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독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 독일어는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언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저지, 고지, 최고지 알레만어의 세 가지 주요 방언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 내에서도 지역별 하위 방언이 존재한다. 스위스 독일어는 표준 독일어와는 다른 음운, 문법, 어휘적 특징을 가지며, 과거 시제, 소유격, 어순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며, 학교, 뉴스 방송 등 특정 상황에서 표준 독일어가 사용된다. 스위스 독일어는 다른 알레만 방언 화자에게는 이해 가능하지만, 표준 독일어 화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레만어 - 알자스어
알자스어는 프랑스 알자스 지방의 알레만어 방언으로, 독일어 및 스위스 독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사용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역 문화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 알레만어 - 알레만 콜로네이로어
알레만 콜로네이로어는 베네수엘라 콜로니아 토바르에서 사용되는 독일 남부 바덴 지역 출신 이민자 후손의 알레만어 방언으로, 표준 독일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며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쇠퇴하고 있다. - 스위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스위스의 언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스위스 독일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스위스 독일어 |
고유 이름 | Schwiizerdütsch |
발음 (IPA) | /ˈʃʋitsərˌd̥ytʃ/ |
사용 국가 | 스위스(독일어), 리히텐슈타인, 포어아를베르크주(오스트리아), 피에몬테주 & 발레다오스타주(이탈리아) |
사용자 수 | 스위스 내 490만 명, 독일 및 오스트리아 내 미상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엘베 게르만어 고지 독일어 상부 독일어 알레만어 |
문자 | 라틴 문자 |
ISO 639-2 | gsw |
ISO 639-3 | gsw (알사스어와 함께) |
Lingua | 52-ACB-f (45 varieties: 52-ACB-faa to -fkb) |
Glottolog | swis1247 (Central Alemannic), wals1238 (Walser) |
2. 방언
스위스 독일어는 언어적으로 통일된 하나의 언어가 아니라, 스위스 내 독일어권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알레만어 방언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1] 지역별 방언 차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같은 스위스 독일어 사용자라도 다른 지역의 방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사용하는 표준 독일어와는 발음이나 어휘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어, 표준 독일어 화자조차 스위스 독일어를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이다.[2] 스위스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표준 독일어를 읽고 쓰는 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회화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으며, 스위스 학교에서는 표준 독일어 수업을 마치 외국어 학습처럼 진행하기도 한다.[2]
스위스 독일어 방언들은 크게 저지 알레만어, 고지 알레만어, 최고지 알레만어의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어휘 등에서 차이가 있지만 이들 그룹 간의 상호 이해는 대체로 원활하다.[1]
- 저지 알레만어 (Niederalemannisch): 스위스 최북단 지역인 바젤과 보덴 호수 주변에서 사용된다.[1]
- 바젤 독일어 (Baseldeutsch): 바젤슈타트주(BS)에서 사용되며, 알자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1]
- 고지 알레만어 (Hochalemannisch): 스위스 고원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며, 크게 서부, 동부, 그리고 그 중간 그룹으로 나뉜다.[1]
- 서부 (Westlich): 베른 독일어(베른주 BE), 바젤란트주(BL), 졸로투른주(SO), 아르가우주(AG) 서부 지역의 방언.[1]
- 중간 (Zentral): 아르가우주(AG) 동부, 루체른주(LU), 추크주(ZG), 취리히 독일어(취리히주 ZH) 방언.[1]
- 동부 (Östlich): 장크트갈렌주(SG), 아펜첼(AR & AI), 투르가우주(TG), 샤프하우젠주(SH), 그라우뷘덴주(GR) 일부 지역의 방언.[1]
- 최고지 알레만어 (Höchstalemannisch): 주로 스위스 알프스 산악 지역에서 사용된다.[1]
- 프리부르주(FR) 일부, 베른 고원(BE), 옵발덴주(OW)와 니트발덴주(NW) (운터발덴), 우리주(UR), 슈비츠주(SZ), 글라루스주(GL)의 방언.[1]
- 발리저 독일어 (Walliserdeutsch): 발레주(VS)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1]
- 발저 독일어 (Walserdeutsch): 중세 시대 발저(Walser) 민족의 이주 결과, 최고지 알레만어 방언이 북부 이탈리아(피에몬테주), 티치노주(TI) 북서부, 그라우뷘덴주(GR) 일부,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포어아를베르크주 등지로 퍼져나가 형성된 방언 그룹이다.[1]
각 방언은 때로는 개별 마을 단위까지 세분화될 수 있으며, 방언 사용은 지역 정체성, 칸톤 정체성, 나아가 국가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1] 그러나 스위스 고원의 도시 지역에서는 인구 이동 증가와 비(非)알레만어 배경 주민 증가로 인해 지역적 방언 차이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1] 다양한 방언에도 불구하고 스위스인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특히 발리저 독일어처럼 일부 방언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1]
=== 표기법 및 발음 특징 ===
스위스 독일어는 표준 독일어와 다른 독자적인 표기법 및 발음 특징을 가진다.
