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아라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아라주는 브라질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면적은 148,016km²이다. 대서양, 리우그란지두노르치주, 파라이바주, 페르남부쿠주, 피아우이주와 접하며, 브라질 고원과 해안 평야에 걸쳐 다양한 지형을 보인다. 기후는 덥고 건조하며,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주요 산업은 서비스업, 산업, 농업이며, 캐슈너트, 코코넛, 파파야 등 농산물 생산이 활발하다. 주요 도시로는 포르탈레자, 카우카이아, 주아제이루두노르치 등이 있으며, 포르탈레자는 유명한 관광지이자 스포츠, 교육의 중심지이다. 세아라주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브라질에서 노예 제도를 가장 먼저 폐지한 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아라주 - 포르탈레자
    포르탈레자는 브라질 세아라 주의 주도로 북동부 지역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진 도시이며, 1500년 발견 이후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지배를 거쳐 1726년 설립, 1799년 주도가 되었고, 열대 기후와 해안성 식생, 도시 공원 및 환경 보전 구역을 보유, 2022년 기준 약 24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브라질 주요 관광 도시이다.
  • 브라질의 주 - 고이아스주
    브라질 중서부에 위치한 고이아스주는 브라질 고원의 광대한 고원 지대를 차지하며, 농업과 광물자원이 풍부하고, 주요 관광지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고이아스 시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인구는 약 706만 명이다.
  • 브라질의 주 - 파라이바주
    파라이바주는 브라질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과거 식민 지배와 혁명의 역사를 거쳐 서비스업, 제조업, 농업에 기반한 경제를 이루고 있으며, 파라이바 투르말린 채굴과 상주앙 축제와 같은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세아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브라질의 세아라 주 위치
브라질의 세아라 주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Estado do Ceará
별칭Terra da Luz (빛의 땅)
표어빛의 땅
국가브라질
수도포르탈레자
최대 도시포르탈레자
면적146,348.3 km²
면적 순위17위
인구 (2022년)8,794,957명
인구 순위8위
인구 밀도auto
인구 밀도 순위11위
인구 통계세아라인
시간대BRT
UTC 오프셋-3
우편 번호60000-000 ~ 63990-000
ISO 코드BR-CE
웹사이트세아라 주 공식 웹사이트
정부
주지사엘마누 지 프레이타스 (PT)
부지사(MDB)
상원의원Augusta Brito (PT)
시드 고메스 (PDT)
에두아르두 지랑 (PODE)
경제
GDP (2021년)1948억 8500만 R$ (361억 5100만 US$)
인간 개발 지수
연도2021년
범주0.734 (12위) - 높은 수준
기타 정보
국가브라질
면적148,894.447km²
자치 단체 수184
인구 (2022년)8,794,957명
인구 밀도 (2022년)59.07명/km²
GDP (2014년)1260억 54백만 레알
1인당 GDP (2014년)1만 4255 레알
로마자 표기Ceará
포르투갈어 발음seaˈɾa, sjaˈɾa, si.aˈɾa
세아라 주 깃발
주 깃발
세아라 주 문장
주 문장

2. 지리

카스카벨의 아구아스 벨라스 해변


세아라주의 면적은 148016km2이다. 북쪽은 대서양과, 동쪽은 리우그란지두노르치주와 파라이바주와, 남쪽은 페르남부쿠주와, 서쪽은 피아우이주와 접한다.

세아라주는 부분적으로 브라질 고원의 북동쪽 사면과 모래로 된 해안 평야에 걸쳐 있다. 지표면은 과거 이 지역을 덮고 있던 고대 사암 고원의 침식으로 형성되었으며, 북쪽과 북동쪽을 향한 일련의 거대한 계단 지형이다. 계단 지형은 수로로 갈라져 있으며, 계곡은 언덕과 고지대의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산맥의 평평한 꼭대기를 ''샤파다'' 또는 ''타볼레이라''라고 하며, 너비는 약 51.50km에서 약 90.12km에 달한다. 피아우이주와의 경계선은 이비아파바 산맥을 따라 있으며, 이 산맥은 주의 남쪽 경계에 있는 아라리페 산맥과 연결된다.

이 주의 해변은 주요 관광 명소이며, 카누아 케브라다, 헤리코아코아라, 모루 브랑쿠 해변, 타이바, 플렉세이라스와 같은 여러 유명한 해변이 있다. 해변은 포르탈레자를 기준으로 석양 해안(''Costa do Sol poente'')과 일출 해안(''Costa do Sol nascente'')으로 나뉜다.

세아라주는 브라질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1980년 퀴셰람빔 근처에서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하여 포르탈레자시를 강타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7]

2. 1. 기후

세아라주의 기후는 거의 일년 내내 덥다. 주의 기온은 22°C 에서 36°C 범위이다. 해안은 시원한 무역풍에 의해 온화해지지만 덥고 습하다. 고지대의 반건조 지역에서는 매우 덥고 건조하며(종종 22°C 이상이지만 30°C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 밤에는 서늘하다. 고지대(세라 다 이비아파바, 샤파다 두 아라리페 및 기타 여러 작은 고지대)에서는 기온이 더 서늘하며 약 14°C 에서 18°C 정도이다. 세아라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8°C이며, 샤파다 두 아라리페의 작은 도시인 자르딤에서 기록되었다.[7]

일년은 우기와 건기로 나뉘며, 비는 1월부터 3월에 시작하여 6월까지 지속된다. 건기인 7월부터 12월까지는 9월과 10월에 가끔 소나기가 내리지만, 그 양은 미미하다. 때로는 비가 전혀 내리지 않아 가뭄(''seca'')이 발생하여 지역 전체에 기근과 전염병을 초래한다. 18세기와 19세기에 기록된 가장 파괴적인 가뭄은 1711년, 1723년, 1777~1778년, 1790년, 1825년, 1844~1845년, 그리고 1877~1880년이었다. 마지막 가뭄(''a 그란데 세카'', "대가뭄"으로 알려짐)은 주의 가축을 거의 전멸시켰고, 기근과 전염병으로 인해 약 50만 명, 즉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사망했다. 지속적인 가뭄 위험 때문에 세아라 전역에 많은 댐(''açudes'')이 건설되었으며, 그중 가장 큰 것이 아수데 카스타냥이다. 댐 덕분에 자구아리베 강은 더 이상 완전히 말라붙지 않는다.[7]

