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츠헤자바헤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츠헤자바헤티주는 조지아 남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아르메니아, 튀르키예와 국경을 접한다. 자바헤티 고원과 아르메니아 고원의 북쪽 연장선을 포함하며, 쿠라 강이 흐르고 바르지아 동굴 수도원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다. 6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르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1990년대 중반 메스헤티와 자바헤티를 통합하여 삼츠헤자바헤티주가 설치되었으며, 소수 민족 문제와 관련된 정치적 갈등이 존재한다. 관광 명소로는 바르지아 동굴 수도원, 라바티 성, 케르트비시 요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삼츠헤자바헤티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სამცხე-ჯავახეთი (삼츠헤-자바헤티) |
로마자 표기 | Samtskhe-Javakheti |
현지어 명칭 | სამცხე-ჯავახეთი (조지아어) Սամցխե-Ջավախեթի (아르메니아어) |
행정 구역 종류 | 주 (지역) |
수도 | 아할치헤 |
하위 행정 구역 | 6개 자치체 |
주지사 | 베식 아미라나슈빌리 |
통계 | |
면적 | 6413 km² |
인구 (2021년) | 15111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HDI (2021년) | 0.775 (높음) |
HDI 순위 | 9위 |
지역 총생산 (2022년) | ₾ 18억 2천만 |
1인당 지역 총생산 (2022년) | ₾ 12329 |
식별 코드 | |
ISO 3166-2 | GE-SJ |
이미지 | |
![]() | |
![]() | |
![]() | |
![]() | |
![]() |
2. 지리
삼츠헤-자바헤티는 서쪽으로 아자리 자치 공화국, 북서쪽으로 구리아 주, 북쪽으로 이메레티 주, 북동쪽으로 시다카르틀리 주, 동쪽으로 크베모카르틀리 주, 남동쪽으로 아르메니아, 남서쪽으로 튀르키예와 접한다.
BTC 송유관, 남캅카스 송유관, KTB 철도가 이 주를 통과한다.
이 지역에는 5개의 도시, 6개의 도시형 집락, 67개의 마을, 268개의 지방 마을이 소속되어 있다.
2. 1. 지형
삼츠헤-자바헤티는 북서쪽 끝에서 아자리아, 구리아, 북쪽에서 이메레티, 북동쪽에서 시다 카르틀리, 동쪽에서 크베모 카르틀리와 접경하고 있다. 남쪽 국경은 아르메니아와 접하고, 남서쪽 측면은 튀르키예와 접한다. 이 지역은 화산 기원의 고원 지대인 자바헤티 고원과 아르메니아 고원의 북쪽 연장선을 포함한다. 평원은 해발 1500~2000미터 사이에 있다. 삼츠헤-자바헤티는 여러 산맥과 접해 있는데, 가장 중요한 산맥으로는 북쪽의 메스케티 산맥과 트리알레티 산맥, 동쪽의 삼사리 산맥과 자바헤티 산맥이 있다.
이 고원 지대에는 조지아에서 가장 큰 호수 중 일부인 파라바니 호, 타바츠쿠리 호, 칸찰리 호, 카르차키 호 등이 있다. 조지아에서 가장 큰 강인 므트크바리 강은 튀르키예에서 카르차키 호 북쪽 몇 마일 떨어진 지역을 통해 이 지역을 흐른다. 이 강은 고원 지대를 관통하는 협곡을 만들었으며, 튀르키예와의 국경을 따라 있는 에루셰티 고원의 동쪽 경계를 형성한다. 이 협곡에는 중요한 관광 명소인 역사적인 동굴 수도원 바르지아가 위치해 있다. 강은 처음에 협곡을 통해 북서쪽 방향으로 흘러 케르트비시 요새를 거쳐 아칼치헤로 흘러가는데, 이곳에서 파라바니 강이 므트크바리 강과 합류한다. 강 협곡의 깊이는 약 500미터이다. 아칼치헤에서 강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메스케티 산맥 (왼쪽 강변)과 트리알레티 산맥 (오른쪽 강변) 사이를 지나 보르조미로 흐른 다음, 시다 카르틀리 평원을 통해 이 지역을 빠져나간다.
높은 지대에 위치하여 이 지역은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을 보인다. 관광 명소인 보르조미에서 멀지 않은 북쪽에 위치한 바쿠리아니에는 스키 리조트가 있다.