- 표기법:
-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는 ß (에스체트) 문자를 사용하는 반면, 스위스에서는 이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항상 ss로 표기한다. 이는 스위스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에 없는 문자를 피하려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2]
- 움라우트 표기 시, ä, ö, ü 대신 ae, oe, ue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예: Züri → Zueri)[2]
- 발음:
- k, p, t는 표준 독일어와 달리 유기음(aspirated sound)으로 발음되지 않는다.[3]
- b, d, g는 항상 무성음(voiceless sound)인 [p], [t], [k]로 발음된다.[3]
- l은 음절 끝에서 [w]와 유사하게 발음되거나 음절화되기도 한다.[3]
- r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치경 전동음([r], 혀끝을 떨어 발음)이 사용되지만, 바젤 방언이나 동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는 구개수 전동음([ʀ], 목젖을 떨어 발음)이 사용된다.[3]
- 기타:
- 1인칭 대명사 'ich' (이히)가 아닌 'I' (이)로 표기하거나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3]
한편, 스위스 내 이탈리아어 (롬바르드어, 티치노어), 로만슈어, 프랑스어 사용 지역에서는 표준 독일어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운다.[2]
3. 역사
대부분의 스위스 독일어 방언은 고지 독일어 자음 이동을 겪었다. 이는 표준 독일어가 't'를 '츠([t͡s])' 또는 '스([s])'로, 'p'를 '프([p͡f])' 또는 '프([f])'로 변화시킨 것과 달리, 스위스 독일어에서는 'k' 역시 '크흐([k͡x])' 또는 '흐([x])' 소리로 바꾸는 변화까지 포함한다. 다만, 쿠어와 바젤의 방언은 이러한 'k' 변화가 적용되지 않은 예외에 해당한다. 바젤 독일어는 주로 스위스 국경 근처 독일 지역에서 사용되는 '저지 알레만어' 방언이며, 쿠어 독일어는 기본적으로 '크흐([k͡x])' 또는 '흐([x])' 발음이 없는 '고지 알레만어'이다.
아래는 고지 알레만어, 저지 알레만어, 표준 독일어의 발음 차이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고지 알레만어 발음 | 저지 알레만어 발음 | 표준 독일어 발음 | 표준 독일어 철자 | 번역 |
---|---|---|---|---|
[ˈxaʃtə] | [ˈkʰaʃtə] | [ˈkastn] | Kasten | 상자 |
[k͡xaˈri(ː)b̥ik͡x] | [kʰaˈriːbikʰ] | [kaˈriːbɪk] | Karibik | 카리브해 |
고지 독일어 자음 이동은 4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베네라트 선 남쪽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이 변화를 통해 고지 독일어는 저지 독일어와 구분되었다. 여기서 '고지(高地)'는 문자 그대로 더 높은 고도의 지역을 의미한다. 고지 독일어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상부 독일어와 중부 독일어 변종으로 나뉜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발저(Walser) 민족의 대규모 이주가 있었다. 이들은 상부 발레 지역에서 동쪽과 남쪽으로 이동하여 그라우뷘덴, 현재의 서부 오스트리아(포어아를베르크) 및 북부 이탈리아(몬테 로사 산맥 남쪽의 아오스타 밸리 이시메 등, 남티롤), 스위스 티치노까지 스위스 독일어 방언을 퍼뜨렸다. 또한 독일 바이에른의 알고이 지역에서도 발저 공동체를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레 지역에 거주하는 독일어 사용자는 '발리저(Walliser)', 이주한 사람들은 '발저(Walser)'로 구분한다.
발저 공동체는 주로 접근하기 어려운 알프스 고산 지대에 자리 잡았기 때문에, 당시 지배 세력의 간섭을 덜 받거나 감시가 어려워 상당한 자치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발저들은 농노제와 봉건제로부터 벗어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발저 마을은 전통적으로 돌 대신 나무로 집을 지었기 때문에 그라우뷘덴의 다른 마을들과 쉽게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4. 음운
스위스 독일어의 음운은 표준 독일어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유성 장애음(/b, d, ɡ/ 등)이 없다. 대신 무성음이지만 약하게 발음되는 소리(무성 약음)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표준 독일어의 유성음 /b, d, g/는 스위스 독일어에서 항상 무성음화하여 [p], [t], [k]와 비슷하게 소리 난다.
- 파열음 /p, t, k/는 표준 독일어와 달리 유기음이 아니다. 즉, 숨소리가 강하게 터져 나오지 않는다.
- 음절 끝의 l이나 긴 /lː/ 소리는 일부 방언(베른 독일어 등)에서 /w/나 /wː/처럼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 r 발음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혀끝을 떨어 발음하는 치경 전동음([r])을 사용하지만, 바젤이나 동북부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는 목젖을 떨어 발음하는 구개수 전동음([ʀ])을 사용한다.
