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자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자스어는 프랑스 알자스 지역에서 사용되는 알레만 방언으로, 4세기 게르만족의 정착 이후 프랑스와 독일의 지배를 받으며 언어적 변화를 겪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프랑스어의 도입과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제1,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독일어와 프랑스어의 사용이 반복되었고, 1950년대 이후 프랑스어의 공식 사용으로 알자스어 사용은 감소 추세에 있다. 현재 알자스어는 알자스인에게 모국어이나 프랑스어와 함께 이중 언어로 사용되며, 프랑스 정부의 지원과 이중 언어 교육 정책에도 불구하고 화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스위스 독일어는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알레만어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명칭으로, 언어적 통일체라기보다는 지역적, 정치적 포괄 용어에 가까우며, 일상생활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지역, 칸톤, 국가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 알레만어 - 알레만 콜로네이로어
    알레만 콜로네이로어는 베네수엘라 콜로니아 토바르에서 사용되는 독일 남부 바덴 지역 출신 이민자 후손의 알레만어 방언으로, 표준 독일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며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쇠퇴하고 있다.
  • 알자스 - 브레첼
    브레첼은 빵 반죽을 꼬아 만든 빵 또는 과자로, 기독교 사순절 기간에 먹던 빵에서 유래되었으며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지에서 널리 소비되고 빵집 간판이나 대중문화 요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 알자스 - 알자스 독립운동
    알자스 독립운동은 프랑스 알자스 지역에서 자치 또는 독립을 요구하는 역사적 운동으로, 다양한 정치적 입장을 가진 정당들을 통해 이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그랑테스트 레지옹 통합 반대 운동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 독일어의 방언 - 오스트리아 독일어
    오스트리아 독일어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를 기반으로 합스부르크 시대부터 표준화된 독일어 변종으로, 독일 표준 독일어와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유럽 연합 가입 후 국제법적으로 인정받는 다중 중심 언어의 변종이다.
  • 독일어의 방언 - 저지 독일어
    저지 독일어는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고지 독일어 자음 변화를 겪지 않은 서게르만어족의 언어 변종으로, 언어적 특징, 역사, 방언, 법적 지위 등 복잡한 쟁점을 가진다.
알자스어
언어 정보
이름알자스어
고유 명칭Elsässisch, Elsässerditsch
국가프랑스
지역알자스, 로렌 지역 (베렌탈과 필립스부르의 모젤주)
사용자70만 명 ~ 170만 명 (2013년 기준: 90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게르만어파
어군서게르만어군
세부 분류고지 독일어
상부 독일어
알레만어

문자라틴 문자
소멸 위기위험
ISO 639-2gsw
ISO 639-3gsw (스위스 독일어와 함께)
Glottologswis1247
Glottolog 명칭중앙 알레만어
알자스 언어 지도
알자스 언어 지도
규제 기관공식 규제는 없으나, 그랑테스트 레지옹 (이전의 알자스 레지옹)과 바랭주 및 오랭주 의회가 지원하는 "알자스-모젤 언어 및 문화 사무국(OLCA)"을 통해 공식적으로 장려됨.

2. 역사

알자스 지역에 게르만족이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4세기 무렵으로, 알레마니족과 프랑크인이 차례로 들어오면서 게르만어 계통의 방언들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살던 갈로로망스어 사용자들은 보주 산맥 지역으로 밀려났다. 451년에는 알레만족이 로마 제국의 요새 도시였던 아르젠토라툼(현 스트라스부르)을 파괴하고 스트라스부르를 중심으로 정착했다.[12]

496년 알자스 지방이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에게 정복된 이후, 알자스의 알레만족은 프랑크 왕국의 일부로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서게르만어계 알레만어에서 파생된 알자스어가 탄생하게 되었다.[12] 초기 알자스 지역에서는 통일된 언어 없이 다양한 게르만어 방언이 사용되었으며, 어휘나 발음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16세기 종교 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가 성경을 번역하면서 사용한 고지 독일어가 점차 문자 언어의 표준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지만, 구어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방언이 사용되었다.

1230년경 장크트고트하르트 고개가 개통되면서 라인강 수운을 이용한 남북 교역로의 중심지로 알자스 지방이 크게 발전했다. 또한 2세기경부터 이어져 온 와인 생산도 최성기를 맞이하며 경제적 풍요를 누렸다. 이러한 경제적 중요성 때문에 알자스 지방은 주변 세력들의 각축장이 되었고, 이는 알자스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12] 당시 알자스 문화의 번영은 제바스티안 브란트의 《바보배》와 같은 작품에서도 엿볼 수 있다.[13] 한편, 9세기경에는 이미 보주 산맥을 경계로 서쪽의 로망스어군 지역과 동쪽의 게르만어군 지역 간의 언어 경계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4]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알자스 대부분이 프랑스 영토가 되면서 프랑스어가 공식 언어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초기에는 프랑스어가 주로 상류층에서 사용되었고, 일반 민중 사이에서는 여전히 알자스어를 포함한 독일어 계통 언어가 널리 쓰였다.[12] 이후 알자스는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을 거치며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서 소속이 여러 차례 바뀌는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통치 국가의 언어 정책 변화는 알자스어의 지위와 사용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12] 예를 들어, 나치 독일 점령 하의 비시 프랑스 정권 시기에는 일시적으로 학교 정규 수업 외 시간에 지역 언어(알자스어 포함) 교육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도 했다.[15]