2. 2. 행정 구역
이 지역은 82개의 행정 공동체(''테미'')[4]를 가진 6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총 271개의 유인 정착지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도시: 아할치헤, 아할칼라키, 보르조미, 발레, 니노츠민다
- 7개의 다바: 바쿠리아니, 바쿠리아니스 안데지티, 차게리, 아할다바, 아디게니, 아바스투마니, 아스핀자
- 마을: 259
지도 | 지방 자치 단체 | 면적 (1km2) | 인구 밀도 (명/1km2) |
---|---|---|---|
아디게니 | 799km2 | 20.1 | |
아할칼라키 | 1235km2 | 33.2 | |
아할치헤 | 998km2 | 39.5 | |
아스핀자 | 825km2 | 12.8 | |
보르조미 | 1202km2 | 20.8 | |
니노츠민다 | 1354km2 | 14.0 | |
2021년 인구 기준 인구 밀도.[3] 지방 자치 단체 면적.[4] |
3. 역사
삼츠헤자바헤티는 메스헤티(삼츠헤)와 자바헤티 지역을 결합하여 형성되었다. 1990년대 중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정부는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분쟁에 대응하여 현재의 "므카레" 분할을 도입했다.
이 지역의 최초 거주민은 고대 부족인 메스히 (또는 모스치)와 모시니크스이다. 일부 학자들은 모시니크스가 철 야금술을 발명했다고 주장한다.
기원전 2천 년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메스헤티는 다이아우에히 왕국의 일부였으며,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6세기까지는 이베리아 왕국의 일부였다. 기원전 785년 우라르투의 왕 아르기쉬티 1세는 이 지역을 ''자바하''로 기록했다. 키릴 투마노프에 따르면, 자바헤티는 기원전 4세기 또는 3세기부터 이베리아 공작령인 츤다의 일부였다. 성 니노는 자바헤티에서 이베리아로 들어와 쿠라강을 따라 므츠헤타로 이동하여 기독교를 전파했고, 이는 이베리아의 기독교화로 이어졌다.
조지아의 아랍 점령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바그라티오니 왕조는 타오-클라르제티를 통치하며 이베리아의 쿠로팔라테이트를 설립했다. 그들은 아랍의 지배에서 삼츠헤와 자바헤티를 점차 통합했다. 오랫동안 이 지역은 조지아 문화의 안전 가옥이자 조지아의 가장 중요한 조지아 정교회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0세기 중반, 자바헤티는 압하스 왕국에 통합되었다. 964년 압하스 왕 레온 3세는 자바헤티로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쿠무르도 대성당이 건설되었다.[12][13] 10세기부터 15세기까지는 통일된 조지아 왕국의 일부였다. 11세기부터 상부 자바헤티의 중심지는 아할칼라키가 되었고, 10세기부터 저지대 자바헤티의 중심지는 트모그비였다. 12세기부터 이 영지는 토렐리 가문이 통치했다.
15세기에 자바헤티는 삼츠헤-사아타바고 공국에 편입되었다. 16세기에는 사파비 왕조에 통합되었고, 그 뒤를 이어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자바헤티의 조지아 인구는 이메레티와 카르틀리와 같은 조지아 내부 지역으로 이주했고, 남은 사람들은 점차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1826-28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이후, 1817년부터 1829년까지는 러시아 트빌리시 현의 일부였다.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투쟁 결과, 러시아 당국은 1828년 이후 기독교 아르메니아인과 코카서스 그리스인을 이 지역에 정착시켰다.[14] 오스만 제국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피해온 아르메니아 난민들이 20세기 초에 도착했다. 또한 많은 수의 러시아 두호보르 종파 구성원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1918년부터 1921년까지는 조지아 민주 공화국의 일부였으며, 1921년부터 1990년까지는 조지아 SSR의 일부였다. 조지아는 1921년 조지아 침공 이후 소련의 완전한 통제를 받게 되었다. 메스헤티 튀르크인은 터키와 접한 조지아의 메스헤티 지방에 한때 거주했던 무슬림 계 주민이다. 1944년 요시프 스탈린의 지시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으며, 오늘날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에 흩어져 살고 있다. 강제 이주된 10만 명 중 1만 명[19]에서 3만~5만 명[15]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후 메스헤티는 조지아의 주로 재설치되었고, 나중에는 새로운 삼츠헤-자바헤티 지역으로 통합되었다.