세아라의 기후 유형

2. 2. 식생

세아라주는 맹그로브, 카팅가, 정글, 관목지 및 열대 등 다양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고지대는 무역풍으로부터 상당한 수분을 차단하며, 그 사면과 계곡은 열대 숲으로 덮여 있다. 이 숲은 열대 숲, 카팅가 및 세라도의 종들을 모아놓았다. 고원의 고도가 낮은 지역은 나무가 드문드문 있거나 열린 캄포(campo)이다. 저지대의 대부분 지역은 브라질 고유 식물인 ''카아팅가''라고 불리는 관목 숲으로 특징지어진다. 약 19.31km~약 28.97km 너비의 모래 해안 평야는 식물이 거의 없지만, 해안에는 ''레스팅가''(해안 숲)와 맹그로브가 많다.[7]

토양은 일반적으로 얇고 다공성이며 수분을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긴 건기는 이 지역을 강가와 산맥을 따라서만 식물이 자라게 한다. 널리 분포하는 강인한 카르나우바 야자(''Copernicia cerifera'')는 곳곳에 넓은 숲을 이룬다. 이비아파바 산맥, 아라리페 산맥 등 고지대의 일부 지역은 토양과 식생이 건기에 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농업에 더 적합하다.[7]

2. 3. 주요 강

세아라주의 강은 작고, 한두 개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건기에 완전히 말라버린다. 가장 큰 강은 자구아리베 강으로, 주 전체를 북동쪽 방향으로 가로질러 흐른다.[7]

2. 4. 지진

세아라주는 지진이 발생하는 국가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1980년 퀴셰람빔 근처에서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하여 포르탈레자시를 강타했지만 인명 피해는 없었다.[7]

3. 역사



1822년 브라질 독립 과정에서 세아라는 격렬한 투쟁을 겪었고, 반란의 중심지가 되면서 충성파로부터 잔혹한 보복을 받았다.[1] 돔 페드루 1세 통치하에 1822년 주가 되었고,[1] 1824년 혁명이 일어나 주지사가 부임 15일 만에 축출되고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곧 내분이 발생하여 새로운 주지사가 암살되고 짧은 공포 정치 후에 주는 제국에 대한 충성을 회복했다.[1]

세아라는 1884년 3월 25일에 브라질에서 최초로 노예 제도를 폐지했는데, 이는 1888년 이사벨 공주가 통과시킨 전국 폐지 법보다 4년 이상 앞선 것이었다.[1]

돔 페드루 2세 (브라질 제국) 통치 기간에는 세아라의 기반 시설이 크게 발전했고, 상업이 크게 증가했으며, 가스 조명이 거의 보편화되었다.[1] 1853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주교구가 되었으며, 주교는 포르탈레자에 거주했다.[1]

1877년~1878년 가뭄 이후 굶주린 난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국가 정부는 포르탈레자에서 세나도르 폼페우(Senador Pompeu)까지 약 288.07km를 운행하는 철도 노선과 카모심(Camocim) 항구에서 이푸(Ipu)까지 약 215.65km를 운행하는 철도 노선을 건설했으며, 나중에 임대하에 운영되었다.[1] 관개용 댐도 건설되었다.[1]

1890년 인구는 805,687명, 1900년에는 849,127명이었다.[1] 1900년 당시 인구의 약 5분의 6은 토지를 소유하지 않고 세금을 내지 않으며 주변의 사회적, 정치적 제도로부터 거의 이익을 얻지 못하는 농장에서 생활했다.[1] 그 당시 교육은 브라질 정치와 문학에서 가장 저명한 인물 중 일부를 배출한 상류층에 거의 국한되었다.[1]

20세기 초, 해안을 따라 모래 지역은 거의 황량했지만, 해안 뒤편의 고지대는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모래 토양이었지만, 조건이 좋으면 과일과 대부분의 열대 작물을 생산했다.[1] 자연 채소 생산은 중요했으며, 마니고바 또는 세아라 고무, 카르나우바 왁스와 섬유, 캐슈 와인, 이페카쿠아나가 포함되었다.[1] 주요 농산물은 목화, 커피, 설탕, 카사바, 열대 과일이었다.[1] 브라질에서 목화 제조가 발전함에 따라 목화 생산이 크게 증가했다.[1]

고원 지대는 주요 산업이었던 가축 사육에 거의 전적으로 할애되었지만, 반복되는 가뭄은 수익성 있는 개발에 장애가 되었다.[1] 주는 상당량의 가축, 가죽, 가죽을 수출했다.[1] 1960년 이후, 아스완 댐과 비슷한 규모의 오로스 댐(Orós Dam)은 세아라에 많은 물을 공급했으며, 1995년에는 6.5km3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거대한 카스탕뇨 댐(Castanhão Dam) 건설이 시작되어 2003년 완공되었다.[1]

3. 1. 식민지 이전

세아라 지역에는 원래 타바자라(Tabajara), 포티구아라(Potyguara), 아나세스(Anacés), 카리리(Kariri), 인하뭄(Inhamum), 주카(Jucá), 카닌데(Kanindé), 트렘벰베(Tremembé), 파이카우(Paicaú) 등 여러 인디언 부족이 거주했으며, 포르투갈이 이 지역을 브라질에 포함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프랑스인을 포함한 여러 유럽인들과 무역 관계를 맺었다.

세아라에 정착하려는 최초의 포르투갈 계획은 1534년에 시작되었지만, 초기 정착 시도는 실패했다. 가장 초기의 포르투갈 정착지는 1603년 페루 코엘류 드 소우사(Pero Coelho de Sousa)에 의해 세아라 강 어귀 근처에 이루어졌으며, 그는 상 티아구(São Tiago) 요새를 건설했다. 그러나 1년 후 가뭄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세아라를 떠났는데, 가뭄은 이 지역을 주기적으로 괴롭히는 자연 현상으로, 포르투갈 정착민들은 이를 견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포르투갈은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포르투갈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세아라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자 했다. 1603년 페루 코엘류 드 소우사(Pero Coelho de Sousa)의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고, 프랑스는 1590년에 기지를 설립했던 마라냥(Maranhão)과 이비아파바에서 계속 작전을 수행했다. 인디언과 프랑스인은 정치적, 군사적 동맹을 맺었다. 1607년, 예수회 사제인 프란시스쿠 핀투(Francisco Pinto)와 페레이라 피게이라(Pereira Figueira)가 이비아파바 지역 정찰 임무를 가지고 세아라에 도착했다. 그해 10월, 프란시스쿠 핀투는 인디언들에게 살해당했고, 페레이라 피게이라(Pereira Filgueira)는 그 지역과 프랑스-인디언 동맹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돌아왔다.