- 표준 독일어에서는 사라진 전설 원순 모음(/y/, /ø/, /œ/)이 존재한다.
이러한 음운적 차이로 인해 스위스 독일어는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독일어 화자가 듣기에 상당히 다르게 느껴지며,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스위스 내에서도 지역별 방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스위스 독일어'라는 통일된 언어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독일어권 스위스인조차 다른 지역의 방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스위스 학교에서는 표준 독일어를 가르치지만, 학생들에게는 거의 외국어 학습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스위스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표준 독일어를 읽고 쓰는 데는 익숙하지만, 회화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4. 1. 닿소리 (자음)
베른 방언을 기준으로 한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mː | n – nː | ŋ | ||
파열음 | b̥ – p | d̥ – t | ɡ̊ – k | ||
파찰음 | p͡f | t͡s | t͡ʃ | k͡x | |
마찰음 | v̥ – f | z̥ – s | ʒ̊ – ʃ | ɣ̊ – x | h |
접근음 | ʋ | l – lː | j | ||
R음 | r |
대부분의 다른 남부 독일어 방언처럼, 스위스 독일어 방언에는 유성 장애음이 없다. 무성 약음(lenis) 장애음은 종종 /b̥ d̥ ɡ̊ v̥ z̥ ɣ̊ ʒ̊/와 같이 IPA 무성음 기호로 표시된다.[13] 스위스 독일어의 /p, t, k/는 유기음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와 [d̥] 또는 [p]와 [b̥]와 같은 자음 쌍의 대립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이것은 조음 강도나 긴장도에 따른 강음과 약음의 구별,[14] 또는 양(quantity)의 구별이라고 설명되어 왔다.[15]
유기음 [pʰ, tʰ, kʰ]는 접두사가 단어 첫머리 /h/와 결합하거나 다른 언어(주로 표준 독일어)에서 차용하면서 이차적으로 발달했다. 예를 들어, /ˈphaltə/ '유지하다'(behalten|베할텐ger [bəˈhaltn̩]), /ˈtheː/ '차'(Tee|테ger [ˈtʰeː]), /ˈkhalt/ '급여'(Gehalt|게할트ger [ɡəˈhalt]) 등이 있다. 바젤과 쿠어 방언에서는 다른 방언의 파찰음 /kx/에 해당하는 유기음 /kʰ/가 고유 단어에도 존재한다.
스위스 독일어는 단어 끝에서 강약(fortis-lenis) 대립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graadgsw [ɡ̊raːd̥] '직선'과 Graatgsw [ɡ̊raːt] '아레트' 또는 bisgsw [b̥ɪz̥] 'be (명령형)'와 Bissgsw [b̥ɪs] '물다'와 같은 최소 대립쌍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단어 끝에서 강약 대립을 중화하는 독일 표준 독일어와 스위스 독일어 및 스위스 표준 독일어를 구별하는 특징이다. 이 현상은 일반적으로 어말 무성음화라고 불리지만, 스위스 독일어의 경우 음성(voicing)이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 있다.
표준 독일어와 달리 스위스 독일어 /x/는 변이음 [ç]가 없고 일반적으로 [x](무성 연구개 마찰음)이며, 변이음 [ʁ̥ – χ]을 갖는다. 대표적인 스위스 시볼레스는 이 소리를 특징으로 한다: Chuchichäschtligsw ('주방 찬장'), [ˈχuχːiˌχæʃtli]로 발음된다.
대부분의 스위스 독일어 방언은 알레만어의 ''n''-어미음 탈락을 겪었으며, 이는 Gartegsw '정원'(표준 독일어 Garten|가르텐ger) 또는 machegsw '만들다'(표준 독일어 machen|마헨ger)와 같은 단어에서 최종 ''-n''의 손실로 이어졌다. 일부 최상위 알레만 방언에서는 ''n''-어미음 탈락이 자음군에서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Horegsw '뿔'(최상위 알레만 Horn|호른gsw) 또는 däichegsw '생각하다'(최상위 알레만 dänke|뎅케gsw). 뢰첸탈과 하슬리탈의 최상위 알레만 방언만이 -''n''을 보존했다.
음소 /r/은 많은 방언에서 치경 떨림음 [r]으로 발음되지만, 바젤 지역이나 북동부 스위스 일부 방언에서는 구개수 떨림음 [ʀ]으로 발음된다. 독일의 많은 독일어 변종처럼 마찰음과 접근음 [ʁ ʁ̥ ʁ̞]와 같은 다른 변이음도 있다.
베른 독일어와 인접 방언의 많은 변종에서 음절 말의 /l/과 모음 사이 /lː/는 각각 [w] 또는 [wː]로 발음된다.