3. 1. 메스헤티
메스케티안 투르크(또는 메스케티아인)들은 조지아에서 터키와 인접한 지역인 메스케티(오늘날 삼츠헤)의 이전 무슬림 거주자들이다. 1944년 11월 15~25일에, 스탈린의 명령으로 그들은 가축차들에 실려 중앙아시아로 추방되었고,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의 국경들이 중복되는 지역에 정착했다. 오늘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그 나라들의 국경들을 넘어 분산되고 있다. 강제로 추방된 그들 10만명 가운데, 총 1만명은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되었다.[29]
고대 부족인 메스히 (또는 모스치)와 모시니크스가 이 지역의 최초의 알려진 거주민이다. 일부 학자들은 모시니크스(또는 ''모시노이키'')가 철 야금술을 발명했다고 본다.
메스헤티의 역사:
시기 | 내용 |
---|---|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4세기 | 다이아우에히 왕국의 일부 |
기원전 4세기 ~ 6세기 | 이베리아 왕국의 일부 |
10세기 ~ 15세기 | 통일된 조지아 왕국의 일부 |
16세기 | 사파비 제국에 통합, 이후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됨 |
1828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826년-1828년) 이후 | 러시아 트빌리시 현의 일부 (1817년~1829년) |
1918년 ~ 1921년 | 조지아 민주 공화국의 일부 |
1921년 ~ 1990년 | 조지아 SSR의 일부 |
1991년 이후 | 조지아의 주로 재설치, 이후 새로운 삼츠헤-자바헤티 지역으로 통합 |
3. 2. 자바헤티
고대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은 기원전 785년 우라르투의 왕 아르기쉬티 1세에 의해 ''자바하''로 기록되었다.[18] 키릴 투마노프에 따르면, 자바헤티는 기원전 4세기 또는 3세기부터 이베리아 공작령인 츤다의 일부였다. 성 니노는 자바헤티에서 이베리아로 들어왔고, 쿠라강을 따라 이동하여 왕국의 수도인 므츠헤타에 도착했으며, 그곳에서 결국 기독교를 전파하기 시작했고, 이는 이베리아의 기독교화로 절정에 달했다.조지아의 아랍 점령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바그라티오니 왕조는 타오-클라르제티를 통치하게 되었고 이베리아의 쿠로팔라테이트를 설립했다. 타오-클라르제티의 통치자들은 그곳에서 아랍과 싸웠고, 아랍의 지배에서 삼츠헤와 자바헤티를 점차 통합했으며, 몇 개의 다른 작은 영토들도 함께 통합했다. 오랫동안 이 지역은 조지아 문화의 안전 가옥이자 조지아의 가장 중요한 조지아 정교회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0세기 중반에 자바헤티는 압하스 왕국에 통합되었다. 964년 압하스 왕 레온 3세는 자바헤티로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쿠무르도 대성당이 건설되었다.[12][13] 그 후 세기 동안 자바헤티는 통일 조지아 왕국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으며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많은 다리, 교회, 수도원, 왕실 거주지(Lgivi, Ghrtila, Bozhano, 바르지아)가 건설되었다. 11세기부터 상부 자바헤티의 중심지는 아할칼라키가 되었다. 10세기부터 저지대 자바헤티의 중심지는 트모그비였다. 12세기부터 이 영지는 토렐리 가문의 봉건 가문의 대표자들이 통치했다.