1612년, 포르투갈의 마르팀 소아레스 모레누(Martim Soares Moreno) 지휘 아래 군사 원정대가 세아라와 마라냥에서 프랑스인들을 성공적으로 축출했다. 같은 해에 그는 상 티아구와 같은 장소에 상 세바스치앙(São Sebastião) 요새를 건설했고, 1년 후 포르투갈로 떠났다. 포르투갈의 존재는 1618년 마르팀 소아레스 모레누(Martim Soares Moreno)가 세아라로 돌아온 때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세아라 강 지역으로 제한되었고, 마르팀 소아레스 모레누(Martim Soares Moreno)는 포티구아라(Potiguara) 부족의 인디언들과 동맹을 맺었다. 1631년, 그는 페르남부쿠(Pernambuco)에서 네덜란드인에 맞서 포르투갈을 돕기 위해 세아라를 떠났고, 상 세바스치앙(São Sebastião) 요새는 중요성을 잃었다.

당시 브라질은 네덜란드와 포르투갈 사이에서 격렬하게 다투어졌으며, 이 지역은 1637년과 1649년 두 차례 네덜란드군에 의해 침략을 받았다. 1637년, 네덜란드인과 인디언들은 상 세바스치앙(São Sebastião) 요새를 점령하고 세아라를 지배했다. 네덜란드는 세아라에서 영향력을 확장하고 다른 인디언 부족들과 동맹을 맺었다. 1639년, 게오르크 마르크그라프(Georg Marcgrave)는 세아라에서 원정을 갔지만, 1644년 인디언들은 세아라의 네덜란드 총독 기드온 모리스(Gideon Morris)를 공격했고, 네덜란드 군인들은 살해되었으며, 상 세바스치앙(São Sebastião)은 파괴되었다.

1644년부터 1649년까지는 이 지역에 유럽인이 없었다. 1649년, 마티아스 베크(Matias Beck)가 마랑구아페(Maranguape)의 은광을 탐사하기 위해 세아라에 도착했지만, 고품질의 은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기간 동안 네덜란드는 파제우(Pajeú) 강둑에 또 다른 요새를 건설하여 그들의 사령관 중 한 명의 이름을 따서 쇼넨보르흐(Schoonenborch) 요새라고 명명했다. 1654년, 네덜란드인들은 브라질에서 추방되었고, 포르투갈은 쇼넨보르흐(Schoonenborch)를 점령하여 포르탈레자 지 노사 세뇨라 지 아순상(Fortaleza de Nossa Senhora de Assunção, 성모 승천 요새)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었던 여러 인디언 부족들은 포르투갈의 박해로부터 도망쳐야 했다.

1661년,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브라질 영토를 포르투갈 왕관에 양도하여 이 지역의 갈등을 종식시켰다. 세아라는 1680년 페르남부쿠(Pernambuco)의 속국이 되었고, 이 관계는 1799년 세아라 주장이 독립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3. 2. 식민지 시대

세아라 지역에는 원래 타바자라(Tabajara), 포티구아라(Potyguara), 아나세스(Anacés), 카리리(Kariri), 인하뭄(Inhamum), 주카(Jucá), 카닌데(Kanindé), 트렘벰베(Tremembé), 파이카우(Paicaú) 등 여러 인디언 부족이 거주했으며, 포르투갈이 이 지역을 브라질에 포함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프랑스인을 포함한 여러 유럽인들과 무역 관계를 맺었다.[1]

세아라에 정착하려는 최초의 포르투갈 계획은 1534년에 시작되었지만, 초기 정착 시도는 실패했다. 가장 초기의 포르투갈 정착지는 1603년 페루 코엘류 드 소우사(Pero Coelho de Sousa)에 의해 세아라 강 어귀 근처에 세워진 상 티아구(São Tiago) 요새였다.[1] 그러나 1년 후 가뭄으로 인해 소우사와 그의 가족은 세아라를 버렸다.[1] 가뭄은 이 지역을 주기적으로 괴롭히는 자연 현상이었고, 포르투갈 정착민들은 이에 대한 대비가 부족했다.[1]

포르투갈은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자국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세아라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자 했다.[1] 1603년 소우사의 첫 시도는 실패했고, 프랑스는 1590년에 기지를 설립했던 마라냥(Maranhão)과 이비아파바에서 계속 작전을 수행했다.[1] 인디언과 프랑스인은 정치적, 군사적 동맹을 맺었다.[1] 1607년, 예수회 사제 프란시스쿠 핀투(Francisco Pinto)와 페레이라 피게이라(Pereira Figueira)가 이비아파바 지역 정찰 임무를 띠고 세아라에 도착했다.[1] 그해 10월, 핀투는 인디언들에게 살해당했고, 피게이라는 프랑스-인디언 동맹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돌아왔다.[1]

1612년, 마르팀 소아레스 모레누(Martim Soares Moreno)가 이끄는 포르투갈 군사 원정대가 세아라와 마라냥에서 프랑스인들을 몰아냈다.[1] 같은 해, 그는 상 티아구 요새와 같은 장소에 상 세바스치앙(São Sebastião) 요새를 건설하고 1년 후 포르투갈로 돌아갔다.[1] 1618년 모레누가 세아라로 돌아오면서 포르투갈의 실질적인 존재가 시작되었다.[1] 초기에는 세아라 강 지역에 국한되었고, 모레누는 포티구아라(Potiguara) 부족과 동맹을 맺었다.[1] 1631년, 그는 페르남부쿠(Pernambuco)에서 네덜란드에 맞서 포르투갈을 돕기 위해 세아라를 떠났고, 상 세바스치앙 요새는 중요성을 잃었다.[1]