순치 접근음 [ʋ]은 북부 표준 독일어의 마찰음 [v] 대신 중세 고지 독일어 /w/의 반사음으로 사용된다. 발저 독일어에서는 마찰음이 대신 사용된다.[16]
4. 2. 홀소리 (모음)
취리히와 베른 방언을 기준으로 한 스위스 독일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스위스 독일어 방언은 다른 고지 독일어 방언과 달리 둥근 전설 모음(/y/, /ø/, /œ/)을 가지고 있다.[17] 스위스 북서부의 저지 알레만어 방언(주로 바젤)과 발리저 방언에서는 둥근 전설 모음이 비원순화되었으나, 바젤에서는 다른 스위스 독일어 방언의 영향으로 원순성이 다시 나타나고 있다.
바이에른어 방언처럼, 스위스 독일어 방언은 중세 고지 독일어의 열린 이중 모음 /iə̯, uə̯, yə̯/를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liə̯b̥/ '사랑스러운' (표준 독일어 lieb|립de, /liːp/), /huə̯t/ '모자' (표준 독일어 Hut|후트de, /huːt/), /xyə̯l/ '시원한' (표준 독일어 kühl|퀼de, /kyːl/) 등이 있다. 일부 방언에서는 이 이중 모음들이 비원순화되었다. 취리히 방언에서는 단모음 /i y u/가 [ɪ ʏ ʊ]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으며, 단모음 [ɒ]는 많은 취리히 방언 화자 사이에서 [ɑ]로 비원순화되기도 한다. 중앙 모음 [a]와 개방 중모음 [ɔ]는 베른 방언에서 주로 나타난다.[18]
저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스위스 독일어 방언은 옛 서게르만어의 단모음 /iː, uː, yː/를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pfiːl/ '화살' (표준 독일어 Pfeil|파일de, /pfaɪ̯l/), /b̥uːx/ '배' (표준 독일어 Bauch|바우흐de, /baʊ̯x/), /z̥yːlə/ '기둥' (표준 독일어 Säule|조일레de, /zɔʏ̯lə/) 등이 있다. 그러나 운터발덴과 그라우뷘덴주 장피크(Schanfigg)의 일부 방언, 그리고 피에몬테의 이시메(Issime) 방언 등 몇몇 알프스 방언에서는 표준 독일어처럼 이중 모음화가 나타난다.
중세 고지 독일어 / 많은 스위스 독일어 방언 | 운터발덴 방언 | 장피크 및 이시메 방언 | 표준 독일어 | 번역 |
---|---|---|---|---|
[huːs] | [huis] | [hous] | [haʊ̯s] | '집' |
[tsiːt] | [tseit] | [tseit] | [tsaɪ̯t] | '시간' |
베른 독일어와 같은 일부 서부 스위스 독일어 방언은 옛 이중 모음 /ei̯, ou̯/를 보존했지만, 다른 방언들은 표준 독일어처럼 /ai̯, au̯/ 또는 /æi̯, æu̯/를 사용한다. 취리히 독일어와 일부 다른 방언에서는 단절에서 유래한 1차 이중 모음과 2차 이중 모음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취리히 독일어의 /ai̯, au̯/는 중세 고지 독일어의 /ei̯, ou̯/에서 유래했고 (/bai̯/ '다리' ← beingmh, /frau̯/ '여자' ← vrouwegmh), /ei̯, ou̯/는 중세 고지 독일어의 /iː, uː/에서 유래했다 (/frei̯/ '자유로운' ← frīgmh, /bou̯/ '건물' ← būwgmh).
5. 문법
스위스 독일어의 문법은 표준 독일어와 비교하여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을 보인다.
- 과거 시제 직설법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과거 시제 가정법은 존재한다.
- 과거 시제는 주로 완료 구문으로 표현된다. 이는 구어체 표준 독일어, 특히 남부 독일과 오스트리아 지역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 대과거 구문은 만들 수 있다. 이는 완료 구문을 한 문장 안에서 두 번 사용하여 표현한다.
- 소유격이 없다. 다만, 일부 방언, 예를 들어 시골 지역의 베른 독일어에서는 소유격이 남아 있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소유격은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대체된다.
- 첫 번째 방식은 표준 독일어에서도 종종 허용되는 형태로, '소유물 + 전치사 vogsw (표준 독일어 vondeu) + 소유자'의 구조를 가진다.
- 예: es Buech vomene Profässergsw (표준 독일어 ein Buch von einem Professordeu, '한 교수의 책')
- 예: s Buech vom Profässergsw (표준 독일어 das Buch des Professorsdeu, '그 교수의 책')
- 두 번째 방식은 표준 독일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표현으로, '소유자의 여격 + 소유자를 나타내는 소유 대명사 + 소유물'의 구조를 가진다.
- 예: em Profässer sis Buechgsw ('그 교수의 책')
- 동사 그룹 내의 어순이 표준 독일어와 다를 수 있다.
- 예: wo du bisch chogsw 또는 wo du cho bischgsw (표준 독일어 als du gekommen bistdeu, '네가 왔을 때')
-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스위스 독일어의 의존 관계는 임의적으로 교차 직렬 의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스위스 독일어를 몇 안 되는 비문맥 자유 언어 자연 언어 중 하나로 만든다.
