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튜디오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튜디오 시스템은 영화 제작, 배급, 상영을 수직적으로 통합하여 효율성을 추구한 할리우드 영화 산업의 특징적인 시스템을 의미한다. 1900년대 초반 영화 산업 발전과 함께 등장하여, 1920년대 유성 영화의 등장과 함께 확립되었다. 5대 스튜디오(MGM, 파라마운트, 20세기 폭스, 워너 브라더스, RKO)를 중심으로 배우, 감독, 스태프와 장기 계약을 맺고 대규모 시설을 통해 영화를 제작했다. 1948년 '파라마운트' 판결로 수직 계열화가 해체되면서 쇠퇴하였고, 텔레비전의 등장과 여가 활동의 다양화로 인해 독립 영화 제작이 활성화되었다.

2. 역사

일반적으로 '''스튜디오'''(Studio)는 장편 영화를 제작하고 때로는 배급 및 상영까지 담당하는 대규모 영화 회사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튜디오는 미국뿐 아니라 일본 등 여러 나라에 존재한다.

그러나 '스튜디오 시스템'이라는 용어에서 '''스튜디오'''는 20세기 초중반 할리우드 영화 산업을 지배했던 특정 메이저 영화사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영화의 제작부터 배급, 상영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수직적으로 통합하여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대표적인 스튜디오는 다음과 같다.[16]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 (스튜디오 시스템 시기)
구분스튜디오창립 연도비고
빅 5 (Big Five)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MGM)1924년제작, 배급, 상영망 모두 소유
파라마운트 (Paramount Pictures)1912년제작, 배급, 상영망 모두 소유
20세기 폭스 (20th Century-Fox)1935년제작, 배급, 상영망 모두 소유
워너 브라더스 (Warner Bros.)1923년제작, 배급, 상영망 모두 소유
RKO (RKO Radio Pictures)1928년제작, 배급, 상영망 모두 소유
리틀 3 (Little Three)컬럼비아 (Columbia Pictures)1924년자체 상영망(극장) 미소유
유니버설 (Universal Pictures)1912년자체 상영망(극장) 미소유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United Artists)1919년자체 상영망(극장) 미소유, 주로 배급 담당



이들 메이저 스튜디오는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인근에 거대한 물리적 시설을 보유했다. 방음 설비를 갖춘 대형 촬영 공간인 사운드 스테이지와 야외 촬영을 위한 넓은 부지인 백 로트(backlot)가 대표적이다. 또한 관리, 녹음, 음악 등 다양한 부서를 위한 사무실 건물과 대규모 세트 및 소품 제작 시설도 갖추었다. 오늘날 미국 메이저 영화사의 작품을 '할리우드 영화'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유래한다.[16]

스튜디오 시스템은 20세기 초반 영화 산업의 성장과 함께 형성되기 시작하여, 유성 영화의 등장과 함께 192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후 약 30년간 할리우드를 지배했으나, 미국 연방 대법원의 반독점 판결과 텔레비전의 보급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점차 해체되었다.

2. 1. 스튜디오 시스템의 성립 (초기)

1905년경 미국에서는 영화 상영 방식이 보드빌 공연의 일부에서 벗어나 점차 전용 극장 중심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1907년 무렵에는 영화 프린트를 제작사에서 극장으로 공급하는 중간 배급업자(익스체인지 업, Film Exchange)가 등장하여 안정적인 작품 공급이 가능해지면서 영화 산업은 더욱 성장했다.[16]

그러나 1908년, 미국의 초기 영화 개척자 중 한 명인 토머스 에디슨은 신흥 배급업자들이 자신의 발명으로 이익을 얻는 것에 불만을 품고, 시카고에서 모션 픽처 특허 회사(MPPC, Motion Picture Patents Company)라는 강력한 트러스트를 조직했다. 이 트러스트는 에디슨의 특허 기술 사용을 특정 대형 영화사(케일럼, 바이타그래프, 에사네, 세일리그, 루빈, 프랑스의 조르주 멜리에스가 운영하는 스타 필름, 파테 등)에게만 허용하고, 심지어 이스트먼 코닥 사의 필름 사용까지 제한했다. 또한, 배급업자와 극장주 역시 트러스트에 가입해야만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독점적인 구조를 가졌다.[16]