당시 브라질은 네덜란드와 포르투갈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1] 1637년과 1649년, 네덜란드군이 두 차례 이 지역을 침략했다.[1] 1637년, 네덜란드인과 인디언들은 상 세바스치앙 요새를 점령하고 세아라를 지배했다.[1] 네덜란드는 세아라에서 영향력을 확장하고 다른 인디언 부족들과 동맹을 맺었다.[1] 1639년, 게오르크 마르크그라프(Georg Marcgrave)가 세아라에서 원정을 떠났지만, 1644년 인디언들이 세아라의 네덜란드 총독 기드온 모리스(Gideon Morris)를 공격하여 네덜란드 군인들이 살해되고 상 세바스치앙 요새가 파괴되었다.[1]

1644년부터 1649년까지 유럽인은 이 지역에 없었다. 1649년, 마티아스 베크(Matias Beck)가 마랑구아페(Maranguape)의 은광을 탐사하기 위해 세아라에 도착했지만, 고품질의 은은 발견되지 않았다.[1] 이 기간 동안 네덜란드는 파제우(Pajeú) 강둑에 쇼넨보르흐(Schoonenborch) 요새를 건설했다.[1] 1654년, 네덜란드인들은 브라질에서 추방되었고, 포르투갈은 쇼넨보르흐 요새를 점령하여 포르탈레자 지 노사 세뇨라 지 아순상(Fortaleza de Nossa Senhora de Assunção, 성모 승천 요새)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었던 여러 인디언 부족들은 포르투갈의 박해를 피해 도망쳐야 했다.[1]

1661년,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브라질 영토를 포르투갈에 양도하여 이 지역의 갈등을 종식시켰다.[1] 세아라는 1680년 페르남부쿠(Pernambuco)의 속국이 되었고, 1799년 세아라 주장이 독립할 때까지 이 관계가 지속되었다.[1]

3. 3. 독립 이후

세아라 지역에는 원래 타바자라(Tabajara), 포티구아라(Potyguara), 아나세스(Anacés), 카리리(Kariri), 인하뭄(Inhamum), 주카(Jucá), 카닌데(Kanindé), 트렘벰베(Tremembé), 파이카우(Paicaú) 등 여러 인디언 부족이 거주했으며, 포르투갈이 이 지역을 브라질에 포함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프랑스인을 포함한 여러 유럽인들과 무역 관계를 맺었다.

1822년 브라질 독립을 위한 투쟁은 세아라에서 격렬했으며, 이 지역은 반란의 근거지가 되어 충성파로부터 잔혹한 보복을 받았다.[1] 1822년 돔 페드루 1세 통치하에 주가 되었다.[1] 1824년 혁명이 일어나, 주지사는 부임 15일 만에 축출되었고 공화국이 선포되었다.[1] 즉시 내분이 발생하여 새로운 주지사가 암살되었고, 짧은 공포 정치 후 주는 제국에 대한 충성을 회복했다.[1]

세아라는 1888년 이사벨 공주가 통과시킨 전국 폐지 법보다 4년 이상 앞선 1884년 3월 25일 브라질에서 최초로 노예 제도를 폐지한 주가 되었다.[1]

돔 페드루 2세 (브라질 제국) 통치 기간 동안 세아라의 기반 시설은 크게 발전했고, 상업이 크게 증가했으며, 가스 조명이 거의 보편화되었다.[1]

세아라 주는 1853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주교구가 되었으며, 주교는 포르탈레자에 거주했다.[1]

포르탈레자에서 세나도르 폼페우(Senador Pompeu)까지 약 288.07km를 운행하는 두 개의 철도 노선과 카모심(Camocim) 항구에서 이푸(Ipu)까지 약 215.65km를 운행하는 철도 노선은 1877년~1878년 가뭄 이후 굶주린 난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국가 정부가 건설했으며, 나중에 임대하에 운영되었다.[1] 관개용 댐도 건설되었다.[1]

1890년 인구는 805,687명, 1900년에는 849,127명이었습니다.[1] 1900년 당시 인구의 약 5분의 6은 토지를 소유하지 않고 세금을 내지 않고 주변의 사회적, 정치적 제도로부터 거의 이익을 얻지 못하는 농장에서 생활했다.[1] 그 당시 교육은 브라질 정치와 문학에서 가장 저명한 인물 중 일부를 배출한 상류층에 거의 국한되었다.[1]

20세기 초, 해안을 따라 모래 지역은 거의 황량했지만, 해안 뒤편의 고지대는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모래 토양이었지만, 조건이 좋으면 과일과 대부분의 열대 작물을 생산했다.[1] 자연 채소 생산은 중요했으며, 마니고바 또는 세아라 고무, 카르나우바 왁스와 섬유, 캐슈 와인, 이페카쿠아나가 포함되었다.[1] 주요 농산물은 목화, 커피, 설탕, 카사바, 열대 과일이었다.[1] 브라질에서 목화 제조가 발전함에 따라 목화 생산이 크게 증가했다.[1]

고원 지대는 주요 산업이었던 가축 사육에 거의 전적으로 할애되었지만, 반복되는 가뭄은 수익성 있는 개발에 장애가 되었다.[1] 주는 상당량의 가축, 가죽, 가죽을 수출했다.[1]

1960년 이후, 아스완 댐과 비슷한 규모의 오로스 댐(Orós Dam)은 세아라에 많은 물을 공급했으며, 1995년에는 6.5km3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거대한 카스탕뇨 댐(Castanhão Dam) 건설이 시작되어 2003년 완공되었다.[1]

3. 4. 현대

세아라 지역에는 원래 타바자라(Tabajara), 포티구아라(Potyguara), 아나세스(Anacés), 카리리(Kariri), 인하뭄(Inhamum), 주카(Jucá), 카닌데(Kanindé), 트렘벰베(Tremembé), 파이카우(Paicaú) 등 여러 인디언 부족이 거주했으며, 포르투갈이 이 지역을 브라질에 포함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프랑스인을 포함한 여러 유럽인들과 무역 관계를 맺었다.

1822년 브라질 독립을 위한 투쟁은 세아라에서 격렬했으며, 이 지역은 반란의 근거지가 되어 충성파로부터 잔혹한 보복을 받았다. 세아라 주는 1822년 페드루 1세 통치하에 주가 되었다. 1824년 혁명이 일어나, 주지사는 부임 15일 만에 축출되었고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즉시 내분이 발생하여 새로운 주지사가 암살되었고, 짧은 공포 정치 후 주는 제국에 대한 충성을 회복했다.