- 모든 관계절은 관계사 wogsw ('어디')로 시작한다. 이는 표준 독일어에서 관계 대명사 der, die, das, welcher, welchesdeu 등을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 예: ds Bispil, wo si schrybtgsw (표준 독일어 das Beispiel, das sie schreibtdeu, '그녀가 쓰는 예시')
- 예: ds Bispil, wo si dra dänktgsw (표준 독일어 das Beispiel, woran sie denktdeu, '그녀가 생각하는 예시')
- 관계사 wogsw가 주격(주어)이나 대격(직접 목적어) 역할을 할 때는 표준 독일어의 관계 대명사를 대체하는 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wogsw가 간접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소유자, 또는 부사적 역할을 할 경우에는 관계절 내에서 추가적인 표현이 필요하다.
- wogsw가 사람을 지칭할 경우: (전치사 +) 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
- 예: de Profässer won i der s Buech von em zeiget hagsw ('내가 당신에게 그의 책을 보여준 교수')
- wogsw가 사물을 지칭할 경우: 대명사 부사를 사용한다.
- 예: de Bärg wo mer druf obe gsii sindgsw ('우리가 올라갔던 산')
6. 어휘
스위스 독일어의 어휘에는 프랑스어, 표준 독일어, 영어에서 온 차용어들이 있다.
대부분의 단어는 표준 독일어에서 차용되었으며, 스위스 독일어 음운론에 맞게 적용된다. 이 중 많은 단어는 너무 흔해져서 원래의 스위스 독일어 단어를 완전히 대체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언덕'을 뜻하는 Hügelgsw (원래의 Egggsw, Bühlgsw 대신), '입술'을 뜻하는 Lippegsw (원래의 Lëfzgegsw 대신) 등이 있다. 어떤 단어들은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만 원래 단어를 대체했는데, 예를 들어 '버터'를 뜻하는 Buttergsw는 스위스 대부분 지역에서 원래 Ankegsw라고 불렸다.
하지만 모든 표준 독일어 단어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침 식사'를 뜻하는 표준 독일어 Frühstückde, '귀여운'을 뜻하는 niedlichde, '집에서'를 뜻하는 zu hausede와 같은 단어는 스위스 독일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스위스 고유의 단어인 Zmorgegsw, härziggsw, deheigsw가 사용된다.
스위스 방언은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에서 온 단어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완전히 동화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뜻하는 Glacegsw는 프랑스어 발음과 달리 스위스 독일어 방언에서는 다르게 발음된다. '고맙습니다'라는 프랑스어 단어 merci프랑스어 역시 merci vilmalgsw (이는 '많이 감사합니다'라는 의미로, 표준 독일어의 danke vielmalsde 및 vielen Dankde와 비교됨)과 같이 흔히 사용된다. 이 단어들은 프랑스어에서 직접 차용되었다기보다는, 과거 표준 독일어에 더 많았던 프랑스어 차용어 중 일부가 독일에서는 사라지고 스위스에서 살아남은 것일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스위스 방언은 영어 단어도 일부 차용했다. 예를 들어, '먹다'를 뜻하는 단어('food'에서 유래), '컴퓨터 게임을 하다'를 뜻하는 단어('game'에서 유래), '스노보드를 타다'를 뜻하는 단어('snowboard'에서 유래) 등이 있다. 이 단어들은 영어에서 직접 차용되었다기보다는 표준 독일어를 통해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차용어 대부분은 비교적 최근에 생겨났지만, '축구를 하다'를 뜻하는 단어('shoot'에서 유래)처럼 수십 년 동안 사용된 단어도 있다.
반대로 스위스 독일어에서 유래하여 영어 단어가 된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요리 이름인 müesli와 rösti가 있으며, 그 외에도 미세 입자를 뜻하는 loess, 사암층을 뜻하는 flysch, 군모의 일종인 kepi, 스위스 일부 주의 행정 장관을 뜻하는 landammann, 민물송어의 일종인 kilch, 자수 기법인 schiffli, 그리고 정치적 의미의 putsch 등이 있다. '야영'을 뜻하는 bivouac도 스위스 독일어 유래로 설명되기도 하지만,[33] 독일의 어원 사전 등에서는 저지 독일어 유래로 보기도 한다.
어휘는 특히 시골 지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가축이나 날씨와 관련된 많은 전문 용어가 보존되어 있다. 반면 도시에서는 많은 시골 어휘가 사라졌다. 스위스 독일어의 대표적인 인사는 Grüezigsw이며, 이는 Gott grüez-igsw (표준 독일어 Gottde Euchde)에서 유래한 것으로, 대략 '신께서 당신(들)을 축복하시기를'이라는 의미이다.[31][32]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독일어와는 발음뿐 아니라 어휘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어,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독일어 화자조차 스위스 독일어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스위스 독일어는 통일된 언어가 아니라 지역별 방언 차이가 크기 때문에, 스위스 내에서도 다른 지역의 방언을 이해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표준 독일어와의 표기법 차이 중 하나는 ß 문자 사용이다.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는 예로부터 사용해 온 ss를 'ß'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스위스에서는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 등에 없는 이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ss'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아래는 몇 가지 단어를 스위스 독일어와 표준 독일어로 비교한 표이다.
