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니 벌써 (시트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니 벌써'는 1998년부터 1999년까지 방영된 시트콤이다. 권용운, 안문숙, 양택조, 김경식, 김현수, 김미성 등이 출연하여 하숙집을 배경으로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방송 주간시트콤 - 안녕, 프란체스카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된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는 루마니아 뱀파이어 가족이 한국에 정착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린 작품으로, 심혜진, 정려원, 이켠, 박슬기 등이 주연을 맡았고, 12부작의 1, 2시즌과 24부작의 3시즌으로 구성되어 시대적 부조리에 대한 은유적 비판을 담고 있다.
  • 문화방송 주간시트콤 - 엄마가 뭐길래 (시트콤)
    MBC TV에서 방영된 시트콤 엄마가 뭐길래는 나문희가 나여사국수전 사장으로 출연하여 가족과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이며, 박정학, 김서형, 류승수, 서이안, 김새론 등이 출연했고, 인피니트가 참여한 OST가 발매되기도 했다.
  • 문화방송의 심야 드라마 - 안녕, 프란체스카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된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는 루마니아 뱀파이어 가족이 한국에 정착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린 작품으로, 심혜진, 정려원, 이켠, 박슬기 등이 주연을 맡았고, 12부작의 1, 2시즌과 24부작의 3시즌으로 구성되어 시대적 부조리에 대한 은유적 비판을 담고 있다.
  • 문화방송의 심야 드라마 - 하자전담반 제로
    결혼 중매 회사에서 좌천된 커플 매니저가 이끄는 하자 있는 인물들의 모임인 "제로" 팀이 다양한 커플 매칭 에피소드를 통해 사랑의 의미를 찾아가는 드라마로,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아니 벌써 (시트콤)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아니 벌써?
장르시트콤
방송 시간토요일 저녁 6시 5분 ~ 7시 (1 ~ 9회)
수요일 밤 11시 ~ 11시 50분 (10 ~ 18회)
방송 분량50 ~ 55분
방송 기간1998년 11월 7일~1999년 4월 14일
방송 횟수18부작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 채널MBC
기획송창의
연출이응주, 권익준 (1 ~ 9회)
이응주, 사화경 (10 ~ 18회)
각본마석철, 김균태
구성백영숙, 지현
편집김명철
음악최종원, 박성미
출연자권용운, 안문숙, 김경식, 김현수, 김미성
여는 곡앤디 윌리엄스(Andy Williams)의 《Happy heart》
닫는 곡로이 오비슨(Roy Orbison)의 《In dreams》

2. 등장 인물


  • 권용운: 권용운 역.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주인.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부농가 대농 집안의 말띠 막내 아들이다. 서울 문화중학교 1학년 유학 시절 안문숙을 처음 만났고, 1985년 10월 9일 결혼하여 서울로 분가했다. 1994년 8월 공군 사병 병장으로 전역했다.[1]
  • 안문숙: 안문숙 역. 권용운의 4년 연상 아내,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안주인.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신곡리 부농가 대농 집안의 호랑이띠 막내딸이다.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유학 시절 권용운을 처음 만났고, 1985년 10월 9일 결혼하여 서울로 나왔다.[1]
  • 양택조: 양택조 역. 서울 종로구 낙원동 소재 복덕방 대표. 일제강점기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백곡리 부농가 대농 집안의 토끼띠 막내 아들이다. 결혼 후 서울로 분가, 1995년 9월 9일 부인(경식 어멈)과 병으로 사별했다.[1]
  • 김경식: 양경식 역. 서울 종로구 낙원동 소재 복덕방 영감 양택조의 아들. 호랑이띠 청년.[1]
  • 김현수: 김현수 역.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세입자. 강원도 속초시 교동 출신 말띠 토박이.[1]
  • 김미성: 김미성 역. 김현수의 언니,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세입자. 강원도 속초시 교동 출신 호랑이띠 토박이.[1]
  • 안정림: 안정림 역 (중도합류). 하숙집 안주인 안문숙의 용띠 친정 조카딸,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세입자.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감정리(부농가 대농 농지)로 분가한 안정현 부부(안문숙의 둘째 오빠 부부)의 용띠 둘째 딸.[1]