2. 1. 프랑스와 독일 간의 언어 변화

알자스 지역의 언어는 프랑스독일 사이의 역사적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4세기 게르만족의 이동 이후 알레만니족과 프랑크인이 정착하면서 알레만어와 프랑크어 계통의 방언들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2] 초기에는 다양한 방언이 공존했으며, 16세기 마르틴 루터의 성경 번역 이후 고지 독일어가 문자 언어로서 점차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알자스가 루이 14세 치하의 프랑스 영토가 되면서 프랑스어가 공식 언어로 도입되었다. 프랑수아 1세의 빌레르코트레 칙령 이후 강화된 프랑스어 중심 정책은 왕국 전역에 적용되었고, 알자스에서도 프랑스어가 행정 언어로 자리 잡았다.[12] 이로 인해 알자스어는 점차 일상생활과 가정 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범위가 좁혀졌다. 이후 프랑스 정권들은 지속적으로 프랑스어를 장려하고 지역 언어 사용을 억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패배로 알자스와 모젤 일부가 독일 제국에 합병되자, 독일어가 다시 행정과 교육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독일어 사용이 강제되었고 프랑스어는 배제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종료 후 알자스가 다시 프랑스로 돌아오면서 상황은 또다시 역전되었다. 프랑스 당국은 강력한 프랑스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이는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을 낳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이 알자스를 점령했을 때는 더욱 강압적인 언어 정책이 시행되었다. 나치는 프랑스적인 요소를 철저히 배격하고 고지 독일어 사용을 강요했으며, 이는 알자스어 사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알자스가 최종적으로 프랑스 영토로 확정되면서 프랑스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로 다시 자리 잡았다. 학교에서는 프랑스어 교육이 강화되었고,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교사들이 배치되어 학생들에게 프랑스어 사용을 의무화했다. 공공장소에서 독일어나 알자스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분위기도 형성되었다.[19] 또한, 나치 독일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일부 알자스인들은 독일 문화와 함께 자신들의 정체성이 담긴 알자스어 사용마저 꺼리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스위스와 가까운 알자스 남부 지역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19] 북부 알자스 와인 가도 지역 등에서는 외부 노동력 유입으로 의사소통을 위해 프랑스어가 주로 사용되면서 알자스어 사용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13][19]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알자스어 사용자는 크게 줄어들었다. 1945년에는 인구의 90% 이상이 알자스어를 사용했지만, 2000년에는 약 60%로 감소했고, 현재는 그 비율이 더욱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31] 오랜 프랑스 지배의 영향으로 알자스어에는 프랑스어 외래어가 많이 유입되었다. 예를 들어 '우산'을 뜻하는 단어는 표준 독일어 'Regenschirm'과 달리 프랑스어 'parapluie'에서 온 'Barabli'를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자스어 어휘의 대부분은 여전히 독일어 계통이다.

1970년대부터는 알자스 지방 당국을 중심으로 학교에서 알자스어 교육을 장려하고 지역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알자스인에게 알자스어는 모어이지만, 공식적인 모국어는 프랑스어인 이중 언어 사용 상황에 놓여 있다.[16] 알자스 지역은 프랑스와 독일이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언어와 문화가 끊임없이 충돌하고 융합되는 복잡한 역사를 겪어왔다.[14]

2. 2. 전후 알자스어의 쇠퇴와 부흥 노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알자스가 최종적으로 프랑스로 귀속되면서 알자스어는 급격한 쇠퇴를 맞이했다. 1950년대부터 프랑스 정부는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식 언어로 다시 지정하고 교육 및 행정 전반에 걸쳐 사용을 강제했다.[31] 특히,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교사들을 알자스 지역 학교에 배치하여 학생들에게 프랑스어 사용을 의무화하는 정책은 알자스어의 입지를 크게 위축시켰다.[31]

이러한 중앙 정부의 강력한 프랑스어 동화 정책 외에도 여러 사회문화적 요인이 알자스어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프랑스 사회 전반에 퍼져 있던 반독 감정은 공공장소에서 독일어뿐만 아니라 알자스어까지 배척하는 분위기로 이어졌다.[19] 또한, 나치 독일에 대한 알자스인들의 뼈아픈 경험은 독일 문화 전반에 대한 기피 감정을 낳았고, 이는 정체성의 일부였던 알자스어마저 포기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스위스와 인접한 알자스 남부 지역에서 두드러졌다.[19]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북부의 알자스 와인 가도와 같은 지역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외부 노동력 유입이 늘어나면서 의사소통의 편의를 위해 프랑스어가 주로 사용되었고, 이 역시 알자스어 사용 감소의 한 원인이 되었다.[13][19]

그 결과, 알자스어 사용자는 크게 줄어들었다. 1945년에는 알자스 인구의 90% 이상이 알자스어를 사용했지만, 2000년에는 60% 이상, 현재는 약 40%만이 자신을 알자스어 사용자라고 밝히고 있다.[31] 뮌스터 계곡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알자스어는 프랑스어에 밀려 사실상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13][19]

이러한 상황에 맞서 1970년대부터 알자스 지방 당국은 학교 교육 과정에 알자스어 학습 시간을 마련하고 지역 언어 및 문화 관련 선택 과목을 개발하는 등 알자스어 부흥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31] 하지만 오랜 기간 진행된 언어 동화 정책과 사회적 변화로 인해 알자스어의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현재 알자스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모어인 알자스어를 사용하더라도, 공적인 영역에서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이중 언어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16]

3. 언어 특징

알자스어는 프랑스 알자스 지방에서 주로 사용되는 게르만어파 언어로, 독일어알레만어 방언군에 속하며 '알자스 독일어'라고도 불린다.[11] 특히 스위스 독일어독일 남서부 바덴 지방의 방언과 가깝지만, 단일 언어라기보다는 여러 지역 방언의 집합체로 간주된다.

언어적으로는 고지 독일어의 특징을 많이 가지며, 음운, 문법, 어휘 등 여러 면에서 표준 독일어와 유사점 및 차이점을 보인다. 명사는 독일어처럼 세 개의 성과 세 개의 격(주격, 대격, 여격)을 가지나 소유격은 없다. 동사 활용이나 문장 구조(V2 어순 등)는 독일어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26][27] 어휘는 기본적으로 독일어계가 주를 이루지만, 오랜 프랑스 문화권의 영향으로 프랑스어 차용어(예: '우산'을 뜻하는 Barabligsw)가 많으며, 역사적으로 이디시어의 영향도 받았다. 현대에는 영어 단어도 유입되고 있다.