이러한 MPPC의 강력한 통제 때문에 트러스트에 가입하지 못한 독립 영화 제작자들은 기존의 동부 해안 중심지에서 벗어나 남부 플로리다나 서부 해안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활동 거점을 모색해야 했다. 특히 서부 해안의 남부 캘리포니아주 지역은 연중 온화하고 맑은 날씨가 지속되며 강우량이 적었고, 이민자 인구가 많아 노동력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영화 제작에 매우 유리한 환경을 제공했다. 이에 따라 많은 독립 영화 스튜디오들이 이 지역, 특히 할리우드 인근에 설립되기 시작했다. 결국 MPPC는 독점금지법 위반이라는 미국 대법원 판결을 받아 1915년에 해체되었다.[16]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할리우드 지역에는 본격적인 영화 스튜디오들이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당시 할리우드의 토지 가격은 1acre당 300USD ~ 400USD 정도로 매우 저렴했으며, 목재 가격도 낮았고 목수 인건비는 뉴욕의 4분의 1에서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쾌적한 기후는 연중 촬영을 가능하게 했고, 군중 장면 촬영에 필요한 엑스트라는 하루 2USD ~ 3USD 정도의 저렴한 비용으로 고용할 수 있었다. 일부 제작자들은 바비큐 파티를 열거나 영화 제작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군중 엑스트라를 모을 수 있었다고 한다. 풍부한 일조량은 자연 조명 역할을 하여 뉴욕에서 촬영하는 것보다 제작 비용을 3분의 1에서 절반까지 절감할 수 있었다. 1915년까지 할리우드의 영화 산업은 약 15,000명의 정규 인력을 고용하며 미국 전체 영화 제작의 60%를 담당했고, 1925년에는 그 비중이 거의 90%까지 증가했다. 1913년경에는 'Movie'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영화 팬들을 위한 잡지(키네마 준보 등)가 창간되면서 영화가 하나의 산업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었다.[16]

MPPC라는 제약에서 벗어난 미국 영화계는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여러 영화사들이 합병과 분할을 거듭하며 경쟁하는 과정에서, 유럽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침체와 달리 미국 영화 산업은 세계 최대의 영화 제작국으로 부상하여 현재까지 그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1920년대 후반의 토키 혁명과 1930년대의 대공황과 같은 위기들을 극복하며, 특히 '빅 5'로 불리는 대형 스튜디오들은 제작, 배급, 상영까지 모든 단계를 통제하는 수직 계열화(vertical integration)를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대형 스튜디오들은 로스앤젤레스할리우드 인근에 거대한 사운드 스테이지(방음 시설을 갖춘 대형 촬영 건물)와 백 로트(야외 촬영 부지)를 포함한 대규모 복합 시설을 건설했으며, 관리, 녹음, 음악 부서 등을 갖춘 사무실 건물과 제작 설비를 위한 넓은 부지를 확보했다. 이 때문에 오늘날에도 미국의 주요 영화사들이 배급하는 작품을 "할리우드 영화"라고 부르는 관행이 남아있다.[16]

2. 2. 5대 스튜디오와 스튜디오 시스템의 전성기

1927년과 1928년은 일반적으로 할리우드 황금 시대의 시작이자 스튜디오 시스템 확립의 마지막 단계로 간주된다. 1927년 워너 브라더스가 제작한 ''재즈 싱어''는 최초의 장편 유성 영화(실제로는 대부분 무성 장면)로 큰 성공을 거두며, 당시 중견 규모였던 워너 브라더스가 크게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듬해 워너 브라더스가 내놓은 ''싱잉 풀''과 최초의 완전 유성 영화 ''라이츠 오브 뉴욕'' 역시 흥행에 성공하면서, 영화에 소리를 넣는 것이 할리우드의 표준이 되었다.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워너 브라더스는 1928년 9월 스탠리 극장 체인을 인수하고, 한 달 뒤에는 당시 경쟁사였던 퍼스트 내셔널 픽처스까지 인수하며 제작 역량과 대규모 극장 체인을 확보하여 메이저 스튜디오로 발돋움했다.

