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소카의 기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소카의 기둥은 고대 인도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대왕이 세운 기념물로, 불교의 가르침과 그의 통치 이념을 널리 알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기둥은 매끄러운 원통형 몸체와 연꽃잎 모양의 받침, 그리고 동물 조각상으로 장식된 기둥머리로 구성되며, 아케메네스 제국과 헬레니즘 예술의 영향을 받았다. 기둥에는 아소카의 칙령이 새겨져 있으며, 불교 개종과 다르마 정책, 사회 및 동물 복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델리, 알라하바드, 사르나트 등지에 기둥이 남아 있으며, 특히 사르나트의 사자상은 인도의 국장으로 사용될 만큼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우리아 미술 - 바이샬리
    바이샬리는 인도 비하르 주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리차비 공화국의 수도였으며 석가모니 부처와 마하비라가 활동했던 불교 및 자이나교의 중요한 유적지이다.
  • 마우리아 미술 - 산치 (인도)
    인도 마디아프라데시 주에 있는 산치는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2세기까지 조성된 불교 유적지로, 특히 아소카 대왕이 건설한 대불탑이 유명하며 초기 불교 미술 발전과 불교 쇠퇴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 기념비 - 인민영웅기념비
    인민영웅기념비는 중국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 위치한 높이 37.94m의 기념비로,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순국선열을 기리기 위해 건립이 결정되어 1958년 완공되었으며, 중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사건들을 기념하는 상징적인 장소이다.
  • 기념비 - 나람신
    나람신은 기원전 23세기 아카드 제국의 왕으로, 정복 활동을 통해 제국 최대 영토를 건설하고 중앙 집권 정책과 신격화를 추진했으나 반란에 직면했으며, 그의 치세는 제국의 번영과 멸망에 대한 전설로 남았다.
아소카의 기둥
개요
인도의 비하르주 바이샬리에 있는 아소카 기둥
인도의 비하르주 바이샬리에 있는 아소카 기둥
재료광택이 나는 사암
제작 시기기원전 3세기
특징
높이12 ~ 15m
상세 정보
위치사르나트
산치
람푸르바
바이샬리
산키사
난다르가르
델리-메루트 기둥
토프라 칼란
아라라지
알라하바드
룸민데이
니갈리

2. 역사적 배경

아소카는 기원전 269년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세운 마우리아 제국을 물려받았다. 아소카 석주에 새겨진 글들은 불교 교리에 기초한 도덕에 관한 칙령을 명시하고 있다.[14][15]

2. 1. 아소카 대왕의 불교 개종

사르나트의 아소카 기둥 꼭대기를 장식했던 사자주두. 아소카의 기둥은 매우 사실적인 묘사와 독특하게 다듬어진 마감재를 사용하여 석면 표면을 반짝이도록 보이는 효과를 내었다. 기원전 3세기 제작.


아소카는 기원전 269년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세운 마우리아 제국을 이어받았다. 황제로써 재위 초기에는 폭군이라는 평을 받았던 아소카 대제는 즉위 8년 후 그가 칼링가에서 벌였던 참혹한 전투에 대해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추방되고 10만 명이 죽었으며,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고 자신의 칙령에서 술회하였다. 이후 아소카는 수많은 목숨을 짓밟은 것에 대한 참회로 불교로 개종했고, 불교는 국교의 지위까지 격상되지 않았음에도 아소카의 지지를 받으며 북인도의 지방 종교에서 인도 전역으로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나아가 기독교와 같은 세계 종교의 지위로 격상될 토대를 마련하였다.[84] 아소카 석주에 새겨진 글들 역시 불교 교리에 기초한 도덕에 관한 칙령을 명시하고 있다.[85][86]

upright

2. 2. 마우리아 제국의 멸망

아소카 기둥의 조형 유래에 대해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력을 거론하는 많은 논의가 있었다.[94] 페르세폴리스에서 지붕을 받치고 있는 기둥의 머릿장식들과 유사하다는 점, 그리고 아소카의 사르나트 사자 장식의 "다소 차갑고 상형적인 스타일"은 특히 "확실한 아케메네스와 사르고니드 영향"을 보여준다는 것이었다.[95] 인도와 아케메네스 제국은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원전 330년까지 아케메네스의 인더스 정복 이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헬레니즘적인 영향 또한 지적되었다.[96] 특히 일부 기둥의 관판(특히 람푸르바의 황소, 산카샤의 코끼리 조각이나 알라하바드 기둥의 머릿장식)에서는 비드 앤 릴 패턴 무늬, 둥근 모양의 쇠시리, 불꽃, 연꽃 같은 모티브의 띠두름 장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그리스와 근동 예술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1] 그러한 예는 마우리아 제국의 수도 파탈리푸트라 유적에서도 볼 수 있다.

그리스 델포이의 종교적 중심지에 자리하고 있었던 12.5m 이오니아 양식의 기둥으로 꼭대기에 스핑크스가 장식되어 있는 낙소스의 스핑크스와 같은 6세기 그리스 기둥이 아소카의 기둥에 영감을 주었을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97] 스파르타, 아테네 또는 스파타에서와 같이 고대 그리스에서 스핑크스로 왕관을 씌운 비슷한 기둥들이 많이 발견되었고, 일부는 장식용 기둥으로 사용되었다.[97] 인간 암컷의 얼굴을 한 사자 그리스 스핑크스는 사나운 힘을 가졌다고 여겨졌고, 종종 사원이나 왕릉의 입구를 측면으로 하여 후견인으로 생각되었다.[98]