2. 1. 주조연


  • 권용운: 권용운 역.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주인. 경상남도 산청 생초면 어서리 부농가 대농 집안의 말띠 막내 아들이다. 서울 문화중학교 1학년 유학 시절 안문숙을 처음 만났고, 1985년 10월 9일 결혼하여 서울로 분가했다. 1994년 8월 공군 사병 병장으로 전역했다. 그의 막내 숙부는 호텔 요리사 등으로 이름을 드높인 권영지(서울 중구 명동 명무세요 대표 사업주 겸 수석 대표 요리사)이다.[1]
  • 안문숙: 안문숙 역. 권용운의 4년 연상 아내,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안주인. 전라남도 고흥 과역면 신곡리 부농가 대농 집안의 호랑이띠 막내딸이다.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유학 시절 권용운을 처음 만났고, 1985년 10월 9일 결혼하여 서울로 나왔다.[1]
  • 양택조: 양택조 역. 서울 종로구 낙원동 소재 복덕방 대표. 일제강점기 경기도 화성 마도면 백곡리 부농가 대농 집안의 토끼띠 막내 아들이다. 결혼 후 서울로 분가, 1995년 9월 9일 부인(경식 어멈)과 병으로 사별했다.[1]
  • 김경식: 양경식 역. 서울 종로구 낙원동 소재 복덕방 영감 양택조의 아들. 호랑이띠 청년.[1]
  • 김현수: 김현수 역.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세입자. 강원도 속초 교동 출신 말띠 토박이.[1]
  • 김미성: 김미성 역. 김현수의 언니,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세입자. 강원도 속초 교동 출신 호랑이띠 토박이.[1]
  • 안정림: 안정림 역 (중도합류). 하숙집 안주인 안문숙의 용띠 친정 조카딸,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세입자. 전라남도 보성 노동면 감정리(부농가 대농 농지)로 분가한 안정현 부부(안문숙의 둘째 오빠 부부)의 용띠 둘째 딸.[1]

2. 2. 이전 주조연

배우역할하차 에피소드상세
손영준손영준 역제7회 〈여자의 마음〉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옛날 세입자. 용띠 청년이며 경상남도 밀양 청도면 소태리 대농가 부잣집 막내 자제. 뉴질랜드 웰링턴 유학을 떠남.[1]
김동수김동수 역제8회 〈위대한 유산〉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옛날 세입자. 쥐띠 청년이며 강원도 춘천 남산면 강촌리 대농가 부잣집 막내 자제. 강원도 춘천 고향에 농사 지으러 낙향.[2]