알자스어 표기법으로는 여러 방언을 아우르기 위해 개발된 Orthal[5]이 있으며, 이는 알자스-모젤 언어 문화 사무소(OLCA)[6]에 의해 보급되고 있다. Orthal은 기본적으로 표준 독일어 정서법을 따르면서 프랑스어의 악센트 기호 등을 활용하여 알자스어 고유의 발음을 표기한다.[7]

알자스어는 프랑스 내 소수 언어로서 복잡한 사회적 위치에 놓여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정부의 프랑스어 중심 정책과 사회 전반의 반독 감정은 알자스어 사용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9] 이로 인해 공공장소나 교육 현장에서 알자스어 사용이 위축되었고, 알자스인 스스로 방언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현재 많은 알자스인들은 알자스어와 프랑스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중 언어 화자이지만, 젊은 세대로 갈수록 알자스어 사용 능력은 감소하는 추세이다.[13][16]

3. 1. 언어 계통

알자스어는 고지 독일어상부 독일어에 속하는 알레만어 계열의 저지 알레만어에 속하며, 상라인 알레만어의 방언으로 분류된다. 이를 기반으로 하면서 라인 프랑크어의 특징을 조합한 도시 방언의 성격도 가지며, 주로 현지 알자스인들이 사용한다. '알자스 독일어'라고도 불린다.[11]

알자스어는 스위스 독일어, 슈바벤어, 마크그레플러리슈, 카이저슈툴러리슈 및 바덴의 다른 알레만어 방언과 같은 인접한 알레만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동부의 슈바벤 지방에서 사용되는 방언보다는, 서부의 슈바르츠발트 (검은 숲)를 포함하는 바덴 지방과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방언에 더 가깝다. 알자스라고 불리는 바랭 주와 오랭 주에서 사용되는 게르만 계열 방언을 일반적으로 알자스어라고 부르지만, 알자스어는 평준화된 단일 언어가 아니며 여러 방언의 집합체로 여겨진다.[11]

알자스어는 알자스의 북서쪽 구석과 이웃한 로렌에서 사용되는, 좀 더 거리가 먼 프랑코니아어 방언인 로렌 프랑코니아어와는 구분된다.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알자스어 역시 외부의 영향을 받았다. 어휘 중에는 이디시어에서 유래된 단어를 찾아볼 수 있으며, 현대 구어체 알자스어에는 프랑스어 단어와 영어 단어, 특히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어휘들이 적용되어 사용된다.

많은 알자스어 화자는 필요에 따라 어느 정도 표준 독일어로 글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주로 학교나 직장에서 독일어를 배운 경우에 한정되며 흔한 경우는 아니다. 다른 방언과 마찬가지로 알자스어를 언제, 어디서, 누구와 대화할지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방언 화자는 특정 외부인에게 표준 독일어 대신 프랑스어를 사용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반대로, 스위스 바젤 인근에 사는 많은 사람들은 해당 지역의 스위스 사람들과 자신들의 방언으로 대화하는데, 이는 대체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인근 독일 마크그레플러란트 사람들과의 대화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알자스 지역의 일부 거리 이름은 알자스어 철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프랑스어로만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일부 지역, 특히 스트라스부르뮐루즈에서는 프랑스어와 알자스어 이중 언어로 표기된다.

아래는 알자스어와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 및 프랑스어 간의 의미적, 음운 및 통시적 대응어 목록이다.

항목어
영어(< 고대 영어 OE
알자스어표준 독일어(< 고대 고지 독일어 OHG/ahd. < 게르만 조어)프랑스어 < 라틴어슈바벤어
Earth (< eorþe) 「땅, 토지」ardErde (< *erþō)terreerd
heaven (< hefon [hevon], heofon, hiofon) 「하늘」hemmelHimmel (< *χimin-)ciel
(chambre)
hemml
water (< wætar) 「물」wàsserWasser (< *wat-)eau (< aqua)
(ondine)
wasser
fire (< fŷr) 「불」fihrFeuer (< *fūir)feufeier
man (< man, mann, mon, monn, pl.men, menn(/männ/)) 「사람, 남자」mànnMann, pl.Männer (< *mann(on)-)homme
woman, pl.women [wimen] (< sing.wiman, pl./wĭmän/ < OE sing.wimmann, (<) wīfmann wife-man cf.*Weibmann)
? 「여자, 아내」
fràiFrau (< OHG (여.)frouwa < (남.)frō)femmefrau
eat (< et·an) 「먹다」ass·aess·en (< *et·an)mangeress·a
drink (< drinc·an) 「마시다」trenk·atrink·en (< *driŋk·an)boiretrenk·a
big (< ON)
great (< grēat) 「크다」
groosgroß (< *γrauta)grand, grandegraus
little
clean (< clæ:ne) 「작다」
klaiklein (< *klaini)petit, petitekloi
night (< niht [ni], neaht cf.스코트어) nicht) 「밤」nàchtNacht (< *naχt-)nuitnàcht
day (< dæġ) 「하루, 낮」däiTag (< *daγar, daγaz)jourdàg


3. 2. 음운론

Orthal(알자스어 정서법)(Orthographe alsaciennefra)[5]은 알자스-모젤 언어 문화 사무소(OLCA)[6]가 홍보하는 정서법으로, 모든 알자스어 방언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7] Orthal의 일반적인 원칙 중 하나는 자음 표기에 있어 표준 독일어 정서법을 따른다는 것이다.[7] 또한 모음의 길이는 음절 내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음절 끝에 오거나 뒤따르는 자음이 하나일 경우 장모음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7]

3. 2. 1. 자음

알자스어에는 19개의 자음이 있다.