3. 아소카 대왕의 기둥: 건축과 상징

아소카 대왕의 기둥은 마투라 지역의 붉은 사암과 흰 사암, 바라나시 근처 천아르의 작고 검은 점이 있는 광택 나는 사암, 이렇게 두 종류의 돌로 조각되었다. 기둥의 무늬와 조각 기법이 일정한 것은 같은 지역 장인들이 제작했음을 보여준다.[88]

기둥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 머리: 세 부분으로 구성, 종종 다른 석재와 금속 장부촉으로 연결된다.
  • 몸통: 곧고 매끄러운 원형, 위로 갈수록 가늘어짐, 하나의 돌로 조각, 밑받침 없음, 연꽃잎 모양.
  • 관판(冠板): 모난 것과 둥근 것 두 유형, 다양한 비율.
  • 동물 조각: 마우리아 미술의 걸작, 앉거나 선 형태, 사방을 보는 모습, 관판과 한 조각으로 제작.[89][90]


아소카의 기둥 대부분은 꼭대기에 동물 조각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석가모니 부처의 생애를 기념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동물 조각상은 7개이다.[78][92] 이들은 인도 석조 조각의 중요한 초기 형태이며, 나무 기둥에 구리 동물상을 장식하던 전통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는 아소카 대제 이전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93]

일부 학자들은 아소카 기둥이 페르시아그리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인도 군인들이 전투에 사용하던 군기(軍旗)인 드바자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헬리오도루스 기둥은 '가루다 군기'로 불렸으며, 기원전 2세기 전후 드바자로 불린 초기 돌기둥이다.[100]

아케메네스 제국의 페르시아 기둥과 비교했을 때, 아소카 기둥은 여러 차이점이 있다.

  • 페르시아 기둥: 분할 형태, 평탄한 표면, 건물 지지 구조물.
  • 아소카 기둥: 단층, 매끄러운 축, 독립 기념물.[101]


인도 역사학자 어핀더 싱은 아소카 기둥이 페르시아뿐만 아니라 인도 내 목조 조각 전통의 영향도 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02]

영국 고고학자 존 마셜은 "아테네 건축 최전성기조차 마우리아 작품의 정밀성과 정확성을 뛰어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103][104]

3. 1. 기둥의 구조와 디자인

아소카의 기둥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며, 그 구조와 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 기둥 몸체: 곧고 매끄러운 원형 기둥으로, 위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하나의 돌로 조각되었으며, 밑받침은 없고 아랫부분은 연꽃잎 모양으로 굽어져 있다.
  • 기둥머리:
  • 종 모양 부분: 기둥머리 아랫부분은 연꽃 잎 모양으로 부드럽게 굽어져 있다.
  • 관판(冠板): 모난 것과 둥근 것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다양한 비율로 구성된다.
  • 동물 조각: 마우리아 미술의 걸작으로, 앉거나 선 형태로 사방을 둘러보는 모습이다. 관판과 함께 한 조각으로 제작되었다.
  • 주두: 기둥머리의 세 부분은 하나의 돌로 조각되지만, 종종 다른 돌이 금속 장부촉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아소카의 기둥은 두 종류의 돌로 조각된 것으로 보인다. 마투라 지역의 붉은 사암과 흰 사암, 바라나시 근처 천아르 지역의 검고 작은 점이 있는 광택 나는 사암이다. 기둥의 무늬와 조각 기법이 일정한 것은 같은 지역 장인들이 제작했음을 보여준다.[88]

아소카 기둥의 동물 조각상은 현재 7개가 남아있으며,[78][92] 인도 석조 조각의 중요한 초기 형태를 띤다. 나무 기둥 위에 구리 동물 조각상을 장식하던 전통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소카 대제 이전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93]

아소카 기둥의 조형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4] 페르세폴리스 기둥 머릿장식과의 유사성, 사르나트 사자 장식의 "차갑고 상형적인 스타일"은 아케메네스와 사르고니드의 영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95]

헬레니즘적인 영향도 지적되었다.[96] 일부 기둥 관판(람푸르바 황소, 산카샤 코끼리, 알라하바드 기둥 머릿장식)의 비드 앤 릴 패턴 무늬, 둥근 모양 쇠시리, 불꽃, 연꽃 모티브는 그리스와 근동 예술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91]

아소카 기둥 머리 장식
------
람푸르바 황소는 인동초와 팔메트 문양을 사용해 헬레니즘 예술의 영향을 받았다.사르나트 사자주두는 아소카의 기둥 중 가장 유명하며, 인도의 국장으로 사용된다.산카샤 코끼리는 헬레니즘 양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연꽃과 팔메트 문양이 관판에 장식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아소카 기둥이 전투 중 인도 군인들이 사용하던 드바자(군기)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헬리오도루스 기둥은 가루다드바자(가루다 군기)로 불리며, 기원전 2세기 전후의 기둥이 드바자로 불린 초기 기록이다.[100]

아소카 기둥은 페르시아 기둥과 여러 차이점이 있다. 페르시아 기둥은 분할 형태로 제작되지만, 아소카 기둥은 단층이다. 페르시아 기둥은 표면이 평탄하지만, 마우리아 기둥은 매끄럽다. 페르시아 기둥은 건물 지지 구조 역할을 하지만, 아소카 기둥은 독립 기념물이다.

인도 역사학자 우핀더 싱은 "아소카 기둥이 페르시아의 영향만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인도 내 목조 조각 전통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말한다.[102]

아소카 기둥은 마우리아 미술과 건축의 뛰어난 업적으로 평가되며, 당시 세계 다른 지역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존 마셜은 "아테네 건축의 최전성기조차도 마우리아 작품의 정밀성과 정확성을 뛰어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03][104]

알라하바드 기둥은 관판과 밑동, 동물 조각이 소실되었고, 유해는 알라하바드 박물관에 있다.