15세기에 자바헤티는 삼츠헤-사아타바고 공국에 편입되었다. 16세기에 이 지역은 서부 조지아의 인접 영토와 마찬가지로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다. 자바헤티의 조지아 인구는 이메레티와 카르틀리와 같은 조지아 내부 지역으로 이주했다. 남은 사람들은 점차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투쟁의 결과로, 러시아 당국은 1828년 이후 기독교 아르메니아인과 코카서스 그리스인을 이 지역에 정착시켰다.[14] 오스만 제국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피해온 아르메니아 난민들이 20세기 초에 도착했다. 또한 많은 수의 러시아 두호보르 종파 구성원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3. 3. 소련 시대: 메스케티 튀르크인 추방
조지아는 1921년 조지아 침공 이후 소련의 완전한 통제를 받게 되었다. 메스케티안 투르크(또는 메스케티아인)들은 조지아에서 터키와 인접한 지역인 메스케티(오늘날 삼츠헤)의 이전 무슬림 거주자들이다. 1944년 11월 15~25일에, 스탈린의 명령으로 그들은 가축차들에 실려 중앙아시아로 추방되었고, 현 시대 국가들인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의 국경들이 중복되는 지역에 정착했다.[29] 메스헤티 튀르크인은 터키와 접한 조지아의 메스헤티 지방에 한때 거주했던 무슬림 계 주민이다.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으며, 그들은 오늘날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의 경계와 겹치는 지역에 정착했다.[15] 오늘날에도 많은 수가 이들 국가에 흩어져 살고 있다. 강제 이주된 10만 명 중 1만 명[19]에서 3만에서 5만 명[15]이 사망했다.4. 인구
이 지역은 82개의 행정 공동체(''테미'')[4]를 가진 6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총 271개의 유인 정착지로 구성되어 있다.
- 5개의 도시: 아할치헤, 아할칼라키, 보르조미, 발레, 니노츠민다
- 7개의 다바(읍): 바쿠리아니, 바쿠리아니스 안데지티, 차게리, 아할다바, 아디게니, 아바스투마니, 아스핀자
- 마을: 259개
지도 | 지방 자치 단체 | 면적(km2) | 인구 밀도(명/km2) |
---|---|---|---|
아디게니 | 799km2 | 20.1 | |
아할칼라키 | 1235km2 | 33.2 | |
아할치헤 | 998km2 | 39.5 | |
아스핀자 | 825km2 | 12.8 | |
보르조미 | 1202km2 | 20.8 | |
니노츠민다 | 1354km2 | 14.0 | |
2021년 인구 기준 인구 밀도.[3] 지방 자치 단체 면적.[4] |
아할치헤와 아할칼라키는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자치구이다.
4. 1. 민족 구성
이 지역 거주자들 대다수는 민족적으로 아르메니아인이다.[30] 이들은 아르메니아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31]조지아 국립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삼츠헤-자바헤티주의 2021년 1월 1일 기준 인구는 151,110명이며,[3] 이는 2014년 인구 조사에 비해 6% 감소한 수치이다.[4]
2014년, 조지아의 삼츠헤-자바헤티 주 전체 인구 160,504명 중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1]
2002년, 삼츠헤-자바헤티 주 전체 인구 207,598명 중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0]
4. 2. 언어
그 지역 거주자들 대다수는 민족적으로 아르메니아인이다.[30] 이들은 아르메니아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31] 자바헤티의 주요 민족은 아르메니아인이며, 니노츠민다 시와 아할칼라키 시에서는 아르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20] 이들은 조지아어, 아르메니아어, 러시아어를 사용한다.[21]5. 정치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삼츠헤자바헤티주의 인구 중 아르메니아인이 50.5%로 과반수를 차지한다.[33]
5. 1. 소수 민족 문제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삼츠헤자바헤티주 인구의 약 50.5%가 아르메니아인으로 과반수를 넘으며, 주로 아할칼라키구와 니노츠민다구에 집중되어 있다.[33] 이들은 폰티안 그리스인, 오세티야인, 조지아인들과 함께 거주한다. 그러나 아르메니아인들은 공공 사업 및 정치, 특히 정부 인사 등에서 그 빈도가 현저하게 낮다. 예를 들어, 주지사 임원 26명 가운데 아르메니아인은 3명(11%)뿐이며, 삼츠헤자바헤티 세무부 임원 82명 중에서는 16명(19.5%)만이 아르메니아인이다.[34]트빌리시에서는 지방의 아르메니아인들과 국가 정부와의 의사소통 결핍으로 차별 대우와 불화가 심화되고 있다.[35] 이 지역에서 발생한 시위는 경찰의 잔인한 대처와 살인으로 이어졌다.[36]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이 이류 시민 대우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방의 아르메니아 시민 단체인 자바흐크 민주주의 동맹 연합은 압하지야, 오세티야와 동등한 지방 자치권을 요구하고 있다.
