다. 전자는 원시 사미어 ''*u''에서, 후자는 ''*o''에서 유래한다.

반대로 작동하는 두 번째 종류의 변모도 발생한다. 첫 번째 음절에 ''a'' (원시 사미어 ''*ë''에서 유래)가 있고 두 번째 음절에 ''á''가 있는 경우, 두 번째 음절 모음은 ''a''로 후퇴한다. 따라서 moonnâđsmn "가다"의 3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형태는 maṇasmn이고, ahesmn "나이"의 일격 단수 형태는 ahansmn이다.

6. 3. 명사

이나리 사미어는 주격, 속격, 대격, 처격, 입격, 공동격, 탈격, 본격, 부분격의 9가지 격을 가지며, 속격과 대격은 종종 동일하다.

부분격은 단수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생산성이 매우 낮은 격으로 보인다. 또한, 핀란드어와 달리, 이나리 사미어는 타동사의 목적어에 부분격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Mun puurâm leeibismn"는 핀란드어로 "Minä syön leivänfi" (영어: "나는 (전부) 빵을 먹고 있다") 또는 "Minä syön leipääfi" ("나는 (일부) 빵을 먹고 있다" 또는 일반적으로 "나는 빵을 먹는다")로 번역될 수 있으며, 이 완료성의 대비는 핀란드어에서 필수적이다.[1]

6. 4. 대명사

이나리 사미어의 인칭 대명사는 단수, 복수, 이중수의 세 가지 수를 가진다. 다음 표는 주격과 소유격/대격 형태의 인칭 대명사를 나타낸다.

단수이중수복수
주격소유격주격소유격주격소유격
1인칭mun|문smnmuu|무smnmuoi|무오이smnmunnuu|문누smnmij|미smnmii|미smn
2인칭tun|툰smntuu|투smntuoi|투오이smntunnuu|툰누smntij|티smntii|티smn
3인칭sun|순smnsuu|수smnsuoi|수오이smnsunnuu|순누smnsij|시smnsii|시smn



다음 표는 '나/우리(이중수)/우리(복수)' 인칭 대명사의 다양한 격변화를 보여준다.

단수이중수복수
주격mun|문smnmuoi|무오이smnmij|미smn
소유-대격muu|무smnmunnuu|문누smnmii|미smn
처격must|무스트smn, muste|무스테smnmunnust|문누스트smnmist|미스트smn, miste|미스테smn
내격munjin|문인smnmunnui|문누이smnmijjân|미얀smn
공동격muuin|무인smn, muin|무인smnmunnuin|문누인smn, munnuuin|문누인smnmiiguim|미구임smn
무격muuttáá|뭅따smnmunnuuttáá|문눕따smnmiittáá|밑따smn
본격munen|무넨smnmunnun|문눈smnminen|미넨smn
부분격muđe|무데smn------


6. 5. 동사

이나리 사미어 동사는 다음의 요소에 따라 활용된다.

  • 3개의 문법적 인칭:
  • * 제1인칭
  • * 제2인칭
  • * 제3인칭
  • 5개의 문법적 양식:
  • * 직설법
  • * 명령법
  • * 조건법
  • * 추측법
  • * 희구법
  • 3개의 문법 수:
  • * 단수
  • * 쌍수
  • * 복수
  • 2개의 단순 시제:
  • * 과거 시제
  • * 비과거 시제
  • 2개의 복합 시제:
  • * 완료 시제
  • * 과거 완료 시제


이나리 사미어는 핀란드어 및 다른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부정 동사를 가지고 있다. 이나리 사미어에서 부정 동사는 양상(직설법, 명령법, 희구법),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및 수(단수, 쌍수, 복수)에 따라 활용된다.[5]

직설법 현재명령법희구법
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
1jiemiänep1|1iällumiällooniällup
2jieheppeeeppeđ2eleelleeelleđ2eleelleeelleđ
3ijiävá33iälusiällusiällus


7. 기타 명칭

사미어, 이나리, 아나르, 핀란드 라프, 이나리 라프어, 라프, 삼, 사메, 사미, 사믹 등으로 불린다.[1]

참조

[1] 웹사이트 Anaras: The Inari Sámis https://web.archive.[...] 2010-04-01
[2]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s://web.archive.[...] Council of Europe 2014-04-03
[3] 웹사이트 400 puhujan inarinsaame jäi ilman kielityöntekijää – kielenhuolto Facebookin ja vapaaehtoisneuvonnan varassa? https://yle.fi/uutis[...] 2018-08-08
[4] 웹사이트 Language https://www.samimuse[...] 2024-09-04
[5] 웹사이트 Nettidigisäänih https://saanih.oahpa[...]
[6] 웹사이트 Anaras: The Inari Sàmis http://www.siida.fi/[...]
[7]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hub.coe.int/c[...] Council of Europe 2014-04-03
[8] 웹사이트 Anaras: The Inari Sámis http://www.siida.f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