의미 | 스위스 독일어 | 표준 독일어 |
---|---|---|
안녕하세요 | Grüezi/Grüessech | Guten Tag |
감사합니다 | Merci | Danke |
안녕히 가세요 | Uf Wiederluege | Auf Wiedersehen |
스위스 | Schwiiz | Schweiz |
취리히 | Züri | Zürich |
급여 | Salär | Gehalt |
전하다 | usrichte | mitteilen |
주차하다 | parkiere | parken |
자전거 | Velo | Fahrrad |
7. 정서법
대부분 지역의 알레만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 초기 문자 형태는 중고 독일어와 유사했으나, 신고 독일어 형태로 점진적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5세기부터 18세기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인쇄기의 보급과 루터교의 영향과도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프로샤우어 성경은 1524년 이후 초판에서는 주로 알레만어 형태를 사용했지만, 1527년부터는 신고 독일어 형태를 점차 채택했다. 알레만어 형태는 베른의 관청에서 가장 오래 유지되다가 18세기 후반에 신고 독일어를 받아들였다.[35][36][37]
오늘날 스위스 내 모든 공식적인 글쓰기, 신문, 책 및 많은 비공식적인 글쓰기는 스위스 표준 독일어로 작성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Schriftdeutsch|문어 독일어deu라고 불린다. 스위스 표준 독일어는 독일에서 사용되는 표준 독일어와 거의 동일하지만, 발음, 어휘, 그리고 철자법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철자법 차이는 스위스 표준 독일어에서는 항상 에스체트(ß) 대신 이중 s('ss')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특정 방언 단어는 스위스 표준 독일어 내에서 지역어(Helvetism)로 허용되며, 이는 독일어 철자법 사전인 두덴에서도 인정된다. 예를 들어, Zvieri|오후 간식gsw가 있다.
스위스 독일어 자체의 철자법에 대한 공식적인 규칙은 없다. 스위스 독일어 문학 등에서 사용되는 철자법은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나뉜다. 하나는 표준 독일어 철자에 최대한 가깝게 쓰려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실제 발음을 최대한 정확하게 표기하려는 방식이다. 언어학자 오이겐 디에트(Eugen Dieth)가 개발한 Schwyzertütschi Dialäktschriftgsw라는 표기법 지침이 있지만, 이는 주로 언어 전문가들에게만 알려져 있다. 또한 디에트가 처음 제안한 철자법에는 일반적인 키보드로는 입력하기 어려운 특수 기호(예: 'ʃ' 소리를 나타내는 특수 문자, 'ü'와 다른 특정 모음을 나타내는 'ǜ' 등)가 포함되어 있었다. 1986년에는 일반 타자기로도 입력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개정판이 출판되었다.[38]
비공식적인 스위스 독일어 표기에서는 표준 독일어와 다르게 사용되는 몇몇 글자들이 있으며, 이는 방언의 발음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k'와 'ck'는 무성 연구개 파찰음(/kx/) 소리를 나타낸다.
- 'gg'는 무기음 강세의 무성 연구개 파열음(/k/) 소리를 나타낸다.
- 'w'는 순치 접근음(/ʋ/) 소리를 나타낸다. 이는 표준 독일어의 /v/ 소리와 미묘한 차이가 있다.
- 'ph', 'th', 'gh'는 각각 유기음 /pʰ/, /tʰ/, /kʰ/ 소리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표준 독일어에서는 'k', 'p', 't'가 특정 위치에서 유기음으로 발음되지만, 스위스 독일어에서는 이 글자들이 항상 유기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ä'는 일반적으로 /æ/ 소리를 나타내지만, 방언에 따라 슈와(/ə/) 또는 /ɛ/ 소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 'y' (또는 'yy')는 전통적으로 표준 독일어의 이중모음 /aɪ̯/에 해당하는 /iː/ (많은 방언에서는 짧은 /i/로 발음되지만 여전히 폐모음의 특성을 지님)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는 과거 ij-합자 표기에서 유래했다. 예를 들어, Rysgsw '쌀'(표준 독일어 Reisdeu /raɪ̯s/)와 Risdeu '거인'(표준 독일어 Riesedeu /riːzə/)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방언 화자들은 이 두 소리를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y' 대신 'i' 또는 'ii'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취리히 독일어에서는 '쌀'과 '거인' 모두 Riisgsw /riːz̥/로 표기하는 반면, 베른 독일어에서는 Rysgsw /riːz̥/ ('쌀')와 Risgsw /rɪːz̥/ ('거인')로 구분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일부는 표준 독일어 철자의 영향으로 'ie'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iə̯/ 이중모음을 나타내는 'ie'와의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 /ei/ 이중모음은 'ei'로 표기하고, /ai/ 이중모음은 'äi'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스위스 동부 지역에서는 'ei'가 두 음소 모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b', 'd', 'g'는 일반적으로 무성음화되어 각각 /p/, /t/, /k/ 소리에 가깝게 발음된다.