세 개의 자음은 분포가 제한적이다: /kʰ/와 /h/는 단어나 형태소의 시작 부분에만 나타나며, 모음 바로 다음에 오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ŋ/는 단어나 형태소의 시작 부분에는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

알자스어는 일부 독일 방언과 마찬가지로 /k/를 제외한 모든 장애음을 약화시켰다. 그러나 이 언어의 연음 자음은 모든 남부 독일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유성음이 아닌 무성음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b̥/, /d̥/, /ɡ̊/로 표기한다. 프랑스어 화자는 이를 무성 무기음인 /p, t, k/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음소 /ç/는 후설 모음(/u/, /o/, /ɔ/, /a/ - 단, 이 모음을 [æ]로 발음하지 않는 화자의 경우) 뒤에서는 연구개 이음인 [x]로 소리 나고, 그 외의 경우에는 경구개음 [ç]로 소리 난다. 남부 방언에서는 모든 위치에서 /x/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으며, 스트라스부르에서는 경구개 이음이 음소 /ʃ/와 합쳐지는 경향이 있다. 순치 유성 마찰음 /v/ 소리와 접근음 /ʋ/ 소리도 존재한다. /ʁ/는 음성학적으로 [ʁ], [ʁ̞], [ʀ]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3. 2. 2. 모음

Orthal(Orthographe alsacienne프랑스어, 알자스어 정서법)[5]은 알자스-모젤 언어 문화 사무소(OLCA)프랑스어[6]가 홍보하는 정서법으로, 모든 알자스어 방언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Orthal의 최신 버전(2016)[7]에 따른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모든 방언이 아래의 모든 문자나 분음 부호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남부 알자스 지역의 Owerlandisch 방언은 주로 Ä, À, Ì, Ü와 같은 추가 모음 문자를 사용하며, 북부 지역(스트라스부르 지역)의 방언은 Ë, Ö, Ù 및 이중 모음 ÈI를 포함한 더 많은 문자를 사용한다.

Orthal에서 모음을 표기하는 일반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표준 독일어 정서법을 따라 기본 모음 A, E, I, O, U와 해당 움라우트 형태인 Ä, Ö, Ü를 사용한다.

# 표준 독일어에 없는 이중모음이나 삼중모음은 표준 독일어 문자를 조합하여 표기한다. (예: ia, üe (또는 üa), öi, àui, äi (또는 èi))

# 표준 독일어 정서법에 없는 모음 소리는 프랑스어의 급성 악센트나 무덤 악센트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모음은 글자 자체뿐만 아니라 음절 내 위치에 따라 단모음 또는 장모음으로 발음된다.

  • 음절 끝에 오거나 뒤따르는 자음이 없는 모음은 장모음(LV)이다. 예: hà, sì
  • 음절 내에서 단일 자음 뒤에 오는 모음은 장모음(LV)이다. 예: Ros
  • '''''참고:''''' 음절 내에서 여러 자음("V + C + C")이 뒤따르는 모음은 단모음으로 발음된다. 예: Ross


다음 표는 Orthal에서 사용되는 기본 모음 문자와 해당 국제 음성 기호(IPA) 발음을 보여준다.

대문자 형태AÄÀEÉÈËIÌOÖUÜÙ
소문자 형태aäàeéèëiìoöuüù
IPA/a//ɛ//ɑ ~ ɒ//e/, /ə//e//ɛ//æ//i//ɪ//o//ø//u//y//ʊ/



장모음은 일반적으로 모음 글자를 반복하거나 'h'를 뒤에 붙여 표기한다.

대문자 형태A , AH, AAÀ , ÀH, ÀÀÄ , ÄHE , EH, EEË , ËHÈ , ÈÈ ÈHI , II, IHÌ , ÌHO , OO, OHÖ ,U , UU, UHÜ ,ÜÜ, ÜHÙ , ÙÙ, ÙHŒUE
IPA/aː//ɒː//ɛː//eː//æː//ɛː//iː//ɪː//oː//øː//uː//yː//ʊː//œː//ʏ/



알자스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 모음 도표로 나타낼 수 있다.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i//y//u/
근고/ɪ//ʏ//ʊ/
중고/e//ø/(/ə/)/o/
중저/ɛ//œ//ɔ/
근저/æ/
/a//ɑ ~ ɒ/


  • 단모음: /ʊ/, /o/, /ɒ/, /a/ (스트라스부르에서는 [æ]), /ɛ/, /ɪ/, /i/, /y/.
  • 장모음: /ʊː/, /oː/, /ɒː/, /aː/, /ɛː/, /eː/, /iː/, /yː/.

3. 3. 문법

알자스어 명사는 격, 성, 수에 따라 굴절한다.

  • 세 개의 격: 주격, 대격, 여격이 있다. 독일어와 달리 알자스어에는 소유격이 없으며, 대신 여격 또는 전치사 vugsw("~의", 독일어 vonde)와 여격을 사용하여 소유의 의미를 나타낸다.
  • 세 개의 성: 남성, 여성, 중성이 있다.
  • 두 개의 수: 단수와 복수가 있다.


알자스어의 동사는 '''어간 + 부정사어미 -e'''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어미 '-e'는 알자스 남부에서는 [a]로 발음되지만, 콜마르 북쪽 지역에서는 독일어처럼 슈와 발음으로 소리낸다. 다음은 동사의 예시이다.[25]

동사 예시
동사발음어근어미의미
stelleʃtellastell--e세로로 놓다
machemɔ:xamach--e~하다
làwelàwelàw--e살다



동사가 활용될 때는 부정사의 어미 '-e'가 없어지고, 주어의 인칭에 따라 변하는 인칭 어미가 붙는다.[25]

알자스어는 독일어의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하므로, 문장 구조(구문)는 독일어 및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과 유사하다.[26] 단순한 문장에서는 동사가 항상 문장의 두 번째 위치에 오는 특징(V2 어순)을 보인다.[27][25][26] 어순은 주어 + 동사 + 목적어 순서가 기본이지만, 경우에 따라 목적어나 다른 문장 성분이 문장 맨 앞에 오면 동사 + 주어 순서가 되기도 한다.