2. 3. 비주요 및 비고정 출연


  • 권용운 : 권용운 역.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부농가 출신으로,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주인이다. 1994년 8월 공군 사병 병장으로 전역했다.[1]
  • 안문숙 : 안문숙 역. 권용운의 4년 연상 아내로,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신곡리 부농가 출신이다.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안주인이다.
  • 박영지 : 권영지 역. 권용운의 친가 막내 숙부로,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산다. 자칭타칭 대한민국의 서양 양식 요리사 1세대 출신이며,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a.k.a. 명무세요)"의 대표 사업주 겸 수석 대표 요리사이다. 1968년 8월 초순에 공군 취사병 병장으로 군필 전역했다.
  • 최은숙 : 은언숙 역. 권용운의 친가 막내 숙모로,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 내곡리 부농가 출신이다.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산다.
  • 최정 : 권영찬 역. 권용운과 안문숙 부부의 장남(첫째)으로, 서울 사립 문화중학교 1학년이다.
  • 노희지 : 권윤숙 역. 권용운과 안문숙 부부의 외동딸(둘째)로, 서울 사립 문화초등학교 6학년이다.
  • 곽정욱 : 권현준 역. 권용운과 안문숙 부부의 막내아들(셋째)로, 서울 사립 문화초등학교 3학년이다.
  • 안정림 : 안정림 역 (중도합류). 하숙집 안주인 안문숙의 친정 조카딸.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감정리 안정현 부부의 둘째 딸이다.
  • 방은희 : 김동수(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옛날 세입자)의 둘째 형수. 김동수(막내 시제)에게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대농가 부잣집 시가로 떠나자며 설득하면서 같이 떠났다. (강원도 춘천 고향에 농사 지으러 낙향을 하는 제8회 《위대한 유산》 에피소드)[8]
  • 엄지원 : 장영주[4] 역. 강원도 영월 북면 연덕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 영월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마카오(포르투갈령)로 이민. 1998년 8월 마카오 대학교 철학과 3학년 1학기 수료 및 휴학. 포르투갈령 마카오 교포이자 유학생. 노판섭의 외종사촌 누나이며 마카오 국제 동양 중학교 1년 선배. 대한민국 출국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초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 고두옥 : 노판섭[5] 역. 강원도 횡성 안흥면 안흥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5년 8월, 횡성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마카오(포르투갈령)로 이민. 1998년 8월 포르투갈 리스본 인문과학대학교 철학과 2학년 1학기 수료 및 휴학. 마카오 교포이자 포르투갈 유학생. 장영주의 고종사촌 남동생이며 마카오 국제 동양 중학교 1년 후배. 대한민국 출국 13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초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 김흥국 : 노종복 역.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68년 3월, 오성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초에 일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로 이민. 1994년 8월 공필숙과 연애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두 살 터울)를 둠. 30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아내는 공필숙이며, 부부 모두 말레이시아 교포 출신.
  • 이경실 : 공필숙 역. 충청북도 괴산 사리면 수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5년 3월, 괴산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초에 일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로 이민. 1994년 8월 노종복과 연애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두 살 터울)를 둠. 23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남편 노종복도 말레이시아 교포.
  • 전유성 : 노종규 역.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68년 3월, 서울공고 3학년 졸업 직후 일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로 이민. 30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노종복의 둘째 형님으로, 1983년 3월 말레이시아 피낭주 빠다워드 한국인 교포 아내와 결혼하여 슬하에 2녀를 둠.
  • 진미령 : 오광숙 역. 충청북도 보은 삼승면 우진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0년 3월, 삼승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초에 일가족과 함께 중화민국 타이베이로 이민. 1988년 8월 한국인 홍콩 교포와 결혼하여 홍콩으로 이주, 외동딸을 둠. 28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공필숙의 친정 이종사촌 언니이며, 오태숙의 친가 6촌 언니.
  • 윤손하 : 오태숙 역. 충청북도 보은 삼승면 우진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3년 해외 중화민국 타이베이에서 태어난 한국인 중화민국 타이베이 교포 출신.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경제학 석사 과정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석사과정 휴학 2년차. 태어난 지 25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오광숙의 열다섯 살 어린 친가 6촌 누이동생.
  • 김진 : 오진태 역. 충청북도 보은 삼승면 우진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4년 8월, 삼승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료 직후 말레이시아 피낭주 조지타운으로 이민.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행정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이며, 대한민국 출국 14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오광숙과 오태숙의 친가 9촌 조카.