같은 해인 1928년, RCA 주도로 RKO 픽처스가 설립되면서 마지막 5대 스튜디오(Big Five)의 조각이 맞춰졌다. RCA의 사장 데이비드 사르노프는 자사의 음향 기술 RCA 포토폰을 활용하기 위해 영화 산업 진출을 모색했고, 영화 제작사 FBO(Film Booking Offices of America)와 키스-알비-올피엄(Keith-Albee-Orpheum) 극장 체인을 인수하여 RKO를 탄생시켰다. 이로써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MGM), 파라마운트 픽처스, 20세기 폭스, 워너 브라더스, RKO 픽처스로 구성된 5대 스튜디오 체제가 확립되었다. 이들은 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을 모두 통제하는 수직 통합을 이루어 이후 수십 년간 할리우드 영화 산업을 지배하게 된다.

이들 외에도 자체 극장망은 없었지만 주요 제작사였던 리틀 스리(Little Three)로 컬럼비아 픽처스, 유니버설 픽처스, 유나이티드 아티스츠가 있었다.[16]

스튜디오 시스템의 전성기 동안 5대 스튜디오의 시장 점유율 순위는 대체로 안정적이었다. MGM은 1931년부터 1941년까지 11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초기 유성 영화 시대(1928-1930)에는 파라마운트가 가장 높은 수익을 올렸으나 이후 10년간 쇠퇴했고, 폭스는 MGM의 독주 기간 대부분 2위를 기록했다. 파라마운트는 1940년에 꾸준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2년 후 MGM을 제쳤다. 그 이후 1949년 재편성될 때까지 빅 5 중 재정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스튜디오였다. MGM을 제외한 모든 회사가 손실을 본 1932년을 제외하고, RKO는 황금기 매년 거의 최하위 또는 최하위였고, 워너는 일반적으로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리틀 스리 중 유나이티드 아티스츠는 확실히 뒤처졌고, 컬럼비아는 1930년대에 가장 강세를 보였으며, 유니버설은 1940년대 대부분을 앞섰다.[1]

할리우드는 대공황 시기에도 성장을 지속했는데, 이는 영화가 대중들에게 힘든 현실로부터 도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당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셜리 템플을 언급하며 영화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2] 스튜디오들은 배우, 감독, 작가 등과 장기 계약을 맺고, 블록 부킹과 같은 배급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며 시스템을 유지했다.[4]

2. 3. 스튜디오 시스템의 몰락

블록 부킹(block booking)은 스튜디오가 극장에 여러 영화를 한 묶음으로 판매하는 방식이었으며, 스튜디오 시스템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였다.[4][18] 그러나 1948년 5월 4일, 미국 대법원은 ''파라마운트'' 사건으로 알려진 반독점 소송에서 블록 부킹을 불법으로 규정했다.[18] 이 판결은 5대 메이저 스튜디오가 제작·배급과 극장 소유·운영을 겸하는 수직적 통합이 반독점법 위반임을 확인하고, 이들 사업의 분할(divestiture) 필요성을 시사했다.[6]

당시 5대 스튜디오 중 재정적으로 가장 취약했고 소유 극장 수도 가장 적었던 RKO는 이 판결을 오히려 기회로 삼았다. 하워드 휴즈가 이끌던 RKO는 경쟁사들도 결국 분할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연방 정부와 가장 먼저 협상에 나섰다. 1948년 11월 8일, RKO는 정부와 동의 판결(consent decree)에 합의하여 스튜디오와 극장 사업을 분리하기로 결정했다.[6] 이는 다른 스튜디오들에게 큰 압박으로 작용했다.