세아라는 1884년 3월 25일 브라질에서 최초로 노예 제도를 폐지한 주가 되었는데, 이는 1888년 이사벨 공주가 통과시킨 전국 폐지 법보다 4년 이상 앞선 것이었다.

페드루 2세 (브라질 제국) 통치 기간 동안 세아라의 기반 시설은 크게 발전했고, 상업이 크게 증가했으며, 가스 조명이 거의 보편화되었다.

세아라 주는 1853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주교구가 되었으며, 주교는 포르탈레자에 거주했다.

1877년~1878년 가뭄 이후 굶주린 난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국가 정부가 포르탈레자에서 세나도르 폼페우(Senador Pompeu)까지 철도 노선과 카모심(Camocim) 항구에서 이푸(Ipu)까지 134마일을 운행하는 철도 노선을 건설했으며, 나중에 임대하에 운영되었다. 관개용 댐도 건설되었다.

1890년 인구는 805,687명, 1900년에는 849,127명이었습니다. 1900년 당시 인구의 약 6/5는 토지를 소유하지 않고 세금을 내지 않고 주변의 사회적, 정치적 제도로부터 거의 이익을 얻지 못하는 농장에서 생활했다. 그 당시 교육은 브라질 정치와 문학에서 가장 저명한 인물 중 일부를 배출한 상류층에 거의 국한되었다.

20세기 초, 해안을 따라 모래 지역은 거의 황량했지만, 해안 뒤편의 고지대는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모래 토양이었지만, 조건이 좋으면 과일과 대부분의 열대 작물을 생산했다. 자연 채소 생산은 중요했으며, 마니고바 또는 세아라 고무, 카르나우바 왁스와 섬유, 캐슈 와인, 이페카쿠아나가 포함되었다. 주요 농산물은 목화, 커피, 설탕, 카사바, 열대 과일이었다. 브라질에서 목화 제조가 발전함에 따라 목화 생산이 크게 증가했다.

고원 지대는 주요 산업이었던 가축 사육에 거의 전적으로 할애되었지만, 반복되는 가뭄은 수익성 있는 개발에 장애가 되었다. 주는 상당량의 가축, 가죽, 가죽을 수출했다.

1960년 이후, 아스완 댐(Aswan Dam)과 비슷한 규모의 오로스 댐(Orós Dam)은 세아라에 많은 물을 공급했으며, 1995년에는 6.5km3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거대한 카스탕뇨 댐(Castanhão Dam) 건설이 시작되어 2003년 완공되었다.

4. 인구

1872년부터 2022년까지 세아라 주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42]

연도인구
1872721,686명
1890805,687명
1900849,127명
19201,319,228명
19402,091,032명
19502,695,450명
19603,337,856명
19704,491,590명
19805,380,432명
19916,362,620명
20007,431,597명
20108,452,381명
20228,794,957명


4. 1. 인종 구성

2008년 브라질 지리통계원(IBGE) 인종 구성[11]
인종인구비율(%)
파르두스(다인종)5,690,973명64.7%
백인2,456,214명27.9%
흑인595,694명6.8%
아메리카 원주민39,982명0.5%
아시아계11,256명0.1%



2008년 IBGE에 따르면, 세아라 주에는 8,472,00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밀도는 55.2km2이다.[10] 2006년 기준 도시화율은 76.4%이며,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인구 증가율은 1.7%였다. 2006년 기준 주택 수는 2,181,000채였다.[10]

다른 자료에 따르면 혼혈은 63.39%, 백인은 33.05%, 흑인은 3.03%, 아시아계는 0.33%, 원주민은 0.14%를 차지한다.

4. 2. 주요 도시

브라질 지리통계원(IBGE)의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세아라 주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12]

세아라 주 주요 도시
순위도시명인구순위도시명인구
1포르탈레자2,210,28211카닌데74,847
2카우카이아324,85412크라테우스72,959
3주아제이루두노르치253,84113아키라스73,880
4마라카나우208,26714파카투바73,560
5소브랄191,72415키셰라모빔72,865
6크라투122,71616루사스70,793
7이타피포카117,71917아라카티69,771
8마랑구아페115,46418티앙구아69,723
9이구아투97,33019카스카벨66,834
10키사다81,44420이코65,681


4. 3. 종교

세아라의 문화에서 종교는 매우 중요하며, 주민 정체성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가톨릭은 세아라의 주요 종교이며, 세아라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 종파이다. 1883년 포르탈레자에 장로교회가 설립되기 전까지는 정부에 의해 인정된 유일한 종교였다.[13] 세아라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여러 원주민 신앙의 영향을 받았다. 세아라의 전통적인 기독교적 표현의 상당 부분은 종교적 혼합주의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14]

20세기 내내 여러 교회가 세아라 주에 설립되었고, 세기 말에는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의 수가 상당히 증가했다. 그러나 2010년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세아라 주는 여전히 로마 가톨릭 신자 비율이 가장 높은 브라질 주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의 78.8%가 가톨릭 신자이다. 복음주의 신자는 14.6%, 카르데시즘 신자는 0.6%, 기타 종교 신자는 2.0%, 무종교인은 4.0%이다.[15][16]

5. 정치

세아라주는 2023년부터 엘마누 드 프레이타스 주지사와 세아라 주 의회에 의해 통치된다.