  • 김정민 : 공장욱(Johnny Kaye, 조니 케이) 역. 충청북도 괴산 사리면 수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피낭주 조지타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 미국 하와이 주립 대학교 건축공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이며, 태어난 지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공필숙의 열두 살 어린 친정 5촌 조카.
  • 권민중 : 노상숙(Selena Naxxe, 셀레나 낵스) 역.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미국 하와이 주립 대학교 미술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 중이며,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노종규와 노종복의 친가 5촌 조카딸.
  • 권이지 : 노배숙(Bonnie Naxxe, 보니 낵스) 역.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홍콩 대학교 산업미술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휴학 2년차 중이며,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노종규와 노종복의 친가 7촌 조카딸.
  • 고주희 : 노한숙(Helen Naxxe, 헬렌 낵스) 역.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에스파냐 마드리드 대학교 건축공업미술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 중이며,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노종규와 노종복의 친가 9촌 조카딸.
  • 김지연 : 성연주 역. 경상남도 창녕 이방면 옥천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이민. 미국 시카고 대학교 미술학과 2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1년차 중이며,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배주엽의 5촌 외종질녀.[6]
  • 설운도 : 배주엽 역. 경상남도 김해 상동면 감로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만 28세)에 일가족과 함께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이민.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성연주의 외가 친척 가운데 5촌 외종숙.[7]
  • 김한석 : 배광섭 역. 경상남도 김해 상동면 감로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 중학교 1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이민.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공학 석사 과정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석사과정 휴학 1년차 중이며, 대한민국 출국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 배주엽의 친가 7촌 조카.
  • 방현주 : 아나운서 방현주 역. 1985년부터 연말 특집 라디오 프로그램 "입학사정관"으로 한 해 말에 1회씩 모두 제14회 방송이자 라디오 입학사정관 역사상 마지막 제14회 라디오 until 1998 연도말 만 13년 라디오 입학사정관 제14회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제14회 라디오 입학사정관 최종회 고별 방송 예고 캐스터.
  • 원숙희
  • 최강희
  • 최정윤
  • 강래연
  • 홍수현
  • 허영란
  • 최민용 : 인찬동 역. 1998년 11월 26일 당시 미국 시카고(일리노이 주)를 유학 중에 잠시 서울(대한민국)로 귀국한 후 두 달 지난 1999년 1월 29일, 미국 시카고(일리노이 주)로 다시 떠난 1986년 3월 이후부터 13년차 한인 교민(겸 유학생)인 미국 시카고 부잣집 교민 집안 슬하 2남 3녀(5남매) 중 막내.
  • 설수진 : 현광숙 역. 1998년 11월 16일 당시부터 1998년 12월 15일 당시까지 연도말 맞이하여 한 달 동안 잠시 귀국한 캐나다 온타리오 주 오타와 호랑이띠 25세 교포.
  • 한희 : 봉철은 역. 1998년 12월 22일 당시부터 1999년 1월 22일 당시까지, 1개월(한 달)을 머물러 있던 서울(대한민국)을 떠나 1999년 1월 22일, 말레이시아(수도 콸라 룸푸르)로 출국하였으며 콸라 룸푸르(말레이시아)에 유학 중이던 1988년 3월 이후부터 11년차 한인 여자 교민(겸 유학생)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 부잣집 교민 집안 슬하 1남 3녀(4남매) 중 막내.
  • 최우혁
  • 오승윤
  • 박은혜
  • 신주리
  • 최은주
  • 김윤정
  • 김광필
  • 김태연
  • 유서진
  • 이재포
  • 권혁종
  • 고수
  • 김정현
  • 김현주
  • 김하늘
  • 강성민
  • 김소연
  • 김규리
  • 김희선
  • 김유리
  • 김영미
  • 고동현
  • 강성연 : 안혜림 역[1] : 1998년 11월 당시 안문숙과 전화 통화를 한 전라남도 함평 해보면 해보리(부농가 대농 농지)로 분가한 안석현 氏 내외(당시 안문숙의 셋째 오빠 부부)의 둘째 딸(말띠 만20세).[1]
  • 전성초 : 안유림 역[1] : 1998년 11월 당시 안문숙과 전화 통화를 한 전라남도 장성 삼계면 능성리(부농가 대농 농지)로 분가한 안창현 氏 내외(당시 안문숙의 넷째 오빠 부부)의 셋째 딸(뱀띠 만9세, 막내).[1]
  • 박인환 : 오재옥 역[1] :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총장(철학박사 출신, 한일대학교 철학과 교수).[1]
  • 김기현 : 송덕보 역[1] :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제1부총장(공학박사 출신, 한일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1]
  • 심양홍 : 심종안 역[1] : 복덕방 대표 양택조의 남양국민학교 2년 선배(1950년 당시 우수성적 국졸, 소띠)로 훗날 문학박사(1969년 취득) 및 예비역 해군 소령(1971년 예편) 출신.[1]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겸 동 문과대학장.[1]
  • 서경석 : 서백순 역[1] : 하숙집 주인 권용운의 산청국민학교 5년 선배(1973년 당시 전교회장 출신, 소띠)로 훗날 문학박사(1994년 취득) 및 예비역 육군 소령(1995년 예편) 출신.[1]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겸 동 불문학과장.[1]

