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개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쓸개즙은 간에서 생성되어 지방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액체로, 물, 담즙산, 빌리루빈, 지방, 무기 염 등으로 구성된다. 담즙산은 지방을 유화시켜 소화를 돕고, 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의 부산물로 노폐물 배출 경로가 된다. 쓸개즙은 또한 알칼리성을 띠며 위산을 중화하고,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는 지용성 비타민 흡수에 기여한다. 쓸개즙 부족은 지방변증을 유발하며, 담석증, 담도 폐쇄, 담즙 역류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다. 고대 의학에서는 체액설의 일부로 여겨졌으며, 비누 제조나 음식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액 - 구토
구토는 다양한 원인으로 위장 내용물이 입을 통해 배출되는 반사 작용으로, 메스꺼움을 동반하거나 탈수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토사물의 색깔과 성분은 원인 질환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체액 - 정액
정액은 남성의 생식 기관에서 생성되는 액체로, 정자와 정장으로 구성되며, 여성 생식 기관 내에서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며, 정액의 질은 수정 능력을 나타낸다. - 소화계 - 배변
배변은 대장의 연동운동, 직장의 작용, 항문 괄약근의 조절을 통해 체내 변을 항문으로 배출하는 생리적 과정으로, 배변 자세, 관련 질병, 사회문화적 요소, 심혈관계 합병증 위험 등과 관련된다. - 소화계 - 식도
식도는 소화계의 상부 기관으로, 입 뒤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연결되며, 음식물 역류를 막고 삼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효소 - 활성 부위
활성 부위는 효소 분자 내에서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하는 특정 부위이며, 다양한 모델로 설명되고, 결합 부위, 촉매 부위, 보조인자를 포함하며, 저해제와 알로스테릭 부위와 관련되어 신약 개발에 활용된다. - 효소 - 제한 효소
제한 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하는 효소로, 유전체학과 생명공학 발전에 기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인식 서열 특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연구 및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쓸개즙 | |
---|---|
개요 | |
종류 | 소화액 |
색깔 | 암녹갈색 |
생성 위치 | 간 |
저장 위치 | 쓸개 |
배출 위치 | 샘창자 |
성분 | 빌리루빈 담즙산 콜레스테롤 인지질 전해질 |
역할 |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도움 |
상세 정보 | |
분비량 | 하루 500~1000ml |
pH | 7.0~8.5 (약알칼리성) |
간에서의 역할 | 지용성 물질 (특히 지방)의 소화를 도움. 간에서 생성된 노폐물을 배설하는 역할도 수행. |
쓸개에서의 역할 |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농축 및 저장. |
배출 과정 | 식사 후 콜레시스토키닌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쓸개가 수축하면서 담즙이 총담관을 통해 샘창자로 배출됨. |
질병과의 관계 | 담석증: 담즙 성분이 굳어져 돌이 생기는 질환. 황달: 빌리루빈 축적으로 인해 피부와 눈 흰자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 간염: 간세포 손상으로 담즙 생성 및 배출에 이상이 생길 수 있음. |
참고 사항 | 담즙은 소화에 필수적인 액체이지만, 쓸개 제거 수술 후에도 소화 기능에 큰 문제는 없는 경우가 많음. 간에서 직접 샘창자로 담즙이 배출되기 때문. |
2. 구성 성분
사람의 간에서 만들어지는 쓸개즙은 97~98%의 물, 0.7%의 담즙산, 0.2%의 빌리루빈, 0.51%의 지방 (콜레스테롤, 지방산, 레시틴)과 200 meq/L의 무기염으로 구성되어 있다.[2][3] 주요 색소는 빌리루빈(오렌지-노란색)과 빌리베르딘(녹색)이며, 이들이 섞여 대변이 갈색을 띠게 된다.[4] 성인은 하루에 약 400ml~800ml의 쓸개즙을 생성한다.[5]
담즙 속 콜레스테롤은 담즙산에 의해 분산, 안정화되지만, 담낭에서 농축될 때 어떤 원인으로 유리되어 결정이 성장하면 담낭 또는 담관에서 콜레스테롤 담석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레시틴이나 빌리루빈에 의한 결석은 드물다.