6. 경제

브라질 최대 파스타 업체 중 하나인 J Macêdo


세아라의 캐슈너트


세아라주의 경제는 서비스업(73.2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산업 부문(20.49%)과 농업(6.23%)이 그 뒤를 잇는다(2021년).[19] 2021년 세아라주의 GDP 성장률은 4.76%로 브라질 전체 GDP 성장률과 같았다.[22]

전통적으로 농업 기반의 주였던 세아라는 군부 독재 정권(1964~1985) 하에서 산업화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산업 부문이 매년 확장되고 있다. 관광 또한 세아라 경제에서 큰 역할을 하는데, 주의 많은 폭포, 해변, 열대우림이 관광 자원이며, 평균적으로 포르탈레자만 해도 매년 5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세아라는 세계 카르나우바 왁스 공급량 전량을 생산하는 브라질 3개 주 중 하나이다.[20]

6. 1. 주요 산업

농업은 세아라주 GDP의 6.23%를 차지하며, 서비스업(73.28%)과 산업 부문(20.49%)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2021년 기준).[19] 세아라 주는 전통적으로 농업 기반의 주였으나, 군부 독재 정권(1964~1985) 시기부터 산업화가 진행되어 현재는 산업 부문이 매년 성장하고 있다.[22] 1999년에는 산업이 주 GDP의 39.3%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

세아라 주의 주요 수출 품목(2023년 기준)은 주철 및 철강(53.08%), 신발 및 유사 제품(13.12%), 과일(7.66%), 광물성 연료 및 파생 제품(3.81%), 어류, 갑각류 및 기타 수생 무척추동물(3.68%)이다.[20] 특히 세아라 주는 세계 카르나우바 왁스 공급량 전체를 생산하는 브라질 3개 주 중 하나이다.

농업에서는 캐슈너트, 코코넛, 파파야, 멜론, 생산이 두드러진다. 브라질의 캐슈 생산은 대부분 북동부 지역에서 이루어지며, 세아라 주는 전국 캐슈 재배 면적의 61.6%를 차지하는 주요 생산지이다(2017년 기준).[23] 그러나 브라질의 캐슈너트 생산량은 세계적인 경쟁 심화와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감소하는 추세이다.[23] 코코넛 생산량 또한 전국 최대 규모였으나(2017년 기준),[24] 인도네시아, 필리핀, 인도 등과의 경쟁 심화와 낮은 생산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24]

산업 부문에서는 2017년 기준 산업 GDP가 222억 헤알로, 전국 산업의 1.9%를 차지한다.[35] 주요 산업은 건설(26.2%), 산업 공공 서비스(22.5%), 식품(11.0%), 가죽 및 신발(10.5%), 의류(5.5%) 등이다.[35] 포르탈레자 대도시권의 마라카나우 산업 지구에 대부분의 산업 시설이 집중되어 있으며, 상 곤살루 두 아마란치에는 제철소인 Companhia Siderúrgica do Pecém이 위치해 있다.[36]

전국적인 영향력을 가진 세아라 주의 주요 기업으로는 Aço Cearense(철강), Companhia de Alimentos do Nordeste(식품), 그렌데네(신발), Café Santa Clara(커피), Grande Moinho Cearense(제분소), Edson Queiroz 그룹, 세아라 조선 산업, J. Macêdo, M. Dias Branco(식품), 이피오카 등이 있다.

세아라 주는 전반적으로 빈곤한 주로, 2013년 기준 포르탈레자 빈민가 거주 인구는 39만 6,370명에 달하며, 주민의 31.6%가 최저임금 절반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다.[37]

6. 2. 경제 현황 및 과제

세아라주의 GDP에서 서비스업이 73.2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산업 부문이 20.49%, 농업이 6.23%를 차지한다(2021년).[19] 2023년 세아라의 주요 수출품은 주철, 철강(53.08%), 신발 및 유사 제품(13.12%), 과일(7.66%), 광물성 연료 및 파생 제품(3.81%), 어류, 갑각류 및 기타 수생 무척추동물(3.68%)이다.[20] 세아라는 브라질에서 카르나우바 왁스 생산을 담당하는 3개 주 중 하나로, 세계 카르나우바 왁스 공급량 전량을 생산한다. 2021년 세아라주의 경제는 브라질 전체에서 2.16%를 차지한다.[21]

2021년 세아라주의 GDP 성장률은 4.76%로, 같은 해 브라질 전체 GDP 성장률과 동일했다.[22]

군부 독재 정권(1964~1985) 시기 산업화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산업 부문이 성장하고 있으며, 1999년에는 산업이 주 GDP의 39.3%를 차지했다. 관광 산업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폭포, 해변, 열대우림 등이 주요 관광 자원이다. 포르탈레자에는 연평균 5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농업에서는 캐슈너트, 코코넛, 파파야, 멜론, 생산이 두드러진다.

브라질 캐슈 생산의 99.5%가 북동부 지역에서 이루어지며, 세아라는 이 지역 주요 생산지 중 하나이다(전국 면적의 61.6%).[23] 그러나 생산성 저하로 인해 브라질의 캐슈너트 생산량은 세계 14위(2016년)로 감소했다. 이는 대부분의 과수원이 생산량 자연 감소 단계에 있고, 거대한 캐슈나무가 기술 활용이 낮은 채취 방식으로 이용되기 때문이다.[23]

2017년 북동부 지역은 브라질 코코넛 생산량의 74.0%를 차지했으며, 세아라는 전국 3위 생산량을 기록했다.[24] 그러나 인도네시아, 필리핀, 인도 등과의 경쟁 심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낮은 생산성은 토지 비옥도, 재배 관리 관행 미흡 등의 요인 때문이다.[24]

생산의 경우, 2018년 북동부 지역은 전국 생산량의 20.6%를 차지했으며, 세아라는 주요 생산지 중 하나였다.[25][26] 카사바는 2018년 브라질 전체 생산량 1,760만 톤 중 세아라가 62만 2천 톤을 생산하여 전국 9위를 차지했다.[27] 리우 그란지 두 노르치주는 전국 최대 멜론 생산지이며(2017년 35만 4천 톤), 세아라도 주요 생산지 중 하나였다(2007년 북동부 지역 생산량 95.8%).[28][29] 파파야는 2018년 세아라가 전국 3위,[30] 바나나는 2018년 40만 8천 톤을 생산하여 전국 8위를 기록했다.[31]

세아라는 염소 사육이 두드러지며, 2016년 기준 염소는 전국 4위, 양은 4위를 차지했다.[32] 사육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아 2019년 240만 마리였으며, 같은 해 우유 생산량은 7억 5백만 리터였다.[33] 2017년 북동부는 전국 최대 새우 생산지였으며, 세아라는 리우 그란지 두 노르치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생산지였다(전국 생산량의 28.9%).[34]

산업 측면에서, 2017년 세아라의 산업 GDP는 222억 헤알로, 전국 산업의 1.9%를 차지했다.[35] 주요 산업 부문은 건설, 산업 공공 서비스, 식품, 가죽 및 신발, 의류 등이다. 포르탈레자 대도시권에 위치한 마라카나우 산업 지구가 산업 중심지 역할을 하며, 상 곤살루 두 아마란치에는 제철소인 Companhia Siderúrgica do Pecém이 있다.[36] 세아라에 기반을 둔 주요 기업으로는 Aço Cearense(철강), Companhia de Alimentos do Nordeste(식품), 그렌데네(신발), Café Santa Clara(커피), Grande Moinho Cearense(제분소), Edson Queiroz 그룹, 세아라 조선 산업, J. Macêdo, M. Dias Branco(식품), 이피오카 등이 있다.