2. 3. 1. 권가네 친가친척


  • 권용운 : 권용운 역.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부농가 출신으로,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주인이다. 1994년 8월 공군 사병 병장으로 전역했다.
  • 안문숙 : 안문숙 역. 권용운의 4년 연상 아내로,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신곡리 부농가 출신이다.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안주인이다.
  • 박영지 : 권영지 역. 권용운의 친가 막내 숙부로,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산다. 자칭타칭 대한민국의 서양 양식 요리사 1세대 출신이며,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a.k.a. 명무세요)"의 대표 사업주 겸 수석 대표 요리사이다. 1968년 8월 초순에 공군 취사병 병장으로 군필 전역했다.
  • 최은숙 : 은언숙 역. 권용운의 친가 막내 숙모로,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 내곡리 부농가 출신이다.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산다.
  • 최정 : 권영찬 역. 권용운과 안문숙 부부의 장남(첫째)으로, 서울 사립 문화중학교 1학년이다.
  • 노희지 : 권윤숙 역. 권용운과 안문숙 부부의 외동딸(둘째)로, 서울 사립 문화초등학교 6학년이다.
  • 곽정욱 : 권현준 역. 권용운과 안문숙 부부의 막내아들(셋째)로, 서울 사립 문화초등학교 3학년이다.
  • 안정림 : 안정림 역 (중도합류). 하숙집 안주인 안문숙의 친정 조카딸.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감정리 안정현 부부의 둘째 딸이다.

2. 3. 2. 손영준네 뉴질랜드 웰링턴 외종댁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유학을 떠나는 제7회 《여자의 마음》 에피소드에서 손영준의 외종사촌 형수 정경순(홍익수 역)은 손영준(고종사촌 시제)에게 함께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유학을 떠나자고 설득하며 같이 떠난다.[1]

2. 3. 3. 김동수네 강원도 춘천 친가 형수

방은희김동수(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옛날 세입자)의 둘째 형수이다. 김동수(막내 시제)에게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대농가 부잣집 시가로 떠나자며 설득하면서 같이 떠났다. (강원도 춘천 고향에 농사 지으러 낙향을 하는 제8회 《위대한 유산》 에피소드)[8]

2. 3. 4. 특별출연


: 강원도 영월 북면 연덕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 영월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마카오(포르투갈령)로 이민을 갔다. 1998년 8월 마카오 대학교 철학과 3학년 1학기 수료 및 휴학을 한 포르투갈령 마카오 교포이자 유학생이다. 노판섭의 외종사촌 누나이며 마카오 국제 동양 중학교 1년 선배이다. 대한민국 출국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초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 강원도 횡성 안흥면 안흥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5년 8월, 횡성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마카오(포르투갈령)로 이민을 갔다. 1998년 8월 포르투갈 리스본 인문과학대학교 철학과 2학년 1학기 수료 및 휴학을 한 마카오 교포이자 포르투갈 유학생이다. 장영주의 고종사촌 남동생이며 마카오 국제 동양 중학교 1년 후배이다. 대한민국 출국 13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초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68년 3월, 오성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초에 일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로 이민을 갔다. 1994년 8월 공필숙과 연애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두 살 터울)를 두었다. 30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아내는 공필숙이며, 부부 모두 말레이시아 교포 출신이다.
: 충청북도 괴산 사리면 수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5년 3월, 괴산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초에 일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로 이민을 갔다. 1994년 8월 노종복과 연애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두 살 터울)를 두었다. 23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남편 노종복도 말레이시아 교포이다.
: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68년 3월, 서울공고 3학년 졸업 직후 일가족과 함께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로 이민을 갔다. 30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노종복의 둘째 형님으로, 1983년 3월 말레이시아 피낭주 빠다워드 한국인 교포 아내와 결혼하여 슬하에 2녀를 두었다.
: 충청북도 보은 삼승면 우진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0년 3월, 삼승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초에 일가족과 함께 중화민국 타이베이로 이민을 갔다. 1988년 8월 한국인 홍콩 교포와 결혼하여 홍콩으로 이주, 외동딸을 두었다. 28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공필숙의 친정 이종사촌 언니이며, 오태숙의 친가 6촌 언니이다.
: 충청북도 보은 삼승면 우진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3년 해외 중화민국 타이베이에서 태어난 한국인 중화민국 타이베이 교포 출신이다.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경제학 석사 과정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석사과정 휴학 2년차이다. 태어난 지 25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오광숙의 열다섯 살 어린 친가 6촌 누이동생이다.
: 충청북도 보은 삼승면 우진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4년 8월, 삼승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료 직후 말레이시아 피낭주 조지타운으로 이민을 갔다.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행정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이며, 대한민국 출국 14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오광숙과 오태숙의 친가 9촌 조카이다.