결국 파라마운트도 1949년 2월 분할에 합의했고, 같은 해 12월 31일에 극장 부문 매각을 완료하며 빅 5 중 처음으로 분할을 마쳤다.[6] 다른 스튜디오들도 뒤따라 분할을 진행했으며, 1954년 로우스(Loews Inc.)가 MGM과의 운영 관계를 완전히 단절하면서 30여 년간 이어져 온 스튜디오 시스템은 공식적으로 막을 내렸다.[1]

스튜디오 시스템의 해체에는 법적 판결 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작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텔레비전의 급속한 보급과 소비 지출 증가로 인한 여가 활동의 다양화는 영화 관객 감소로 이어졌다. 이는 스튜디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고, 과거에는 수익을 냈을 중간 규모의 영화 제작이 어려워졌다. 스튜디오들은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익성이 낮은 B급 영화 제작을 중단하고 대규모 백 로트 등 부동산을 매각해야 했다. 영화 제작 편수도 1920년대 연간 약 700편에서 1957년에는 약 300편으로 급감했다.

이러한 변화는 영화 산업 내 권력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스튜디오의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배우들은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경우가 늘어났고[12], 고정 급여 대신 영화 수익의 일정 비율(자본 이득)을 요구하는 등 협상력이 강화되었다. 캐리 그랜트, 말론 브란도와 같은 톱스타들은 높은 수익 분배율을 확보했으며, 이는 레우 와서먼과 같은 에이전트의 영향력 증대로 이어졌다.

동시에 독립 제작자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1957년까지 미국 장편 영화의 절반가량이 독립 제작자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그레고리 펙, 프랭크 시나트라 같은 배우들이 직접 제작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조지 스티븐스, 빌리 와일더, 윌리엄 와일러 등 유명 감독들의 입지도 강화되었다. 스튜디오들은 점차 직접 제작 대신 독립 제작사에 대한 자금 지원, 시설 대여, 배급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과거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의 사업 모델과 유사했다.[1] 또한, 유휴 시설을 활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파라마운트 판결은 결과적으로 스튜디오 시스템의 해체를 가져왔지만, 역설적으로 독립 영화 제작을 활성화하고 할리우드의 제작 방식을 다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3. 스튜디오 시스템의 특징

스튜디오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국내외 시장의 방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빠르고 저렴하게 영화를 대량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는 점이다. 이는 종종 포드 모델 T의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비유되기도 한다. 영화 제작 자금 조달 및 마케팅 관련 부서는 주로 동부 해안의 뉴욕에 기반을 두었으며, 회사 상층부가 투자할 영화의 종류와 규모를 결정했다. 당시 영화는 주로 스타나 장르를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제작 기지는 대부분 서부 해안의 할리우드에 집중되었다.

스튜디오 내 제작 부서는 일반적으로 제작 과정 단계별로 운영되었고, 각 단계는 전문화된 부서가 담당했다. 이로 인해 각 부서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해당 분야에 국한된 창의성만을 발휘할 수 있었다. 스타를 포함한 배우들, 의상·미술·특수 효과·촬영 부문 등의 스태프, 시나리오 작가, 감독, 프로듀서 등은 스튜디오와 장기 계약을 맺고 고용되었으며, 스튜디오 상층부의 결정에 따라 특정 영화 기획에 배정되었다. 때로는 스타가 다른 스튜디오로 임대되기도 했다. 많은 기획은 특정 감독이나 스태프의 재능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배정되었다. 특히 서부극, 멜로 드라마, 미스터리와 같이 대중적 인기가 높은 장르 제작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신작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영화 제작상의 예술적 방향과 창의성에 대한 통제권은 주로 스튜디오 중역들이 가지고 있었다. 존 포드, 하워드 혹스, 프랭크 카프라, 빌리 와일더, 알프레드 히치콕, 조셉 폰 스턴버그와 같이 자신의 기획에 대해 어느 정도 자율성을 인정받은 소수의 감독들도 있었지만, 이들 역시 스튜디오가 요구하는 스타일이나 특정 장르의 제약 안에서 활동해야 했다. 대부분의 감독과 스태프, 캐스트는 스튜디오의 엄격한 품질 관리 기준을 따라야 했다.

스튜디오는 영화 제작뿐만 아니라 배급과 상영까지 관리했다. 대표적인 방식이 블록 부킹(block booking)으로, 이는 여러 편의 영화(1940년대에는 보통 5편 정도)를 한 묶음으로 극장에 판매하는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묶음에는 일반적으로 흥행이 예상되는 주요 작품 한 편과 여러 편의 평범한 A급 영화 또는 B급 영화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다.[18] [4] 메이저 스튜디오는 대규모 예산과 톱스타를 내세운 'A급 영화'와 상대적으로 저예산으로 제작된 'B급 영화'를 함께 상영하는 방식을 동시에 활용했다. 한국에서 내용 등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지는 작품을 통칭하여 "B급"이라고 부르는 것은 여기서 유래했다.