  • 예시 1: "그는 책을 읽고 있다"
  • ''er '''lest''' e Büech.'' - /aːr lɛːst a byːax/ (주어 + 동사 + 목적어)
  • 예시 2: "지금, 그는 책을 읽고 있다"
  • ''Jetze '''lest''' er e Büech.'' - /je.tsa lɛːst.ər a byː.ax/ (부사 + 동사 + 주어 + 목적어)


예시 1과 2 모두 동사 'lest'는 문장에서 두 번째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독일어처럼 알자스어 동사에는 '''동사 소사'''(독일어: Partikel, 프랑스어: Particule)라고 불리는 작은 요소가 붙는 경우가 많다. 이 소사는 동사가 부정사 형태일 때는 동사 앞에 붙지만, 동사가 활용될 때는 동사에서 분리되어 문장 끝으로 이동하기도 한다(분리 동사).[26][27] 동사 소사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 분리 불가능 소사: 동사 앞에 붙어 항상 함께 다닌다. 강세가 없다.
  • 예: '''''stelle'' / ʃtela'''(놓다) → '''''be'''stelle'' /bɛˈʃtela/(주문하다), '''''steh /ʃtɛ'''''(서다) → '''''ver'''steh'' /ferʃtɛ/(이해하다)
  • 분리 가능 소사: 부정사일 때는 동사 앞에 있지만, 동사가 활용될 때는 문장 끝으로 이동한다. 강세가 있다.
  • 예: ''geh''(가다) → '''''awe'''geh''(내려가다)


이러한 소사가 붙으면 동사의 원래 의미가 크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동사 'stelle'(놓다)와 소사 결합 예시
동사소사의미
stelle-배치하다
bestellebe (분리 불가)주문하다, 예약하다
anstellean (분리 가능)켜다, 열다(수도꼭지), 놓다, 고용하다
abstelleab (분리 가능)놓다, 끄다(가전제품, 전원, 물), 멀리하다
instellein (분리 가능)설치하다, 넣다, 조정하다(전기 제품), 고용하다, 중지하다(지불)
üsstelleüs (분리 가능)드러내다, 내놓다, 붙이다, 끄다(스위치)
ufstelleuf (분리 가능)설치하다, 세우다(수직으로), 올리다
vorstellevor (분리 가능)제시하다, 나타내다, 의미하다



동사 소사에는 분리 불가능형, 분리 가능형 외에 경우에 따라 분리되기도 하는 혼합형도 있다.[25] 어떤 유형이든 접두사처럼 붙는 소사는 동사의 의미를 크게 바꿀 수 있다.

알자스어에는 'tüen' 또는 'düen'이라는 조동사가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독일어의 'tun'(하다)과 같은 의미와 기능을 가진다.[29]

'tun'은 초기 신 고지 독일어 시대에 발달한 조동사로, 과거에는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인 행위를 나타냈으나 1700년 이후로는 민중어구어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독일 남부 방언과 알자스어에서는 현재도 'tun + 부정사' 형태가 쓰인다.[29] 표준 독일어에서도 'tun'을 사용하여 동사의 부정사를 강조하는 용법이 있다. 예를 들어 "singen tut sie gern"(그녀는 노래하는 것을 좋아합니다)처럼 쓰인다. 알자스어에서도 비슷한 용법이 발견된다.[29]

하지만 알자스어에서 'tüen/düen'의 정확한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29] 'tüen'과 'düen'이라는 두 가지 표기 형태가 나타나는 것은, 알자스어를 포함한 상부 독일어 방언에서 무성 자음 [t]가 약하게 발음되는(연음) 경향과 관련이 있다. 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표준 독일어를 따른 't-'와 발음을 강조한 'd-'가 혼용되는 것으로 보인다.[29][30] 한 연구에 따르면 문헌 조사 결과 어두음이 't-'인 경우가 11번, 'd-'인 경우가 7번 나타났다.[29]

'tüen/düen'의 사용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29]

# '''행위(본동사) 강조''' (가장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기능)

# 어색하거나 잘 쓰이지 않는 동사 활용 형태 회피

# 어순 변경 용이

# 접속법 형성 보조

# 동사와 부속 단어의 복잡한 연결(발음하기 어려운 경우) 단순화

# 갑작스러운 발화 시 문장의 리듬 조절

특히 2번과 5번은 동사 활용 형태가 복잡하거나 발음하기 어려울 때, 또는 형태적으로 애매함을 줄이기 위해 'tüen/düen'을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29]

3. 4. 어휘

알자스어는 스위스 독일어, 슈바벤어, 마크그레플러리슈, 카이저슈툴러리슈 및 바덴의 다른 알레만어 방언과 같은 인접한 알레만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알자스어는 고지 독일어상부 독일어에 속하는 알레만어 계열의 저지 알레만어에 속하며, 상라인 알레만어의 방언으로 분류된다. 이를 기반으로 하면서 라인 프랑크어의 특징을 조합한 도시 방언이며, 현지 알자스인들이 사용한다. '''알자스 독일어'''라고도 불린다.[11] 알자스어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동부의 슈바벤 지방 방언보다는 서부의 슈바르츠발트 (검은 숲)를 포함하는 바덴 지방 및 스위스 방언에 더 가깝다. 알자스어는 알자스의 북서쪽 구석과 이웃한 로렌에서 사용되는 좀 더 거리가 먼 프랑코니아어 방언인 로렌 프랑코니아어와는 구별된다. 일반적으로 알자스의 바랭 주와 오랭 주에서 사용되는 게르만 계열 방언을 알자스어라고 부르지만, 알자스어는 평준화된 균일한 언어가 아니며 여러 방언의 집합체로 여겨진다.[11]

다른 방언 및 언어와 마찬가지로 알자스어 역시 외부의 영향을 받았다. 역사적으로 이디시어에서 유래된 단어를 알자스어에서 찾을 수 있으며, 현대 구어체 알자스어에는 프랑스어 단어와 영어 단어, 특히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단어가 적용되어 사용된다. 알자스어가 다른 독일어 방언에 비해 오랫동안 프랑스의 지배를 받아 프랑스어로부터의 외래어가 많아진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예를 들어, "우산"을 의미하는 단어는 표준 독일어의 Regenschirmde과는 크게 다른, 프랑스어 parapluie프랑스어의 변형인 Barabligsw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부분의 어휘는 독일어 계통이다.