마하보디 사원의 아소카 기둥 꼭대기에는 코끼리 조각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소카 기둥의 연대순은 양식과 기술 분석을 토대로 추정할 수 있다. 가장 초기 기둥은 바이샬리 기둥으로, 통통하고 짧으며 경직된 사자 조각과 장식 없는 네모난 관판이 특징이다. 이후 산키사 코끼리와 람푸르바 황소 기둥은 헬레니즘 양식을 보인다. 라우리아 난단가르와 람푸르바 사자 기둥은 햄사 거위를 동물 장식으로 사용했고, 산치와 사르나트는 네 마리 동물과 상징적인 의미가 담긴 관판으로 기술의 완성도를 높였다.

3. 2. 기둥의 건립 목적과 위치

알려진 기둥 머릿장식의 지역적 분포


아소카는 기원전 269년에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세운 마우리아 제국을 이어받았다. 아소카 대제는 즉위 초기에는 폭군으로 불렸으나, 칼링가에서 벌인 참혹한 전투에 대해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추방되고 10만 명이 죽었으며,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고 칙령에서 술회하며, 수많은 목숨을 짓밟은 것에 대한 참회로 불교로 개종했다. 이후 불교는 아소카의 지지를 받으며 인도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기독교와 같은 세계 종교로 발돋움할 토대를 마련하였다.[84] 아소카 석주에 새겨진 글들은 불교 교리에 기초한 도덕에 관한 칙령을 담고 있다.[85][86]

몇몇 학자들은 아소카 기둥이 페르시아나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에 반박하며, 아소카 기둥이 인도 군인들이 전투 중에 가지고 다니던 군기(軍旗)인 '드바자(Dhvaja)'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인도에서는 이 군기가 적에 의해 파괴되면 불행을 가져온다고 믿었다.[99]

아소카의 기둥은 파탈리푸트라 시나 바라바르 동굴과 같은 마우리아 미술 및 건축과 함께 그 업적으로 평가받으며, 종종 당시 세계와 비교되기도 한다. 영국의 고고학자 존 마셜은 "모든 마우리아 작품의 특징인 뛰어난 정밀성과 정확성은 아테네 건축의 최전성기조차도 뛰어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103][104]

아소카의 기둥 다섯 주는 파탈리푸트라에서 네팔 계곡으로 가는 고대 왕립 고속도로를 표시하기 위해 세워졌을 가능성이 있다. 몇몇 기둥은 훗날 무굴 제국 통치자들에 의해 옮겨졌고, 머릿장식으로 올려져 있던 동물 조각은 제거되었다.[80]

중세 중국 승려들의 기록에는 오늘날 소실된 아소카 기둥에 대한 목격담이 있다. 법현은 여섯 주, 현장은 15주를 기록했으며, 혜초는 《왕오천축국전》에서 바라나시 국의 아소카 기둥을 언급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아소카 기둥과 그 위치는 다음과 같다.

기둥 위치기둥 설명
델리 페로즈 샤 코틀라의 델리 토프라아소카 황제의 칙령 I, II, III, IV, V, VI, VII이 새겨져 있다.[106]
델리 리드제의 델리 미러트아소카 황제의 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다.[106]
네팔 룸비니 부근 니갈리 사가머릿장식이 소실되었으며 아소카 황제의 칙령이 기록되어 있다.[106]
네팔 룸비니 인근 룸민데이아쇼카 왕 재위 20년(기원전 249년)에 아소카 황제의 룸비니 순례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머릿장식은 없어졌지만, 말이었음이 확실하다.[106]
우트라 프라데시의 알라하바드 기둥원래 카우삼비에 있었으며, 자한기르에 의해 알라하바드로 옮겨졌을 가능성이 있다. 칙령 I-VI, 여왕의 칙령 및 종파 분립 관련 칙령이 새겨져 있다.[106]
비하르 주 참파란의 람푸르바두 기둥으로 사자와 함께 기둥 명문으로 아소카 황제의 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고, 관판의 황소 모양의 머릿장식은 그리스식 인동초 무늬와 종려잎 무늬에서 영향을 받았다.[106]
마디아프라데시 주의 주도 보팔(Bhopal) 인근 산치네 마리 사자 조각이 남아 있으며 종파 분립 관련 칙령이 새겨져 있다.[106]
우트라 프라데시 주의 바라나시 인근 사르나트네 마리 사자 조각이 남아 있으며, 기둥에 명문이 남아 있고, 종파 분립 관련 칙령이 새겨져 있다.[106] 인도의 국장으로 유명한 아소카 황제의 4면 사자상이 새겨져 있다.
비하르 주 참파란의 라우리야 란단가르한 마리 사자, 아소카 황제의 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다.[106]
비하르 주 참파란의 라우리야 아라라즈아소카 황제의 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다.[106]
비하르 주 바라나시한 마리 사자가 새겨져 있고, 명문은 없다.[106]



아마라바티 기둥 조각은 해독하기 어려운 브라흐미 문자 6행으로 구성되어 논란이 있지만, 역사학자 디네쉬찬드라 시르카는 아소카의 기둥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108]

3. 3. 기둥의 종류와 분포

아소카의 기둥은 두 종류의 돌로 조각되었는데, 일부는 마투라 지역의 붉은 사암과 흰 사암을, 다른 일부는 바라나시 근처의 천아르에서 발견되는 검은 점이 있는 사암을 사용했다. 기둥에 새겨진 무늬와 조각 기법이 동일한 것은 같은 지역 장인들이 조각했음을 보여준다.[88]

기둥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며, 머리 부분은 세 부분으로, 종종 다른 석재와 금속 장부촉으로 연결된다. 기둥 몸통은 곧고 매끄러우며 단면은 원형이고 위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바닥에는 밑받침이 없고, 아랫부분은 연꽃잎 모양으로 처리되어 있다. 관판(冠板)은 모난 것과 둥근 것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꼭대기에는 앉거나 선 형태의 동물 조각이 있다.[89][90]

현재 남아있는 동물 조각상은 7개이며,[78][92] 이들은 인도 석조 조각의 중요한 초기 형태를 띠고 있다.