이러한 복잡하고 통합된 산업 구조는 막대한 이익을 창출했지만, 동시에 막대한 자본 투자가 필요했기 때문에 월 가와 같은 외부 자본가들의 통제를 받기 쉬운 경향이 있었다. 1930년대 말 무렵에는 메이저 스튜디오들이 미국 전체 영화의 75% 이상을 배급했으며, 각 메이저 스튜디오는 연간 40편 이상의 영화를 제작할 정도로 산업을 지배했다.

4. 아시아와 유럽의 스튜디오 시스템

스튜디오 시스템은 주로 미국에서 발전한 현상이지만, 다른 국가의 영화 제작사들도 할리우드의 주요 스튜디오와 유사하게 제작, 배급, 상영을 아우르는 수직적 통합을 시도하거나 달성했다. 영화 사학자 제임스 채프먼(James Chapman)은 여러 국가의 사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9]

국가별 스튜디오 시스템 특징
국가주요 회사특징시기
영국랭크 영화사Rank Organisationeng, 어소시에이티드 브리티쉬 픽처 코퍼레이션Associated British Picture Corporationeng완전한 수직적 통합 달성-
독일UFAUniversum Film Aktiengesellschaftdeu수직적 통합 시도1920년대
프랑스고몽Gaumontfra-프랑코-필름-오베르, 파테Pathéfra-나탄수직적 통합 시도1930년대
일본닛카츠日活jpn, 쇼치쿠松竹jpn, 도호東宝jpn수직적 통합 시도
(1929년, 닛카츠 또는 쇼치쿠 계열 극장이 전체의 75% 차지[20])
-
홍콩쇼 브라더스邵氏兄弟zho무협 영화 제작에 스튜디오 시스템 도입1950년대 ~ 1960년대
인도-자국 및 아시아 디아스포라 시장 장악,
수직적 통합은 이루어지지 않음
-



특히 일본의 경우, 1929년에는 전국 영화관의 약 75%가 당시 양대 영화사였던 닛카츠 또는 쇼치쿠와 계열 관계를 맺고 있을 정도로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보였다.[20] 반면, 인도 영화 산업은 자국 시장과 해외 아시아 시장을 장악하며 미국 영화의 강력한 경쟁자로 평가받기도 했지만, 할리우드나 다른 국가들처럼 제작-배급-상영을 통합하는 시스템은 구축하지 않았다.[19]