2. 1. 담즙산
담즙산은 지방을 유화시켜 소화 효소의 작용을 돕는다. 또한 지방의 분해 산물에 작용하여 소장에서 흡수되기 쉽게 변화시킨다. 장내에 분비된 담즙산의 대부분은 소장에서 재흡수되어 간으로 되돌아가는 장간 순환을 한다.[31][32]사람의 콜레스테롤 배설은 간에서 담즙으로 분비되는데, 이때 콜레스테롤의 일부에서 간에서 생합성되는 담즙산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배설된다.
2. 2. 담즙 색소
파괴된 적혈구에서 유리된 헤모글로빈의 단백질 부분에서 잘려나온 헴이 간 세포에서 대사되어 노란색의 빌리루빈으로 변화한다. 빌리루빈은 간에서 글루쿠론산 포합을 받아 수용성이 높아져 담즙 색소로서 담즙과 함께 분비된다. 빌리루빈의 대부분은 장내에서 장내 세균에 의해 우로빌리노겐으로 환원되고, 그 일부가 체내로 다시 흡수된다. 우로빌리노겐은 항산화 물질로서[31][32], 이것이 체내에서 산화를 받으면 노란색의 우로빌린으로 변화한다. 통상적인 소변의 노란색은 우로빌린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순환은 장간 우로빌리노겐 사이클이라고 불린다. 한편, 장내에 남은 우로빌리노겐은 장내 세균에 의해 스테르코빌리노겐으로 환원된다. 스테르코빌리노겐이 산화를 받으면 갈색의 스테르코빌린으로 변화한다. 스테르코빌린은 대변과 함께 배설되어, 대변이 갈색이 되는 요인이 된다.2. 3. 기타 성분
사람의 간에서 쓸개즙은 97–98%의 물, 0.7%의 담즙산, 0.2%의 빌리루빈, 0.51%의 지방 (콜레스테롤, 지방산, 레시틴) 그리고 200 meq/L의 무기 염으로 구성되어 있다.[2][3]3. 기능
쓸개즙은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쓸개즙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지방 유화: ('''지방 유화'''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 노폐물 배출: ('''노폐물 배출'''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 산-염기 균형 조절: ('''산-염기 균형 조절'''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 살균 작용: ('''살균 작용'''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쓸개즙은 소화 기능 외에도 간에서 재활용되는 적혈구의 부산물인 빌리루빈을 배설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빌리루빈은 글루쿠론산화를 통해 헤모글로빈에서 유래한다.
쓸개즙은 알칼리성을 띠는데, 총담관 담즙의 pH (7.50~8.05)는 담낭 담즙(6.80~7.65)보다 높다. 담낭 내 담즙은 금식 시간이 길어질수록 산성화되지만, 휴식 시에는 pH 감소가 늦어진다.[12] 알칼리성인 쓸개즙은 위산이 십이지장으로 들어가기 전에 과도한 위산을 중화시키며, 담즙산은 살균제 역할을 하여 음식 속 미생물을 파괴한다.[13]
; 담즙 색소
: 파괴된 적혈구에서 유리된 헤모글로빈의 단백질 부분에서 잘려나온 헴이 간 세포에서 대사되어 노란색의 빌리루빈으로 변화한다. 빌리루빈은 간에서 글루쿠론산 포합을 받아 수용성이 높아져 담즙 색소로서 담즙과 함께 분비된다. 빌리루빈의 대부분은 장내에서 장내 세균에 의해 우로빌리노겐으로 환원되고, 그 일부가 체내로 다시 흡수된다. 우로빌리노겐은 항산화 물질로서[31][32], 체내에서 산화되면 노란색의 우로빌린으로 변화한다. 소변의 노란색은 우로빌린 때문이다. 이러한 순환을 장간 우로빌리노겐 사이클이라고 한다. 한편, 장내에 남은 우로빌리노겐은 장내 세균에 의해 스테르코빌리노겐으로 환원된다. 스테르코빌리노겐이 산화되면 갈색의 스테르코빌린으로 변화한다. 스테르코빌린은 대변과 함께 배설되어 대변의 갈색을 띠게 한다.