현존하거나 파편이 남아있는 아소카의 기둥은 다음과 같다.

기둥 이름위치특징새겨진 칙령
델리-토프라 기둥델리 페로즈 샤 코틀라아소카 황제의 칙령 I, II, III, IV, V, VI, VII이 새겨져 있다.[106]
델리-미루트 기둥델리 리드지아소카 황제의 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다.[106]
니갈리 사가르 기둥네팔 룸비니 부근머릿장식은 소실되었고 아소카 황제의 칙령이 기록되어 있다.[106]
룸민데이 기둥네팔 룸비니 인근머릿장식은 없어졌지만 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6]
알라하바드 기둥원래 카우삼비칙령 I-VI, 여왕의 칙령, 종파 분립 관련 칙령이 새겨져 있다.[106]
람푸르바 기둥비하르 주 참파란두 기둥이 있으며, 사자 기둥에는 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고, 황소 기둥의 관판은 그리스식 인동초와 종려잎 무늬의 영향을 받았다.[106]
산치 기둥마디아프라데시 주 보팔 인근네 마리 사자 조각이 남아 있으며, 종파 분립 관련 칙령이 새겨져 있다.[106]
사르나트 기둥우타르프라데시 주 바라나시 인근네 마리 사자 조각이 남아 있으며, 기둥에 명문과 종파 분립 관련 칙령이 새겨져 있다. 인도의 국장으로 유명하다.[106]
라우리아 난단가르 기둥비하르 주 참파란한 마리 사자와 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다.[106]
라우리아 아라라즈 기둥비하르 주 참파란칙령 I, II, III, IV, V, VI이 새겨져 있다.[106]
바이샬리 기둥비하르 주한 마리 사자가 새겨져 있고 명문은 없다.[106]



아마라바티 기둥 조각은 브라흐미 문자 6행이 남아있으나 해독이 어렵다. 'vijaya'(승리)라는 단어만 확인되며, 아소카 황제 시대의 단어임은 틀림없다.[107]

명문이 남아 있지 않은 아소카의 기둥 파편으로는 카우삼비, 고티하와, 프라흐라드푸르(현재의 바라나시 국립 산스크리트 대학[111]), 파테하바드, 보팔, 사다갈리, 우다이리-비디카리, 마샤르, 사디카드, 바스티카, 그리고 1908년 폭동으로 파괴되었던[112] 바이어론(베나레스의 라트 바이로)의 부러진 기둥[113] 등이 있다.

법현현장쿠시나가르, 슈라바스티기원정사, 라자그리하, 마하살라 등에 아소카가 세운 기둥이 있었다고 기록했고, 신라 승려 혜초바라나시에서 아소카 황제의 석주를 언급했지만, 오늘날 복구되지 않고 있다.[112]

4. 아소카 대왕의 칙령

아소카 대왕의 칙령은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대제가 반포한 법령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한 통치 철학을 담고 있다. 이 칙령들은 기둥과 바위에 새겨져 있으며, 오늘날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등지에 흩어져 있어 불교에 대한 중요한 1차 자료가 되고 있다.[127]

아소카는 기원전 269년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세운 마우리아 제국을 이어받았다. 황제 즉위 초기에는 폭군이라는 평을 받았던 아소카는 즉위 8년 후 칼링가 전쟁에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것에 대한 참회로 불교로 개종하였다.[84] 이후 불교는 아소카의 지지를 받으며 인도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세계 종교로 발전할 토대를 마련하였다.[84] 아소카 석주에 새겨진 글들은 불교 교리에 기초한 도덕에 관한 칙령을 명시하고 있다.[85][86]



기둥에 새겨진 글에는 표준적인 내용이 들어 있으며, 다른 아소카 비문들과 합쳐져 아소카의 칙령으로 알려져 있다. 칙령들은 당시 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아소카의 '다르마' 정책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127] 아소카는 자신을 데바남피야다시(Devanampiyadasi, 신들의 사랑과 신임을 받는 종)라고 칭하며, 칙령을 통해 불교 개종과 전파 노력, 불교적 도덕률과 교훈, 사회 및 동물 복지 프로그램 등을 알리고 있다.

비문은 브라흐미 문자로 쓰였으며, 알렉산더 커닝햄은 동부, 중부, 서부 프라크리트어로 쓰여졌다고 언급했다.[57]

아소카 비문이 발견되지 않은 석주들도 있는데, 보드가야의 아소카 석주, 코삼비, 고티하와 등이 그 예이다.

아소카 비문이 없는 아소카 석주 파편
--
--
--
--
--


4. 1. 칙령의 종류와 내용

아소카의 칙령마우리아 제국아소카 대제가 반포한 일련의 법령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한 통치 철학을 담고 있다. 칙령은 크게 주요 칙령과 세부 칙령으로 나뉜다.
주요 칙령주요 칙령은 아소카 대제의 통치 이념과 정책 방향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내용이다.