5. 스튜디오 시스템 몰락 이후

1950년대 할리우드는 세 가지 큰 도전에 직면했다. 첫째는 스튜디오 시스템의 기반이었던 수직 통합을 해체시킨 파라마운트 판결이었고, 둘째는 새로운 대중 매체인 텔레비전의 등장이었으며, 셋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성장으로 인해 관객들이 영화 외에도 다양한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게 된 점이었다. 이러한 변화로 흥행 성공작과 실패작 간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고, 과거에는 수익을 낼 수 있었던 중간 규모의 영화 제작이 어려워졌다. 한 영화 제작자는 1957년에 "오늘날 가장 확실한 재앙은 100만 달러짜리 평작을 만드는 것이다. 이런 영화는 총 투자액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1957년 할리우드에서 제작된 장편 영화는 약 300편으로, 1920년대의 연간 약 700편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스튜디오 시스템을 이끌었던 대릴 F. 재넉은 1956년부터 1962년까지 20세기 폭스 경영에서 손을 뗐고,[9] 루이 B. 메이어는 1951년 MGM에서 해고된 후 1957년에 사망했으며,[10] 컬럼비아 픽처스해리 콘 역시 1958년에 사망했다.[11] 해리 콘은 1957년 연례 보고서에서 "우리는 ... 개인보다는 기업과 거래하게 되었다."고 밝히며 변화된 환경을 설명했다. 그는 스타, 감독, 제작자, 작가와 같은 재능있는 인력들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높은 세금 부담 때문에 이들이 고정 급여보다는 영화 수익의 일정 비율을 받는 자본 이득 형태를 선호하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스튜디오 시스템이 해체되면서 대부분의 배우들은 특정 스튜디오에 소속되지 않고 프리랜서로 활동하게 되었다.[12] 영화 제작에 자금을 대는 투자자들은 흥행 실패 위험을 줄이기 위해 유명 스타 배우, 감독, 작가의 참여를 점점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해외 시장의 중요성 또한 커져 1957년에는 할리우드 전체 수입의 40~50%를 차지하게 되면서, 스타의 이름값이 흥행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스타들은 높은 개런티 대신 영화 수익의 일정 비율을 받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는데, 이는 일종의 지위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최정상급 배우는 수익의 50%와 최소 보장 금액 또는 총수입의 10%를 요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캐리 그랜트는 1955년 영화 나는 결백하다 출연 당시 총수입의 10%인 70만달러 이상을 받았지만, 감독 겸 제작자인 알프레드 히치콕은 5만달러 미만을 받았다. 극단적인 경우, 파라마운트말론 브란도에게 영화 애꾸눈 잭(1961) 수익의 75%를 약속하기도 했다. (스튜디오는 수익 분배 전에 각종 비용을 제하기 때문에, 총수입의 10%보다는 수익의 50%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MCA의 레우 와서먼과 같은 연예 에이전트의 영향력을 크게 강화시켰다.

1957년까지 독립 제작사가 제작하는 영화가 미국 전체 장편 영화의 50%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레고리 펙, 프랭크 시나트라와 같은 스타 배우들은 직접 제작사를 설립하고 시나리오를 구매하기도 했다. 조지 스티븐스, 빌리 와일더, 윌리엄 와일러와 같은 유명 독립 감독들의 몸값도 상승했는데, 이들의 참여가 스타 배우들을 끌어들이는 요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스튜디오들은 자체 제작 비중을 줄이는 대신, 독립 제작자에게 자금과 시설을 제공하거나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처럼 배급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한편, 텔레비전의 등장은 영화 산업에 위협이 되기도 했지만, 데시루와 같은 TV 제작 회사나 영화 스튜디오 자체의 TV 부서는 사용되지 않던 시설을 활용하며 영화 산업 유지에 기여하기도 했다.

1960년대 초, 주요 영화 스튜디오들은 과거 영화들을 텔레비전 방송국에 판매하여 재상영하거나, TV 프로그램 제작(주로 텔레필름이나 B급 영화)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하기 시작했다.[13] 할리우드는 대규모 예산 영화들의 흥행 실패로 인해 심각한 불황을 겪었지만, 1970년대 들어 대부(1972)와 차이나타운(1974) 같은 작품들이 등장하며 예술적으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1975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죠스[14][15]와 1977년 조지 루카스 감독의 스타워즈[13]는 현대적인 블록버스터 영화 시대를 열었다. 이전까지 영화들은 소수의 주요 도시에서 먼저 개봉한 뒤 반응에 따라 전국적으로 확대 상영하는 '플랫폼 개봉' 방식을 따랐으나,[15] ''죠스''는 처음으로 전국 동시 개봉 전략을 채택했다. 또한 네트워크 텔레비전에 70만달러 상당의 광고 예산을 투입하여 예고편을 방영하고 관련 상품 판매를 연계하는 등 대대적인 마케팅을 펼쳤다.[15] 이후 수백 개 상영관에서 동시 개봉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으며, ''스타워즈''의 속편들(스타워즈 에피소드 5: 제국의 역습, 스타워즈 에피소드 6: 제다이의 귀환), 스필버그의 레이더스, E.T. 등의 연이은 성공과 홈 비디오, 케이블 텔레비전의 발달이 이러한 경향을 더욱 가속화했다. 반면, 천국의 문(1980)은 막대한 제작비와 저조한 흥행 실적으로 인해 제작사였던 유나이티드 아티스츠가 MGM에 매각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할리우드는 더욱 거대 복합 기업의 일부로 편입되는 경향이 강해졌고, 전 세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확고히 했다.[13]