3. 1. 지방 유화

담즙 또는 쓸개즙은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여 음식의 유화를 돕는다. 담즙산 음이온은 한쪽은 친수성, 다른 쪽은 소수성을 띠고 있어, 지질(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인지질) 방울 주위에 모여 미셀을 형성한다. 이때 소수성 쪽은 지방을 향하고 친수성 쪽은 바깥을 향한다.[6] 친수성 쪽은 음전하를 띠며, 이 전하는 담즙으로 코팅된 지방 방울이 더 큰 지방 입자로 재응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십이지장 내 미셀의 직경은 사람에서 약 1μm~50μm이다.[7]
음식 지방을 미셀로 분산시키면 효소인 췌장 리파아제의 작용을 크게 증가시킨다. 췌장 리파아제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소화하고 담즙산 사이의 틈을 통해 지방 코어에 도달할 수 있다.[8]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두 개의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라이드로 분해되며, 이는 창자벽의 창자 융털에 의해 흡수된다. 지방산은 장막을 가로질러 이동한 후 유미 림프관을 통해 림프계로 흡수되기 전에 다시 트리글리세라이드(재에스테르화)로 형성된다. 담즙산이 없으면 음식의 대부분의 지질이 소화되지 않은 채 대변으로 배설될 것이다.[9]
담즙은 지방 흡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와 같은 지용성 물질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0][11]
담즙은 하루에 약 600ml 분비된다. 담즙산과 담즙 색소를 포함하며, 전자는 계면활성제로서 음식물 중의 지방을 유화하여 미세한 입자로 만들고, 리파아제와 반응하기 쉽게 함으로써 지방의 소화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소화 효소는 포함되지 않는다.
; 담즙산
: 지방을 유화시켜 소화 효소의 작용을 돕는다. 또한 지방의 분해 산물에 작용하여 소장에서 흡수되기 쉽게 변화시킨다. 또한 장내에 분비된 담즙산의 대부분은 소장에서 재흡수되어 간으로 되돌아간다 (장간 순환).
3. 2.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담즙은 지방 흡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와 같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0][11]3. 3. 노폐물 배출
담즙은 적혈구가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인 빌리루빈을 배설하는 경로 역할을 한다. 빌리루빈은 글루쿠론산화를 통해 헤모글로빈에서 유래한다.[6]3. 4. 산-염기 균형 조절
담즙은 평균적으로 알칼리성을 띤다. 총담관 담즙의 pH (7.50~8.05)는 해당 담낭 담즙(6.80~7.65)보다 높다. 담낭 내 담즙은 사람이 음식을 먹지 않고 오래 있을수록 더 산성이 되지만, 휴식을 취하면 이 pH 감소가 늦어진다.[12] 알칼리로서 담즙은 위산이 십이지장, 즉 소장의 첫 번째 부분으로 들어가기 전에 과도한 위산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담즙산은 또한 살균제 역할을 하여 음식에 존재할 수 있는 많은 미생물을 파괴한다.[13]3. 5. 살균 작용
담즙산은 살균제 역할을 하여 음식에 존재할 수 있는 많은 미생물을 파괴한다.[13]4. 임상적 의의
쓸개즙의 기능 이상은 여러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쓸개즙이 부족하면 지방이 제대로 소화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설되는 지방변증이 나타날 수 있다. 지방변증은 필수 지방산과 지용성 비타민 결핍을 유발할 수 있으며, 소장에서 지방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쓸개즙 속 콜레스테롤이 뭉쳐 담석을 형성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수술로 제거하거나 케노데옥시콜산, 우르소데옥시콜산과 같은 특정 천연 담즙산 농도를 높여 용해시킬 수 있다.
담도 폐쇄는 담관이 막혀 쓸개즙이 십이지장으로 흐르지 못하는 상태이다. 담즙이 막히면 빌리루빈이 혈류에 쌓여 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 담도 폐쇄의 원인으로는 담석, 암, 외상 등이 있으며, 가장 흔한 원인은 담석이 담관을 막는 경우이다. 담도가 막히면 담낭염, 췌장염, 상행성 담관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빈속에 반복적으로 구토하면 쓸개즙이 위로 역류하는 담즙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유문 괄약근이 약해지거나, 알코올을 포함한 특정 약물, 강력한 근육 수축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4. 1. 지방변증
쓸개즙이 없으면 지방은 소화 불가능해져 대변으로 배설되는데, 이를 지방변증이라고 한다. 대변은 특징적인 갈색을 띠지 않고 흰색 또는 회색을 띠며 기름지다.[14] 지방변증은 필수 지방산과 지용성 비타민의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15] 또한, 소장(정상적으로 음식으로부터 지방을 흡수하는 곳)에서 위장관과 장내 세균총은 지방을 처리하도록 적응되지 않아 대장에서 문제를 일으킨다.[16]4. 2. 담석증
쓸개즙에 포함된 콜레스테롤은 때때로 담낭에서 덩어리로 뭉쳐 담석을 형성한다.[17] 콜레스테롤 담석은 일반적으로 담낭을 수술적으로 제거하여 치료하지만, 케노데옥시콜산과 우르소데옥시콜산과 같은 특정 천연 담즙산의 농도를 높여 용해시킬 수도 있다.[17][18]담즙 속 콜레스테롤은 담즙산에 의해 분산, 안정화되지만, 담낭에서 담즙이 농축될 때 어떤 원인으로 유리되어 콜레스테롤 결정이 성장하면 담낭 또는 담관에서 콜레스테롤 담석증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레시틴이나 빌리루빈에 의한 결석은 드물다.