  • 김정민 : 공장욱(Johnny Kaye, 조니 케이) 역

: 충청북도 괴산 사리면 수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피낭주 조지타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이다. 미국 하와이 주립 대학교 건축공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이며, 태어난 지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공필숙의 열두 살 어린 친정 5촌 조카이다.

  • 권민중 : 노상숙(Selena Naxxe, 셀레나 낵스) 역

: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이다.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미국 하와이 주립 대학교 미술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 중이며,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노종규와 노종복의 친가 5촌 조카딸이다.

  • 권이지 : 노배숙(Bonnie Naxxe, 보니 낵스) 역

: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이다.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홍콩 대학교 산업미술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휴학 2년차 중이며,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노종규와 노종복의 친가 7촌 조카딸이다.

  • 고주희 : 노한숙(Helen Naxxe, 헬렌 낵스) 역

: 경기도 평택 오성면 죽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77년 해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에서 출생한 한국인 말레이시아 교포의 후손 출신이다. 만 21년여 만에 조상들의 국가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에스파냐 마드리드 대학교 건축공업미술학과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2년차 중이며,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노종규와 노종복의 친가 9촌 조카딸이다.
: 경상남도 창녕 이방면 옥천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이민을 갔다. 미국 시카고 대학교 미술학과 2학년 1학기를 마치고 수료 및 휴학 1년차 중이며,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배주엽의 5촌 외종질녀이다.[6]
: 경상남도 김해 상동면 감로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만 28세)에 일가족과 함께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이민을 갔다.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성연주의 외가 친척 가운데 5촌 외종숙이다.[7]
: 경상남도 김해 상동면 감로리 부농 집안의 후손. 1986년 8월, 중학교 1학년 1학기 수료 직후 일가족과 함께 뉴질랜드 웰링턴으로 이민을 갔다.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공학 석사 과정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석사과정 휴학 1년차 중이며, 대한민국 출국 12년여 만에 잠시 귀국하여 1998년 11월 중순에 서울 중구 명동 소재 "명동 무교마을 세발낙지 요리집"을 방문했다. 배주엽의 친가 7촌 조카이다.
: 1985년부터 연말 특집 라디오 프로그램 "입학사정관"으로 한 해 말에 1회씩 모두 제14회 방송이자 라디오 입학사정관 역사상 마지막 제14회 라디오 until 1998 연도말 만 13년 라디오 입학사정관 제14회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제14회 라디오 입학사정관 최종회 고별 방송 예고 캐스터.
: 1998년 11월 26일 당시 미국 시카고(일리노이 주)를 유학 중에 잠시 서울(대한민국)로 귀국한 후 두 달 지난 1999년 1월 29일, 미국 시카고(일리노이 주)로 다시 떠난 1986년 3월 이후부터 13년차 한인 교민(겸 유학생)인 미국 시카고 부잣집 교민 집안 슬하 2남 3녀(5남매) 중 막내.
: 1998년 11월 16일 당시부터 1998년 12월 15일 당시까지 연도말 맞이하여 한 달 동안 잠시 귀국한 캐나다 온타리오 주 오타와 호랑이띠 25세 교포.
: 1998년 12월 22일 당시부터 1999년 1월 22일 당시까지, 1개월(한 달)을 머물러 있던 서울(대한민국)을 떠나 1999년 1월 22일, 말레이시아(수도 콸라 룸푸르)로 출국하였으며 콸라 룸푸르(말레이시아)에 유학 중이던 1988년 3월 이후부터 11년차 한인 여자 교민(겸 유학생)인 말레이시아 콸라 룸푸르 부잣집 교민 집안 슬하 1남 3녀(4남매) 중 막내.