2009년 기준으로, 과거 황금 시대의 8개 메이저 스튜디오 중 5개(콜럼비아, 20세기 폭스, 워너 브라더스, 파라마운트, 유니버설)가 여전히 활동 중이며, 모두 거대 미디어 기업에 속해 있다. 여기에 월트 디즈니 컴퍼니 산하의 부에나 비스타가 주요 스튜디오로 부상하면서 소위 "빅 식스(Big Six)" 체제가 형성되었다. (이후 디즈니가 20세기 폭스를 인수하면서 다시 "빅 파이브(Big Five)"가 되었다.) 디즈니를 제외한 이들 스튜디오는 과거 자신들의 모습보다는 옛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의 모델을 따라, 직접 영화를 제작하기보다는 독립 제작사에 대한 자금 지원 및 배급, 스튜디오 시설 임대 역할에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현재 할리우드를 이끄는 주요 스튜디오는 다음과 같다.



이들 빅 파이브 스튜디오는 대부분 아트하우스 영화를 전문으로 다루는 자회사(예: 서치라이트 픽처스, 포커스 피처스)나, 특정 장르 또는 저예산 영화를 제작/배급하는 부서(예: 스크린 젬스)를 운영하고 있다. 라이온스게이트 엔터테인먼트나 아마존에 인수된 MGM과 같은 독립 영화사들도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어 "미니 메이저"로 분류되기도 한다.

2010년대 중반부터 주요 스튜디오들은 프랜차이즈 속편, 3D 영화, 슈퍼히어로 영화 등 대중적 흥행 가능성이 높은 주류 영화 제작에 더욱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대작 영화들은 높은 제작비로 인해 흥행 실패 시 손실 위험도 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독립 영화 제작사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렸다.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아카데미상 주관)는 일반적으로 블록버스터 프랜차이즈 영화보다는 예술적 성취도가 높은 작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로 ''스포트라이트''(2015), ''문라이트''(2016), ''기생충''(2019), ''CODA''(2021) 등 독립 영화들이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이는 영화의 성공이 반드시 3D나 아이맥스 같은 특수 포맷, 혹은 특정 플랫폼 독점에 의존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관객들이 극장 대신 넷플릭스, 훌루, 애플 TV+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로 이동하는 흐름을 가속화시키며 영화 산업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왔다.

참조

[1] 논문 Financial analysis based on Finler (1988), pp. 286–287.
[2] 뉴스 Shirley Temple, iconic child star, dies at 85 https://www.cnbc.com[...] Associated Press 2014-02-11
[3] 서적 City of Nets: A Portrait of Hollywood in the 1940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논문 See Schatz (1999), pp. 19–21, 45, 72.
[5] 간행물 Amid Ruins of an Empire a New Hollywood Arises https://books.google[...] 2012-04-22
[6] 서적 Lucy and Desi Simon and Schuster
[7] 논문 Chapman (2003), p. 49.
[8] 논문 Freiberg (2000), "The Film Industry."
[9] 뉴스 Richard Zanuck, Producer of Blockbusters, Dies at 77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2-07-13
[10] 서적 Movies Were Always Magical: Interviews With 19 Actors, Directors, and Producers from the Hollywood of the 1930s Through the 1950s https://books.google[...] McFarland
[11] 서적 Columbia Pictures: Portrait of a Studio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12] 뉴스 Hollywood's Most Secret Agent https://www.nytimes.[...] 2019-04-13
[13] 서적 The Contemporary Hollywood Film Industry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14] 웹사이트 Jaws – The Monster That Ate Hollywood https://www.pbs.org/[...] 2006-08-06
[15] 뉴스 Rise of the Blockbuster http://news.bbc.co.u[...] 2022-03-14
[16] 문서 "[[ユナイテッド・アーティスツ]]は会社直営の[[映画スタジオ]]さえ所有していなかった"
[17] 논문 Finler (1988), pp. 286–287.에 기반을 둔 분석
[18] 논문 Schatz (1999), pp. 19–21, 45, 72. 참고
[19] 논문 Chapman (2003), p. 49.
[20] 논문 Freiberg (2000), "The Film Indus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