- 'l'은 음절 끝 등 특정 위치에서 음절화되거나 /w/처럼 발음되기도 한다.
- 'r' 발음은 지역차가 있어,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치경 전동음(/r/)이 사용되지만, 바젤 방언이나 동부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는 구개수 전동음(ʁ)이 사용된다.
- 1인칭 대명사 '나'를 표준 독일어의 'ich' /ɪç/ 대신 'I' /i/ 또는 /ɪ/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8. 스위스 독일어 사용 현황
스위스 독일어는 현대 유럽의 다른 지역 언어들과 달리, 도시와 시골을 가리지 않고 모든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스위스 독일어를 사용하는 것이 사회적으로나 교육적으로 부족함을 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자부심을 가지고 사용된다.[8]
하지만 표준 독일어를 사용해야 하거나 격식을 갖춰야 하는 특정 상황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학교 수업 시간(쉬는 시간에 교사와 학생 간의 대화는 제외), 여러 언어가 사용되는 의회(연방 의회 및 일부 주/시 의회), 주요 뉴스 방송, 그리고 알레만 독일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상황은 일상 대화에서는 주로 스위스 독일어를 사용하고, 글을 쓸 때는 주로 스위스 표준 독일어를 사용하는 언어 사용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매체적 디글로시아"라고 부른다.[9]
2014년 통계에 따르면, 스위스 독일어 사용 지역 거주 인구의 약 87%가 일상생활에서 스위스 독일어를 사용하고 있다.[10]
스위스 독일어는 다른 알레만 독일어 방언 사용자에게는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지만, 표준 독일어 사용자에게는 사전 지식 없이는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이는 학교에서 표준 독일어를 배우는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 사용 스위스인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스위스 독일어가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TV 방송에 나올 경우, 해당 발언은 더빙되거나 자막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스위스 사람들은 자국 외 미디어에서는 표준 독일어를 사용한다.
음악 분야에서는 스위스 독일어를 사용하는 "방언 록"이라는 장르가 존재한다.[11] 하지만 많은 스위스 록 밴드는 영어로 노래하는 것을 선호하기도 한다.
미국 인디애나주 애덤스 카운티의 스위스 아미쉬 공동체와 그 분파에서도 스위스 독일어의 한 형태를 사용한다.[12]
스위스 독일어는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독일어와 발음 및 어휘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독일어 사용자조차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또한, 통일된 형태의 스위스 독일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별 방언 차이가 커서, 독일어권 스위스인끼리도 다른 지역의 방언을 이해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스위스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표준 독일어를 읽고 쓰는 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회화에는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스위스 학교에서는 표준 독일어 수업이 외국어 학습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스위스 내 이탈리아어(롬바르드어, 티치노어), 로만슈어, 프랑스어 사용 지역에서는 표준 독일어와 영어를 배운다.
표기법에서는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ss'를 ß로 표기하는 것과 달리, 스위스에서는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 등 다른 공용어에 없는 이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ss'로 표기하는 특징이 있다.
주요 발음 특징은 다음과 같다.
- k/p/t는 표준 독일어와 달리 유기음이 되지 않는다.
- b/d/g는 항상 무성음화되어 [p]/[t]/[k] 소리가 난다.
- l은 음절 끝에서 '우'[w]와 비슷한 소리로 발음되기도 한다.
- r은 대부분 지역에서 치경 전동음([r])으로 발음되지만, 바젤 방언이나 동부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는 구개수 전동음으로 발음된다.
또한, 1인칭 대명사 '''ich'''(이히) 대신 I(이)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prachen, Religionen – Daten, Indikatoren: Sprachen – Üblicherweise zu Hause gesprochene Sprachen
http://www.bfs.admin[...]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5
[2]
웹사이트
Central Alemannic | UNESCO WAL
https://en.wal.unesc[...]
2023-02-04
[3]
문서
Because of the many different dialects, and because there is no [[#Conventions|defined orthography]] for any of them, many different spellings can be found.
[4]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0-09-07
[5]
서적
Minority Languages in the Linguistic Landsca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20-09-07
[6]
웹사이트
Family: Alemannic
https://glottolog.or[...]
Glottolog
2020-09-07
[7]
웹사이트
10vor10 – Nachrichtenmagazin von Schweizer Radio und Fernsehen
http://www.3sat.de/p[...]
3sat – ZDF ORF SRG ARD, the television channel collectively produced by four channels from three countries
2015-09-18
[8]
웹사이트
An Examination of Swiss German in and around Zürich
http://www.nthuleen.[...]