아소카 대제의 주요 칙령
번호내용
I백성 보호 정책
II담마를 최소한의 죄악, 많은 미덕, 동정, 자유, 진실성, 순결성으로 규정
III가혹함, 잔인함, 분노, 자존심 등의 죄악을 폐지
IV관리들이 행해야 할 의무
V특정 날에 죽여서는 안 되는 동물 및 새 목록과 어떤 경우에도 죽일 수 없는 동물 목록 (25명의 죄수 석방 묘사)
VI담마 정책 (모든 종교는 자기 통제와 마음의 순결을 추구한다고 언급)
VII실험적인 칙령


세부 칙령세부 칙령은 특정 목적을 위해 반포된 칙령으로, 종파 분립 칙령과 여왕 칙령 등이 있다.


  • 종파 분립 칙령: 불교 승가의 분열을 막기 위한 칙령으로, 산치, 사르나트, 알라하바드 기둥에 새겨져 있다.[84]
  • 여왕 칙령: 알라하바드 기둥에 새겨져 있으며, 왕비의 자선 활동을 기록한 칙령이다.


이 칙령들은 기원전 269년경 마우리아 제국을 통치한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의 뒤를 이은 아소카 대제가 칼링가 전쟁 이후 불교로 개종하고, 불교적 가르침에 따라 통치하면서 반포한 것이다. 칙령에는 불교 전파를 위한 노력과 사회 및 동물 복지 프로그램 등이 나타나 있다.[127]

아소카 대제는 칙령에서 자신을 "데바남피야다시(Devanampiyadasi, 신들의 사랑과 신임을 받는 종)"라고 칭하고 있다.[127] 칙령은 브라흐미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알렉산더 커닝햄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 동부, 중부, 서부 프라크리트어로 쓰였다고 알려진다.[57]

아소카의 칙령은 당시 인도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그의 다르마(Dharma) 정책을 상세히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56]

4. 2. 칙령의 언어와 문자

기둥의 비문은 꽤 표준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자연 암석 표면에 새겨진 다른 아소카 비문과 합쳐져 아소카의 칙령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문들은 오늘날의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지역에 널리 퍼져 있으며 불교에 대한 최초의 실질적인 증거를 제시한다.[56]

비문 연구를 처음 시작한 사람들 중 한 명인 알렉산더 커닝햄은 비문이 동부, 중부, 서부 프라크리트어로 쓰여졌다고 언급하며, 이를 "펀자브 또는 북서부 방언, 우제니 또는 중부 방언, 마가디 또는 동부 방언"이라고 불렀다.[57] 이들은 브라흐미 문자로 쓰여졌다.

5. 아소카 대왕의 기둥의 영향과 의의

아소카 대왕의 기둥은 인도 미술, 건축, 불교, 정치, 사회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269년 마우리아 제국을 이어받은 아소카 대제는 칼링가 전쟁의 참혹함에 대한 참회로 불교로 개종하면서, 그의 지지를 받아 불교가 북인도의 지방 종교에서 인도 전역으로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나아가 기독교와 같은 세계 종교의 지위로 격상될 토대를 마련하였다.[84] 아소카 석주에 새겨진 글들은 불교 교리에 기초한 도덕에 관한 칙령을 명시하고 있다.[85][86]

아소카 대왕은 즉위 초에는 폭군으로 알려졌으나, 칼링가 전쟁을 치르면서 많은 사람이 죽는 것을 보고 후회하여 불교로 개종했다.[14][15] 불교는 국교가 되었고 아소카의 지원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기둥에 새겨진 비문에는 불교 교리에 기반한 도덕성에 대한 칙령이 적혀 있다.[14][15] 이 칙령에는 헌정 기록과 함께 분열 칙령과 왕비 칙령이 담겨 있으며, 아소카 통치 13년경에 새겨졌다.

중세 시대에 인도를 방문했던 중국 승려들의 기록에는 오늘날에는 소실된 아소카의 기둥에 대한 목격담이 실려 있다. 법현은 기행문 《불국기》에서 여섯 기둥을, 현장은 《대당서역기》에서 15개의 기둥을 기록하였으며, 신라의 승려 혜초가 쓴 《왕오천축국전》에도 바라나시 국에 있었던 아소카의 기둥이 언급되어 있다. 법현과 현장, 두 승려가 언급한 아소카의 기둥 가운데 오늘날까지 전하는 것은 다섯 기둥뿐이며,[105] 혜초가 바라나시국에서 보았던 아소카의 기둥이 현재 바라나시와 사르나트에서 확인된 아소카의 기둥과 같은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아소카 대왕의 기둥은 후대 인도 미술과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기둥머리 조각의 정교함과 사실적인 표현 기법은 후대 조각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아소카 대왕의 기둥 자체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아소카 대왕의 불교 진흥 정책과 간다라 미술은 한국 불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간다라 미술은 그리스로마의 영향을 받아 불상을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해졌고, 이는 다시 한국에 전해져 한국 불교 조각에 영향을 주었다.