NGO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생활의 모든 면에서 과소평가되고 있다고 보고했으며,[23][24] 조지아 정부와 아르메니아인 간의 대화 부족은 차별과 소외를 야기하고 있다.[25][26]
6. 관광
바르지아 동굴 수도원(1185년 타마르 여왕 설립)과 바니스 크바베비(8세기)는 관광객들을 매료시킨다. 이 명소들은 아스핀자 마을 인근에 있다.[16]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바르지아 동굴 수도원 (1185년 타마르 여왕 설립)
- 바니스 콰베비 (8세기)
- 라바티 성
- 케르트비시 요새
국내 방문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는 다음과 같다.
7. 경제
원문 소스에 경제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https://www.geostat.[...]
[3]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emography - Population as of 1 January by regions and urban-rural settlements
https://www.geostat.[...]
2021-11-23
[4]
웹사이트
Main Results of the 2014 Census (Publication)
http://census.ge/fil[...]
2022-02-04
[5]
웹사이트
Divisions of Georgia
http://pop-stat.mash[...]
2022-02-04
[6]
웹사이트
Population Dynamics in Georgia - An Overview Based on the 2014 General Population Census Data
https://www.geostat.[...]
2022-02-04
[7]
웹사이트
Retro-projection of main demographic indicators for the period 1994-2014
https://www.geostat.[...]
2022-02-04
[8]
문서
AKHALTSIKHE UEZD (1926 year.)
http://www.ethno-kav[...]
[9]
문서
AKHALAKAKI UEZD (1926 year.)
http://www.ethno-kav[...]
[10]
웹사이트
statistics.ge
http://www.statistic[...]
[11]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2014
http://www.geostat.g[...]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21-06-28
[12]
웹사이트
Kumurdo Church
http://www.shemoqmed[...]
Georgian patriarchate, Eparchy of Shemoqmedi
2011-03-05
[13]
웹사이트
Kumurdo
http://www.parliamen[...]
Parliament of Georgia
2011-03-05
[14]
서적
Turcology in Mainz
https://books.google[...]
2011-07-09
[15]
뉴스
Guram Mamulia
https://www.theguard[...]
2008-04-29
[16]
뉴스
Discover Samtskhe-Javakheti
https://www.georgian[...]
Georgian Journal
2018-08-14
[17]
문서
"#転送"
[18]
서적
Turcology in Mainz
https://books.google[...]
2011-07-09
[19]
문서
http://www.guardian.co.uk/news/2003/apr/05/guardianobituaries.usa
[20]
웹사이트
http://www.eurasiane[...]
[21]
웹사이트
http://www.ssoar.inf[...]
[22]
문서
georgia-ethnic-2014
http://pop-stat.mash[...]
[23]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the Caucasus: Georgia Ablaze
[24]
문서
Georgia’s Armenian and Azeri Minorities
http://www.crisisgro[...]
[25]
문서
Reuters AlertNet - Georgia’s Armenian and Azeri Minorities --- LINK DOES NOT WORK
http://www.alertnet.[...]
[26]
뉴스
Georgia’s Armenian and Azeri Minorities
http://www.alertnet.[...]
Reuters Foundation; Alertnet
2006-11-22
[27]
웹인용
Investment Guide to Georgia :: Samtskhe-Javakheti
http://www.investmen[...]
2007-10-23
[28]
웹인용
403 Forbidden
http://webcache.goog[...]
2012-12-09
[29]
문서
http://www.guardian.co.uk/news/2003/apr/05/guardianobituaries.usa
[30]
문서
Georgia: Revolution in the Regions
http://www.eurasiane[...]
[3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oar.inf[...]
2012-03-04
[32]
웹인용
Frontline Club - Onnik Krikorian in Armenia: Nationalists agitate for Samtskhe-Javakheti
http://frontlineclub[...]
2010-10-17
[33]
웹인용
Statistics Georgia
http://www.geostat.g[...]
2010-10-17
[34]
문서
Georgia’s Armenian and Azeri Minorities
http://www.crisisgro[...]
[35]
웹인용
Reuters AlertNet - Georgia’s Armenian and Azeri Minorities
http://www.alertnet.[...]
2010-10-17
[36]
뉴스
Georgia’s Armenian and Azeri Minorities
http://www.alertnet.[...]
Reuters Foundation; Alertnet
2006-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