4. 3. 담도 폐쇄
담도 폐쇄는 쓸개 또는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전달하는 담관이 막히는 상태를 말한다. 담즙이 막히면 빌리루빈이 혈류에 쌓여 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21] 담도 폐쇄의 원인으로는 담석, 암, 외상, 총담관 낭종, 담관 협착 등이 있다.[22] 가장 흔한 원인은 담석이 쓸개에서 담낭관 또는 총담관으로 빠져나와 막히는 경우이다. 쓸개 또는 담낭관이 막히면 담낭염이 생길 수 있다. 막힌 위치가 췌관 합류부보다 아래쪽이면 담석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담도가 막히면 담즙이 세균에 감염되어 상행성 담관염을 일으킬 수 있다.4. 4. 담즙 역류
빈속에 반복적으로 구토를 하는 경우, 사람의 구토물은 녹색이나 짙은 노란색을 띠며 매우 쓴 맛이 난다. 쓰면서 녹색을 띠는 성분은 쓸개즙이나 위에서 유래한 정상적인 소화액일 수 있다.[19] 담즙 역류는 괄약근(유문)이 약해지거나, 알코올을 포함한 특정 약물의 존재, 또는 강력한 근육 수축 및 십이지장 경련으로 인해 쓸개즙이 위로 역류하는 현상이다.[20]5. 사회와 문화
담즙은 역사적으로 의학과 문화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녀왔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 서양에서는 4가지 "체액" (혈액, 가래, 황담즙, 흑담즙)의 균형으로 신체 건강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 이론에서 흑담즙과 황담즙 과다는 각각 우울증과 공격성을 유발한다고 여겨졌으며, 이는 콜레라와 멜랑콜리아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24]
우황과 같은 포유류의 쓸개즙은 비누와 혼합되어 담즙 비누[25] 또는 우담즙 비누로 불리며, 찌든 때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26] 필리핀 요리인 피나파이탄과 라오스 요리, 태국 요리 북부에서는 쓸개즙을 조미료나 요리 재료로 사용한다.[27]
전통 의학에서 웅담은 약재로 쓰였으며, 한국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웅담 채취를 위해 곰을 사육하기도 한다. 그러나 곰 사육 과정의 동물 학대 문제는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동물 복지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최근에는 웅담 성분을 대체하는 합성 담즙산(UDCA)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29]
5. 1. 사체액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중세 시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에서 널리 퍼진 의학 이론에 따르면, 신체의 건강은 4가지 "체액" 또는 생명력 있는 체액의 균형에 달려 있었는데, 이 중 두 가지가 담즙과 관련이 있었다. 혈액, 가래, "황담즙"(담즙질), 그리고 "흑담즙"이 그것이다. 이러한 "체액"은 열린 공간에서 만들어진 혈액 침전 검사의 모습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검사에서는 바닥에 어두운 응고(흑담즙), 응고되지 않은 적혈구 층(혈액), 백혈구 층(가래) 및 투명한 황색 혈청 층(황담즙)이 나타난다.[23]흑담즙과 황담즙의 과다는 각각 우울증과 공격성을 유발한다고 생각했으며, 이에 대한 그리스어 명칭은 영어 단어 콜레라(그리스어 χολή|kholēgrc, "담즙"에서 유래)와 멜랑콜리아를 낳았다. 전자의 의미에서, 동일한 이론은 영어 단어 bilious가 "담즙"에서 유래된 이유, 영어에서 gall의 의미가 "격분" 또는 "뻔뻔함"으로 사용되는 이유, 그리고 그리스어 kholégrc에서 파생되어 일부 로망스어에 분노를 나타내는 단어로 전해진 라틴어 단어 ''cholera'', 예를 들어 ''colère''(프랑스어)와 ''cólera''(스페인어)의 어원을 설명한다.[24]
5. 2. 비누
우황과 같은 포유류의 쓸개즙은 비누와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을 담즙 비누[25] 또는 우담즙 비누라고 부르며, 다양한 종류의 찌든 때를 제거하는 전통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세탁하기 몇 시간 전에 직물에 사용할 수 있다.[26]5. 3. 음식
필리핀 요리인 피나파이탄은 쓸개즙을 조미료로 사용한다.[27] 라오스 요리와 태국 요리 북부에서도 쓸개즙을 요리 재료로 흔히 사용한다.5. 4. 곰 사육과 동물 복지 문제 (한국의 관점)
전통 의학에서 웅담은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한국을 포함한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웅담을 얻기 위해 곰을 사육해 왔다. 곰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물 학대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중요한 동물 복지 문제로 다루고 있다. 최근에는 웅담 성분을 대체할 수 있는 합성 담즙산(UDCA)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동물 복지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함께 추구하는 중도진보적 가치에 부합한다.[29]6. 주요 담즙산