5. 1. 인도 미술과 건축에 미친 영향

아소카의 기둥은 후대 인도 미술과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둥머리 조각의 정교함과 사실적인 표현 기법은 후대 조각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아소카의 기둥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기둥의 몸체는 곧고 매끄러우며, 단면은 원형으로 위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바닥에는 밑받침이 없고, 아랫부분은 연꽃잎 모양으로 완만하게 굽어진다. 관판(冠板)은 모난 것과 둥근 것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꼭대기에는 동물 조각상이 놓인다. 이 동물 조각은 마우리아 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89][90]

아소카 기둥의 조형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4] 페르세폴리스 기둥의 머릿장식과 유사하며, 사르나트 사자 장식은 "다소 차갑고 상형적인 스타일"로 "확실한 아케메네스와 사르고니드 영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95] 인도와 아케메네스 제국은 기원전 500년부터 기원전 330년까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헬레니즘의 영향 또한 지적되었다.[96] 일부 기둥의 관판(특히 람푸르바의 황소, 산카샤의 코끼리 조각이나 알라하바드 기둥의 머릿장식)에서 사용된 띠두름 장식은 그리스와 근동 예술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1]

일부 학자들은 아소카 기둥의 유래를 페르시아 또는 그리스에서 찾으려는 학설에 반박하며, 아소카 기둥은 인도 군인들이 지니던 드바자(군기)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99]

서양의 영향을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아소카의 기둥은 마우리아 미술과 건축의 뛰어난 업적으로 평가받으며, 당시 세계 다른 지역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존 마셜은 "모든 마우리아 작품의 특징인 뛰어난 정밀성과 정확성은 아테네 건축의 최전성기조차도 능가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103][104]

아소카 기둥의 머릿장식 조각은 7개가 남아있으며, 이들은 인도 석조 조각의 중요한 유물로 여겨진다. 이들은 목조 기둥 위에 구리 동물 조각상을 장식하던 전통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93]

아소카 기둥의 연대순 배열은 양식과 기술 분석을 바탕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가장 초기 기둥은 바이샬리 기둥으로 보이며, 이후 산키사 코끼리, 람푸르바 황소, 라우리아 난단가르와 람푸르바 사자 기둥 순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산치와 사르나트 기둥은 기술적으로 가장 완성도가 높다.[121]

5. 2. 불교 전파에 미친 영향



불교는 기원전 269년 마우리아 제국을 이어받은 아소카 대제가 칼링가에서 벌였던 참혹한 전투에 대한 참회로 불교로 개종하면서, 그의 지지를 받아 북인도의 지방 종교에서 인도 전역으로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나아가 기독교와 같은 세계 종교의 지위로 격상될 토대를 마련하였다.[84] 아소카 석주에 새겨진 글들은 불교 교리에 기초한 도덕에 관한 칙령을 명시하고 있다.[85][86]

중세 시대에 인도를 방문했던 중국 승려들의 기록에는 오늘날에는 소실된 아소카의 기둥에 대한 목격담이 실려 있다. 법현은 기행문 《불국기》에서 여섯 기둥을, 현장은 《대당서역기》에서 15개의 기둥을 기록하였으며, 신라의 승려 혜초가 쓴 《왕오천축국전》에도 바라나시 국에 있었던 아소카의 기둥이 언급되어 있다. 법현과 현장, 두 승려가 언급한 아소카의 기둥 가운데 오늘날까지 전하는 것은 다섯 기둥뿐이며,[105] 혜초가 바라나시국에서 보았던 아소카의 기둥이 현재 바라나시와 사르나트에서 확인된 아소카의 기둥과 같은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5. 3. 정치와 사회에 미친 영향

아소카는 기원전 269년에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세운 마우리아 제국을 물려받아 왕위에 올랐다. 아소카는 즉위 초에는 폭군으로 알려졌으나, 즉위 8년 후 칼링가 전쟁을 치르면서 많은 사람이 죽는 것을 보고 후회하여 불교로 개종했다.[14][15] 불교는 국교가 되었고 아소카의 지원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기둥에 새겨진 비문에는 불교 교리에 기반한 도덕성에 대한 칙령이 적혀 있다.[14][15]

이 칙령에는 헌정 기록과 함께 분열 칙령과 왕비 칙령이 담겨 있으며, 아소카 통치 13년경에 새겨졌다. 주요 칙령이 새겨진 기둥은 다음과 같다.

기둥 위치칙령 종류
산치분열 칙령
사르나트분열 칙령
알라하바드분열 칙령, 왕비 칙령, 주요 석주 칙령
룸비니, 네팔부처가 태어난 곳에 아소카가 세움 (상단 부분이 번개에 맞아 부서짐)
니갈리 사가르 (또는 니글리바), 룸비니 근처원래 부처 코나카르나 스투파 근처



5. 4. 한국 불교와의 연관성

아소카 대왕의 기둥 자체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아소카 대왕의 불교 진흥 정책과 간다라 미술은 한국 불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간다라 미술은 아소카 대왕 시기에 인도 북서부 간다라 지역에서 발전한 불교 미술 양식이다. 이 양식은 그리스로마의 영향을 받아 불상을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간다라 미술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해졌고, 이는 다시 한국에 전해져 한국 불교 조각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아소카 대왕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전파한 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불교 진흥 정책은 인도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비록 아소카 대왕의 기둥이 직접적으로 한국에 세워지지는 않았지만, 그의 불교 진흥 정책은 간접적으로 한국 불교에도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6. 아소카 대왕의 기둥 연구 현황과 과제

아소카의 기둥에 대한 연구는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었지만, 아직 풀리지 않은 의문점들이 남아 있다.