세아라는 전반적으로 빈곤한 주로, 2013년 기준 포르탈레자 빈민가 거주 인구는 39만 6,370명이며, 주민의 31.6%는 1인당 소득이 최저임금의 절반 이하이다. 주의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37]

7. 관광

포르탈레자의 국제공항(핀투 마르틴스 공항)에는 북미와 중앙아메리카, 그리고 유럽에서 국제선 항공편이 운항된다.

7. 1. 주요 관광지

포르탈레자 인근 도시인 카우카이아에 위치한 쿰부쿠 해변은 세계 최고의 카이트서핑 명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38] 제리코아코아라 국립공원은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으로, 현지 어부들과 평범한 여행을 벗어나고자 하는 여행객들이 어우러져 편안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훌륭한 포르로 음악과 춤, 카포에라, 유명한 카이트서핑과 윈드서핑, 아름다운 라고아 아술로 향하는 샌드버기 투어, 그리고 아야와스카 체험을 포함한 샤먼의 길을 따라가는 등 흥미로운 기회들이 제공된다. 아야와스카는 종종 깨달음의 가장 효과적인 도구 중 하나로 여겨진다.

  • 과라미랑가 산맥
  • 카노아 케브라다 해변 (아라카티 소재)
  • 모로 브랑코
  • 프라이아 두 푸투루
  • 제리코아코아라 해변 (2000년 E! 네트워크의 ''Wild On!'' 시리즈에 소개됨)

8. 교통



세아라주의 교통은 항공, 도로, 항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포르탈레자 국제공항 (Pinto Martins International Airport)은 포르탈레자에 있으며, 에어컨이 설치된 4층 규모의 여객 터미널을 갖추고 있다. 지하 1층에는 주차장,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고, 1층에는 체크인 카운터, 항공사 사무실, 렌터카 업체, 관광 정보 센터 등이 있다. 2층에는 상점, 푸드코트 (food court), 탑승장이 있으며, 최상층에는 활주로 전망대가 있다. 활주로는 152857m2이며 항공기 14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카보베르데 항공, TAP 포르투갈, 델타항공 등 여러 항공사가 운항하며, 국내외 전세기도 운항한다. 1998년에 개장한 여객 터미널은 50년 수명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세아라주의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연방 고속도로



주 고속도로



포르탈레자 항구는 무쿠리페 만에 있는 인공 항구로, 석유 플랫폼을 포함한다. 부두는 1054m에 걸쳐 있으며, 6000m2의 창고와 100000m2가 넘는 컨테이너 부두가 있다.

페셈 항구는 세아라주의 또 다른 주요 항구 시설로, 포르탈레자에서 약 60km 떨어진 상궁살루두아마란치 시에 있다.

8. 1. 항공



포르탈레자 국제공항 (Pinto Martins International Airport)은 포르탈레자에 있다. 여객 터미널은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으며 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1층에는 자동차 1000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다.

1층에는 체크인 카운터 31개, 항공사 사무실, 렌터카 업체, 관광 정보 센터, 미성년자 여행 편의를 위한 소년법원 사무소, 브라질 민간항공청(ANAC) 사무소, 안내 데스크, 승객 도착 구역, 택시 승강장 두 곳이 있다.

2층에는 상점, 푸드코트 (food court), 국내선/국제선 탑승장이 있다. 최상층에는 맥주 정원과 포르탈레자 스카이라인 (skyline)을 조망할 수 있는 활주로 전망대가 있다. 활주로는 152857m2이며 미리 지정된 위치("박스")에 항공기 14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포르탈레자에서 운항하는 예정된 항공사 (airlines)는 카보베르데 항공, TAP 포르투갈, 델타항공, 골 항공, TAM 항공, 웹젯, 오션에어, TAF 등이다. 국내외 전세기도 자주 운항한다. 1998년에 개장한 여객 터미널은 50년 수명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기존 터미널인 일반항공 터미널은 현재 일반항공 및 소방대가 사용하고 있다. 관제탑 (control tower)은 그 옆에 있다.

인프라에로 (Infraero)가 계획한 다음 주요 사업은 화물 터미널 건설이다. 새 터미널은 약 8000m2 규모로 화물 보관 및 처리 용량이 4배 증가할 것이다. 향후 계획으로는 새 터미널을 고속도로 및 철도와 연계하는 것이 있다.

8. 2. 도로

세아라주의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연방 고속도로



주 고속도로


8. 3. 항구

포르탈레자 항구는 무쿠리페 만에 위치한 인공 항구로, 석유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다. 부두는 1054m에 걸쳐 있으며, 6000m2의 창고와 100000m2가 넘는 컨테이너 부두가 있다. 광범위한 기동 부두를 통해 철도 시스템과 연결된 두 개의 밀 공장이 여전히 있다.

페셈 항구는 세아라주의 또 다른 주요 항구 시설로, 포르탈레자에서 약 60km 떨어진 상궁살루두아마란치 시에 위치해 있다.