2004-07-10
[9]
간행물
Die Konstruktion der Deutschschweizer Diglossie in der Schule
http://dx.doi.org/10[...]
DE GRUYTER
2024-02-16
[10]
뉴스
Schweizerdeutsch und Hochdeutsch in der Schweiz - Analyse von Daten aus der Erhebung zur Sprache, Religion und Kultur 2014
https://www.bfs.admi[...]
2018-12-01
[11]
웹사이트
Swiss Pop & Rock Anthology – MUNDART-SWISS DIALECT ROCK (Vol. 5)
https://www.swissinf[...]
2024-03-07
[12]
논문
The Languages of the Amish of Allen County, Indiana: Multilingualism and Convergence
Spring
[13]
문서
Fleischer
[14]
문서
Fleischer
[15]
문서
Astrid Krähenmann: Quantity and prosodic asymmetries in Alemannic.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de Gruyter, Berlin 2003.
[16]
서적
High Alemmanic
Routledge
[17]
문서
Werner König: dtv-Atlas zur deutschen Sprache. München: Deutscher Taschenbuch Verlag, 1989.
[18]
문서
Marti, Werner (1985), Berndeutsch-Grammatik, Bern: Francke
[19]
문서
Andreas Lötscher: Schweizerdeutsch – Geschichte, Dialekte, Gebrauch. Huber, Frauenfeld/Stuttgart 1983
[20]
문서
See Rudolf Hotzenköcherle, Rudolf Trüb (eds.) (1975): Sprachatlas der deutschen Schweiz II 261s.
[21]
간행물
Evidence against the context-freeness of natural language
http://www.eecs.harv[...]
2019-08-20
[22]
논문
Empirische Studien zur Verbverdoppelung in schweizerdeutschen Dialekten
http://www.linguisti[...]
2011
[23]
논문
Crossing the lake: Motion verb constructions in Bodensee-Alemannic and Swiss German
https://benjamins.co[...]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1-11-26
[24]
간행물
Zur Genese der Verbverdopplung bei gaa, choo, laa, aafaa ("gehen", "kommen", "lassen", "anfangen") im Schweizerdeutschen
https://doi.org/10.1[...]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21-11-26
[25]
서적
Die Bewegungverbkonstruktion im Alemannischen : Wie Unterschiede in der Kategorie einer Partikel zu syntaktischer Variation führen
https://kops.uni-kon[...]
Franz Steiner Verlag
2021-11-26
[26]
논문
Verdopplung beim Verb afaa im nord-östlichen Aargau
https://bop.unibe.ch[...]
2021-11-26
[27]
논문
Die Verdopplung des Verbs laa 'lassen' im Zürichdeutschen
https://bop.unibe.ch[...]
2021-11-26
[28]
웹사이트
Doubling Phenomena in Swiss German Dialects
https://www.meertens[...]
University of Zurich
2021-11-26
[29]
논문
Short-form "Doubling Verbs" in Schwyzerdütsch
http://hdl.handle.ne[...]
2021-11-26
[30]
논문
Bedeutet Är isch ga schwümme das gleiche wie Er ist schwimmen? Eine empirische Untersuchung zu den Perfektformen der schweizerdeutschen Verbverdoppelung und zur Funktion des Absentivs
https://boristheses.[...]
Universität Bern
2021-11-26
[31]
서적
Schweizerisches Idiotikon
https://digital.idio[...]
[32]
웹사이트
Grüezi - Schweizerisches Idiotikon
https://www.idiotiko[...]
2022-07-16
[33]
웹사이트
bivouac (noun)
https://www.etymonli[...]
2009-01-05
[34]
웹사이트
Learn Swiss German with uTalk
https://utalk.com/en[...]
2024-04-15
[35]
서적
Historischen Lexikon der Schweiz
Akademien der Wissenschaften Schweiz
[36]
서적
Historische Lexikon der Schweiz
Akademien der Wissenschaften Schweiz
2016-07-11
[37]
문서
Dialekt als Sprache literarischer Werke.
Walter de Gruyter
1983
[38]
서적
Schwyzertütschi Dialäktschrift. Dieth-Schreibung
Sauerländer
1986
[39]
웹사이트
Dstimm Vo De Schwiiz: Publication for Swiss German Dialects in North America
http://www.iwaynet.n[...]
[40]
웹사이트
Mundartübersetzungen – Bibel und Gesangbuch
https://bibel-gesang[...]
2020-09-09
[41]
웹사이트
Kino: Kritik "Die göttliche Ordnung" von Petra Volpe
https://www.welt.de/[...]
2017-08-02
[42]
뉴스
Der Schweizer Tatort und die Synchronisation
https://www.faz.net/[...]
2016-09-18
[43]
서적
言語学大辞典
[44]
웹인용
Sprachen, Religionen – Daten, Indikatoren: Sprachen – Üblicherweise zu Hause gesprochene Sprachen
http://www.bfs.admin[...]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6-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