기존에는 기둥의 재료가 모두 바라나시 남쪽의 천아르에서 채석되어 조각된 후 각지로 옮겨졌다고 보았으나, 최근에는 이 학설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87] 기둥들은 마투라 지역의 붉은 사암과 흰 사암, 바라나시 근처 천아르의 검은 점이 있는 사암 등 두 종류의 돌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둥의 무늬와 조각 기법이 일정한 것은 같은 지역 장인들이 제작했음을 보여준다.[88]

기둥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기둥머리의 세 부분은 하나의 돌로 조각되었지만, 종종 다른 돌이 금속 장부촉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기둥 몸체는 곧고 매끄러우며 단면은 원형이고 위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바닥에는 밑받침이 없고, 아랫부분은 연꽃잎 모양으로 굽어진다. 관판(冠板)은 모난 것과 둥근 것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꼭대기의 동물 조각은 마우리아 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89][90] 이 동물 조각들은 석가모니 부처의 생애를 기념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05년 사르나트에서 재발견된 아소카 기둥


현재까지 7개의 동물 조각상이 남아 있는데,[78][92] 이들은 '인도 석조의 중요한 1차 군집'을 이루며, 나무 기둥 위에 구리 동물 조각상을 장식하던 전통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전통은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일부 기둥은 아소카 대제 이전에 제작되었을 수도 있다.[93]

16세기 영국 여행자 토마스 코리앗은 올드 델리 유적에서 아소카의 기둥을 발견하고, 처음에는 놋쇠로 만들어졌다고 생각했으나, 그리스어와 유사한 비문이 새겨진 사암임을 확인했다. 1830년대 제임스 프린셉은 에드워드 스미스 대위와 조지 터너의 도움으로 비문을 해독, '피야다시' 왕, 즉 아소카 대제를 지칭함을 밝혀냈다. 이후 학자들은 인도 북부와 데칸 고원 남쪽에 걸쳐 150개의 아소카 비문을 발견했다.

산치 기둥은 1851년 알렉산더 커닝엄 경의 발굴로, 사르나트 기둥은 1904년~1905년 F.O. 오에르텔의 발굴로 발견되었다. 특히 사르나트 기둥의 사자 머릿장식은 보존 상태가 뛰어나 인도 최초의 노천 박물관 건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35]