2. 3. 5. 양택조 영감 관련

인물관계출생년도거주지비고
채태석양택조의 젊은 시절1939년 (1958년 당시 만 19세)
김복희양택조의 배다른 고모1922년경기도 여주 가남면 태평리
민지환양택조의 이복 고모부1925년경기도 여주 가남면 태평리
홍순창양택조의 고종사촌 남동생 (민지환과 양복희의 아들)1947년경기도 여주 가남면 태평리1973년 해군 수병 취사병 병장 전역
윤예희양택조의 고종사촌 남동생 민순동의 맏딸1967년경기도 여주 가남면 태평리
조학자양택조의 배다른 이모1923년경기도 평택 오성면 양교리
이종만양택조의 이복 이모부1925년경기도 평택 오성면 양교리
박윤배양택조의 이종사촌 남동생 (이종만과 조학자의 아들)1947년경기도 평택 오성면 양교리1976년 육군 취사병 병장 전역
김은수양택조의 이종사촌 남동생 이정배의 맏딸1968년경기도 평택 오성면 양교리
김주영양택조와 이정배의 외종사촌 남동생 (조학자의 이복 친정 조카)1953년경기도 평택 세교동1981년 공군 취사병 병장 전역, 1985년 막내딸 득녀
김민정조주영의 4년 연상 부인1949년경기도 평택 세교동
조혜련조주영과 김민정 부부의 맏딸1974년경기도 평택 세교동


2. 3. 6. 권용운, 손영준, 김현수 관련


  • 권용운 : 권용운 역.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주인이다. 경상남도 산청 생초면 어서리 부농가 대농 집안의 말띠 막내 아들로, 서울 문화중학교 1학년 때 안문숙을 처음 만났다. 1985년 10월 9일 결혼하여 서울로 분가했다.[1] 1994년 8월 공군 사병 병장으로 전역했다.[1] 그의 막내 숙부는 대한민국 서양 양식 요리사 1세대 권영지(서울 중구 명동 명무세요 대표 사업주 겸 수석 대표 요리사)이다.[1]
  • 김현수 : 김현수 역.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 세입자. 강원도 속초 교동 출신 말띠이다.[5]
  • 손영준 : 손영준 역. 서울 종로구 종로동 소재 하숙집에 세들어 살았으나, 제7회 《여자의 마음》 에피소드에서 뉴질랜드 웰링턴 유학으로 중도 하차했다.[8] 경상남도 밀양 청도면 소태리 대농가 부잣집 막내 아들인 용띠 청년이다.[8]

2. 3. 7. 하숙집과 함께 하던 타 사업체

직책이름배역비고
서울 문화 고용복지 보험 대표이사 사장순동운순동운 역
서울 문화 고용복지 보험 이사장정한헌정한헌 역
서울 문화 고용복지 보험 상무이사이문수이문수 역
대표이사 사장 전용 드라이버정성호정성호 역
대표이사 사장 비서실 실장정준하여대엽 역
대표이사 사장 전용 수행 사무비서양현태양정태 역
이사장 전용 드라이버류현철유장배 역
이사장 전용 수행 사무비서어남선성배단 역
상무이사 전용 드라이버문경훈문경준 역
상무이사 전용 수행 사무비서구본승구달상 역


2. 3. 8. 그 이외 목소리 출연


  • 강성연 : 안혜림 역[1] : 1998년 11월 당시 안문숙과 전화 통화를 한 전라남도 함평 해보면 해보리(부농가 대농 농지)로 분가한 안석현 氏 내외(당시 안문숙의 셋째 오빠 부부)의 둘째 딸(말띠 만20세).[1]
  • 전성초 : 안유림 역[1] : 1998년 11월 당시 안문숙과 전화 통화를 한 전라남도 장성 삼계면 능성리(부농가 대농 농지)로 분가한 안창현 氏 내외(당시 안문숙의 넷째 오빠 부부)의 셋째 딸(뱀띠 만9세, 막내).[1]
  • 박인환 : 오재옥 역[1] :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총장(철학박사 출신, 한일대학교 철학과 교수).[1]
  • 김기현 : 송덕보 역[1] :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제1부총장(공학박사 출신, 한일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1]
  • 심양홍 : 심종안 역[1] : 복덕방 대표 양택조의 남양국민학교 2년 선배(1950년 당시 우수성적 국졸, 소띠)로 훗날 문학박사(1969년 취득) 및 예비역 해군 소령(1971년 예편) 출신.[1]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겸 동 문과대학장.[1]
  • 서경석 : 서백순 역[1] : 하숙집 주인 권용운의 산청국민학교 5년 선배(1973년 당시 전교회장 출신, 소띠)로 훗날 문학박사(1994년 취득) 및 예비역 육군 소령(1995년 예편) 출신.[1] 1998년 12월 당시 한일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겸 동 불문학과장.[1]