참조
[1]
논문
The Discharge of Bile into the Duodenum
https://doi.org/10.1[...]
1931-12-01
[2]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Medical
[3]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Saunders Elsevier
2011
[4]
웹사이트
Bile pigments - Oxford Reference
https://www.oxfordre[...]
2020-01-20
[5]
웹사이트
Secretion of Bile and the Role of Bile Acids In Digestion
http://www.vivo.colo[...]
2017-03-31
[6]
서적
Fundamentals of Nursing, 8th edition
Elsevier, Inc.
2013
[7]
서적
Food Colloids: Self-Assembly and Material Science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7-10-31
[8]
논문
The triglyceride lipases of the pancreas
2002-12-01
[9]
서적
Bi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7-09-20
[10]
웹사이트
Secretion of Bile and the Role of Bile Acids In Digestion
http://www.vivo.colo[...]
2016-06-05
[11]
웹사이트
Secretion of Bile and the Role of Bile Acids In Digestion
http://www.vivo.colo[...]
2018-04-09
[12]
논문
Diurnal Variations in the pH of Pathological Gallbladder Bile
[13]
논문
Effect of bile salts on the DNA and membrane integrity of enteric bacteria
2009-09-17
[14]
논문
Extra domains in secondary transport carriers and channel proteins
[15]
간행물
Steatorrhea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01-20
[16]
논문
Intestinal Microflora
https://www.gastrojo[...]
1971-06-01
[17]
간행물
Drugs used in the management of gallstone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01-20
[18]
논문
Ursodeoxycholic acid therapy in gallbladder disease, a story not yet completed
2013-08-21
[19]
웹사이트
Nausea and vomiting in adults - NHS Choices
http://www.nhs.uk/co[...]
2016-06-05
[20]
서적
Gastrointestinal and Liver Pathology E-Book: A Volume in the Series: Foundations in Diagnostic Path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1-06-06
[21]
논문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From palliation to treatment
2016-06-15
[22]
논문
Benign Biliary Strictures: A Current Comprehensive Clinical and Imaging Review
2011-08-01
[23]
서적
Medicine & Philosophy: A Twenty-First Century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5-04-23
[24]
서적
Pain: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5]
논문
The invention of certain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soap, which will be particularly applicable to the felting of woollen cloths.
https://books.google[...]
2007-02-08
[26]
서적
The Modern Soap and Detergent Industry: The manufacture of special soaps and detergent compositions
https://books.google[...]
Technical Press
1951
[27]
웹사이트
Pinapaitan - Ang Sarap
http://www.angsarap.[...]
2016-06-05
[28]
서적
文明国をめざして
小学館 Shōgakukan
2008-12-26
[29]
뉴스
Is the end of 'house of horror' bear bile factories in sight?
https://www.theguard[...]
[30]
Kotobank
2022-11-09
[31]
JGLOBAL
胆汁色素代謝物ウロビリノーゲンの抗酸化作用
2001-03-05
[32]
논문
Urobilinogen, as a Bile Pigment Metabolite, Has an Antioxidant Function
日本油化学会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