9. 스포츠

포르탈레자의 아레나 카스텔랑


포르탈레자는 방문객과 주민들에게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제공한다. 브라질 전역뿐만 아니라 이곳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다. 세아라 주 선수권 대회의 주요 경기는 포르탈레자에서 열린다. 세아라 SC, 포르탈레자 EC, 페로비아리우 AC와 같은 여러 축구 클럽이 있다. 강한 바람 덕분에 프라이아 두 후투루는 수상 스포츠를 즐기기에 좋은 장소이며, 포르탈레자는 서핑, 윈드서핑, 카이트서핑 세계 대회를 개최한다. 포르탈레자는 격투기 분야에서 여러 포르탈레자 출신 선수들의 혼합 무술 성공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고급 선수들을 배출했다.[39]

포르탈레자는 2014년 FIFA 월드컵 개최 도시 중 하나였다.[40]

10. 교육

세아라주에는 53개가 넘는 고등교육기관이 있다.[18]


  • UNILAB (국제 루소폰 아프로브라질 통합 대학교)
  • UFC (세아라 연방대학교)
  • UECE (세아라 주립대학교)
  • UFCA
  • Faculdade 7 de Setembro|파쿨다지 세치 지 세템브루pt (FA7)
  • Instituto Federal do Ceará|이시치투투 페데라우 두 세아라pt (IFCE)
  • Universidade de Fortaleza|우니베르시다지 지 포르탈레자pt (UNIFOR) (포르탈레자 대학교)
  • Uva (아카라우 계곡 대학교)
  • URCA (카리리 지역 대학교)
  • 예호바 라파 신학 연구소
  • 브라질 국립 신학 대학교

11. 주기

세아라주의 주기는 브라질의 상징 중 하나이다. 배경은 브라질 국기와 동일하며, 문장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문장은 폴로늄 방패를 사용하여 주의 강인함과 끈기, 그리고 보호 기능을 나타낸다. 그뿐만 아니라 지리, 동식물상도 보여주는데, 해안, 내륙, 조류, 카르나우바 야자 등이 그 예이다. 또한 무쿠리페 등대, 금색 요새와 같이 인류학적 및 문화적 요소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군사적 과거뿐 아니라 주민들도 보여준다. 어부들이 사용하는 배의 일종인 뗏목도 포함되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2022 Census Overview https://censo2022.ib[...]
[2] 웹사이트 PIB por Unidade da Federação, 2021 https://www.ibge.gov[...]
[3] 웹사이트 Atlas do Desenvolvimento Humano no Brasil. Pnud Brasil, Ipea e FJP, 2022. http://www.atlasbras[...] 2023-06-11
[4] 웹사이트 The State of Ceara and the City of Sobral, in Brazil, are Role Models for Reducing Learning Poverty https://www.worldban[...] 2021-05-06
[5] 간행물 Língua Indígena. O nome Ceará. http://www.instituto[...] Revista do Instituto dos Ceará 1999
[6] 웹사이트 Ceará https://web.archive.[...] 2021-05-06
[7] 뉴스 Mild earthquake in Brazil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19-02-01
[8] 논문 A new genus and species of enantiornithine bird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Brazil https://www.research[...] 2015
[9] 웹사이트 2022 Census Overview https://censo2022.ib[...]
[10] 기타
[11] 웹사이트 Censo 2022 - Panorama https://censo2022.ib[...]
[12] 간행물 ESTIMATIVAS DA POPULAÇÃO RESIDENTE NOS MUNICÍPIOS BRASILEIROS COM DATA DE REFERÊNCIA EM 1º DE JULHO DE 2011 http://www.ibge.gov.[...] Instituto Brasileiro de Geografia e Estatística 2011-08-30
[13] 기타
[14] 기타
[15] 웹사이트 Censo 2010 https://www.ibge.gov[...] IBGE
[16] 웹사이트 Análise dos Resultados/IBGE Censo Demográfico 2010: Características gerais da população, religião e pessoas com deficiência https://biblioteca.i[...]
[17] 기타
[18] 웹사이트 Faculdades reconhecidas pelo MEC, Vestibular, Apostilas, Universitário, Profissão, Professor http://www.seruniver[...] 2015-05-23
[19] 서적 PIB do Ceará nas Óticas da Produção e da Renda 2021 https://www.ipece.ce[...] IPECE 2024-09-22
[20] 서적 Comércio Exterior do Ceará em 2023 https://www.ipece.ce[...] IPECE 2024-09-22
[21] 서적 PIB do Ceará nas Óticas da Produção e da Renda 2021 https://www.ipece.ce[...] IPECE 2024-09-22
[22] 서적 PIB do Ceará nas Óticas da Produção e da Renda 2021 https://www.ipece.ce[...] IPECE 2024-09-22
[23] 웹사이트 CAJUCULTURA NORDESTINA EM RECUPERAÇÃO https://web.archive.[...] 2020-07-26
[24] 웹사이트 PRODUÇÃO DE COCO: O NORDESTE É DESTAQUE NACIONAL https://web.archive.[...] 2020-07-26
[25] 웹사이트 Feijão – Análise da Conjuntura Agropecuária http://www.agricultu[...]
[26] 웹사이트 Produção de grãos cresce 14% e Piauí se consolida como 3º maior produtor do Nordeste https://cidadeverde.[...]
[27] 웹사이트 Produção brasileira de mandioca em 2018 http://www.cnpmf.emb[...]
[28] 웹사이트 Cana de açúcar e melão lideram produção no RN https://web.archive.[...] 2020-07-26
[29] 웹사이트 Sistema de Produção de Melão http://www.cpatsa.em[...]
[30] 웹사이트 Produção brasileira de mamão em 2018 http://www.cnpmf.emb[...]
[31] 웹사이트 Produção brasileira de banana em 2018 http://www.cnpmf.emb[...]
[32] 웹사이트 Criação de caprinos e ovinos é destaque no sertão do Ceará https://agenciadenot[...]
[33] 웹사이트 Rebanho bovino cresce no Ceará https://www.ceara.go[...]
[34] 웹사이트 PPM 2017: Rebanho bovino predomina no Centro-Oeste e Mato Grosso lidera entre os estados https://agenciadenot[...]
[35] 웹사이트 Ceará Industry Profile http://perfildaindus[...]
[36] 간행물 A Siderurgia em Números 2019 https://institutoaco[...]
[37] 뉴스 Fortaleza tem a 2ª maior população em favela entre cidades do Nordeste http://g1.globo.com/[...]
[38] 웹사이트 Index of / https://web.archive.[...] 2015-05-23
[39] 웹사이트 Move Over Rio, Make Room for Fortaleza https://web.archive.[...] MMAPredictions 2007-07-16
[40] 웹사이트 Castelao rising above the Fortaleza skyline https://web.archive.[...] FIFA 2012-09-25
[41] 웹사이트 Ceará https://www.ibge.gov[...] 2024-04-20
[42] 웹인용 2022 Census Overview https://censo2022.i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