3. 방송 목록

회차방송 일자부제
제1회1998년 11월 7일
제2회1998년 11월 14일비자금 사수작전
나는 나쁜 놈입니다
제3회1998년 11월 21일질투를 부르는 소리
나도 여자다! 씨이...
제4회1998년 12월 5일욕망이라는 이름의 자전거
수줍은 연인
제5회1998년 12월 12일남편이 뭐길래
목소리 때문에
제6회1998년 12월 26일나잡아 봐라
싱글벨
제7회1999년 1월 9일동상이몽
여자의 마음
제8회1999년 1월 16일핸들을 돌려라
위대한 유산
제9회1999년 1월 23일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거짓말도 보여요
제10회1999년 1월 27일여자 VS 여자
남편의 여자친구
제11회1999년 2월 3일식구가 늘었어요
바퀴벌레 전쟁
제12회1999년 2월 10일귀향
귀경
제13회1999년 2월 24일숟가락 때문에..?
치질과 자존심
제14회1999년 3월 3일아주 특별한 날..
잊고 또 잊고
제15회1999년 3월 10일여보 나야
뛰는놈 위에 나는놈
제16회1999년 3월 17일들켰다
보약 소동
제17회1999년 3월 31일이보다 더 나쁠 순 없다
꼬인다, 꼬여
제18회1999년 4월 14일



아니 벌써》는 초반에 토요일 오후 6시에 방영되었으나, 동시간대 SBS기쁜 우리 토요일》과 KBS 2TV자유선언 오늘은 토요일》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했다. 10회(1999년 1월 27일)부터 수요일 밤 11시로 시간대를 옮겼지만, SBS김혜수 플러스 유》에 밀려 1999년 4월에 막을 내렸다.[1] 김동수는 1999년 1월 16일 8회를 끝으로 하차했고, 이후 1999년 3월 9일 음주운전으로 불구속 입건되었다.[2] 시청률 부진과 더불어 남녀관계나 가족의 일상을 비현실적으로 다뤄 서민의 애환 등을 살리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3]

3. 1. 결방


  • 1998년 11월 28일 - 특집 생방송 음악캠프 편성으로 결방되었다.
  • 1998년 12월 19일 - 5시 10분부터 1998년 아시안 게임 남자 농구 결승 중계 편성으로 결방되었다.
  • 1999년 1월 2일 - 5시 10분부터 신년특집 칭찬합시다[8] 1~2부 편성으로 결방되었다.
  • 1999년 2월 17일 - 10시 35분부터 코미디 드라마 '토끼, 여우를 이기다'[9] 편성으로 결방되었다.
  • 1999년 3월 24일 - 10시 55분부터 특선영화 롱키스 굿나잇[10] 편성으로 결방되었다.
  • 1999년 4월 7일 - 10시 55분부터 특선영화 크림슨 타이드[11] 편성으로 결방되었다.

4. 참고 사항

이 드라마의 주조연 및 단역을 포함한 역대 총 출연진 가운데 최고령 출연자는 극중 양택조의 이복 고모 양복희 역으로 제2회 《비자금 사수작전》에 단역 출연한 여성 원로 연극배우 겸 연기자 김복희이며, 그다음으로 고령 출연자는 극중 양택조의 이복 이모 조학자 역으로 제6회 《나잡아 봐라》에 단역 출연한 여성 원로 영화배우 겸 연기자 조학자이다.

참조

[1] 뉴스 방송3사 시트콤 ‘내부수리중’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7-03-30
[2] 뉴스 탤런트 김동수씨,음주운전으로 입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7-03-30
[3] 뉴스 방송사 가을개편 분석-제작비 절감 초점…공공성 소홀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8-04-20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뉴스 교양 「칭찬합시다」MBC 오후 5:10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7-03-30
[9] 뉴스 코미디 「토끼, 여우를 이기다」MBC 오후 10:35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7-03-30
[10] 뉴스 주부에서 전사로 변신 롱키스 굿나잇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7-03-30
[11] 뉴스 크림슨 타이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7-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