많은 알자스어 화자는 필요하다면 어느 정도 표준 독일어로 글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드문 경우이며, 주로 학교나 직장에서 독일어를 배운 사람에게 국한된다. 다른 방언과 마찬가지로 알자스어를 언제, 어디서, 누구와 대화할지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방언 화자는 때때로 특정 외부인에게 표준 독일어를 사용하기보다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반대로, 스위스 바젤 인근에 사는 많은 사람들은 해당 지역의 스위스 사람과 자신들의 방언으로 대화하는데, 이는 대체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인근 독일 마크그레플러란트 사람들과의 대화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알자스 지역의 일부 거리 이름은 알자스어 철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프랑스어로만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일부 지역, 특히 스트라스부르뮐루즈에서 이중 언어로 표기된다.

프랑스 내 반독 감정으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랫동안 알자스에서는 초등 교육 단계에서 독일어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프랑스어 교육이 강화되었다. 또한, 알자스 지방 내에서 유통되는 신문의 아동용 지면 등, 아동 및 청소년용 출판물에서는 주로 프랑스어가 사용되는 등, 공공 장소에서 독일어와 알자스어를 배척하는 분위기가 이어졌다.[19] 이러한 프랑스 정부의 정책은 소수 언어 사용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알자스인들 사이에서도 나치 독일에 대한 혐오감과 그에 따른 독일 문화 일반에 대한 기피 감정이 생겨나면서, 정체성의 증거였던 방언까지 포기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방언 포기 경향은 스위스에 가까운 알자스 남부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졌다.[19] 또한, 북부의 알자스 와인 가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도 외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외부 노동력 유입으로 인해 의사소통 수단으로 프랑스어가 주로 사용되면서 알자스어 사용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현재 뮌스터 계곡, 숭고 지역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프랑스어 보급과 맞물려 알자스어가 점차 사용되지 않는 상황에 처해 있다.[13][19]

알자스어는 알자스인에게 모어(제1언어)이지만, 프랑스 공화국의 유일한 공식 언어인 프랑스어가 모국어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특수한 위치에 있다. 이는 마치 일상 대화에서는 특정 언어를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교육이나 공공 문서에서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과 유사하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알자스인들은 자연스럽게 알자스어와 프랑스어의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16]

아래는 알자스어와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 및 프랑스어 간의 어휘 비교표이다.

영어남부 알자스어
(오트-랭)
북부 알자스어
(바-랭)
고지 알레만어
(스위스 독일어)
표준 독일어슈바벤 독일어룩셈부르크어펜실베이니아 독일어표준 프랑스어
's Hüssgsws' HüsgswHuusgswHausdeHousswgHauslbHauspdcmaison프랑스어
시끄러운lüttgswlütgswluutgswlautdeloutswghaartlblautpdcbruyant프랑스어
사람들d' Littgswd' LitgswLütgswLeutedeLeidswgLeitlbLeitpdcgens프랑스어/peuple프랑스어
오늘hìttgswhitgswhütgswheutedeheidswghautlbheitpdcaujourd'hui프랑스어
아름다운scheengswscheengswschö(n)gswschöndescheswgschéinlbscheepdcbeau프랑스어
지구d' Ardagswd' ErdgswÄrd(e)gswErdedeErdswgÄerdlbErdpdcterre프랑스어
안개d'r Nawelgswde NäwwelgswNäbelgswNebeldeNeblswgNiwwellbNewwelpdcbrouillard프랑스어
's Wàssergsw's WàssergswWassergswWasserdeWasserswgWaasserlbWasserpdceau프랑스어
남자d'r Mànngswde MànngswMaagswManndeswgMannlbMannpdchomme프랑스어
먹다assagswessegswässegswessendeessaswgiessenlbessepdcmanger프랑스어
마시다trìnkagswtrinkegswtrinkchegswtrinkendetrenkaswgdrénkenlbdrinkepdcboire프랑스어
작은kleigswkleingsw/klaangsw/klëëngswchl(e)igswkleindekloiswgklenglbgleepdcpetit프랑스어, petite프랑스어
아이's Kìndgsw's KindgswChindgswKinddeKindswgKandlbKindpdcenfant프랑스어
d'r Tàggswde DààgswDaggswTagdeDàgswgDaglbDaagpdcjour프랑스어
여자d' Fràuigswd' FraugswFrougsw/FraugswFraudeFrauswgFralbFraapdcfemme프랑스어



아래는 의미적, 음운 및 통시적 대응어 목록이다.

항목어
영어(< 고대 영어 OE
알자스어표준 독일어(Standard German)(고대 고지 독일어 OHG/ahd. < 게르만 조어)(프랑스어 < 라틴어슈바벤어 Swabian
Earth (< eorþe) 「땅, 토지」ardErde (< *erþō)terreerd
heaven (< hefon [hevon], heofon, hiofon) 「하늘」hemmelHimmel (< *χimin-)ciel
(chambre)
hemml
water (< wætar) 「물」wàsserWasser (< *wat-)eau (< aqua)
(ondine)
wasser
fire (< fŷr) 「불」fihrFeuer (< *fūir)feufeier
man (< man, mann, mon, monn, pl.men, menn(/männ/)) 「사람, 남자」mànnMann, pl.Männer (< *mann(on)-)homme
woman, pl.women [wimen] (< sing.wiman, pl./wĭmän/ < OE sing.wimmann, (<) wīfmann wife-man cf.*Weibmann)
? 「여자, 아내」
fràiFrau (< OHG (여.)frouwa < (남.)frō)femmefrau
eat (< et·an) 「먹다」ass·aess·en (< *et·an)mangeress·a
drink (< drinc·an) 「마시다」trenk·atrink·en (< *driŋk·an)boiretrenk·a
big (< ON)
great (< grēat) 「크다」
groosgroß (< *γrauta)grand, grandegraus
little
clean (< clæ:ne) 「작다」
klaiklein (< *klaini)petit, petitekloi
night (< niht [ni], neaht cf.스코트어) nicht) 「밤」nàchtNacht (< *naχt-)nuitnàcht
day (< dæġ) 「하루, 낮」däiTag (< *daγar, daγaz)jourdàg