이처럼 아소카의 기둥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제작 기법, 기둥머리 조각의 의미, 칙령의 해석 등에서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Columns in Context: Venerable Monuments and Landscapes of Memory in Early Ind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05
[2] 서적 Inscriptions of Asoka. New Edition by E. Hultzsch https://archive.org/[...] 1925
[3] 서적 Mahasutras https://books.google[...] Pali Text Society 1998
[4] 서적 The Return of the Buddha: Ancient Symbols for a New 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8-07
[5]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E to CE 12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6] 문서 Krishnaswamy
[7] 웹사이트 KING ASHOKA: His Edicts and His Times http://www.cs.colost[...] 2017-10-29
[8]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E to CE 12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9] 웹사이트 State Emblem http://www.india.gov[...]
[10] 문서 Companion
[11] Youtube Lion Capital of Ashoka At Sarnath Archaeological Museum Near Varanasi India https://www.youtube.[...] 2018-10-27
[12] 서적 Studies In Indian Art https://archive.org/[...] 1965
[13] 웹사이트 Remains of the topmost wheel in the Sarnath Archaeological Museum https://www.flickr.c[...] 2019-02-17
[14] 서적 Time Life Lost Civilizations series: Ancient India: Land Of Mystery 1994
[15] 서적 The Atlas Of The Ancient World 1992
[16] 문서 Harle
[17] 서적 Aśoka and the Decline of the Maurya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8] 문서 Companion
[19]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20] 서적 A Companion to Asian Art and Architecture John Wiley & Sons
[21] 문서 Boardman 1998
[22] 문서 Boardman 1998
[23] 문서 Harle
[24]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Pvt. Ltd 2003
[25] 서적 Graeco-Indica, India's Cultural Contacts with the Greek World: In Memory of Demetrius Galanos (1760-1833), a Greek Sanskritist of Benares https://books.google[...] Ramanand Vidya Bhawan 1991
[26] 서적 Pyramids and the Sphinx Newsweek, U.S. N/A
[27] 논문 'Aśokan' Pillars: A Reassessment of the Evidence-II: Structure 1974
[28] 서적 Gupta Art Vol.ii http://archive.org/d[...] 1977
[29] 논문 The Ancient Pillar-Cult at Prayāga (Allahabad): Its Pre-Aśokan Origins https://www.jstor.or[...] 1983
[30] 문서 Boardman 1998
[3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08
[32] 서적 The Early History of India by Vincent A. Smith https://books.google[...]
[33] 간행물 Annual report 1906-07 https://archive.org/[...]
[34] 문서 Ashoka
[35] 서적 Ancient India S.Chand & Company, New Delhi 2007
[3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37]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38]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Grafikol 2009
[39] 서적 Asokan studies https://archive.org/[...] 1979
[40] 서적 Asokan studies https://archive.org/[...] 1979
[41] 웹사이트 Mapio http://mapio.net/pic[...]
[42] 서적 Asoka https://books.google[...]
[43]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Grafikol 2009
[44] 간행물 Violence and the Other in Hinduism and Islam: 1809 Lat Bhairon Riots of Banaras https://doi.org/10.1[...] Springer India 2024-07-21
[45] 서적 The Rebirth of Bodh Gaya: Buddhism and the Making of a World Heritage Si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
[46] 서적 A Brief History of India https://archive.org/[...] Inner Traditions / Bear & Co 2003
[47] 문서
[48]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7-10-29
[49]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7-10-29
[50]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51] 문서 Buddhist Architecture
[52] 논문 The True Chronology of Aśokan Pillars https://www.jstor.or[...] 1983
[53] 서적 Story of the Delhi Iron Pillar https://books.google[...]
[54] 서적 The Past Before Us https://books.google[...]
[55]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Grafikol 2009
[56] 웹사이트 The Ashokan rock edicts are a marvel of history http://www.rediff.co[...]
[57] 문서 Inscriptions of Ashoka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Calcutta 1877
[58] 웹사이트 British Museum Highlights https://www.britishm[...] 2017-10-29
[59] 웹사이트 Full texts https://www.cs.colos[...] 1993
[60] 웹사이트 Wat Umong Chiang Mai http://www.thailands[...] 2013-11-26
[61] 문서
[62] 웹사이트 Destinations :: Vaishali http://bstdc.bih.nic[...] 2006-12-25
[63] 웹사이트 Destinations :: Vaishali ::Bihar State Tourism Development Corporation http://bstdc.bih.nic[...] 2017-10-29
[64] 문서
[65] 웹사이트 NOVA Online - Mysteries of the Nile - August 27, 1999: The Third Attempt https://www.pbs.org/[...] 2017-10-29
[66] 문서 Ramses II: Magnificence on the Nile 1993
[67] 문서
[68] 서적 A Global History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
[69]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70] 서적 Mahâbodhi, or the great Buddhist temple under the Bodhi tree at Buddha-Gaya https://archive.org/[...]
[71] 서적 Ashoka: The Search for India's Lost Emperor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2
[72] 문서 Mahâbodhi https://archive.org/[...]
[73]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74] 서적 Inscriptions of Asoka. New Edition by E. Hultzsch https://archive.org/[...] 1925
[75] 서적 Mahasutras https://books.google[...] Pali Text Society 1998
[76] 문서 徃五天竺國傳
[77] 문서 Companion
[78] 서적 The Return of the Buddha: Ancient Symbols for a New 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8-07
[79]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E to CE 12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80] 문서 Krishnaswamy
[81] 웹인용 KING ASHOKA: His Edicts and His Times http://www.cs.colost[...] 2017-10-29
[82] 서적 India: The Ancient Past: A History of the Indian Subcontinent from c. 7000 BCE to CE 12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83] 웹사이트 State Emblem http://www.india.gov[...]
[84] 서적 실크로드 사전 창작과비평사 2013
[85] 서적 Ancient India: Land Of Mystery 1994
[86] 서적 The Atlas Of The Ancient World 1992
[87] 문서 Harle
[88] 서적 Aśoka and the Decline of the Maurya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89] 서적 Ancient India S.Chand & Company, New Delhi 2007
[90] 문서 Companion
[91]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92] 서적 A Companion to Asian Art and Architecture John Wiley & Sons
[93] 문서 Boardman 1998
[94] 문서 Boardman 1998
[95] 문서 Harle
[96]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Pvt. Ltd 2003
[97] 문서 "또한 동물의 형상이 상장한 '쥐'에도 중세 그리스의 스핑크스 톱 기둥(sphinx-topped pillars, c.580-40B)에 원형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 델포이에 있는 델포이 박물관(Delphi Museum)에는 우아한 날개가 달린 스핑크스 형상이 이오니아 양식의 기둥 꼭대기에 나란히 앉아 있다." in Graeco-Indica, India's cultural contexts with the Greek world Ramanand Vidya Bhawan 1991
[98] 서적 Pyramids and the Sphinx Newsweek, U.S.
[99] 저널 'Aśokan' Pillars: A Reassessment of the Evidence-II: Structure 1974
[100] 서적 Gupta Art Vol.ii http://archive.org/d[...] 1977
[101] 문서 Boardman 1998
[10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18-04-10
[103] 서적 The Early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104] 간행물 Annual report 1906-07 https://archive.org/[...]
[105] 문서 Ashoka
[106]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107] 서적 Buddshit Architecture Grafikol 2009
[108] 서적 Asokan studies https://archive.org/[...] 1979
[109] 서적 대당서역기
[110] 서적 Asokan studies https://archive.org/[...] 1979
[111] 웹사이트 Mapio http://mapio.net/pic[...]
[112]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Grafikol 2009
[113] 서적 Asoka https://books.google[...]
[114] 서적 The Rebirth of Bodh Gaya: Buddhism and the Making of a World Heritage Si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
[115] 서적 A Brief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2003
[116] 서적 The Diffusion of Classical Art in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117]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7-10-29
[118]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7-10-29
[119] 문서 Boardman (1998), 15
[120]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121]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122] 간행물 The True Chronology of Aśokan Pillars https://www.jstor.or[...] 1983
[123]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124] 서적 Story of the Delhi Iron Pillar https://books.google[...]
[125] 서적 The Past Before Us https://books.google[...]
[126]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Grafikol 2009
[127] 웹인용 The Ashokan rock edicts are a marvel of history http://www.rediff.co[...]
[128] 웹인용 British Museum Highlights https://web.archive.[...] 2017-10-29
[129] 웹인용 Wat Umong Chiang Mai https://web.archive.[...] 2013-11-26
[130] 웹인용 Destinations :: Vaishali https://web.archive.[...] 2020-01-22
[131] 웹인용 Destinations :: Vaishali ::Bihar State Tourism Development Corporation https://web.archive.[...] 2017-10-29
[132] 문서 Krishnaswamy, 697-700
[133] 웹인용 NOVA Online - Mysteries of the Nile - August 27, 1999: The Third Attempt https://www.pbs.org/[...] 2017-10-29
[134] 서적 Ramses II: Magnificence on the Nile 1993
[135] 문서 Allen, Chapter 15
[136] 서적 Ancient India: Land Of Mystery 1994
[137] 서적 "The Atlas Of The Ancient World" 1992
[138] 서적 A Global History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
[139]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140] 서적 Mahâbodhi, or the great Buddhist temple under the Bodhi tree at Buddha-Gaya https://archive.org/[...]
[141] 서적 Ashoka: The Search for India's Lost Emperor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2
[142]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143] 간행물 Mahâbodhi, or the great Buddhist temple under the Bodhi tree at Buddha-Gaya https://archive.org/[...]
[144] 간행물 Mahâbodhi https://archive.org/[...]
[145]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