3. 5. 정서법

대문자ABCDEFGHIJKLMNOPQRSTUVWXYZÄÀËÉÈÌÖÜÙ
소문자abcdefghijklmnopqrstuvwxyzäàëéèìöüù
IPA/a/, /ə//b̥//k/, /ɡ̊//d̥//e/, /eː/, /ə//f//ɡ̊//h//i//j//k//l//m//n/, /ŋ//o//p//k//ʁ/, /ʁ̞/, /ʀ//s//t//u//v/, /f//ʋ/, /v//ks//ʏ/, /yː/, /ɪ/, /iː//z//ɛ//ɑ/, /ɑː//æ//e//ɛ//ɪ//ø//y//ʊ/



''C'', ''Q'', 그리고 ''X''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Y''' 또한 고유어에 사용되지만, 외래어에서 더 흔하게 사용된다.

Orthal(알자스어 정서법)(Orthographe alsacienne프랑스어)[5]은 알자스-모젤 언어 문화 사무소(OLCA)프랑스어[6]가 홍보하는, 모든 알자스 방언에서 사용하도록 고안된 개정된 정서법이다.

Orthal의 최신 버전(2016)[7]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모든 방언이 모든 문자 및 분음 부호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남부 알자스 지역의 Owerlandisch는 주로 추가 모음 문자 Ä, À, Ì, Ü를 사용한다.

북부 지역(스트라스부르 지역)의 방언은 Ë, Ö, Ù 및 이중 모음 ÈI를 포함한 더 많은 문자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Orthal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표준 독일어 정서법을 따라 일반 모음 A, E, I, O, U 및 해당 움라우트된 표준 독일어 형태 Ä, Ö, Ü를 사용한다.

# 표준 독일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이중 모음 및 삼중 모음의 경우 Orthal은 표준 독일어 문자를 결합하여 새로 생성한다 – 예를 들어, ia, üe (또는 üa), öi, àui, äi (또는 èi)

# 표준 독일어 정서법에 표시되지 않는 모음의 경우, 프랑스어의 급성 및 무덤 악센트 기호를 사용하여 알자스 방언에 고유한 소리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

# 또한 자음에 대해서도 표준 독일어 정서법을 따른다.

모음은 글자 유형 외에도 음절 내 위치에 따라 단음 또는 장음으로 발음된다.

음절의 끝에 있고 뒤에 자음이 없는 모음은 장모음 "V" = 장모음(LV)이다. 예: hà, sì

음절에서 단일 자음 뒤에 오는 모음은 장모음 "V + C" = 장모음(LV)으로 발음된다. 예: Ros

'''''참고''''' – 음절에서 여러 자음("V + C + C")이 뒤따르는 모음은 단모음으로 발음된다. 예: Ross

4. 현재 상황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고유 언어인 알자스어는 현재 사용 감소와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프랑스 정부프랑스어 중심 언어 정책과 사회 변화로 인해 알자스어 화자 수는 꾸준히 감소했으며,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언어 전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서명했으나 비준하지 않아, 알자스어를 비롯한 지역 언어 보호 및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알자스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이중 언어 교육이나 몰입 교육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 차원에서도 알자스어 사용 장려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지속된 언어 정책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 부족으로 알자스어의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4. 1. 화자 수

알자스 지역의 알자스어 화자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왔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알자스 지역 인구의 94%가 알자스어를 사용했지만[18], 1900년 95%였던 화자 비율은 점차 줄어들어 2012년에는 43%까지 낮아졌다.[1][2] 전체적으로 화자 수는 감소 추세에 있지만, 최근 소폭 회복세를 보이기도 했다.[17] 프랑스 국내에서 알자스어는 지역 언어 사용자 중 1.44%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감소 추세는 이어지고 있다(프랑스의 언어 참조).[18]

연도별 알자스어 화자 수는 다음과 같다.[16]

연도별 알자스어 화자 수[16]
연도화자 수비고
1985년130만 명
1999년548,000명INSEE 조사, 성인 화자만 해당
2004년545,000명
2011년100만 명 이상



지역별로 보면, 특히 젊은 세대에서의 사용 감소가 두드러진다. 1993년 조사에 따르면, 상 알자스 지역의 도시 뮐루즈에서는 아동의 2%, 현청 소재지인 콜마르에서도 아동의 4%만이 알자스어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외 게브빌레르나 탕 같은 지역에서도 아동 화자 비율은 7% 정도에 머물렀다.[13]

알자스를 대표하는 작가 앙드레 베크만은 이러한 언어 소멸 위기에 대한 안타까움을 다음과 같은 시로 표현하기도 했다.[13]



노래하지 않으면, 노래가 얼마나 그리운지 누가 알까.


만져지지 않으면, 살갗이 얼마나 부드러운지 누가 알까.


이해받지 못하면, 고향이 얼마나 따뜻한지 누가 알까. (Finck/Weckmann /Winter 1981: 108)


4. 2. 언어 정책

뮐루즈의 이중 언어(프랑스어와 알자스어) 표지판


알자스어 방언 화자


1992년부터 제5공화국 헌법 제2조는 프랑스어를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규정하고 있다.[24] 그러나 알자스어는 다른 지역 언어와 함께 프랑스 정부가 공식적으로 지정한 프랑스의 언어 목록에는 포함되어 있다. 프랑스는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서명했지만, 이 법을 비준하지는 않아 헌장에서 요구하는 지역 언어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프랑스 중앙 정부의 언어 정책이 소수 언어 보호보다는 프랑스어 중심주의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4]

알자스어는 이 지역의 주요 언어였으나 점차 쇠퇴하고 있다. 1999년 INSEE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프랑스 내 알자스어 성인 화자는 548,000명으로, 옥시탄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지역 언어였다. 하지만 프랑스의 다른 모든 지역 언어처럼 알자스어 사용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알자스 성인 인구의 43%가 알자스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 젊은 세대에서는 그 사용률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다.

최근 변화의 움직임도 있다. 2023년에는 지역 공립학교에서 처음으로 알자스어 몰입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지만, 수년간 지속된 공식적인 언어 억압 정책의 영향으로 알자스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충분히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3]

한편, 알자스 독일어 방언은 19세기 중반 미국으로 이주한 스위스 아미쉬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약 7,000명의 화자가 주로 인디애나주 앨런 카운티에 거주하며, 다른 지역에도 소규모 공동체가 존재한다.[4]

4. 3. 이중 언어 교육



1992년부터 제5공화국 헌법은 프랑스어를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알자스어는 다른 지역 언어와 함께 프랑스 정부가 공식적으로 지정한 프랑스의 언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프랑스는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서명했지만, 이 법을 비준하지는 않아 헌장에서 요구하는 지역 언어 지원을 제대로 제공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알자스어는 이 지역의 주된 언어였으나 점차 쇠퇴하고 있다. 1999년 INSEE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프랑스에서 알자스어 성인 화자는 548,000명으로, 옥시탄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지역 언어였다. 하지만 프랑스의 다른 모든 지역 언어처럼 알자스어 사용은 감소 추세에 있다. 알자스 성인 인구의 43%가 알자스어를 사용하지만, 젊은 세대에서는 그 사용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년에는 지역 프랑스 공립학교에서 처음으로 알자스어 몰입 교육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지만, 과거 수년간 이어진 공식적인 언어 사용 억제 정책의 영향으로 인해 충분한 교사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3]

참조

[1] 웹사이트 Le dialecte en chiffres http://www.olcalsace[...] 2019-02-03
[2] 웹사이트 Le dialecte alsacien : état des lieux https://www.cairn.in[...] 2003
[3] 웹사이트 Alsatian: German dialect to be taught in French schools for the first time https://www.thelocal[...] 2023-10-19
[4] 논문 The Languages of the Amish of Allen County, Indiana: Multilingualism and Convergence
[5] 웹사이트 Guide pour écrire et lire l'alsacien {{!}} www.OLCAlsace.org http://www.olcalsace[...] 2020-12-21
[6] 웹사이트 Langue et culture régionales en Alsace, tout savoir sur le dialecte alsacien, bienvenue à l'OLCA {{!}} www.OLCAlsace.org http://www.olcalsace[...] 2020-12-21
[7] 웹사이트 Orthal http://www.orthal.fr[...]
[8] 웹사이트 Prince Edward Island Fever https://ontariomenno[...] 2016-02-08
[9] 웹사이트 Following are relevant excerpts from a letter written to the ministry at Aylmer http://thecommonlife[...] 2022-05-22
[10] 웹사이트 Le dialecte en chiffres {{!}} www.OLCAlsace.org https://www.olcalsac[...] 2023-05-04
[11] 논문 "〔南部〕アルザス・ドイツ語の文法記述へのアプローチ : ミュルーズ・アルザス語方言に基づいて"
[12] 웹사이트 アルザスの歴史を探って、ヨーロッパを知る https://www.toyo.ac.[...] プランシャー・ニコラ 2023-05-04
[13] 논문 アルザス語の助動詞tüen/düen (dt. tun)の用法と機能
[14] 논문 アルザスにおける言語の現状とその地域性
[15] 논문 ナチ占領下のアルザス
[16] 웹사이트 アルザスの「地方語」教育の取組み : フランス的 文化形成の一側面 https://home.hiroshi[...] 広島大学 2023-05-03
[17] 논문 アルザスの「地方語」教育の取組み : フランス的文化形成の一側面
[18] 웹사이트 Elsässisch: Ein deutscher Dialekt in Frankreich https://www.superpro[...] 2023-05-04
[19] 논문 "〔南部〕アルザス・ドイツ語の文法記述へのアプローチ : ミュルーズ・アルザス語方言に基づいて"
[20] 웹사이트 フランスの言語政策と CECR(欧州言語共通参照枠) https://www.scj.go.j[...] 日本学術会議 言語・文学分野参照基準検討分科会 2023-05-04
[21] 문서 杉浦黎『フランス・アルザスにおけるアルザス語の位置付け: ストラスブールの言語景観と聞き取り調査からの考察』日本フランス語学会第336回例会より
[22] 문서 多言語主義政策内には[[프랑스공화국헌법]]을 개정해 「프랑스의 언어는 프랑스어이다」라고 추가했다.
[23] 논문 フランスの地方語とバイリンガル教育 : アルザス語の場合
[24] 서적 ヨーロッパの多言語主義はどこまできたか https://www.worldcat[...] 三元社 2004
[25] 서적 L'Alsacien sans peine https://www.worldcat[...] Assimil 2001
[26] 웹사이트 Alsacien/Grammaire/Annexe/Synthèse complète — Wikiversité https://fr.wikiversi[...] 2023-05-05
[27] 서적 L' alsacien pour les nuls https://www.worldcat[...] First Ed 2010
[28] 서적 L'alsacien sans peine Assimil 2001
[29] 웹사이트 アルザス語の助動詞tüen/düen (dt. tun)の用法と機能 https://cir.nii.ac.j[...] 2023-05-04
[30] 웹사이트 軟音(なんお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5-04
[31]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